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760B1 - Device for diluting and sprinkling liquid agent - Google Patents
Device for diluting and sprinkling liquid ag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1760B1 KR101971760B1 KR1020147031327A KR20147031327A KR101971760B1 KR 101971760 B1 KR101971760 B1 KR 101971760B1 KR 1020147031327 A KR1020147031327 A KR 1020147031327A KR 20147031327 A KR20147031327 A KR 20147031327A KR 101971760 B1 KR101971760 B1 KR 1019717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vent
- drug
- port
- medicine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3 g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08 Eugenia caryophy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639 Syzygium aroma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26 co-polymer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9 herb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7 insec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4—Distributing under pressure; Distributing mud; Adaptation of watering systems for fertilising-liqui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6—Hand-operated spr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4—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carrying liq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pressure or dissolution,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43—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carrying liq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pressure or dissolution,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the carried liquid and the main stream of carrying liquid being brought together downstream of the container before dischar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3—Handg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약제를 안정적으로 희석할 수 있음과 함께, 살수시 취급이 용이한 약제 희석 살수 장치를 제공한다. 용매를 도입하는 용매 도입구(6)와, 이 용매 도입구(6)로부터 도입한 용매를 도출하는 용매 도출구(14)와, 약제 용기(3)로부터 약제를 도입하는 약제 도입구(22)와, 용매 도입구(6) 및 용매 도출구(14)의 사이에 형성되어서, 용매 도입구(6)로부터 도입한 용매에 상기 약제 도입구(22)로부터 도입한 약제를 합류시키는 약제 희석부(12)를 가지는 희석 장치 본체(2)를 마련함과 함께, 호스(4)를 개재하여 희석 장치 본체(2)의 용매 도출구(14)와 접속되는 접속구(9)와, 접속구(9)로부터 유입한 용매를 방출하는 살수구(10)와, 이 살수구(10)에의 통수 및 지수를 전환하는 노즐 지수 밸브(11)를 가지는 살수 노즐(5)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희석 살수 장치(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dilution water spraying apparatus which can stably dilute medicines and is easy to handle when sprayed. A solvent outlet port 14 for introduc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let port 6 and a chemical inlet port 22 for introducing the medicine from the chemical container 3, And a drug diluent part (5) formed between the solvent inlet (6) and the solvent outlet (14) and joining the drug introduced from the drug inlet (22) to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let And a connection port 9 connected to the solvent outlet port 14 of the dilutation apparatus main body 2 via the hose 4 and a connection port 9 connected to the inlet port 9 through the connection port 9, And a water spray nozzle (5) having a spray port (10) for discharging a solvent and a nozzle index valve (11) for switching water flow and exponent to the water spray port (10) 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압(負壓)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서 액체 비료 등의 약제를 흡인하고, 급수 설비로부터 공급된 물에 희석하여 살수하는, 이른바 이젝터·제트 펌프(ejector jet pump) 구조를 가지는 약제 희석 살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alled drug dilution having an ejector jet pump structure in which a drug such as liquid fertilizer is sucked by generating a negative pressure, diluted with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equipment, Water spraying apparatus.
원예나 농업의 분야에 있어서는, 수도 등의 급수 설비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액체 비료, 농약 그 외의 약제를 희석하여 살포하는 것이 행해져 왔다. In the fields of gardening and agriculture, liquid fertilizer, pesticide and other medicines are diluted and sprayed to water supplied from water supply equipment such as water.
또한, 가정에서 자가용차 등의 세차를 할 때에는, 세차용의 세제를 물에 희석하여 살수하는 것이 행해져 왔다. Further, when cars are washed at home, it has been practiced to dilute the washing detergent with water to spray.
이와 같이 널리 물 이외의 약제를 물에 희석하여 살수하기 위해서, 종래로부터 약제 희석 살수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In order to widely dilute a drug other than water in water, a drug dilution sprinkler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특허 문헌 1의 약제 희석 살수 장치는, 호스 등을 통하여 급수 설비로부터 물을 도입하는 접속구와, 이 물을 방출하는 살수구를 가지고, 내부에 물이 이 물 도입구로부터 살수구로 통과하는 주 유로를 마련한 살수 노즐로서 형성되어 있다. The chemical dilution water spraying apparatus of
이 약제 희석 살수 장치는, 약제를 수용한 약제 용기를, 나사 결합에 의해서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이 약제 용기 내부는, 호스나 관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유로에 의해서 주 유로와의 합류 부분인 약제 희석부로 연통하고 있다. This drug dilution water spraying apparatus is detachably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edicine container containing the medicine by screwing. The inside of the medicine container is communicated with a medicine dilution part which is a merging part with the main flow path by a medicine flow path made of a hose or a tube.
약제 희석부에서는, 주 유로가 상류측에서 지름이 축소되고 있음과 함께 하류측에서 지름이 확대되고 있음에 의해, 통수(通水)시에 부압을 발생시키고, 약제 용기로부터 약제를 흡인하여 물에 희석할 수 있었다. In the medicament diluted part, since the diameter of the main flow path is reduced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iameter is enlarged on the downstream side,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at the time of water passage and the medicine is sucked from the medicine container It was possible to dilute.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약제 희석 살수 장치에서는, 약제 용기를 살수 노즐의 하부에 직접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살수 노즐이 무거워져서 한 손으로 취급하기 어렵게 되어 있었다. 또한, 약제 용기가 살수 노즐에 일체로 장착되어서 장치가 대형화하여 취급하기가 어렵고, 화분 식물과 같은 좁은 범위에 살수하기 어려웠다. However, in the chemical dilution spray apparatus of
또한, 살수 노즐에 형성한 암나사와 약제 용기에 형성한 수나사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 살수 노즐과 약제 용기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의 진동에 의해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고, 약제 용기가 이탈할 우려가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spray nozzle and the medicine container are fixed by screwing the female screw formed on the spray nozzle and the male screw formed on the medicine container, the thread engagement is loosened due to vibration during use, .
또한, 살수 노즐과 약제 용기와의 고정 부분인 나사 결합 부분에 항상 부하가 집중하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른 응력이나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서, 결합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Further, since the load is always concentrated on the threaded portion which is the fixed portion of the spray nozzle and the medicine container, there is a fear that the joint portion is broken by the stress or the momentary impact over time.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약제 용기를 사용자가 어깨에 걸어서 들고, 이 약제 용기로부터 살수 노즐의 기단(基端) 부분까지 개재하는 호스에 의해서 약제를 공급하고, 살수 노즐의 기단 부분에 마련한 약제 희석부에서 약제를 물에 희석하여 살수하는 약제 희석 살수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약제를 물로 희석하는 약제 희석부의 구조는, 특허 문헌 1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The structure of the drug diluting part for diluting the drug with water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약제 희석 살수 장치에서는, 급수 설비로부터 살수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호스와, 약제 용기로부터 살수 노즐에 약제를 공급하는 호스의 2 계통의 호스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시에 이것들이 얽히는 등 하여 사용자가 취급하는 것을 악화시키고 있었다. However, in the chemical dilution spray apparatus of
또한, 약제 용기를 살수 노즐과 접속시키는 호스가 사용중에 접히거나 꼬이거나 하면, 약제의 흡입량이 줄어 들고, 소정의 희석 농도를 달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딱딱한 호스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취급이 보다 더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Further, when the hose connecting the medicine container to the spray nozzle is folded or twisted during use, the suction amount of the medicine is reduced, and a predetermined dilution concentration can not be achieved. If a rigid hose is used to prevent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ndling of the user is further deteriorated.
약제 용기와 약제 희석부가 호스를 개재하여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약제를 끌어들이는데 필요한 부압이 커진다는 문제와, 살수 노즐에서 살수를 개시하고 나서 약제가 호스를 통하여 희석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Since the drug container and drug dilution part are located far away from each other through the ho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gative pressure necessary to draw the medicine becomes large, and that it takes time until the medicine is diluted through the hose after starting watering at the spray nozzle .
또한, 살수 노즐의 기단 부분에 약제 희석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살수 노즐이 대형화함과 함께 무거워져서, 취급하기 어려웠다. Further, since the medicament diluted portion is formed at the base end portion of the spray nozzle, the sprinkler nozzle becomes bulky and heavy, which makes handling difficult.
또한, 살수 노즐에 약제 희석부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쿨러 등, 살수 노즐 이외의 기기에서의 약제 희석 살포를 할 수 없었다. In addition, since the drug dilution part is embedded in the spray nozzle, drug dilution spraying can not be performed in a device other than the sprinkling nozzle such as a sprinkler.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약제를 안정적으로 희석할 수 있음과 함께, 살수시의 취급이 용이한 약제 희석 살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emical dilution water sprinkling apparatus which can stably dilute a medicament and is easy to handle at the time of sprinkl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수단은 이하와 같다.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제1의 발명에 대한 약제 희석 살수 장치는, 용매를 도입하는 용매 도입구와, 이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를 도출하는 용매 도출구와, 약제를 도입하는 약제 도입구와, 상기 용매 도입구 및 상기 용매 도출구의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에 상기 약제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약제를 합류시키는 약제 희석부를 가지는 희석 장치 본체를 마련함과 함께, 호스 등의 탄성관을 개재하여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상기 용매 도출구와 접속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로부터 유입한 용매를 방출하는 살수구를 가지는 살수 장치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ug dilution water spr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comprises a solvent inlet for introducing a solvent, a solvent outlet for extract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let, a drug inlet for introducing the drug, A diluting device body formed between the outlet port and the drug dilution section for joining the drug introduced from the drug inlet into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let port is provided and the dilution device main body is provided through the elastic tube such as a hose, A water spouting device having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solvent outlet port of the main body and a water spray port for discharging solvent introduced from the connection port is provided.
제2의 발명은, 상기 살수 장치는, 상기 살수구로의 통수 및 지수를 전환하는 노즐 지수 밸브를 가지는 살수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praying apparatus is a spray nozzle having a nozzle index valve for switching water flow into the water spray port and the index.
제3의 발명은,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약제 도입구 부근에, 상기 약제를 수용한 약제 용기를 연결하기 위한 용기 장착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약제 용기에 접촉하여 상기 약제 용기의 상기 용기 장착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마련하고, 상기 약제 용기를 상기 용기 장착부에 연결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tainer mounting portion for connecting a medicine container containing the medicin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medicine introduction port of the diluter main body and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for contacting the medicine container And the medicine container can be support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제4의 발명은, 상기 희석 장치 본체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약제를 수용한 약제 용기를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약제 도입구에 연결할 때에 상기 약제 용기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는 용기 진동 억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 container vibration suppressing portion which is fixed to the diluter body and contact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edicine container when the medicine container containing the medicine is connected to the medicine inlet of the diluter body .
