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9236B1 -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236B1
KR101969236B1 KR1020170161330A KR20170161330A KR101969236B1 KR 101969236 B1 KR101969236 B1 KR 101969236B1 KR 1020170161330 A KR1020170161330 A KR 1020170161330A KR 20170161330 A KR20170161330 A KR 20170161330A KR 101969236 B1 KR101969236 B1 KR 10196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medicine
peach
jelly
gelatin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인영
임세현
조한진
Original Assignee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236B1/ko
Priority to PCT/KR2017/014294 priority patent/WO201910763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2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5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은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를 포함하는 한약재로 제조된, 비만예방을 위해 제조된 한약에 대하여 한약 본래의 효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보존을 용이하게 하고, 휴대를 간편하게 하면서도, 무엇보다도 쓴맛 등을 없애고 식감을 좋게 할 수 있는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약재를 열탕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에 젤라틴,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복숭아 농축액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Oriental Medicine Jelly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만예방 한약 복용 시 식감을 개선하고,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비만예방에 사용하기 위해 제조된 한약재추출액에 젤라틴,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및 복숭아 농축액을 포함시켜 제조한 젤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약은 보통 생약을 달인 액을 말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생약을 산제로 하거나, 환약으로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한약을 복용하기 위해서는 생약을 달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약초를 달여 낸 액제나 생약가루 등을 복용하게 되면 한약 특유의 쓴맛이나 냄새로 인하여 복용하기 힘들거나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왔다. 뿐만 아니라 미리 달여 놓는 한약의 경우 보존 및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근래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약에서 추출한 추출물, 생약분말 등을 산제나 과립제, 정제 또는 액제 등의 한방제제로 만들어 복용함으로써 많은 불편이 개선되어 왔고, 보존의 안정성 면에서도 우수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산제, 과립제, 정제 등은 복용량 등의 문제로 복용하기에 상당한 부담으로 되고 있다. 이 복용량의 문제에 더하여, 산제와 과립제는 복용 시 목이 메이거나, 입 속에 달라붙거나 이빨 사이에 들어가 끼이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정제의 경우 한 번에 다 먹기가 힘들기 때문에 복용 회수가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또, 정제에서는 한방 특유의 맛이나 냄새가 날 수 있으며, 복용 시에 입 속에서 녹거나 부셔지는 경우에는 한약의 맛을 강하게 느껴 복용이 불쾌하거나 복용하기가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아직도 남아 있다. 한편, 액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등에 비하여 복용하기 쉽긴 하지만, 복용 시 입안에 퍼지기 때문에 한약 특유의 쓴맛이나 냄새를 강하게 느끼게 하여서 복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병이나 투명 팩 등의 용기에 담아야 하기 때문에 휴대하기도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어왔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은 한방제제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젤라틴 등을 이용한 한방약의 젤리(jelly)화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젤라틴은 입안에서 쉽게 녹게 되므로, 쓴맛이 심한 한약을 쓰는 경우 쓴맛을 느끼기 쉬워 복용성이 좋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된 천연물인 한약재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한약재 성분들의 대다수가 구조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형태면에서도 생약, 추출액, 농축물, 건조 추출물, 연질추출물, 유체추출물 등과 같이 많은 종류가 있고, 배합비율 또한 매우 다양하게 되므로 젤리화를 한다고 하여 똑같은 맛이나 식감 또는 질감을 가질 수는 없다.
