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078B1 - Methods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 Google Patents
Methods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7078B1 KR101967078B1 KR1020177013017A KR20177013017A KR101967078B1 KR 101967078 B1 KR101967078 B1 KR 101967078B1 KR 1020177013017 A KR1020177013017 A KR 1020177013017A KR 20177013017 A KR20177013017 A KR 20177013017A KR 101967078 B1 KR101967078 B1 KR 1019670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resin
- polyvinyl alcohol
- layer
- based res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B29C55/06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in several stretching step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9/04—PVOH, i.e. polyvinyl alcoh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4—Polar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가 50 ㎛ 이하인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을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접합하여 적층 필름을 얻는 수지 필름 접합 공정과, 상기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연신 공정과, 상기 일축 연신 적층 필름의 상기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편광자층을 형성하는 염색 공정을 이 순으로 포함하는, 기재 필름과, 이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된 편광자층을 구비하는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 필름의 단부가 접혀 들어가 버리는 문제점을 초래하지 않고, 박형의 편광자층을 갖는 편광성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d film comprising a resin film bonding step of bonding a resin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ving a thickness of 50 탆 or less to one surface of a base film to obtain a laminated film, a stretching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laminated film, And a dyeing step of dyeing the resin film of the laminated film with a dichroic dye to form a polarizer layer in this order, and a polarizer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 / RTI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having a thin polarizer layer without causing a problem that the end portion of the base film is folded in.
Description
본 발명은, 편광성 적층 필름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서의 편광의 공급 소자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편광판으로서, 종래부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과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보호 필름이 적층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편광자층(편광 필름)에서는, 높은 광학 성능이 요구되고, 최근, 액정 표시 장치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에의 전개 등에 따라, 박육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BACKGROUND ART A polarizing plate is widely used as a polarizing light supply element in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such a polarizing plate, a polarizer layer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a protective film such as triacetylcellulose laminated are conventionally used. Polarizer layers (polarizing films) are required to have high optical performance, and thinner and lighter in weight has been required in recent years due to developments in mobile devices such as notebook personal computers and mobile phones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단독으로 연신한 후, 또는 연신하면서, 염색 처리나 가교 처리를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고, 이것을 보호 필름 등에 적층함으로써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JPH11-49878-A 참조). As an example of a production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a polarizing film is produced by subjecting a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o a dyeing treatment or a crosslinking treatment while stretching it alone or after stretching it, (See JPH11-49878-A, for example).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일례로서, 기재 필름의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여 수지층을 설치한 후, 기재 필름과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연신하고, 이어서 염색하여, 수지층으로부터 편광자층을 형성하며, 편광자층을 갖는 편광성 적층 필름을 얻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JP2000-33829-A 참조). 이것을 그대로 편광판으로서 이용하거나, 이 필름에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기재 필름을 박리한 것을 편광판으로서 이용하거나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 solution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base film to provide a resin layer, and then a laminated film comprising a base film and a resin layer is stretched, A method of forming a polarizing layer from a resin layer and obtain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having a polarizing layer has been proposed (see JP 2000-33829-A, for example). A method in which a polarizing plate is directly used as a polarizing plate, a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the polarizing plate, and a base film is then peeled off as a polarizing plate.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일례로서, 보호 필름용 수지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공압출하여 적층 필름을 제작하고, 이 적층 필름을 연신하며, 이어서 염색하는 것에 의해, 편광자층과 보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얻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JP2009-25821-A 참조). As another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 laminated film is produced by co-extruding a resin for a protective film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the laminated film is stretched and then dyed, whereby a polarizing plate (See JP2009-25821-A, for example).
그러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단독으로 연신·염색·가교 처리를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파단이나 주름 등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50 ㎛ 이하의 박형의 필름을 취급하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편광 필름의 박형화의 실현이 곤란하다. However, in a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film by stretching, dyeing and crosslinking a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lone, since breakage or wrinkling easily occurs, it is difficult to handle a thin film of 50 탆 or les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thin polarizing film.
기재 필름의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여 수지층을 설치하는 방법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의 건조 수축에 의해 수지층이 줄어들기 쉽고, 그 결과 기재 필름의 양단이 수지층측으로 젖혀지는 현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이 상태 그대로 연속으로 수지층을 구비한 기재 필름을 계속 흘리면, 건조로 안이나 건조로 출구에서 기재 필름의 단부가 접혀 들어가 버리는 문제점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In the method of applying the solution contain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o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to provide the resin layer, the resin layer is liable to be shrunk by drying and shrinking of the solution contain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he ends of the substrate film may be bent toward the resin layer. If the substrate film continuously provided with the resin layer continuously flows in this state, the ends of the substrate film may be folded in the drying furnace or at the outlet of the drying furnace. .
보호 필름용 수지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공압출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용매와 함께 용융하여 압출을 행하기 때문에, 전술과 마찬가지로 건조 수축에 의해 기재 필름의 단부가 접혀 들어가 버리는 문제점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In the method of producing a laminated film by co-extruding a resin for a protective film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inc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melted together with a solvent and extruded, There is a case where the end portion is folded in.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 필름의 단부가 접혀 들어가 버리는 문제점을 초래하지 않고, 박형의 편광자층을 갖는 편광성 적층 필름 및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arizing laminated film having a thin polarizer lay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plate without causing a problem that the end portion of the base film is folded in.
본 발명은, 하기의 것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1] 두께가 50 ㎛ 이하인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을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접합하여 적층 필름을 얻는 수지 필름 접합 공정과, [1] a resin film bonding step of bonding a resin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ving a thickness of 50 탆 or less to one side of a base film to obtain a laminated film;
상기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연신 공정과, A stretching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laminated film,
상기 일축 연신 적층 필름의 상기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편광자층을 형성하는 염색 공정을 이 순으로 포함하는, 기재 필름과, 이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된 편광자층을 구비하는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And a dyeing step of staining the resin film of the uniaxially stretched laminated film with a dichroic dye to form a polarizer layer in this order, and a polarizer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 / RTI >
[2] 상기 수지 필름 접합 공정에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수지 필름을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접합하는, [1]에 기재된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1], wherein in the resin film bonding step, the resin film is bonded to one side of the base film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3] 상기 수지 필름 접합 공정에서,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가 15 ㎛ 이상인 인, [1] 또는 [2]에 기재된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1] or [2], wherein in the resin film bonding step, the resin film has a thickness of 15 m or more.
[4] 상기 수지 필름 접합 공정에서 이용되는 상기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지지체 위에 형성하는 수지층 형성 공정과, [4] The resin film used in the resin film bonding step may include a resin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resin layer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n a support,
이 수지층을 건조하는 제1 건조 공정과, 이 수지층을 이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이 수지층을 취득하는 수지층 분리 공정과, A first drying step of drying the resin layer, a resin layer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resin layer from the support to obtain the resin layer,
이 수지층을 제1 건조 공정에서의 온도보다 높은 건조 온도에서 건조하는 제2 건조 공정을, 이 순으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지 필름인, [1]∼[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방법.And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resin layer at a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in the first drying step, and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resin layer at a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in the first drying step. ≪ / RTI >
[5] [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편광성 적층 필름을 제조한 후, [5]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by the method described in [1]
이 편광성 적층 필름에서의 상기 편광자층의 상기 기재 필름측의 면과는 반대측 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보호 필름 접합 공정과, A protective film bonding step of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the side of the polarizer layer opposite to the side of the base film side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이 편광성 적층 필름으로부터 상기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기재 필름 박리 공정을 이 순으로 포함하는 편광자층과, 이 편광자층의 한쪽 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And a base film peeling step of peeling the base film from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in this order, and a protective film form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layer.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공정에서 기재 필름의 단부가 접혀 들어가지 않고, 박형의 편광자층을 갖는 편광성 적층 필름 및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a polarizing plate having a thin polarizer layer without folding the end portion of the base film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조하는 편광성 적층 필름은,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된 편광자층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을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접합하여 적층 필름을 얻는 수지 필름 접합 공정(S10)과, 이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연신 공정(S20)과, 이 적층 필름의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편광자층을 형성하는 염색 공정(S30)을, 통상 이 순으로 실시한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produc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ase film and a polarizer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a resin film bonding step (S10) of bonding a resin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o one side of a base film to obtain a laminated film, And a dyeing step (S30) in which a resin film of the laminated film is dyed with a dichroic dye to form a polarizer layer are usually performed in this order.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이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라고도 함)이 접합된 적층체를 「적층 필름」, 편광자로서의 기능을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편광자층」,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편광자층을 구비한 적층체를 「편광성 적층 필름」이라고 한다. 그리고, 편광자층의 한쪽 면에 보호 필름을 구비한 적층체를 「편광판」이라고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laminate in which a resin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bonded to one side of a base film is called a "laminated film"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s referred to as a " polarizer layer ", and the laminate having a polarizer layer on one side of a base film is referred to as a " polarizing laminated film ". The laminate having a protective film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layer is referred to as " polarizer ".
상기한 제조 방법에 의해, 기재 필름 위에, 충분한 편광 성능을 갖는, 예컨대 두께 25 ㎛ 이하의 편광자층을 구비한 편광성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는 편광성 적층 필름의 편광자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다. 이 편광성 적층 필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광자층을 보호 필름에 전사하기 위한 중간체 제품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기재 필름이 보호 필름의 기능을 갖는 경우는, 이 편광성 적층 필름을 그대로 편광판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 polarizing laminated film having a sufficient polarizing performance, for example, a polarizing layer with a thickness of 25 占 퐉 or less can be obtained on a base film.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yer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obtain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is preferably 25 占 퐉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 占 퐉 or less.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can be used as an intermediate product for transferring the polarizer layer to a protective film as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base film has the function of a protective film,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can be used as a polarizing plate It can also be used.
〔편광판의 제조 방법〕[Polarizing plate production metho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조하는 편광판은, 편광자층과, 편광자층의 한쪽 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접합하여 적층 필름을 얻는 수지 필름 접합 공정(S10)과, 이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연신 공정(S20)과, 이 적층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편광자층을 형성하는 염색 공정(S30)을, 통상 이 순으로 실시하여 편광성 적층 필름을 얻은 후, 편광성 적층 필름에서의 편광자층의 기재 필름측의 면과는 반대측 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보호 필름 접합 공정(S40)과, 편광성 적층 필름으로부터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기재 필름 박리 공정(S50)을, 통상 이 순으로 갖는다. 2 is a flow 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produc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polarizer layer and a protective film form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layer. A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comprises a resin film bonding step (S10) of bond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to one side of a base film to obtain a laminated film, a stretching step (S20)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laminated film, And a dyeing step (S30) of dye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of the laminated film with a dichroic dye to form a polarizer layer are usually carried out in this order to obtain a polarizing laminated film. Thereafter,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S40) of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a side of the polarizer layer opposite to the side of the base film side, and a base film peeling step (S50) of peeling the base film from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
상기한 제조 방법에 의해, 보호 필름 위에 충분한 편광 성능을 갖는, 예컨대 두께 25 ㎛ 이하의 편광자층을 구비한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는 편광판의 편광자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다. 이 편광판은, 예컨대 감압식 접착제를 통해 다른 광학 필름이나 액정셀에 접합시키는 등을 하여 이용할 수 있다. With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 polarizing plate having a sufficient polarizing performance, for example, a polarizing layer with a thickness of 25 占 퐉 or less can be obtained on the protective film.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yer of the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is preferably 25 占 퐉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 占 퐉 or less. This polarizing plate can be used, for example, by bonding it to another optical film or a liquid crystal cell throug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이하, 도 1 및 도 2에서의 S10∼S50의 각 공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S10∼S30의 각 공정은 같은 공정이다. Hereinafter, each step of S10 to S50 in Fig. 1 and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the respective steps of Figs. 1 and S10 to S30 are the same step.