제5의 발명은, 상기 희석 장치 본체를 상하 분할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부재로 형성함과 함께, 상기 약제 도입구를,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접지 부분에 대해서 상하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f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luter main body is formed by at least two members capable of vertically dividing and the medicine inlet is formed so as to be vertically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portion of the diluter main body do.
제1의 발명에 의하면, 용매를 도입하는 용매 도입구와, 이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를 도출하는 용매 도출구와, 약제를 도입하는 약제 도입구와, 상기 용매 도입구 및 상기 용매 도출구의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에 상기 약제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약제를 합류시키는 약제 희석부를 가지는 희석 장치 본체를 마련함과 함께, 호스 등의 탄성관을 개재하여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상기 용매 도출구와 접속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로부터 유입한 용매를 방출하는 살수구를 가지는 살수 장치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선단의 살수 장치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있어도, 희석 장치 본체에 연결되는 약제 용기 등이나 약제 희석부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약제의 흡입량이 변화하여 희석 배율에 편차를 발생시키지 않고, 약제를 안정적으로 희석하여 살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cess for producing a solvent, comprising: a solvent inlet for introducing a solvent; a solvent outlet for extract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let; a drug inlet for introducing the drug; A dilution device main body having a drug dilution part for merging the drug introduced from the drug introduction port into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troduction port is provided and the solvent is extracted from the dilution device main body through an elastic tube such as a ho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spray device having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sphere and a water spray port for discharg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connection port. Thus, even if there is vibration or impact in the tip sprayer, There is no influence on the dilution ratio, so that the intake amount of the drug is changed, The stable dilution can be sprayed.
제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살수 장치는, 상기 살수구에의 통수 및 지수를 전환하는 노즐 지수 밸브를 가지는 살수 노즐인 것에 의해, 사용자가 살수 노즐을 잡는 손으로 용이하게 통수 및 지수의 전환을 행할 수 있고, 약제 희석 살수 장치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pray apparatus is a water spray nozzle having a nozzle index valve for switching the water flow rate and the water flow into the water spray por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witch water flow and exponent And the operability of the chemical dilution spraying apparatus improves.
제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약제 도입구 부근에, 상기 약제를 수용한 약제 용기를 연결하기 위한 용기 장착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약제 용기에 접촉하여 상기 약제 용기의 상기 용기 장착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마련한 것에 의해, 상기 약제 용기를 상기 용기 장착부에 연결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mounting portion for connecting a medicine container containing the medicine in the vicinity of the medicine inlet of the diluter body, The medicine container can be supporte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제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희석 장치 본체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약제를 수용한 약제 용기를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약제 도입구에 연결할 때에 상기 약제 용기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는 용기 진동 억제부를 가지는 것에 의해, 희석 장치 본체에 진동이나 충격이 있어도, 보틀 홀더가 약제 용기의 진동을 제지하여, 약제 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dicine container containing the medicine is fixed to the diluter main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medicine inlet of the diluter main body, the container vibration suppressing portion contacting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edicine container Therefore, even if vibration or impact is applied to the dilutation apparatus main body, the bottle holder inhibits the vibration of the medicine container to prevent damage to the medicine container.
제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희석 장치 본체를 상하 분할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부재로부터 형성함과 함께, 상기 약제 도입구를,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접지 부분에 대해서 상하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형성한 것에 의해, 약제 도입구에 연결하는 약제 용기 등이 작은 경우에도, 상기 약제 도입구의 높이를 낮게 조정할 수 있고, 무게 중심을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희석 장치 본체의 안정성이 향상하여 전도(轉倒)되기 어려워진다.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luent device main body is formed of at least two members capable of vertically dividing and the drug inlet is vertically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portion of the diluter main body , The height of the medicine inlet can be adjusted to a low level and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made low even when the medicine container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medicine inlet is small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main body of the diluting device is improved and it is difficult to turn over Los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희석 살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약제 희석 살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의 (a)는 약제 희석 살수 장치의 희석 장치 본체의 사시도, (b)는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평면도, (b)는 그 좌측방도, (c)는 그 정면도, (d) 그 우측방도, (e)는 그 배면도, (f)는 저면도이다.
도 5의 (a)는 큰 약제 용기를 장착한 희석 장치 본체의 사시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배면도, (d)는 그 저면도이다.
도 6의 (a)는 큰 약제 용기를 장착한 희석 장치 본체의 가로 단면도, (b)는 (a) 중의 A부로 나타낸 용기 장착부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의 (a)는 이탈 방지부인 O링을 마련한 희석 장치 본체의 가로 단면도, (b)는 (a) 중의 B부로 나타낸 용기 장착부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의 (a)는 보틀 홀더를 이용하여 작은 약제 용기를 장착한 희석 장치 본체의 사시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배면도이다.
도 9의 (a)는 보틀 홀더의 사시도, (b)는 그 평면도, (c)는 그 측방도, (d)는 그 정면도, (e)는 그 저면도이다.
도 10의 (a)는 보틀 홀더를 이용하여 작은 약제 용기를 장착한 희석 장치 본체의 가로 단면도, (b)는 (a) 중의 약제 희석부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큰 약제 용기를 장착한 희석 장치 본체의 사시도, (b)는 그 평면도이다.
도 12의 (a)는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평면도, (b)는 그 좌측방도, (c)는 그 정면도, (d) 그 우측방도, (e)는 그 배면도, (f)는 저면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2의 (b) 중의 C-C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 (b)는 (a) 중의 D부로 나타낸 높이 조정 볼트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의 (a)는 작은 약제 용기를 장착한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사시도, (b)는 그 평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보틀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상방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 16의 (a) (b)는, 각각, 상기 보틀 홀더와 희석 장치 본체와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희석 장치 본체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손잡이와 살수 노즐과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제6 실시 형태의 다른예의 손잡이와 살수 노즐과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의 (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손잡이와 살수 노즐과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손잡이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emical dilution spr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op view of the drug dilution device.
Fig.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lution device main body of a drug dilution water spraying device, and Fig. 3 (b) is a sectional view of a handle of the dilution device main body.
Fig. 4 (a) is a plan view of the diluter main body, Fig. 4 (b) is a left side view thereof, .
Fig. 5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diluting device equipped with a large medicine container, Fig. 5 (b) is a front view thereof, Fig. 5 (c) is a rear view thereof and Fig.
Fig. 6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diluting device equipped with a large chemical container, and Fig. 6 (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indicated by A in Fig.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luting device body provided with an O-ring serving as a departure-preventing portion, and FIG. 7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indicated by B in FIG.
8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diluting device equipped with a small medicine container using a bottle holder, (b) is a front view, and (c) is a rear view thereof.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le holder, FIG. 9B is a plan view thereof, FIG. 9C is a side view thereof, FIG. 9D is a front view thereof, and FIG.
10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lution device main body in which a small medicine container is mounted using a bottle holder, and FIG. 10 (b)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medicine dilution part in (a).
11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luter main body equipped with a large medicin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nd Fig. 11 (b) is a plan view thereof.
Fig. 12 (a) is a plan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diluter, Fig. 12 (b) is a left side view thereof, (c) is a front view thereof, .
FIG. 13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C line in FIG. 12B, and FIG. 13B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height adjusting bolt indicated by D in FIG.
Fig. 14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luter main body with a small medicine container mounted thereon, and Fig. 14 (b) is a plan view thereof.
Fig. 15 is a view showing a bottle hold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and Fig. 15 (b) is a lower perspective view.
16 (a) and 16 (b) are views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bottle holder and the diluter body, respectively.
17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diluter main bod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FIG. 1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handle and a spray nozz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nother example of the sixth embodiment, to be.
Fig. 19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handle and a spray nozzl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b)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of the handle.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약제 희석 살수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rug dilution
이 약제 희석 살수 장치(1)는, 원예, 농업, 세차, 청소, 그 외의 약제를 희석하여 살포하는 여러가지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This drug dilution spraying apparatus (1)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gardening, agriculture, car washing, cleaning, and spraying other drugs diluted.
