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7431B1 -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 Google Patents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431B1
KR101967431B1 KR1020190005085A KR20190005085A KR101967431B1 KR 101967431 B1 KR101967431 B1 KR 101967431B1 KR 1020190005085 A KR1020190005085 A KR 1020190005085A KR 20190005085 A KR20190005085 A KR 20190005085A KR 101967431 B1 KR101967431 B1 KR 101967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wheel
piece
handle
frame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영
Original Assignee
고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기영 filed Critical 고기영
Priority to KR102019000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4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3Tensioning by repetetive movement of an actua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게 해제하는 기능을 지닌 화물 고정용 텐셔너 기구에 있어서: 권취대(10)와 래칫휠(12)을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레임(21)에 내부핸들(2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20); 상기 내부핸들(25)에 연결되어 래칫휠(12)과 맞물림 가능하고, 내부핸들(25)에 연동하여 래칫휠(12)의 맞물림을 단속하는 멈춤부재; 상기 본체(20)의 권취대(10)에 프레임(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레임(41)에 외부핸들(4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40); 상기 외부핸들(45)에 연결되어 래칫휠(12)과 맞물림 가능하고, 외부핸들(45)에 연동하여 래칫휠(12)의 맞물림을 단속하는 가동편(35); 및 상기 레버(40) 상에 가동편(35)의 맞물림 상태를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선택부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장력이 인가된 고정용 벨트의 장력을 점진적으로 해제함에 있어 레버 또는 핸들의 위치와 무관하게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방지의 실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Tensioner device having safe release function}
본 발명은 화물 고정용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력이 인가된 고정용 벨트의 장력을 점진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트럭과 같은 운송용 차량 등에 적재된 화물을 벨트로 고정하는 경우, 차량의 일측에서 벨트의 일단에 장착된 후크를 걸고 차량의 타측에서 벨트의 타단을 텐셔녀의 래칫버클에 끼우고 래칫레버를 작동시켜 장력을 인가한다. 래칫레버를 180도로 회전시키면 장력이 소멸되면서 벨트의 신속한 해체와 분리도 가능하다. 다만 벨트에 상당한 장력이 인가된 경우 래칫레버를 해제하는 순간 화물이 쏟아져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크다.
이러한 우려의 해소를 위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08470호(선행문헌 1),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6799750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역전방지 로크기구(lock mechanism)가 래칫톱니에 별도로 계지되는 2개의 대향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져 있고, 체결레버에 부가적으로 성형된 해제돌기와 연계하여 2개의 슬라이더를 교대로 톱니로부터 밀어내어 래칫을 단계적으로 해제 가능하다. 이에, 운송화물의 해제 장력을 줄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에 의하면 프레임의 로킹(locking) 슬롯과 루스닝(loosening) 슬롯 사이에 릴리싱(releasing) 슬롯을 구비하고, 래칫 톱니와 동일한 형태의 슬라이딩 기어를 릴리싱 슬롯과 인접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배플의 반대방향 당김에 의하여 하나의 톱니 단위로 벨트를 이완한다. 이에, 화물의 하역 과정에서 슬로우 릴리즈에 의한 안전성과 신뢰성을 기대한다.