<수지 필름 접합 공정(S10)> ≪ Resin film bonding step (S10) >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접합한다.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접합 방법은, 뒤의 연신 공정(S20), 염색 공정(S30)을 경유하여도 박리되지 않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및/또는 기재 필름의 접합면에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통해 양자를 접합한다. A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is bonded to one side of the base film. The method of joining the base film and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that can not be peeled even through the subsequent stretching step (S20) and the dyeing step (S30).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is formed on a bonding surfac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 or a base film, and both are bonded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수지 필름 접합 공정에서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50 ㎛ 이하로 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뒤의 연신 공정 및 염색 공정을 경유하여 편광자층을 형성하게 되지만, 수지 필름 접합 공정(S10)에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즉 연신 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두께가 50 ㎛를 초과하는 경우, 본 발명과 같이 기재 필름과 접합하지 않아도 연신 공정·염색 공정의 핸들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메리트가 작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두께가 50 ㎛를 초과하는 경우, 편광자층의 두께를 25 ㎛ 이하의 박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연신 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으로 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두께가 10 ㎛ 미만의 경우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단독으로 얻는 것이 어렵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15 ㎛∼4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used in the resin film bonding step is 50 占 퐉 or less.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forms a polarizer layer through a subsequent drawing step and a dyeing step. However,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in the resin film bonding step (S10), that is,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eds 50 탆, handling of the stretching process and dyeing process can be performed without bonding with the base film as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me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more than 50 占 퐉,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polarizer layer with a thickness of 25 占 퐉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before stretching) is preferably 10 占 퐉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5 占 퐉 or m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less than 10 mu m,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lone.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more preferably from 15 탆 to 45 탆.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orm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saponified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can be used. As the polyvinyl acetate resin,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with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and the like are exemplified. 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and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완전 비누화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화도의 범위는, 80몰%∼10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90몰%∼100몰%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서는 94몰%∼100몰%의 범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비누화도가 80몰% 미만이면 편광자층을 형성한 후의 내수성·내습열성이 현저히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a completely saponified product.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is preferably from 80 mol% to 100 mol%, more preferably from 90 mol% to 100 mol%, even more preferably from 94 mol% to 100 mol% . When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is less than 80 mo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resistance and the moisture resistance after forming the polarizer layer are remarkably poor.
여기서 말하는 비누화도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원료인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에 포함되는 아세트산기가 비누화 공정에 의해 수산기로 변화된 비율을 유닛비(몰%)로 나타낸 것이고,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수치이다. JIS K 6726(1994)으로 규정되어 있는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The saponification degree referred to herein is a value defined by the unit formula (mol%) in which the ratio of the acetic acid group contained in the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as the raw material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o the hydroxyl group by the saponification process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t can be obtained by a method prescribed in JIS K 6726 (1994).
비누화도(몰%)=(수산기의 수)÷(수산기의 수 + 아세트산기의 수)×100Saponification degree (mol%) = (number of hydroxyl groups) / (number of hydroxyl groups + number of acetic acid groups) x 100
비누화도가 높을수록, 수산기의 비율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고, 즉 결정화를 저해하는 아세트산기의 비율이 낮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The higher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the higher the ratio of hydroxyl groups, that is, the lower the proportion of acetic acid groups that inhibit crystallization.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일부가 변성되어 있는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이어도 좋다.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카르복실산, 불포화카르복실산의 알킬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등으로 변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변성의 비율은 30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30몰%를 초과하는 변성을 행한 경우에는, 이색성 색소를 흡착하기 어려워져, 편광 성능이 낮아져 버리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a modified polyvinyl alcohol partially modified. For example, those obtained by modify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with an olefin such as ethylene or propylene,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crotonic acid, or an alkyl ester or acrylamide of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The ratio of denaturation is preferably less than 30 mol%, more preferably less than 10%. When the modification is carried out in an amount exceeding 30 mol%, it becomes difficult to adsorb the dichroic dye,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is lowered.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100∼10000이 바람직하고, 1500∼8000이 보다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서는 2000∼5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 중합도도 JIS K 6726(1994)에 의해 정해진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수치이다.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0 to 10,000, more preferably 1,500 to 8,000,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000 to 5,000.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as used herein is also a value obtained by a method determined by JIS K 6726 (1994).
이러한 특성을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주)쿠라레제의 PVA124(비누화도: 98.0몰%∼99.0몰%), PVA117(비누화도: 98.0몰%∼99.0몰%), PVA624(비누화도: 95.0몰%∼96.0몰%) 및 PVA617(비누화도: 94.5몰%∼95.5몰%); 예컨대 니혼고세이가가쿠고교(주) 제조의 AH-26(비누화도: 97.0몰%∼98.8몰%), AH-22(비누화도: 97.5몰%∼98.5몰%), NH-18(비누화도: 98.0몰%∼99.0몰%), 및 N-300(비누화도: 98.0몰%∼99.0몰%); 예컨대 니혼사쿠비·포바루(주)의 JC-33(비누화도: 99.0몰% 이상), JM-33(비누화도: 93.5몰%∼95.5몰%), JM-26(비누화도: 95.5몰%∼97.5몰%), JP-45(비누화도: 86.5몰%∼89.5몰%), JF-17(비누화도: 98.0몰%∼99.0몰%), JF-17L(비누화도: 98.0몰%∼99.0몰%), 및 JF-20(비누화도: 98.0몰%∼99.0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형성에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polyvinyl alcohol resins having such properties include PVA124 (saponification degree: 98.0 mol% to 99.0 mol%), PVA117 (saponification degree: 98.0 mol% to 99.0 mol%), PVA624 : 95.0 mol% to 96.0 mol%) and PVA 617 (saponification degree: 94.5 mol% to 95.5 mol%); (Saponification degree: 97.0 mol% to 98.8 mol%), AH-22 (saponification degree: 97.5 mol% to 98.5 mol%) and NH-18 (saponification degree: 98.0 mol% to 99.0 mol%), and N-300 (saponification degree: 98.0 mol% to 99.0 mol%); (Saponification degree: 99.0 mol% or more), JM-33 (saponification degree: 93.5 mol% to 95.5 mol%), JM-26 (saponification degree: 95.5 mol% or more) of Nippon Sakubi Povalu Co., JF-17 (saponification degree: 98.0 mol% to 99.0 mol%), JF-17L (saponification degree: 98.0 mol% to 99.0 mol%), JP-45 (saponification degree: 86.5 mol% Mol%), and JF-20 (saponification degree: 98.0 mol% to 99.0 mol%). These can be suitably used in the form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 형성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제막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용액을 지지체 위에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용제 캐스트법, 또는 물을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용융 혼련하여 압출기로 지지체 위에 압출하는 용융 압출법, 더 나아가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을 빈용매(저용해성 용매)중에 토출하는 겔 제막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보다 투명한 필름이 얻어지기 때문에, 캐스트법 또는 용융 압출법이 바람직하다. By form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described above,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formed. The method of form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solvent casting method in whi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olution is applied and dried on a support, or a melt extrusion method in whi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taining water is melted and kneaded and extruded on a support by an extruder, And a gel film forming method in which an aqueous resin solution is discharged into a poor solvent (low-solubility solvent). Among these, a cast film method or a melt extrusion method is preferred because a more transparent film can be obtained.
이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지지체 위에 형성하는 수지층 형성 공정(S110)과, 이 수지층을 건조하는 제1 건조 공정(S120)과, 상기 수지층을 상기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상기 수지층을 취득하는 수지층 분리 공정(S130)과, 이 수지층을 제1 건조 공정에서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건조하는 제2 건조 공정(S140)을, 통상 이 순으로 실시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ll be described. Fig. 3 shows a flow chart of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of this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esin layer forming step (S110) for forming a resin layer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n a support, a first drying step (S120) for drying the resin layer, A resin layer separating step (S130) for separating the resin layer to obtain the resin layer, and a second drying step (S140) for drying the resin layer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in the first drying step are usually performed in this order.
여기서 말하는 지지체로서는, 예컨대 이형 필름, 스테인리스 벨트, 칠롤(chill roll)을 들 수 있다. 수지층 형성 공정(S110)에서의 수지층을 지지체 위에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전술한 용제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이 예시된다.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분말을 양용매(고용해성 용매)에 용해시켜 얻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용액을 지지체의 한쪽 표면 위에 도공하고, 용제를 증발시켜 건조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용제 캐스트법이 적합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이와 같이 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해, 두께가 10 ㎛∼50 ㎛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Examples of the support include a release film, a stainless steel belt, and a chill roll. As the method of forming the resin layer on the support in the resin layer forming step (S110), the above-mentioned solvent casting method and melt extrusion method are exemplified. For example, a solvent casting method in whi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a powder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a positive solvent (a dissolvable solvent) is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solvent is evaporated and dried Do. By form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form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탆 to 50 탆.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용액을 지지체 위에 도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와이어바 코팅법, 리버스 코팅법 및 그라비아 코팅 등의 롤 코팅법, 다이코트법, 콤마코터법, 립코트법, 스핀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파운틴 코팅법, 디핑법, 스프레이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thod of coating the polyvinyl alcohol resin solution on a support include a roll coating method such as a wire bar coating method, a reverse coating method and a gravur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comma coater method, a lip coating method, a spin coating method, , A fountain coating method, a dipping method, and a spraying method can be suitably selected and employed.
이들 방법에서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용액은, 예컨대 80℃∼90℃로 가온한 물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용해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olution used in these methods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dissolv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water heated to 80 to 90 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고형분 농도는 6 wt%∼50 wt%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형분의 농도가 6 wt% 미만의 경우, 점도가 너무 낮아지고 수지층 형성시의 유동성이 너무 높아져, 균일한 필름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편, 고형분의 농도가 50 wt%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지고 수지층 형성시의 유동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제막이 곤란하게 된다.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6 wt% to 50 w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olid content is less than 6 wt%, the viscosity becomes too low and the fluidity at the time of forming the resin layer becomes too high,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a uniform film. On the other hand, if the concentration of the solid content exceeds 50 wt%, the viscosity becomes too high and the fluidity at the time of forming the resin layer becomes low, so that the film formation becomes difficult.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용액에는, 가소제를 첨가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가 알코올은 적합하게 이용되고,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복수를 조합시켜도 좋다. 특히 에틸렌글리콜이나 글리세린은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등의 블로킹 방지제 등도 병용할 수도 있다. To the polyvinyl alcohol resin solution, a plasticizer may be added. Among them, polyhydric alcohols are preferably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e glycol, glycerin, 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trimethylolpropane and the like. And a plurality of these may be combined. Particularly, ethylene glycol or glycerin is suitably used. If necessary, an antiblocking agent such as a surfactant or the like may also be used in combination.
