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380B1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8380B1 KR101968380B1 KR1020157019431A KR20157019431A KR101968380B1 KR 101968380 B1 KR101968380 B1 KR 101968380B1 KR 1020157019431 A KR1020157019431 A KR 1020157019431A KR 20157019431 A KR20157019431 A KR 20157019431A KR 101968380 B1 KR101968380 B1 KR 1019683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p
- embossed
- width direction
- embossing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2175 menstr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374 Depressed moo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79 physiological effects,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점성이 높은 경혈 등의 체액의 인입성을 높여, 착용자의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은, 본체부(2)와, 본체부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윙부(43)와, 윙부보다 후방에 있어서 본체부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랩부(60)를 구비한다. 플랩부는, 플랩 흡수체(35)와, 플랩 흡수체보다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는 플랩 표면 시트(12)를 갖는다. 플랩부에는, 플랩 흡수체와 플랩 표면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한 플랩 엠보스부(70)가 형성되어 있다. 플랩 엠보스부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Provided is 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enhancing the pullability of a body fluid such as menstrual blood having high viscosity and improving the wearing feeling of the wearer. The absorbent article 1 includes a body portion 2, a wing portion 43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and a flap portion 60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at the rear than the wing portion do. The flap portion has a flap absorbent body (35) and a flap top sheet (12) located on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than the flap absorbent body. The flap portion is formed with a flap embossed portion 70 in which the flap absorbent body and the flap top sheet are 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lap embossed portion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rear.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sanitary napkin.
특허문헌 1에는, 흡수성 물품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후방부 플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대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생리대의 후방부 플랩부는, 플랩부 흡수체와, 플랩부 흡수체를 덮는 시트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부 플랩부에는, 플랩부 흡수체와 시트재가 압착된 엠보스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흡수성 물품은,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absorbent article has the following problems.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후방부 플랩부는, 플랩부 흡수체를 갖기 때문에, 플랩부 흡수체를 갖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아지기 쉽다. 또한, 후방부 플랩부에는, 엠보스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부 플랩부의 강성이 더욱 높아지기 쉽다. 또한, 엠보스부는,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복수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다리나 둔부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압박되었을 때에, 후방부 플랩부가 변형되기 어려워, 위화감이 생길 우려가 있다.Since the rear flap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described in
또한, 후방부 플랩의 강성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신체의 곡선을 따라 후방부 플랩이 적절하게 배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생리대가 신체에 피트하지 않아, 체액의 누설이 발생하며, 장착감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 또한, 후방부 플랩부가 딱딱하기 때문에, 예컨대, 주름이나 접은 자국이 형성된 경우에 딱딱한 주름이나 접은 자국이 착용자에게 닿아, 장착감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Further, since the rigidity of the rear flap is relatively hig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ar flap is not appropriately arranged along the curve of the body. Therefore, the sanitary napkin does not fit into the body, leakage of the body fluid occurs,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feeling of wearing is deteriorated. Further, since the rear flap portion is rigid,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wrinkles or folded marks are formed, there is a fear that the wrinkles or folding marks of the wearer come into contact with the wearer and the wearing feeling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착 시에 있어서의 플랩부의 주름이나 비틀림을 억제하고, 또한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배치하여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suppressing wrinkles and twisting of a flap portion at the time of attachment, The purpos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길이 방향(L)]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폭 방향(W)]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본체 흡수체[본체 흡수체(30)]를 갖는 본체부[본체부(2)]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착용자의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 꺾이는 윙부[윙부(43)]와, 상기 윙부보다 후방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랩부[플랩부(60)]를 구비하고, 상기 플랩부는, 플랩 흡수체[플랩 흡수체(35)]와, 상기 플랩 흡수체보다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는 플랩 표면 시트[플랩 표면 시트(12)]를 가지며, 상기 플랩부에는, 상기 플랩 흡수체와 상기 플랩 표면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한 플랩 엠보스부[플랩 엠보스부(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랩 엠보스부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front-back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 width direction (width direction W)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ng portion (43)) which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folds back toward the skin non-contact side of the wearer's undergarment, a main body portion (main body portion 2) having an absorbent body (main body absorbent body 30) And a flap portion (flap portion) 60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portion at a rear side of the wing portion. The flap portion includes a flap absorbent body (flap absorbent body 35) (Flap top sheet (12)) located on the side of the skin contact surface, and a flap embossed portion (flap embossed portion (12)) formed by pressing the flap absorbent body and the flap top 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70) is formed, and the flap embossing portion And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rear side.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A-A' 단면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side of a skin-contacting surface.
Fig. 2 is a rear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shown in Fig. 1.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shown in Fig.