약제로서는, 원예용 또는 농업용의 액체 비료나 살충제, 제초제 그 외의 농약, 세차용 또는 청소용의 세제, 약품, 그 외 물 이외의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액체를 미리 물로 일정 농도까지 희석한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medicament include liquid fertilizers for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use, insecticides, herbicides, other pesticides, washing or cleaning detergents, medicines, and other liquids. These liquids may also be diluted with water to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약제를 희석하는 용매로서는, 상수도 등의 급수 설비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대표적이지만, 그 외의 용매를 이용해도 좋다. 이 용매는, 예를 들면, 약제 희석 살수 장치에서 희석하는 약제 이외의 물질을 미리 물에 녹인 혼합수라도 좋다. As a solvent for diluting the dru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equipment such as a water supply is representative, but other solvents may be used. The solvent may be, for example, a substance capable of dissolving a substance other than the drug diluted in the drug dilution water sprinkling apparatus in water.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약제 희석 살수 장치(1)는, 급수 설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도입한 물에 약제를 희석하는 희석 장치 본체(2)와, 약제를 수용함과 함께 희석 장치 본체(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약제 용기(3)와, 호스(4)를 개재하여 희석 장치 본체(2)에 접속되고, 약제를 희석한 물을 살포하는 살수 노즐(5)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is drug dilution
도 3,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희석 장치 본체(2)에는, 물을 도입하는 물 도입구(6)와, 이 물 도입구(6)로부터 도입한 물을 도출하는 물 도출구(7)와, 물 도입구(6)로부터 물 도출구(7)까지 물을 통과시키는 주 유로(8)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10 (a), the diluter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5)은, 호스(4)에 의해서 물 도출구(7)와 접속되는 접속구(9)와, 접속구(9)로부터 유입한 물을 방출하는 살수구(10)와, 접속구(9)로부터 살수구(10)까지 물을 통과시키는 노즐 유로와, 노즐 유로 내에 배치되어서 살수구(10)에의 통수(通水) 및 지수(止水)를 전환하는 노즐 지수 밸브(11)를 가지고 있다. 1 and 2, the
급수 설비는, 상수도의 수도꼭지로부터의 급수 외에, 우물이나 저수 탱크로부터의 급수 등이라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water supply equipment may be water supply from the well and the water storage tank in addition to the water supply from the faucet of the water supply,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도입구(6)로부터 희석 장치 본체(2)에 도입된 물은, 주 유로(8)를 통과하고, 도중에 마련된 약제 희석부(12)에서 약제가 희석된 후, 물 도출구(7)로부터 살수 노즐(5)로 송출되고, 살수 노즐(5)의 살수구(10)로부터 살포된다. 10,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diluter
<희석 장치 본체><Body of diluting device>
이하, 희석 장치 본체(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ilutation apparatus
도 3,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희석 장치 본체(2)는, 상부에 물을 통과시키는 주 유로(8)를 내장함과 함께, 하부에 약제 용기(3)를 수납하여, 소정의 배율로 약제를 물에 희석하여 살수 노즐(5)에 송출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10, the diluting device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희석 장치 본체(2)의 한 쪽의 측면의 상부에는, 호스(4) 등(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여 상류의 급수 설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물을 도입하는 물 도입구(6)를 형성한 호스 니플(1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a
희석 장치 본체(2)의 반대 측면의 상부에는, 물을 도출하는 물 도출구(7)를 형성한 호스 커넥터(14)가 형성되어 있다. A
물 도입구(6)와 물 도출구(7)는, 희석 장치 본체(2)의 내부를 도 4의 (c), 도 10의 (a)에서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관통하는 주 유로(8)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The
하측의 약제 용기 수납부는, 내부에 약제 용기(3)를 수납하는 공간(약제 용기 수납부)을 형성하고, 이 공간의 정면부를 약제 용기(3)의 출납용으로 절결(切缺)함과 함께 배면부의 상반부(upper half)에도 개구를 마련한 하우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The lower medicament container storage portion is formed with a space (medicament container storage portion) for housing the
약제 용기 수납부의 좌우의 측면부 및 배면부는, 수납되는 약제 용기(3)를 덮어서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the back surface portion of the medicine container housing portion have a function of covering the
약제 용기(3)는, 전체가 약제 용기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일부가 약제 용기 수납부로부터 노출 혹은 돌출하고 있어도 좋다. The
또한, 약제 용기 수납부의 하방에는, 약제 용기 수납부보다도 확장된 기초대(15)를 형성하여, 희석 장치 본체(2)의 전도(轉倒)를 방지하고 있다. In addition, below the medicament container storage portion, a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기초대(15)의 중심부는, 누수나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원형으로 절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a), the center of the
기초대(15)의 좌우폭은, 80 ~ 4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dth of the
80 mm 미만으로 하면, 주 유로(8)가 너무 짧아져서, 약제 희석부(12)를 마련하는 것이 어려워져 버린다. 10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it is less than 80 mm, the
또한, 400 mm보다 크게 하면, 희석 장치 본체(2)가 대형화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한 운반이나 취급이 하기 어려워져 버린다. 35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it is larger than 400 mm, the dilutation device
상기의 이유로부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초대(15)의 좌우폭을 180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oundation rests 15 are 180 mm.
또한, 기초대(15)의 깊이는, 60 ~ 4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pth of the
60 mm 미만으로 하면, 주 유로(8)가 너무 가늘어져서 약제 희석부(12)를 마련하는 것이 어려워짐과 함께, 작은 약제 용기(3) 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8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it is less than 60 mm, the
또한, 400 mm보다 크게 하면, 희석 장치 본체(2)가 대형화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한 운반이나 취급이 하기 어려워져 버린다. 30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it is larger than 400 mm, the dilutation device
상기의 이유로부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초대(15)의 좌우폭을 118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width of the
도 3,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희석 장치 본체(2)는, 약제 용기 수납부의 높이에서 상측 부재(16)와 하측 부재(17)로 2 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dilutation apparatus
상측 부재(16)와 하측 부재(17)는, 레버 고정구(18)에 의해서 일체로 고정되고, 레버 고정구(18)를 탈거하는 것으로 분해할 수 있다. 희석 장치 본체(2)에 약제 용기(3)를 장착할 때에는, 상측 부재(16)와 하측 부재(17)로 분해하고, 사이에 약제 용기(3)를 끼워넣은 다음, 레버 고정구(18)에 의해 희석 장치 본체(2)를 일체로 조립한다. The
희석 장치 본체(2)의 재료에는, 플라스틱, 금속, 글래스를 사용할 수 있다. As the material of the dilutation apparatus
이들 중에서는, 경량이고 운반에 적합하고, 녹(rust) 등의 열화가 적고, 파손되기 어렵고, 가공하기 쉽다는 이유로부터, 플라스틱, 혹은, 스테인레스, 황동, 아연,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나 생산 비용이 염가인 것으로부터, 특히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Of these, plastics or metals such as stainless steel, brass, zinc and aluminum are preferable because they are lightweight, suitable for transportation, less deteriorated in rust, less likely to be broken, and easy to be processed. In addition, plastic is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the raw material and production cost are inexpensive.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의 이유로부터 플라스틱을 이용했다. In the first embodiment, plastic is used for the above reasons.
또한, 약제로서 녹, 부식, 케미컬 스트레스 크랙 등을 일으키는 것이 예정되는 경우에는, 주 유로(8), 약제 유로(19)(도 10 참조), 그 외의 희석 장치 본체(2)의 부품에는 내약품성이 우수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it is intended to cause rust, corrosion, or chemical stress cracks as the medica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nents of the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희석 장치 본체(2)에 있어서, 약제 용기 수납부의 상방에는, 약제 용기(3)를 연결하기 위한 용기 장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6, a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용기 장착부(20)는, 약제 용기(3)의 선단의 입구에 대해서 내접(內接)하고, 마찰력에 의해서 유지할 수 있는 지름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b), the
또한,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용기(3)의 이탈 방지부로서, 용기 장착부(20)의 외주면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링 형상의 O링(21)을 둘레를 따라 설치해도 좋다. 7 (b), even if a ring-shaped O-
용기 장착부(20)에 약제 용기(3)의 선단이 삽입되면, 이 O링(21)이 탄성 변형하면서 약제 용기(3)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O링(21)의 탄성력과 마찰력으로 약제 용기(3)를 유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distal end of the
이탈 방지부로서의 O링(21)을 마련한 것에 의해, 용기 장착부(20)의 외주면 또는 약제 용기(3)의 내주면의 치수 정밀도가 그렇게 높지 않아도, 약제 용기(3)를 용기 장착부(20)에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The O-
O링(21)의 직경(외경)은 5 ~ 8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ameter (outer diameter) of the O-
직경을 5 mm 미만으로 설정하면, 후술하는 약제 도입구(22)나 스트로우(straw)관(23)의 입구 지름을 작게 설정해야 하게 되고, 약제를 충분히 흡인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When the diameter is set to less than 5 mm, the inlet diameter of the
또한, 직경을 80 mm보다 크게 설정하면, 약제 용기(3)의 입구나 희석 장치 본체(2)가 대형화하게 되고, 약제 용기(3)의 탈착이나 취급이 어려워져 버린다. If the diameter is set to be larger than 80 mm, the inlet of the
직경을 10 ~ 50 mm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직경을 17 ~ 22 mm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의 이유로부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직경 19 mm의 O링(21)을 사용했다. The diameter is more preferably 10 to 50 mm, and the diameter is more preferably 17 to 22 mm. For the above reasons, in the first embodiment, an O-
O링(21)의 재료에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As the material of the O-
희석 장치 본체(2)에 장착되는 약제 용기(3)는, 용량이나 형상이 다른 복수 종류의 규격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것들에 맞춰서 O링(21)도 복수의 규격을 준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범용성이 높고 복수의 규격이 시판되고 있는 고무제의 O링(21)을 사용했다. Since it is preferable to prepare plural kinds of standards different in capacity and shape from each other in the
이러한 O링(21)을 마련하는 것 외에, 약제 용기(3)의 이탈 방지부로서 용기 장착부(20)의 외주면과 약제 용기(3)의 내주면의 한 쪽에 오목홈(凹溝)을 둘레를 따라 형성하고, 다른 쪽에 볼록띠(凸條)를 둘레를 따라 형성하고, 이 오목홈과 볼록띠가 끼워 맞춰지는 것에 의해 약제 용기(3)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In addition to providing such an O-
이 때, 용기 장착부(20)와 약제 용기(3)와의 적어도 한 쪽을 탄성 재료로 형성하면, 탄성 변형에 의해서 오목홈과 볼록띠와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at least one of the
또한, 제1 실시 형태와는 반대로, 용기 장착부(20)가 약제 용기(3)의 입구에 대해서 외접(外接)하여 유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In addition, contrar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무엇보다, 용기 장착부(20)가 약제 용기(3)에 외접하는 구성으로 하면, 약제 용기(3)의 입구의 외주면에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부를 둘레를 따라 형성하는 것이 되어, 용기 장착부(20)와 약제 용기(3)와의 장착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용기 장착부(20)가 약제 용기(3)에 외접하는 구성으로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If the
도 6의 (b),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장착부(20)의 중심에는, 약제를 희석 장치 본체(2)의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약제 도입구(22)가 마련되어 있다. 6 (b) and 7 (b), a
이 약제 도입구(22)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트로우관(23)이 장착되어서, 약제 용기(3)의 내부로부터 약제를 도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스트로우관(23)은, 길이가 다른 스트로우관(23)을 복수개 준비하고, 약제 용기(3)의 깊이에 대응하여 교체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탄성이 있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하여 한 개로 다수의 약제 용기(3)에 적용 가능하게 해도 좋다. The
스트로우관(23)의 하단에는, 미세한 티끌을 제거하기 위해서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strainer)(28)를 장착하고 있다. 이 스트레이너(28)는 필요가 없으면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At the lower end of the
이 스트레이너(28)에, 피리와 같은 구조를 부가하여, 공기를 흡입했을 때에 진동하여 소리를 내는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게 한 경우에는, 약제 용기(3)의 약제가 소진됐을 때에 스트레이너(28)에 공기가 흡입되어서 소리가 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약제의 유무를 알릴 수 있다. A structure such as a flute may be added to the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용기 장착부(20)의 주위에는, 약제 용기(3)의 외주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용기 진동 억제부로서의 진동 억제 커버(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진동 억제 커버(24)는, 약제 용기(3)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약제 용기(3)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제지한다. 6, a vibration suppression cover 24 as a container vibration suppressing section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약제 도입구(22)로부터는, 도 7의 (b)에는 표시되지 않은 경로에 의해서 상방의 주 유로(8)에 연통하는 약제 유로(19)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A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유로(19)의 상단은, 지름이 축소하면서 주 유로(8)에 합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0 (b), the upper end of the
주 유로(8)의 경로 중에는 소경(小徑)의 부분이 마련됨과 함께, 그 하류측에 대경의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대경(大徑)의 부분에서 약제 유로(19)가 주 유로(8)에 합류하고 있다. A large diameter portion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주 유로(8)와 약제 유로(19)와의 합류 부분인 약제 희석부(12)에서는, 주 유로(8)의 소경의 부분에서 유속이 증대된 물이 대경의 부분을 통과할 때에 부압을 발생시키고, 이 부압에 의해서 약제 유로(19)로부터 약제를 흡인하여 물에 희석할 수 있다. The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희석 장치 본체(2)의 상부에는, 운반용의 손잡이(25)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a), a
이 손잡이(25)를 포함한 희석 장치 본체(2)의 높이는, 100 ~ 7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ight of the dilutation apparatus
100 mm 미만으로 하면, 주 유로(8)가 너무 가늘어져서 약제 희석부(12)를 마련하는 것이 어려워짐과 함께, 작은 약제 용기(3) 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15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the length is less than 100 mm, the
또한, 700 mm보다 크게 하면, 희석 장치 본체(2)가 대형화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한 운반이나 취급이 어려워져 버린다. 55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0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larger than 700 mm, the dilutation device
상기의 이유로부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365.5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set to 365.5 mm.
