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5513B1 - Open-ear headphone and method for sound playback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en-ear headphone and method for sound playback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513B1
KR101965513B1 KR1020170157450A KR20170157450A KR101965513B1 KR 101965513 B1 KR101965513 B1 KR 101965513B1 KR 1020170157450 A KR1020170157450 A KR 1020170157450A KR 20170157450 A KR20170157450 A KR 20170157450A KR 101965513 B1 KR101965513 B1 KR 10196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udio signals
output
ear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본희
Original Assignee
구본희
김우진
이종석
김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희, 김우진, 이종석, 김동준 filed Critical 구본희
Priority to KR102017015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513B1/en
Priority to PCT/KR2018/015440 priority patent/WO201910358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51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귀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for extracting audio signals of one or more channels from source data and generating output audio signals; And loudspeakers spaced from the user's ear and outputting the output audio signals with the ear open.

Description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OPEN-EAR HEADPHONE AND METHOD FOR SOUND PLAYBACK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귀를 덮지 않은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하여 소리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open headphone for outputting sound without covering the user's ear and a method for reproducing sound using the ear-open headphone.

종래의 사용자 소리 출력 장치들인 이어폰과 헤드폰은 대부분 필수적으로 사용자의 귀를 완전히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폰은 커널형 이어폰, 오픈형 이어폰 등으로 구분되며, 헤드폰은 오픈형과 밀폐형 등으로 구분되나, 이와 같은 이어폰과 헤드폰은 필연적으로 사용자의 귀를 덮으면서 소리를 출력하는 특징을 갖는다.Earphone and headphone, which are conventional user sound output devices, are essentially configured to completely cover the user's ears. The earphone is classified into a canal type earphone and an open type earphone. Headphones are classified into an open type and a closed type. However, the earphone and the headphone inevitably have a feature of outputting sound while covering the user's ear.

하지만, 사용자의 귀를 덮은채로 소리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소리가 큰 폭으로 감쇄되거나 차단되는 효과가 있는데, 이로 인하여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도 어려우며 주변의 위험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sound is output while covering the user's ears, the external sound is greatly attenuated or blocke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and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surrounding danger.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귀를 개방시킨채로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소리가 전달되어 불편을 끼칠 수도 있으며 소리가 불명확하게 전달되어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when the sound is outputted while the ear is opened, sound may be transmitted to other peopl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and sound may be transmitted unclearly, , A technology that overcomes these problems is needed.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할 수는 없다.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hold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not necessarily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6752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67521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하는 소리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open headphone for outputting sound in a state in which a user's ear is open and a sound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향성 소리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만 소리가 명확히 전달되도록 출력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하는 소리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open headphone which outputs directional sound so that sound is clearly transmitted only to a user, and a sound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리를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하여 별도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하는 소리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open headphone in which sound is divided into frequency bands and output to a separate speaker, and a sound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향성이 낮은 저역 주파수의 소리는 골전도 유닛 또는 익사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하는 소리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open headphone for outputting a low-frequency sound having a low directivity using a bone conduction unit or an ex- pector unit and a sound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귀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for extracting audio signals of one or more channels from source data and generating output audio signals; And loudspeakers spaced from the user's ear and outputting the output audio signals with the ear open.

이때, 상기 스피커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된 스피커들에서 출력된 사운드들을 상기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전달하는 유선형의 사운드 전달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은 비근접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제1 오디오 신호들과 근접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제2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들은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비근접 스피커들과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과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근접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streamlined sound delivery conduits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peakers to deliver sounds output from the connected speakers to the user in a direction of the ear, And second audi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speakers, wherein the speakers are connected to the sound transfer tubes to output non-proximity speakers that output the first audio signals, And proximity speakers that are not coupled to the tubes and output the second audio signals.

이때,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신호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correction unit for generating a correction parameter using the sound transfer pipe parameter to correct the output audio signals.

이때, 상기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 딜레이(delay) 조절 정보, 레벨(level) 조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ound transfer tube parameters incl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material, length, size and shape of the sound transfer tubes, the correction parameters including equalizer adjustment information of the output audio signals, delay delay adjustment information, and level adjustment information.