즉 상술한 바 있는 바와 같이 한약이 가진 특유의 배경으로 인하여, 한약을 젤리제로 형성시키는 경우, 함유된 한약재의 종류 또는 그 양에 따라서, 그 외관이 유지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활성성분의 안정성이 유지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쓴맛과 한약 특유의 맛을 느끼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약에 사용된 한약재의 종류 및 배합비율 등에 따라 각각의 한약에 알맞은 젤리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은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를 포함하는 한약재로 제조된, 비만예방을 위해 사용하도록 제조된 한약에 대하여 한약 본래의 효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보존을 용이하게 하고, 휴대를 간편하게 하면서도, 무엇보다도 쓴맛 등을 없애고 식감을 좋게 할 수 있는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약재를 열탕 추출한 한약재 추출액에 젤라틴,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복숭아 농축액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는 한약재추출액 28 내지 32wt%, 복숭아농축액 25 내지 28wt%, 젤라틴 3 내지 4wt% 및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4.5 내지 5.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특징에 더하여, 상기 한약재추출액은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를 혼합하여 열탕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는, 당도가 18 내지 19가 되도록 하고, pH는 3.5 내지 3.6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제조방법은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를 정제수에 혼합한 후 열탕 추출하여 한약재추출액을 얻는 한약재 추출단계; 상기 한약재추출액 28 내지 32wt%, 복숭아농축액 25 내지 28wt%, 젤라틴 3 내지 4wt% 및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4.5 내지 5.5wt%에 물을 잔량 혼합하여 15분간 가열 및 교반하여 젤리원액을 제조하는 원액제조단계; 및 상기 젤리원액을 냉각시킨 후 냉장고에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제조방법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경화단계는 상기 젤리원액을 18 내지 20℃의 온도에서 50 내지 70분간 냉각시킨 후 상기 냉장고에서 18 내지 22시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제조방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의 당도는 18 내지 19가 되도록 하고, pH는 3.5 내지 3.6이 되도록 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은 비만예방에 효능이 있는 한약에 대하여 젤리화 함으로써 비만예방 효능 등 비만예방한약 본래의 효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쓴맛이나 한약 본래의 강한 향취와 맛을 제거하거나 감추고 부드러운 식감을 제공함으로써 복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이루어 진 비만예방 한약에 있어서 당귀에서 나오는 신맛과 백하수오에서 나오는 쓰고 떫은 맛 등을 제거해 주는 효과가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제조방법의 순서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에 대한 관능검사에 사용한 설문지이다.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여러 가지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로서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1차”, “2차”,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는, 한약재추출액 28 내지 32wt%, 복숭아농축액 25 내지 28wt%, 젤라틴 3 내지 4wt% 및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4.5 내지 5.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한약재추출액은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를 혼합하여 열탕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의 당도는 18 brix 내지 19 brix 가 되도록 하고, pH는 3.5 내지 3.6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젤라틴은 동물의 결합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을 가열한 후 산과 염기로 가수분해 시켜 용출시킨 것으로 열가역적인 겔 특성을 보이는 물질이다. 콜라겐으로부터 젤라틴으로의 변화는 펩티드 사슬의 가수분해에 의한다고도 하고, 펩티드 사슬 사이의 염류결합이나 수소결합의 개열에 의한다고도 한다. 찬물에는 팽창만 하지만, 온수에는 녹아서 졸(sol)이 되고, 일정농도 이상에서는 실온에서 탄성이 있는 겔(gel)이 된다. 이 상태가 된 것을 젤리라고 하며, 그 응고성을 이용하여 음식물에 섞어서 모양이나 단단함을 갖추기 위해서 널리 이용된다. 젤라틴을 응고시킨 젤라틴젤은 용융점이 37℃로 사람의 체온에서 쉽게 녹아 부드러운 질감을 나타내며 젤리, 과자, 푸딩 등 식품의 주원료 및 부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젤라틴을 첨가한 젤리는 만들기 쉽고 영양물질의 공급 및 소화 흡수가 빠른 식품으로 다양한 영양성분과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과일성분을 첨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젤라틴은 27%정도의 글리신과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소화흡수가 극히 좋은 단백질이며 강력한 보호, 콜로이드성을 가지고 있어 유지, 정미물질, 물 등을 균일하게 유화, 분산하는 특성을 가지도 있다. 냉수에는 천천히 팽윤하여 젤라틴 무게의 5 내지 10배의 물을 흡수한다. 낮은 농도(0.2 ~ 0.5%) 에서는 gel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5%이상의 농도에서 gel화가 일어나는데, 젤라틴의 gel 형성과정은 가역적 과정으로 35℃이하에서는 gel형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너무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면 분해해서 냉각시켜도 gel이 형성되지 않는다. gel의 경도는 젤라틴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젤라틴은 일반적으로 5%이상의 농도에서 gel화가 일어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젤라틴의 비율은 3 내지 4wt%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서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를 포함하는 한약재에 대하여 열탕 추출한 한약재추출액 즉 비만예방 한약과 혼합하고 복숭아농축액 등이 배합되기 때문이며, 일반적인 젤라틴 농도로 했을 경우 경도가 너무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식감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복숭아요거트 파우더를 포함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복숭아농축액 