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956B1 - Insulated fire-resistant frame and frame structure using of it - Google Patents
Insulated fire-resistant frame and frame structure using of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7956B1 KR101967956B1 KR1020160160489A KR20160160489A KR101967956B1 KR 101967956 B1 KR101967956 B1 KR 101967956B1 KR 1020160160489 A KR1020160160489 A KR 1020160160489A KR 20160160489 A KR20160160489 A KR 20160160489A KR 101967956 B1 KR101967956 B1 KR 1019679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ixing
- fixed
- structural
- he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9970 fire resistant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297 mechan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3—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구조프레임과 제2 구조프레임을 이격시켜 연결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제1 구조프레임과 상기 제2 구조프레임 사이에 열전도를 차단하는 차열성소재로 구성되는 차열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제1 구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고정편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 고정프레임부재; 상기 제2 구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고정편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2 고정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를 이격시켜 고정하고, 상기 차열코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슬리브는, 상기 제1 고정편의 이격공간인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2 고정편의 이격공간인 제2 개방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프레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frame for separating and connecting a first structural frame and a second structural frame; And a heat shield core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ructural frame and the second structural frame, the heat conductive material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tructural frame and the second structural frame, A first fixing frame member installed in the frame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fixing member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at core; A second fixing frame member installed in the second structure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at-generating core; And a fixing sleev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and installed to penetrate the heat-generating core, wherein the fixing sleeve includes a first fixing frame member and a second fixing frame member, 1 opening portion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which is a space separating the second fixing member from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shield frame having improved fire resistance and a frame structure using the sam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커튼월(curtain wall)은 외부로부터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 장식용으로도 큰 기능을 갖는다.The curtain wall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unctions to block rain or wind from the outside and to block noise or heat, and has a great function as an outdoor decoration.
이때, 커튼월 구조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화염이 외벽인 커튼월을 타고 순식간에 위층으로 옮겨 붙는 경우가 많았다.In this case, when a fire occurs in the curtain wall structure, the flame is often transferred to the upper floor in a curtain wall which is an outer wall in an instant.
국내건축 법규에 의하면,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 대해서 내부와 외부의 벽구조를 내화구조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내부 공간도 화재 시 화염 및 온도의 급격한 확대를 막기 위해 일정한 바닥면적 이하로 방화구획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방화구획에서는 일반적으로 내화성능이 뛰어난 소재 즉 콘크리트나 금속패널, 석재 등으로 벽체를 형성했으나 도시 경관이나 디자인 미관을 고려하여 방화유리를 이용한 글레이징 벽체의 사용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According to domestic building codes, fireproof structures are to b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a building of a certain size or more. In addition, the internal space is set to fireproof compartments below a certain floor area in order to prevent a sudden increase in flame and temperature . In the fire protection area, the walls are formed by concrete, metal panel, stone, etc. which are generally excellent in fire resistance. However,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use of glazing walls using fireproof glass considering urban scenery and design aesthetics.
내화벽체의 성능에는 차열성능과 차열성능의 두 종류의 성능으로 분류할 수 있다.The performance of the fire wall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performance: heat performance and heat differential performance.
차염(비차열)이란, 화염의 관통을 차단하여 일정시간 동안 화염의 확산을 막는 성능으로 화재에 의해 벽체가 변형이나 붕괴없이 어느 정도 시간동안 견딜 수 있는 지를 측정하는 것이다.(Non-heats) is the ability to prevent flame spread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blocking the penetration of the flame, and to meas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wall can withstand the deformation or collapse without fire.
차열이란 화재시 화염의 확산 뿐만 아니라 복사와 전도에 의한 열전달도 차단하는 성능으로 복사열과 비가열면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제한온도에 대해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온도상승을 차단하는 지를 판단한다.The difference in heat is the ability to shut off the heat transfer by radiation and conduction as well as the diffusion of the flame during the fire. The surface temperature is measured by the radiant heat and the non-heated surface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rise for the limited temperature.