희석 장치 본체(2)의 손잡이(25)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는, 60 ~ 6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ight of the portion of the dilutation apparatus
60 mm 미만으로 하면, 주 유로(8)가 너무 가늘어져서 약제 희석부(12)를 마련하는 것이 어려워짐과 함께, 작은 약제 용기(3) 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10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it is less than 60 mm, the
또한, 600 mm보다 크게 하면, 희석 장치 본체(2)가 대형화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한 운반이나 취급이 어려워져 버린다. 50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it is larger than 600 mm, the dilutation apparatus
상기의 이유로부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315.5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it was set to 315.5 mm.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25)는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이 오목 부분에 살수 노즐(5)을 끼워넣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살수 노즐(5)을 손잡이(25)에 고정하고, 약제 희석 살수 장치(1) 전체를 잡고, 물뿌리개와 같이 희석한 약제를 살포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b), the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손잡이(25) 중, 희석 장치 본체(2)에 접합되어 있는 밑단 부근에서는, U자 형상 부분에 보강용의 리브(25a)를 마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a), a reinforcing
손잡이(25)의 폭(W1)은, 15 ~ 1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dth W1 of the
15 mm 미만으로 하면, 손잡이(25)가 너무 가늘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어려워짐과 함께, 희석 장치 본체(2)를 지지하지 못하고 파손될 우려가 있다. 18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the length is less than 15 mm, the
100 mm보다 크게 하면, 손잡이(25)가 너무 굵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어려워진다. 8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it is larger than 100 mm, the
상기의 이유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의 폭(W1)을 26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width W1 of the handle is set to 26 mm.
손잡이(25) 단면의 높이(H1)는, 10 ~ 8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ight H1 of the cross section of the
10 mm 미만으로 하면, 손잡이(25)가 너무 가늘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어려워짐과 함께, 희석 장치 본체(2)를 지지하지 못하고 파손될 우려가 있다. 12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the length is less than 10 mm, the
80 mm보다 크게 하면, 손잡이(25)가 너무 굵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어려워진다. 6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it is larger than 80 mm, the
상기의 이유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25) 단면의 높이(H1)를 20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height H1 of the end face of the
손잡이(25)의 두께는, 0.6 ~ 3.5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0.6 mm 미만으로 하면, 성형시의 충전 불량을 일으키기 쉬워져서 제품 정밀도가 저하한다. 또한, 손잡이(35)의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보강용의 리브(25a)가 다수 필요해져서 형상이 복잡화되고, 외관이 악화됨과 함께 금형 비용이 증가해 버린다. 1.5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0.6 mm, charging failure at the time of molding tends to occur, resulting in lower product precision. Further, since the strength of the
또한, 3.5 mm보다 두껍게 하면, 재료 비용이나 성형 시간이 증대됨과 함께, 싱크 마크(sink mark) 등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3.2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the thickness is more than 3.5 mm, material cost and molding time are increased, and defective molding such as a sink mark is likely to occur. More preferably 3.2 mm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0 mm or less.
상기의 이유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35)의 두께를 2.5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손잡이(25)에 형성되는 오목 부분의 폭(W2)은, 12 ~ 9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dth W2 of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12 mm 미만으로 하면, 상기 두께의 관계로부터 필연적으로 손잡이(25) 전체의 폭(W1)도 가늘어지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어려워짐과 함께, 희석 장치 본체(2)를 지지하지 못하고 파손될 우려가 있다.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12 mm, the width W1 of the
90 mm보다 크게 하면, 필연적으로 손잡이(25) 전체의 폭(W1)도 굵어지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어려워진다. 55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it is larger than 90 mm, the width W1 of the
상기의 이유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 부분의 폭(W2)을 21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width W2 of the concave portion is set to 21 mm.
손잡이(25)에 형성되는 오목 부분의 깊이(D2)는, 7 ~ 75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pth D2 of the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7 mm 미만으로 하면, 상기 두께의 관계로부터 필연적으로 손잡이(25) 단면의 높이(H1)도 작아지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어려워짐과 함께, 희석 장치 본체(2)를 지지하지 못하고 파손될 우려가 있다. 1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7 mm, the height H1 of the cross section of the
75 mm보다 크게 하면, 필연적으로 손잡이(25) 단면의 높이(H1)도 커지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어려워진다. 55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75 mm, the height H1 of the end face of the
상기의 이유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 부분을 17.5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cave portion is set to 17.5 mm.
손잡이(25)에는, 반드시 오목 부분을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도 8(a), 도 11의 (a) 참조). The
손잡이(25)를 수지 성형에 의해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오목 부분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재료가 되는 수지의 사용량을 저감하고, 성형 시간을 단축화 하고, 싱크 마크 등의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또한, 도 3의 (a),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희석 장치 본체(2)의 상면으로부터는, 유로 전환 밸브의 조작용 스위치(26)가 돌출하고 있다. 3 (a) and Fig. 10 (a), the
이 유로 전환 밸브에서는, 조작용 스위치(26)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밸브체(27)(도 10의 (a) 참조)를 움직여서, 약제 희석부(12)를 통과하는 주 유로(8)와, 이 주 유로(8)로부터 분기하여 약제 희석부(12)를 통과하지 않고 물 도입구(6)와 물 도출구(7)를 접속하는 원수(原水) 유로(도시하지 않음)의 어느 한 쪽만을 개방하게 되어 있다. In this flow path switching valve, by operating the
약제를 포함하지 않는 물을 뿌리는 경우에는, 이 유로 전환 밸브를 조작하여 원수 유로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급수 설비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그대로 살수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spraying water not containing a medicament, by opening the raw water flow path by operating the switching valv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equipment can be sprinkled.
<호스 등의 탄성관><Elastic tube such as hose>
급수 설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물 도입구(6)까지의 호스(도시하지 않음) 및 물 도출구(7)로부터 살수 노즐(5)까지의 호스(4)에는, 고무제의 단층(單層) 호스 외에, 2층 호스, 망 부가 내압 호스, 코일 부가 내압 호스, 플렉시블 호스 등, 일체의 호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급수 설비로부터 물 도입구(6)까지의 호스와, 물 도출구(7)로부터 살수 노즐(5)까지의 호스(4)는, 동종의 호스를 사용해도 좋고,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호스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호스 이외의 탄성관을 이용해도 좋고, 예를 들어 벨로우즈관 등이라도 좋다. 이러한 탄성관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살수 노즐(5)을 자유롭게 취급하여 살수를 행할 수 있다. A hose (not shown) from a water supply equipment (not shown) to the
급수 설비로부터 물 도입구(6)에 급수하는 호스는, 상술한 것과 같은 탄성관 외에, 경성관(硬性管) 등으로 대용(代用)해도 좋다. 살수 노즐(5) 대신에 처리할 필요가 없는 스프링쿨러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물 도출구(7)로부터 살수 노즐(5)까지의 호스(4)도 경성관 등으로 대용해도 좋다. 또한, 경성관을 2 이상의 분할 부재를 조합하여 형성함과 함께, 그 1 이상의 분할 위치를 굴곡 가능하게 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The hose for supplying water to the
또한, 물 도출구(7)와 살수 노즐(5)를 직결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살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호스 등의 탄성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후술하는 살수 노즐(5)의 노즐 지수 밸브(11)의 개폐에 의해서 수격(水擊) 작용(워터 해머)이 발생하기 때문에, 물 도출구(7)로부터 살수 노즐(5)까지의 호스(4)는, 내압성이 우수한 망 부가 호스 등의 보강재 부가 호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살수시의 중간 접힘이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힘 방지나 꼬임 방지의 효과도 가지는 보강재를 이용한 호스가 바람직하다. 내권 보강사(內捲補强絲)와 외권 보강사(外捲補强絲)의 삽입 개수(打入數)가 달라서 꼬이기 어려운 구조의 호스, 접히기 어렵고 꼬이기 어려운 코일 부가 내압 호스, 플렉시블 호스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Water hammer) occurs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또한, 약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내약품성(내식성)이 우수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one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medicine.
또한, 유색의 약제를 이용하는 경우에, 투명한 호스를 이용하면, 약제를 희석한 물의 색에 따라서, 약제가 확실히 희석되어 있는 것을 눈으로 보거나, 장시간 사용시에 희석 배율에 편차가 발생되지 않는지를 감시하거나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 colored drug, when a transparent hose is used, it is possible to visually observe that the drug is definitely dilut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water diluted with the drug, to monitor whether there is no variation in dilution magnification during long- can do.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내압성, 접힘 방지 기능, 취급의 쉬움, 및 비용의 절감에 우수한, 내권 보강사와 외권 보강사의 삽입 개수가 달라서 꼬이기 어려운 구조의 호스를 사용했다. In the first embodiment, a hos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number of insertion of the inner jacket reinforcing yarn and the number of the inner jacket reinforcing yarns differed from each other, which is excellent in the pressure resistance, the folding prevention function, the ease of handling, and the cost reduction, was used.