Fig. 5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Fig. 6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7 is a plan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Modification 3. Fig.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며, 도 2는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B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예컨대, 생리대이다.The
흡수성 물품(1)은, 본체부(2)와, 본체부(2)보다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윙부(43)와, 윙부(43)의 후방에 있어서 본체부(2)보다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플랩부(60)를 구비한다. 본체부(2)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본체부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윙부(43) 사이, 및 플랩부(60) 사이에 위치한다.The
윙부(43)는, 착용자의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 꺾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랩부(60)는, 윙부(43)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도 1에,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윙부의 영역(RA)과,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플랩부의 영역(RB)을 도시하여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랩부(60)는, 본체부(2)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영역으로서, 윙부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플랩부(60)의 전방측 단부가 되는 윙부의 후방측 단부[후술하는 후방 내측 단부(43RI)]는, 윙부(43)와 플랩부(60) 사이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또한, 본체부(2)는, 플랩부(60)의 전방측 단부 및 윙부의 후방측 단부보다 폭 방향 내측의 영역이다.The rear side end portion (rear inner side end portion 43RI described later) of the wing portion which is the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도 1에, 폭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영역(RC)과,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윙부의 영역 및 플랩부(60)의 영역(RD)을 도시하여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윙부(43)와 플랩부(60) 사이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폭 방향 내측의 영역을 본체부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체 흡수체(30)가 배치된 영역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본체부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윙부의 폭 방향의 영역과, 플랩부의 폭 방향의 영역은, 대략 일치하고 있지만,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Fig. 1 shows the region RC of the main body in the width direction, the region of the w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gion RD of the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와, 본체 흡수체(30)와, 플랩 흡수체(35)를 갖는다. 본체 흡수체(30) 및 플랩 흡수체(35)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체 흡수체(30) 및 플랩 흡수체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어진다. 본체 흡수체(30)는, 흡수성 물품(1)의 전후 방향을 따른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플랩 흡수체(35)는, 플랩부에 배치되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양 단부 근방에 배치된다.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 흡수체(30)와 플랩 흡수체(35)는, 동일한 흡수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며, 또한 일체화되어 있다. 그러나, 본체 흡수체(30)와 플랩 흡수체(35)는, 상이한 흡수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일체화되지 않고, 분리하여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체 흡수체(30)와 플랩 흡수체(35)는, 그 두께가 상이하여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표면 시트(10)는, 체액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시트이다. 표면 시트(10)는, 적어도 본체 흡수체의 표면을 덮는다. 표면 시트(10)는, 적어도 본체부(2)에 배치된 본체 표면 시트(11)와, 플랩부(60)에 배치된 플랩 표면 시트(12)를 갖는다. 본체 표면 시트는, 부직포, 직포, 유공 플라스틱 시트, 메쉬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의 시트형의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The
플랩 표면 시트(12)는, 적어도 플랩부(60)를 덮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표면 시트(12)는, 플랩부(60)와, 윙부(43)와, 본체부의 일부(본체부의 폭 방향 양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랩 표면 시트(12)는, 부직포, 직포, 유공 플라스틱 시트, 메쉬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여도 좋으며,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구조여도 좋다.The
단, 플랩 표면 시트(12)가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는 경우에는, 플랩 표면 시트보다 폭 방향 내측에 경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랩 표면 시트 상에 경혈이 흐른 경우라도, 후술하는 플랩 엠보스부에 의해 플랩 표면 시트(12)가 파단되어 있기 때문에, 이 파단된 부분을 통해 플랩 표면 시트보다 피부 비접촉면측에 위치하는 플랩 흡수체에 경혈을 인입시킬 수 있다.However, when the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표면 시트(12)는, 에어 스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에어 스루 부직포는, 부드러우며 촉감이 좋다. 신체를 따라 플랩부를 배치하였을 때에, 플랩부의 질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장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이면 시트(20)는, 표면 시트(1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 시트, 탄산칼슘이나 황산바륨을 포함한 통기 필름,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20)는, 착용시의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20)는, 액체 불투과성이면서 투습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한 것을 연신 처리한 미다공성 시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The
본체 흡수체(30) 및 플랩 흡수체(35)는, 친수성 섬유, 펄프를 포함한다. 본체 흡수체(30) 및 플랩 흡수체(35)는,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 흡수체(30) 및 플랩 흡수체(35)는,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를 에어 레이드법에 따라 적층하여 형성되어도 좋고,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를 에어 레이드법에 따라 시트형으로 성형한 에어 레이드 시트여도 좋으며, 티슈(예컨대, 단위 중량 15 g/㎡) 상에 고흡수 폴리머를 혼입한 분쇄 펄프를 배치하고, 티슈로 둘러쌈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main body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본체 흡수체(30) 및 플랩 흡수체(35)는, 면상 펄프나 합성 펄프 등을 평량 100 g/㎡∼300 g/㎡ 정도로 적층한 펄프를 보호지(도시하지 않음)로 둘러쌈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흡수체(30) 및 플랩 흡수체(35)는, 전체면 거의 균일한 두께여도 좋고, 불균일한 두께여도 좋다. 보호지는, 펄프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예컨대 크레이프지나 티슈 페이퍼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main body
본체 흡수체(30)는, 적어도 착용자의 배설구가 접촉하는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배설구 접촉 영역의 중심이란, 착용자의 배설구가 접촉하는 중앙 영역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중심과 일치한다. 예컨대, 윙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윙부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중앙 영역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된다. 또한, 윙부를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체의 폭 방향의 길이 치수가 가장 짧은 위치가, 중앙 영역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된다. 또한, 배설구 접촉 영역은, 착용자의 고간부와 접촉하는 영역에 포함되어 있고,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위치한다.The main body
플랩 흡수체(35)는, 본체 흡수체(30)보다 폭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플랩 흡수체(35)는, 플랩부(6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플랩 흡수체(35)는, 흡수성 물품의 외측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후술에서 설명함)보다 내측에 위치한다.The flap absorbent body (35)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body absorbent body (30). The flap absorbent body 35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outer edge of the
흡수성 물품(1)에서는, 본체 표면 시트(11) 또는 플랩 표면 시트(12)와, 이면 시트(20)의 주연부가 접합되어, 본체 흡수체가 봉입된다. 흡수성 물품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가 접합된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85)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되어 있다. 또한,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의 접합 방법으로서는, 히트 엠보스 가공, 초음파, 또는 핫 멜트 접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이면 시트(20)에 있어서, 속옷과 접촉하는 표면에는, 복수의 영역에 있어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마련되어 있다(도 2 참조). 접착부는, 본체부의 이면측에 마련되어, 속옷의 크로치부에 흡수성 물품(1)을 고정하기 위한 중앙 접착부(51)와, 윙부(43)의 이면측에 마련되어, 크로치부를 감아 윙부(43)를 고정하기 위한 윙 접착부(52)와, 플랩부(60)의 이면측에 마련되어, 속옷의 뒷길에 대하여 플랩부를 펼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플랩 접착부(53)를 갖는다.In the
사용 전의 상태에서는, 접착제는, 도시하지 않는 박리 시트에 접하고 있다. 박리 시트는, 사용 전에 접착제가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 착용자에 의해 박리 시트가 박리된다.In the state before use, the adhesive is in contact with a release sheet (not shown). The release sheet prevents the adhesive from deteriorating before use. Then, the release sheet is peeled off by the wearer during use.