방화구획은 건물의 일정 면적별, 층별, 용도별로 구획함으로써 화재 시 일정범위 이외로의 연소를 방지하여 피해를 국부적으로 안정시키기 위함이다. The fire protection compartment is divided into a specific area, a floor, and a use of the building, thereby preventing combustion to a certain extent in case of a fire, thereby locally stabilizing the damage.
이러한 방화구획 내의 벽체에 대해서는 화염을 차단하는 차염(비차열) 성능과 열을 차단하는 차열성능, 하중을 지지하는 성능을 보유하여야 한다. For walls in these fire protection compartments, it is necessary to have a secondary (non-heat) performance to block the flames, heat-shield performance to block heat, and performance to support loads.
유리부재를 적용할 경우, KS F 2845 "유리구획 부분의 내화시험 방법"에 의해 차염 또는 차열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내화구조를 인정받아야 한다.When glass members are to be applied, fire resistance or heat insulation performance test shall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KS F 2845 "Fire resistance test method for glass part".
유리벽체는 글레이징부재와 프레임부재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각종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화 유리벽체의 성능은 내화(차열/차염) 유리의 적용뿐만 아니라, 화염 또는 복사 및 전도열을 차단하도록 하는 프레임과 부품의 구성도 매우 중요하다. The glass wall is composed of a glazing member, a frame member and various parts connecting the glazing member and the frame member. The performance of refractory glass walls is important not only in the application of refractory (heat shielding) glass, but also in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 and components to prevent flame or radiation and conduction heat.
방화유리를 적용하더라도 프레임이 지지를 하지 못하거나 열전도가 이루어지면 요구하는 내화벽체의 성능을 구현할 수 없다. Even if the fireproof glass is applied, the performance of the fireproof wall required can not be realized if the frame is not supported or the heat conduction is performed.
특히, 내화성능 중에서도 차열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의 요구조건으로 열의 전도와 복사를 차단하는 역할과 고중량의 차열유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Particularly, as a requirement of a frame to realize the heat performance, among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t should be able to block the conduction and radiation of heat and to support the high-weight heat shield glass at the same time.
또한, 외부용 유리벽체의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재하되는 풍압하중에도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xternal glass wall, it must be able to withstand wind pressure loaded from the outside.
따라서, 화재시의 열전도를 방지하는 차열성능을 확보하면서 외벽의 하중지지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sufficiently securing the load-carrying performance of the outer wall while ensuring heat-shielding performance for preventing heat conduction during a fire.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한국등록 실용신안공보 제0138690호(창문틀용 프레임연결구, 출원인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공개일자 1997년 1월 24일)가 있다.
As a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138690 (frame connector for window frames, Hanwha Chemical Co., Ltd., published on Jan. 24, 1997).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화재시의 열전도와 복사를 방지하는 차열성능을 확보하면서 외벽의 하중지지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차열프레임 및, 프레임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shield frame and a frame structure capable of sufficiently securing load-carrying performance of an outer wall while ensuring heat shielding performance for preventing thermal conduction and radiation during a fi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구조프레임과 제2 구조프레임을 이격시켜 연결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제1 구조프레임과 상기 제2 구조프레임 사이에 열전도를 차단하는 차열성소재로 구성되는 차열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제1 구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고정편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 고정프레임부재; 상기 제2 구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고정편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2 고정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를 이격시켜 고정하고, 상기 차열코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조프레임의 일측단부와 면접촉되는 평판형의 고정본체; 상기 고정본체의 양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차열코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이 배치되는 상기 고정본체의 길이방향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리브가 배치되는 영역인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슬리브는, 제1 고정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의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의 제2 개방부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프레임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stationary frame for separating a first structural frame and a second structural frame from each other; And a heat shield core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ructural frame and the second structural frame, the heat conductive material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tructural frame and the second structural frame, A first fixing frame member installed in the frame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fixing member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at core; A second fixing frame member installed in the second structure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at-generating core; And a fixing sleev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and installed through the heat-generating core, wherein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A fixed plat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surfac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tructural frame; A fixing piece bent at both ends of the fixing body a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at-generating core, the fixing piece being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body; And an opening formed in an area out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on which the fixed piece is disposed and which is an area in which the fixed sleeve is disposed, wherein the fixed sleeve includes a first fixed frame member and a second fixed frame member, Wherein the first frame member is provid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member and is disposed over the first opening portion of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
바람직하게,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2 개방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리브는, 상기 제1 개방부의 중앙영역과, 상기 제2 개방부의 중앙영역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fixing sleeve may be provided over a central region of the first opening and a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바람직하게, 제1 고정프레임부재는 상기 제1 구조프레임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는 상기 제2 구조프레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슬리브를 매개로 기계적 방식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ructural frame, and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ructural frame and can be fastened mechanically via the fixing sleev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제1 고정프레임부재가 상기 제1 구조프레임의 제1 프레임본체에 삽입 고정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 H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제1 비대칭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가 상기 제2 구조프레임의 제2 프레임본체에 삽입 고정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 H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제2 비대칭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비대칭부재 및, 상기 제2 비대칭부재는 상기 고정슬리브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frame body of the first structural frame to form a first asymmetric member at least partly forming an asymmetric H-shaped cross section, Wherein the second asymmetric member and the second asymmetric member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econd frame body of the second structural frame, the second asymmetric member forming an at least partially asymmetrical H-shaped cross section, .
