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9829B1 -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829B1
KR101969829B1 KR1020130017961A KR20130017961A KR101969829B1 KR 101969829 B1 KR101969829 B1 KR 101969829B1 KR 1020130017961 A KR1020130017961 A KR 1020130017961A KR 20130017961 A KR20130017961 A KR 20130017961A KR 101969829 B1 KR101969829 B1 KR 10196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pplication
mobile
terminal
sel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155A (ko
Inventor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17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82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8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4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nu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망인증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망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TO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자급제 단말에게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화이트 리스트 제도 하에서 이동 통신사는 접속을 허용하고자 하는 휴대 전화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등록 관리하였다. 이에 따라, 특정 이동 통신사의 통신망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휴대 전화를 사용하기에 앞서, 휴대 전화의 IMEI를 특정 이동 통신사에 선등록하여야 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사의 유통 채널을 이용하지 않고 구입한 휴대 전화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특정 이동 통신사에 개인적으로 구입한 휴대 전화의 IMEI를 등록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변경된 블랙 리스트 제도 하에서는 이동 통신사는 접속을 불허하는 휴대 전화의 IMEI만을 등록 관리한다. 이에 따라, 특정 이동 통신사의 통신망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휴대 전화의 IMEI를 특정 이동 통신사에 등록하지 않고도, 특정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범용 가입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를 사용한다면 특정 이동 통신사의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최근에는 블랙 리스트 제도를 기초로 휴대 전화 자급제도가 시작되었는데, 휴대 전화 자급 제도의 시행으로 사용자는 이동 통신사의 유통 채널 이외의 유통망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를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특정 이동 통신사의 유통 채널을 거치지 않고 다른 유통망을 거쳐 구입된 휴대 전화에는 특정 이동 통신사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본 설치되어 있지 않다. 예컨대, A 통신사 유통 채널을 거치지 않고 다른 유통망을 거쳐 구입된 휴대 전화가 A 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 전화에는 A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통화량 조회 어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모바일 티비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A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자급제 단말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급제 단말의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망인증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망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및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인증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IMSI 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IMSI 에 매핑되는 상기 IMEI 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망인증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상기 IMSI 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저장하는 다운로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데이터는 상기 다운로드 서버에 저장된 상기 기 설치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은 망인증 서버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망인증 서버가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자급제 단말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급제 단말의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자급제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자급제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 전화인 것으로 가정하고, 이동 단말기는 자급제 단말 및 통신사 단말로 분류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자급제 단말은 이동 단말기의 IMEI가 망인증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단말로 특정 통신사에서의 유통망을 거치지 않고 다른 통신사의 유통망이나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유통망과는 다른 유통 채널을 통해 판매된 이동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자급제 단말의 경우라 하더라도, 특정 통신사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특정 통신사에서 판매하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망인증 서버에는 적어도 자급제 단말이 사용하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사 단말은 이동 단말기의 IMEI가 망인증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로 특정 통신사에서의 유통 채널을 통해 판매된 이동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통신사 단말 역시 특정 통신사에서 판매하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통신사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때문에, 망인증 서버에는 통신사 단말이 사용하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의 IMSI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망인증 서버는 이동 단말기의 IMEI 및 이동 단말기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의 IMSI를 상호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특별한 설명이 없는한,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라 설명한 것은 자급제 단말 및 통신사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을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자급제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자급제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급제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망인증 서버(100)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급제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다운로드 서버(300)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망인증 서버(100)는 특정 통신사의 통신망에 접속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10)를 인증하는 것으로, 망인증 서버(100)는 통신사 단말의 IMEI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망인증 서버(100)에는 특정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자급제 단말 및 통신사 단말에서 사용되는 가입자 식별 모듈의 IMSI가 더욱 저장될 수 있다. 망인증 서버(100)는 특정 통신사의 통신망에 접속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가 자급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망인증 서버(100)와 이동 단말기(10)는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 기술이란 LTE, CDMA, WCDMA EV-DO 등 특정 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는 통신사 단말이 아닌 자급제 단말로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운로드 서버(300)에는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이 저장되어, 이동 단말기(10)로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다운로드 서버(300)와 이동 단말기(10)는 이동 통신 기술 및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은 WLAN(Wi-Fi), WiMax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망인증 서버(100),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 및 다운로드 서버(300)의 동작은 후술될 도 2의 동작 흐름도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자급제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망인증 서버(100)는 특정 통신사의 통신망에 접속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1). 여기서,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는 이동 단말기(10)의 IMEI 및 이동 단말기(10)에 적용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의 IMSI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망인증 서버(100)는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통신사의 통신망에 접속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10)가 자급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2). 구체적으로, 망인증 서버(100)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이동 단말기(10)가 자급제 단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의 IMSI가 망인증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ii)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의 IMSI가 망인증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으나, IMSI에 매핑되는 이동 단말기(10)의 IMEI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iii)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의 IMSI가 망인증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으나, 이동 단말기(10)의 IMEI와 망인증 서버(100)에 저장된 IMSI에 매핑되는 IMEI가 불일치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가 자급제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망인증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로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03). 여기서, 망인증 서버(100)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 중 IMEI 및 IMSI 중 IMSI 만을 전송하거나, IMEI 및 IMSI 를 모두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는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이동 단말기(10)로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204). 여기서, 안내 데이터는 다운로드 서버(300)에 저장된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 데이터는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IM(Instant Message) 등의 메시지 형태로 이동 단말기(10)에 제공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로부터 안내 데이터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10)는 안내 데이터에 포함된 URL 주소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서버(300)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205). 이동 단말기(10)가 접속하면, 다운로드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로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전송하여(S205), 이동 단말기(10)가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망인증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로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에 앞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로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제공한 이력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로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제공한 이력이 존재한다면,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이동 단말기(10)에 이미 안내 데이터가 전송된 것이므로, 이동 단말기(10)에 안내 데이터가 중복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망인증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로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면서, 식별 정보 제공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망인증 서버(100)는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동시에 또는 식별 정보와 별개로 이동 단말기(10)의 부가 정보를 더욱 수신할 수도 있다. 일예로, 망인증 서버(100)는 이동 단말기(10)가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로 이동 단말기(10)의 부가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의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의 부가 정보는 이동 단말기(10)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운영체제의 버전 및 이동 단말기(10)에서 사용되는 이동 통신 기술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망인증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로 이동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면서 이동 단말기(10)의 부가 정보도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부가 정보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의 부가 정보에 부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동 단말기(10)에 설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의 운영 체제가 구글사의 안드로이드(Android) OS인 경우, 안드로이드 OS에서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안내 데이터가 이동 단말기(10)에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동 단말기(10)의 운영 체제가 애플사의 iOS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는 iOS에서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안내 데이터가 이동 단말기(10)에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는 자신의 운영체제와 호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는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버전별 안내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동 단말기(10)의 운영 체제 버전에 호환될 수 있는 버전의 안내 데이터가 이동 단말기(10)에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는 운영 체제의 버전에 호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서버(300)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사용되는 이동 통신 기술에 따라 제공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가 제 1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와 제 2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제 1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 2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안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이동 단말기(10)로 제공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스트리밍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라면,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가 LTE (Long Term Evolution) 이동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고화질 동영상의 스트리밍이 가능한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동 단말기(10)가 LTE가 아닌 CDMA, WCDMA 등 LTE에 비해 저속의 통신 속도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네는 저화질 동영상의 스트리밍이 가능한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안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10 : 이동 단말기
100 : 망인증 서버
200 :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
300 : 다운로드 서버