만으로는, 상당량을 포함한다 하더라도, 복숭아 향미를 충분히 발현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비만예방 한약의 고유 향취와 쓴맛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서 복숭아요거트 파우더의 중량비를 4.5 내지 5.5wt%로 한 이유는 복숭아요거트 파우더의 중량비가 4.5wt% 이하가 되는 경우 복숭아향미 발현이 불충분하여 한약의 향취와 쓴맛을 충분히 가려주지 못하게 되며, 5.5wt% 이상이 되는 경우 단맛과 신맛의 불균형이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못한 맛을 내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성분 및 중량비의 범위는 후술하게 되는 다양한 실시예와 관능검사 등을 통하여 얻게 된 배합비율로서, 한약의 쓴맛과 고유 향취를 제거함과 아울러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의 맛을 조화롭게 하고 조직감과 외관 등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비율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의 제조방법이 적용된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의 제조방법은 한약재 추출단계(110), 원액제조단계(120), 경화단계(13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약재 추출단계(110)는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의 대상이 되는, 비만예방에 효능이 있는 한약을 얻기 위한 단계로서, 한약재를 열탕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얻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한약재는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를 포함하도록 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한약재들과 물을 약탕기에 넣고 일정시간동안 열탕 가열한 후 진액을 추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한약재가 포함되어 제조되는 한약은 식욕억제와 효과와 식사량 감소에 따른 필수 영양성분을 보충할 수 있어 비만예방에 효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한약이다. 그러나 당귀에서 나오는 신맛과 백하수오에서 나오는 쓰고 떫은 맛 등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은 상술한 성분과 방법으로 제조되는 비만예방용 한약에 대하여 최적화된 맛과 식감 및 외관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젤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상기 원액제조단계(120)에서는 상기 한약재추출액 28 내지 32wt%, 복숭아농축액 27wt%, 젤라틴 3 내지 4wt% 및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4.5 내지 5.5wt%에 물을 잔량 혼합하여 15분간 60℃ 내지 7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젤리원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약재 추출액 30wt%, 복숭아 농축액 26.5wt% 및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5wt%에 물 35wt%를 넣고 가열하면서 15분간 교반하되 가열온도는 60℃ 내지 70℃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량비는 상기 한약재추출액 즉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를 포함하는 비만예방 한약을 젤리화 시키기에 최적화된 비율로서, 부드러운 식감과 적절한 젤리강도(Jelly strength)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맛과 신맛의 균형 잡힌 맛과 더불어 식감과 조직감 및 외관 등을 적절하기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비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경화단계(130)는 상기 2차 냉각단계(160)에서 제조된 젤리를 냉장고에서 18 내지 22시간 보관하여 경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경화단계(170)를 거친 젤리는 보관 및 유통, 휴대 등에 알맞은 젤리강도(Jelly strength)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경화단계(130)를 거친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완성품은 복용, 휴대, 보관 및 원활한 유통을 위하여 개별포장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출하기까지의 각종 실시예와 실험예 등에 대하여 실험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3>
1. 실시내용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와 물을 약탕기에 넣고 일정시간동안 열탕 가열하여 한약재추출액을 만들었다.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이용하여 젤라틴 2.5 g, 복숭아농축액 57.5 ~ 77.5g(각각 57.5g, 67.5g, 77.5g), 상기 한약재추출액 10 ~ 30g(각각 10g, 20g, 30g),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10g을 넣어 hot plate에서 15분간 60℃ 내지 7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시료들을 사각트레이에 담고 20℃의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동안 식힌 후 냉장고에 20시간 동안 보관하여 각각의 최종제품을 수득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한약재추출액 10 20 30
복숭아농축액 잔량(77.5/67.5/57.5)
젤라틴 2.5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10
총합계 100
2.평가결과 (연구원 평가)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한 결과물들은 모두 고형분 함량이 높고 수분이 부족하여 관능적으로 향미와 식감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식감향상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였다.
<실시예 4 내지 6>
1. 실시내용
고형분 함량이 높은데서 오는 식감저하를 막고자 물을 추가하였으며, 한약재추출액은 30g, 물은 30g 및 젤라틴을 2.5g으로 각각 고정하고 복숭아요거트 파우더와 복숭아농축액의 비율을 상호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 1에 기재된 성분으로 실시예 4 내지 6을 실시하여 각각의 최종제품을 수득하였다.
성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한약재추출액 30
30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0 5 10
복숭아농축액 잔량(37.5/32.5/27.5)
젤라틴 2.5
합계 100
2. 평가결과(연구원 평가)
식감은 많이 개선되었으나, 단맛과 신맛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7 내지 10>
1. 실시내용
단맛과 신맛의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한약재추출액은 30g으로 고정하면서, 물과 복숭아요거트 파우더의 비율을 변화시키며, 표 3에 기재된 성분으로 실시예 1 내지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7 내지 10을 실시하여 각각의 최종제품을 수득하였다.
