KR101972859B1 - The holder for nasotracheal tube fixing - Google Patents
The holder for nasotracheal tube fix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2859B1 KR101972859B1 KR1020170050300A KR20170050300A KR101972859B1 KR 101972859 B1 KR101972859 B1 KR 101972859B1 KR 1020170050300 A KR1020170050300 A KR 1020170050300A KR 20170050300 A KR20170050300 A KR 20170050300A KR 101972859 B1 KR101972859 B1 KR 1019728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intubation tube
- seating
- patient
- hol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2627 tracheal intub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091 Anaesth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661 Dyskin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05 anaesthes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780 epistax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311 musculoskeletal movement, spinal reflex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309 nasal bleed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53—Means for fixing the tube outside of the body, e.g. by a special shape, by fixing it to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66—Nasal cannulas or tub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83—Hold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코를 통한 삽관법을 시술하기 위해, 비강에 삽관된 튜브를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환자의 안면부 중 코에 안착되도록,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하단부에 구비되어 삽관튜브가 고정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 그리고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안착부의 후면부가 환자의 안면부와 밀착되도록, 상기 안착부 후면부에 구비되는 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 양측에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안변부를 커버하는 연장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비강삽관용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환자의 안면부 중 코에 밀착되어, 비강삽관에 이용되는 다양한 직경의 비강삽관튜브를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to stably fix a tube inserted in the nasal cavity to a patient in order to perform intubation through the nose.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o be seated in the nose of the patient's face; A fixing part which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art and protrudes forward to fix the intubation tube; And an attachment part provided on the rear part of the seating part such that an adhesive is applied so that the rear part of the seating part closely contacts the face part of the patient; Both sides of the seating part are extended from the seating part to extend the cover part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of the patient's face so that the nasal intubation tube is not separated,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fixing the nasal intubation tube of various diameters used for nasal intub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코를 통한 삽관법을 시술하기 위해, 비강에 삽관된 튜브를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to stably fix a tube inserted in the nasal cavity to a patient in order to perform intubation through the nose.
일반적으로 의료현장에서 무의식상태 또는 마취상태의 환자에게 기도확보 또는 약물이나 음식물을 주입하기 위해 기관 내 삽관술을 시술한다.In general, endotracheal intubation is performed to secure airways or inject drugs or foods to patients who are unconscious or anesthetized in the medical field.
여기서, 튜브는 일측이 환자의 구강에 삽입되고, 타측은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기나,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기 등과 연결된다.Here, one side of the tube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n oxygen supply for supplying oxygen, a drug supply for supplying drugs, and the like.
한편, 환자의 구강이 손상되었거나, 구강주변부 수슬 등의 이유로 구강을 통해 기관 삽관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비강을 통해 삽관을 시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is damaged, or the tracheal intubation through the oral cavity due to the periphery of the oral cavity, the intub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nasal cavity.
특히, 비강 삽관의 경우, 구강 삽관에 비해 비강 내 조직이 약하므로, 삽관으로 인해 가장 흔하게 비출혈(NASAL BLEEDING)과 같은 비강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In particular, nasal intubation is weaker than intraoral intubation compared to oral intubation, and intubation can most often cause nasal injuries such as nasal bleeding.
또한, 마취상태의 의식이 없는 환자는 의식이 없는 상태임에도, 무의식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n unconscious patient in anesthesia may experience involuntary movement, even in an unconscious state.
이에 따라, 튜브가 이탈하거나, 튜브의 움직임에 의해 환자의 신체일부가 손상되거나, 튜브로 공급되는 공급물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수 있었다.As a result, the tube may be dislodged, the body part of the patient may be damaged by the movement of the tube, or the feed supplied to the tube may not be smoothly supplied.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018560호 의료용 비위관의 삽관 거치기구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has been disclosed a technique for the intubation mounting mechanism of the medical nasogastric tube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18560.
그러나 선행기술에서는 거치기구에 고정되는 튜브의 직경이 삽입홀의 직경에 한정되고, 거치기구에 튜브를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diameter of the tube fixed to the mounting mechanism is limited to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a separate device for fixing the tube to the mounting mechanism is required.
