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268B1 - 착탈식 보정판 팁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수평 보링 추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 Google Patents
착탈식 보정판 팁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수평 보링 추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2268B1 KR101972268B1 KR1020180091811A KR20180091811A KR101972268B1 KR 101972268 B1 KR101972268 B1 KR 101972268B1 KR 1020180091811 A KR1020180091811 A KR 1020180091811A KR 20180091811 A KR20180091811 A KR 20180091811A KR 101972268 B1 KR101972268 B1 KR 1019722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ring
- hammer
- diameter
- plate tip
- ti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422 blas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21639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21 gun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BTBUEUYNUDRHOZ-UHFFFAOYSA-N Borate Chemical compound [O-]B([O-])[O-] BTBUEUYNUDRHO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4526 brui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030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55745 Sciu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54 Wrough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0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37 lozen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41 tunn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93—Devices for supporting, advancing or orientating the machine or the tool-carrier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6—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making use of blasting method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percussive tools, e.g. pick-ham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제원 |
모터(유압)식 (수입 보유) |
엔진(62~68 HP)식 (자체제작보유) |
비 고 |
|
전력(kw) | 25.6kw | 46(kw)(환산) | 1HP=0.746w 1HP=746kw 3300ftㆍ1bs/SEC(초) 1, 2항 비교 엔진식(1항)은 모터 식(2항)보다 약 7배 회전 출력 토크 힘이 므로 100M 이상 보링 조건 충분히 갖춤 |
|
작동압력(bar) | 250_max | |||
작동유량(ℓ/분) | 55.1 | |||
rpm | 157 | 2150 | ||
모터(cc) | 350 | |||
토크(kgf.m) | 153 | 20.8 | ||
기어비 | 1/10 | 1차 | 2차 | |
1/37 | 1/36.5 | |||
출력 rpm | 16 | 145 | 4 | |
최종 출력 토크 (회전력) |
1,530 | 11.207 |
도 2는 도 3과 같이 고압 에어 콤프레샤의 인입에 따라 로드 끝에 비트가 있음으로 해서, 타격식으로 전후진 해가는 작업 원리 설명용 측면도이며, 일반적인 대구경작업을 진동저감이나 굴진율 증대를 위한 터널굴착에서 사용하는 수평 보링 작업이 직선이 아닌 곡선을 그리는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3은 곡선을 그리는 수평보링작업의 시작점(S.P)과 중간(I.P) 및 도달점(A.P)을 그리고 비트경(ΦH1)과 비트 내마모경(ΦH2: 보통 보링경이라 함은 이를 말함). 새것은 ΦH2 보다 수 mm크고, 사용하다 보면 보링경보다 수 mm작아진다), 해머 피복 보정판 팁 외경(ΦH3), 제1 로드 팁 외경(ΦH5)을 표기한 특허내용 설명용인 도 2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4는 특허내용 설명을 위한 도 2의 “X”부근의 하단에 방향 보정을 위한 하단부의 마모됨에 따른 철판으로 높이조절용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와 같이 고압 에어 압축기의 인입에 따라 로드 끝에 비트가 있음으로해서 타격식으로 전 후진 해가며 작업하는 원리 설명을 위한 측면도이며, 스키드식 수평 보링 장비가 레일식에 의한 엔진 및 싸이크로감속기, 하단내부에 위치한 작키 및 주요 몸체부위별 명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을 위한 도 2의 “X”부근 하단에 방향 보정용 하단부의 마모됨에 따른 철판으로 높이조절용 단면도이다.
도 7은 기존 장비의 방향조절용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물 사진이다.
도 9는 기존(Φ362mm경 기준) 수평보링작업에서 비트경(ΦH1, ΦH2)과 해머의 보정판 팁 외경인 ΦH3의 변화 폭인 Φ356mm의 수리(관리)를 그런대로 하드라도 Φ332mm부근까지 하향하는 모식도. 마모팁수리를 자주하다보니 보통은 20mm 넓이의 폭인 각철 졸대를 8개에서 보통은 16개의 각철인 졸대를 새로운 면에 용접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0은 기존(Φ362mm경 기준) 수평보링작업에서 비트경(ΦH1, ΦH2) 해머(ΦH3) 다음의 제1 로드의 보정판 각철졸대 외경인 ΦH4의 변화 폭인 Φ356mm의 마모팁 수리(관리)를 그런대로 하더라도 Φ336mm부근까지 하향하는 모식도이다. 마모 팁 관리를 자주하다 보니 보통은 20㎜넓이의 폭인 각철 졸대를 8개 내지 16개의 졸대를 촘촘히 덧붙여 사용하고 있다.