이때,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은 상기 사용자의 귀 방향 말단에서 최종 방사되는 사운드들의 방향을 조정하는 방사 그릴들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transfer tubes may include radiation grilles that adjust the direction of the final emitted sound at the ear tip of the user

이때, 상기 비근접 스피커들은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n-proximity speakers may include a directional sound output unit.

이때, 상기 근접 스피커들은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ximity speakers may be composed of a bone conduction element or an exciter element.

이때, 출력 진동 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소리를 입력 받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데이터 또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 vibr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ibration signal; And a microphone for inputting sound, and the processor can generate an output vibration signal for generating vibration in the vibration generating sec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source data or the sound input from the microphone.

이때, 상기 스피커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상기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모아주도록 상기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를 덮는 사운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cover may further include a sound cover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ear so as to collect sounds output from the speakers toward the ear of the user.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헤드폰의 좌우 방향이 뒤집어진 경우에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좌우 채널을 반전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can invert the left and right channels of the output audio signals whe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headphone is inver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된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상기 귀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Als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tracting audio signals of one or more channels from source data and generating output audio signals; And outputting the output audio signals in a state in which the ear is opened using speakers spaced from the user's ear.

이때,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은 비근접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제1 오디오 신호들과 근접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제2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사운드 전달관들과 연결된 상기 비근접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과 연결되지 않은 상기 근접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은 상기 비근접 스피커들과 연결되어 상기 비근접 스피커들에서 출력된 사운드들을 상기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전달할 수 있다.Wherein the output audio signals comprise first audio signals corresponding to non-proximity speakers and second audio signals corresponding to proximity speakers, wherein outputting the output audio signals comprises: Outputting the first audio signals using non-proximity speakers; And outputting the second audio signals using the proximity speakers not connected to the sound transfer tubes, wherein the sound transfer tubes are connected to the non-proximity speakers, And deliver the sounds with directivity in the ear direction of the user.

이때,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correction parameter using the sound transfer parameter and correcting the output audio signals.

이때, 상기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 딜레이(delay) 조절 정보, 레벨(level) 조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ound transfer tube parameters incl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material, length, size and shape of the sound transfer tubes, the correction parameters including equalizer adjustment information of the output audio signals, delay delay adjustment information, and level adjustment information.

이때,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의 상기 사용자의 귀 방향 말단에 위치하는 방사 그릴들을 이용하여 최종 방사되는 사운드들의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elivering may comprise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finally emitted sounds using radial grilles located at the ear ends of the user of the sound transfer tubes.

이때,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지향성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ep of outputting the first audio signals may output the directional sounds using the directional sound output unit.

이때,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ting of the second audio signals may be performed using a bone conduction element or an ex vivo element.

이때, 상기 소스 데이터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로부터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진동 발생부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진동 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Generating an output vibration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ted from the source data or the microphone; And generating a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ibration signal using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이때, 상기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를 덮는 사운드 커버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상기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모아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llecting sounds output from the speakers by using a sound cover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ear in an ear direction of the user.

이때,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헤드폰의 좌우 방향이 뒤집어진 경우에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좌우 채널을 반전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generating the output audio signal may reverse the left and right channels of the output audio signals whe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headphone is invert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하는 소리 재생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주변의 소리와 함께 출력되는 소리를 함께 청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open type headphone that outputs a soun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ear is open and the sound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ear-open headphone enable the user to simultaneously listen to the sound output together with the surrounding sound.

또한, 본 발명은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하는 소리 재생 방법에 의해, 지향성 소리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만 소리가 명확히 전달되도록 출력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원치 않는 소리를 들려주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rectional sound is generated by the ear-open headphone and a sound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so that the sound is clearly transmitted only to the user, thereby preventing unwanted sounds from being heard by others.

또한, 본 발명은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하는 소리 재생 방법에 의해, 소리를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하여 별도의 스피커로 출력함으로써, 소리의 주파수 대역별로 상이한 지향성, 감쇄 등의 특징에 맞추어 적합한 소리 출력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und is output to a separate speaker by dividing sound into frequency bands by ear-open type headphones and a sound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sound output suitable for different directivity and attenuation according to frequency band of sound is possible Do.