또한, 선행기술에서는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거치기구를 고정하므로, 환자의 체형에 맞게 탄성 밴드의 길이조절이 정확하지 않으면, 환자의 안면부에 밀착되지 않아, 거치기구가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since the fixing mechanism is fixed by using the elastic band, if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elastic band is not correct to fit the patient's body shape, the mounting mechanism may no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patient, thereby causing the mounting mechanism to be detach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비강삽관용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환자의 안면부 중 코에 밀착되어, 비강삽관에 이용되는 다양한 직경의 비강삽관큐브를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of the patient's face so that the nasal intubation tube is not separated, the nasal intubation cube of various diameters used for nasal intubation patients It is to provide a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to secure a stab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환자의 안면부 중 코에 안착되도록,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하단부에 구비되어 삽관튜브가 고정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 그리고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안착부의 후면부가 환자의 안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안착부 후면부에 구비되는 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 양측에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환자의 안면을 커버하는 연장부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to be seated on the nose of the patient's face; A fixing part which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art and protrudes forward to fix the intubation tube; And an attachment part provided on the rear part of the seating part such that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rear part of the seating par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patient;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are extended from the seating portion to cover the face of the patient is formed.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관튜브가 삽입되도록 하부면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관튜브는 상기 고정부의 개방면으로 인입되어, 상기 고정부 내주연에 안착된다.The fixing part is formed in a channel shape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open so that the intubation tube is inserted; The intubation tube is drawn into the open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nd seat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ortion.
상기 안착부와 상기 고정부가 만나는 교부에는 상기 안착부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움직임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안착부와 상기 고정부를 이어주는 이음부가 형성된다.In the intersection where the seating part and the fixing part meet, a shape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xing part relative to the seating part, and a joint part connecting the seating part and the fixing part is formed.
상기 이음부에는 상기 이음부의 변형이 유연하도록 수축 및 이완되는 주름이 형성된다. The joint is formed with wrinkles that contract and relax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joint is flexible.
상기 이음부에는 상기 이음부의 변형이 유연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The joint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joint is flexible.
상기 관통공은 상기 고정부의 변형에 따라 인장이 발생되는 이음부 좌우측에 대칭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int in which tens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fixing part.
상기 삽관튜브가 상기 고정홀더에 고정되도록, 상기 삽관튜브를 상기 고정홀더에 부착시키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fixing band for attaching the intubation tube to the fixing holder such that the intubation tube is fixed to the fixing holder.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밴드 일측이 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된다.The fixing part is formed with a fixing hole to which one side of the fixing band is coupled.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삽관튜브를 고정하기 위하여 점착성질을 갖도록 구성되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점층층 하부면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삽관튜브는 상기 보호층이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에 의하여 고정된다.The fixing band and the adhesive layer is configured to have a tacky property for fixing the intubation tube; It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and comprises a protective layer to protect the bottom layer of the mucosal layer: The intubation tube is the protective layer is removed from the adhesive layer, it is fixe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는 일단이 결합부로 구성된다.The fixing band is composed of one end coupled to the fixing hole.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점착층 일단이 절첩되어, 상기 고정공에 삽입시, 내측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고정공에 결합된다.One end of the adhesive layer is folded and the adhesive layer is coupled to the fixing hole by an adhesive applied to the inner side when the adhesive laye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상기 결합부 단부에는 상기 삽관튜브를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절취선이 형성된다.A cut lin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to separate the intubation tube from the fixed portion.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점착층 일단이 상기 고정공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밴드가 상기 고정공에 삽입시, 상기 고정공에 고정된다.The coupling part has one end of the adhesive layer formed thicker than the fixing hole, and the fixing band is fixed to the fixing hole when the fixing b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상기 결합부는 일부면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밴드가 상기 고정공에 삽입시, 상기 삽관튜브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부 내주연과 상기 삽관튜브 사이 이격된 공간을 지지하도록 고정된다.The coupling part is formed in a channel shape having an open part surface, and when the fixing b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the coupling tube accommodates the intubation tube and is fixed to support the space spaced between the fixing unit inner circumference and the intubation tube. .