도 11은 기존(Φ362mm 경 기준) 수평보링작업에서 비트와 해머 후속 그다음의 제2 로드의 보정판 팁 외경인 ΦH5의 변화 폭인 Φ356mm㎜의 관리를 그런대로 하더라도 Φ322mm 근처까지 하향하는 모식도. 관리(마모 수리)한다고 하지만, 실은 방향 보정 영향이 극히 적으므로 한번 제작하면 고장날 때 까지 계속적으로 보강없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2는 각철 졸대의 치수와 졸대의 개수 및 각도에 따른 회전시의 하향방지용 철판에 닿는 로드의 처짐면이 회전시 더 하향한다는 이치를 설명키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직선형 및 나선형의 탈착식 대표도의 파쇄석 통로의 흐름 개요도이다.
도 14는 보링경에 따른 해머의 직선형 방향 보정판 팁과 체결 볼트 암(♀)나사의 위치표시 및 보정판 팁의 규격설정은 보링경 설정하고 난 후에 수㎜ 적게 하는 원리 개요도이다.
도 15는 보링경에 따른 해머의 나선(S)형 방향 보정판 팁과 체결볼트의 암(♀)나사의 위치 표시 및 보정판 규격설정은 보링경을 결정하고 난 후에 수㎜ 적게 하는 원리 개요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Φ362mm(대구경)경으로 수평보링작업의 예를 기준으로 해머의 1차 원형 파이프 덮개 단면과 그 위에 볼트식으로 보정판 팁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비트경(H1= Φ362mm/구(球)형 비트팁이 밖으로 약3°경사된 최외곽 직경)과 비트 내 마모경 팁의 경(ΦH2=380mm/실린더형 비트팁이 직경방향으로 된 최외곽 면과 면사이 거리), 해머의 최외곽 팁경(ΦH3=379mm)의 단면을 나타내는 측면(평면)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Φ380mm(대구경)경으로 수평보링작업의 예를 기준으로 해머의 1차 원형 파이프 덮개 단면과 그 위에 볼트식으로 보정판 팁을 결합하는 것으로써, 비트경(ΦH1=382mm/구(球)형 비트팁이 밖으로 약 3°경사된 최외곽 직경)과 비트 내 마모경 팁의 경(ΦH2=380mm)/실린더형 비트팁이 직경방향으로 된 최외곽 면과 면사이 거리), 해머 최외곽 팁외경(ΦH3=379mm)의 단면을 나타내는 측면(평면)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Φ460mm(대구경)으로 수평보링작업의 예를 기준으로 해머의 1차 원형 파이프 덮개 단면과 그 위에 볼트식으로 보정판 팁을 결합하는 비트경(ΦH1=462mm)/구(球)형 비트팁이 밖으로 약 3°경사된 최외곽 직경)과 비트 내 마모경 팁의 외경(ΦH2=461mm/실린더형 비트팁이 직경방향으로 된 최외곽 면과 면사이 거리), 해머 최외곽 팁외경(Ø㎜)의 단면을 나타내는 측면(평면) 모식도이다.
도 19는 Φ362mm, Φ382mm, 및 Φ460mm 보링 경에서 대표도로 도 16에서 해머의 커버에 부착된 볼트로 연결되는 팁 외경(ΦH3)의 관리 수치를 기록한 단면(평면 및 측면도)도로 해머 전체 길이(1,55m~/제조사의 보링경따라 다름)를 볼트식 팁으로 결합하지 않고, 앞과 뒤, 추가로 중앙일부만 연결하는 시스템이나, 보정판 팁의 길이(보통 200㎜~450㎜~900㎜)는 조정 할 수 있다.
