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9480B1 -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한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한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480B1
KR101969480B1 KR1020170027042A KR20170027042A KR101969480B1 KR 101969480 B1 KR101969480 B1 KR 101969480B1 KR 1020170027042 A KR1020170027042 A KR 1020170027042A KR 20170027042 A KR20170027042 A KR 20170027042A KR 101969480 B1 KR101969480 B1 KR 10196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ilica
weight
parts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796A (ko
Inventor
박은혜
김병주
Original Assignee
(주)다솜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솜뜰 filed Critical (주)다솜뜰
Priority to KR1020170027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48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48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07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comprising particulate additives, e.g.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한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PM 10 내지 PM 2.5 등급의 미세먼지나 나노미터 크기의 초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있는 공기 정화용 필터로서, 필터의 적어도 일 표면에는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한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AIR CLEANING FILTER FOR EFFECTIVELY REMOVING FINE DUS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한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오염의 심화로 인하여 대기 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오염된 대기 중에는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아황산가스(SO2), 오존(O3), HCHO, 휘발성 유기물질 및 라돈과 같은 가스상의 오염물질과 미세먼지(PM10 ~ PM2.5), 중금속(heavy metals), 석면(asbestos), 미생물성 오염물질 등 입자상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입자상 오염물질은 대기 또는 가스 유체 중에서 고체나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미세물질들로서,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르면, 물질의 파쇄, 선별, 퇴적, 이적, 기타 기계적 처리 또는 연소, 합성, 분해시 발생하는 고체상 또는 액체상의 미세한 물질로 정의된다.
미세먼지 중 직경 10㎛ 이하의 미세먼지(PM 10 등급)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는 먼지 입자로서 호흡기 질환을 야기하며, 직경 2.5㎛ 이하의 초미세먼지(PM 2.5 등급)는 머리카락 두께의 약 1/30 정도로 매우 미세한 입자 크기 때문에 사람의 폐포까지 깊숙이 침투하여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2013년 10월 세계보건기구(WHO)는 초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자동차 내부 또는 건물 내로 유입되는 경우 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이 된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밀폐된 좁은 공간에 장시간 머무르게 되므로, 캐빈 필터를 통해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것이 중요하다.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와 관련하여 다양한 문헌들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119439호에서는 매실, 키토산, 유기산 등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항균제를 나노 은, 물, 바인더 등과 함꼐 혼합한 용액에 스펀본드 부직포나 써멀본드 부직포를 함침시키고 건조하여 제조된 헤파 필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헤파 필터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 및 항균 기능을 갖는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2190호에서는 산소촉매 용액으로 코팅한 헤파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헤파필터나 울파필터를 구성하는 원사나 섬유에 산소촉매 용액을 코팅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PM 10 내지 PM 2.5 등급의 미세먼지나 나노미터 크기의 초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한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는, PM 10 내지 PM 2.5 등급의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있는 공기 정화용 필터로서,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 표면에는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용 필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는 부직포 재질이고, 헤파 필터 또는 자동차용 필터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카구 코팅층의 실리카구는 그 표면에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는, 부직포 재질의 필터를 제1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된 필터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필터를 제2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침지된 필터를 건조하고 경화시켜, 필터의 적어도 일면에 실리카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용 필터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용액은 헥산,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프로필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 100 중량부와, 이중결합을 갖고 있거나 화학결합을 할 수 있는 물질 1~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용액은 유기 용매 100 중량부, 실리카구 1~10 중량부 및 광개시제 또는 열개시제 0.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카구는 그 표면에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는 40~80℃의 열풍으로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는 254nm 또는 365 nm 파장으로 조사하여 UV-경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필터는 PM 10 내지 PM 2.5 등급의 미세먼지 및 나노미터 크기의 초미세먼지와 중금속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초미세먼지와 중금속 제거는 실리카 구의 표면에 붙어있는 -SH 그룹에 의한 것이며, 이러한 실리카 구 코팅층을 헤파필터, 케빈필터 등의 현재 상용필터로 쓰이는 필터에 형성시킴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공기정화용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필터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roscope, SEM) 사진(a: 10,000배, b: 1,000배)으로, 필터에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 준다.
도 3은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필터(a)와 본 발명에 따른 필터(b)를 각각 자동차의 캐빈 필터(헤파 필터)에 적용하고, 자동차를 6주간 운행한 후의 필터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300 배 확대).