바람직하게, 고정슬리브는, 상기 제1 비대칭부재 및, 상기 제2 비대칭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슬리브부재; 및, 상기 슬리브부재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비대칭부재 및, 상기 제2 비대칭부재를 고정하는 볼트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ationary sleeve includes: a sleeve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symmetric member and the second asymmetric member and installed through the heat-generating core; And a bolt member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sleeve member to fix the first asymmetric member and the second asymmetric member.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제1 고정프레임부재의 제1 고정편은 상기 제1 구조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제1 고정슬롯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의 제2 고정편은 상기 제2 구조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제2 고정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fixing piece of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is inserted into a first fixing slot which is longitudinally spaced from the first structure frame, and the second fixing piece of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ructural frame, In the second fixing slo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제1 구조프레임, 상기 제2 구조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은 스틸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structural frame, the second structural frame, and the fixed frame may be constructed of a steel materi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구조프레임; 상기 제1 구조프레임과 이격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구조프레임; 및, 상기 제1 구조프레임과 상기 제2 구조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열프레임;를 포함하는 프레임구조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structural fram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structur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ructural frame an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eat shield fram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5, 6, 8, and 9,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tructure frame and the second structure frame; And a frame structur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열성소재로 구성되는 차열코어에 의해 차열성능을 확보하여 화재가 급속하게 방지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벽의 하중지지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heat-shielding performance by the heat-shielding core composed of the heat-insulating material, thereby preventing the fire from being rapidly prevent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프레임 사이를 차열프레임에 의해 간이한 방식에 의해 연결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by connecting the structural frames to each other by a simple method by the heat shield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프레임 및, 프레임구조체가 적용된 단면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프레임 및, 프레임구조체를 중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프레임 및, 프레임구조체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프레임 및, 프레임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프레임 및, 프레임구조체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프레임구조체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heat shield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ross-sectional details to which a frame structure is applied.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 shield frame and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shield frame and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3A.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 shield frame and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t shield frame and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프레임(3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heat shield frame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프레임(30)은 고정프레임(100) 및, 차열코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B, a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제1 구조프레임(10)과 제2 구조프레임(20)을 이격시켜 고정하는 고정프레임(100) 및, 상기 고정프레임(100)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제1 구조프레임(10)과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 사이에 열전도를 차단하는 차열성소재로 구성되는 차열코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B, a
고정프레임(100)은, 상기 제1 구조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200)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고정편(113)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와,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200)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고정편(133)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 및,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와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를 이격시켜 고정하고, 상기 차열코어(20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슬리브(15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슬리브(150)는, 제1 고정편(113)의 이격공간인 제1 개방부(115) 및, 상기 제2 고정편(133)의 이격공간인 제2 개방부(135)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The
고정프레임(100)은 제1 구조프레임(10)과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을 이격시켜 연결하는 부재이다.The
차열코어(200)는 차열성소재로 구성되어 제1 구조프레임(10)과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 간의 열전도를 차단하는 부재이다.The heat-generating
제1 구조프레임(10), 제2 구조프레임(20) 및, 고정프레임(100)의 재질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차열코어(200)는 불연성소재 또는 난연성소재인 무기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고정프레임(100)은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 및, 고정슬리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고정프레임(100)은 제1 구조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200)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고정편(113)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고정프레임(100)은 제2 구조프레임(20)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200)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고정편(133)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The
고정슬리브(150)는, 제1 고정편(113)의 이격공간인 제1 개방부(115) 및, 상기 제2 고정편(133)의 이격공간인 제2 개방부(135)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차열프레임(30)에 적용되는 제1 구조프레임(10),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 및,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스틸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제1 구조프레임(10), 제2 구조프레임(20) 및, 고정프레임(100)은 하중지지를 위한 구조성능을 확보하는 부분이고, 구조성능이 우수한 스틸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스틸소재는 구조성능은 우수하나, 열전도도가 높아 복사열과 열전도에 저항하는 차열성이 취약할 수 있다.Steel materials have excellent structural performance, but they may be poor in heat resistance against radiation and heat conduction due to high thermal conductivity.