물 도출구(7)로부터 살수 노즐(5)까지의 호스(4)의 내경은, 5 ~ 2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호스(4)의 내경을 5 mm 미만으로 하면, 살수시의 압력 손실이 커지고, 약제의 희석 배율의 편차가 커진다. 7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또한, 호스(4)의 내경을 20 mm보다 크게 하면, 살수 노즐(5)을 취급할 때에 호스(4)가 방해가 되고, 조작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18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Further, if the inner diameter of the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내경 12 mm의 호스(4)를 이용했다. In the first embodiment, a
물 도출구(7)로부터 살수 노즐(5)까지의 호스(4)의 길이는, 300 ~ 30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300 mm 미만으로 하면, 호스(4)가 너무 짧아서 살수 노즐(5)의 취급이 제한되어 버린다. 50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it is less than 300 mm, the
또한, 3000 mm보다 크게 하면, 호스(4)에 느슨해짐이 발생됨과 함께, 살수 노즐(5)을 취급할 때에 호스(4)가 방해가 되어 버린다. 250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it is larger than 3000 mm, the
상기의 이유로부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길이 1200 mm의 호스(4)를 사용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a
<약제 용기><Pharmaceutical container>
도 6의 (a),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용기(3)는, 선단의 입구의 부분을 작은 지름으로 형성한 보틀 형상 용기이며, 내부에 약제를 수용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6 (a) and 10 (a), the
약제 용기(3)는, 수용하는 약제의 성질, 희석 배율, 살수의 빈도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용적이 다르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것을 복수 개 준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꾸어 말하면 용적 및/또는 크기가 다른 보틀을 사용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of the
약제 용기(3)의 입구의 부분의 내경은, 5 ~ 1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portion of the inlet of the
내경을 5 mm 미만으로 하면, 약제 도입구(22)나 스트로우관(23)의 입구 지름을 작게 설정해야 하게 되고, 약제를 충분히 흡인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1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7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When the inner diameter is less than 5 mm, the inlet diameter of the
또한, 내경을 100 mm보다 크게 하면, 입구의 부분이 대형화하여, 약제가 들어간 약제 용기(3)를 별도 판매로 하는 경우에, 약제 용기(3)의 입구를 밀봉하는 캡을 탈거하기 힘들어져 버린다. 5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the inner diameter is larger than 100 mm, it becomes difficult to remove the cap for sealing the inlet of the
상기의 이유로부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의 내경을 18 ~ 19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is set at 18 to 19 mm.
약제 용기(3)의 약제를 수용하는 부분의 최대 직경(외경)은, 20 ~ 3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diameter (outer diameter) of the portion of the
최대 직경을 20 mm 미만으로 하면, 내용량이 저하하여 소모가 빠르고, 약제 용기(3)의 보충 또는 교체가 번거로워져 버린다. 3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If the maximum diameter is less than 20 mm, the amount of content is reduced and the consumption is fast, so that replenishment or replacement of the
또한, 최대 직경을 300 mm보다 크게 하면, 약제 용기(3)가 대형화하여 무거워지고, 사용자의 손에 의한 운반이나 탈착 작업을 하기 어려워져 버린다. 15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If the maximum diameter is larger than 300 mm, the
상기의 이유로부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약제 용기(3)의 최대 직경을 55 ~ 80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maximum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약제 용기(3)의 높이는, 30 ~ 50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ight of the
높이를 30 mm 미만으로 하면, 내용량이 저하하여 소모가 빠르고, 약제 용기(3)의 보충 또는 교체가 번거로워져 버린다. 4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When the height is less than 30 mm, the amount of the contents is reduced and the consumption is fast, and the replenishment or replacement of the
또한, 높이를 500 mm보다 크게 하면, 약제 용기(3)가 대형화하여 무거워지고, 사용자의 손에 의한 운반이나 탈착 작업을 하기 어려워져 버린다. 40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m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If the height is larger than 500 mm, the
상기의 이유로부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약제 용기(3)의 높이를 138 ~ 260 mm로 했다. For the above reason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또한, 약제 용기(3)의 수평 단면(斷面)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 다각형, 그 외 직선 및/또는 곡선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임의의 형상을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의 직경은, 외주 상에서 서로 가장 먼 위치에 있는 2점 사이의 거리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약제 용기(3)의 재료에는, 플라스틱, 금속, 글래스를 사용할 수 있다. As the material of the
이들 중에서는, 경량이며 운반에 적합하고, 녹 등의 열화가 적고, 파괴되기 어렵고, 가공하기 쉽다는 이유로부터, 플라스틱, 혹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나 생산 비용이 염가인 것으로부터, 특히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Of these, plastics, metals such as stainless steel and aluminum are preferable because they are lightweight, suitable for transportation, have little deterioration of rust and are hardly broken, and are easy to process. In addition, plastic is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the raw material and production cost are inexpensive.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의 이유로부터 플라스틱을 이용했다. In the first embodiment, plastic is used for the above reasons.
<살수 노즐><Watering nozzle>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스(4) 등의 탄성관을 개재하여 희석 장치 본체(2)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살수 노즐(5)은, 호스(4)에 접속되는 접속구(9)를 형성한 호스 커넥터(29)를 기단(基端)에 형성하고, 물을 방출하는 살수구(10)를 선단(先端)에 형성함과 함께, 접속구(9)와 살수구(10)를 접속하는 노즐 유로를 내부에 마련하고 있다. 1 and 2, a
살수 노즐(5)은, 전체적으로 대략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살수구(10)로부터 방출되는 물의 형상은, 샤워 형상, 스트레이트 형상, 부채꼴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이 되도록 해도 좋다. The shape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물의 형상을 샤워 형상으로 하면 광범위하게 살수하는 용도에 적합하고,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하면 화분 식물의 뿌리 부분 등 좁은 범위에 집중하여 살수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When the shape of the water is a shower, it is suitable for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and if it is a straight shape, it is suitable for applications where it concentrates in a narrow range such as a root portion of a flowerpot plant.
또한, 복수 종류의 살수구(10)를 마련하여, 물의 형상을 변환 가능하게 해도 좋다. Further, a plurality of kinds of water spouts (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hape of the water can be changed.
살수 노즐(5)의 기단 측에는 사용자가 파지(把持) 가능한 파지부(30)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살수시에 자유롭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파지부(30)에는, 요철을 연속시킨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base end side of the
살수 노즐(5)의 대략 중앙에는, 살수구(10)로의 통수와 지수를 전환하는 노즐 지수 밸브(11)가 배치되어 있다. At a substantially center of the
이 노즐 지수 밸브(11)는, 노즐 유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재로서, 노즐 유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The
노즐 지수 밸브(11)의 내부에는, 노즐 유로에 평행한 밸브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Inside the
노즐 지수 밸브의 일단(一端)에 형성된 버튼(11a)을 밀어넣어서, 밸브 구멍을 노즐 유로에 합치시키면, 공급되는 물이 살수구로부터 방출되는 통수(通水) 상태가 된다. 이 통수 상태로부터 노즐 지수 밸브(11)의 반대단(反對端)에 형성된 버튼(11b)을 밀어넣어서, 밸브 구멍을 노즐 유로로부터 틀어지게 하면, 노즐 유로가 노즐 지수 밸브(11)에 의해서 폐쇄되는 지수(止水) 상태가 된다. When the
살수 노즐(5)의 그 외의 형태로서, 스프링쿨러 등의 관수용(灌水用) 살수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As another form of the
<보틀 홀더><Bottle holder>
도 5, 도 6, 도 7과 같이, 약제 용기(3)를 희석 장치 본체(2)에 장착했을 때에, 약제 용기(3)의 저면부(底面部)의 높이가 희석 장치 본체(2)의 저면부의 높이와 대략 동일해지는 경우에는, 용기 장착부(20) 및 O링(21)으로 약제 용기(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그러나, 약제 용기(3)가 작고, 약제 용기(3)의 저면부가 희석 장치 본체(2)의 저면부보다 상당히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약제 용기(3)가 하방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약제 용기(3)의 하면에 접촉하여 약제 용기(3)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부재인 약제 용기 하면 유지 부재(이탈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다른 높이의 약제 용기(3)를 유지 가능하게 하도록, 이 약제 용기 하면 유지 부재는 높이 변경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However, when the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8, 도 10과 같이, 약제 용기(3)의 저면부 및 측면부의 적어도 한 쪽에 접촉하여 유지하는 보틀 홀더(31)를 사용하고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8 and 10, a
이 보틀 홀더(3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 용기(3)에 외접하는 유지부(31a)와, 유지부(31a)로부터 양 측방에 연장 설치되어서 희석 장치 본체(2) 안에 끼워지는 내감부(31b, 31b)를 가진다. 9, the
유지부(31a)는, 약제 용기(3)의 저면부 및 측면부에 접촉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누수나 먼지의 쌓임 방지 및 재료 코스트의 절감을 위해서 중심부가 원형으로 절결되어 있다. 원통 부분의 내경은, 약제 용기(3)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The holding
유지부(31a)의 형상은 반드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지만, 약제 용기(3)의 저면부와 측면부와의 적어도 한 쪽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는 내면 형상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The shape of the holding
또한, 도 9의 (a) (e)와 같이, 유지부(31a)의 뒤 측에는, 유지부(31a)와 바닥면을 공통으로 하여 반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대경의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대경 유지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9 (a) and 9 (e), on the rear side of the holding
내감부(31b, 31b)는, 유지부(31a)의 양 측방에 돌출 형성되고, 각각 원호 형상의 측단면을 가지고 있다. The
한편, 도 1,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희석 장치 본체(2)의 약제 용기 수납부의 좌우의 측면부에는, 높이 중앙의 위치에 내감부(31b)의 형상에 맞춘 홀더용 홈(32a)이 새겨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희석 장치 본체(2)의 기초대(15)에는, 정면부 및 배면부의 상부에 내감부의 형상에 맞춘 홀더용 홈(32b)이 새겨져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 and 3A, on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medicine container housing portion of the diluter
보틀 홀더(31)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희석 장치 본체(2)에서는, 큰 약제 용기(3)를 이용할 때에는 보틀 홀더를 사용하지 않고(도 5의 (a)), 중간 정도의 크기의 약제 용기(3)를 이용할 때에는 보틀 홀더(31)를 기초대(15)에 마련한 홀더용 홈(32b)의 안에 끼우고, 작은 약제 용기(3)를 이용할 때에는 보틀 홀더(31)를 약제 용기 수납부에 마련한 홀더용 홈(32a) 안에 끼우는(도 8(a)) 것으로, 대 중 소의 3종류의 약제 용기(3)의 저면부 및 측면부를 지지하여, 진동을 제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약제 용기(3)의 입구나 용기 장착부(20)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약제 용기를 희석 장치 본체(2)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5 (a)) without using a bottle holder in the case of using the
또한, 유지부(31a)보다도 대경의 약제 용기(3)를 희석 장치 본체(2)에 장착 할 때에는, 보틀 홀더(31)의 상하를 뒤집어서, 대경 유지부(31c)를 상향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대경 유지부(31c)에 의해서 약제 용기(3)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The
보틀 홀더(31)는, 약제 용기(3)의 희석 장치 본체(2)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로서의 역할과, 약제 용기(3)의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용기 진동 억제부로서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The
보틀 홀더(31)의 재료에는, 플라스틱, 금속, 글래스를 사용할 수 있다. As the material of the
이들 중에서는, 경량이며 운반에 적합하고, 녹 등의 열화가 적고, 파괴되기 어렵고, 가공하기 쉽다는 이유로부터, 플라스틱, 혹은, 스테인레스, 황동, 아연,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나 생산 비용이 염가인 것으로부터, 특히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Of these, plastics or metals such as stainless steel, brass, zinc, and aluminum are preferable because they are lightweight, suitable for transportation, less deteriorated in rust, less likely to be broken, and easy to be processed. In addition, plastic is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the raw material and production cost are inexpensive.