상기 고정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상기 고정부 외측까지 절개되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된 상기 고정밴드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제거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제거홈을 통해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외부로 분리된다.A removal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ing part from the fixing hole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fixing b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art; The fixing band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hole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moval groove.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용 고정홀더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발명은 비강삽관용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환자의 안면부 중 코에 밀착되어, 비강삽관에 이용되는 다양한 직경의 비강삽관튜브를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of the patient's face so that the nasal intubation tube is not separated,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fixing the nasal intubation tube of various diameters used for nasal intubation.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를 환자에게 적용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의 이음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고 정밴드가 결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밴드의 일예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밴드의 다른예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밴드의 또다른예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삽관튜브(300)를 고정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밴드를 분리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서 고정밴드를 분리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a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ti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joint structure of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xing band is coupled to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xing band fixed to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ixing band fixed to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ixing band fixed to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fixing the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fixing band fixed to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separating the fixing band in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를 환자에게 적용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의 이음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holder for a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a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tient, Figure 4 shows a joint structure of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view.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는 비강을 통해 삽입되는 삽관튜브를 고정하기 위하여 안착부(110)와 고정부(120) 그리고 부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정홀더(100)는 상온에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합성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무와 플라스틱의 성질을 모두 가진 탄성중합체인 엘라스토머(Elastomer)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여기서, 상기 안착부(110)는 환자의 안면부 중 코에 안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Here, the
이때, 상기 안착부(110) 하단에는 환자의 비강으로 삽입되는 비강삽관큐브를 고정하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120)가 구비된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상기 고정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강 삽관튜브(300)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부면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된다.Here, the
이때, 상기 삽관튜브(300)는 상기 고정부(120)의 하부개방면으로 인입되어 상기 고정부(120) 내주연에 안착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환자의 코와 맞닿는 상기 안착부(110) 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접착면으로 형성된 부착부(14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rea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부착부(140)는 양면이 접착면이 구비된 양면실리콘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10) 후면과 환자의 코가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안착부(110)에는 환자의 안면부와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연장부(111)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연장부(111)는 환자의 안면부와 밀착되도록, 상기 안착부(110)의 양측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이에 따라, 상기 고정홀더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안면부 중 코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Accordingly, the fixing holder is stably fixed to the nose of the face of the patient as shown in FIG.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고정홀더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밴드를 구비하지 않아도 환자의 안면부에 상기 고정홀더를 고정하기가 용이하므로, 사용성이 증가한다.Therefore, the fix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fix the fixing holder to the face portion of the patient even if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band for fixing the fixing holder, usability increases.
또한, 안면부를 커버하는 연장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더의 안면부고정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xtending
한편, 상기 안착부(110)와 상기 고정부(120)가 만나는 교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의 움직임에 따라 수축 및 인장되는 이음부(13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이음부(130)는 상기 고정부(120)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상기 이음부(130)는 상기 고정부(120)가 상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이음부(130) 외측은 인장력이 발생하고, 중심부는 수축력이 발생한다.Here, the
이때, 상기 고정홀더(100)는 재료의 특성상 인장에 대하여 강한 저항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이음부(130) 중 인장력이 강하게 발생되는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고정부(120)의 움직임이 유연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다만, 상기 이음부(130)에서 인장력이 강하게 가해지는 부분(이음부의 외측)을 제거하면, 상기 고정부(120)의 유연성은 증가하나, 상기 삽관튜브(300)를 고정하는 고정부(120)의 본래 기능이 저하될 우려성이 있다.However, when the portion (outside of the joint portion) to which the tensile force is strongly applied to the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이음부(130)에는 상기 이음부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제거하되, 상기 이음부(130)의 양측 끝부분이 이어지도록, 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관통공(131)은 상기 고정부(120)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이음부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이음부(130)의 좌우측 대칭형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through
한편, 상기 이음부(13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음부(130)에는 수축 및 인장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부(120)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되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120)의 움직임이 유연해지므로, 상기 삽관튜브(300)의 방향을 시술자가 시술하는 방향에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movement of the fixing
한편, 상기 고정홀더(100)는 상기 고정부(120)에 위치되는 삽관튜브(300)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밴드(20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삽관튜브(300)를 고정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고 정밴드가 결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밴드의 일예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밴드의 다른예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밴드의 또다른예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삽관튜브를 고정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xing band is coupled to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fixed to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xed band,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ixed band fixed to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band fixed to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example, Figure 9 shows an example of fixing the intubation tube to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llustra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관튜브(300)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밴드(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fixing
이때, 상기 고정부(120)에는 상기 고정밴드(200)가 고정되는 고정공(121)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상기 고정공에 대한 상기 고정밴드의 결합구조는 다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xing band to the fixing ho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gain.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210)과 보호층(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xing
이때, 상기 점착은 상기 삽관튜브를 고정하기 위하여 점착성질을 갖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adhesive is configured to have a tacky property to fix the intubation tube.