다만,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레버 또는 핸들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만 해제가 가능하므로 작동하는 상황에 따라 자세의 불편함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08470호 "括着け索用の締付けラッチ" (공개일자 : 1995.04.25.)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6799750호 "점진적으로 해제되는 텐션기의 프레임" (공개일자 : 2004.10.0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력이 인가된 고정용 벨트의 장력을 점진적으로 해제함에 있어 레버 또는 핸들의 위치와 무관하게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하게 해제하는 기능을 지닌 화물 고정용 텐셔너 기구에 있어서: 권취대와 래칫휠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레임에 내부핸들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 상기 내부핸들에 연결되어 래칫휠과 맞물림 가능하고, 내부핸들에 연동하여 래칫휠의 맞물림을 단속하는 멈춤부재; 상기 본체의 권취대에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레임에 외부핸들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상기 외부핸들에 연결되어 래칫휠과 맞물림 가능하고, 외부핸들에 연동하여 래칫휠의 맞물림을 단속하는 가동편; 및 상기 레버 상에 가동편의 맞물림 상태를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선택부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멈춤부재는 권취대를 중심으로 일측의 제1멈춤편 및 타측의 제2멈춤편으로 구성되고, 제1멈춤편 및 제2멈춤편은 내부핸들과 연동하도록 연결편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멈춤편 및 제2멈춤편은 각각의 슬릿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1멈춤편이 래칫휠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멈춤편이 래칫휠의 직선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2멈춤편은 래칫휠의 곡선부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2멈춤편은 내부핸들이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당겨진 상태에서만 래칫휠에 맞물려 권취대의 해제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선택부재는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당겨진 외부핸들의 임의적 복귀를 구속하도록 후크부를 갖춘 걸림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력이 인가된 고정용 벨트의 장력을 점진적으로 해제함에 있어 레버 또는 핸들의 위치와 무관하게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방지의 실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셔너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셔너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셔너 기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셔너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안전하게 해제하는 기능을 지닌 화물 고정용 텐셔너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운송용 차량 등에 적재된 화물을 벨트로 고정하기 위한 텐셔너 기구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전한 해제는 결박된 벨트의 장력을 단계적으로 서서히 감소함을 요체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권취대(10)와 래칫휠(12)을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20)가 프레임(21)에 내부핸들(2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체(20)는 벨트(15)를 결박/해제하는 통상적인 텐셔너에서 래칫버클에 해당한다. 본체(20)는 고정부(22)를 개재하여 한 쌍의 프레임(21)을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시킨 구조이다. 본체(20)의 일단에 권취대(10)와 래칫휠(12)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권취대(10)는 벨트(15)의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홈(11)을 구비한다. 권취대(10)의 양단에 한 쌍의 래칫휠(12)이 동심으로 결합된다. 일단에 조작을 위한 파지부를 지닌 내부핸들(25)은 대향하는 프레임(21) 사이에 슬릿부(23)를 개재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내부핸들(25)에는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기 위한 스프링(27)이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멈춤부재가 상기 내부핸들(25)에 연결되어 래칫휠(12)과 맞물림 가능하고, 내부핸들(25)에 연동하여 래칫휠(12)의 맞물림을 단속하는 구조이다. 멈춤부재는 조작용 내부핸들(25)과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내부핸들(25)의 슬라이딩 운동에 대응하여 래칫휠(12)과의 맞물림을 단속한다. 멈춤부재가 래칫휠(12)에 맞물리는 동안 결박된 벨트의 임의적 해제가 구속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멈춤부재는 권취대(10)를 중심으로 일측의 제1멈춤편(31) 및 타측의 제2멈춤편(32)으로 구성되고, 제1멈춤편(31) 및 제2멈춤편(32)은 내부핸들(25)과 연동하도록 연결편(33)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멈춤편(31)과 제2멈춤편(32)이 연결편(33)을 개재하여 일체화된 구조의 멈춤부재를 예시한다. 제1멈춤편(31)과 제2멈춤편(32)이 권취대(10)의 중심으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은 래칫휠(12)에 대한 맞물림을 상반적으로 교번하기 위함이다. 연결편(33)은 권취대(10)의 단부와 간섭을 피하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멈춤편(31) 및 제2멈춤편(32)은 각각의 슬릿부(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1멈춤편(31)이 래칫휠(12)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제1멈춤편(31)과 제2멈춤편(32)은 일직선 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각각의 슬릿부(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내부핸들(25)의 파지부에 근접한 제1멈춤편(31)은 스프링(27)에 연결되어 래칫휠(12)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도 2처럼 평상시 탄성력에 기인하여 제1멈춤편(31)이 래칫휠(12)의 치차에 맞물리는 동시에 제2멈춤편(32)은 래칫휠(12)의 치차와 이격된다. 