또한, 플라스틱 중 에서도, 사출 성형 할 수 있고,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하드 세그먼트(segment)와 소프트 세그먼트(segment)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중 에서는,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 수지 및 PP(폴리프로필렌)를 이용하면 외관이 좋아지고, PP를 이용하면 특히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thermoplastic resin (includ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ed of a hard segment and a soft segment) that can be injection-molded and produced at low cost even in plastic. In addition, the use of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resin and PP (polypropylene) improves the appearan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and PP can be produced particularly at low cost.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의 이유로부터 플라스틱, 특히 PP를 이용했다. In the first embodiment, plastic, especially PP, was used for the above reasons.
또한, 내감부(31b)를 이용한 보틀 홀더(31)의 장착 구조를 마련하는 대신에, 희석 장치 본체(2)의 약제 용기 수납부의 내면에 암나사를 새겨 형성하고, 내감부(31b)의 측단면에는 수나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보틀 홀더(31)를 암나사의 홈을 따라서 회전시켜서,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희석 장치 본체(2)에 나사 결합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Instead of provid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제1 실시 형태의 약제 희석 살수 장치(1)에서는, 사용자가 희석 장치 본체(2)를 근처에 두고 살수 노즐(5)을 잡고 돌려 살수하거나, 한 손으로 희석 장치 본체(2)를 잡음과 함께 다른 쪽의 손으로 살수 노즐(5)을 잡고 돌려 살수하거나 하여, 용이하게 약제를 희석한 물을 살포할 수 있다. In the chemical dilution
또한, 약제 용기(3)를 수납한 희석 장치 본체(2)와 살수 노즐(5)을, 호스(4) 등의 탄성관으로 접속하는 구조로 한 것에 의해, 살수 노즐(5)이 소형화, 경량화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고 사용할 수 있다. The dilution device
또한, 약제 용기(3)를 희석 장치 본체(2)에 수납한 것에 의해, 살수 노즐(5)의 방향의 변경에 수반하여 약제 용기(3)의 액면이 변동되고, 약제 희석부(12)로의 약제의 흡입량이 변화되어, 희석 배율에 편차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약제를 안정적으로 희석하여 살포할 수 있다. The
또한, 약제 용기(3)를 희석 장치 본체(2)에 수납한 것에 의해, 살수 노즐(5)을 휘둘러도 약제 용기(3)와 희석 장치 본체(2)와의 연결 부분에 부하가 걸려서 파손을 일으키는 것이 없다. The
또한, 약제 용기(3)와 희석 장치 본체(2)의 용기 장착부(20)는, 나사 결합이 아니라,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이탈 방지부로서의 O링(21)에 의해서 연결되기 때문에, 희석 장치 본체(2)에 진동이나 충격이 있어도, O링(21)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고, 용기 장착부(20) 및 약제 용기(3)의 입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또한, 약제 용기(3)의 측면부 및 저면부의 적어도 한 쪽에 접촉하여 유지하는 용기 진동 억제부로서 보틀 홀더(31), 진동 억제 커버(24)를 마련한 것에 의해, 희석 장치 본체(2)에 진동이나 충격이 있어도, 보틀 홀더(31)가 약제 용기(3)의 진동을 제지하여, 약제 용기(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제2 실시 형태>≪ Second Embodiment >
도 11,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약제 희석 살수 장치(1)는, 희석 장치 본체(2)가 상하 2 분할 가능하게 형성됨과 함께, 용기 장착부(20) 및 약제 도입구(22)가 희석 장치 본체(2)의 접지 부분에 대해서 상하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s. 11 and 14, in the drug dilution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희석 장치 본체(2)는, 상측 부재(16)와 하측 부재(17)를 조합해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1, the diluter
상측 부재(16)는, 손잡이(25)와, 주 유로(8)와, 약제 용기 수납부의 상부를 포함하고 있다. The
하측 부재(17)는, 약제 용기 수납부의 하부와, 기초대(15)를 포함하고 있다. The
하측 부재(17)는 상측 부재(16)보다도 수평 방향으로 한층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희석 장치 본체(2)를 조립하면 상측 부재(16)가 하측 부재(17)에 내접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The
하측 부재(17)의 좌우의 양 측면에는, 높이 조정 볼트(33)를 관통시키기 위한 볼트 구멍(34)(도 13의 (b) 참조)을 마련하고 있다. 상측 부재(16)의 좌우의 양 측면에는, 높이 조정 볼트(33)를 관통시켜서 슬라이드시키는 세로로 긴 볼트 슬릿(35)이 형성되어 있다. Bolt holes 34 (see FIG. 13 (b)) for passing the
볼트 구멍(34)과 볼트 슬릿(35)을 겹쳐 높이 조정 볼트(33)를 삽입 통과시키고, 약제 용기 수납부의 내부로부터 너트(36)(도 13의 (b) 참조)를 부착하여, 높이 조정 볼트(33)와 너트(36)를 조이는 것에 의해, 희석 장치 본체(2)를 조립할 수 있다. The
이 상태로부터, 너트(36)를 풀고, 높이 조정 볼트(33)를 볼트 슬릿(35)내에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상측 부재(16)가 하측 부재(17)에 대해서 상하로 움직이고, 접지 부분에 대한 용기 장착부(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임의의 높이에서 다시 높이 조정 볼트(33)와 너트(36)를 조이는 것에 의해, 용기 장착부(20) 및 약제 도입구(22)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The
제2 실시 형태의 약제 희석 살수 장치(1)에서는, 큰 약제 용기(3)를 이용할 때에는 용기 장착부(20) 및 약제 도입구(22)를 높은 위치에서 고정하여 사용하고(도 11, 도 12 참조), 작은 약제 용기(3)를 이용할 때에는 용기 장착부(20) 및 약제 도입구(22)를 낮은 위치에서 고정하여 사용한다(도 14 참조). 이것에 의해, 도 14와 같이, 작은 약제 용기(3)를 이용할 때도 무게 중심을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희석 장치 본체(2)의 안정성이 향상하여 전도되기 어려워진다. In the drug dilution
<제3 실시 형태>≪ Third Embodiment >
제3 실시 형태는, 도 8, 도 9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의 보틀 홀더(31)와 희석 장치 본체(2)의 홀더용 홈(32a, 32b)의 형상을 변경하고 있다. The third embodiment changes the shapes of the
제3 실시 형태의 보틀 홀더(31)에서는, 내감부(31b, 31b)의 상부의 형상과 하부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한다. In the
또한, 홀더용 홈(32a)의 형상과 홀더용 홈(32b)의 형상도 서로 다르게 한다. The shape of the
이것에 의해, 보틀 홀더(31)는, 유지부(31a)를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는 홀더용 홈(32a) 안에 끼울 수밖에 없고, 소경이며 세로로 짧은 약제 용기(3)를 유지한다. 또한, 대경 유지부(31c)를 위로 향한 상태에서는 홀더용 홈(32b) 안에 끼울 수밖에 없고, 대경이며 세로로 긴 약제 용기(3)를 유지한다. Thereby, the
이 때문에, 대경이며 세로로 긴 약제 용기(3)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보틀 홀더(31)의 유지부(31a)를 위로 향한 상태에서 홀더용 홈(32b)에 장착 등의 거꾸로 조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using the
<제4 실시 형태>≪ Fourth Embodiment &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보틀 홀더(40)를 이용하고 있다.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보틀 홀더(40)에서는, 유지부(40a)와 대경 유지부(40c)가, 같은 면에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the
대경 유지부(40c)의 양 측방에는, 한 쌍의 내감부(40b, 40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내감부(40b, 40b)는, 홀더용 홈(32a)과 홀더용 홈(32b)의 양쪽에 끼워넣을 수 있다. On both sides of the large-
또한, 내감부(40b, 40b)의 상단에는, 평판 형상의 날밑부(40d, 40d)가 이어져 있다. Further, tab-
보틀 홀더(31)는, 도 16의 (a)과 같이 소경이며 세로로 짧은 약제 용기(3)를 이용할 때에도, 도 16의 (b)와 같이 대경이며 세로로 긴 약제 용기(3)를 이용할 때에도, 유지부(40a) 및 대경 유지부(40c)를 위로 향하여, 홀더용 홈(32a) 또는 홀더용 홈(32b)에 부착할 수 있다. 16 (a), the
또한, 사용자가 잘못하여, 유지부(40a) 및 대경 유지부(40c)를 아래로 향하여 홀더용 홈(32a) 또는 홀더용 홈(32b)에 장착하려고 하면, 날밑부(40d, 40d)가 부딪쳐서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거꾸로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f the user erroneously tries to mount the holding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부재(16)의 양 측면에, 버클(41)을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버클(41)의 선단에는, 안 쪽으로 돌출하는 클로(claw)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fi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the
또한, 하측 부재(17)의 양 측면에는, 버클(41)을 수용할 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홈에 봉 형상의 장착 바(42)가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A groove for receiving the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버클(41)을 회동시켜서 클로부(41a)를 장착 바(42) 아래에 걸어 맞추는 것으로 상측 부재(16)와 하측 부재(17)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고, 버클(41)을 회동시켜서 장착 바(42)로부터 탈거하는 것으로 상측 부재(16)와 하측 부재(17)로 분해할 수 있다. The
<제6 실시 형태>≪ Sixth Embodiment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25)를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오목 부분에 살수 노즐(5)을 끼워넣도록 하고 있었지만,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25)를 상측 부재(16)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여 옆으로 쓰러뜨릴 수 있도록 하고, 이 손잡이(25)에 살수 노즐(5)을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in the first embodiment, the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5)의 외면에는 후크(4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8 (a), a
또한, 손잡이(25)의 상면에는, 후크(43)보다 큰 2개의 받이구(受口)(44, 44)와, 2개의 받이구(44, 44)의 사이에 형성된 후크(43)보다 가는 형상의 가는 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25)를 옆으로 쓰러뜨리면, 받이구(44, 44)의 한 쪽이 상방을 향하고, 다른 쪽이 하방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Two hooks 44 and 44 larger than the
손잡이(25)를 옆으로 쓰러뜨려서, 받이구(44)의 상방으로부터 후크(43)를 삽입하면, 후크(43)가 가는 홈(45)에 끼워넣어진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에 의해, 살수 노즐(5)을 희석 장치 본체(2)에 장착할 수 있다. The
손잡이(25)를 반대측으로 옆으로 쓰러뜨렸을 때에도, 다른 쪽의 받이구(44)로부터 후크(43)를 삽입하여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살수 노즐(5)을 희석 장치 본체(2)에 장착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mount the