Claims (20)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망인증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망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및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하고,
    상기 망인증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IMSI 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IMSI 에 매핑되는 상기 IMEI 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상기 IMSI 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저장하는 다운로드 서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데이터는 상기 다운로드 서버에 저장된 상기 기 설치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인증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부가 정보를 더욱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운영 체제 정보, 상기 운영 체제의 버전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용하는 이동 통신 기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상기 운영 체제의 버전에 호환되는 버전의 상기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안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제 1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안내 데이터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에 접근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제 2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안내 데이터는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에 접근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11. 망인증 서버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망인증 서버가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및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하고,
    상기 망인증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IMSI 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IMSI 에 매핑되는 상기 IMEI 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자급제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상기 IMSI 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저장하는 다운로드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설치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데이터는 상기 다운로드 서버에 저장된 상기 기 설치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인증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부가 정보를 더욱 수신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운영 체제 정보, 상기 운영 체제의 버전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용하는 이동 통신 기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데이터의 송신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가 상기 운영 체제의 버전에 호환되는 버전의 상기 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안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제 1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안내 데이터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에 접근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제 2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안내 데이터는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에 접근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130017961A 2013-02-20 2013-02-20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ctive KR10196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61A KR101969829B1 (ko) 2013-02-20 2013-02-20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61A KR101969829B1 (ko) 2013-02-20 2013-02-20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155A KR20140104155A (ko) 2014-08-28
KR101969829B1 true KR101969829B1 (ko) 2019-04-17

Family

ID=5174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961A Active KR101969829B1 (ko) 2013-02-20 2013-02-20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8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794B1 (ko) 2008-06-10 201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불법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219594B1 (ko) 2006-07-06 201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을 이용한 프로그램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8000A (ko) * 2007-11-09 2009-05-13 주식회사 에듀파이 휴대 기기에 대한 프로그램 설치 인증 방법 및 시스템,휴대 기기에 대한 프로그램 실행 인증 방법
CN101686458B (zh) * 2008-09-28 2013-06-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配置和管理方法及终端装置
KR20100068692A (ko) * 2008-12-15 2010-06-24 주식회사 케이티 Imsi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03896B1 (ko) * 2008-12-22 2012-0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789691B1 (ko) * 2010-09-30 201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94B1 (ko) 2006-07-06 201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을 이용한 프로그램 구동방법
KR101059794B1 (ko) 2008-06-10 201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불법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155A (ko)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9342B2 (en) Configuring captive portals with a cloud service
US9712952B2 (en) Network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039299B2 (en) ESIM card activation method, wireless router, and user terminal
US91377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using bandwidth provisioning
CN105359562B (zh) 控制装置、控制方法、通信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645001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RU2601834C2 (ru)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риложения, терминал и сервер
US9591485B2 (en) Provisioning subscriptions to user devices
KR20110103398A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US9713176B2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40055562A (ko) 사설망 접근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3015816A1 (zh) eSIM设备配置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20070416A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정책 관리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웹 서버 및 이동 단말기
WO2015073754A1 (en) Applying crowdsourced sequenced instructions to automatically interact with captive portals of wi-fi networks
US9763082B2 (en) Optimizing setup for wireless devices
KR101969829B1 (ko)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2422719B1 (ko) 유심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KR102025363B1 (ko) 휴대형 단말기
US201202542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download service
KR101444432B1 (ko) 단말, lbs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접속 서버 설정 방법 그리고 lbs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9832593B2 (en) Accessing data services while roaming
KR101913406B1 (ko) 단말 접속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999656B1 (ko) 분실단말 등록서비스 제공 방법
WO202304873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tributed permission mechanism for access to a remote application service
CN104618385A (zh) 连接互联网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