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456B1 - Device for operating temp door of HVAC - Google Patents
Device for operating temp door of HVA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6456B1 KR101966456B1 KR1020130129679A KR20130129679A KR101966456B1 KR 101966456 B1 KR101966456 B1 KR 101966456B1 KR 1020130129679 A KR1020130129679 A KR 1020130129679A KR 20130129679 A KR20130129679 A KR 20130129679A KR 101966456 B1 KR101966456 B1 KR 101966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moving hinge
- hinge shaft
- moving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Manufacturing or assemb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07—Details of pivot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템프도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빙 힌지를 이용하여 템프도어의 힌지점을 이동시켜 도어 사이즈는 최대화시키는 동시에 개폐 궤적은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템프도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조 하우징내의 에바코어와 히터코어 사이에 장착되는 템프도어를 메인도어와 테일도어가 무빙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호 연결된 구조로 구비하고, 상기 무빙힌지축의 일단부에 무빙 힌지축의 회전 중심점을 가변시킬 수 있는 무빙 힌지 구동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메인도어와 테일도어가 에바코어와 히터코어 사이의 개폐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템프도어 구동 장치를 제공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mper door driving apparatus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mper door driving apparatus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which is capable of maximizing a door size by moving a hinge point of a tempo door using a moving hinge, And a door driving devic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empo door mounted between an eva core and a heater core in an air conditioning housing is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a main door and a tail door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around a moving hinge shaft, And a movable door hinge drive means capable of varying a center point is connected to the main door and the tail door so as to extend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between the eva core and the heater core. It is intended to be provided.
Description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템프도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빙 힌지를 이용하여 템프도어의 힌지점을 이동시켜 도어 사이즈는 최대화시키는 동시에 개폐 회전 궤적은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템프도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driving apparatus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driving apparatus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driving apparatus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that can maximize a door size by moving a hinge point of a tempo door using a moving hin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door driv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고자, 외기나 내기를 선택하여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하는 장치로서, 송풍기 유닛, 에바코어(evaporator core) 유닛 및 히터코어(heater core)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an apparatus for blowing air into a room of a vehicle by heating or cooling the air by selecting an outside air or an inside air to cool or heat the inside of the vehicle.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air blower unit, an evaporator core unit, a heater core unit, and the like.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닛, 에바코어 유닛 및 히터코어 유닛 등 3개의 유닛 간의 배열 관계에 따라, 3개의 유닛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에바코어 유닛 및 히터코어 유닛이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닛이 별도의 유닛로 구비되는 세미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닛이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 등으로 구분된다.Such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three piece type in which three units are independently provid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ree units such as a blower unit, an eva core unit, and a heater core unit, A semi-center type in which the air-conditioning unit is installed as a separate unit, and a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the three units are installed in the air-conditioning case.
종래의 세미센터 타입의 공조장치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플랩도어 타입의 템프도어가 적용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conventional flap door type tem- perature door is applied to the air-conditioning system of the semi-center type.
상기 템프도어(20)는 공조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 힌지점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냉각공기 또는 히팅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공조 하우징(10)에는 에어컨 작동시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에바코어(12)와, 히터 작동시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히터코어(14)가 전후 위치에 내설되어 있고, 에바코어(12)와 히터코어(14) 사이에 공기유로 변경을 위한 템프도어(20)가 고정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냉각공기 또는 히팅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차량의 실내 온도 제어 방법은 에바코어와 히터코어 사이에 장착된 템프도어의 위치를 가변 제어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is performed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tempdoor mounted between the eva core and the heater core.
예를 들어, 첨부한 도 2에서 보듯이 템프도어(20)를 에바코어(12)와 히터코어(14)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시키면, 에바코어(12)를 경유한 찬 공기와 히터코어(14)를 경유한 따뜻한 공기가 믹싱 구간에서 믹싱된 후, 차량 실내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온도가 조절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이때, 상기 템프도어(20)는 그 작동시 고정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는 개폐 궤적을 이루게 되므로, 이로 인해 에바코어(12)와 히터코어(14) 사이의 간극에 따라 사이즈가 정해지고, 또한 상기 템프도어(20)가 히터코어쪽을 닫아줄 때, 템프도어(20)의 끝단과 맞닿는 공조하우징(10)의 격벽(16) 높이는 차량의 패키지에 따라 달리 결정된다.At this time, the
그러나, 상기한 플랩 도어 타입의 템프도어는 격벽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flap door type of the above-mentioned tamper door has the following problems due to the partition walls.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템프도어(20)의 끝단과 맞닿는 격벽(16)은 공조하우징(10)의 저면에서 보았을 때 역 "V"자 형태의 홈을 형성하면서 공조하우징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므로, 이 격벽(16)이 오히려 공조하우징(10)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동 저항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즉, 상기 격벽(16)이 히터코어(14)의 입구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격벽(16)이 히터코어(14)의 상당 부분을 가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 3의 원형 점선 부분에서 보듯이 히터코어(14)로 들어가는 공기가 격벽(16)에 걸리며 닿는 동시에 와류를 형성하며 유동 저항을 일으키게 되고, 그에 따라 히터코어의 성능 저하를 비롯하여 와류 형성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since the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템프도어를 플랩 도어 타입에서 슬라이딩 도어 타입이 적용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a sliding door type is applied to a templet door in a flap door type.