또한, 박리 시트를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을 개별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에 의해 사용 전에 접착제가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접착제와 포장 시트가 접하는 경우에는, 포장 시트의 표면에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접착제를 박리 가능하게 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no release sheet, the adhesive sheet may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before use by a package sheet for individually packaging the absorbent article. When the adhesive and the package shee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package sheet is treated so that the adhesive can be peeled off without lower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흡수성 물품(1)에는, 표면 시트(10) 및 본체 흡수체(3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본체 엠보스부(80)와, 표면 시트 및 플랩 흡수체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한 플랩 엠보스부(7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엠보스부(80) 및 플랩 엠보스부(70)는, 적어도 표면 시트(10) 및 본체 흡수체를 두께 방향(T)으로 압착하고, 또는 적어도 표면 시트(10) 및 플랩 흡수체를 두께 방향(T)으로 압착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좋으며, 여러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스 가공이나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격자망이나 벌집 형상이어도 좋다.The
플랩부(60)는, 폭 방향의 길이가, 그 전후의 영역의 폭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복수의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잘록부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1 잘록부(61)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2 잘록부(62)를 갖는다.The
플랩부(60)는, 제1 잘록부(61)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1 플랩부(63)와, 제1 잘록부(61)보다 후방으로서, 제2 잘록부(62)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2 플랩부(64)와, 제2 잘록부(62)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3 플랩부(65)를 갖는다.The
제1 플랩부(63)는, 윙부(43)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단부 중,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내측 단부(43RI)로부터 제1 잘록부(61)까지의 영역이며, 후방 내측 단부(43RI)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플랩부(63)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최대 폭 위치(외측 단부)(63WM)는, 제1 잘록부(61)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1 최대 폭 위치(63WM)는, 제1 플랩부(63)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한다.The
제2 플랩부(64)는, 제1 플랩부(63)의 후단부가 되는 제1 잘록부(61)로부터 제2 잘록부(62)까지의 영역이며, 제1 잘록부(61)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 플랩부(64)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최대 폭 위치(외측 단부)(64WM)는, 제2 잘록부(62)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2 최대 폭 위치(64WM)는, 제2 플랩부(64)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한다.The
제3 플랩부(65)는, 제2 플랩부(64)의 후단부가 되는 제2 잘록부로부터 플랩부의 후방측 단부까지의 영역이며, 제2 잘록부(62)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3 플랩부(65)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3 최대 폭 위치(외측 단부)(65WM)는, 제2 잘록부(62)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제3 최대 폭 위치(65WM)는, 제3 플랩부(65)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한다.The
이어서, 플랩 엠보스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플랩 엠보스부는, 윙부(43)의 후방 내측 단부(43RI) 근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랩 엠보스부(71)와, 제1 플랩 엠보스부(71)로부터 분기하고, 또한 제1 잘록부(61)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플랩 엠보스부(72)와, 제1 플랩 엠보스부(71)로부터 분기하고, 제2 잘록부(62)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3 플랩 엠보스부(73)와, 제1 플랩 엠보스부(71)로부터 분기하고, 제3 플랩부(65)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3 최대 폭 위치(65WM) 근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4 플랩 엠보스부(74)를 갖는다. 플랩 엠보스부(70)는, 플랩 흡수체(35)가 배치된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Next, the flap embossed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lap embossing section includes a first
이와 같이 구성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플랩 흡수체를 갖기 때문에, 플랩부에 있어서도 체액을 흡수할 수 있어, 뒤로 샘이나 옆으로 샘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잠자는 자세 등에 있어서는, 둔부와 흡수성 물품의 간극으로부터 경혈 등이 누설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플랩부(60)에, 플랩 흡수체(3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뒤로 샘 등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sorbent article thus constructed, since the flap absorbent body has the flap absorbent body,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body fluids and to suppress the fountain back and the lateral fountain. For example, in a sleeping posture, menstrual blood or the like may leak from the gap between the buttocks and the absorbent article. However, since the flap absorber 35 is provided in the
또한, 플랩부(60)에 플랩 흡수체(3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부의 강성이 높아져, 플랩부가 변형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2 플랩 엠보스부(72), 제3 플랩 엠보스부(73), 및 제4 플랩 엠보스부(74)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 엠보스부가 힘이 가해지는 방향을 따르기 때문에, 플랩 엠보스부가 접는 기점이 되어, 플랩부가 자연스럽게 절첩된다. 따라서, 플랩부(60)가 신체에 대해서도, 속옷에 대해서도 무리없이 적합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랩부에 무질서한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위화감이 없는 변형이 가능하여, 산뜻한 장착감이 얻어진다.Further, since the flap absorber 35 is provided in the
플랩 엠보스부는,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복수의 엠보스 구성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플랩 엠보스부(72), 제3 플랩 엠보스부(73), 및 제4 플랩 엠보스부(74)는, 복수의 점형의 엠보스 구성부의 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점형의 엠보스 구성부는, 라인형으로 배치되고, 서로 연속하고 있지 않다. 복수의 점형의 엠보스 구성부의 집합체에 의하면, 라인형으로 연속하는 엠보스 구성부와 비교하여, 엠보스 구성부에 의해 플랩부가 지나치게 딱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부가 신체의 라인을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기 쉬워져, 플랩부를 보다 신체에 피트시킬 수 있다.The flap embossed portion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embossed constituent portions 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Specifically, the second
또한, 제1 플랩 엠보스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윙부(43)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플랩부의 후방측 단부까지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체액이 확산되었을 때에, 제1 플랩 엠보스부에서 체액을 인입하여, 제1 플랩 엠보스부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체액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first flap embossing portion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to be connected from the rear side end of the
또한, 플랩 엠보스부는, 폭 방향에 있어서 복수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플랩 엠보스부는, 제2 플랩 엠보스부, 제3 플랩 엠보스부, 및 제4 플랩 엠보스부와 폭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다. 제2 플랩 엠보스부는, 제1 플랩 엠보스부 및 제3 플랩 엠보스부와 폭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다. 제3 플랩 엠보스부는, 제1 플랩 엠보스부, 제2 플랩 엠보스부, 및 제4 플랩 엠보스부와 폭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다.Further, a plurality of flap embossed portions are arranged overlapping in the width direction. Specifically, the first flap embossing portion overlaps the second flap embossing portion, the third flap embossing portion, and the fourth flap emboss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flap embossing portion overlaps the first flap embossing portion and the third flap emboss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third flap embossed portion overlaps the first flap embossed portion, the second flap embossed portion, and the fourth flap embosse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플랩 엠보스부가, 폭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체액이 흐른 경우에, 제1 플랩 엠보스부, 제2 플랩 엠보스부(72), 제3 플랩 엠보스부(73), 및 제4 플랩 엠보스부(74)에 의해, 이중, 삼중으로 체액을 인입하여, 흡수성 물품의 외측 가장자리에 체액이 도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When the body fluids flow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flap embossed