제6 실시 형태의 다른예에서는, 도 1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수 노즐의 외면에 구형상의 구형(球形) 후크(46)를 돌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살수 노즐의 반대측의 면에는, 다른 하나의 구형 후크(46)를 돌출 형성하고 있다. In another example of the six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8 (b), a
이 예에서도, 손잡이(25)에는, 구형 후크(46)보다 큰 2개의 받이구(44, 44)와, 2개의 받이구(44, 44)의 사이에 형성된 구형 후크(46)보다 가는 형상의 가는 홈(45)이 형성되어 있다. In this example as well, two
이 예에서도, 받이구(44)의 상방으로부터 구형 후크(46)를 삽입하면, 구형 후크(46)가 가는 홈(45)에 끼워넣어지는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에 의해, 살수 노즐(5)을 희석 장치 본체(2)에 장착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as well, when the
또한, 손잡이(25)를 어느 방향으로 옆으로 쓰러뜨려도 살수 노즐(5)을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2개의 구형 후크(46, 46) 중 임의의 한 쪽을 손잡이(25)의 받이구(44)에 삽입하여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살수 노즐(5)의 장착 각도를 선택할 수 있어서, 호스(4)의 꼬임이나 우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Any one of the two
또한, 파손되기 어려운 구형상의 구형 후크(46)를 마련한 것에 의해, 받이구(44) 및 가는 홈(45)에의 장착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Further, by providing the rectangular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에서는, 도 19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25)의 2개의 받이구(44, 44)를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이 받이구(44)의 내주면에 내접할 수 있는 2개의 의사(擬似) 원기둥 형상의 원기둥 후크(47, 47)를 살수 노즐(5)의 서로 반대의 면에 형성하고 있다. 19 (a) and 19 (b), the two receiving
2개의 받이구(44, 44)의 사이에는, 원기둥 후크(47, 47)보다 가는 형상의 가는 홈(45)이 형성되어 있다. A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통상은 원기둥 후크(47)를 받이구(44)의 상방(도 19의 (a)와 같이 손잡이(25)를 옆으로 쓰러뜨렸을 때의 상방을 말함)으로부터 삽입하고, 상방으로 빼는 것으로 출납하지만, 원기둥 후크(47)를 손잡이(25)에서 유지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가 살수 노즐(5)을 전방(가는 홈(45)이 있는 방향)으로 강하게 당기면, 손잡이(25) 중 가는 홈(45)의 주위의 일부분이 탄성 변형하여 원기둥 후크(47)를 해제하여, 그 후 손잡이(25)는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온다. In the sixth embodiment, the
이러한 스냅핏(snap-fit) 형상으로 한 것에 의해, 살수 노즐(5)을 손잡이(25)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음과 함께, 탈거에 수반하는 손잡이(2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By adopting such a snap-fit shape,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후크(43)의 폭, 구형 후크(46)의 직경, 원기둥 후크(47)의 직경은, 3 ~ 20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dth of the
상기 폭 또는 직경을 3 mm 미만으로 하면, 받이구에 걸리는 힘이 약해져서 탈락할 우려가 있다. When the width or the diameter is less than 3 mm, the force applied to the receiving port weakens, and there is a fear of dropping off.
상기 폭 또는 직경을 20 mm보다 크게 하면, 이것에 수반하여 살수 노즐(5)이 대형화되고, 취급하기 어려워져 버린다. 상기 폭 또는 직경을 8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f the width or diameter is larger than 20 mm, the
이 예에서도, 받이구(44)의 상방으로부터 원기둥 후크(47)를 삽입하면, 원기둥 후크(47)가 가는 홈(45)에 끼워넣어지는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에 의해, 살수 노즐(5)을 희석 장치 본체(2)에 장착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as well, when the
이것에 의해, 손잡이(25)를 어느 방향으로 옆으로 쓰러뜨려도 살수 노즐(5)을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2개의 원기둥 후크(47, 47) 중 임의의 한 쪽을 손잡이(25)의 받이구(44)에 삽입하여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살수 노즐(5)의 장착 각도를 선택할 수 있어서, 호스(4)의 꼬임이나 우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the
또한, 원통 형상의 받이구(44)에 의사 원기둥 형상의 원기둥 후크(47)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살수 노즐(5)을 희석 장치 본체(2)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함께, 파손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The
<제7 실시 형태>≪ Seventh Embodiment &
제7 실시 형태는, 희석 장치 본체(2)에 장착되는 호스 니플(13)(도 1, 도 6 참조)에 물의 역지 밸브(clack valve)를 내장하여 물의 역류를 방지함과 함께, 희석 장치 본체(2)에 대해서 나사 결합으로 탈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In the seventh embodiment, a water clack valve is installed in the hose nipple 13 (see Figs. 1 and 6) mounted on the dilutation apparatus
이것에 의해, 역지 밸브의 고장시에 호스 니플(13)을 교환할 수 있고, 약제 희석 살수 장치(1)의 메인테넌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reby, the
<제8 실시 형태>≪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살수 노즐(5)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히 살수를 하도록 살수구(10)를 기울여서 형성하고 있지만,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살수구(10)를 기울이지 않고 , 살수 노즐(5)의 연장 방향을 향해서 살수를 하도록 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first embodiment, the
이 때에는, 통수용의 버튼(11a)과 지수용의 버튼(11b)의 한 쪽에 마크나 요철을 마련하여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marks and irregularitie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이것에 의해, 살수 노즐(5)에 살수 방향에 상하의 방향에 의한 차이가 없어지기 때문에, 살수 노즐(5)의 조작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제6 실시 형태, 제7 실시 형태,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손잡이(25)의 폭(W1), 높이(H1), 살수 노즐(5)을 장착하는 개소 이외에 형성되는 오목 부분의 폭(W2), 깊이(D2), 두께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dth W1 of the
1: 약제 희석 살수 장치
2: 희석 장치 본체
3: 약제 용기
4: 호스
5: 살수 노즐
6: 물 도입구
7: 물 도출구
8: 주 유로
9: 접속구
10: 살수구
11: 노즐 지수 밸브
11a, 11b: 버튼
12: 약제 희석부
13: 호스 니플
14: 호스 커넥터
15: 기초대
16: 상측 부재
17: 하측 부재
18: 레버 고정구
19: 약제 유로
20: 용기 장착부
21: O링
22: 약제 도입구
23: 스트로우관
24: 진동 억제 커버
25: 손잡이
25a: 리브
26: 조작용 스위치
27: 밸브체
28: 스트레이너
29: 호스 커넥터
30: 파지부
31: 보틀 홀더
31a: 유지부
31b: 내감부
31c: 대경 유지부
32a, 32b: 홀더용 홈
33: 높이 조정 볼트
34: 볼트 구멍
35: 볼트 슬릿
36: 너트
40: 보틀 홀더
40a: 유지부
40b: 내감부
40c: 대경 유지부
40d: 날밑부
41: 버클
41a: 클로부
42: 장착 바
43: 후크
44: 받이구
45: 가는 홈부
46: 구형 후크
47: 원기둥 후크 1: Chemical dilution sprinkler
2:
3: drug container
4: Hose
5: Watering nozzle
6: Water inlet
7: Water outlet
8: Main Euro
9: Connection port
10: watering hole
11: Nozzle index valve
11a, 11b: button
12: drug dilution part
13: Hose nipple
14: Hose connector
15: foundation stand
16: upper member
17: Lower member
18: Lever fixture
19: Pharmaceutical effluent
20:
21: O ring
22: drug introduction port
23: straw tube
24: Vibration suppression cover
25: Handle
25a: rib
26: Operation switch
27: Valve body
28: Strainer
29: Hose connector
30:
31: Bottle holder
31a:
31b:
31c:
32a and 32b:
33: height adjustment bolt
34: Bolt hole
35: Bolt slit
36: Nuts
40: bottle holder
40a:
40b:
40c:
40d:
41: Buckle
41a: Clove
42: Mounting bar
43: Hook
44: Receiver
45: thin groove
46: spherical hook
47: Cylindrical hook
Claims (5)
상기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를 도출하는 용매 도출구와,
약제를 도입하는 약제 도입구와,
상기 용매 도입구 및 상기 용매 도출구의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에 상기 약제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약제를 합류시키는 약제 희석부를 가지는 희석 장치 본체를 마련함과 함께,
호스 등의 탄성관을 개재하여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상기 용매 도출구와 접속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로부터 유입한 용매를 방출하는 살수구를 가지는 살수 장치를 마련하고,
또한,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약제 도입구 부근에, 상기 약제를 수용한 약제 용기를 하측에 탈착할 수 있는 용기 장착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희석 장치 본체는, 상기 약제 용기의 하단부보다 넓게 접지(接地)하는 기초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희석 살수 장치. A solvent inlet for introducing a solvent,
A solvent outlet for extract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let,
A drug introduction port into which a drug is introduced,
A diluent device main body provided between the solvent introduction port and the solvent outlet port and having a drug dilution section for merging the drug introduced from the drug introduction port into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troduction port,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solvent outlet of the diluter body through an elastic tube such as a hose,
A sprinkling device having a spray port for discharg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connection port is provided,
A container mounting portion for detachably mounting a medicine container containing the medicine in the lower portion is formed near the medicine introducing port of the diluter body,
Wherein the diluter main body has a base which is wider than the lower end of the medicament container.