첨부한 도 4에서 보듯이, 에바코어(12)와 히터코어(14) 사이에 공기유로 변경을 위한 템프도어(20)를 직선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 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타입으로 장착하여, 냉각공기 또는 히팅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역할은 물론, 특히 격벽의 높이를 낮추어 히터코어로 들어가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4, the
그러나, 슬라이딩 개폐 방식의 템프도어는 세미센터 타입의 공조장치에 적용하는데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However, the sliding door opening / closing type tempo door is applied to a semi-center type air conditioner, which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즉, 세미센터 타입의 공조하우징은 상하 폭이 좁기 때문에, 템프도어(20)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는 방식으로 채택한 경우, 도 4에서 보듯이 에바코어(12)를 통과한 공기와 히터코어(14)를 통과한 공기 간의 에어 믹싱 공간이 협소해지고, 그에 따라 믹싱공간의 상부 및 하부 간의 온도차가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며, 결국 에바코어를 경유한 찬 공기와 히터코어를 경유한 따뜻한 공기가 제대로 믹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other words, the air conditioning housing of the semi-center type has a narrow vertical width. Therefore,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템프도어를 무빙 힌지를 이용하여 개폐 면적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회전 궤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기존의 슬라이딩 도어 타입이 갖는 격벽 축소에 따른 공기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과, 기존의 플랩 도어 타입이 갖는 에어 믹싱 공간 최대화 등의 장점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템프도어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tructure by which the opening / closing area of the tempo door can be increased by using a moving hinge, And an air mixing space of the conventional flap door type can be maximize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mper door driving apparatus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 하우징내의 에바코어와 히터코어 사이에 장착되는 템프도어를 메인도어와 테일도어가 무빙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호 연결된 구조로 구비하고, 상기 무빙힌지축의 일단부에 무빙 힌지축의 회전 중심점을 가변시킬 수 있는 무빙 힌지 구동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메인도어(22)와 테일도어(24)가 회전할 때 무빙 힌지축(26)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 반경이 감소하는 동시에 에바코어(12)와 히터코어(14) 사이의 개폐 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템프도어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ing: a tempo door mounted between an eva core and a heater core in an air conditioning housing, having a main door and a tail door interconnected around the moving hinge shaft, And a turning radius is decrease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도어의 후단부에 무빙 힌지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일도어의 전단부에는 무빙 힌지축의 외경부에 연결되는 경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moving hinge shaft is integrally formed at a rear end of the main door, and a hinge portion connected to an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moving hinge shaft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tail door.
특히, 상기 무빙 힌지축의 일단부에는 무빙 힌지 구동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평기어가 힌지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at one end of the moving hinge shaft, a spur gear is hinged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moving hinge driving means.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빙 힌지축의 외경면에는 제1지지단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일도어의 경첩부에는 제2지지단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제1지지단과 제2지지단 사이에는 탄성체가 인장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supporting e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hinge shaft, the second supporting end integrally protrudes from the hinge portion of the tail door, an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end and the second supporting end, And the elastic body is connected in a tensionable mann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상기 무빙 힌지 구동수단은: 상단 대경부에 슬롯이 관통 형성된 캠과; 캠의 하단 소경부에 연결되어 캠을 각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슬롯의 내면 하단에 형성되어 무빙 힌지축의 평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랙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hinge driving means comprises: a cam having a slot formed in an upper large-diameter portion; An actuator connected to the lower small-diameter portion of the cam to rotate the cam each time; A rack gea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lot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spur gear of the moving hinge shaft; And a control unit.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mention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공조 하우징내의 에바코어와 히터코어 사이에 장착되는 템프도어를 메인도어와 테일도어가 무빙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호 연결된 구조로 구비하고, 무빙힌지축의 일단부에 무빙 힌지축의 회전 중심점을 가변시킬 수 있는 무빙 힌지 구동수단을 연결함으로써, 템프도어의 사이즈를 최대화시켜서 에바코어와 히터코어 사이의 개폐 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o door mounted between the eva core and the heater core in the air conditioning housing is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door and the tail door are mutu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round the moving hinge shaft, and the rotation center point of the moving hinge shaft By connecting the movable hinge drive means capable of varying the size, the size of the tempo door can be maximized to maximize the open / close area between the eva core and the heater core.