수지층 형성 공정(S110) 후, 제1 건조 공정(S120)에서, 저온, 통상은 60℃ 이하의 건조 온도에서, 지지체 위에 형성된 수지층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정도로 건조시킨다. 지지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정도란, 도포액이 어느 정도 고체형이 되고, 필름으로서 박리할 수 있는 상태이다. 수분율을 통상, 30 wt% 이하까지 건조시킨 상태로 하면, 필름 전체를 안정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 20 wt% 이하까지 건조시키면 보다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수분율이란, 건조 중량법으로 구해지는 수분량을 나타내고, 이하의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After the resin layer forming step (S110), in the first drying step (S120), the resin layer formed on the support is dri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resin layer can be peeled from the support at a low temperature, usually at a drying temperature of 60 deg. The degree of peeling from the support means that the coating liquid becomes solid to some extent and can be peeled off as a film. If the moisture content is usually dried to 30 wt% or less, the entire film can be stably peeled off. When it is dried up to 20 wt% or less,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be easily peeled off. Here, the water content refers to the water content determined by the dry weight method and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method.
·박리 후의 PVA 필름을 상온 하(대략 25℃ 55% RH)에 30분 이상 방치한 후, 필름 중량을 측정한다. The PVA film after peeling i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approximately 25 ° C and 55% RH) for 30 minutes or more, and then the film weight is measured.
·그 후, 105℃에서 60분간 건조 처리를 한 후 꺼낸 후, 필름 온도가 상온에 복귀할 때까지 수분간 방치한다. After that, after drying for 60 minutes at 105 ° C, take out and leave for several minutes until the film temperature returns to room temperature.
·수분간 방치 후, 필름의 중량을 재측정한다. • After leaving for several minutes, re-weigh the film.
·얻어진 값을 하기의 식에 대입하여. The obtained value is substituted into the following expression.
수분율=(건조 전의 중량-건조 후의 중량)/건조 전의 중량×100(wt/wt%)Moisture content = (weight before drying - weight after drying) / weight before drying × 100 (wt / wt%)
지지체 위에 형성된 수지층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정도로 건조시키는 구체적인 방식으로서, 예컨대 실제 제조에서는, 이 박리 가능한 상태에 도달하는 건조 조건을, 미리 예비 실험에서 확인해 두고, 그 조건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40℃∼60℃의 온도 범위에서 1∼30분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50℃에서 3∼20분 정도의 건조가 보다 바람직하다. As a specific method for drying the resin layer formed on the support to such an extent that the resin layer can be peeled off from the support, for example, in practical produc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rm the drying condition reaching the peelable state in advance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For example, drying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range of 40 to 60 占 폚 for 1 to 30 minutes, and drying at 50 占 폚 for 3 to 20 minutes is more preferable.
제1 건조 공정(S120)에서는, 저온에서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또한 수지층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것이 아니라 지지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정도로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수지층에서의 건조 수축이 생기기 어렵고, 지지체에서의 단부의 컬의 발생도 막을 수 있다. In the first drying step (S120), by drying at a low temperature, the resin layer is not completely dried but dri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resin layer can be peeled from the support, so that drying and shrinkage in the resin layer hardly occurs, The curling of the end portion can be prevented.
다음에 수지층 분리 공정(S130)에서, 제1 건조 공정에서 건조된 수지층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수지층을 취득한다. 그리고, 제2 건조 공정(S140)에서, 지지체로부터 박리된 수지층을 건조시킨다. 제2 건조 공정(S140)에서는, 수지층을 충분히 건조시킨다. 따라서, 제1 건조 공정과 비교하여 고온의 건조 온도에서 건조시킨다. 여기서 말하는 고온이란, 통상은 15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건조 방법은, 열풍을 뿜어내는 방법, 열롤에 접촉시키는 방법, IR 히터로 가열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이 있지만, 모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건조 공정 및 제2 건조 공정에서 말하는 건조 온도란, 열풍을 뿜어내는 방법이나 IR 히터 등과 같이 건조로를 설치하는 건조 설비의 경우에는 건조로 안의 분위기 온도를 의미하고, 열롤과 같은 접촉형의 건조 설비의 경우에는, 열롤의 표면 온도를 의미한다. 이상의 공정을 경유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제조한다. Next, in the resin layer separation step (S130), the resin layer dried in the first drying step is peeled from the support to obtain a resin layer. Then, in the second drying step (S140), the resin layer peeled off from the support is dried. In the second drying step (S140), the resin layer is sufficiently dried. Therefore, it is dried at a high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the first drying step. The high temperature referred to herein is generally 150 占 폚 or lower, preferably 120 占 폚 or lower, more preferably 100 占 폚 or lower, preferably 60 占 폚 or higher, and more preferably 70 占 폚 or higher. There are various methods such as a method of blowing hot air, a method of bringing into contact with hot roll, a method of heating by IR heater, and the like, but all methods can be suitably used. The drying temperature referred to in the first drying step and the second drying step means the atmospheric temperature in the drying furnace in the case of a drying apparatus in which a drying furnace is installed such as a method of blowing hot air or an IR heater, In the case of a drying facility, it mean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ot roll. Through the above proces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produced.
본 실시형태의 방법으로 제작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컬이 억제된 양호한 것이 된다.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excellent in curling.
(기재 필름)(Substrate film)
기재 필름에 이용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가 이용되고, 이들의 유리 전이 온도 Tg 또는 융점 Tm에 따라 적절한 수지를 선택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은, 그 위에 적층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연신에 적합한 온도 범위에서 연신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resin used for the base film,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and stretchability is used, and a suitable resin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r the melting point Tm thereof. It is preferable to use a substrate film which can be stretched in a temperature range suitable for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to be laminated thereon.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넨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a polyolefin resin, a polyester resin, a cyclic polyolefin resin (norbornene resin), a (meth) acrylic resin, a cellulose ester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 polyvinyl alcohol resin, Based resin, a polyether-based resin, a polyamide-based resin, a polyimide-based resin, and a mixture or copolymer thereof.
기재 필름은, 전술한 수지 1종류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이어도 상관없고, 수지를 2종류 이상을 블렌드하여 이루어지는 필름이어도 상관없다. 이 기재 필름은, 단층 필름이어도 좋고, 다층 필름이어도 좋다. The base film may be a film composed of only one kind of the above-mentioned resin, and may be a film formed by blending two or more kinds of resins. The base film may be a single layer film or a multilayer film.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고, 안정적으로 고배율로 연신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필렌에 에틸렌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도 이용할 수도 있다. 공중합은 다른 종류의 모노머여도 가능하고, 프로필렌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종의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10의 α-올레핀이다. 탄소수 4∼10의 α-올레핀의 구체예는,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등의 직쇄상 모노올레핀류;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등의 분기형 모노올레핀류; 비닐시클로헥산 등을 포함한다. 프로필렌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여도 좋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좋다. 공중합체중의 이 다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율은, 「고분자 분석 핸드북」(1995년, 키노쿠니야 서점 발행)의 제616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적외선(IR) 스펙트럼 측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구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olefin-based resin include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olefin-based resin can be stably stretched at a high magnification. A propylene-ethylene copolym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propylene with ethylene may also be used. The copolymerization may be made with other kinds of monomers, and examples of monomers of other species copolymerizable with propylene include ethylene and? -Olefin. As the? -olefin, an? -olefin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is preferably used, and more preferably an? -olefin having 4 to 10 carbon atoms. Specific examples of the? -Olefin having 4 to 10 carbon atoms include linear monoolefins such as 1-butene, 1-pentene, 1-hexene, 1-heptene, 1-octene and 1-decene; Branched monoolefins such as 3-methyl-1-butene, 3-methyl-1-pentene and 4-methyl-1-pentene; Vinyl cyclohexane and the like. The copolymer of propylene and 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therewith may be a random copolymer or a block copolymer. The content of the other monomer-derived constituent units in the copolymer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infrared (IR) spectrum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described on page 616 of "Polymer Analysis Handbook" (published by Kenokuniya Shoten Publishing Co., 1995) .
상기 중에서도, 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수지로서,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Of these, propylene homopolymer, propylene-ethylene random copolymer, propylene-1-butene random copolymer, and propylene-ethylene-1-butene random copolymer are preferable as the propylene resin constituting the propylene resin film .
또한, 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수지의 입체 규칙성은, 실질적으로 이소택틱 또는 신디오택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이소택틱 또는 신디오택틱의 입체 규칙성을 갖는 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그 취급성이 비교적 양호하고, 고온 환경하에서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The stereoregularity of the propylene resin constituting the propylene-based resin film is preferably substantially isotactic or syndiotactic. A propylene resin film made of a propylene resin having substantially isotactic or syndiotactic stereoregularity has relatively good handleability and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폴리머이고, 주로, 다가 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중축합체이다. 다가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주로 2가의 디카르복실산이 이용되고, 예컨대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 등이 있다. 또한, 이용되는 다가 알코올도 주로 2가의 디올이 이용되고,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블렌드 수지나, 공중합체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The polyester-based resin is a polymer having an ester bond, and is a polycondensation product of a polyvalent carboxylic acid and a polyhydric alcohol. As the polycarboxylic acid, mainly divalent dicarboxylic acid is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dimethylterephthalate, dimethyl naphthalenedicarboxylate and the like. The polyhydric alcohol to be used is mainly a dihydric diol,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ropanediol, butanediol, neopentyl glycol, and cyclohexanedimethanol. Specific examples of the resin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na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naphthalate, polycyclohexanedimethyl terephthalate, and polycyclohexanedimethanol naphthalate. . These blend resins and copolymers can also be suitably used.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노르보넨계 수지가 이용된다.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환형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서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이며, 예컨대 JPH01-240517-A, JPH03-14882-A, JPH03-122137-A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환형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환형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환형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과 그 공중합체(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한 그래프트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환형 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노르보넨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As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a norbornene-based resin is preferably used.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is a generic name of a resin polymerized as a polymerization unit of a cyclic olefi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resins described in JPH01-240517-A, JPH03-14882-A, JPH03-122137-A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include ring-opened (co) polymers of cyclic olefins, addition polymers of cyclic olefins, copolymers of cyclic olefins and?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typically, random copolymers) and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their Graft polymers modified with derivatives, and hydrides thereof. Specific examples of the cyclic olefin include norbornene monomers.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여러 가지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구체예 로서는, Topas(등록상표)(Ticona사 제조), 아톤(등록상표)[JSR(주) 제조], 제오노아(ZEONOR)(등록상표)[니혼제온(주) 제조], 제오넥스(ZEONEX)(등록상표)[니혼제온(주) 제조], 아펠(등록상표)[미쓰이가가쿠(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various products are commercially availabl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Topas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Ticona), Aton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ZEONOR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rporation], Zeonex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and APEL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meth) acrylic resin, any suitable (meth) acrylic resin may be employed. (Meth) acrylic acid esters such as poly (m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meth) acrylic acid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 (meth) acrylic acid ester copolymer, ) Acrylic acid copolymer, a (meth) acrylic acid methyl-styrene copolymer (MS resin and the like), a polymer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e.g., a methacrylic acid-cyclohexyl methacrylate copolymer, Norbornyl copolymer, etc.] and the like.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C1-6 알킬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50중량%∼100중량%, 바람직하게는 70중량%∼100중량%)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이용된다. Preferably, poly (meth) acrylate C1-6 alkyl such as poly (meth) acrylate is exemplified. As the (meth) acrylic resin, more preferable is a 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methyl methacrylate as a main component (50% by weight to 100% by weight, preferably 70% by weight to 100% by weight).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The cellulose ester resin is an ester of cellulose and a fatty acid. Specific examples of the cellulose ester-based resin includ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diacetate, cellulose tripropionate, and cellulose dipropionate.