성분 실시예 7 실시예8 실시예 9 실시예 10
한약재추출액 30
25 35 25 35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5 10
복숭아농축액 잔량(37.5/27.5/32.5/22.5)
젤라틴 2.5
합계 100
2. 평가결과(연구원 평가)
실시예 4 내지 6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향미가 향상되었는데, 특히 실시예 8에서 가장 우수한 향미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식감은 좀 더 강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실시예 11 내지 13>
1. 실시내용
실시예 8에서 얻은 결과에 따라 한약재추출액 30g, 물 35g, 복숭아요거트 파우더를 5g로 고정시킨 뒤, 식감을 좀 더 향상시키고자 젤라틴의 농도를 변화시키며, 표 4에 기재된 성분으로 실시예 1 내지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1 내지 13을 실시하여 각각의 최종제품을 수득하였다.
성분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한약재추출액 30
35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5
복숭아농축액 잔량(27/26.5/26)
젤라틴 3.0 3.5 4.0
합계 100
2. 평가결과(연구원 평가)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2 중에서 젤라틴의 3.5g 포함시킨 실시예 12에서 식감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14>
1. 실시내용
이상의 실시예 7 내지 10에서 가장 우수한 향미를 보인 한약재추출액 30g, 물 35g,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5g의 조성과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가장 식감이 좋았던 실시예 12의 젤라틴 3.5g를 사용하여 표 5에 기재된 성분으로 실시예 1 내지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4를 실시하여 최종제품을 수득하였다.
성분 배합비율(%)
한약재추출액 30
복숭아농축액 잔량(26.5)
젤라틴 3.5
복숭아요거트파우더 5
35
총합계 100
2. 평가결과(관능검사 결과)
실시예 14에서 얻어진 제품을 사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패널은 38명(연령: 20대 35명, 40대 3명; 성별: 남 18 여 20)으로 실시하였고, 평가항목은 도 2에 도시한 평가표에 의하여 ①외관(Appearance), ②향(Flavor), ③맛(Taste), ④조직감(Texture), ⑤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의 5항목에 대하여 7점 척도법(1은 매우 싫어한다, 7은 매우 좋아한다)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평가결과는 표 6과 같다.
외관 조직감 기호도
실시예 14 4.65±1.14 4.34±1.88 4.16±1.83 4.22±1.75 4.22±1.60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14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한 시료들을 굳히기 전에 25℃까지 방냉한 다음 당도계와 pH meter를 사용하여 당도와 pH를 측정하였다. 아래 표 7은 실시예 1 내지 14에 대한 실시결과에 대하여 당도와 pH를 측정한 결과 값이다. 다만, 실시예 11 내지 13은 단순히 젤라틴 농도 확인을 위한 실시예로 분석은 제외하였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인 실시예 14의 당도와 pH값을 포함하여, 실시예 14의 중량비를 도출해 낸 실시예들인,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의 당도와 pH 범위(실시예 8과 동일한 값)가 최종제품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당도(18 내지 19)와 pH 범위(3.5 내지 3.6) 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당도(단위:Brix) pH
실시예 1 42.77 34~43 3.09 3.0~3.2
실시예 2 39.13 3.15
실시예 3 34.93 3.20
실시예 4 16,97 16~24 3.47 3.4~3.5
실시예 5 20.27 3.44
실시예 6 23.37 3.46
실시예 7 21.97 18~26 3.35 3.3~3.6
실시예 8 18.07 3.52
실시예 9 25.63 3.40
실시예 10 21.67 3.54
실시예 14 18.57 3.60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를 혼합하여 열탕 추출한 한약재추출액 30wt%, 복숭아농축액 26.5wt%, 젤라틴 3.5wt% 및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5wt%에 물을 잔량 혼합하여 60 내지 70℃가 되도록 15분간 가열 및 교반한 후 냉각 및 경화시켜 만들되, 당도가 18 내지 19 brix이고, pH가 3.5 내지 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2. 삭제
  3. 삭제
  4. 의이인, 황기, 당귀, 용안육, 숙지황, 백하수오, 산약, 상백피, 진피, 천궁 및 육계를 혼합한 후 열탕 추출하여 한약재추출액을 얻는 한약재 추출단계;
    상기 한약재추출액 30wt%, 복숭아농축액 26.5wt%, 젤라틴 3.5wt% 및 복숭아요거트 파우더 5wt%에 물을 잔량 혼합하여 60 내지 70℃가 되도록 15분간 가열 및 교반하여 당도가 18 내지 19 brix이고, pH는 3.5 내지 3.6인 젤리원액을 제조하는 원액제조단계; 및
    상기 젤리원액을 18 내지 20℃의 온도에서 50 내지 70분간 냉각시킨 후 냉장고에서 18 내지 22시간 경화 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70161330A 2017-11-29 2017-11-29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96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30A KR101969236B1 (ko) 2017-11-29 2017-11-29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7/014294 WO2019107638A1 (ko) 2017-11-29 2017-12-07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330A KR101969236B1 (ko) 2017-11-29 2017-11-29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236B1 true KR101969236B1 (ko) 2019-07-22