도 4는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필터(a)와 본 발명에 따른 필터(b)를 각각 자동차의 캐빈 필터(헤파 필터)에 적용하고, 자동차를 6주간 운행한 후의 필터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5,000 배 확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자동차의 캐빈 필터(헤파 필터)에 적용하고, 자동차를 8주간 운행한 후의 필터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a)는 300 배 확대한 사진이고, 도 5(b)는 5,000배 확대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필터는 PM 10 내지 PM 2.5 등급의 미세먼지나 나노미터 크기의 초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공기 정화용 필터의 일 표면에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필터는 부직포 재질이고, 헤파 필터 또는 자동차용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 구는 그 표면에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필터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보면, 상기 방법은 부직포 재질의 필터를 제1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S11); 침지된 필터를 건조시키는 단계(S12); 상기 건조된 필터를 제2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S13); 및 상기 침지된 필터를 건조한 후 UV-경화시켜, 필터의 적어도 일면에 실리카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부직포 재질의 필터는 헤파 필터 또는 자동차용 필터(캐빈 필터라고도 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멜트블로운 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자동차용 필터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자동차용 필터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용액은 헥산,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프로필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 100 중량부와, 이중결합을 갖고 있거나 화학결합을 할 수 있는 물질 1~1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중결합을 갖고 있거나 화학결합을 할 수 있는 물질로는, 에틸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클로라이드, 스티렌, 에폭사이드, 아미노산들, 프로필렌, 부타디엔, 이소부틸렌, 알릴기, 파라쿠마릴 알코올, 코니페릴 알코올, 시나필 알코올(sinapyl alcohol), 아세틸렌, 포름알데하이드, 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 트랜스-1,4-폴리클로로프렌, 폴리(디클로로포스파젠), 폴리부타디엔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티엔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이중결합을 갖고 있거나 화학결합을 할 수 있는 물질은 공극 감소방지와 점도를 감안할 경우 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침지는 제1 용액에 필터가 완전히 잠기도록 넣은 후 10 ~ 100초 동안 유지하는 것을 가리킨다.
침지된 필터는 약 1~10 분간 40~80℃의 열풍으로 건조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70℃의 열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열풍 건조 시에는 위에서 언급하고 있는 용매만을 제거하게 된다.
완전히 건조된 필터는 제2 용액에 침지된다. 상기 제2 용액은 유기 용매, 실리카구, 광개시제 또는 열 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빛으로 이중결합을 개시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바(Ciba)사의 Irgacure-127, Irgacure-184, Irgacure-369, Irgacure-500, Irgacure-651, Irgacure-754, Irgacure-819, Irgacure-907, Irgacure-1173, Irgacure-1300, Irgacure2959, Darocur TPO, Darcocur BP, Darocur MBF을 들 수 있다. 상기 열 개시제는 열로 이중결합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트-아밀 페록시벤조에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4,4-Azobis(4-cyanovaleric acid)), 1,1‘-아조비스(시아노헥산카보니트릴(1,1'-Azobis(cyclohexanecarbonitirle),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Azobisisobutyronitrile), 벤조일 페록사이드(Benzoyl peroxide), 2,2-비스(터트-부틸페록시)부탄(2,2-Bis(tert-butylperoxy)butane), 1,1-비스(터트-부틸페록시)시클로헥산( 1,1-Bis(tert-butylperoxy) cylcohexane), 2,5-비스(터트-부틸페록시-e( 2,5-Bis(tert-Butylperoxy)-e), 5-디메틸-3-헥신(5dimethyl-3-hexyne), 비스(1-(터트-부틸페록시)-1-메틸에틸)벤젠(Bis(1-(tert-butylperoxy)-1-methylethyl) benzene), 1,1-비스(터트-부틸페록시) 3,3,5-트리메톡시시클로헥산(1,1-Bis(tert-butylperoxy) 3,3,5-trimethylcyclohexane), 터트-부틸 하이드록페록사이드(tert-Butyl hydroperoxide), 터트-부틸 페록사이드(tert-Butyl peroxide), 터트-부틸 페록시벤조에이트(tert-Butyl peroxybenzoate), 터트-부틸페록시 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tert-Butylperoxy isopropyl carbonate), 쿠멘 하이드로페록사이드(Cumene hydroperoxide), 시클로헥사논 페록사이드(Cyclohexanone peroxide), 디쿠밀 페록사이드(Dicumyl peroxide), 라우로일 페록사이드(Lauroyl peroxide), 2,4-펜탄디온 페록사이드(2,4-Pentanedione peroxide), 과산화아세트산(Peracetic acid),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용액 총 중량 대비 유기 용매 100중량부, 실리카구 1~10 중량부 및 광개시제 또는 열개시제 0.0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카 구를 필터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 실리카구의 함량을 조절하여야 한다. 실리카구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실리카구의 부착량이 너무 적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리카구가 특정 부위에 응집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구는 실리카구 표면에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PTMS)과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TMSPM)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은 중금속과 미세먼지를 흡착할 수 있는 -SH 기를 제공하고,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는 구조 내에 탄소 이중 결합이 있어 제1 용액 침지 공정에서 필터에서 코팅된 재료와 공유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공유결합은 상기 이중결합을 갖고 있거나 화학결합을 할 수 있는 물질과 TMSPM이 갖고 있는 이중결합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PTMS)과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TMSPM)가 부착되어 있는 실리카구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용매 및 염기촉매의 존재 하에서 테트라에톡시실란(TEOS)을 사용하여 stober synthetic route로 단분산 실리카구를 제조한다. 상기에서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탈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아세톤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염기촉매는 수산화암모늄(NH4OH)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TMSPM)을 넣고 70~80℃의 온도에서 1~3시간 가열하여, TMSPM을 실리카 구 표면에 붙여준다. 이어서 상온에서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PTMS)를 넣어주고 교반하게 되면 실리카 구 표면에 MPTMS가 붙는다.