또한, 이들의 공중합물이나, 수산기의 일부를 다른 종의 치환기 등으로 수식한 것 등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는 많은 제품이 시판되고 있고, 입수 용이성이나 비용의 점에서도 유리하다.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후지태크(등록상표) TD80[후지필름(주) 제조], 후지태크(등록상표) TD80UF[후지필름(주) 제조], 후지태크(등록상표) TD80UZ[후지필름(주) 제조], 후지태크(등록상표) TD40UZ[후지필름(주) 제조], KC8UX2M[코니카미놀타옵트(주) 제조], KC4UY[코니카미놀타옵트(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Also, copolymers thereof and those obtained by modifying a part of hydroxyl groups with substituents of different species or the like can be mentioned. Of these, cellulose triaceta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Many products of cellulose triacetate are commercially available and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availability and cost.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cellulose triacetate include Fuji Tack (registered trademark) TD80 (manufactured by Fuji Film), Fuji Tack (registered trademark) TD80UF (manufactured by Fuji Film), Fuji Tack (registered trademark) TD80UZ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 KC4UY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 And the like can be given.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카보네이트기를 통해 모노머 단위가 결합된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고, 높은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을 갖는 수지이다. 또한 높은 투명성을 갖기 때문에 광학 용도로도 적합하게 이용된다. 광학 용도로서는 광탄성 계수를 내리기 위해 폴리머 골격을 수식한 변성 폴리카보네이트라고 불리는 수지나, 파장 의존성을 개량한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등도 시판되고 있어,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널리 시판되고 있고, 예컨대 팬라이트(등록상표)[데이진카세이(주)], 유피론(등록상표)[미쓰비시엔지니어링 플라스틱(주)], SD 폴리카(등록상표)[스미토모다우(주)], 칼리버(등록상표)[다우케미컬(주)] 등을 들 수 있다. The polycarbonate resin is an engineering plastic made of a polymer having a monomer unit bonded through a carbonate group, and is a resin having high impact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Also, since it has high transparency, it is suitably used for optical applications. For optical use, a resin called a modified polycarbonate in which a polymer skeleton is modified to lower the photoelastic coefficient, and a copolymerized polycarbonate having improved wavelength dependency are also commercially available and can be suitably used. Such a polycarbonate resin is widely available and is commercially available from, for example, Panlite (registered trademark) (trade name, manufactured by Dainippon Ink & Chemicals, Inc.), Yuferon (registered trademark),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Dow Co., Ltd., and Caliber 占 (Dow Chemical Co., Ltd.).
기재 필름에는, 상기한 열가소성 수지 외에,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중의 상기에서 예시한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99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60중량%∼98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중량%∼97중량%이다. 기재 필름중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 미만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원래 갖는 고투명성 등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o the thermoplastic resin, any appropriate additives may be added to the base film. Examples of such an additive include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oxidant, a lubricant, a plasticizer, a release agent, a coloring inhibitor, a flame retardant, a nucleat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 pigment and a colorant.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exemplified above in the base film is preferably 50% by weight to 100% by weight, more preferably 50% by weight to 99% by weight, still more preferably 60% by weight to 98% by weight, And preferably 70% by weight to 97%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the base film is less than 50% by weight, high transparency and the like inherently possessed by the thermoplastic resin may not be sufficiently developed.
연신 전의 기재 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300 ㎛, 더 바람직하게는 5 ㎛∼2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5 ㎛∼150 ㎛이다.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before stretching can be suitably determined, but is generally from 1 to 500 mu m, more preferably from 1 to 300 mu m, more preferably from 1 to 300 mu m,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such as strength and handling properties, 5 to 200 mu m, particularly preferably 5 to 150 mu m.
기재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 접합되는 측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등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재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 형성되는 측 표면에, 프라이머층 등의 박층을 형성하여도 좋다.The base film may be subjected to a corona treatment, a plasma treatment, a flame treatment, or the like on the surface of at least the side to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bonded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wit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a thin layer such as a prim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film o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formed.
(프라이머층)(Primer layer)
기재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 접합되는 측 표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프라이머층으로서는,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양쪽에 어느 정도 강한 밀착력을 발휘하는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투명성, 열안정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밀착성이 좋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A prim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to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of the base film is bonded. The primer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exert a strong adhesion to the base film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to some extent. A thermoplastic resin excellent in transparency, thermal stability, stretchability and the like is used. Specific examples include acrylic resins and polyvinyl alcohol resin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mong them,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ving good adhesion is preferably used.
프라이머층으로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의 유도체로서는,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등 외,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카르복실산, 불포화카르복실산의 알킬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등으로 변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전술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재료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used as the primer layer include a polyvinyl alcohol resin and derivatives thereof. Examples of the derivative of the polyvinyl alcohol resin include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and the like. In addition, polyvinyl alcohol resins may be mixed with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crotonic acid, Or an alkyl ester, acrylamide, or the like. Of the above-mention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terials, polyvinyl alcohol resins are preferably used.
프라이머층의 강도를 올리기 위해 상기한 열가소성 수지에 가교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하는 가교제는, 유기계, 무기계 등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보다 적절한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예컨대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디알데히드계의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의 가교제 등의 저분자 가교제 외에도, 메틸올화멜라민 수지,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 등의 고분자계의 가교제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가교제로서,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 메틸올화멜라민, 디알데히드,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 등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 crosslinking agent may be added to the thermoplastic resin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rimer layer. As the crosslinking agent to be added to the thermoplastic resin, known ones such as an organic type and an inorganic type can be used. A more suitable on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for the thermoplastic resin to be used. Molecular cross-linking agents such as methylol melamine resins and polyamide epoxy resins can be used in addition to low-molecular crosslinking agents such as epoxy crosslinking agents,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s, dialdehyde crosslinking agents and metal chelating crosslinking agents. When a polyvinyl alcohol resin is used as the thermoplastic resin,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a polyamide epoxy resin, methylol melamine, dialdehyde, metal chelate crosslinking agent, or the like as the crosslinking agent.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5 ㎛∼1 ㎛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1 ㎛∼0.4 ㎛이다. 0.05 ㎛보다 얇아지면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 필름과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버리고, 1 ㎛보다 두꺼워지면, 편광판이 두꺼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is preferably 0.05 탆 to 1 탆, more preferably 0.1 탆 to 0.4 탆. If the thickness is smaller than 0.05 탆, adhesion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deteriorated, and if the thickness is larger than 1 탆, the polarizing plate becomes thick, which is not preferable.
(점착제층)(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감압 접착제라고도 불리고, 통상,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고, 거기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등의 가교제를 가한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점착제중에 미립자를 배합하여, 광 산란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lso referred to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is usually composed of a composition obtained by using an acrylic resin, a styrene resin, a silicone resin or the like as a base polymer and adding thereto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n isocyanate compound, an epoxy compound or an aziridine compound . Further, fine particles may be blen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light scattering properties.
점착제층의 두께는 1 ㎛∼40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공성, 내구성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얇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25 ㎛이다. 3 ㎛∼25 ㎛이면 양호한 가공성을 가지며, 편광 필름의 치수 변화를 억제한 후에도 적합한 두께이다. 점착제층이 1 ㎛ 미만이면 점착성이 저하되고, 40 ㎛를 초과하면 점착제가 비어져 나오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from 1 m to 40 m, more preferably from 3 m to 25 m, 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workability and durability. When the thickness is from 3 mu m to 25 mu m, the film has good processability and is suitable even after suppressing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polarizing film.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less than 1 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perty is deteriorate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ore than 40 m, problems such as the pressure-
기재 필름이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재 필름면,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면에, 상기한 베이스 폴리머를 비롯한 각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세퍼레이터나 다른 종의 필름과 접합시켜도 좋으며, 세퍼레이터 위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기재 필름면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면에 접착하여 적층하여도 좋다. 또한 점착제층을 기재 필름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면에 형성할 때는 필요에 따라 기재 필름면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면, 또는 점착제층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밀착 처리, 예컨대 코로나 처리 등을 실시하여도 좋다. A method of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a base film or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solution containing each component including the base polymer described above on the base film surface or the polyvinyl alcohol-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or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by laminat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or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or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dhesion treatment such as corona treatment or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base film side, the polyvinyl alcohol base resin film side, or the pressure- .
(접착제층)(Adhesive layer)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 수계 이액형 우레탄계 에멀전 접착제 등을 이용한 수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접착제로서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을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비닐알코올호모폴리머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비누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비닐알코올계 공중합체, 더 나아가서는 이들의 수산기를 부분적으로 변성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등이 있다. 수계 접착제에는, 다가 알데히드, 수용성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지르코니아 화합물, 아연 화합물 등이 첨가제로서 첨가되어도 좋다. 이러한 수계의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 그 다음에 얻어지는 접착제층은, 통상 1 ㎛보다 훨씬 얇고, 통상의 광학 현미경으로 단면을 관찰하여도 그 접착제층은 사실상 관찰되지 않는다. As 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for example, an aqueous adhesive us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aqueous solution, an aqueous two-component urethane emulsion adhesive, or the like can be mentioned. Among them,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queous solution is suitably used. The polyvinyl alcohol resin used as the adhesive includes a vinyl alcohol homopolymer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a vinyl alcohol homopolymer obtained by saponifying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an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therewith Based copolymers, and further modified polyvinyl alcohol polymers obtained by partially modifying the hydroxyl groups thereof. As the water-based adhesive, polyaldehyde, a water-soluble epoxy compound, a melamine compound, a zirconia compound, a zinc compound or the like may be added as an additive. When such a water-based adhesive is used, the adhesive layer obtained next is usually much thinner than 1 탆, and even if a cross section is observed with a normal optical microscope, the adhesive layer is practically not observed.
