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7985B1 - Electric precipitating panel having water screen - Google Patents

Electric precipitating panel having water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985B1
KR101967985B1 KR1020170088393A KR20170088393A KR101967985B1 KR 101967985 B1 KR101967985 B1 KR 101967985B1 KR 1020170088393 A KR1020170088393 A KR 1020170088393A KR 20170088393 A KR20170088393 A KR 20170088393A KR 101967985 B1 KR101967985 B1 KR 101967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dust
plate
dispersion
cleaning liquid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7552A (en
Inventor
김용진
김학준
한방우
우창규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8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985B1/en
Publication of KR2019000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5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98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막형 전기집진판에 관한 것으로서,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집진부; 상기 전기집진부의 일면 상단부에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전기집진부 일면과의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가지는 분산공간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분산판; 및 상기 분산공간에 압력을 가지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용이하게 전기집진판의 면 전체에 대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yp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plate, and more particularly, At least one dispersion plate spaced apart from an upper end of on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to form a dispersion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etween th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And a cleaning liquid supply pipe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having a pressure to the dispersion space.
Thus,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water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Description

수막형 전기집진판{Electric precipitating panel having water scree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수막형 전기집진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집진판의 면 전체에 대하여 수막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수막형 전기집진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film-type electric dust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film-type electric dust collector capable of easily forming a water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소각장이나 공장과 같은 산업시설에서 배출하는 가스에는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가 다량 포함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집진기를 이용하여 배출 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해줄 필요가 있다.Gas discharged from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incinerators and factories often contains large amounts of fine dust harmful to human bo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by using a dust collector.

집진기는 크게 전기집진식 또는 여과식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전기집진식의 집진기는 고전압으로 방전을 일으켜 이온을 발생시키고 상기 이온에 의해 미세먼지를 하전시킨 후, 전압이 인가되어 정전기적 인력을 발생시키는 전기집진판으로 하전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The dust collector is divided into an electric dust collecting type or a filtration type. Among them, the dust collector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generates a discharge at a high voltage to generate ions, charges the fine dust by the ions, and then collects the charged fine dust by an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which generates electrostatic attractive force.

그런데 집진 과정이 진행되어 상기 전기집진판에 집진된 미세먼지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집진의 효율은 저하되므로, 높은 집진 효율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전기집진판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해줄 필요가 있다.However, as the dust collecting process proceeds and the amount of fine dust collected o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increases,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dust decreases.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high dust collecting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remove fine dust adhering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종래에는 전기집진판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기집진판을 해머로 타격하는 방법, 전기집진판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방법 또는 전기집진판에 수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는데, 해머로 타격하는 방법은 전기집진판에 부착되었던 미세먼지를 다시 비산시켜 비산된 먼지가 가스와 함께 배출될 수 있으며 소음을 발생시키고, 세정액을 분사하는 방법은 전기집진판에 부착되었던 미세먼지를 다시 비산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remove fine dust adhering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a method of hitting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with a hammer, a method of spraying a cleaning liquid onto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or a method of forming a water film o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has been used. The dust that has been attached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may be scattered again so that the scattered dust may b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gas, the noise is generated, and the method of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has a problem that the fine dust adhered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is scattered again.

수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전기집진판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면서 미세먼지를 다시 비산시키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반면에, 전기집진판에 수막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 전기집진판에서 미세먼지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단점이 갖는다.The method of forming the water film does not cause the problem of scattering the fine dust while removing the fine dust adhered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On the other hand, the disadvantage that the fine dust is not completely removed from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when the water film is not formed entirely o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

본 출원인은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전기집진판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 상기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11월11월29일자로 '수막형성용 친수성 집진판이 설치된 전기집진기'를 출원하여 2012월08월07일에 등록받은 바 있다(등록번호 제10-1173496호).The present applicant filed an application filed on Nov. 29, 2011, entitled "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Hydrophilic Dust Collector for Hydrothermal Formation "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 method of removing fine dust adhering 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by forming a water film And registered on August 07, 2012 (Registration No. 10-1173496).