또한, 제1 플랩 엠보스부(71)는, 윙부(43)의 후방측 단부의 근방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윙부 근방에 있어서 착용자의 다리에 의해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압박되었을 때에, 변형 기점이 된다. 이 제1 플랩 엠보스부(71)로부터 분기하여 복수의 플랩 엠보스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윙부(43) 근방에 있어서 크게 변형된 경우라도, 복수의 플랩 엠보스부를 기점으로 하여 변형할 수 있어, 플랩부 전체가 유연하게 변형 가능해진다.Since the first
또한, 제1 플랩 엠보스부(71)는, 윙부(43)의 후방측 단부보다 후방으로서, 윙부(43)의 후방측 단부와 이격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플랩 엠보스부(71)는, 예컨대, 윙부(43)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The first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양 단부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85)가 마련되어 있다.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85)는,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복수의 엠보스 구성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85)는, 복수의 점형의 엠보스 구성부의 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점형의 엠보스 구성부는, 라인형으로 배치되며, 서로 연속하고 있지 않다.The outer edge embossed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점형의 엠보스 구성부는, 플랩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점형의 엠보스 구성부와 형상 또는 깊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랩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의 면적은,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점형의 엠보스 구성부의 면적보다 크다. 또는, 플랩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점형의 엠보스 구성부의 깊이는,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점형의 엠보스 구성부의 깊이보다 깊다.The embossment forming portion of the dot shape constituting the outer edge embossing portion is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shape or depth from the embossing forming portion of the dot embossing constituting the flap embossing portion. Specifically, the area of the embossed constituent portion constituting the flap embossed portion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embossed constituent portion of the pointed type constituting the outer-edge embossed portion. Alternatively, the depth of the dot-shaped embossed constituent portion constituting the flap embossed portion is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dotted embossed constituent constituting the outer-edge embossed portion.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보다 내측에, 플랩 엠보스부가 실질적으로 연속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외측 가장자리로 체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플랩 엠보스부(72), 제3 플랩 엠보스부(73), 및 제4 플랩 엠보스부(74)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어, 체액을 인입 가능한 플랩 엠보스부가, 흡수성 물품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옆으로 샘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Since the flap embossed portion is disposed substantially inside the outer edge embossed portion so as to be substantially continuo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fluid from flowing to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addition, the user can clearly recognize the second
또한, 플랩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는,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보다 면적이 크고 또는 깊이가 깊어, 눈에 띄기 쉽다. 따라서, 비교적 플랩 엠보스부를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옆으로 샘을 막는 것인 플랩 엠보스부를 알아차리기 쉬워져, 보다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Further, the embossed constituent part constituting the flap embossed part is larger than the embossed constituent part constituting the outer-edge embossed part, or is deeper in depth, and is more conspicuous. Therefore, the flap emboss part can be made relatively prominen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flap embossed portion which is laterally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clogs the fountain, so that more relief can be obtained.
또한, 플랩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의 형상과,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의 형상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엠보스 구성부의 형상이 상이한 것은, 원 형상과 삼각 형상 등, 외형의 형상이 상이한 구성뿐만 아니라, 형상이 동일하고 크기가 상이한 상사형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플랩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의 형상과,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의 형상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체액을 인입 가능한 플랩 엠보스부가 흡수성 물품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옆으로 샘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embossed constituent part constituting the flap emboss part and the shape of the embossed constituent part constituting the outer edge emboss part are different. The emboss constituent parts are different in shape from each other not only in the shape of the outer shape such as the circular shape and the triangular shape but also in the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nd different size. The shape of the embossed constituent part constituting the flap embossed part and the shape of the embossed constituent part constituting the outer edge embossed part ar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lap emboss part in which the body fluids can be introduced is present inside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It can be recognized,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sense of security that the fountain is not easily generated on the side.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와 플랩 엠보스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와 플랩 엠보스부가 연속하고 있으면, 플랩 엠보스부에 의해 인입된 체액이,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에 전파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와 플랩 엠보스부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플랩 엠보스부에 의해 인입된 체액이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에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The outer edge embossed portion and the flap embossed portion are disposed with an interval. For example, if the outer edge embossed portion and the flap embossed portion are continuous, the body fluid drawn by the flap embossed portion may be propagated to the outer edge embossed portion. However, since the outer edge embossed portion and the flap embossed portion are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fluid drawn by the flap embossed portion from propagating to the outer edge embossed portion, and to suppress leakage of the body fluid.