따라서, 고정슬리브(150)를 스틸소재로 구성되는 제1 고정편(113), 제2 고정편(133)이 돌출되는 영역이 아닌 제1 개방부(115)와 제2 개방부(135)를 관통하여 설치함으로써, 스틸소재 등으로 구성되는 제1 구조프레임(10), 고정슬리브(150), 제2 구조프레임(20)을 통해 이동하는 열전도를 최소화하여 차열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슬리브(150)는,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의 제1 개방부(115)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의 제2 개방부(135)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4A and 4B, the fixing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방부(115) 및, 상기 제2 개방부(135)는 상기 고정본체의 길이방향에 이격 형성되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리브(150)는, 상기 제1 개방부(115)의 중앙영역과, 상기 제2 개방부(135)의 중앙영역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4A and 4B, the
고정슬리브(150)가 상기 제1 개방부(115)의 중앙영역과, 상기 제2 개방부(135)의 중앙영역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고정슬리브(150)에서 제1 고정편(113) 및, 제2 고정편(133)으로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xing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의 제1 고정편(113)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의 제2 고정편(133)은 길이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이격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는 상기 제1 구조프레임(10)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는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슬리브(150)를 매개로 기계적 방식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3A and 3B, a first fixed
일례로,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와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가 슬리브부재(15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슬리브부재(151)의 양측으로 볼트부재(153)가 체결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first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슬리브(150)의 슬리브부재(151)의 일측단부는 제1 슬리브홀(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의 제1 고정본체(111)에 의해 지지되고, 슬리브부재(151)의 타측단부는 제2 슬리브홀(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의 제2 고정본체(1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one end of the
이 상태에서, 슬리브부재(151)의 일측단부에 볼트부재(153)가 체결되면서 제1 구조프레임(10)의 제1 프레임본체(11)와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의 제1 고정본체(111)가 고정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그리고, 슬리브부재(151)의 타측단부에 볼트부재(153)가 체결되면서 제2 구조프레임(20)의 제2 프레임본체(21)와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의 제2 고정본체(131)가 고정될 수 있다.The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볼트부재(153),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 제1 구조프레임(10), 슬리브부재(151), 제2 구조프레임(20),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 제2 볼트부재(153)가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3B, the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가 상기 제1 구조프레임(10)의 제1 프레임본체(11)에 삽입 고정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 H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제1 비대칭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가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의 제2 프레임본체(21)에 삽입 고정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 H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제2 비대칭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비대칭부재 및, 상기 제2 비대칭부재는 상기 고정슬리브(15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4A and 4B, the first fixed
이와 같이, 비대칭 H자형 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제1 구조프레임(10)과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 및, 제2 구조프레임(20)과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의 결합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도 H형과 유사한 단면을 형성하여 구조적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forming the asymmetric H-shaped cross section in this way, the workability of the first