상기 등록번호 제10-1173496호의 전기집진기는, 배출가스 내의 미세입자를 하전시켜 집진하며, 집진판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집진시 수막을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집진되는 미세입자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집진면인 전면(21)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친수성 처리와 세정액이 공급되는 다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수막용 세정액 공급구(23)가 형성된 집진판(20, 20')을 포함하는 수막형 친수성 집진판(5)과; 상기 수막형 친수성 집진판(5)과 방전극(2)에 세정액을 일시 분사하도록 이루어져 초기 구동시와 일시 정지 후 가동시 건조된 집진판(20, 20')의 집진면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균일한 수막을 형성하도록 유도하고, 방전극(2)을 세척 및 냉각시키는 세정액 분사수단(6)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above reference No. 10-1173496 include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ollecting and collecting fine particles in the exhaust gas and forming a water film on the dust collecting plate.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ms a water film at the time of dust collection to remove fine particles continuously collected And a dust collecting plate (20, 20 ') having a cleaning liquid supply port (23) formed with a hydrophilic treatment and a plurality of holes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to form a water film on the front surface (21) 5); The cleaning liquid is temporarily sprayed to the water film type hydrophilic dust collecting plate 5 and the discharge electrode 2 to supply a cleaning liquid to the dust collecting surfaces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20 and 20 ' And a cleaning liquid spraying means (6) for guiding the liquid to be sprayed and forming the discharge electrode (2), and cleaning and cooling the discharge electrode (2).

상기 수막형 친수성 집진판의 전면에는 다수의 수막용 세정액 공급구를 통해 고르게 세정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세정액은 수막형 친수성 집진판 전면의 친수성에 의해 더 분산된다.The entire surface of the water-film type hydrophilic dust-collecting plate is uniformly supplied with a cleaning liquid through a plurality of water-cleaning liquid supply ports, and the supplied cleaning liquid is further dispersed by the hydrophilic property of the whole surface of the water-

이처럼 상기 등록번호 제10-1173496호의 전기집진기는 전기집진판의 전면 전체에 수막을 형성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 전기집진판에 대하여 친수 처리를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No. 10-1173496 can form a water film on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However, it is troublesome to perform the hydrophilic treatment o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KRKR 10-110530610-1105306 B1B1 KRKR 10-094282410-0942824 B1B1 KRKR 10-117349610-1173496 B1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집진판에 친수 처리와 같은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도 전기집진판의 면 전체에 대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수막형 전기집진판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film-type electric dust collector capable of forming a water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an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operation such as hydrophilic treatment o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

상기한 목적 외에, 본 발명은 전기집진판에 형성되는 수막의 두께를 조절하여 전기집진판에 부착된 미세먼지 제거의 효율을 조절할 수 있는 수막형 전기집진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bas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pable of controlling the efficiency of removing fine dust attached to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a water film formed 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수직하게 세워져 배치되는 전기집진부; 상기 전기집진부의 일면 상단부에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전기집진부 일면과의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가지는 분산공간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분산판; 및 상기 분산공간에 압력을 가지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전기집진판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mpris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med in a plate shape and vertically erected; At least one dispersion plate spaced apart from an upper end of on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to form a dispersion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etween th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And a cleaning liquid supply pipe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having a pressure to the dispersion space.

상기 전기집진부에는, 일단부가 상기 분산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전기집진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전기집진부의 타면에 위치하는 세정액 공급공이 형성되고, 상기 세정액 공급관은 상기 세정액 공급공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leaning liquid supply hole is formed in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the cleaning liquid supply hole having one end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ispersion space, .

상기 수막형 전기집진판은 상기 분산공간의 상단을 폐쇄하는 막음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water-film-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late for closing the upper end of the dispersion space.

상기 전기집진부의 상단에는, 상기 전기집진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반전판이 배치될 수 있다.An inverting plate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may be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상기 수막형 전기집진판은 상기 전기집진부에 대하여 상기 분산판을 이동시켜 상기 분산공간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embrane-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further comprises thickness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dispersion space by moving the dispersion plate 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상기 두께 조절수단은, 상기 전기집진부에 형성되는 너트홀, 상기 분산판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홀에 체결되며 상기 분산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고정대를 구비하는 조절볼트, 및 상기 조절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분산판의 타면을 지지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nut hole formed in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an adjustment bolt penetrating the dispersion plate and coupled to the nut hole and having a fixing base for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And a fixing nut for suppor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상기 분산판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기집진부와 마주하는 상기 분산판의 일면에는, 상기 분산판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회전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dispersion plate may be formed rotatable in place, and a rotation groove inclined with respect to a radial direction of the dispersion plat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facing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상기 전기집진부와 마주하는 상기 분산판의 일면에는, 상기 분산판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해 갈라지는 분산홈이 형성될 수 있다.Dispersion grooves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opposite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ersion plate toward the edge portion.

