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7220B1 - 승강작업대 - Google Patents

승강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220B1
KR101967220B1 KR1020160168864A KR20160168864A KR101967220B1 KR 101967220 B1 KR101967220 B1 KR 101967220B1 KR 1020160168864 A KR1020160168864 A KR 1020160168864A KR 20160168864 A KR20160168864 A KR 20160168864A KR 101967220 B1 KR101967220 B1 KR 101967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member
fixed
base
lif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292A (ko
Inventor
고병기
Original Assignee
고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기 filed Critical 고병기
Priority to KR102016016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2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2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대상물의 적재 또는 하역에 따라 작업지지대가 자동으로 하강 또는 상승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정한 높이에서 작업을 지속할 수 있으며, 적재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단위중량당 하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작업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일측에 작업대상물을 지지하는 작업지지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작업지지대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승강작업대 {Up-down work table}
본 발명은 승강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대상물의 적재 또는 하역에 따라 작업지지대가 자동으로 하강 또는 상승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정한 높이에서 작업을 지속할 수 있으며, 적재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단위중량당 하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대는 작업공정에 따라 필요한 각종 공구 또는 자재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공구 또는 자재 등이 올려지는 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과, 별도의 승강수단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형으로 구분된다.
그 중 승강형의 작업대는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수의 수평 링크바와 수직 링크바가 다양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 구조로 되어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승강형 작업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과, 공구 또는 자재 등이 올려지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마운트프레임(13) 및 마운트프레임(13)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용 링크구조(15)로 구성되며, 이러한 종래 승강형 작업대는 링크구조(15)의 상하방향 신축에 의해 상기 마운트프레임(13)의 승강이 이루어져 높낮이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형 작업대는 마운트프레임(13)을 승강시키기 위한 링크구조(15)로 인해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올려지는 자재의 중량이 비교적 클 경우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기가 어려웠으며, 또한, 정밀하게 높낮이를 조절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승강형 작업대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승강형 작업대는 모두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승강 높이를 펌프나 전동모터 또는 기타 액추에이터를 통해 조절하는 형태이며, 작업대의 높이를 수시로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대의 높이 조절에 따른 소요시간이 길어져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19877호 : 수동식 승강작업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5961호 : 승강작업대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적재되는 작업대상물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하강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효율이 높으며, 작업대상물의 단위 중량당 하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작업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일측에 작업대상물을 지지하는 작업지지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작업지지대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가이드부재와,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가이드부재와,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승강지지축과, 일단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와 인접하는 작업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지지축을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작업지지대는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일측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하단은 상기 승강지지축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상하로 연장되는 각기둥 형태의 가이드로드와, 상기 작업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주행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주행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로드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로드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접촉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로드의 대향되는 두 모서리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원주면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고, 상기 제3 가이드롤러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접촉하는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일측에 상기 베이스부의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경사각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는 작업지지대에 작업대상물이 적재되지 않아도 최하부 위치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와 연결되는 진퇴로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작업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작업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작업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작업지지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작업지지대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승강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부재와, 상기 양측 고정가이드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일측 고정가이드부재로부터 타측 고정가이드부재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가이드부재와,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승강지지축과, 상기 양측 고정가이드부재와 경사가이드부재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업지지대와 연결되는 승강이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일측 고정가이드부재와 인접하는 상기 승강이동부재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지지축을 상기 일측 고정가이드부재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승강이동부재는 상기 양측 고정가이드부재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주행가이드부가 마련되고, 하부가 상기 승강지지축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지지축의 승강 및 하강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측 고정가이드부재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각기둥 형태의 가이드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주행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주행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주행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로드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로드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접촉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로드의 대향되는 두 모서리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원주면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고, 상기 제3 가이드롤러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접촉하는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는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경사각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는 작업지지대에 작업대상물이 적재되지 않아도 최하부 위치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와 연결되는 진퇴로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작업대는 작업대상물의 적재 또는 하역 과정에서 작업지지대가 자동으로 하강 또는 승강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허리 또는 무릎 등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작업지지대가 육각기둥 형상의 가이드로드를 따라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지므로 승하강 과정에서 작업지지대가 흔들리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형 작업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작업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승강작업대의 베이스부 및 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승강작업대의 적재부의 배면도,