상기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PTMS)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TMSPM) 이외에, 알릴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N'-(2'-아미노에틸)-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레인,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및 비닐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PTMS)은 아래 화학식 1의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21055296-pat00001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TMSPM)는 아래 화학식 2의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21055296-pat00002
제2 용액에 침지된 필터는 1~10 분간 40~80℃의 열풍으로 건조시킨다.
이후 UV 램프(254 nm 또는 365 nm)를 이용하여 약 1~10분간 조사하여 TMSPM과 이중결합을 갖는 모노머 등과 공유결합을 시킬 수 있다. 또는 광개시제 대신에 열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로(예를 들어 벤조일페옥사이드의 경우 약 60°C에서 1~10분간) 공유결합을 만들 수 있다. 빛으로 이중 결합을 만들 경우에는 광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어떠한 파장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된 필터의 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a)는 10,000배 확대한 사진이고, 도 2(b)는 1,000배 확대한 사진이다. 도 2(a) 및 (b)를 보면, 필터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극세사 섬유 주변으로 다수의 실리카구들이 부착되어, 실리카구 코팅층을 형성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프로판올 100ml와 수산화암모늄 100ml를 2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5g을 첨가한 후 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여 단분산 실리카구를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PTMS) 2g과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TMSPM) 0.5g을 첨가한 후 75℃에서 2시간동안 가열하여 표면에 MPTMS와 TMSP이 부착된 실리카구를 제조하였다.
캐빈필터(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재질)를 준비하고, 제1 용액(헥산 200ml, 폴리부타디엔 4g)에 10~100초 동안 침지한 후 40~80℃로 열풍 건조하였다. 이어서, 제2 용액(메탄올 200ml, 상기에서 제조된 실리카구 4g, Irgacure-184 200mg)에 10~100초 동안 침지한 후 60℃로 열풍 건조하였다. 이후 UV 램프(254 nm)를 이용하여 약 1~10분간 경화시켜서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된 필터를 제조하였다. 필터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a)는 10,000배 확대한 사진이고, 도 2(b)는 1,000배 확대한 사진이다. 도 2(a) 및 (b)를 보면, 필터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극세사 섬유 주변으로 다수의 실리카구들이 부착되어, 실리카구 코팅층을 형성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
자동차용 필터를 2구획으로 나누고 제1 구역에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된 필터를 장착하고, 제2 구역에서는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필터를 장착하였다. 상기 자동차용 필터를 자동차에 장착하고 6주 동안 자동차를 운행하였다. 총 운행 거리는 10,000 km이고, 서울- 대구 구간을 주로 운행하였다. 6주 후 각 구역의 필터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3(300배 확대)과 도 4(5,000배 확대)에 나타내었다. (a)는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 필터 영역의 사진이고, (b)는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된 필터 영역의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를 보면,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된 필터가 많은 양의 미세먼지가 포집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부착된 미세먼지의 크기가 1㎛ 이하의 미세먼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실리카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필터에는 비교적 적은 양의 미세먼지들이 존재하고 있다.