상기 분산판은 상기 전기집진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세정액 공급관은 상기 분산판 하나당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The dispersion plate is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and a plurality of cleaning liquid supply pipes may be disposed per dispersion plate.

본 발명에 의한 수막형 전기집진판에 의하면, 전기집진판에 친수 처리와 같은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도 전기집진판의 면 전체에 대하여 고르게 수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water-film-type electric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water film evenly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without performing any other operation such as hydrophilic treatment o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상기 수막형 전기집진판에서 수막을 형성하는 세정액의 압력을 방향별로 조절하거나 분산 배출되게 하는 것은 전기집진판의 면 전체에 대하여 고르게 수막을 형성하는 효과를 보다 증대시키게 된다.The control of the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forming the water film in the membrane typ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plate or the dispersion and discharge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increases the effect of forming the water film evenly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상기 전기집진판에서 집진 작업이 이루어지는 면에는 최소한의 구성만이 배치되어 미세먼지 제거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In the dust collecting panel, only the minimum configuration is provided on the surface where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efficiency of fine dust removal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전기집진판에 형성되는 수막의 두께나 수막을 형성하는 세정액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전기집진판에 부착된 미세먼지 제거의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efficiency of fine dust removal attached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plate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plate and the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forming the water film.

그리고 전기집진판에 수막을 형성하는 세정액이 전기집진판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hing liquid which forms the water film o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막형 전기집진판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수막형 전기집진판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수막형 전기집진판의 반전판에 관한 설명도,
도 4는 상기 수막형 전기집진판이 두께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
도 5는 상기 수막형 전기집진판의 분산판이 회전홈을 구비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
도 6은 상기 수막형 전기집진판의 분산판이 분산홈을 구비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mbrane 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ove-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reversal plate of the above-
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ase in which the thickness-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provided with a thickness adjusting means;
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ase where the dispersion plate of the water-film 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provided with a rotation groove,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of a case where the dispersion plate of the water film 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cludes dispersion grooves. FIG.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이온에 의해 하전된 미세먼지 입자를 정전기적 인력으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정전기적 인력을 일으키는 전기집진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ust collector for generating an electrostatic attracting force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ollecting fine dust particles charged with ions by electrostatic attraction.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막형 전기집진판(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상기 수막형 전기집진판(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bas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bas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1.

본 발명에 의한 수막형 전기집진판(1)은 크게, 전기집진부(10), 1개 이상의 분산판(20) 및 세정액 공급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water-film-type electric dust coll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an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10, at least one dispersion plate 20, and a cleaning liquid supply pipe 30.

상기 전기집진부(10)는 본 발명의 수막형 전기집진판(1)에 있어 주요한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서 넓은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전기집진기 내에서는 수직하게 세워져 배치된다. 전기집진부(10)에서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정전기적 인력을 일으키며, 이를 위하여 전기집진부(10)는 전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금속 재질이나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is a main body of the electrophoretic particle collecting pl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has a wide plate shape and is vertically dispos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receives electrostatic attraction by applying a high voltage. For this purpose,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includes a metal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through which a current can flow smoothly.

분산판(20)은 상기 전기집진부(10)의 양면 중 집진작업이 일어나는 일면의 상단부에 1개 이상 배치된다. 분산판(20)은 상기 전기집진부(10)와 평행을 이루며, 전기집진부(10)의 일면에서 0.5mm 정도의 짧은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어 전기집진부(10) 일면과의 사이에 작은 두께를 가지는 분산공간(S)을 형성한다. 분산공간(S)의 가장자리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At least one dispersing plate (20)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on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where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takes place. The dispersion plate 2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and spaced apart from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by a short distance of about 0.5 mm from th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Thereby forming a dispersion space S. The edge of the dispersion space S is formed in an open state.