그리고 상기 보호층(230)은 상기 점착층(210)의 하부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점착층(210)의 하부에 구비된다.The
여기서, 상기 점착층(210)은 상기 삽관튜브를 고정하기 위하여 점착성질을 갖도록 구성된다.Here, the
따라서, 상기 고정밴드(200)는 상기 삽관튜브(300)를 상기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보호층(230)이 상기 점착층(210)으로부터 제거된 뒤, 상기 점착층(210)의 점착면을 이용하여 상기 삽관튜브(300)를 감아서 고정한다.Therefore, the fixing
한편, 상기 점착층(210) 일단은 상기 고정공에 고정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upling unit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결합부(211a)의 제 1 실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착층 단부가 절첩되어, 고리형으로 형성된다.Firs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이때, 절첩된 접합면은 상기 고정공을 포함하여,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At this time, the folded bonding surface is attached to each other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including the fixing hole.
한편, 상기 결합부(211a)에는 상기 고정밴드로부터 상기 결합부를 분리시키기 위한 절취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이는 상기 삽관튜브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삽관튜브를 고정하는 상기 고정밴드를 제거하기 위함이다.In other words, this is to remove the fixing band for fixing the intubation tube so that the intubation tube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ortion.
따라서, 상기 절취선(212)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홀더에 고정된 상기 삽관튜브(300)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밴드(200)를 절취한 뒤, 상기 삽관튜브(300)를 제거하고, 고정홀더를 환자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the
이에 따라, 상기 삽관튜브(300) 분리시,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상기 삽관튜브(3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결합부의 제 2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200)의 결합부가 뭉치형결합부(211b)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121)에 결합 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xing
이때, 상기 뭉치형결합부(211b)는 상기 고정공(121)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공보다 두껍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bundle-
이에 따라, 상기 고정밴드(200)는 상기 고정공(121)에 결합시,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방향의 고정밴드(200)를 고정공(121)의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고정밴드(200)가 상기 고정부(120)에 고정된다.Accordingly, when the fixing
즉, 상기 뭉치형결합부(211b)로 형성된 경우, 상기 고정밴드 일측을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고정밴드(200)의 결합이 용이하므로, 사용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bundle-
한편, 상기 뭉치형결합부(211b)는 뭉치형태의 결합부 고정부(120) 내측에 위치된 경우, 상기 삽관튜브(300)가 상기 고정부(120) 내측에 안착되는 것을 방해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undl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결합부의 제 3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관튜브(300)를 수용하는 채널형결합부(211c)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channel-shaped
이때, 상기 삽관튜브(300)는 채널형결합부(211c)에 의해 고정부(120)에 위치하는 것을 방해받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채널형결합부(211c)는 상기 삽관튜브(300)의 거치안정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channel
한편, 상기 삽관튜브(300)는 상기 삽관튜브(300)의 직경이 얇은 경우, 고정부(120) 내측공간의 이격공간이 발생하여, 시술중 삽관튜브(300)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환자의 비공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채널형결합부(211c)는 상기 고정부의 내주연과 상기 삽관튜브의 외주연의 이격공간을 감소시켜, 상기 삽관튜브(300)에 움직임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비공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hannel-shap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고정홀더로부터 비강삽관큐브를 제거할 때,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configuration to facilitate separation when removing the nasal intubation cube from the fixed holder.
도 10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밴드를 분리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서 고정밴드를 분리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fixing band fixed to the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separating the fixed band.