또한, 템프도어의 사이즈를 최대화시킴에도 불구하고, 캠을 이용하여 무빙 힌지축을 이동시킴에 따라 템프도어의 회전 궤적은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ize of the tempdoor is maximized,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tempdoor can be minimized by moving the moving hinge axis using the cam.
특히, 템프도어의 사이즈 증대에 따라 히터코어의 입구쪽에 형성되는 공조하우징의 격벽 높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히터코어로 들어가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housing formed at the inlet side of the heater core can be minimized as the size of the tempdoor increases,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entering the heater core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기존의 플랩 도어 타입과 같이,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와 에바코어를 통과한 공기의 에어 믹싱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Also, as in the conventional flap door typ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ir mixing spac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 cor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플랩도어 타입의 템프도어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플랩도어 타입의 템프도어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슬라이드 타입의 템프도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프도어 및 그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프도어의 작동 궤적을 나타낸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프도어와 히터코어 간의 간섭 현상을 해결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1 and 2 are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lap door type tempdoor,
Figure 3 shows the problem of the flap door type of the tempo door,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lide-type tempdoor,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tem- po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riving device therefor,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locus of a temp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solving the interference phenomenon between a tempdoor and a heater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하우징(10)내에는 에어컨 작동시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에바코어(12)와, 히터 작동시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히터코어(14)가 전후 위치에 내설되어 있고, 에바코어(12)와 히터코어(14) 사이에 공기유로 변경을 위한 템프도어(20)가 개폐 회전 가능하게 냉각공기 또는 히팅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본 발명에 따른 템프도어(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22)와 테일도어(24)가 무빙 힌지축(26)을 중심으로 상호 연결된 구조로 구비된다.5 and 6,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도어(22)의 후단부에 원형 핀 형상의 무빙 힌지축(2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일도어(24)의 전단부에는 경첩부(28)가 형성되어, 경첩부(28)에 무빙 힌지축(26)의 외경부가 압입됨으로써, 메인도어(22)와 테일도어(24)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a circular fin-shaped moving
이렇게, 본 발명의 템프도어(20)는 무빙 힌지축(26)을 중심으로 메인도어(22)와 테일도어(24)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 구비됨에 따라, 기존의 플랩 도어 타입에 적용된 템프도어(20)에 비하여 그 길이가 더 확대된 것으로 채택된다.In this way, since the
특히, 상기 무빙 힌지축(26)의 일단부에 무빙 힌지축(26)의 회전 중심점을 가변시킬 수 있는 무빙 힌지 구동수단(30)이 연결된다.In particular, the moving hinge drive means 3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ving
상기 무빙 힌지 구동수단(30)은 무빙 힌지축(26)을 원호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가변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상단 대경부에 슬롯(33)이 관통 형성된 캠(34)과, 이 캠(34)의 하단 소경부에 연결되어 캠(34)의 상단 대경부를 각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36)로 구성된다.The moving hinge driving means 30 is a means capable of varying the moving
이때, 첨부한 도 7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캠(34)의 상단 대경부에 형성된 슬롯(33)의 내면 하단에는 랙기어(38)가 형성되고, 상기 무빙 힌지축(26)의 일끝단에는 캠(34)의 회전과 동시에 랙기어(38)를 따라 회전하게 되는 평기어(32)가 힌지로 장착된다.7, a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템프도어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액츄에이터(36)의 구동에 의하여 캠(34)의 상단 대경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각회전을 하면, 슬롯(33)에 형성된 랙기어(38)에서 무빙 힌지축(26)의 평기어(32)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First, when the upper large-diameter portion of the