도 20은 Φ362mm, Φ382mm, 및 Φ460mm 보링 경에서 대표도로 도 13 및 도 16에서 해머 연결되는 후속 제1 로드에 볼트 연결되는 팁 외경(ΦH4)의 관리 수치를 기록한 단면(평면 및 측면도)도로 도면에서와같이 로드전체길이(4.5m 전후)를 볼트식 팁으로 결합하고, 경우에 따라서 앞과 뒤, 추가로 중간에만 볼트식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제1 로드까지는(ΦH4)관리를 잘해야만 한다. 특히 ΦH4 까지가 선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도 21는 Φ362mm, Φ382mm, 및 Φ460mm 보링 경에서 대표도로서 도 13 및 도 16에서 해머의 두번째로 연결되는 제2 로드에 볼트로 연결하거나, 용접으로 연결하는 팁 외경(ΦH5)의 관리 수치를 기록한 단면(평면 및 측면도)도로 로드 전체 길이(5m)를 볼트식 팁으로 결합하지 않고, 앞 혹은 중간에만 볼트식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의 도면으로 보링 전방 비트면에서 10m 가까이까지 관리철저히 해서 보링하면, 그 이상 로드에서는 보링방향에 극히 미미하게 작용하므로 별도특별관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표시되지 않은 구간은 기존방식대로 간이 졸대 사용한다.
도 22는 도 16 및 도 17의 보정판 팁의 외경과 길이의 평면 및 사교 단면도로 팁의 수직 길이는 450mm정도이지만, 회전함에 있어서 언제나 바닥면을 1㎜~5㎜전후 틈으로 받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23은 도 18의 보정판 팁의 외경과 길이의 평면 및 사교 단면도로 길이는 900㎜정도이지만, 회전함에 있어서 언제나 바닥면을 2㎜~7㎜ 전후 틈으로 받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24는 Φ362mm, Φ382mm, 및 Φ460mm 보링 경에서 대표도로서, 도 16 및 도 19의 해머의 볼트와 팁의 Φ362mm의 대표 단면도로서 해머 후미에서의 M22볼트 4개의 길이는 해머 외경 내부에 스크류 암나사(♂, 닷부)를 만들어 놓은 곳까지 인입해야 되므로 약간은 길며 나머지 볼트 20개는 M20으로 볼트길이가 해머 내부에 인입하지 않는 거리로 해야 하는 것 등을 도시하여 조립시 이해를 위한 제작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6 내지 도 19에서 보정판 팁의 볼트경과 탈착에 따른 공구(복스)의 크기에 따른 나사형 팁 제작시의 외경 표시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3 내지 도 30에 표기 되어 있는 빗금친 부분들을 특수재질로 만든, 본 발명을 만들기 위하여 주물을 부어서 만든 후 온도가 식을 때 수축율을 고려한 목형들과 주물 후의 출고된 실제 사진들(해머 커버에 결합하는 L=450㎜와 해머 다음 다음의 로드 외곽에 결합하는 L=900㎜의 대표 사진 등).
도 27은 도 3 및 도 13 내지 도 25에 표기되어 있는 특수재질로 만든, 본 발명의 외곽 모양이며, 보링경 Φ362mm 설정 후의 보링시의 보정판 팁의 제원을 도시했다. 즉 두께가 37㎜인 Φ365mm 원형 고강파이프를 가공하여 열처리하는 방법이나, 혹은 목형(木型)을 만들어 마모성이 적은 특수 재질로 주물모형을 만든다. 내외경 호의 직경(Φ), 두께(t) 및 폭(W), 길이(높이,H or L)는 약간의 증감이 있으나, 로드 앞과 뒤 혹은 중간에 각 4개를 원호 사분점에 볼트로 결합하여, 작업시 하향이 안되도록 바닥을 계속 지지하는 부분이 나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으로 직선형은 길이를 짧게 지그재그로 배열하고, S(나사형, 스크류식)자형의 각도는 22°전후이나 직선형보다는 길어도 되므로, 주로 나선형 도면을 그린 것이다. 작업의 정확성 중요성과 작업량 따라 해머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로드의 전체길이를 분리식 나사형 및 직선형 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했으며, 이때에도 용접으로 덧씌우기 하는 수선 정비를 고려하여 0.5M 전후가 바람직하나, 직선형 내지 나선형 및 기술 조건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8은 도 16의 해머 보호덮게에 Φ309mm의 면에 볼트결합시키는 암(♂)나사표시이며, 즉 원호 Φ309mm를 펼친(970.75mm) 보정판 팁의 M22, M20 볼트 조임을 위한 나사형 구멍 위치 표시 평면도.(Φ362mm 및 Φ382mm용)
도 29는 도 18의 1차 해머 덮개에 Φ318.5mm의 면에 볼트로 결합시키는 암(♂)나사 표시와 원호를 Φ318.5mm를 펼친(1000.6mm) 보정판 팁의 M22, M20 볼트 체결위한 나사형 구멍 위치 표시한 평면도(Φ460mm용)이다.