제1 프레임본체(11) 및, 제2 프레임본체(21)는 ㄷ자형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 및,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는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ㄷ자형 단면이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구체적으로, 제1 고정편(113)과 제2 고정편(133)이 차열코어(200) 방향으로 돌출되는 영역에서 ㄷ자형 단면이 형성되고, 제1 개방부(115), 제2 개방부(135)가 형성되는 영역에서 일자형의 단면이 형성되면서 ㄷ자형 단면과 일자형이 단면이 제1 프레임본체(11) 및, 제2 프레임본체(21)의 길이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 U-shaped section is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대칭부재는 제1 프레임본체(11)에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가 삽입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B, the first asymmetric member may be formed by inserting the first
제2 비대칭부재는 제2 프레임본체(21)에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가 삽입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asymmetric member may be formed by inserting the second
제1 비대칭부재와, 제2 비대칭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비대칭 H자형 단면과, ㄷ자형 단면이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asymmetric member and the second asymmetric member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asymmetric H-shaped cross section and the C-shaped cross sec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고정슬리브(150)는, 슬리브부재(151) 및, 볼트부재(153)를 구비할 수 있다.The
고정슬리브(150)는, 상기 제1 비대칭부재 및, 상기 제2 비대칭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20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슬리브부재(151) 및, 상기 슬리브부재(151)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비대칭부재 및, 상기 제2 비대칭부재를 고정하는 볼트부재(15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xing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와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가 슬리브부재(15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슬리브부재(151)의 양측으로 볼트부재(153)가 체결되면서 제1 구조프레임(10),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 제2 구조프레임(20)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The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조프레임의 일측단부와 면접촉되는 평판형의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의 양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차열코어(2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의 이격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리브(150)가 배치되는 영역인 개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4A and 4B, the first fixed
고정편은 차열코어(200)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차열코어(200)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heat-generating
제1 고정편(113)이 차열코어(200)의 폭?향 제1 단부를 지지하고, 제2 고정편(133)이 차열코어(200)의 폭방향 제2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즉, 차열코어(200)는 제1 고정편(113)과 제2 고정편(133)에 의해 폭방향 양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That is, both ends of the heat-generating
제1 고정편(113)과 제2 고정편(133)은 장방형의 사각형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는 제1 고정본체(111), 제1 고정편(113), 제1 개방부(115) 및, 제1 체결홀(117)를 구비할 수 있다.4A, the first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는 제2 고정본체(131), 제2 고정편(133), 제2 개방부(135) 및, 제2 체결홀(137)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의 제1 고정편(113)은 상기 제1 구조프레임(10)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제1 고정슬롯(12)에 삽입될 수 있다.4A and 4B, the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의 제2 고정편(133)은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제2 고정슬롯(22)에 삽입될 수 있다.The
제1 고정편(113)이 제1 고정슬롯(12)에 삽입되고, 제2 고정편(133)이 제2 고정슬롯(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슬리브(150)를 매개로 제1 구조프레임(10)과 제2 구조프레임(20)이 이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The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슬리브(150)의 슬리브부재(151)의 일측단부는 제1 슬리브홀(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의 제1 고정본체(111)에 의해 지지되고, 슬리브부재(151)의 타측단부는 제2 슬리브홀(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의 제2 고정본체(1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one end of the
이 상태에서, 슬리브부재(151)의 일측단부에 볼트부재(153)가 체결되면서 제1 구조프레임(10)의 제1 프레임본체(11)와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의 제1 고정본체(111)가 고정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그리고, 슬리브부재(151)의 타측단부에 볼트부재(153)가 체결되면서 제2 구조프레임(20)의 제2 프레임본체(21)와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의 제2 고정본체(131)가 고정될 수 있다.
