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399B1 - 시력 보정을 위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력 보정을 위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8399B1 KR101968399B1 KR1020170035274A KR20170035274A KR101968399B1 KR 101968399 B1 KR101968399 B1 KR 101968399B1 KR 1020170035274 A KR1020170035274 A KR 1020170035274A KR 20170035274 A KR20170035274 A KR 20170035274A KR 101968399 B1 KR101968399 B1 KR 1019683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cal length
- controlling
- lens
- focal
- conten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2789 length control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4304 visual acu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08000001491 myop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4727 amygdal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5056 cell body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4379 myopia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7531 Visual acuity reduced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18 caustic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92 so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8 visual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350 Strabism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464 asthen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533 ey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02 high myop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6—Focusing binocular pai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4—Magnifying glasses having binocular arrangem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36—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varifocal lenses or mirr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 H04N5/2257—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서버, 및 초점 거리 조절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점 거리 조절 시스템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점 거리 조절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력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선택을 제공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초점 거리 조절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렌즈를 이동하여 초점 거리 조절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렌즈가 배치되는 경통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변 조도에 기초하여 객체의 명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20)
- 컴퓨터로 구현되는 초점 거리 조절 방법에 있어서,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시력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광학적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이 위치하는 가상면을 기준으로 렌즈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경하여 전기적으로 렌즈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시청에 따른 시력 저하 정도를 나타내며, 미리 정의된 복수개의 레벨로 구분되는 시력 등급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의 재생과 관련하여 프레임 별로 설정된 초점으로 초점 거리가 고정되도록 동작하는 정상 모드, 및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마다 초점 거리가 변경되도록 동작하는 시력보호모드 중 어느 하나로 모드 설정 정보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점 거리 조절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모양체근을 이완시키기 위해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 전보다 상대적으로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모양체근을 수축시키기 위해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 전보다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좌우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객체가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의 내용 및 컨텐츠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 이력 정보를 기초로 근시 교정을 위한 컨텐츠 재생 횟수와 원시 교정을 위한 컨텐츠 재생 횟수를 비교하여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가 위치하는 주변의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명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ARK(Auto Refraction Keratometer)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시력을 추정하는 단계; 및
추정된 시력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점 거리 조절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컨텐츠는 시청 등급, 재생 시간, 및 컨텐츠의 시청에 따른 시력 저하 여부를 나타내는 시력 등급이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방법. -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객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시력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광학적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이 위치하는 가상면을 기준으로 렌즈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초점 거리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초점 거리 제어부는,
상기 렌즈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변경하여 전기적으로 렌즈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시청에 따른 시력 저하 정도를 나타내며, 미리 정의된 복수개의 레벨로 구분되는 시력 등급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객체의 재생과 관련하여 프레임 별로 설정된 초점으로 초점 거리가 고정되도록 동작하는 정상 모드, 및 미리 정의된 시간 주기마다 초점 거리가 변경되도록 동작하는 시력보호모드 중 어느 하나로 모드 설정 정보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거리 제어부는,
모양체근을 이완시키기 위해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 전보다 상대적으로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거리 제어부는,
모양체근을 수축시키기 위해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 전보다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거리 제어부는,
상기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좌우 시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력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거리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객체가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의 내용 및 컨텐츠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초점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거리 조절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5274A KR101968399B1 (ko) | 2017-03-21 | 2017-03-21 | 시력 보정을 위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
JP2018051308A JP7079632B2 (ja) | 2017-03-21 | 2018-03-19 | 焦点距離調節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焦点距離調節システム |
US15/926,293 US10725265B2 (en) | 2017-03-21 | 2018-03-20 |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focusing length to enhance vi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5274A KR101968399B1 (ko) | 2017-03-21 | 2017-03-21 | 시력 보정을 위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9328A Division KR102009624B1 (ko) | 2019-04-04 | 2019-04-04 | 시력 보정을 위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7433A KR20180107433A (ko) | 2018-10-02 |