Family

ID=6666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330A Active KR101969236B1 (ko) 2017-11-29 2017-11-29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9236B1 (ko)
WO (1) WO201910763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153B1 (ko) 2019-11-07 2020-06-09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9942B1 (ko) 2021-01-22 2021-08-13 (주)케이파워 나노입자화된 한약재를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젤리
WO2021246703A1 (ko) * 2020-06-05 2021-12-09 (주)내츄럴엔도텍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150660A (ko) 2020-06-03 2021-12-13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4888B1 (ko) * 2022-09-14 2023-09-04 방광덕 상황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0372A (zh) * 2021-04-09 2021-06-01 陕西中财润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改善中药汤剂不良口味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623A (ko) * 2006-05-18 2007-11-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126380A (ko) * 2012-05-11 2013-11-20 이상헌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KR20140071149A (ko) * 2012-12-03 2014-06-11 김한식 인삼 젤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45B1 (ko) * 2003-07-28 2011-06-20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KR20080069297A (ko) * 2007-01-23 2008-07-28 김우원 한방 초콜렛의 제조방법
CN103298477B (zh) * 2010-09-10 2015-09-02 韩国食品研究院 包含柘木和薏苡用于抑制肥胖或降低血糖的组合物及其用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623A (ko) * 2006-05-18 2007-11-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126380A (ko) * 2012-05-11 2013-11-20 이상헌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KR20140071149A (ko) * 2012-12-03 2014-06-11 김한식 인삼 젤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153B1 (ko) 2019-11-07 2020-06-09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50660A (ko) 2020-06-03 2021-12-13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46703A1 (ko) * 2020-06-05 2021-12-09 (주)내츄럴엔도텍 항비만용 조성물
US12329796B2 (en) 2020-06-05 2025-06-17 Natural Endotech Co., Ltd. Anti-obesity composition
KR102289942B1 (ko) 2021-01-22 2021-08-13 (주)케이파워 나노입자화된 한약재를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젤리
KR102574888B1 (ko) * 2022-09-14 2023-09-04 방광덕 상황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7638A1 (ko)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236B1 (ko)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
CN102524820A (zh) 一种卤鸭制品及其生产工艺
JP6227075B2 (ja) ドリアンミルクジャ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63487A (ko) 식천고와 복숭아를 활용한 건강젤리 및 그 제조방법
CN114009531A (zh) Sod茶叶制作的方法
KR101198462B1 (ko) 녹용과 과일 열매가 첨가된 젤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젤리
CN104041617A (zh) 一种排毒养颜奶茶的制备方法
CN105395450A (zh) 一种豆腐柴乳酸敷面剂
CN107183456A (zh) 一种牛蒡玫瑰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319447A (zh) 一种降血脂果冻及其制备方法
CN106551325A (zh) 一种百香果榴莲果冻及其制备方法
CN106722593A (zh) 一种低糖绿茶青梅果酱及其制备方法
RU2452188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олочного пудинга
CN104784221A (zh) 椴木灵芝孢子粉与变性淀粉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126805A (zh) 一种饼干
CN104323190B (zh) 一种松茸酸菜牛羊肉麻辣全料
CN106666563A (zh) 一种李子腌制品及其腌制方法
CN105981815A (zh) 一种红酒果粒银耳酸奶及其制备方法
CN104082644A (zh) 一种果汁果冻的制备方法
CN104957458A (zh) 一种美容养颜复合蜂蜜及其制备方法
CN103584139A (zh) 一种鹿胶虫草膏及其制备方法
RU281495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рмелада
CN104012722A (zh) 一种松花茶及其制备方法
RU277624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центра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цетрарии исландской
CN110692723A (zh) 一种桑葚玫瑰花乳饮料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