The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프레임구조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fram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구조체는 제1 구조프레임(10), 제2 구조프레임(20), 차열프레임(30) 및, 유리부재(K)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B,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프레임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구조프레임(10)과, 상기 제1 구조프레임(10)과 이격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구조프레임(20)과, 상기 제1 구조프레임(10)과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차열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structure includes a first
제1 구조프레임(10) 및,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의 사이에는 유리고정부재(M) 및, 실링부재(L)를 매개로 유리부재(K)가 설치될 수 있다.A glass member K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이때, 제1 구조프레임(10)은 실외측에 배치되고, 제2 구조프레임(20)은 실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이때, 제1 구조프레임(10)은 제2 구조프레임(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제1 구조프레임(10), 제2 구조프레임(20)은 하중지지를 위한 구조성능을 확보하는 부분으로, 재질은 스틸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스틸소재는 구조성능은 우수하나, 열전도도가 높아 복사열과 연전도에 저항하는 차열성이 취약할 수 있다.Steel materials have excellent structural performance, but they may have poor heat resistance against radiation and softness due to high thermal conductivity.
외부로 노출되는 제1 구조프레임(10)을 제2 구조프레임(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으로 구성하여 외부와의 열전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rst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조프레임(10)은 제1 프레임본체(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1 구조프레임(10)의 차열성능을 확보하는 보조차열코어(H)를 구비할 수 있다.3A and 3B, the first
제1 프레임본체(11)의 내부에 보조차열코어(H)가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G)를 설치하여 제1 프레임본체(11)의 개방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The cover plate G may be installed to cover the open area of the
제2 구조프레임(20)은 제2 프레임본체(21)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2 구조프레임(20)의 차열성능을 확보하는 보조차열코어(H)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제2 프레임본체(21)의 내부에 보조차열코어(H)가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G)를 설치하여 제2 프레임본체(21)의 개방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The cover plate G may be installed to cover the open area of the
이와 같이, 구조프레임에 커버플레이트(G)를 설치하여, 시공현장에서 설치작업 또는 주변공사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manner, the cover plate G is provided in the structural frame, which can prevent the surface damage that may occur during the installation work or the surrounding construc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구조체는, 제1 고정프레임부재(110)가 상기 제1 구조프레임(10)의 제1 프레임본체(11)에 삽입 고정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 H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제1 비대칭부재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130)가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의 제1 프레임본체(11)에 삽입 고정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 H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제2 비대칭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비대칭부재 및, 상기 제2 비대칭부재는 상기 고정슬리브(15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frame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fixed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구조체는 스틸커튼월을 구성하는 수직부재(F1) 및, 수평부재(F2)에 적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frame structure can be applied to the vertical member F1 and the horizontal member F2 constituting the steel curtain wall.
스틸커튼월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수직부재(F1)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수직부재(F1)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부재(F2)가 설치될 수 있다.The steel curtain wall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two vertical members F1 arranged in parallel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member F2 horizontally connecting the vertical members F1.
수평부재(F2)는 수직부재(F1)의 내측에 이격 설치되는 연결브라켓(E)을 매개로 수직부재(F1)에 설치될 수 있다.The horizontal member F2 may be installed on the vertical member F1 via a connection bracket E sp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F1.
프레임구조체의 제1 구조프레임(10) 및,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의 사이에는 유리부재(K)가 설치될 수 있다.A glass member K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이때, 유리부재(K)는 복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실링부재(L)를 매개로 제1 구조프레임(10) 및, 제2 구조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lass member K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and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제1 구조프레임(10) 및, 상기 제2 구조프레임(20)의 사이에는 유리부재(K)가 설치될 수 있다.