상기 고정부(12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관튜브(300)를 환자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홀더로부터 상기 고정밴드(200)를 분리할 수 있도록 제거홈(123)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0, in order to remove the
따라서, 상기 고정밴드(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면을 상기 삽관튜브(300)로부터 분리할 필요없이 제거홈(123)을 통해 상기 고정홀더(100)로부터 분리된다.Therefore, the fixing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제거홈(123)을 이용하여 고정밴드(200)를 상기 고정홀더(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고정밴드(200)를 별도의 절삭도구를 사용하여 절취하지 않고,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Accordingly,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fixing
즉, 삽관튜브를 환자에게서 제거하거나,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밴드(200)를 상기 고정홀더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므로, 사용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That is, when the intubation tube is to be removed from the patient or replaced, the fixing
한편,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본 발명은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코를 통한 삽관법을 시술하기 위해, 비강에 삽관된 튜브를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비강삽관용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환자의 안면부 중 코에 밀착되어, 비강삽관에 이용되는 다양한 직경의 비강삽관큐브를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ed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to stably fix a tube inserted in the nasal cavity to a patient in order to perform intubation through the n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asal intubation tube is closely attached to the nose of the patient's face so that the nasal intubation tube is not separated, and thus, the nasal intubation cube having various diameters used for nasal intubation can be stably fixed to the patient.
100 : 고정홀더 110 : 안착부
111 : 연장부 120 : 고정부
121 : 고정공 123 : 제거홈
130 : 이음부 131 : 관통공
140 : 부착부 200 : 고정밴드
210 : 점착층 211a : 결합부
211b : 뭉치형결합부 211c : 채널형결합부
212 : 절취선 230 : 보호층
300 : 삽관튜브100: fixed holder 110: seating portion
111: extension part 120: fixing part
121: fixing hole 123: removal groove
130: seam 131: through hole
140: attachment portion 200: fixing band
210:
211b: bundle
212: perforation line 230: protective layer
300: intubation tube
Claims (12)
상기 안착부 하단부에 구비되어 삽관튜브가 고정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와;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안착부의 후면부가 환자의 안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안착부 후면부에 구비되는 부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상기 고정부가 만나는 교부에, 상기 안착부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움직임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안착부와 상기 고정부를 이어주는 이음부와;
상기 삽관튜브가 고정홀더에 고정되도록, 상기 삽관튜브를 고정홀더에 부착시키는 고정밴드; 그리고
상기 안착부 양측에,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환자의 안면을 커버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 고정부 및 연장부는 탄성중합체인 엘라스토머(Elastomer)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관튜브가 삽입되도록 하부면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관튜브는,
상기 고정부의 개방면으로 인입되어, 상기 고정부 내주연에 안착되며:
상기 이음부에는,
상기 이음부의 변형이 유연하도록, 상기 이음부 좌우측에 대칭형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밴드 일 측이 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삽관튜브를 고정하기 위하여 점착성질을 갖도록 구성되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점착층 하부면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삽관튜브는,
상기 보호층이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제거된 고정밴드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밴드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점착층 일단이 절첩되어, 상기 고정공에 삽입시, 내측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 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에 부착된 결합부와 상기 삽관튜브에 부착된 고정밴드를 서로 분리하기 위한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상기 고정부 외측까지 절개되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된 상기 고정밴드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제거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제거홈을 통해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외부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A seating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be seated in the nose of the face portion of the patient;
A fixing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ating part and protruding forward to fix the intubation tube;
An attachment part provided on the rear part of the seating part so that an adhesive is applied so that the rear part of the seating part closely contacts the face of the patient;
A joint portion that is deformed according to a movement of the fixing unit relative to the mounting unit to a bridge where the seating unit and the fixing unit meet, and joins the mounting unit and the fixing unit;
A fixing band attaching the intubation tube to the fixed holder such that the intubation tube is fixed to the fixed holder; And
An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to cover the face of the patient:
The seating part, the fixing part and the extension part are formed of elastomer which is an elastomer:
The fixing portion,
A lower channel is formed in an open channel shape so that the intubation tube is inserted;
The intubation tube,
It is drawn into the open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rests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art:
In the joint,
Through holes ar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int so that deformation of the joint is flexible:
In the fixing portion,
A fixing hol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ing band is formed:
The fixing band,
An adhesive layer configured to have an adhesive property to fix the intubation tube;
Is provided below the adhesive layer, comprising a protective layer for protecting the adhesive bottom surface:
The intubation tube,
The protective layer is attached to the fixing band removed from the adhesive layer and fixed to the fixing portion:
At one end of the fixing b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ixing hole is formed:
The coupling part,
One end of the adhesive layer is folded and coupled to the fixing hole by an adhesive applied to the inner side when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At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 cut line is formed to separate the coupling part attached to the fixing part and the fixing band attached to the intubation tube from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A removal groove which is cut from the fixing hole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art to separate the fixing b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from the fixing part;
The fixing band,
Fixing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separated from the fixing hole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moval groove.