도 30은 탈착식 공법을 이용한 주요 3가지 형태로서 해머(ΦH3)와 그 후속 연결되는 제1 로드(ΦH4) 그 다음의 제2 로드(ΦH5)의 이해를 돕는 대표 모식도(대표 치수는 Φ362mm경으로 한 것임)이며, 제2 로드이후의 3 내지 N개의 로드는 방향 변수에는 영향이 극히 적음으로 제일쉬운 기존으로 하는 방식의 졸대(각철)로 군데 군데 용접으로 결속하면 되는 것이다.
도 31은 보호 캡부의 진행 방향 헤드부에 해머와 해머 1차 덮개를 고정하기 위하여 왓샤에 추가로 고정시켜 주는 고안하여 가공한 고정용 와셔 캡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13 및 도 15 내지 도 19의 하단의 보호 캡부의 모습을 본 도면의 1항에서는 전체를 시각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3D로 도면이며, 2항은 비트 및 써버와 고정용 와셔 캡 및 1차 보호 캡부의 부분도이고, 그 위에 볼트 체결하는 보정판 팁의 모습이며, 해머 캡 보호 등을 위한 1차 씌우는 3항에서는 고정 와샤 캡 및 보호 캡부의 3D 도면이며, 마지막 4항은 고정 와셔 캡 및 해머의 실린더의 모습을 3D로 시각화한 도면이다.
도 33은 대구경 공의 오차가 30cm의 좌우상하 및 경사면에서 발생한 심발부근을 지그재그로 뇌관배열하고, 또한 점진적 저항선 증가시키는 대구경공을 이용한 Spiral(나선형)-Cut 식 기폭배열함으로써, 설계시 주변공 뇌관 배열을 그대로 작업하게 하여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이해 및 교육용 도면이다.
도 34는 00현장의 경암구간에서 실시한 PLHBM 시험결과 파쇄된 암반의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직경 Φ362mm인 대구경공 부근에서의 굴진장이 천공장인 1.3m보다 더 크게 나타났고, 제1 및 제2 square(사각형) 발파공들의 공저부분에 잔류길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도 38에서 보여주는 집중장약 등(PCSM-Cut)으로 시험한다면 당연히 100%의 굴진율을 굳힐 것이다.
도 35는 도 34의 시험을 통하여 굴진율이 100%임을 강조함에 있어서, 첫째 사각형(1’square)공과 둘째 사각형(2’square)공에서의 굴진율은 오히려 대구경공을 향하여 30°내지 45°방향으로 더 굴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을 고려하면 굴진율 100% 정도는 된다는 것을 도 34에 의하여 작도한 것으로 교육용 도면이다.
도 36은 00현장의 도로 2차선 일반발파구간에서의 심발공을 V-Cut에서 뇌관 및 공수는 약간늘려서 굴진장 늘리려고 설계한 SAV-Cut로 설계 된 발파 단면도로서 심발주변의 사각형 표시는 다음의 도 37 내지 도 39와 심발포함함 주변공부근을 동일한 면적에서 심발주변공 비교를 위한 구역 표시이다.
도 37은 장공 발파에서 주로 사용하는 심발공을 Burn-Cut(번-캇트)로 하므로 도 36의 도면을 심발 및 주변공을 작도하여 삽입한 것이다.
도 38은 제어 발파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도 36을 PLHBM-Cut를 적용하여 심발 및 주변공을 작도하여 삽입한 것이다.
도 39는 장공보링(40m 내지 100m이상)을 수평보링공 오차로 인한 간접 손실 때문에 100%의 효율을 주장치 못했지만, 본 수평보링오차를 개선함으로서 도 36의 단면의 V-Cut(혹은 SAV-Cut)인 심발공 부근과 도 37에서 장공발파에서 주로 사용하는 Burn-Cut 대신에 선대구경(PLHBM)과 집중장약(Concentric charge)의 원리 및 점차적 늘리는 나선형(Spiral)-Cut를 조합한 공법인 PCSM-Cut로 작도하여 삽입한 것이다.
도 40은 도 36 내지 도 39의 심발공 주변 확대공들은 동일 조건으로 가상한 후 심발공 부근의 제한된 사각형 구역에서의 제원을 비교한 것이다.
도 41은 도 38의 제어발파 구간의 대구경을 이용하는 심발부근 저항선(W, D)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상세도이다.