분산판(20)은 전기집진부(10)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집진 작업이 이루어지는 전기집진부(10)의 일면에서 너무 넓은 면적을 가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산판(20)은 도 1 등에서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무방하며, 상기 전기집진부(10)에 용접 또는 볼트접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The dispersion plate 20 is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so as not to cover an excessively large area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where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is performed. 1, the dispersion plate 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such as a square or a hexagon, and is fixed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10 by welding or bolt joining.

분산판(20)이 다수 개 형성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분산판(20)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전기집진부(1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a plurality of the dispersion plates 20 are formed, as shown in FIG. 1,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rsion plates 20 ar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at equal intervals.

세정액 공급관(30)은 상기 전기집진부(10)와 분산판(20) 사이에 형성된 분산공간(S)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세정액은 펌프(미도시)나 노즐 등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지는 상태로 분산공간(S)에 공급된다.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30 serves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to the dispersion space S formed betwee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and the dispersion plate 20. 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dispersion space S under pressure using a pump (not shown), a nozzle, or the lik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수막형 전기집진판(1)에 의하면, 세정액 공급관(30)에 의해 분산공간(S)으로 주입된 세정액이 분산공간(S)의 작은 두께에 의하여 분산공간(S)의 두께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얇은 수막의 형태로 고압으로 분산공간(S)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세정액은 분산공간(S)에서 먼 곳으로까지 배출되며, 세정액의 압력에 의해 우수한 세정력을 발휘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water film 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liquid injected into the dispersion space S by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30 is reduced in the thickness of the dispersion space S by the small thickness of the dispersion space 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persion space S at a high pressure in the form of a thin wat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 mm. The discharged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far from the dispersion space (S), and the cleaning liquid exerts excellent cleaning power by the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이에 따라, 전기집진부(10)에 대하여 별도의 샌드 블라스팅이나 이산화티타늄 코팅과 같은 친수 처리를 진행하지 않더라도 세정액을 전기집진부(10) 일면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과 수고로 우수한 세정력을 발휘하는 수막형 전기집진판(1)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even i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is not subjected to hydrophilic treatment such as sandblasting or titanium dioxide coating, the cleaning liquid can be uniformly dispersed throughout the entir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ilm-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 to be used.

참고로, 분산판(20)이 전기집진부(1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은 분산공간(S) 외부로 배출된 세정액이 그 무게에 의해 전기집진부(10)의 하단부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흐르며 분산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that the dispersing plate 20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is that the washing liq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persing space S flows more smoothly toward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due to its weight, Because.

상기 전기집진부(10)에는 세정액 공급공(11)이 형성될 수 있다.A cleaning liquid supply hole (11) may be formed in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10).

상기 세정액 공급공(11)은 분산판(20)과 겹치는 위치에서 전기집진부(10)를 전기집진부(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세정액 공급공(11)의 일단부는 분산공간(S)과 연통하도록 전기집진부(10)의 일면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전기집진부(10)의 타면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때, 세정액 공급관(30)은 상기 세정액 공급공(11)의 타단부에 연결된다.The cleaning liquid supply hole 11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dispersion plate 20. That is, one end of the cleaning liquid supply hole 11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ispersion space S. At this time,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leaning liquid supply hole (11).

이 경우, 세정액 공급관(30)이 전기집진부(10)에서 집진 작업이 이루어지는 일면의 반대편 방향에 위치하므로 세정액 공급관(30)에 의해 전기집진부(10)의 일면이 가리어 집진 작업의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세정액 공급관(30) 부분이 미세먼지에 노출되지 않는다.In this case, since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30 is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performed i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section 10,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30 prevents the on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section 10 from reducing the area And the portion of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30 is not exposed to the fine dust.

본 발명에 의한 수막형 전기집진판(1)은 막음판(40)을 더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lm-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blocking plate 40.