다음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제1 단계로서, 표면 시트 생성 공정을 행한다. 이어서, 제2 단계로서, 표면 시트 접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표면 시트(11)와 플랩 표면 시트(12)를, 예컨대 열 용착에 의해 접착한다.Next, a par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제3 단계로서, 흡수체 성형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성형 드럼에 의해 흡수체의 재료가 되는 펄프를 성형하여 본체 흡수체 및 플랩 흡수체를 성형한다. 또한, 제1 단계 및 제2 단계의 표면 시트의 제조 공정과, 제3 단계의 흡수체 성형 공정의 순서는, 반대의 순서여도 좋다.As the third step, an absorber molding process is performed. Specifically, a pulp to be a material of an absorbent body is formed by a forming drum to form a main body absorbent body and a flap absorbent body. The order of the steps of manufacturing the topsheet in the first and second steps and the step of forming the absorbent body in the third step may be reversed.
제4 단계에 있어서, 접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3 단계에 있어서 성형한 본체 흡수체 및 플랩 흡수체와, 제2 단계에 있어서 접합한 표면 시트 및 사이드 시트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행한다.In the fourth step, a bonding step is performed. Specifically, a joining step for joining the topsheet and the side sheet joined in the second step to the main body absorbent body and the flap absorbent molded in the third step is performed.
제5 단계에 있어서, 압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흡수체와 표면 시트(10)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본체 엠보스부(80)를 형성하고, 또한 플랩 표면 시트(12)와 플랩 흡수체(35)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플랩 엠보스부(70)를 형성한다. 제6 단계에 있어서, 이면 시트 접합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엠보스부를 형성한 흡수체 및 표면 시트 등과, 이면 시트를 접합한다. 상기 단계 후,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85)를 형성하는 공정과,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마련한다. 상기 공정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In the fifth step, a pressing process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main body absorbent body and the
이어서,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의 일부의 표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은, 엠보스 플랩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가 도형 형상을 나타내는 도형 엠보스 구성부(91)와, 무늬 형상을 나타내는 무늬 엠보스 구성부(92)를 갖는다.Next, the
도형 엠보스 구성부(91)는, 도형 형상을 나타내는 엠보스부이다. 또한, 도형 형상이란, 점, 선, 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 등의 다각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무늬 엠보스 구성부(92)는, 무늬 형상을 나타내는 엠보스부이다. 또한, 무늬 형상이란, 별 무늬, 하트 무늬, 잎 무늬, 꽃 무늬 등, 여러가지 모양이나 그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embossed embossed
무늬 엠보스 구성부(92)를 가짐으로써,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A)을 귀엽게 장식할 수 있어, 사용자의 생리시의 우울한 기분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무늬 엠보스 구성부(92)는, 라인형의 엠보스부와 비교하여 눈에 띄기 쉬워, 사용자가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85)보다 내측에 체액을 흡수하는 엠보스부가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옆으로 샘에 대한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By having the pattern emboss forming
또한, 무늬 엠보스 구성부(92)의 면적은, 도형 엠보스 구성부(91)의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무늬 엠보스 구성부(92)는, 도형 엠보스 구성부(91)보다 눈에 띄기 쉬워, 안표의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플랩부(60)에 경혈이 확산된 경우, 플랩 엠보스부는, 경혈을 인입하여 번진다. 그때, 비교적 면적이 큰 무늬 엠보스 구성부에 경혈이 번지기 때문에, 경혈이 번진 무늬 엠보스 구성부를 사용자가 시인하여,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 쉬워진다.Further, the area of the embossed
도형 엠보스 구성부(91)는, 소정의 라인 상에 배치되어 있고, 무늬 엠보스 구성부는, 라인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라인은, 직선형의 라인뿐만 아니라, 곡선형의 라인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형 엠보스 구성부(91)를 소정의 라인 상에 배치함으로써, 도형 엠보스 구성부(91)를 치밀하게 배치할 수 있고, 이 도형 엠보스 구성부에서 체액을 인입하여, 옆으로 샘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무늬 엠보스 구성부(92)를 도형 엠보스 구성부(91)가 배치된 라인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무늬 엠보스 구성부(92)를 눈에 띄게 할 수 있어, 옆으로 샘 방지 기능을 확보하면서, 미관을 높일 수 있다.The embossed embossed
무늬 엠보스 구성부(92)의 소정 라인과 직교하는 폭 치수(W92)는, 소정의 라인의 폭(W91)보다 크다. 무늬 엠보스 구성부(92)의 소정 라인과 직교하는 폭 치수가, 도형 엠보스 구성부(91)가 배치된 라인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무늬 엠보스 구성부(92)를 눈에 띄게 할 수 있어,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무늬 엠보스 구성부(92)의 면적이 크기 때문에, 도형 엠보스 구성부(91)의 전체에 체액이 침투한 경우라도, 무늬 엠보스 구성부(92)의 전체에 체액이 침투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무늬 엠보스 구성부(92)에 의해 교체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The width dimension W92 perpendicular to the predetermined line of the pattern embossed
또한, 무늬 엠보스 구성부(92)가, 도형 엠보스 구성부(91)가 배치된 라인으로부터 어긋나게 있으면, 도형 엠보스 구성부(91)가 배치된 부분에 의해, 플랩부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윙부의 이음부 근방을 기점으로 하여 플랩부가 변형될 때는, 일정 라인형으로 배치된 도형 엠보스부가 변형 기점이 된다. 이때, 도형 엠보스 구성부의 라인으로부터 어긋난 무늬 엠보스 구성부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플랩부의 변형이 멈추기 쉬워져, 플랩부의 지나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늬 엠보스 구성부(92)의 폭이, 도형 엠보스 구성부(91)의 폭보다 크면, 무늬 엠보스 구성부(92)가, 도형 엠보스 구성부(91)가 배치된 라인으로부터 튀어나와, 플랩부의 변형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embossed
또한, 무늬 엠보스 구성부는, 도형 엠보스 구성부의 라인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늬 엠보스 구성부는, 도형 엠보스 구성부의 라인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경우에는, 전방에 위치하는 윙부측으로부터 플랩부가 변형되었을 때에, 후방을 향하여 변형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attern embossed constituent part is arranged behind the line of the embossed constituent part of the figure emblem. In the case where the pattern embossed constituent part is arranged behind the line of the embossed constituent part of the graphic form,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formation of the flap part toward the rear when the flap part is deformed from the wing part side located at the front side.