도 42는 도 39의 일반 발파구간의 대구경을 이용하는 심발부근 저항선(W, D)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심발공 공수도 줄일 뿐 아니라 굴진율도 최대효과를 가지는 PCSM-CUT 상세도이다.
200: 로드
800: 보호 캡부
1000: 방향 보정판 팁
1100: 고정 와샤 캡
2000: 체결 부재
Claims (8)
- 보링 장비의 해머를 덮도록 결합된 보호 캡부;
상기 보호 캡부의 원호 외곽에 위치하는 적어도 4개의 방향 보정판 팁;
상기 해머와 상기 보호 캡부 간의 틈의 유동을 제어하는 고정 와샤 캡; 및
상기 보호 캡부 및 상기 보정판 팁을 상기 해머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캡부 및 연결로드 최외곽에 체결(부착)하는 상기 방향 보정판 팁의 형태 및 크기는, 상기 보호 캡부 외경(Φ) 원호면에 밀착되게 적합한 호(곡선)를 갖게 하고, 덮개 면에 결합했을 시에 그 바깥면의 원호경(Φ)의 직경이 보링경(Φ)보다 2㎜내지 수 ㎜ 적게 하고, 보링 직경에 따라서 직선형 혹은 나선형인 두께(t)가 20㎜내지 80㎜이며, 보정판 팁의 원호 길이(W)가 50㎜내지 200㎜이고, 보정판 팁의 수직 길이가 200㎜ 내지 1500㎜를 갖는 다양한 보정판 팁을 상기 체결 부재로서 볼트식에 의하여 착탈식 방법으로 하는 착탈식 보정판 팁구조.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보정판 팁은 마모성이 적고 견고한 재료를 사용하여, 열이 식은 후의 축소를 고려한 목형이나 혹은 알미늄 형판을 만들어 주물을 부어 만들고 열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제작하는 착탈식 보정판 팁 구조.
- 제1 항에서, 상기 방향 보정판 팁은 마모성이 적고 견고한 재료를 사용하여, 보정판 재료를 열처리 가능한 원형 고강 파이프를 선반 등에서 볼트 암나사와 복스 공구 사용을 위한 구멍파기와 크기 및 내 외경 원형에 맞게 가공 완료 후에 열처리함으로써 제작하는 착탈식 보정판 팁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링경은 Φ300㎜ 내지 Φ700㎜ 범위의 수평 보링 공경을 포함하는 착탈식 보정판 팁 구조.
- 외부로부터 공기 및 물을 유입받는 분리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로드;
상기 다수의 로드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공기에 의해 회전 진동 운동하는 해머;
상기 해머를 덮도록 결합된 보호 캡부, 상기 보호 캡부의 원호 외곽에 위치하는 적어도 4개의 방향 보정판 팁, 상기 해머와 상기 보호 캡부 간의 틈의 유동을 제어하는 고정 와셔 캡, 및 상기 보호 캡부 및 상기 보정판 팁을 상기 해머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 착탈식 보정판 팁 구조;
상기 다수의 로드 중의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로드에 동력을 제공하는 추진 몸체;
3 분할 구성되어 상기 다수의 로드, 상기 해머, 상기 추진 몸체를 지지하는 레일식 받침대;
상기 다수의 로드의 하나를 상기 추진 몸체에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다수의 로드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캡부 및 연결로드 최외곽에 체결(부착)하는 상기 방향 보정판 팁의 형태 및 크기는, 상기 보호 캡부 외경(Φ) 원호면에 밀착되게 적합한 호(곡선)를 갖게 하고, 덮개 면에 결합했을 시에 그 바깥면의 원호경(Φ)의 직경이 보링경(Φ)보다 2㎜내지 수 ㎜ 적게 하고, 보링 직경에 따라서 직선형 혹은 나선형인 두께(t)가 20㎜내지 80㎜이며, 보정판 팁의 원호 길이(W)가 50㎜내지 200㎜이고, 보정판 팁의 수직 길이가 200㎜ 내지 1500㎜를 갖는 다양한 보정판 팁을 상기 체결 부재로서 볼트식에 의하여 착탈식 방법으로 하는 수평 보링 추진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로드는 제1 로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 몸체는 선 대구경보링에서 스키드식에 의한 보링 작업에 따른 회전이나 전후진의 주요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물 및 공기를 상기 다수의 호스 또는 로드를 통하여 상기 해머에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다수의 로드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크를 가변시키는 변속기;
상기 회전동력을 느리게하여 힘을 증가시키는 싸이크로 감속기; 및
상기 변속기와 상기 싸이크로 감속기 사이에 형성되는 고무 커플링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수평 보링 추진 장치. - 제6 항 또는 제7 항에 따른 수평 보링 추진 장치와 접목하여 대구경으로 장공 수평보링작업 하는 단계와 이를 이용하여 일반 발파구역에 대구경-컷트(PLHBM) 및 집중장약의 원리나 나선형 (Spiral cut) 등을 활용하는 발파 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811A KR101972268B1 (ko) | 2018-08-07 | 2018-08-07 | 착탈식 보정판 팁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수평 보링 추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1811A KR101972268B1 (ko) | 2018-08-07 | 2018-08-07 | 착탈식 보정판 팁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수평 보링 추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2268B1 true KR101972268B1 (ko) | 2019-04-24 |