상기했던 바와 같이 분산판(20)은 전기집진부(10)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분산공간(S)에서 분출되는 세정액이 주로 하부로 흐르면서 전기집진부(10)의 일면을 세정하게 되는데, 세정액의 압력에 의해 분산공간(S) 상단부로 배출된 세정액이 전기집진부(10)의 상단부를 넘어 전기집진부(10)의 상부로까지 분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ersion plate 2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and the cleaning liquid sprayed in the dispersion space S flows mainly downward, thereby cleaning on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The cleaning liquid discharged to the upper end of the dispersion space S can be disper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beyond the upper end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

막음판(40)은 분산공간(S)의 상단을 폐쇄하여 전기집진부(10)의 상단부 방향으로 세정액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blocking plate 40 closes the upper end of the dispersion space S and serves to prevent the cleaning liquid from being disperse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10. [

상기 막음판(40)은 도 2에서와 같이 분산판(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별도로 형성되고 별도의 접합수단에 의해 전기집진부(10)에 접합될 수도 있다. 분산판(20)과 막음판(40)이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분산판(20)과 막음판(40) 사이에는 패킹을 배치하여 분산판(20)과 막음판(40) 사이의 틈으로 세정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blocking plate 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ersion plate 20 as shown in FIG. 2, but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joined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10 by a separate bonding means. When the dispersing plate 20 and the blocking plate 40 are separately formed, a packing is disposed between the dispersing plate 20 and the blocking plate 4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dispersing plate 20 and the blocking plate 40 is filled with a cleaning liquid Out.

세정액이 전기집진부(10)의 상부로까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전기집진부(10)의 상단에 반전판(50)을 배치하는 방법이 있다. Another method for preventing the washing liquid from being disper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is to dispose the reversing plate 50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

도 3에는 이러한 반전판(5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n explanatory view of such an inversion plate 50. Fig.

상기 반전판(50)은 전기집진부(10)의 일면 상단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반전판(50)은 분산공간(S)의 상단부를 통해 배출된 세정액의 흐름을 막아 세정액이 전기집진부(10) 상단을 넘어 분산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반전판(50)에 부딪힌 세정액은 이동 방향이 꺾이어 하부로 흐르게 되므로 세정의 효과를 보다 증대시키게 된다.The reversing plate 50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The reversing plate 50 blocks the flow of the washing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dispersion space S so that the washing liquid does not spread over the top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In addition, the cleaning liquid impinging on the reversing plate 50 flow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so that the cleaning effect is further enhanced.

상기 반전판(50)은 전기집진부(10)의 상단뿐만 아니라 측단에도 형성되어 전기집진부(10)의 측단 밖으로 세정액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도 있다.The reversing plate 50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as well as the upper end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to prevent the washing liquid from being disper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본 발명에 의한 수막형 전기집진판(1)은 분산공간(S)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lectrophoretic particle collecting plat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thickness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dispersion space S.

상기 두께 조절수단은 전기집진부(10)에 대하여 분산판(20)을 이동시킴으로써 분산공간(S)의 두께를 조절하게 된다.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adjusts the thickness of the dispersion space (S) by moving the dispersion plate (20)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art (10).

두께 조절수단에 의해 분산공간(S)의 두께가 조절됨에 따라 세정액이 분산공간(S)에서 배출됨으로 인해 전기집진부(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수막의 두께 또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기집진부(10)에 대한 세정력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water film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because the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dispersion space S as the thickness of the dispersion space S is adjusted by 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leaning force for the cleaning blade 10 as well.

상기 두께 조절수단은 보다 구체적으로, 너트홀(61), 조절볼트(62) 및 고정너트(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nut hole 61, an adjusting bolt 62, and a fixing nut 63.

도 4에는 이러한 두께 조절수단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is thickness adjusting means.

너트홀(61)은 전기집진부(10)를 전기집진부(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조절볼트(62)는 상기 분산판(20)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홀(61)에 체결된다. 상기 조절볼트(62)는 길이방향 양단부 사이 위치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분산판(20)의 일면과 접하게 되는 고정대(62a)를 구비하고, 고정너트(63)는 상기 조절볼트(62)에 체결되어 분산판(20)의 타면과 접한다.The nut hole 61 is formed to penetrate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art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art 10 and the adjusting bolt 62 penetrates the dispersion plate 20 and is fastened to the nut hole 61 . The adjusting bolt 62 has a fixing base 62a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at a position betwee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20. The fixing nut 63 is fixed to the adjusting bolt 62 And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20.