수계 접착제를 이용한 필름의 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재 필름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표면에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 또는 유입시키고, 도포면에 다른 한쪽의 필름을 포개어 롤 등에 의해 접합하여, 건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접착제는 그 조제 후, 15℃∼40℃의 온도하에서 도포되고, 접합 온도는 통상 15℃∼30℃의 범위이다. The method of bonding the film using the water-based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adhesive may be uniformly applied or introduced onto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or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the other film may be superimposed on the applied surface by a roll or the like , And a drying method. Usually, the adhesive is applied at a temperature of 15 ° C to 40 ° C after its preparation, and the bonding temperature is usually in the range of 15 ° C to 30 ° C.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필름을 접합한 후, 수계 접착제중에 포함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해, 건조시킨다. 건조로의 온도는 30℃∼90℃가 바람직하다. 30℃ 미만이면 접착면이 박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90℃ 이상이면 열에 의해 편광자 등의 광학 성능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건조 시간은 10∼1000초로 할 수 있다. When an aqueous adhesive is used, the film is bonded and then dried to remove water contained in the aqueous adhesive.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furnace is preferably 30 ° C to 90 ° C. If it is less than 30 ° C, the adhesive surface tends to be easily peeled off. If the temperature is 90 DEG C or more, there is a fear that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polarizer or the like is deteriorated by heat. The drying time may be 10 to 1000 seconds.
건조 후는 또한, 실온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온도, 예컨대 20℃∼45℃ 정도의 온도에서 12∼600시간 정도 양생하여도 좋다. 양생시의 온도는, 건조시에 채용한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After the drying, it may be cured at a room temperature or a slightly higher temperature, for example, at a temperature of about 20 to 45 캜 for about 12 to 600 hours.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curing is generally set lower than the temperature employed at the time of drying.
또한, 비수계의 접착제로서, 광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광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광경화성 에폭시 수지와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non-aqueous adhesive, a photo-curable adhesive may be used. Examples of the photo-curable adhesive include a mixture of a photo-curable epoxy resin and a photo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광경화성 접착제로써 필름 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유연법, 메이어바코트법, 그라비아코트법, 코마코터법, 닥터블레이드법, 다이코트법, 딥코트법, 분무법 등에 의해, 필름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2장의 필름을 중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유연법이란, 피도포물인 2장의 필름을, 대략 수직 방향, 대략 수평 방향, 또는 양자간의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표면에 접착제를 유하시켜 확산 분포시키는 방법이다. As a method of bonding the film with the photo-curable adhesive, conventionally known methods can be used. For example, a known method can be used. Examples of the method include a flexible method, a Meyer bar coat method, a gravure coat method, a comma coater method, a doctor blade method, a die coat method, a dip coating method, , A method of applying an adhesive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lm and polymerizing the two films. The "sof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to a surface of a film to be spread by distributing the two film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or an inclined direction between them.
필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닙롤 등으로 사이에 두고 필름 접합시키는 것에 의해 접착된다. 또한, 이 적층체를 롤 등으로 가압하여 균일하게 눌러 펴는 방법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롤의 재질로서는 금속이나 고무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적층체를 롤과 롤 사이에 통과시키고, 가압하여 눌러 펴는 방법도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이 경우, 이들 롤은 동일한 재질이어도 좋고, 상이한 재질이어도 좋다. 상기 닙롤 등을 이용하여 접합된 후의 접착제층의, 건조 또는 경화 전의 두께는, 5 ㎛ 이하 0.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lm, and the film is bonded by sandwiching it with a nip roll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suitably use a method in which the layered product is pressed by a roll or the like and uniformly pressed and stretched. In this case, metal, rubber,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roll. It is also preferable to adopt a method in which the laminate is passed between a roll and a roll, followed by pressing and pressing. In this case, these rolls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after bonding using the nip roll or the like before drying or curing is preferably 5 m or less and 0.01 m or more.
필름의 접착 표면에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프레임(화염)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적절하게 실시하여도 좋다.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lm may be appropriately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such as plasma treatment, corona treatment, ultraviolet ray irradiation treatment, frame (flame) treatment, saponification treatment, etc.,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비누화 처리로서는,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의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As the saponification treatment, there may be mentioned a method of immersing in an aqueous solution of an alkali such as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접착제로서 광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경우는, 필름을 적층한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광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파장 400 ㎚ 이하에 발광 분포를 갖는 활성 에너지선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When a photo-curable resin is used as the adhesive, the photo-curable adhesive is cured by laminating the film and then irradiating with an active energy ray. A light source of an active energy ra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n active energy ray having a light emission distribution at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is preferable. Specifically, a low energy mercury lamp,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high pressure mercury lamp,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wave excitation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and the like are preferably used.
광경화성 접착제에의 광조사 강도는, 광경화성 접착제의 조성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합 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의 조사 강도가 0.1 mW/㎠∼6000 mW/㎠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 강도가 0.1 mW/㎠ 이상인 경우, 반응 시간이 너무 길어지지 않고, 6000 mW/㎠ 이하인 경우, 광원으로부터 복사되는 열 및 광경화성 접착제의 경화시의 발열에 의한 에폭시 수지의 황변이나 편광 필름의 열화를 발생시킬 우려가 적다. 광경화성 접착제에의 광조사 시간은, 경화시키는 광경화성 접착제에 따라 적용되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한 조사 강도와 조사 시간과의 곱으로서 나타내는 적산 광량이 10 mJ/㎠∼10000 mJ/㎠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접착제에의 적산 광량이 10 mJ/㎠ 이상인 경우, 중합 개시제 유래의 활성종을 충분량 발생시켜 경화 반응을 보다 확실하게 진행시킬 수 있고, 10000 mJ/㎠ 이하인 경우, 조사 시간이 너무 길어지지 않아, 양호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활성에너지선 조사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0.001 ㎛∼5 ㎛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2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1 ㎛ 이하이다. The light irradiation intensity to the photo-curing adhesive is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photo-curable adhesiv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irradiation intensity in the wavelength range effective for activating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0.1 mW / cm2 to 6000 mW / desirable. When the irradiation intensity is not less than 0.1 mW / cm 2, the reaction time is not excessively long, and when the irradiation intensity is 6000 mW / cm 2 or less, the heat 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heat generated upon curing of the photo- Is less likely to occur. The light irradiation time to the photo-curing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hoto-curable adhesive to be cur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cumulative light quantity as a product of the irradiation intensity and the irradiation time is 10 mJ / cm2 to 10000 mJ / . When the total amount of light to the photo-curing adhesive is 10 mJ / cm 2 or more, a sufficient amount of active species originating from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generated sufficiently to allow the curing reaction to proceed more surely. When the amount is 10,000 mJ / cm 2 or less, , And good productivity can be maintaine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after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is usually about 0.001 to 5 占 퐉, preferably 0.01 to 2 占 퐉, more preferably 0.01 to 1 占 퐉.
활성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기재 필름이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위의 광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경우, 이들 필름의 투과율, 색상, 투명성 등, 전체 공정을 경유한 후의 편광판의 여러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조건으로 경화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curing the photo-curable adhesive on the base film or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the conditions such as transmittance, color, transparency and the like of the polarizing plate after passing through the entire process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curing.
<연신 공정(S20)> ≪ Stretching step (S20)
여기서는, 기재 필름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한다. 바람직하게는, 5배 초과 17배 이하의 연신 배율이 되도록 일축 연신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5배 초과 8배 이하의 연신 배율이 되도록 일축 연신한다. 연신 배율이 5배 이하이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 충분히 배향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편광자층의 편광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않는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연신 배율이 17배를 초과하는 경우, 연신시의 적층 필름의 파단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후속 공정에서의 가공성·핸들링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연신 공정(S20)에서의 연신 처리는, 일단에서의 연신에 한정되지 않고 다단으로 행할 수도 있다. 다단으로 행하는 경우는, 연신 처리의 전체단을 합쳐서 5배 초과의 연신 배율이 되도록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 laminated film comprising a base film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niaxially stretched. Preferably,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so that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5 times to 17 times or less.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5 times but not more than 8 times. If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5 times or less,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not sufficiently oriented,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polarization of the polarizer layer is not sufficient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etching ratio exceeds 17 times, the laminated film tends to be broken at the time of stretching, so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orkability and handling property in the subsequent step are lowered. The stretching process in the stretching process (S20) is not limited to stretching at one end but may be performed in multiple stages. In the case of multi-stage processing,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tretching processing such that the entire stages of the stretching processing are combined so as to obtain a stretching ratio of more than 5 times.
본 발명에서의 연신 공정(S20)에서는, 적층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행하는 세로 연신 처리나, 폭 방향에 대하여 연신하는 가로 연신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세로 연신 방식으로서는, 롤간 연신 방법, 압축 연신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가로 연신 방식으로서는 텐터법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stretching step (S2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longitudinal stretching treatment f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inated film and a transverse stretching treatment for stretching th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Examples of the longitudinal stretching method include an inter-roll stretching method and a compression stretching method, and the transverse stretching method includes a tenter method and the like.
<염색 공정(S30)> ≪ Dyeing process (S30) >
여기서는, 적층 필름의 수지층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한다. 이색성 색소로서는, 예컨대 요오드나 유기 염료를 들 수 있다. 유기 염료로서는, 예컨대 레드 BR, 레드 LR, 레드 R, 핑크 LB, 루빈 BL, 보르도 GS, 스카이블루 LG, 레몬옐로우, 블루 BR, 블루 2R, 네이비 RY, 그린 LG, 바이올렛 LB, 바이올렛 B, 블랙 H, 블랙 B, 블랙 GSP, 옐로우 3G, 옐로우 R, 오렌지 LR, 오렌지 3R, 스칼렛 GL, 스칼렛 KGL, 콩고레드, 브릴리언트 바이올렛 BK, 수프라블루 G, 수프라블루 GL, 수프라오렌지 GL, 다이렉트 스카이블루, 다이렉트 퍼스트 오렌지 S, 퍼스트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이색성 물질은, 1종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Here, the resin layer of the laminated film is dyed with a dichroic dye. Examples of the dichroic dye include iodine and organic dyes. Examples of the organic dyes include Red BR, Red LR, Red R, Pink LB, Rubin BL, Borde GS, Sky Blue LG, Lemon Yellow, Blue BR, Blue 2R, Navy RY, Green LG, Violet LB, , Black B, Black GSP, Yellow 3G, Yellow R, Orange LR, Orange 3R, Scarlet GL, Scarlet KGL, Kongorod, Brilliant Violet BK, Supra Blue G, Supra Blue GL, Supra Orange GL, Direct Sky Blue, Direct First Orange S, and First Black. These dichroic substance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염색 공정은, 예컨대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염색 용액)에, 연신 필름 전체를 침지하는 것에 의해 행한다. 염색 용액으로서는, 상기 이색성 색소를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염색 용액의 용매로서는, 일반적으로는 물이 사용되지만, 물과 상용성이 있는 유기 용매가 더 첨가되어도 좋다. 이색성 색소의 농도는, 0.01 중량%∼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중량%∼7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25 중량%∼5 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The dyeing step is carried out,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entire stretched film in an aqueous solution (dyeing solution) containing a dichroic dye. As the dyeing solution, a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the dichroic dye in a solvent can be used. As the solvent of the dyeing solution, water is generally used, but an organic solvent having compatibility with water may be further added. The concentration of the dichroic dye is preferably 0.01 wt% to 10 wt%, more preferably 0.02 wt% to 7 wt%,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025 wt% to 5 wt%.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염색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요오드화물을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요오드화물로서는, 예컨대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요오드화물의 첨가 비율은, 염색 용액에서, 0.01 중량%∼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 중에서도, 요오드화칼륨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칼륨을 첨가하는 경우,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의 비율은 중량비로, 1:5∼1:1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6∼1:8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7∼1:70의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dy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add iodide because the dye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Examples of the iodide include potassium iodide, lithium iodide, sodium iodide, zinc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copper iodide, barium iodide, calcium iodide, tin iodide and titanium iodide. The addition ratio of these iodides is preferably 0.01 to 20% by weight in the dyeing solution. Among iodides, it is preferable to add potassium iodide. When potassium iodide is added, the ratio of iodine to potassium iodid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5 to 1: 100, more preferably 1: 6 to 1:80, more preferably 1: 7 to 1: 70.