도 5는 고정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제1 승강결합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작업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승강작업대의 측면도,
도 8은 승강구동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작업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작업대(1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승강작업대(100)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작업지지대(120)와,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작업지지대(12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유닛(13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작업지지대(120)와 승강지지유닛(1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하단에 이송바퀴(111)가 설치되어 있어서 베이스부(110)가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베이스부(110)가 작업장의 바닥에 앵커나 고정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지지대(120)는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승강지지유닛(130)에 의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면에 작업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작업지지대(120)의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특정 형상의 작업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작업 대상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적재홈이 형성될 수도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작업대상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지지유닛(130)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가이드부재(131)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131)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가이드부재(132)와, 상기 작업지지대(12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경사가이드부재(132)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지지축(133)과, 상기 승강지지축(133)과 작업지지대(120)에 양단이 걸리는 탄성부재(134)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131)에 설치되는 가이드로드(140)와, 가이드로드(140)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작업지지대(120)에 설치되는 주행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가이드부재(131)는 베이스부(110)재에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로드(140)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131)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경사가이드부재(132)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재(131)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으며, 경사가이드부재(132)의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경사가이드부재(132)는 고정가이드부재(13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이스부(110)재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가이드부재(132)의 하단에 연결되어 경사가이드부재(132)의 하단을 회전포인트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경사가이드부재(132)의 하부에 연결되는 진퇴로드를 구비하는 유압 또는 공압식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승강지지축(133)은 상술한 것처럼 경사가이드부재(132)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양단부가 상기 경사가이드부재(132)에 연결되는 롤러이고, 양측 롤러의 사이를 연결하는 축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지지축(133)은 작업지지대(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경사가이드부재(132)를 따라 하강 또는 상승할 때, 작업지지대(120)의 하면에서 작업지지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134)는 인장스프링으로, 일단이 작업지지대(12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지지축(133)에 연결된다. 탄성부재(134)의 일단이 연결되는 작업지지대(120)의 일측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131)와 인접하는 방향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34)는 승강지지축(133)을 작업지지대(120)의 일측 방향을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킴으로써 작업지지대(120)에 작업대상물이 적재되어 하중이 가해졌을 때 작업지지대(120)의 하강 거리를 조절한다.
즉, 작업지지대(120)에 하중이 걸려 작업지지대(120)를 지지하는 승강지지축(133)이 하강하면, 상기 탄성부재(134)가 지지되는 작업지지대(120)의 일측과 승강지지축(133) 사이의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134)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상기 탄성부재(134)의 탄성력과 작업지지대(120)에 적재되는 작업대상물의 하중이 대응하는 높이에서 승강지지축(133)이 정지하게 되므로 작업지지대(120)의 하강도 멈추게 된다.
작업지지대(120)에 작업대상물이 추가로 적재되어 하중이 증가하면, 승강지지축(133)이 소정거리 더 하강하면서 탄성부재(134)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늘어나게 되며, 이렇게 작업대상물의 하중과 탄성부재(134)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높이에서 작업지지대(120)의 높이가 유지된다.
그리고 작업지지대(120)에서 작업대상물을 치우면 하중이 줄어들면서 상기 탄성부재(134)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부재(134)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도록 승강지지축(133)이 경사가이드부재(132)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작업지지대(120)도 상승하게 된다.
상기 경사가이드부재(132)가 상기 고정가이드부재(131)와 이루는 경사각이 커질수록 단위 중량당 작업지지대(120)의 하강거리가 짧아지고, 경사각이 작아질수록 단위중량당 작업지지대(120)의 하강거리는 길어지게 되므로 적재되는 작업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단위중량당 하강거리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가이드부재(132)는 고정가이드부재(131)와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탄성부재(134)에 의한 지지력이 제거되므로 상기 작업지지대(120)가 최하강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의 작업대상물을 작업지지대(120) 상에 올리는 경우 경사가이드부재(132)를 고정가이드부재(131)와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하여 작업지지대(120)를 최하강 위치로 내린 후 작업대상물을 적재하고, 다시 경사가이드부재(132)를 고정가이드부재(131)에 대하여 경사지게 회전시켜 탄성부재(134)에 의해 상기 작업지지대(120)가 상승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로드(140)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재(131)에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행가이드부(150)는 작업지지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지지대(120)가 고정가이드부재(131)에 설치되는 가이드로드(140)를 따라 상하로 승강 구동할 수 있도록 주행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주행가이드부(150)는 가이드로드(14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롤러(151)와 제2 가이드롤러(152) 및 제1 가이드롤러(151)와 제2 가이드롤러(152)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가이드롤러(153)를 포함한다.
가이드로드(140)가 육각기둥 형상이므로, 가이드로드(140)의 여섯개의 측면 중 하나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재(131)의 내면에 접하도록 가이드로드(140)가 고정가이드부재(131)에 설치된다. 고정가이드부재(131)에 접촉하는 면을 접촉면이라고 하면, 가이드로드(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접촉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상기 제3 가이드롤러(153)가 지지되고, 접촉면과 대향면의 사이에 존재하는 모서리에 상기 제1 가이드롤러(151)와 제2 가이드롤러(152)가 각각 설치된다.