도형 엠보스 구성부(91)는, 복수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무늬 엠보스 구성부(92)는, 도형 엠보스 구성부(9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무늬 엠보스 구성부(92)와 도형 엠보스 구성부(91)의 간격(P1)은, 도형 엠보스 구성부(91)끼리의 간격(P2)보다 크다. 무늬 엠보스 구성부(92)와 도형 엠보스 구성부(91)의 간격을 도형 엠보스 구성부(91)끼리의 간격보다 크게 함으로써, 무늬 엠보스 구성부(92)를 눈에 띄게 할 수 있어, 미관을 높일 수 있다.A plurality of embossed embossed
또한,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가, 무늬 엠보스 구성부(92)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의 외측 가장자리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는, 점형이나 격자형의 엠보스 구성부에 의해, 간극없이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mboss constituent part constituting the outer edge emboss part may include a pattern emboss
또한, 변형예 1에 따른 플랩 엠보스부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2열 마련되어 있다. 후방에 위치하는 플랩 엠보스부는, 플랩부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최대 팽출부로서의 제3 최대 폭 위치(65WM)보다 전방의 영역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플랩부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3 최대 폭 위치(65WM)보다 후방의 영역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The flap embossing portion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1 is provided with two row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ar flap emboss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rear side in the region ahead of the third maximum width position 65WM as the maximum swelling portion located at the outermost widthwise position in the flap portion And extends rearward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a region behind the third maximum width position 65WM located at the outermost widthwise position in the flap portion.
플랩부의 외형은, 최대 팽출부보다 전방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후방을 향하여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최대 팽출부보다 후방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후방을 향하여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플랩 엠보스부가, 플랩부의 외형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플랩부의 후방측의 외측 가장자리(특히, 최대 팽출부보다 후방측의 외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flap portion extends substantially in the rearward direction from the widthwis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wise direction forward of the maximum swollen portion and extends rearward substantially rearward from the widthwise outer side to the widthwise inner side Lt; / RTI > Since the flap embossed portion is dispos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flap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at the outer edge of the back side of the flap portion (in particular, at the outer edge on the rear side from the maximum swelled portion).
또한, 변형예 1에 따른 플랩부에는, 윙부의 후방 내측 단부 근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랩 엠보스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제1 플랩 엠보스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In the flap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the first flap embossed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vicinity of the rear inner end of the wing is not provided, but the first flap embossed portion may be provided.
이어서,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1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부의 표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B)은, 플랩 엠보스부로서, 제3 플랩 엠보스부(73), 및 제4 플랩 엠보스부(74)를 갖는다. 이들 플랩 엠보스부는, 각각 제1 엠보스 구성부(93) 및 제2 엠보스 구성부(9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Next, the
제1 엠보스 구성부(93)는, 적어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엠보스부이며, 제2 엠보스 구성부(94)는, 제1 엠보스 구성부(93)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적어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엠보스부이다. 제1 엠보스 구성부(93)와 제2 엠보스 구성부(94)는, 폭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다. 또한, 제1 엠보스 구성부(93)와 제2 엠보스 구성부(94)가 폭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는 상태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상에 제1 엠보스 구성부(93)의 일부와 제2 엠보스 구성부(94)의 일부가 위치하는 상태이다.The first
제1 엠보스 구성부(93)와 제2 엠보스 구성부(94)가, 폭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체액이 흐른 경우에, 제3 플랩 엠보스부(73), 및 제4 플랩 엠보스부(74)의 각각에 있어서, 이중으로 체액을 인입하여, 흡수성 물품의 외측 가장자리에 체액이 도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Since the first embossed
또한, 변형예 2에 따른 플랩부에는, 윙부의 후방 내측 단부 근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랩 엠보스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제1 플랩 엠보스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In the flap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the first flap embossed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vicinity of the rear inner end of the wing portion is not provided, but the first flap embossed portion may be provided.
이어서, 변형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1C)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변형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1C)의 일부의 표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변형예 3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본체 엠보스부(80)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와, 플랩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는, 동일 또는 상사형이다.Next, the
구체적으로는, 본체 엠보스부(80)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의 형상은, 플랩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의 형상과 동일하다. 본체 엠보스부(80)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의 크기는, 플랩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의 형상과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embossed constituent portion constituting the main body embossed
이와 같이, 플랩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를, 본체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와 동일 또는 상사형으로 함으로써, 본체부(2)뿐만 아니라, 플랩부(60)에 있어서도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을 강조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심감을 높일 수 있다.By making the embossed constituent portion constituting the flap embossed portion the same or like the embossed constituent portion constituting the body portion in this way, not only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하였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여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constituting a part of this disclosure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disclosure various alternative embodiments, embodiments and operational techniques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예컨대, 플랩부(60)에는,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각 플랩부의 최대 폭 위치는, 반드시 각 플랩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복수의 플랩부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는 플랩부는, 반드시 전방에 위치하는 플랩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여도 좋으며, 폭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For example, the
또한, 플랩 엠보스부의 후단부는, 반드시 잘록부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잘록부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플랩 엠보스부는, 플랩 접착부와 반드시 두께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일부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플랩부의 착용자에 대한 접촉면은, 반드시 에어 스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엠보스부는, 간헐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도트형의 집합체이지만, 선형의 엠보스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랩 엠보스부는,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이면 시트측으로 압축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예컨대, 이면 시트측으로부터 표면 시트측으로 압축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Further,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lap embossed portion may not necessarily be located in the constricted portion, or may be arranged to be out of alignment with the constricted portion. The flap embossed portion may not necessarily be arranged to be shif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flap adhered portion, or may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flap embossed porti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lap portion with respect to the wearer may not always be constituted by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The flap emboss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lurality of dot-like aggregates arranged intermittently, but it may be constituted by a linear embossing portion. The flap emboss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being compressed from the side of the topsheet to the side of the backsheet, but may be formed compressed from the backsheet side to the side of the topsheet.