상기 이음부에는,
상기 이음부의 변형이 유연하도록 수축 및 이완되는 주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joint,
Fixing holder for nasal intuba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rinkles are formed to shrink and relax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joint is flexi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0300A KR101972859B1 (en) | 2017-04-19 | 2017-04-19 | The holder for nasotracheal tube fix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0300A KR101972859B1 (en) | 2017-04-19 | 2017-04-19 | The holder for nasotracheal tube fix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7328A KR20180117328A (en) | 2018-10-29 |
KR101972859B1 true KR101972859B1 (en) | 2019-08-16 |
Family
ID=6410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0300A Active KR101972859B1 (en) | 2017-04-19 | 2017-04-19 | The holder for nasotracheal tube fix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285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3868A (en) | 2021-03-02 | 2022-09-13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Nasotracheal intubation tube fix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5678B1 (en) * | 2021-10-01 | 2023-09-06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Protecting apparatus for artificial airwa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52511A (en) * | 1996-11-22 | 1998-05-19 | Simmons; Carl J. | Universal medical tube retainer and nasal wall tissue dilator |
CN201375681Y (en) | 2009-03-03 | 2010-01-06 | 梁作双 | Fixator for nasogastric tube |
JP2014057805A (en) * | 2012-09-19 | 2014-04-03 |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 Tube fixtur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91906B2 (en) * | 2008-06-04 | 2012-10-23 | Resmed Limited | Patient interface systems |
KR20170018560A (en) | 2015-08-10 | 2017-02-20 | 안종요 | Attachment mechanism of nasogastric tube |
-
2017
- 2017-04-19 KR KR1020170050300A patent/KR10197285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52511A (en) * | 1996-11-22 | 1998-05-19 | Simmons; Carl J. | Universal medical tube retainer and nasal wall tissue dilator |
CN201375681Y (en) | 2009-03-03 | 2010-01-06 | 梁作双 | Fixator for nasogastric tube |
JP2014057805A (en) * | 2012-09-19 | 2014-04-03 |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 Tube fixtur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3868A (en) | 2021-03-02 | 2022-09-13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Nasotracheal intubation tube fix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7328A (en) | 2018-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62801A (en) | Endotracheal tube protector | |
US10500361B2 (en) | Endotracheal tube retention system | |
KR102259400B1 (en) | setting apparatus for nasotracheal intubation | |
KR101495307B1 (en) | Fixing apparatus for endotracheal tube | |
KR101972859B1 (en) | The holder for nasotracheal tube fixing | |
US20050092328A1 (en) | Endotracheal tube holder with an adjacent feeding tube holder for neo-natal use | |
KR102040815B1 (en) | Tube for trachea intubation | |
KR101931309B1 (en) | fixing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 |
US20160058965A1 (en) | Cannula device | |
KR101789125B1 (en) | Adhesive mouthpiece for medical purposes | |
JP6230128B2 (en) | Cannula holding band | |
KR20170116559A (en) | Biting block assembly for supporting endo tube | |
CN212439417U (en) | a stomach connector | |
JP2024518040A (en) | Endotracheal Tube Support Device | |
KR102251390B1 (en) | Assembly type medical clip | |
WO2016114643A1 (en) | Endotracheal tube fastener for paediatric patients | |
US10518052B1 (en) | Obstruction prevention device for endotracheal tube | |
KR102264722B1 (en) | Clip for cannula | |
JP2006130015A (en) | Tracheotomy catheter | |
KR102606298B1 (en) | Nasal mask | |
US20170173287A1 (en) | Endotracheal tube securing device and method | |
JP3108599U (en) | Nostril cannula | |
KR20220142765A (en) | Ventilator tube fixture | |
CN105102051A (en) | Medical tube holder | |
JP2018082825A (en) | Cannula and tube for cannul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