제1 가이드롤러(151)와 제2 가이드롤러(152)는 가이드로드(140)의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원주면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으며, 제3 가이드롤러(153)는 대향면을 따라 주행하도록 원주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롤러(151)와 제2 가이드롤러(152)가 각각 가이드로드(140)의 모서리에 끼워져 가이드로드(140)를 따라 승강하게 되므로 승강 과정에서 주행가이드부(15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직선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3 가이드롤러(153)가 가이드로드(140)의 대향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양측의 가이드로드(140)에 각각 지지되는 양측 주행가이드부(150)의 제3 가이드롤러(153)에 의해 작업지지대(120)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폭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주행가이드부(150)의 제1 가이드롤러(151)와 제2 가이드롤러(152)가 각각 상하로 이격되게 두 개씩 설치되어 있는데, 제1 가이드롤러(151)와 제2 가이드롤러(152)는 필요에 따라 상하로 이격되도록 세 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3 가이드롤러(153) 역시 상하로 이격되게 두 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작업대(2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승강작업대(200)도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지지대(220)와, 작업지지대(220)를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유닛(23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210)는 하부에 이송바퀴(211)가 장착되어 이동이 가능한데 필요에 따라 바닥에 고정할 수도 있다.
작업지지대(220)는 승강지지유닛(230)에 의해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고, 상부에 작업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승강지지유닛(230)은 베이스부(2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베이스부(210)의 일측에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231)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231)의 내부에 고정가이드부재(233)와 경사가이드부재(234), 승강지지축(235), 승강이동부재(240), 탄성부재(236)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31)은 작업지지대(220)가 설치되는 전면에 상기 승강이동부재(240)와 작업지지대(220)를 연결하는 커넥팅로드(221)가 관통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장공(2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부재(233)는 하우징(231)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작업지지재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고정가이드부재(233)에는 육각기둥 형상의 가이드로드(250)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가이드부재(234)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재(233)의 사이에서 작업지지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두 개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가이드부재(234)는 일측 고정가이드부재(233)를 기준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될수록 일측 고정가이드부재(2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234)도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경사가이드부재(234)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하면 후술하는 승강이동부재(240)가 최하강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부재는 양측 경사가이드부재(234)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승강이동부재(240)는 하우징(2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양측 단부가 주행가이드부(260)에 의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233)의 가이드로드(25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축지지부재에 지지된다.
상기 축지지부재가 승강이동부재(240)에 구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사가이드로드(250)를 따라 이동할 때 축지지부재가 승강이동부재(240)의 하단을 작업지지대(22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이동부재(240)는 커넥팅로드(221)를 통해 작업지지대(2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이동부재(240)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작업지지대(220) 역시 승강이동부재(240)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236)는 일단이 일측 고정가이드부재(233)와 인접하는 승강이동부재(24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지지축(235)에 연결되며, 작업지지대(220)에 작업대상물이 적재되어 하중이 걸리면 승강이동부재(240)가 하강하면서 승강지지축(235)을 이동시키고,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236)가 인장되면서 탄성력이 걸려 승강지지축(235)의 하강을 일정 높이에서 제한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236)의 기능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승강작업대(200)도 승강이동부재(240)에 상기 가이드로드(250)와 연결되는 주행가이드부(260)가 마련되며, 주행가이드부(260)는 가이드로드(250)의 대향되는 두 모서리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롤러(261)와 제2 가이드롤러(262) 및 고정가이드부재(233)에 접촉하는 접촉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지지되어 주행하는 제3 가이드롤러(26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작업지지대(220)가 일측만 승강지지유닛(230)에 연결되어 지지되므로 작업지지대(220)의 하부와 베이스부(210)를 연결하는 가스실린더(222)를 장착해 작업지지대(220)의 전방부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실린더(222)는 작업지지대(220)가 하강함에 따라 인출로드가 인입되어 짧아지는 거리에 대응할 수 있고, 작업지지대(220)와 베이스부(210)에 각각 연결되는 양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승강작업대(200)는 두 실시예 모두 고정가이드부재(233)에 육각기둥 형상의 가이드로드(25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로드(250)의 대향되는 두 모서리를 따라 주행하는 제1 가이드롤러(261)와 제2 가이드롤러(262), 그리고 가이드로드(250)의 대향면에 지지되는 제3 가이드롤러(263)가 마련되는 주행가이드부(260)를 포함하고 있어서 작업지지대(220)가 상하로 승강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업지지대(220)가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승강작업대
110: 베이스부 111: 이송바퀴
120: 작업지지대 130: 승강지지유닛
131: 고정가이드부재 132: 경사가이드부재
133: 승강지지축 134: 탄성부재
140: 가이드로드 150: 주행가이드부
151: 제1 가이드롤러 152: 제2 가이드롤러
153: 제3 가이드롤러
200: 승강작업대
210: 베이스부 211: 이송바퀴
220: 작업지지대 221: 커넥팅로드
222: 가스실린더 230: 승강지지유닛
231: 하우징 232: 장공
233: 고정가이드부재 234: 경사가이드부재
235: 승강지지축 236: 탄성부재
240: 승강이동부재 250: 가이드로드
260: 주행가이드부 261: 제1 가이드롤러
262: 제2 가이드롤러 263: 제3 가이드롤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작업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작업지지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작업지지대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승강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부재와,
    상기 양측 고정가이드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일측 고정가이드부재로부터 타측 고정가이드부재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가이드부재와,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승강지지축과,
    상기 양측 고정가이드부재와 경사가이드부재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이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일측 고정가이드부재와 인접하는 상기 승강이동부재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지지축을 상기 일측 고정가이드부재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승강이동부재는 상기 양측 고정가이드부재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주행가이드부가 마련되고, 하부가 상기 승강지지축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지지축의 승강 및 하강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측 고정가이드부재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육각 기둥 형상의 가이드로드가 일면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접촉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주행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주행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작업지지대는 상기 승강이동부재의 일측에 커넥팅로드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주행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로드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로드의 대향되는 두 모서리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원주면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고,
    상기 제3 가이드롤러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에 접촉하는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작업대.