또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3-017008호(2013년 1월 31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다.The entir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3-017008 (filed on January 31, 2013)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장착시에 있어서의 플랩부의 주름이나 비틀림을 억제하고, 또한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배치하여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restraining wrinkles and twisting of the flap portion at the time of wearing and arranging it along the wearer's body to suppress deterioration of the wearing feeling.
L…길이 방향
T…두께 방향
W…폭 방향
1, 1A, 1B…흡수성 물품
2…본체부
10…표면 시트
11…본체 표면 시트
12…플랩 표면 시트
20…이면 시트
30…본체 흡수체
35…플랩 흡수체
43…윙부
43RI…후방 내측 단부
51…중앙 점착제
52…윙 점착제
53…플랩 점착제
60…플랩부
61…제1 잘록부
62…제2 잘록부
63…제1 플랩부
63WM…제1 최대 폭 위치
64…제2 플랩부
64WM…제2 최대 폭 위치
65…제3 플랩부
65WM…제3 최대 폭 위치
70…플랩 엠보스부
71…제1 플랩 엠보스부
72…제2 플랩 엠보스부
73…제3 플랩 엠보스부
74…제4 플랩 엠보스부
80…본체 엠보스부
91…도형 엠보스 구성부
92…무늬 엠보스 구성부
93…제1 엠보스 구성부
94…제2 엠보스 구성부L ... Lengthwise
T ... Thickness direction
W ... Width direction
1, 1A, 1B ... Absorbent article
2… The body portion
10 ... Surface sheet
11 ... Body surface sheet
12 ... Flap top sheet
20 ... Back sheet
30 ... Body absorber
35 ... Flap absorber
43 ... Wing
43RI ... Rearward medial end
51 ... Central adhesive
52 ... Wing adhesive
53 ... Flap adhesive
60 ... Flap portion
61 ... The first constriction
62 ... The second constriction
63 ... The first flap portion
63WM ... The first maximum width position
64 ... The second flap portion
64WM ... The second maximum width position
65 ... The third flap portion
65WM ... Third maximum width position
70 ... Flap emboss part
71 ... The first flap emboss part
72 ... The second flap emboss part
73 ... The third flap emboss part
74 ... The fourth flap emboss part
80 ... Embossed body
91 ... Embossed embossed part
92 ... Pattern embossing component
93 ... The first embossment component
94 ... The second embossing component
Claims (10)
본체 흡수체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착용자의 속옷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 되접어 꺾이는 윙부와,
상기 윙부보다 후방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랩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랩부는, 플랩 흡수체와, 상기 플랩 흡수체보다 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는 플랩 표면 시트를 가지며,
상기 플랩부에는, 상기 플랩 흡수체와 상기 플랩 표면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한 플랩 엠보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랩 엠보스부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플랩 엠보스부보다 상기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를 갖고,
상기 플랩 엠보스부의 깊이는 상기 외측 가장자리 엠보스부의 깊이보다 깊으며,
상기 본체 흡수체와 상기 플랩 흡수체는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플랩 엠보스부는, 상기 윙부의 상기 폭 방향의 내측 단부 중,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내측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랩 엠보스부와, 상기 제1 플랩 엠보스부로부터 분기하고, 또한 후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랩 엠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 흡수체와 상기 플랩 흡수체의 두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And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main body absorbent body,
A w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folding back toward the skin non-contact side of the wearer's undergarment,
And a flap portion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portion at a rear side of the wing portion,
Wherein the flap portion has a flap absorbent body and a flap top sheet positioned on the skin contact surface side of the flap absorbent body,
Wherein the flap portion is formed with a flap embossed portion formed by pressing the flap absorbent body and the flap top 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lap embossing portion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rear,
And an outer edge embossed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edge of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flap embossed portion,
The depth of the flap embossed portion is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outer edge embossed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absorbent body and the flap absorbent body are integrated,
Wherein the flap emboss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lap emboss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n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a rear side from a rear inner end portion located rearward of the widthwise inner end portion of the wing portion, And a second flap embossing portion branched from the first flap embossing portion and extending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widthwise inner side toward the rear side,
Wherein the main absorbent body and the flap absorbent body have the same thickness.
상기 플랩 엠보스부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복수의 엠보스 구성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엠보스 구성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lap emboss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embossing portions 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embossed constituent parts are disposed with an interval.
상기 플랩 엠보스부는 복수 마련되어 있고,
하나의 플랩 엠보스부와 다른 플랩 엠보스부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lurality of flap embossing portions are provided,
And one of the flap embossed portions and the other of the flap embossed portions overlap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도형 엠보스 구성부는 소정의 라인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무늬 엠보스 구성부는 상기 라인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gure embossed constituent part is arranged on a predetermined line,
And the pattern embossed constituent part is disposed shifted from the line.