상기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를 도출하는 용매 도출구와,
약제를 도입하는 약제 도입구와,
상기 용매 도입구 및 상기 용매 도출구의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에 상기 약제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약제를 합류시키는 약제 희석부를 가지는 희석 장치 본체를 마련함과 함께,
호스 등의 탄성관을 개재하여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상기 용매 도출구와 접속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로부터 유입한 용매를 방출하는 살수구를 가지는 살수 장치를 마련하고,
또한,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약제 도입구 부근에, 상기 약제를 수용한 약제 용기를 상방으로 삽입함으로써 장착하고, 하방으로 뽑아냄으로써 탈거할 수 있는 용기 장착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약제 용기의 하면에 접촉하여 상기 약제 용기의 상기 용기 장착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마련하고, 상기 약제 용기를 상기 용기 장착부에 연결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희석 장치 본체에 대하여 장착 위치의 높이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희석 살수 장치. A solvent inlet for introducing a solvent,
A solvent outlet for extract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let,
A drug introduction port into which a drug is introduced,
A diluent device main body provided between the solvent introduction port and the solvent outlet port and having a drug dilution section for merging the drug introduced from the drug introduction port into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troduction port,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solvent outlet of the diluter body through an elastic tube such as a hose,
A sprinkling device having a spray port for discharg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connection port is provided,
In addition, a container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drug introducing port of the diluter main body, which can be removed by inserting the medicine container containing the medicine upward and pulling it downward,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medicine container from separating from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by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edicine container and supporting the medicine container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Wherein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is capable of changing the height of the moun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diluter main body.
상기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를 도출하는 용매 도출구와,
약제를 도입하는 약제 도입구와,
상기 용매 도입구 및 상기 용매 도출구의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에 상기 약제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약제를 합류시키는 약제 희석부를 가지는 희석 장치 본체를 마련함과 함께,
호스 등의 탄성관을 개재하여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상기 용매 도출구와 접속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로부터 유입한 용매를 방출하는 살수구를 가지는 살수 장치를 마련하고,
또한,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약제 도입구 부근에, 상기 약제를 수용한 약제 용기를 하측에 탈착할 수 있는 용기 장착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희석 장치 본체를, 상기 용기 장착부를 가지는 상측 부재와, 접지부분을 가지는 하측 부재로 상하 분할 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희석 살수 장치. A solvent inlet for introducing a solvent,
A solvent outlet for extract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let,
A drug introduction port into which a drug is introduced,
A diluent device main body provided between the solvent introduction port and the solvent outlet port and having a drug dilution section for merging the drug introduced from the drug introduction port into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troduction port,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solvent outlet of the diluter body through an elastic tube such as a hose,
A sprinkling device having a spray port for discharg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connection port is provided,
A container mounting portion for detachably mounting a medicine container containing the medicine in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medicine inlet of the diluter body,
Wherein the diluting device main body is formed to be vertically divisible by an upper member having the container mounting portion and a lower member having a grounding portion.
상기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를 도출하는 용매 도출구와,
약제를 도입하는 약제 도입구와,
상기 용매 도입구 및 상기 용매 도출구의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용매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용매에 상기 약제 도입구로부터 도입한 약제를 합류시키는 약제 희석부를 가지는 희석 장치 본체를 마련함과 함께,
호스 등의 탄성관을 개재하여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상기 용매 도출구와 접속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로부터 유입한 용매를 방출하는 살수구를 가지는 살수 장치를 마련하고,
또한, 상기 희석 장치 본체를 상하 분할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부재로 형성함과 함께,
상기 약제 도입구를, 상기 희석 장치 본체의 접지(接地) 부분에 대해서 상하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희석 살수 장치. A solvent inlet for introducing a solvent,
A solvent outlet for extract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let,
A drug introduction port into which a drug is introduced,
A diluent device main body provided between the solvent introduction port and the solvent outlet port and having a drug dilution section for merging the drug introduced from the drug introduction port into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solvent introduction port,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solvent outlet of the diluter body through an elastic tube such as a hose,
A sprinkling device having a spray port for discharging the solvent introduced from the connection port is provided,
Further, the diluter main body may be formed of at least two members capable of vertically dividing,
Wherein the medicament introduction port is vertically adjustable with respect to a grounding portion of the diluter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100119 | 2012-04-25 | ||
JPJP-P-2012-100119 | 2012-04-25 | ||
PCT/JP2013/057169 WO2013161421A1 (en) | 2012-04-25 | 2013-03-14 | Device for diluting and sprinkling liquid ag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458A KR20150015458A (en) | 2015-02-10 |
KR101971760B1 true KR101971760B1 (en) | 2019-04-23 |
Family
ID=4948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31327A Active KR101971760B1 (en) | 2012-04-25 | 2013-03-14 | Device for diluting and sprinkling liquid agent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946905B2 (en) |
KR (1) | KR101971760B1 (en) |
DE (1) | DE112013002204T5 (en) |
WO (1) | WO201316142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936278C (en) * | 2014-01-22 | 2022-05-03 | Syngenta Participations Ag | Tree injection system and methods |
CN105900588B (en) * | 2016-05-27 | 2018-03-16 | 广西师范学院 | Ultrasonic magnetization flusher |
WO2018011009A1 (en) * | 2016-07-11 | 2018-01-18 |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 Spray device with flow measurement |
CN108617224A (en) * | 2018-05-16 | 2018-10-09 | 南安市创培电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device and method for spraying bacterial manure |
CN115306118B (en) * | 2022-07-18 | 2024-04-16 | 丽水学院 | A high-efficient flush coater for processing of wall body surface polyurethane layer |
JP7692093B2 (en) * | 2023-06-27 | 2025-06-12 | 花王株式会社 | Kit and cleaning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217201A1 (en) | 2001-11-14 | 2004-11-04 | Martin Ruda | Spray gun container |
JP2006518268A (en) | 2002-10-24 | 2006-08-10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Easy to clean spray gun |
JP2007529296A (en) | 2003-12-19 | 2007-10-25 | ジョンソンディバーシ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Support for dispensing devices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39321Y2 (en) * | 1973-12-28 | 1977-09-06 | ||
JPS629959Y2 (en) * | 1979-10-05 | 1987-03-09 | ||
JPS60193454A (en) * | 1984-03-16 | 1985-10-01 | 株式会社吉田製作所 | Handpiece for tooth surface cleaner |
JPS62148368U (en) * | 1986-03-12 | 1987-09-19 | ||
JPH0436129A (en) * | 1990-05-31 | 1992-02-06 | Hokkaido Nogyo Shikenjo | Sprinkling device |
JP2666056B2 (en) * | 1995-06-16 | 1997-10-22 | 正治 三宅 | Water tap |
JPH09149753A (en) * | 1995-11-29 | 1997-06-10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Device for spraying chemical agent |
JP2889528B2 (en) | 1996-02-20 | 1999-05-10 | プラスチック総業株式会社 | Umbrella packing machine |
JP2990351B2 (en) * | 1997-12-27 | 1999-12-13 | 正治 三宅 | Sprinkler tap for chemical dilution |
JPH11267556A (en) * | 1998-03-20 | 1999-10-05 | Masaharu Miyake | Water spray plug for dilution chemical liquid |
JP2002224591A (en) | 2001-01-31 | 2002-08-13 | Iris Ohyama Inc | Aqua gun |
-
2013
- 2013-03-14 JP JP2014512409A patent/JP5946905B2/en active Active
- 2013-03-14 WO PCT/JP2013/057169 patent/WO201316142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3-14 KR KR1020147031327A patent/KR101971760B1/en active Active
- 2013-03-14 DE DE112013002204.4T patent/DE112013002204T5/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217201A1 (en) | 2001-11-14 | 2004-11-04 | Martin Ruda | Spray gun container |
JP2006518268A (en) | 2002-10-24 | 2006-08-10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Easy to clean spray gun |
JP2007529296A (en) | 2003-12-19 | 2007-10-25 | ジョンソンディバーシ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Support for dispensing devi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13002204T5 (en) | 2015-03-05 |
KR20150015458A (en) | 2015-02-10 |
JP5946905B2 (en) | 2016-07-06 |
WO2013161421A1 (en) | 2013-10-31 |
JPWO2013161421A1 (en) | 2015-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1760B1 (en) | Device for diluting and sprinkling liquid agent | |
US628338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multiple-component flowable substances | |
US7237728B1 (en) | Hand-held dispenser | |
US5259557A (en) | Solution proportioner and dispensing system | |
CN102209593B (en) | Sprayer | |
US20180021800A1 (en) | Pressure washer accessory tray | |
US8820661B2 (en) | Hose end sprayer with multi-size bottle connectors and bottle adapter | |
US20070095943A1 (en) | Liquid reservoir, and kit, spray assembly and method using same | |
US20130193232A1 (en) | Cartridge Sprayer System | |
US20110079659A1 (en) | Sprayer system | |
CN102038432A (en) | Flexible spray head | |
US20130175363A1 (en) | Cartridge Sprayer System | |
NZ242463A (en) | Fluid proportioning and dispensing apparatus: concentrate aspirated and diluted in spray gun | |
KR20080002988U (en) | Pesticide Tank | |
US20110083707A1 (en) | Device for cleaning drain conduits | |
JP5820445B2 (en) | Liquid dilution device | |
US20090224072A1 (en) | Hose end sprayer with multi-size bottle connectors | |
JP2990351B2 (en) | Sprinkler tap for chemical dilution | |
KR101827367B1 (en) | Pesticides spray assembly | |
US11446681B2 (en) | Liquid recirculating valve | |
JP2012023963A (en) | Strainer for chemical tank | |
US10994290B2 (en) | Spray system with rail mounting for an agricultural machine | |
JP6209714B2 (en) | Liquid dilution device | |
US6588929B1 (en) | Portable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0460086Y1 (en) | A air ej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