이에, 상기 평기어(32)에 전달된 회전력에 의거, 무빙 힌지축(26) 및 템프도어(20)도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moving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캠(34)의 상단 대경부가 전방으로 회전하면, 무빙 힌지축(26)과 일체로 된 메인도어(22) 및 테일도어(24)가 캠의 전방 회전각도에 맞게 전방으로 회전하여, 도 8에 도시된 쿨링 상태 도어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에바코어(12)를 통과한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들어가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upper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이러한 상기 캠(34)의 전방 회전시, 평기어(32)가 슬롯(33)내의 랙기어(38)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평기어(32)와 연결된 무빙 회전축(26)의 회전 중심점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When the
또한, 상기 캠(34)의 전방 회전시, 무빙 회전축(26)의 회전 중심점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무빙 회전축(26)과 일체로 된 메인도어(22)와 테일도어(24)도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어, 결국 메인도어(22)와 테일도어(24)의 회전 궤적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When the
따라서, 상기 메인도어(22)와 테일도어(24)의 전방 회전시 궤적이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메인도어(22)의 전단끝이 에버코어(12)로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에바코어(12)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캠을 이용하여 무빙 힌지축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무빙 힌지축의 회전 중심점을 뒤쪽으로 가변시킴으로써, 메인도어(22)와 테일도어(24)로 구성된 템프도어의 회전 궤적을 최소화시켜 에바코어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By thus moving the moving hinge shaft using the cam and changing the rotational center point of the moving hinge shaft backward, the rotational locus of the tempo door composed of the
한편, 상기 메인도어(22)와 테일도어(24)는 일정한 둔각을 이루는 상태이므로, 메인도어(22)의 전단끝은 공조하우징(10)의 격벽(16)에 닿는 동시에 테일도어(24)의 후단끝은 히터코어(14)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어, 에바코어(12)로부터의 공기가 히터코어(14)로 흐르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하게 된다.The front end of the
또한, 본 발명의 템프도어(20)는 메인도어(22)와 테일도어(24)를 연결하여 전체적인 길이방향 사이즈가 증대된 상태이므로, 메인도어(22)의 전단부 길이방향 증가분 만큼 히터코어(14)의 입구쪽에 형성되는 공조하우징(10)의 격벽(16)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히터코어로 들어가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Since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상기 템프도어(20)의 후방 회전은 상기한 전방 회전의 역순으로 진행되며, 템프도어(20)의 후방 회전 종료시 메인도어(22)에 대하여 테일도어(24)가 둔각으로 연결됨에 따라, 첨부한 도 9에서 보듯이 테일도어(24)의 끝단이 반듯하게 펴지지 않게 되면 히터코어(14)의 상단에 닿아 간섭되며 파손될 우려가 있다.The rearward rotation of the
이를 위해, 상기 무빙 힌지축(26)의 외경면에는 제1지지단(27)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일도어(24)의 경첩부(28)에는 제2지지단(29)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제1지지단(27)과 제2지지단(29) 사이에는 탄성체(25)가 인장 가능하게 연결된다.A first supporting
따라서, 상기 템프도어(20)의 후방 회전 완료시, 즉 메인도어(22)의 전단끝이 에바코어의 출구쪽에 밀착되는 동시에 테일도어(24)의 후단이 히터코어(14)의 상단부에 닿는 간섭 발생시, 탄성체(25)가 인장되면서 테일도어(24)를 밀어올리게 된다.The rear end of the
즉, 테일도어(24)의 후단이 히터코어(14)에 닿는 순간, 탄성체(25)가 인장되는 동시에 테일도어(24)가 메인도어(22)와 수평을 이루며 히터코어(14)의 상단면에 거치되는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rear end of the
이렇게 탄성체(25)의 인장력에 의하여 테일도어(24)의 후단부가 히터코어(14)의 상단면에 단순 접촉하며 거치되는 상태가 되므로, 테일도어(24)의 파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e rear end of the
10 : 공조 하우징 12 : 에바코어
14 : 히터코어 16 : 격벽
20 : 템프도어 22 : 메인도어
24 : 테일도어 25 : 탄성체
26 : 무빙 힌지축 27 : 제1지지단
28 : 경첩부 29 : 제2지지단
30 : 무빙 힌지 구동수단 32 : 평기어
33 : 슬롯 34 : 캠
36 : 액츄에이터 38 : 랙기어10: air conditioning housing 12: EVA core
14: heater core 16: partition wall
20: Temp door 22: Main door
24: tail door 25: elastic body
26: Moving hinge shaft 27: First supporting end
28: hinge part 29: second supporting step
30: Moving hinge drive means 32: Spur gear
33: Slot 34: Cam
36: Actuator 38: Rack gear
Claims (5)
상기 무빙 힌지축(26)의 일단부에는 무빙 힌지 구동수단(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평기어(32)가 힌지로 장착되고,
상기 무빙 힌지 구동수단(30)은:
상단 대경부에 슬롯(33)이 관통 형성된 캠(34)과;
캠(34)의 하단 소경부에 연결되어 캠(34)을 각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36)와;
슬롯(33)의 내면 하단에 형성되어 무빙 힌지축(26)의 평기어(3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랙기어(38);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템프도어 구동 장치.