상기 도형 엠보스 구성부는 복수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무늬 엠보스 구성부는 상기 도형 엠보스 구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늬 엠보스 구성부와 상기 도형 엠보스 구성부의 간격은 상기 도형 엠보스 구성부끼리의 간격보다 큰 흡수성 물품.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gure embossed constituent parts are arranged in plural adjacency,
Wherein the pattern embossed constituent part is arranged between the figure embossed constituent parts,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pattern embossed constituent part and the figure embossed constituent part is larg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figure embossed constituent parts.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 흡수체를 덮는 본체 표면 시트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 흡수체와 상기 본체 표면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는 본체 엠보스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와 상기 플랩 엠보스부를 구성하는 엠보스 구성부는 동일 또는 상사형인 흡수성 물품.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in body portion has a main body surface sheet covering the main body absorbent body,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main body embo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main body absorbent body and the main body top sheet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rein the embossed portion constituting the main body embossed portion and the embossed portion constituting the flap embossed portion are the same or simil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017008 | 2013-01-31 | ||
JP2013017008A JP6219573B2 (en) | 2013-01-31 | 2013-01-31 | Absorbent articles |
PCT/JP2014/051911 WO2014119601A1 (en) | 2013-01-31 | 2014-01-29 | Absorbent art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4945A KR20150114945A (en) | 2015-10-13 |
KR101968380B1 true KR101968380B1 (en) | 2019-04-11 |
Family
ID=5126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9431A Active KR101968380B1 (en) | 2013-01-31 | 2014-01-29 | Absorbent articl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219573B2 (en) |
KR (1) | KR101968380B1 (en) |
CN (1) | CN104955428B (en) |
TW (1) | TWI618529B (en) |
WO (1) | WO201411960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56137B2 (en) * | 2014-12-24 | 2019-01-2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6147842B1 (en) * | 2015-12-28 | 2017-06-1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6203906B1 (en) * | 2016-06-14 | 2017-09-27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6207675B1 (en) * | 2016-06-14 | 2017-10-04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6232473B1 (en) * | 2016-06-14 | 2017-11-15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6211151B1 (en) * | 2016-07-27 | 2017-10-11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KR20190000902U (en) * | 2016-09-30 | 2019-04-10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Absorbent article |
JP6360539B2 (en) * | 2016-11-25 | 2018-07-18 | 大王製紙株式会社 | Individual absorbent article,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folding absorbent article |
JP6458102B1 (en) * | 2017-08-30 | 2019-01-23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WO2019131132A1 (en) * | 2017-12-27 | 2019-07-0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
JP2019115597A (en) * | 2017-12-27 | 2019-07-1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
JP7090420B2 (en) * | 2017-12-28 | 2022-06-24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
JP7091101B2 (en) * | 2018-03-20 | 2022-06-27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
EP3923890B1 (en) * | 2019-02-15 | 2025-04-02 |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 Absorbent article |
CN112603654A (en) * | 2020-12-09 | 2021-04-06 |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 Online positioning local finishing process for disposable sanitary produc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4496A (en) | 2004-07-26 | 2006-02-09 | Kao Corp | Absorbent article |
JP2008125761A (en) | 2006-11-20 | 2008-06-05 | Kao Corp | Absorbent article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79005A (en) * | 1985-06-05 | 1986-12-09 | 株式会社フジクラ | Resistance wire |
TWI228984B (en) * | 2001-09-11 | 2005-03-11 | Uni Charm Corp | Absorbent article |
EP1949881A4 (en) * | 2005-11-02 | 2009-03-11 | Uni Charm Corp | Absorbent article |
JP5383063B2 (en) * | 2008-03-04 | 2014-01-0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EP2292200A4 (en) * | 2008-05-28 | 2012-12-26 | Unicharm Corp | Absorptive article and sanitary napkin |
JP5371816B2 (en) * | 2010-02-03 | 2013-12-1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5082006B1 (en) * | 2011-09-30 | 2012-11-2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
2013
- 2013-01-31 JP JP2013017008A patent/JP6219573B2/en active Active
-
2014
- 2014-01-29 WO PCT/JP2014/051911 patent/WO201411960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1-29 TW TW103103556A patent/TWI618529B/en active
- 2014-01-29 CN CN201480006893.9A patent/CN104955428B/en active Active
- 2014-01-29 KR KR1020157019431A patent/KR1019683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4496A (en) | 2004-07-26 | 2006-02-09 | Kao Corp | Absorbent article |
JP2008125761A (en) | 2006-11-20 | 2008-06-05 | Kao Corp | Absorbent arti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4945A (en) | 2015-10-13 |
TW201507705A (en) | 2015-03-01 |
WO2014119601A1 (en) | 2014-08-07 |
CN104955428A (en) | 2015-09-30 |
TWI618529B (en) | 2018-03-21 |
JP2014147461A (en) | 2014-08-21 |
JP6219573B2 (en) | 2017-10-25 |
CN104955428B (en) | 2018-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8380B1 (en) | Absorbent article | |
KR101661386B1 (en) | Absorbent article | |
JP5946679B2 (en) | Absorbent articles | |
US7887527B2 (en) | Absorbent article and inner absorbent article | |
TWI603722B (en) | Absorbent article | |
KR101291963B1 (en) | Absorbent article | |
KR101291848B1 (en) | Absorbent article | |
US20100280475A1 (en) |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body | |
JP5297785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 |
WO2017169391A1 (en) | Absorbent article | |
JP4628286B2 (en) | Absorbent articles | |
JP6043643B2 (en) |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5924921B2 (en) | Absorbent articles | |
JP6220805B2 (en) |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 |
JP2013059534A (en) | Absorbent article | |
JP2013121462A5 (en) | ||
JP2009136600A (en) | Absorbent article | |
JP6308646B2 (en) | Absorbent articles | |
TWI849220B (en) | Absorbent articles | |
JP5993235B2 (en) |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 |
JP5934506B2 (en) | Absorbent articles | |
JP5887442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 |
WO2018037784A1 (en) | Absorbent article | |
JP2012115346A (en) | Absorptive article | |
JP2013059533A (en) | Absorbent art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1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