이러한 조절볼트(62)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볼트(62)가 너트홀(61)에 삽입된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조절볼트(62)에 구비된 고정대(62a)가 전기집진부(10)의 일면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일면이 상기 고정대(62a)에 의해 지지되는 분산판(20)과 전기집진부(10) 일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When the adjustment bolt 6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bolt 62 inserted into the nut hole 61, the fixing base 62a of the adjustment bolt 62 is inserted into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10 So that the gap between on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and the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20 on which one surface is supported by the fixing table 62a can be adjusted.

분산판(20)과 전기집진부(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후에 조절볼트(62)에 고정너트(63)를 체결하여 분산판(20)의 타면을 고정너트(63)로 지지시키면 분산판(20)이 전기집진부(10)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상태로 고정된다.If the fixing nut 63 is fastened to the adjustment bolt 62 after the gap between the dispersion plate 20 and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10 is adjusted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20 is supported by the fixing nut 63, (20)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art (10).

본 발명에 의한 수막형 전기집진판(1)이 두께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경우, 막음판(40)은 상기 분산판(20)과 별도의 구조로 형성되어 분산판(20)이 전기집진부(10)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계속해서 분산공간(S)의 상단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막음판(40)은 분산판(20)이 이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분산판(20)이 전기집진부(10)에서 이격되는 최대 거리만큼 전기집진부(10)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한다.The blocking plate 40 is formed in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dispersion plate 20 so that the dispersion plate 20 is separated from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on unit 10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fixed state so as to be able to close the upper end of the dispersion space S continuously. The blocking plate 40 allows the dispersion plate 20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by a maximum distance that the dispersion plate 20 is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unit 10, considering that the dispersion plate 20 moves.

상기 세정액 공급관(30)에서 공급되는 세정액의 압력은 조절될 수 있다. The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from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30 can be adjusted.

이 경우, 분산공간(S)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의 압력 또한 조절되므로 전기집진부(10)에 대한 세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두께 조절수단으로 분산공간(S)에서 세정액이 배출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수막의 두께를 조절하는 경우에 세정액 공급관(30)에서 공급되는 세정액의 압력을 함께 조절함으로써, 분산공간(S)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의 압력 변화 없이 수막의 두께를 조절해주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since the pressure of the wash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dispersion space S is also adjusted, the washing power for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can be adjusted. When the thickness of the water film formed by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in the dispersion space S is adjusted by 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the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from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30 is adjusted together,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water film without changing the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세정액 공급관(30)에서 공급되는 세정액 압력의 조절은 노즐을 교체하거나 펌프(미도시)의 출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Adjustment of the cleaning liquid pressure supplied from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30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nozzle or changing the output of the pump (not shown).

상기 분산판(20)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전기집진부(10)와 마주하는 분산판(20)의 일면에는 상기 분산판(2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회전홈(22)이 형성될 수 있다.The dispersion plate 20 is rotatable in place and a rotation groove 22 inclined with respect to a radial direction of the dispersion plate 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20 facing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10, Can be formed.

도 5에는 이러한 경우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is case.

분산판(2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회전홈(22)을 따라 세정액이 배출되는 경우 세정액은 분산판(20)의 반경방향과 원주방향 성분을 가지는 상태로 이동하며, 이러한 세정액이 회전홈(22)의 내측면에 가하는 원주방향 성분 힘에 의해 분산판(20)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along the rotation grooves 22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spersion plate 20, the cleaning liquid moves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persion plate 20, The dispersing plate 20 is rotated in place by the circumferential component forc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groove 22. [

이에 따라, 분산판(20)과 전기집진부(10) 사이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배출되지 않고, 회전하면서 이동방향이 계속해서 변화하며 배출되어 전기집진부(10)를 보다 효과적으로 세정해줄 수 있다.Accordingly, the cleaning liquid discharged between the dispersion plate 20 and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is not discharged only in a certain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continuously changed while being rotated so that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can be cleaned more effectively have.

상기 전기집진부(10)와 마주하는 분산판(20)의 일면에는 분산홈(21)이 형성될 수 있다.Dispersion grooves 2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20 facing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10.

도 6에는 이러한 분산홈(21)을 구비하는 분산판(2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6 is an explanatory view of a dispersion plate 20 having such a dispersion groove 21. As shown in FIG.