실험예 2
자동차용 필터를 2구획으로 나누고 제1 구역에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된 필터를 장착하고, 제2 구역에서는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필터를 장착하였다. 상기 자동차용 필터를 자동차에 장착하고 8주 동안 자동차를 운행하였다. 총 운행 거리는 13,000 km이고, 서울- 대구 구간을 주로 운행하였다. 8주 후, 각 구역의 필터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5a(300배 확대)과 도 5b(5,000배 확대)에 나타내었다. 8주 경과 후에는 6주 운행 시보다 더 많은 양의 미세먼지가 필터에 포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실험예 1에서 6주간 운행한 필터에 대하여 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부질포 재질의 캐빈필터의 원소를 분석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고,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부질포 재질의 필터의 원소를 분석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냈다. 원소 분석은 포항 NINT(National Institute of Nanomaterials Technology)에 있는 주사전자현미경에(JEOL ISM-7401F) 부착되어 있는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1과 표 2를 비교하면, 표 1은 실리카구를 붙이지 않은 시료이므로 Si가 검출되지 않은 반면에, 표 2에눈 실리카구에서 나오는 Si원소가 검출되었다. 또한 인체에 치명적인 Ni, Pb의 경우 실리카구 코팅층이 형성된 필터에서 월등히 많이 검출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리카구를 붙일 경우 중금속 흡착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원소 중량% 원소%
CK 78.1 83.69
OK 20.03 16.12
SiK 0 0
CrK 0 0
CoK 0 0
NiK 0 0
CuK 0 0
AsL 0.71 0.12
CdL 0 0
PbM 1.16 0.07
합계 100 100
원소 중량% 원소%
CK 43.67 56.32
OK 36.66 35.49
SiK 11.9 6.57
CaK 2.04 0.79
CrK 0 0
CoK 0 0
NiK 2.14 0.56
CuK 0 0
AsL 0 0
CdL 0 0
PbM 3.59 0.27
합계 100 100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부직포 재질의 필터를 제1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된 필터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필터를 제2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침지된 필터를 건조하고 경화시켜, 필터의 적어도 일면에 실리카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액은 헥산,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프로필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 100 중량부와, 이중결합을 갖고 있거나 화학결합을 할 수 있는 물질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용 필터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은 유기 용매 100 중량부, 실리카구 1~10 중량부 및 광개시제 또는 열개시제 0.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용 필터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구는 그 표면에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용 필터의 제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40~80℃의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용 필터의 제조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는 254nm 또는 365 nm 파장으로 조사하여 UV-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용 필터의 제조방법.
  9. 삭제
KR1020170027042A 2017-03-02 2017-03-02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한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969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042A KR101969480B1 (ko) 2017-03-02 2017-03-02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한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042A KR101969480B1 (ko) 2017-03-02 2017-03-02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한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796A KR20180100796A (ko) 2018-09-12
KR101969480B1 true KR101969480B1 (ko) 2019-04-16

Family

ID=6359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0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69480B1 (ko) 2017-03-02 2017-03-02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한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56061B2 (ja) * 2020-06-23 2024-09-25 インテグリ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合フィルター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71B1 (ko) * 2012-04-02 2013-03-2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표면 개질한 실리카 구를 이용한 대면적 나노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지문 방오박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138B1 (ko) * 2006-06-12 2008-01-02 이진일 중금속 흡착용 실리카 화합물 및 이의 합성 방법
KR101061566B1 (ko) * 2009-02-26 2011-09-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탈취 필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71B1 (ko) * 2012-04-02 2013-03-27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표면 개질한 실리카 구를 이용한 대면적 나노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지문 방오박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796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233376B2 (en) Surface-modified carbon and sorbents for improved efficiency in removal of gaseous contaminants
DE60214197T2 (de) Adsorptionselement und -verfahren
CN107029552B (zh) 一种用于VOCs治理的自组装涂层布或纸及其制备方法
JP2005520070A (ja) 多機能防護性繊維および使用方法
EP1738823B1 (de) Trägermaterial mit katalytisch aktiven Polymerpartikeln
DE102012007392A1 (de) Oberflächenmodifizierte Adsorbentien
EP2337629A2 (de) Adsorber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dsorberelements
KR100812388B1 (ko) 유해가스 및 악취제거용 에어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00589A (ko) 첨착활성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9480B1 (ko)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한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848494B1 (ko) 필터용 고분자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필터
JP2018167155A (ja) 吸着剤
KR102369829B1 (ko) 절곡가능한 자동차용 콤비필터의 여재
KR20220095596A (ko) 항균 효과를 갖는 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RU2398628C2 (ru) Фильтрующая среда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и газа,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способ фильтрования
Brochocka et al. Effective removal of odors from air with polymer nonwoven structures doped by porous materials to use in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s
KR102755377B1 (ko) 공기정화용 항균 탈취 복합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24298A (ko) 필터 매개체
WO2009053205A2 (de) Filtermaterialien mit erhöhtem staubabscheidegrad
JP4828198B2 (ja) 空気浄化用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11800B1 (ko) 미세먼지 필터, 이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3643920B2 (ja) 板状活性炭の製造方法
DE19817703A1 (de) Adsorptionsfilter hoher Luftdurchlässigkei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2383557B1 (ko)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3850Y1 (ko) 에어필터의 여과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2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