A glass member K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구조체에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차열프레임(3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따라서, 프레임구조체에서 활용되는 차열프레임(30)의 고정프레임(100), 차열코어(2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차열프레임(3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fix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제1 구조프레임 11: 제1 프레임본체
12: 제1 고정슬롯 13: 제1 슬리브홀
20: 제2 구조프레임 21: 제2 프레임본체
22: 제2 고정슬롯 23: 제2 슬리브홀
30: 차열프레임
100: 고정프레임 110: 제1 고정프레임부재
111: 제1 고정본체 113: 제1 고정편
115: 제1 개방부 117: 제1 체결홀
130: 제2 고정프레임부재 131: 제2 고정본체
133: 제2 고정편 135: 제2 개방부
137: 제2 체결홀 150: 고정슬리브
151: 슬리브부재 153: 볼트부재
200: 차열코어 E: 연결브라켓
F1: 수직부재 F2: 수평부재
G: 커버플레이트 H: 보조차열코어
K: 유리부재 L: 실링부재
M: 유리고정부재10: first structural frame 11: first frame body
12: first fixing slot 13: first sleeve hole
20: second structural frame 21: second frame body
22: second fixing slot 23: second sleeve hole
30:
100: fixed frame 110: first fixed frame member
111: first fixing body 113: first fixing piece
115: first opening 117: first fastening hole
130: second fixing frame member 131: second fixing body
133: second fixing piece 135: second opening portion
137: second fastening hole 150: fastening sleeve
151: Sleeve member 153: Bolt member
200: heat core E: connection bracket
F1: vertical member F2: horizontal member
G: Cover plate H: Auxiliary heating core
K: glass member L: sealing member
M: Glass fixing member
Claims (10)
상기 고정프레임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제1 구조프레임과 상기 제2 구조프레임 사이에 열전도를 차단하는 차열성소재로 구성되는 차열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제1 구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고정편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 고정프레임부재;
상기 제2 구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고정편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2 고정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를 이격시켜 고정하고, 상기 차열코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조프레임의 일측단부와 면접촉되는 평판형의 고정본체;
상기 고정본체의 양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차열코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이 배치되는 상기 고정본체의 길이방향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리브가 배치되는 영역인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슬리브는,
제1 고정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의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의 제2 개방부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프레임.
A stationary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ructural frame and the second structural frame; And
And a heat shield core made of a heat conductive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tructural frame and the second structural frame, the heat conductive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tructural frame and the second structural frame,
The fixed frame includes:
A first fixing frame member installed in the first structure frame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fixing member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at-generating core;
A second fixing frame member installed in the second structure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at-generating core; And
And a fixing sleeve fixed to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enetrating through the heat-generating core,
Wherein the first fixed frame member and the second fixed frame member are formed of a single-
A fixed plat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surfac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tructural frame;
A fixing piece bent at both ends of the fixing body a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eat-generating core, the fixing piece being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body; And
And an open portion formed in an area outside a longitudinal direction region of the fixed body on which the fixed piece is disposed and in which the fixed sleeve is disposed,
The fixed sleeve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are provid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and disposed over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Wherein the frame is a frame.
상기 제1 개방부 및, 상기 제2 개방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리브는,
상기 제1 개방부의 중앙영역과, 상기 제2 개방부의 중앙영역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fixed sleeve
Wherein the first opening portion is provided over a central region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a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는 상기 제1 구조프레임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는 상기 제2 구조프레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슬리브를 매개로 기계적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차열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ructure frame and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is fastened by a mechanical method via the fixing sleev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structure frame.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가 상기 제1 구조프레임의 제1 프레임본체에 삽입 고정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 H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제1 비대칭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가 상기 제2 구조프레임의 제2 프레임본체에 삽입 고정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대칭 H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제2 비대칭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비대칭부재 및, 상기 제2 비대칭부재는 상기 고정슬리브를 매개로 연결되는 차열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ed frame member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frame body of the first structural frame to form a first asymmetric member forming an at least partially asymmetric H-shaped cross section,
The second fixed frame member being inserted and fixed in the second frame body of the second structural frame to form a second asymmetric member forming an at least partially asymmetric H-shaped cross section,
Wherein the first asymmetric member and the second asymmetric member are connected via the fixing sleeve.
상기 제1 비대칭부재 및, 상기 제2 비대칭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차열코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슬리브부재; 및,
상기 슬리브부재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비대칭부재 및, 상기 제2 비대칭부재를 고정하는 볼트부재;를 구비하는 차열프레임.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 sleeve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symmetric member and the second asymmetric member and installed through the heat-generating core; And
And a bolt member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sleeve member to fix the first asymmetric member and the second asymmetric member.