물론 내부핸들(25)의 파지부를 손으로 당기면 제1멈춤편(31)과 제2멈춤편(32)의 맞물림은 반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41)에 외부핸들(4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40)가 상기 본체(20)의 권취대(10)에 프레임(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레버(40)는 벨트(15)를 결박/해제하는 통상적인 텐셔너에서 래칫핸들에 해당한다. 레버(40)는 고정부를 개재하여 한 쌍의 프레임(41)을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시킨 구조이다. 레버(40)의 단부는 권취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일단에 조작을 위한 파지부를 지닌 외부핸들(45)은 대향하는 프레임(41) 사이에 슬릿부(43)를 개재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외부핸들(45)에는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기 위한 스프링(47)이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 스프링(27)(47)은 슬릿부(23)(43) 상에 예시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편(35)이 상기 외부핸들(45)에 연결되어 래칫휠(12)과 맞물림 가능하고, 외부핸들(45)에 연동하여 래칫휠(12)의 맞물림을 단속하는 구조이다. 가동편(35)은 조작용 외부핸들(45)과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외부핸들(45)의 슬라이딩 운동에 대응하여 래칫휠(12)과의 맞물림을 단속한다. 가동편(35)이 래칫휠(12)에 맞물리는 동안 레버(40)를 이용한 벨트의 권취가 가능하다. 레버(40)의 프레임(41)에는 적어도 2개의 캠부(42)가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20)에 대응하여 레버(40)가 접힌 로크 상태의 부호 40a 및 180˚로 완전하게 펼쳐진 언로크 상태의 부호 40b를 동시에 나타낸다. 레버(40)의 로크 상태에서 측면의 캠부(42a)가 제1멈춤편(31)에 맞물려 운동을 구속하므로 권취대(10)에 결박된 벨트의 임의적 해제를 방지한다. 레버(40)의 언로크 상태에서 하단의 캠부(42b)가 제1멈춤편(31)을 밀쳐 래칫휠(12)과의 맞물림을 해제하므로 외부핸들(45)의 조작으로 벨트의 일시적(순간적) 해제가 가능하다. 레버(40)가 로크 및 언로크 상태의 중간에 위치하는 동안 권취대(10) 상으로 벨트의 권취와 화물의 결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멈춤편(31)이 래칫휠(12)의 직선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2멈춤편(32)은 래칫휠(12)의 곡선부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래칫휠(12)의 치차는 수직의 직선부와 경사진 곡선부가 반복되는 형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멈춤편(31)이 일측 치차의 직선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제2멈춤편(32)이 타측 치차의 직선부가 아닌 곡선부에 대향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일예로, 제2멈춤편(32)가 대략 곡선부의 1/2 지점에 대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내부핸들(25)을 당길때마다 제1멈춤편(31)과 제2멈춤편(32)는 래칫휠(12)에 대하여 대략 1/2피치 단위의 단계적으로 장력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2멈춤편(32)은 내부핸들(25)이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당겨진 상태에서만 래칫휠(12)에 맞물려 권취대(10)의 해제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제1멈춤편(31)이 래칫휠(12)의 일측 치차의 수직부에 5㎜ 깊이로 맞물린 경우 내부핸들(25)이 대략 7㎜ 이상 당겨진 상태에서 제2멈춤편(32)이 래칫휠(12)의 타측 치차의 수직부에 맞물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가 내부핸들(25)을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레버(40)를 반복적으로 회전하여 벨트를 결박하는 경우 제2멈춤편(32)은 래칫휠(12)과 전혀 간섭되지 않아 통상적인 텐셔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부재가 상기 레버(40) 상에 가동편(35)의 맞물림 상태를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선택부재는 가동편(35)을 래칫휠(12)에서 후진시킨 맞물림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부재는 본 발명의 단계적 벨트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일종의 예비적 조작수단이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선택부재는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당겨진 외부핸들(45)의 임의적 복귀를 구속하도록 후크부(55)를 갖춘 걸림봉(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봉(50)은 프레임(4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후크부(55)는 걸림봉(50) 상에 자세변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외부핸들(45)의 파지부를 당긴 상태에서 후크부(55)를 걸면 가동편(35)이 래칫휠(12)에서 분리되므로 내부핸들(25)의 조작에 의한 단계적 벨트 해제가 가능하다. 특히 레버(40)가 로크 및 언로크 위치를 제외한 중간의 어느 위치에 있거나 선택부재 및 내부핸들(25)의 가동으로 벨트를 서서히 풀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벨트의 단계적 해제를 위한 래칫휠(12)의 운동을 설명한다. 도 4(a)에서 제1멈춤편(31)과 가동편(35)이 래칫휠(12)에 동시에 맞물리면 레버(40)의 회전으로 래칫휠(1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트를 결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멈춤편(31)의 슬라이딩 운동이 유발되지만 제2멈춤편(32)은 래칫휠(12)과 간섭되지 않는다. 도 4(b)에서 선택부재인 걸림봉(50)과 후크부(55)를 이용하여 가동편(35)을 래칫휠(12)에 분리시키면 제1멈춤편(31)에 의하여 벨트의 풀림은 구속된다. 도 4(c)처럼 사용자가 내부핸들(25)을 당기면 제1멈춤편(31)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동시에 제2멈춤편(32)의 맞물림이 진행되고, 내부핸들(25)을 놓으면 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도 (b)의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도 4(b)(c)에서 래칫휠(12)이 A 위치에서 B 위치로 한 단계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벨트 장력의 단계적 해제가 가능하다. 물론 래칫휠(12), 제1멈춤편(31), 제2멈춤편(32) 등의 치수에 따라 각도 단위는 변동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권취대 11: 절개홈