KR101968399B1 true KR101968399B1 (ko) | 2019-04-12 |
Family
ID=6358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5274A Active KR101968399B1 (ko) | 2017-03-21 | 2017-03-21 | 시력 보정을 위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725265B2 (ko) |
JP (1) | JP7079632B2 (ko) |
KR (1) | KR1019683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63803B (zh) * | 2017-03-30 | 2021-03-26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虚拟现实眼镜、镜筒调节方法及装置 |
US20220326522A1 (en) * | 2019-07-18 | 2022-10-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expressing multiple depth |
CN112241068B (zh) | 2019-07-18 | 2024-12-03 | 三星电子株式会社 | 能够多深度表达的图像显示装置 |
US11662550B1 (en) | 2019-09-25 | 2023-05-30 |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varifocal adjustments |
CN115053270A (zh) * | 2019-12-09 | 2022-09-13 | 奇跃公司 | 用于基于用户身份来操作头戴式显示系统的系统和方法 |
JP7454983B2 (ja) | 2020-03-30 | 2024-03-25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エッジリング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
CN111481411B (zh) * | 2020-04-20 | 2022-05-17 | 苏州视趣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护目镜的控制系统 |
CN111596763B (zh) * | 2020-05-15 | 2023-12-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虚拟现实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
WO2021246777A1 (en) | 2020-06-03 | 2021-12-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
CN112315754B (zh) * | 2020-10-30 | 2022-11-01 | 河南智领医疗设备有限公司 | 一种基于vr眼镜的视力训练系统及vr眼镜 |
JPWO2023038122A1 (ko) * | 2021-09-10 | 2023-03-16 | ||
CN114089537B (zh) * | 2021-11-30 | 2023-09-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变焦装置、ar设备以及近视矫正方法 |
WO2024136382A2 (ko) * | 2022-12-20 | 2024-06-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에 기반하여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1606A (ja) * | 2001-10-23 | 2003-05-09 | Nsp Corp | 視力回復装置を利用した広告システム |
KR101471761B1 (ko) * | 2013-05-30 | 2014-12-10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3d 콘텐츠를 이용한 안구 능력 강화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409042B (de) * | 1999-11-24 | 2002-05-27 | Life Optics Handel Und Vertrie | Sehhilfe |
KR20050090880A (ko) | 2004-03-10 | 2005-09-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포커스 밸런스 조정 장치 및방법 |
US20090295683A1 (en) * | 2008-05-27 | 2009-12-03 | Randall Pugh | Head mounted display with variable focal length lens |
JP3148791U (ja) | 2008-07-31 | 2009-03-05 | 國雄 中澤 | 乗用事故防止見通しカー |
US9304319B2 (en) | 2010-11-18 | 2016-04-0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utomatic focus improvement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s |
KR101284349B1 (ko) | 2011-04-11 | 2013-07-17 | 주식회사 메디스 | 검안기 및 검안방법 |
NZ707857A (en) | 2012-11-06 | 2017-01-27 | 20/20 Vision Center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customers to obtain vision and eye health examinations |
KR101523273B1 (ko) * | 2013-11-18 | 2015-06-02 | 유제형 | 안구 훈련 장치 |
US9829707B2 (en) * | 2014-08-12 | 2017-11-28 | Osterhout Group, Inc. | Measuring content brightness in head worn computing |
US10216271B2 (en) * | 2014-05-15 | 2019-02-26 | Atheer,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pendent control of focal vergence and emphasis of displayed and transmitted optical content |
KR101650706B1 (ko) * | 2014-10-07 | 2016-09-05 |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
NZ773831A (en) | 2015-03-16 | 2022-07-01 | Magic Leap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health ailments |
-
2017
- 2017-03-21 KR KR1020170035274A patent/KR101968399B1/ko active Active
-
2018
- 2018-03-19 JP JP2018051308A patent/JP7079632B2/ja active Active
- 2018-03-20 US US15/926,293 patent/US1072526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1606A (ja) * | 2001-10-23 | 2003-05-09 | Nsp Corp | 視力回復装置を利用した広告システム |
KR101471761B1 (ko) * | 2013-05-30 | 2014-12-10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3d 콘텐츠를 이용한 안구 능력 강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8158107A (ja) | 2018-10-11 |
KR20180107433A (ko) | 2018-10-02 |
US10725265B2 (en) | 2020-07-28 |
US20180275367A1 (en) | 2018-09-27 |
JP7079632B2 (ja) | 2022-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8399B1 (ko) | 시력 보정을 위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US11353957B2 (en) | Eye glint imaging in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 |
US10898407B2 (en) | Methods and viewing systems for inhibiting ocular refractive disorders from progressing | |
US10231897B2 (en) |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inhibiting ocular refractive disorders from progressing | |
US10684479B2 (en) | Head-mounted personal multimedia systems and visual assistance devices thereof | |
US10866420B2 (en) |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 |
US10073266B2 (en) |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 |
US20210096382A1 (en) |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 |
WO2019114463A1 (en) |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inhibiting ocular refractive disorders from progressing | |
JP2023027369A (ja) | 操作可能な中心窩ディスプレイ | |
US20230273678A1 (en) | Eye glint imaging in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 |
CN107526165B (zh) | 头戴式个人多媒体系统、视觉辅助装置以及相关眼镜 | |
US11669163B2 (en) | Eye glint imaging in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 |
CN105068249A (zh) | 全息智能眼镜 | |
CN108051925A (zh) | 具有焦点可调透镜的眼镜设备 | |
CN107636514A (zh) | 头戴式显示装置和使用该装置的视觉辅助方法 | |
CN106802486A (zh) | 一种调节焦距的方法及头戴显示器 | |
KR102009624B1 (ko) | 시력 보정을 위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EP3467617A1 (en) |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reducing a likely sickness of a viewer of immersive visual content | |
CN110840721B (zh) | 一种基于近眼显示的视力防控、训练方法及近眼显示设备 | |
CN113855498A (zh) | 三维视觉训练方法及系统 | |
US11513359B1 (en) | Lens | |
Aimone | Personal imaging using EyeTap devices | |
WO2016150777A1 (en) | Anti-myopia training eyeglas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7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40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