상기 제1 고정프레임부재의 제1 고정편은 상기 제1 구조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제1 고정슬롯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고정프레임부재의 제2 고정편은 상기 제2 구조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제2 고정슬롯에 삽입되는 차열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fixing piece of the first fixing frame member is inserted into a first fixing slo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ructure frame,
And the second fixing piece of the second fixing fram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slot formed in the second structur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 구조프레임, 상기 제2 구조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은 스틸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ructural frame, the second structural frame, and the fixed frame are made of a steel material.
상기 제1 구조프레임과 이격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구조프레임; 및,
상기 제1 구조프레임과 상기 제2 구조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열프레임;를 포함하는 프레임구조체.A first structural fram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structur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ructural frame an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quadrature fram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5, 6, 8, and 9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tructural frame and the second structural frame Frame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489A KR101967956B1 (en) | 2016-11-29 | 2016-11-29 | Insulated fire-resistant frame and frame structure using of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489A KR101967956B1 (en) | 2016-11-29 | 2016-11-29 | Insulated fire-resistant frame and frame structure using of 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1535A KR20180061535A (en) | 2018-06-08 |
KR101967956B1 true KR101967956B1 (en) | 2019-04-11 |
Family
ID=6260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0489A Active KR101967956B1 (en) | 2016-11-29 | 2016-11-29 | Insulated fire-resistant frame and frame structure using of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795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1381A (en) | 2021-11-30 | 2023-06-07 | 주식회사 포스코 | Wall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84805B (en) * | 2019-07-03 | 2024-11-08 |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 Combined thermal insulation profiles and doors and window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1107B1 (en) * | 2009-06-09 | 2011-10-07 | 극동건설주식회사 | Fasten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system |
KR101191560B1 (en) * | 2012-02-27 | 2012-10-15 | 주식회사 삼공사 | Glass wall structure for insulated fire resistant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1502B1 (en) * | 2013-06-17 | 2015-02-11 | 주식회사 포스코 | Structure of insulator for preventing thermal bridge and window system with the same |
-
2016
- 2016-11-29 KR KR1020160160489A patent/KR1019679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1107B1 (en) * | 2009-06-09 | 2011-10-07 | 극동건설주식회사 | Fasten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system |
KR101191560B1 (en) * | 2012-02-27 | 2012-10-15 | 주식회사 삼공사 | Glass wall structure for insulated fire resista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1381A (en) | 2021-11-30 | 2023-06-07 | 주식회사 포스코 | Wall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1535A (en) | 2018-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51008B2 (en) | Fire prevention structure of multi-layer glass window | |
KR101792971B1 (en) | Fire Door Having Thermal Insulation | |
KR200492336Y1 (en) | Fixed Frame Structure of Fire Door Perspective Window | |
KR101558947B1 (en) | Curtain wall structure with improved thermal performance and support structure for the glass weight | |
KR101544921B1 (en) | Exterior Insula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Fire Extention | |
KR200474131Y1 (en) | Assembling panel for fireproof wall | |
KR101967956B1 (en) | Insulated fire-resistant frame and frame structure using of it | |
KR102075487B1 (en) | Fire Door | |
KR20160001838U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curtain wall | |
KR20150004055A (en) | Door | |
KR101104295B1 (en) | Insulated door frames | |
KR101975558B1 (en) | Fire door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 |
KR20160056063A (en) | Glass Wall Structure for Insulated Fire Resistant | |
KR102089940B1 (en) | Structure for fire prevention | |
JP6147495B2 (en) | Window unit and face plate mounting method | |
KR102275607B1 (en) | Triple panel structure with fire resistance, heat insulation, and sound absorption | |
KR101529559B1 (en) | Unit type curtain wall structure incorporated C type steel channel and aluminum frame | |
JP5990472B2 (en) | Lock reinforcement, lock device, door and opening device | |
KR20170038436A (en) | A curtain wall frame | |
KR20190001056U (en) | Reinforced Fire Door Structure with Strengthened Fireproof and Heat Insulation Factor | |
KR102039140B1 (en) | Super windows and doors for high rise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180115085A (en) | Fire door with improved heat insulation and air tightness | |
KR101998068B1 (en) | Fire Proof Door Can Prevent Deflection By Heat | |
JP2018155037A (en) | building | |
JP6377802B2 (en) | Join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