12: 래칫휠 15: 벨트
20: 본체 21: 프레임
22: 고정부 23: 슬릿부
25: 내부핸들 27, 47: 스프링
31: 제1멈춤편 32: 제2멈춤편
33: 연결편 35: 가동편
40: 레버 41: 프레임
42: 캠부 43: 슬릿부
45: 외부핸들 50: 걸림봉
55: 후크부

Claims (6)

  1. 안전하게 해제하는 기능을 지닌 화물 고정용 텐셔너 기구에 있어서:
    권취대(10)와 래칫휠(12)을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레임(21)에 내부핸들(2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20);
    상기 내부핸들(25)에 연결되어 래칫휠(12)과 맞물림 가능하고, 내부핸들(25)에 연동하여 래칫휠(12)의 맞물림을 단속하는 멈춤부재;
    상기 본체(20)의 권취대(10)에 프레임(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레임(41)에 외부핸들(4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40);
    상기 외부핸들(45)에 연결되어 래칫휠(12)과 맞물림 가능하고, 외부핸들(45)에 연동하여 래칫휠(12)의 맞물림을 단속하는 가동편(35); 및
    상기 레버(40) 상에 가동편(35)의 맞물림 상태를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선택부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멈춤부재는 권취대(10)를 중심으로 일측의 제1멈춤편(31) 및 타측의 제2멈춤편(32)으로 구성되고, 제1멈춤편(31) 및 제2멈춤편(32)은 내부핸들(25)과 연동하도록 연결편(33)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멈춤편(31) 및 제2멈춤편(32)은 각각의 슬릿부(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1멈춤편(31)이 래칫휠(12)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멈춤편(31)이 래칫휠(12)의 직선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2멈춤편(32)은 래칫휠(12)의 곡선부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멈춤편(32)은 내부핸들(25)이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당겨진 상태에서만 래칫휠(12)에 맞물려 권취대(10)의 해제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재는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당겨진 외부핸들(45)의 임의적 복귀를 구속하도록 후크부(55)를 갖춘 걸림봉(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KR1020190005085A 2019-01-15 2019-01-15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Active KR101967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085A KR101967431B1 (ko) 2019-01-15 2019-01-15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085A KR101967431B1 (ko) 2019-01-15 2019-01-15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431B1 true KR101967431B1 (ko) 2019-04-09

Family

ID=6616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085A Active KR101967431B1 (ko) 2019-01-15 2019-01-15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4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470A (ja) 1990-05-03 1995-04-25 Spanset Inter Ag 括着け索用の締付けラッチ
US6799750B2 (en) 2002-04-12 2004-10-05 Ningbo Xuli Metal Products Co., Ltd. Frame for a gradually released tension machine
US20160360837A1 (en) * 2015-06-12 2016-12-15 Cody J. Costenbader Strap Tie-Down Assembly With Lo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470A (ja) 1990-05-03 1995-04-25 Spanset Inter Ag 括着け索用の締付けラッチ
US6799750B2 (en) 2002-04-12 2004-10-05 Ningbo Xuli Metal Products Co., Ltd. Frame for a gradually released tension machine
US20160360837A1 (en) * 2015-06-12 2016-12-15 Cody J. Costenbader Strap Tie-Down Assembly With 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5858B1 (en) Side-loading ratchet device
US8099836B2 (en) Ratchet tie-down
US8141950B2 (en) Single retractor lower anchor connection system
US7077475B2 (en) Child restraint system
US5271606A (en) Tensioning ratchet for a lashing strap
US3175806A (en) Ratchet buckle
EP3579805B1 (en) A fastening device for detachably fastening of an object to a vehicle floor
KR101274375B1 (ko) 풀림 방지를 위한 안전 고리를 포함하는 잠금 및 풀림 장치
EP1689622B1 (en) Seat belt retraction mechanism
US20170144624A1 (en) Switchable retractor
US6929438B1 (en) Cargo restraint apparatus
KR101967431B1 (ko) 안전 해제 기능을 지닌 텐셔너 기구
US10974690B2 (en) Ratchet adjuster for latch connector
US6539590B2 (en) Seat belt tightner
GB2148436A (en) Strap tightener with strap lock
AU2004290610B2 (en) Seat belt retraction mechanism
KR200293742Y1 (ko) 화물결박용 벨트조임장치
NZ720348B2 (en) Side-Loading Ratche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