  8. 삭제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는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경사각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작업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부재는 작업지지대에 작업대상물이 적재되지 않아도 최하부 위치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작업대.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가이드부재와 연결되는 진퇴로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작업대.
KR1020160168864A 2016-12-12 2016-12-12 승강작업대 Active KR101967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864A KR101967220B1 (ko) 2016-12-12 2016-12-12 승강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864A KR101967220B1 (ko) 2016-12-12 2016-12-12 승강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292A KR20180067292A (ko) 2018-06-20
KR101967220B1 true KR101967220B1 (ko) 2019-04-09

Family

ID=6276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864A Active KR101967220B1 (ko) 2016-12-12 2016-12-12 승강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2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824A (ko) 2019-09-23 2021-03-31 고병기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KR20240029871A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승강식 작업 발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2432A (zh) * 2018-07-19 2019-01-04 芜湖籁余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外窗传热系数检测仪固定装置
WO2022080584A1 (ko) 2020-10-16 2022-04-21 주식회사 오케이오 다단 하중조절형 이동대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50Y1 (ko) * 2004-07-26 2004-10-15 강희수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적재부을 구비한운반대차
KR101486186B1 (ko) * 2011-07-06 2015-01-23 니폰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장치 및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KR101521210B1 (ko) * 2014-10-06 2015-05-19 고병기 다단 하중조절형 대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877B1 (ko) 2005-08-04 2006-09-06 (주)태진이엔지 수동식 승강작업대
KR200415961Y1 (ko) 2006-02-10 2006-05-09 최용명 승강 작업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50Y1 (ko) * 2004-07-26 2004-10-15 강희수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적재부을 구비한운반대차
KR101486186B1 (ko) * 2011-07-06 2015-01-23 니폰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장치 및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KR101521210B1 (ko) * 2014-10-06 2015-05-19 고병기 다단 하중조절형 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824A (ko) 2019-09-23 2021-03-31 고병기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KR20240029871A (ko)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승강식 작업 발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292A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220B1 (ko) 승강작업대
KR101426072B1 (ko) 이송대차
JP4333720B2 (ja) 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の取付構造
JP5644213B2 (ja) 昇降装置
KR20120123024A (ko) 물품 보관 설비
JP2008214007A (ja) 移載用昇降装置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EP3509978A1 (en) Apparatus for the reparation of post-collision, damaged or under maintenance vehicles
KR101796643B1 (ko) 트롤리커넥터용 승강식 이동셋팅장치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126127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렬 지그
KR102539871B1 (ko) 엘리베이터 패널 제조장치
JP2013063721A (ja) 高床作業車の荷台支持装置
KR102400406B1 (ko) 덕트 리프트 장치
JP4289502B2 (ja) 搬送補助装置およびこの搬送補助装置を備えた搬送装置
KR100992224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핀 교체장치
JP6587876B2 (ja) 荷役装置
KR101293930B1 (ko) 부품박스 적재대
CN216582948U (zh) 一种用于建筑模板生产的上料装置
JP6595864B2 (ja) エンドレスチェーン駆動機構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KR20190113032A (ko) 지게차 마스트 조립용 지그장치
KR102236143B1 (ko)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KR101770230B1 (ko) 폼 트래블러
KR20230081374A (ko) 타이어 리프트
KR102301077B1 (ko) 중량물 주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