염색 용액에의 연신 필름의 침지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5초∼15분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분∼3분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염색 용액의 온도는, 10℃∼6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0℃∼4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immersing time of the stretched film in the dyeing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usually 15 seconds to 15 minutes, more preferably 1 to 3 minutes. 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solu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캜 to 60 캜,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캜 to 40 캜.
<가교 공정> ≪ Crosslinking step &
염색 공정에 이어서 가교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가교 처리는, 예컨대 가교제를 포함하는 용액(가교 용액)중에 연신 필름을 침지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가교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붕산,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이나,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After the dyeing step, a crosslink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The crosslinking treatment is carried out,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drawn film in a solution (crosslinking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As the crosslinking agent, conventionally known materials can be used. Boron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and borax, and glyoxal and glutaraldehyde. These may be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가교 용액으로서, 가교제를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예컨대 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또한 물과 상용성이 있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여도 좋다. 가교 용액에서의 가교제의 농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 중량%∼20 중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6 중량%∼15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s the crosslinking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a crosslinking agent is dissolved in a solvent can be used. As the solvent, for example, water may be used, but an organic solvent which is compatible with water may also be contained. The concentra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cross-linking solu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wt% to 20 wt%,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6 wt% to 15 wt%.
가교 용액중에는, 요오드화물을 첨가하여도 좋다. 요오드화물의 첨가에 의해, 수지층의 면내에서의 편광 특성을 보다 균일화시킬 수 있다. 요오드화물로서는, 예컨대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탄을 들 수 있다. 요오드화물의 함유량은, 0.05 중량%∼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8 중량%이다. Iodide may be added to the crosslinking solution. By adding iodide,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in the plane of the resin layer can be made more uniform. Examples of the iodide include potassium iodide, lithium iodide, sodium iodide, zinc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copper iodide, barium iodide, calcium iodide, tin iodide and titanium iodide. The content of iodide is 0.05% by weight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0.5% by weight to 8% by weight.
가교 용액에의 적층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15초∼20분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초∼15분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 용액의 온도는, 10℃∼8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mmersion time of the laminated film in the crosslinking solution is preferably 15 seconds to 20 minutes, more preferably 30 seconds to 15 minutes.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solu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占 폚 to 80 占 폚.
<세정 공정> <Cleaning step>
가교 공정 후에는, 세정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 공정으로서는, 물 세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물 세정 처리는, 통상 이온 교환수, 증류수 등의 순수에 적층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물 세정 온도는, 통상 3℃∼50℃, 바람직하게는 4℃∼20℃의 범위이다. 침지 시간은 통상 2∼300초간, 바람직하게는 3초∼240초간이다. After the crosslinking step,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a washing step. As the washing step, a water wash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The water washing treatment can be usually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laminated film in pure water such as ion-exchanged water or distilled water. The water washing temperature is usually in the range of 3 캜 to 50 캜, preferably 4 캜 to 20 캜. The immersion time is usually from 2 to 300 seconds, preferably from 3 seconds to 240 seconds.
세정 공정은, 요오드화물 용액에 의한 세정 처리와 물 세정 처리를 조합시켜도 좋고, 적절히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프로판올 등의 액체 알코올을 배합한 용액을 이용할 수도 있다. The cleaning process may be a combination of a cleaning process with a iodide solution and a water cleaning process, and a solution in which a liquid alcohol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butanol, or propanol is blended may be used.
<건조 공정><Drying step>
세정 공정 후에는, 건조 공정을 실시하여도 좋다. 건조 공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예컨대 자연 건조, 송풍 건조, 가열 건조)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가열 건조의 경우의 건조 온도는, 통상 20℃∼95℃이며, 건조 시간은, 통상 1∼15분간 정도이다. After the cleaning step, a drying step may be performed. As the drying step, any appropriate method (for example, natural drying, air blow drying, and heat drying) may be employ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heat drying, the drying temperature is usually 20 ° C to 95 ° C, and the drying time is usually about 1 to 15 minutes.
이상의 공정을 경유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 편광자층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되고,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편광자층을 구비한 편광성 적층 필름이 제조된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has a function as a polarizer layer, and a polarizing laminated film having a polarizer layer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is produced.
(편광자층)(Polarizer layer)
편광자층은, 구체적으로는,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것이다.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5배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5배 초과 17배 이하이다. Specifically, the polarizer layer is formed by adsorbing and orienting a dichroic dye on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The draw ratio is preferably 5 times or more, more preferably 5 times or more and 17 times or less.
편광자층의 두께(연신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 ㎛ 이상이다. 편광자층의 두께를 25 ㎛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박형의 편광성 적층 필름을 구성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yer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stretching) is preferably 25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20 占 퐉 or less, and preferably 2 占 퐉 or more.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yer to 25 m or less, a thin polarizing laminated film can be formed.
<보호 필름 접합 공정(S40)> ≪ Protection film bonding step (S40) >
편광성 적층 필름에서의 편광자층의 기재 필름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한다. 편광자층과 보호 필름의 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편광자층 및/또는 보호 필름의 접합면에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통해 양자를 접합한다.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으로서 적합한 재료는, 전술한 수지 필름 접합 공정(S10)의 란에서 진술한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과 유사하다. A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lay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f the base film side in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The method of bonding the polarizer layer and the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polarizer layer and / or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oth are bonded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The material suitable f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is similar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step of the resin film bonding step (S10).
(보호 필름)(Protective film)
보호 필름은, 광학 기능을 갖지 않는 단순한 보호 필름이어도 좋고, 위상차 필름이나 휘도 향상 필름이라고 하는 광학 기능을 더불어 갖는 보호 필름이어도 좋다. The protective film may be a simple protective film having no optical function, or may be a protective film having an optical function such as a retardation film or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보호 필름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수지를 포함하는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등, 당분야에서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필름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fil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cyclic polyolefin resin film, a cellulose acetate resin film containing a resin such as triacetylcellulose and diacetylcellulo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 polyester resin film containing a resin such as phthalate, a polycarbonate resin film, an acrylic resin film, a polypropylene resin film, and the like.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적절한 시판품, 예컨대 Topas(등록상표)(Ticona사 제조), 아톤(등록상표)[JSR(주) 제조], 제오노아(ZEONOR)(등록상표)[니혼제온(주) 제조], 제오넥스(등록상표)(ZEONEX)[니혼제온(주) 제조], 아펠(등록상표)[미쓰이가가쿠(주) 제조]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제막하여 필름으로 할 때는, 용제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 등의 공지의 방법이 적절하게 이용된다. 또한, 에스시나(등록상표)[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제조], SCA40[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제조], 제오노아(등록상표) 필름[(주)오프테스 제조] 등의 미리 제막된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제의 필름의 시판품을 이용하여도 좋다. Examples of the cyclic polyolefin resin includ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Topas TM manufactured by Ticona, ATON TM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ZEONOR TM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 ZEONEX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and APEL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can be suitably used. When a film of such an annular polyolefin-based resin is formed into a film, known methods such as a solvent casting method and a melt extrusion method are suitably used. (Trade nam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Industry Co., Ltd.), and the like can be also used.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Essa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SCA40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of a film of a preformed cyclic polyolefin resin may be used.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된 것이어도 좋다. 연신함으로써,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임의의 위상차값을 부여할 수 있다. 연신은, 통상 필름 롤을 권출하면서 연속적으로 행해져, 가열로에서, 롤의 진행 방향, 그 진행 방향과 수직 방향, 또는 그 양쪽으로 연신된다. 가열로의 온도는, 통상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근방으로부터 유리 전이 온도 + 100℃까지의 범위이다. 연신의 배율은, 하나의 방향에 대해 통상 1.1∼6배, 바람직하게는 1.1∼3.5배이다.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film may be uniaxially stretched or biaxially stretched. By stretching, an arbitrary retardation value can be imparted to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film. The stretching is usually performed continuously while unwinding the film roll, and is elongated in the heating furnace,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roll,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ll, or both.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furnace is usually in the range from the vicinity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to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100 ° C. The magnification of the stretching is usually 1.1 to 6 times, preferably 1.1 to 3.5 times, in one direction.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일반적으로 표면 활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편광자층과 접착시키는 표면에는,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프레임(화염)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 가능한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가 적합하다. Since the surface activity of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film generally becomes inferior,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urface treatment such as plasma treatment, corona treatment, ultraviolet ray irradiation treatment, frame (flame) treatment and saponification treatment on the surface to be adhered to the polarizer layer Do. Of these, plasma treatment and corona treatment, which can be performed relatively easily, are suitable.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으로서는, 적절한 시판품, 예컨대 후지태크(등록상표) TD80[후지필름(주) 제조], 후지태크(등록상표) TD80UF[후지필름(주) 제조], 후지태크(등록상표) TD80UZ[후지필름(주) 제조], 후지태크(등록상표) TD40UZ[후지필름(주) 제조], KC8UX2M[코니카미놀타옵트(주) 제조], KC4UY[코니카미놀타옵트(주) 제조]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As the cellulose acetate based resin film, suitabl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Fuji Tack (registered trademark) TD80 (manufactured by Fuji Film), Fuji Tack (registered trademark) TD80UF (manufactured by Fuji Film), Fuji Tack (registered trademark) TD80UZ (Manufactured by Fuji Photo Film Co., Ltd.), Fuji Tack (registered trademark) TD40UZ (manufactured by Fujifilm Corp.), KC8UX2M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 and KC4UY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 Can be used.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표면에는, 시야각 특성을 개량하기 위해 액정층 등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위상차를 부여하기 위해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연신시킨 것이어도 좋다.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은, 편광 필름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통상은 비누화 처리가 실시된다. 비누화 처리로서는,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의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A liquid crystal layer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llulose acetate-based resin film in order to improve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Further, in order to impart a phase difference, a cellulose acetate-based resin film may be stretched. The cellulose acetate-based resin film is usually subjected to saponification treatment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with the polarizing film. As the saponification treatment, a method of immersing in an aqueous solution of an alkali such as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can be adopted.
전술한 바와 같은 보호 필름의 표면에는, 하드코트층, 방현층, 반사방지층 등의 광학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보호 필름 표면에 이들의 광학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as described above, an optical layer such as a hard coat layer, an antiglare layer, and an antireflection layer may be formed. The method of forming these optical layers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can be used.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박형화의 요구로부터, 될 수 있는 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고, 90 ㎛ 이하가 바람직하며, 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대로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as thin as possible from the requirement for thinning, preferably 90 m or less, more preferably 50 m or less.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is too thin, the strength is lowered and the workability is lowered,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y 5 m or more.