상기 분산홈(21)은 분산판(20)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해 갈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세정액 공급관(30)을 통해 분산공간(S)으로 공급된 세정액의 흐름을 유도한다. 즉, 세정액이 분산공간(S)의 둘레 전체에서 배출되게 함으로써 세정액이 전기집진부(10) 일면에서, 더욱 고르게 분산되도록 한다.The dispersion grooves 21 are formed in a shape that is separa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ersion plate 20 toward the edge portion to guide the flow of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into the dispersion space S through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30. [ That is, the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dispersion space (S), so that the cleaning liquid is dispersed evenly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참고로, 도 6에서는 분산판(20)에 막음판(40)이 일체로 형성되고, 세정액을 분산공간(S)의 측단과 하단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분산홈(21)이 분산판(20)의 측부 및 하부 가장자리를 향해 갈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6, the blocking plate 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ersion plate 20 and the dispersion grooves 21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persion plate 20 in order to discharge the cleaning liquid to the side and bottom of the dispersion space S. [ And it is seen that it is formed into a shape which is split toward the side and the lower edge.

상기 분산판(20)은 전기집진부(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때 세정액 공급관(30)은 분산판(20) 하나당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The dispersion plate 20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At this time, a plurality of cleaning liquid supply pipes 30 may be disposed per dispersion plate 20.

도 7에서는 예시적으로 전기집진판(1)에 전기집진부(10)의 폭 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분산판(20) 하나가 구비되어 있다.In FIG. 7,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late 1 is illustratively provided with a dispersing plate 20 having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wise length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0.

이처럼 분산판(20)을 길게 연장 형성하는 경우 분산판(20)의 설치 개소를 줄일 수 있어 전기집진판(1)의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산공간(S)이 분산판(20)의 길이에 맞추어 전기집진부(10)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므로 세정액을 보다 고르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dispersing plate 20 is elonga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spersing plate 20,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anufacture the electric collecting plate 1, So that the cleaning liquid can be dispersed more evenly.

이러한 본 발명의 수막형 전기집진판(1)이 전기집진기를 구성할 때에는 다수 개를 평행하게 배치하여 집진 작업이 이루어지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집진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한다.When the electrophotographic dust collec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n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a plurality o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ors are arranged in parallel to increase the area of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그리고 상기 수막형 전기집진판(1)은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판(미도시)과 평행하게 교대로 배치되거나 방전판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이온에 의해 하전된 미세먼지와 접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lm-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 is arranged alternately in parallel with a discharge plate (not shown) for generating ions or disposed behind the discharge plat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fine dust charged by ions.

수막형 전기집진판(1)을 세정한 후의 세정액은 수막형 전기집진판(1)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정액 탱크(미도시)로 유입되게 하여 수집한 후, 정화하여 전기집진판을 세정하는 데 다시 사용하거나 배출한다.The cleaning liquid after cleaning the film-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 is collected to be introduced into a cleaning liquid tank (not shown)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film-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 and is then used again for clean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수막형 전기집진판
10 : 전기집진부
11 : 세정액 공급공
20 : 분산판
21 : 분산홈
22 : 회전홈
30 : 세정액 공급관
40 : 막음판
50 : 반전판
61 : 너트홀
62 : 조절볼트
62a : 고정대
63 : 고정너트
S : 분산공간
1: Electrodeposited plate
10: electric dust collector
11: Cleaning liquid supply hole
20: Dispersion plate
21: Dispersion groove
22: Rotary groove
30: cleaning liquid supply pipe
40: Blocking plate
50: reverse plate
61: Nut hole
62: Adjustment bolt
62a:
63: Fixing nut
S: distributed space