Family
ID=6628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1811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2268B1 (ko) | 2018-08-07 | 2018-08-07 | 착탈식 보정판 팁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수평 보링 추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22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60481A (zh) * | 2020-11-09 | 2021-02-12 |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破岩设备及其冲击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8427A (ko) * | 1998-09-02 | 2000-04-06 | 이문수 | 지반 굴착용 에어 해머 |
KR101645588B1 (ko) * | 2015-03-24 | 2016-08-05 | 한국과학기술원 | 방향 전환 시추 장치의 스티어링 |
KR101814334B1 (ko) | 2017-05-12 | 2018-01-02 | 백종현 | 스키드식 수평 보링 추진 장치 |
-
2018
- 2018-08-07 KR KR1020180091811A patent/KR10197226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8427A (ko) * | 1998-09-02 | 2000-04-06 | 이문수 | 지반 굴착용 에어 해머 |
KR101645588B1 (ko) * | 2015-03-24 | 2016-08-05 | 한국과학기술원 | 방향 전환 시추 장치의 스티어링 |
KR101814334B1 (ko) | 2017-05-12 | 2018-01-02 | 백종현 | 스키드식 수평 보링 추진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60481A (zh) * | 2020-11-09 | 2021-02-12 |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破岩设备及其冲击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545342B (zh) | 既有衬砌隧道内拱部的排烟竖井及其施工方法 | |
Khoreshok et al. | Influence of the rigid connection between discs in the tetrahedral prisms on equivalent stresses when cutting work faces | |
KR101932269B1 (ko) | 발파진동 저감을 위한 기계식 굴착과 발파굴착을 병행한 단계별 터널 굴착공법 | |
CN103244133A (zh) | 煤系地层隧道铣挖与爆破联合施工工法 | |
CN109470099B (zh) | 一种光面爆破和劈裂爆破混合的破岩工艺 | |
CN110593909A (zh) | 隧道二衬拆换施工方法 | |
KR101972268B1 (ko) | 착탈식 보정판 팁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수평 보링 추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파 공법 | |
CN113216975B (zh) | 采区通风天井过复杂富水破碎带的施工方法 | |
JP2007303155A (ja) | 地中空洞の施工方法およびトンネル工法 | |
Chen et al. | TBM design and construction | |
JP4661937B2 (ja) | セグメントの補強方法及びセグメントの補強構造 | |
CN210530827U (zh) | 一种砂卵石层大盾构装配式四字型刀盘检修井结构 | |
CN215804585U (zh) | 一种局部可拆修的衬砌结构 | |
CN105673034A (zh) | 分体始发盾构机及临时出渣系统 | |
CN113250714A (zh) | 一种带钢内衬隧道衬砌结构及施工方法 | |
CN103321643B (zh) | 一种牛鼻子形巷道的开挖方法 | |
JPH0593493A (ja) | 岩盤竪坑築造のための無発破式工法及びこの工法に使用する装置 | |
JP2019167690A (ja) | 杭頭処理工法 | |
CN105317382A (zh) | 施工钻孔灌注桩用的钻头及利用该钻头的施工方法 | |
JP2016017393A (ja) | 大断面トンネルの施工方法 | |
KR101814334B1 (ko) | 스키드식 수평 보링 추진 장치 | |
CN113982639A (zh) | 一种不良地质区内隧道衬砌全环拆换施工方法 | |
CN205955756U (zh) | 快装卸式球铁隧道壁板 | |
Hurt et al. | Lake Mead Intake No. 3 | |
CN207686725U (zh) | 一种盾构切削钢筋混凝土群桩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8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