<기재 필름 박리 공정(S50)> ≪ Substrate film peeling step (S50) >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필름을 편광자층에 접합하는 보호 필름 접합 공정(S40) 후, 기재 필름 박리 공정(S50)을 행한다. 기재 필름 박리 공정(S50)에서는, 기재 필름을 편광성 적층 필름으로부터 박리한다. 기재 필름의 박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점착제를 갖는 편광판에서 행해지는 박리 필름의 박리 공정과 같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보호 필름 접합 공정(S40) 후, 그대로 바로 박리하여도 좋고, 한번 롤형으로 권취한 후, 별도로 박리 공정을 마련하여 박리하여도 좋다. 이상의 공정을 경유하여, 편광자층의 한쪽 면에 보호 필름을 구비한 편광판이 제조된다. In the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protective film peeling step (S50) is performed after the protective film bonding step (S40) for bonding the protective film to the polarizer layer. In the substrate film peeling step (S50), the base film is peeled from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The method of peeling the bas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method similar to the peeling process of the peeling film performed i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usu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employed. After the protective film bonding step (S40), the protective film may be peeled off as it is, or may be peeled off by separately taking up a peeling step after winding in roll form. Through the above proces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layer is produced.
(다른 광학층)(Another optical layer)
상기 편광판은, 실용에 있어서 다른 광학층을 적층한 편광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can be used a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other optical layers are laminated in practice.
또한, 상기 보호 필름이 이들의 광학층의 기능을 갖고 있어도 좋다. Further, the protective film may have the function of these optical layers.
다른 광학층의 예로서는, 어느 종의 편광광을 투과하고, 그것과 반대의 성질을 나타내는 편광광을 반사하는 반사형 편광 필름,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 기능을 갖는 필름, 표면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필름, 표면에 반사 기능을 갖는 반사 필름, 반사 기능과 투과 기능을 더불어 갖는 반투과 반사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other optical layers include a reflection type polarizing film that transmits polarized light of any kind and reflects polarized light exhibiting a property opposite to that of the polarized light, a film having an antiglare function having a concavo-convex shape on the surface, A film, a reflection film having a reflection function on the surface, a transflective film having a reflection function and a transmission function, and a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어느 종의 편광광을 투과하고, 그것과 반대의 성질을 나타내는 편광광을 반사하는 반사형 편광 필름에 상당하는 시판품으로서는, 예컨대 DBEF[3M사 제조, 스미토모스리엠(주)으로부터 입수 가능], APF[3M사 제조, 스미토모스리엠(주)으로부터 입수 가능] 등을 들 수 있다. 시야각 보상 필름으로서는 기재 표면에 액정성 화합물이 도포되고, 배향되어 있는 광학 보상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표면에 액정성 화합물이 도포되고, 배향되어 있는 광학 보상 필름에 상당하는 시판품으로서는, WV 필름[후지필름(주) 제조], NH 필름[신니혼세키유(주) 제조], NR 필름[신니혼세키유(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에 상당하는 시판품으로서는, 아톤(등록상표) 필름[JSR(주) 제조], 에스시나(등록상표)[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제조], 제오노아(등록상표) 필름[(주)오프테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corresponding to reflective polarizing films that transmit polarized light of any species and reflect polarized light exhibiting properties opposite to those of polarized light include DBEF (available from 3M Company, available from Sumitomo 3M Ltd.), APF (Available from Sumitomo 3M Ltd., Sumitomo 3M Ltd.),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include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on which a liquid crystal compound is coated on the substrate surface and an oriented phase difference film made of a polycarbonate based resin and a retardation film made of a cyclic polyolefin based resin.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compensation film on which the liquid crystalline compound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nclude WV film (manufactured by Fuji Film Co., Ltd.), NH film (manufactured by Shin-Nippon Sekiyu Co., Ltd.) (Manufactured by Nippon Sekiyu Co., Ltd.).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retardation film made of the cyclic polyolefin resin include Aton (registered trademark) film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Eschine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Registered trademark) film (manufactured by Offes Co., Ltd.).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제작> ≪ Preparation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
쿠라레(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상품명: PVA124)의 분말을 90℃의 온수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10 wt%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수용액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수용액을 이형 처리가 실시된 PET 기재 위에 립코트법에 의해, 대략 400 ㎛ 두께로 도포하였다. 50℃에서 10분 건조한 후, PET 기재로부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박리하여 취하고, 또한 80℃에서 5분 건조시켜 컬이 없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건조 후의 두께는 41 ㎛였다. A powder of a completely sapon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trade name: PVA124) sold by Kuraray Co., Ltd. was dissolved in hot water at 90 占 폚 to prepare a polyvinyl alcohol resin aqueous solution having a solid concentration of 10 wt%. The resulting aqueous solu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resin was coated on the PET substrate subjected to the release treatment by a lip coating method to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400 탆. After drying at 50 占 폚 for 10 minutes,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was peeled from the PET substrate and dried at 80 占 폚 for 5 minutes to obtain a curl-fre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The thickness after drying was 41 mu m.
<수지 필름 접합 공정>≪ Resin film bonding step &
열수에 폴리비닐알코올 분말과 가교제를 용해시켜 이하의 조성의 접착제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 수지[상품명: FLX80E4, 스미토모가가쿠(주) 제조]로 이루어지는 110 ㎛ 두께의 기재 필름 위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전술한 접착제 수용액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0.2 ㎛ 정도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후, 전술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접합시킨 후, 50℃에서 3분 건조시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은 플랫이며, 핸들링이 용이했다. A polyvinyl alcohol powder and a crosslinking agent were dissolved in hot water to prepare an aqueous adhesive solution having the following composition. Then, corona discharge treatment was carried out on a 110 mu m-thick base film made of a polypropylene resin (trade name: FLX80E4,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and the above-mentioned aqueous adhesive solution was dried with a gravure coater to a thickness of 0.2 mu m By weight. Thereafter, the above-mention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as bonded and dried at 50 DEG C for 3 minutes to obtain a laminated film. The obtained laminated film was flat, and handling was easy.
(접착제 수용액)(Aqueous adhesive solution)
물: 100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분말[(주)쿠라레 제조, 평균 중합도 18000, 상품명: KL-318]: 3중량부,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가교제, 스미카켐텍스(주) 제조, 상품명: SR650(30)]: 1.5 중량부.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3 parts by weight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powder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18,000, trade name: KL-318), 3 parts by weight of a polyamide epoxy resin (trade name, manufactured by Sumika Chemical Co., : SR650 (30)]: 1.5 parts by weight.
<연신 공정> <Stretching Step>
상기 적층 필름을 텐터 장치를 이용하여 160℃에서 5.8배의 자유단 일축 연신을 실시하였다. 연신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18 ㎛였다. The laminated film was subjected to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at 160 DEG C by 5.8 times using a tenter apparatus.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stretching was 18 占 퐉.
<염색 공정> <Dyeing Process>
그 후, 적층 필름을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의 혼합 수용액인 30℃의 염색 용액에 180초 정도 침지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염색한 후, 10℃의 순수로 여분의 요오드액을 씻어 버렸다. 이어서 76℃의 붕산과 요오드화칼륨의 혼합 수용액인 가교 용액에 300초 침지시켰다. 그 후 10℃의 순수로 4초간 세정하고, 마지막에 닙롤로 표면의 여분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각 층의 약액의 배합 비율은 이하와 같다. 염색 후의 적층 필름을 80℃에서 5분 건조시켜 편광성 적층 필름을 얻었다. Thereafter, the laminated film was dipped in a dyeing solution at 30 캜, which is a mixed aqueous solution of iodine and potassium iodide, for about 180 seconds to stain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and then the excess iodine solution was washed with pure water at 10 캜. Subsequently, the substrate was immersed in a crosslinking solution of a mixed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potassium iodide at 76 DEG C for 300 seconds. Thereafter, the substrate was rinsed with pure water at 10 DEG C for 4 seconds, and finally the excess moisture on the surface was removed with a nip roll. The mixing ratio of the chemical solution in each layer is as follows. The laminated film after dyeing was dried at 80 DEG C for 5 minutes to obtain a polarizing laminated film.
(염색 용액)(Dye solution)
물: 100 중량부, 요오드: 0.6 중량부, 요오드화칼륨: 10 중량부. Water: 100 parts by weight, iodine: 0.6 parts by weight, potassium iodide: 10 parts by weight.
(가교 용액)(Crosslinking solution)
물: 100 중량부, 붕산: 9.5 중량부, 요오드화칼륨: 5 중량부. Water: 100 parts by weight, boric acid: 9.5 parts by weight, potassium iodide: 5 parts by weight.
<보호 필름 접합 공정> ≪ Protection film bonding step &
수지 필름 접합 공정과 같은 접착제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편광성 적층 필름의 편광자층의 기재 필름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전술한 접착제 수용액을 도포한 후에 보호 필름[코니카미놀타옵트(주) 제조의 TAC: KC4UY]을 접합하고, 기재 필름, 접착제층, 편광자층, 접착제층, 보호 필름의 5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얻었다. An adhesive aqueous solution such as a resin film bonding step was prepared. (TAC: KC4UY,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layer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base film side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then the base film,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 polarizer layer, an adhesive layer and five layers of a protective film was obtained.
<기재 필름 박리 공정> ≪ Base film peeling step &
전술한 편광판을 80℃에서 5분 건조시켜,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으로부터 기재 필름을 박리하였다. 기재 필름은 용이하게 박리되고, 접착제층, 편광자층, 접착제층, 보호 필름의 4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얻었다. 편광자층의 두께는 18 ㎛였다. 얻어진 편광판의 편광 성능을 니혼분코(주) 제조의 분광 광도계(V7100)로 측정하였다. 광의 입사 방향은 편광자층측으로부터 하였다.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1.8%,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9.997%로 매우 편광 성능이 우수한 것이고, 편광판으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성능이었다. The above-mentioned polarizing plate was dried at 80 캜 for 5 minutes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The base film was peeled from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he base film was easily peeled off, and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four layers of an adhesive layer, a polarizer layer, an adhesive layer and a protective film was obtained.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yer was 18 탆. The polarizing performance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measured by a spectrophotometer (V7100) manufactured by Nihon Bunko Co., Ltd. The incidence direction of the light was from the side of the polarizer layer. The visual sensitivity was 41.8%, and the visual sensitivity was 99.997%. The polarizing plate had excellent polarizing performance and was sufficiently usable as a polarizing plat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과 동일한 기재 필름 위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제작에 이용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수용액을, 갭코트법에 의해 직접 도포하였다. 그 후, 50℃에서 10분, 80℃에서 5분의 건조를 연속하여 실시했지만,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층의 건조 수축에 의해 현저한 컬이 발생하고, 건조로의 출구에서의 단부의 접혀 들어감이 발생하였다.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층의 건조 후의 두께는 약 39 ㎛였다. After corona discharge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same base film as in Example 1, a polyvinyl alcohol resin aqueous solution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in Example 1 was applied directly by the gap coat method. Thereafter, drying was continued at 50 캜 for 10 minutes and at 80 캜 for 5 minutes. However, significant curling occurred due to drying and shrinkage of the polyvinyl alcohol resin layer, and folding of the end portion at the outlet of the drying furnace occurred .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yvinyl alcohol resin layer after drying was about 39 탆.