Claims (9)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수직하게 세워져 배치되는 전기집진부;
상기 전기집진부의 일면 상단부에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전기집진부 일면과의 사이에 틈 형상의 분산공간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분산판; 및
상기 분산공간에 세정액을 압입하는 세정액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집진부와 마주하는 상기 분산판의 일면에는, 상기 분산판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를 향해 갈라지는 분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전기집진판.
An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formed in a plate shape and vertically erected and disposed;
At least one dispersing plate spaced apart from an upper end of on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art and forming a gap-like dispersing spa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art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art; And
And a cleaning liquid supply pipe for pressurizing the cleaning liquid into the dispersion space,
Wherein a dispersion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facing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so as to be separate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dispersion plate toward an edg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부에는, 일단부가 상기 분산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전기집진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전기집진부의 타면에 위치하는 세정액 공급공이 형성되고,
상기 세정액 공급관은 상기 세정액 공급공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전기집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leaning liquid supply hole is formed in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the cleaning liquid supply hole having one end located on one sid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Wherein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leaning liquid supply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공간의 상단을 폐쇄하는 막음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전기집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locking plate for closing the upper end of the dispers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부의 상단에는, 상기 전기집진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반전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전기집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verted plate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is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부에 대하여 상기 분산판을 이동시켜 상기 분산공간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전기집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ickness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dispersion space by moving the dispersion plate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수단은,
상기 전기집진부에 형성되는 너트홀,
상기 분산판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홀에 체결되며 상기 분산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고정대를 구비하는 조절볼트, 및
상기 조절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분산판의 타면을 지지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전기집진판.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comprises:
A nut hole formed i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art,
An adjusting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dispersing plate to be coupled to the nut hole and having a fixing base for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dispersing plate;
And a fixing nut fastened to the adjustment bolt to support the other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판은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기집진부와 마주하는 상기 분산판의 일면에는, 상기 분산판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회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전기집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rsion plate is rotatably formed in place,
Wherein a rotating groove inclined with respect to a radial direction of the dispersion plat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ispersion plate facing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판은 상기 전기집진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세정액 공급관은 상기 분산판 하나당 다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전기집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rsion plate is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Wherein a plurality of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s are disposed per one of the dispersion plates.
KR1020170088393A 2017-07-12 2017-07-12 Electric precipitating panel having water screen Active KR101967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93A KR101967985B1 (en) 2017-07-12 2017-07-12 Electric precipitating panel having water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93A KR101967985B1 (en) 2017-07-12 2017-07-12 Electric precipitating panel having water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552A KR20190007552A (en) 2019-01-23
KR101967985B1 true KR101967985B1 (en) 2019-04-11

Family

ID=6528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393A Active KR101967985B1 (en) 2017-07-12 2017-07-12 Electric precipitating panel having water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9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3781B2 (en) 2020-02-19 2024-01-30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nitrogen oxide from exhaust ga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175B1 (en) * 2023-01-06 2023-07-06 주식회사 갭텍 Dispersion type water film forming member and Vertical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2846A (en) * 2007-03-05 2008-09-1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Flow mechanism of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173496B1 (en) * 2011-11-29 2012-08-14 한국기계연구원 Electric precipitator uising precipitation plat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24B1 (en) 2008-03-28 2010-02-18 한국기계연구원 Electric dust collector
KR101105306B1 (en) * 2009-10-30 2012-01-17 한국전력공사 Uniform water film maintenance system of dust collecting plate of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2846A (en) * 2007-03-05 2008-09-18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Flow mechanism of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173496B1 (en) * 2011-11-29 2012-08-14 한국기계연구원 Electric precipitator uising precipitation pla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3781B2 (en) 2020-02-19 2024-01-30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nitrogen oxide from exhaust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552A (en)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985B1 (en) Electric precipitating panel having water screen
JP5040612B2 (en) Air purification device
KR101570113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dust removal equipment
KR101032617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carbon fiber
KR101622238B1 (en) A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 water-absorbent resin is applied to jipjinpan
CN1966127B (en) Electrical enhancement of fabric filter performance
EP1892044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205399370U (en) Superfine grating trash remover
JP2012125734A (en) Outside air processing device
KR101436381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leaning
JPS61227860A (en) Dust collector in air purifier
KR20210022211A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leaning water film nozzle using water hammer phenomenon
KR101221962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system using the same
US37851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precipitation
KR20110046420A (en) Air purifier using carbon fiber fabric
KR20170083681A (en) Electrostatic precipitation device for particle removal in explosive gases
CN208762194U (en) A kind of oily-water seperating equipment
KR20200084488A (en) Self-clean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leaner using thereof
TWI676502B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method for electrostatic precipitation of materials out of an exhaust gas flow
KR20170136114A (en) Pressurized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07215925A (en) A kind of heavy metal sewage treatment device
KR101685147B1 (en) Dust filtering apparatus
KR102115966B1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3268466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1421043B1 (en) Plastic electric dust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