The main door 22 and the tail door 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round the moving hinge shaft 26 so that the tempo door 20 mounted between the eva core 12 and the heater core 14 in the air conditioning housing 10 And a moving hinge drive means 3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ving hinge shaft 26 for vary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moving hinge shaft 26,
A spur gear 32 is hinged at one end of the moving hinge shaft 26 so as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moving hinge driving means 30,
The moving hinge drive means (30) comprises:
A cam (34) having a slot (33) formed through the upper large - diameter portion;
An actuator (36) connected to the lower small-diameter portion of the cam (34) to rotate the cam (34);
A rack gear 38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lot 33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spur gear 32 of the moving hinge shaft 26;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door.
상기 메인도어(22)의 후단부에 무빙 힌지축(2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일도어(24)의 전단부에는 무빙 힌지축(26)의 외경부에 연결되는 경첩부(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템프도어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oving hinge shaft 26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door 22 and a hinge 28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moving hinge shaft 26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tail door 24 Wherein the airbag is formed in a shape of a cylinder.
상기 무빙 힌지축(26)의 외경면에는 제1지지단(27)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일도어(24)의 경첩부(28)에는 제2지지단(29)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제1지지단(27)과 제2지지단(29) 사이에는 탄성체(25)가 인장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템프도어 구동 장치.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support end 2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hinge shaft 26 and a second support end 29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inge 28 of the tail door 24 , And an elastic body (25) is tensionab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end (27) and the second support end (2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679A KR101966456B1 (en) | 2013-10-30 | 2013-10-30 | Device for operating temp door of HVA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679A KR101966456B1 (en) | 2013-10-30 | 2013-10-30 | Device for operating temp door of HVAC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9305A KR20150049305A (en) | 2015-05-08 |
KR101966456B1 true KR101966456B1 (en) | 2019-04-05 |
Family
ID=5338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9679A Active KR101966456B1 (en) | 2013-10-30 | 2013-10-30 | Device for operating temp door of HVAC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645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99009B2 (en) | 2020-03-10 | 2022-04-12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Vehicle HVAC system with modular door desig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70462A (en) | 2021-06-23 | 2022-12-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ystem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11112B2 (en) | 2003-09-24 | 2008-07-02 | 株式会社デンソー | Gear mechanism and vehicle air condition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30806A (en) * | 1981-02-09 | 1982-08-13 | Nippon Soken Inc | Air conditioning for car |
KR20020078821A (en) * | 2001-04-10 | 2002-10-19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
-
2013
- 2013-10-30 KR KR1020130129679A patent/KR1019664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11112B2 (en) | 2003-09-24 | 2008-07-02 | 株式会社デンソー | Gear mechanism and vehicle air condition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99009B2 (en) | 2020-03-10 | 2022-04-12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Vehicle HVAC system with modular door desig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9305A (en) | 2015-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09389B2 (en) | Automotive air conditioner | |
JP6409440B2 (en) | Air conditioner | |
CN108050599B (en) | Air conditioner air ducting and air conditioner | |
CN109882931B (en) |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US9694652B2 (en) | Vehicle rear console duct air flow | |
JP2014234936A (en) | Air blower | |
KR20180128761A (en) | Air vent provided with multi-stage control knob | |
US20240131922A1 (en) | Variable grille apparatus | |
KR101952662B1 (en) | Air vent for vehicle | |
CN104002637B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966456B1 (en) | Device for operating temp door of HVAC | |
JP2010120441A (en) | Air-conditioning wind blow-off mechanism | |
JP2017171125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179599B1 (en) | Blower for vehicles | |
KR101930713B1 (en) | Active air guide device | |
KR101492148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CN107990523B (en) | Air conditioner wind-guiding mechanism and air conditioner | |
CN215951726U (en) | Track Plates, Drives and Air Conditioning Indoor Units | |
JP6259302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CN108088060B (en) | Air conditioner air guide system and air conditioner | |
JP4083945B2 (en) | Sliding door device | |
KR100366570B1 (en) | Evaporator mounted structure for cooling system of automobile | |
CN107990424B (en) | Air guide door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 |
KR200365530Y1 (en) | Duct Assembly of Vehicle Blower | |
KR100439824B1 (en) | Air mix door structure in heater unit for automob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