Claims (5)
상기 적층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연신 공정과,
상기 일축 연신 적층 필름의 상기 수지 필름을 요오드 또는 유기 염료로 염색하여 편광자층을 형성하는 염색 공정을 이 순으로 포함하고,
상기 수지 필름 접합 공정에서, 상기 수지 필름의 두께가 15 ㎛ 이상인,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된 편광자층을 구비하는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A resin film bonding step of bonding a resin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ving a thickness of 45 탆 or less to one surface of a base film to obtain a laminated film,
A stretching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laminated film,
A dyeing step of dyeing the resin film of the uniaxially stretched laminated film with iodine or an organic dye to form a polarizer layer,
Wherein in the resin film bonding step, the resin film has a thickness of 15 mu m or mor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comprising a base film and a polarizer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지지체 위에 형성하는 수지층 형성 공정과,
지지체 위에 형성된 수지층을 건조하는 제1 건조 공정과,
건조된 수지층을 상기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상기 수지층을 취득하는 수지층 분리 공정과,
박리된 수지층을 상기 제1 건조 공정에서의 온도보다 높은 건조 온도에서 건조하는 제2 건조 공정을, 이 순으로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지 필름인 제조 방법. The resin fil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sin film used in the resin film-
A resin layer forming step of forming a resin layer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n a support,
A first drying step of drying the resin layer formed on the support,
A resin layer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dried resin layer from the support to obtain the resin layer,
And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peeled resin layer at a dry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in the first drying step.
상기 편광성 적층 필름에서의 상기 편광자층의 상기 기재 필름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보호 필름 접합 공정과,
상기 편광성 적층 필름으로부터 상기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기재 필름 박리 공정을 이 순으로 포함하는, 편광자층과, 상기 편광자층의 한쪽 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according to claim 1,
A protective film bonding step of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a surface of the polarizing layer in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opposite to the surface on the base film side;
And a base film peeling step of peeling off the base film from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in this order, and a protective film form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251647 | 2010-11-10 | ||
JP2010251647 | 2010-11-10 | ||
PCT/JP2011/076130 WO2012063954A1 (en) | 2010-11-10 | 2011-11-08 | Methods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3901A Division KR101740763B1 (en) | 2010-11-10 | 2011-11-08 | Methods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8441A KR20170058441A (en) | 2017-05-26 |
KR101967078B1 true KR101967078B1 (en) | 2019-04-08 |
Family
ID=460510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3901A Expired - Fee Related KR101740763B1 (en) | 2010-11-10 | 2011-11-08 | Methods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
KR10201770130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967078B1 (en) | 2010-11-10 | 2011-11-08 | Methods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3901A Expired - Fee Related KR101740763B1 (en) | 2010-11-10 | 2011-11-08 | Methods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2) | JP5921855B2 (en) |
KR (2) | KR101740763B1 (en) |
CN (1) | CN103201656B (en) |
TW (2) | TWI566937B (en) |
WO (1) | WO201206395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8822B1 (en) | 2012-11-16 | 2015-03-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reparing method for thin polarizer, thin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
KR101498823B1 (en) | 2012-11-16 | 2015-03-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reparing method for thin polarizer, thin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
WO2014084154A1 (en) * | 2012-11-30 | 2014-06-05 | 株式会社クラレ | Multilayer film |
JP2014232126A (en) | 2013-03-19 | 2014-12-11 | 日東電工株式会社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
KR101460478B1 (en) * | 2013-06-18 | 2014-11-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Oriented laminate, preparing method for thin polarizer, thin polarizer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
WO2014204134A1 (en) * | 2013-06-18 | 2014-12-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i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KR101460477B1 (en) * | 2013-06-18 | 2014-11-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Oriented laminate, preparing method for thin polarizer, thin polarizer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
KR101460479B1 (en) * | 2013-06-18 | 2014-11-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Oriented laminate, preparing method for thin polarizer, thin polarizer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
WO2014204147A1 (en) * | 2013-06-18 | 2014-12-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tretched laminated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polarizer, thin polarizer manufactured thereby and polarizing plate containing same |
KR101555782B1 (en) * | 2013-06-18 | 2015-09-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i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unfacturing the same |
KR101705944B1 (en) * | 2013-06-19 | 2017-02-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Laminate |
KR101620189B1 (en) * | 2013-12-27 | 2016-05-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in polarizer having a good optical propertie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
WO2015099267A1 (en) * | 2013-12-27 | 2015-07-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in polarizer with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polarizing plate including same |
JP6249820B2 (en) * | 2014-02-27 | 2017-12-20 | 住友化学株式会社 |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
JP6321999B2 (en) * | 2014-03-06 | 2018-05-09 | 住友化学株式会社 |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
JP6203143B2 (en) * | 2014-07-22 | 2017-09-27 | 住友化学株式会社 |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
KR101724799B1 (en) | 2014-09-15 | 2017-04-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reparing method for thin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
JP6543447B2 (en) * | 2014-09-18 | 2019-07-10 | 住友化学株式会社 |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stretched film with protect film |
JP6138755B2 (en) * | 2014-12-24 | 2017-05-31 | 日東電工株式会社 | Polarizer |
JP6563201B2 (en) * | 2015-01-14 | 2019-08-21 | 日東電工株式会社 |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
JP6714808B2 (en) * | 2015-09-08 | 2020-07-01 |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 Film for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CN105223639B (en) * | 2015-11-16 | 2019-06-25 | 云南云天化股份有限公司 | The preparation method of slim Pva Polarizing Film |
JP2017181597A (en) * | 2016-03-28 | 2017-10-05 | 住友化学株式会社 | Optical film and polarizing plate |
KR102510654B1 (en) * | 2016-11-30 | 2023-03-15 |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
JP2018106137A (en) * | 2016-12-28 | 2018-07-05 | 日東電工株式会社 | Polarizing film with surface protection film and optical member with surface protection film |
JP6714522B2 (en) | 2017-01-24 | 2020-06-24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Wavelength conversion film |
JP2018180407A (en) * | 2017-04-19 | 2018-11-15 | 住友化学株式会社 |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panel |
WO2019022028A1 (en) * | 2017-07-25 | 2019-01-31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Laminate |
EP3660555A4 (en) * | 2017-07-25 | 2021-05-12 | Zeon Corporation | Laminate |
CN110945393B (en) | 2017-07-25 | 2022-03-22 | 日本瑞翁株式会社 |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
WO2019022024A1 (en) * | 2017-07-25 | 2019-01-31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Production method for polarizing plate and production method for display device |
KR102511353B1 (en) | 2017-07-25 | 2023-03-16 |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 laminate |
CN115996962A (en) * | 2020-06-30 | 2023-04-21 | 株式会社可乐丽 | Vinyl acetate, vinyl acetate polymer and vinyl alcohol polymer |
WO2022024655A1 (en) * | 2020-07-31 | 2022-02-03 | 東レ株式会社 |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
CN119912771A (en) | 2020-10-15 | 2025-05-02 | 株式会社可乐丽 |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method for distinguishing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1462A (en) * | 1999-11-05 | 2001-07-17 | Tohcello Co Ltd | Laminate |
JP2009093074A (en) * | 2007-10-11 | 2009-04-30 | Nitto Denko Corp | Manufacturing method for polarizing plate, th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
JP2009098598A (en) * | 2007-09-27 | 2009-05-07 | Fujifilm Corp |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glas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3748B2 (en) * | 1987-07-03 | 1996-10-16 | 株式会社クラレ |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3251073B2 (en) * | 1992-10-27 | 2002-01-28 | 株式会社クラレ | Film and polarizing film |
JP3342517B2 (en) * | 1992-10-27 | 2002-11-11 | 株式会社クラレ | Method for producing PVA-based film and optical film |
JP4279944B2 (en) * | 1999-06-01 | 2009-06-17 | 株式会社サンリッツ |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
JP4421737B2 (en) * | 2000-05-10 | 2010-02-24 | 株式会社カネカ | Optical film made of low-birefringence graft-modified norbornene resin |
JP2001343521A (en) * | 2000-05-31 | 2001-12-14 | Sumitomo Chem Co Ltd |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2001343522A (en) * | 2000-05-31 | 2001-12-14 | Sumitomo Chem Co Ltd |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6859241B2 (en) * | 2001-10-16 | 2005-02-22 | Nitto Denko Corporation | Method of produc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
AU2003297496A1 (en) * | 2002-12-20 | 2004-07-22 | Vision-Ease Lens, Inc. | Polarizing plate and eyewear plastic article containing the same |
JP5036191B2 (en) | 2005-03-16 | 2012-09-26 |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 Polyvinyl alcoho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2011
- 2011-11-08 CN CN201180053721.3A patent/CN103201656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1-08 TW TW100140747A patent/TWI566937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11-08 KR KR1020137013901A patent/KR10174076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1-08 TW TW105127718A patent/TWI592305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11-08 WO PCT/JP2011/076130 patent/WO201206395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1-08 KR KR1020177013017A patent/KR1019670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1-09 JP JP2011245260A patent/JP5921855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04-12 JP JP2016079398A patent/JP633962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1462A (en) * | 1999-11-05 | 2001-07-17 | Tohcello Co Ltd | Laminate |
JP2009098598A (en) * | 2007-09-27 | 2009-05-07 | Fujifilm Corp |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glass |
JP2009093074A (en) * | 2007-10-11 | 2009-04-30 | Nitto Denko Corp | Manufacturing method for polarizing plate, th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118521A (en) | 2012-06-21 |
KR20140006800A (en) | 2014-01-16 |
JP2016136281A (en) | 2016-07-28 |
TW201226189A (en) | 2012-07-01 |
JP5921855B2 (en) | 2016-05-24 |
TWI592305B (en) | 2017-07-21 |
KR20170058441A (en) | 2017-05-26 |
TWI566937B (en) | 2017-01-21 |
JP6339621B2 (en) | 2018-06-06 |
WO2012063954A1 (en) | 2012-05-18 |
KR101740763B1 (en) | 2017-05-26 |
CN103201656A (en) | 2013-07-10 |
CN103201656B (en) | 2015-05-27 |
TW201704027A (en) | 2017-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7078B1 (en) | Methods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 |
KR101420584B1 (en) |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double-sided polarizing laminated film | |
KR101420556B1 (en) | Polarizing laminate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each | |
KR101427017B1 (en) |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 |
KR101452605B1 (en) | Stretched film, polarizing stretched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stretched film | |
KR101791282B1 (en) |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435358B1 (en) | Method of producing polarizable laminated film and polarising plate | |
KR102157406B1 (en) | Polarizing layer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 |
KR20150093202A (en) | Processes for producing polarizing layered film and polarizing plate, polarizing layered film, and polarizing plate set | |
KR102242306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 |
CN107076912B (en) |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or polarizing plate | |
KR101947852B1 (en) |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laminated film | |
JP5514700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 |
KR20140054012A (en) |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 fil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4 |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4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4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AMND | Amendment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204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40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