또한, 본 발명은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하는 소리 재생 방법에 의해, 지향성이 낮은 저역 주파수의 소리는 골전도 유닛 또는 익사이터 유닛을 이용하여 출력함으로써, 저역 주파수의 소리의 낮은 지향성과 소리 전달시 큰 폭으로 소리가 감쇄되는 특징을 극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ar-open type headphone and the sound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sound of a low directivity low frequency band is output by using a bone conduction unit or an exporter unit, so that a low directivity of a low frequency sound,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characteristic that the sound is attenuated by the wid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귀 개방형 헤드폰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과 이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의 오른쪽 부분의 착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의 오른쪽 부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의 오른쪽 부분의 착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ound reproducing system using an ear-open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ar-open headphone shown in Fig. 1. Fig.
3 and 4 are views showing an ear-open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earing state thereof.
FIG. 5 is a view showing the wearing of a right portion of an ear-open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right portion of an ear-open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roducing sound using an ear-open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n ear-open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a right portion of an ear-open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inafter, a repeated description, a known function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되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not the limita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the terms include, including, etc. mean that there is a feature, or element, recit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ound reproducing system 1 using an ear-open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시스템(1)에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와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귀 개방형 헤드폰(100)과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유선이나 무선을 통하여 연결 가능하며, 무선으로의 연결은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ar-open headphone 100 is interconnected with a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200 in a sound reproducing system 1 using an ear-open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ear-open headphone 100 and the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200 can be connected through wired or wireless, and Bluetooth can be used for wireless conn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스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들을 추출하고, 오디오 채널들로부터 출력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된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source data from the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200, extracts at least one audio channel from the source data, generates an output audio signal from the audio channels And output audio signals are output using speakers spaced from the user's ear.

즉,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장착하더라도 사용자의 귀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소리를 완전히 들을 수 있다. 그리고, 귀 개방형 헤드폰(100)으로 소리를 재생하게 되면 마스킹 효과로 인하여 외부의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과 같은 효과로 출력되는 소리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칵테일 파티 효과에 의하여 소리가 재생되는 도중에도 외부의 소리 중에서 듣고 싶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That is, even when the ear-open headphone 100 is mounted, the user's ears are completely opened, so that the external sound can be completely heard. When the sound is reproduced by the ear-open headphone 100, the sound output by the effect that the external sound is not heard due to the masking effect can be heard. In addition, the cocktail party effect allows you to hear the sounds you want to hear from the outside sound while the sound is being reproduced.

즉, 귀가 개방된 상태로 사용자에게만 잘 들리도록 설계된 본 발명의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소리를 청취하면서도 외부의 소리를 들을 수 있어 위험을 감지할 수 있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원치 않는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소리를 재생/정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폰을 벗을 필요가 없고, 귀를 막는 답답함이나 거부감에서 탈피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은 음압과 장시간 사용에 의한 난청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저음과 고음을 구분하여 출력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운드 시스템과 결합하여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using the ear-open head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to be heard only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ear is open, the user can hear the external sound while listening to the desired sound to sense the dang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heard. Further, even when the sound is reproduced / stopped, since the ear is opened,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the headphones, and it is possible to avoid the feeling of stiffness and resistance to stop the ea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high sound pressure and a hearing loss due to long-time use. 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by separately outputting bass and treble. It can also be combined with other sound systems to build high-channel sound systems.

다른 사운드 시스템과 결합하여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다른 사운드 시스템의 서라운드 사운드와 본 발명의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이머시브 사운드를 병합함으로써, 더욱 입체감과 현장감이 넘치는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When a high-channel sound system is built in combination with another sound system, the surround sound of another sound system and the immersive sound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rged to provide a more stereoscopic and realistic sound have.

여기서, 소스 데이터는 출력하고자 하는 동영상이나 음원에 대한 소스 데이터이며,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Here, the source data is source data for a movie or sound source to be output, and includes audio data.

특히,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통상적인 오버헤드 헤드폰과 같이 사용자의 머리 위에서 고정하는 헤드폰, 사용자의 머리 뒤에서 고정하는 헤드폰의 형태도 가능하지만, 마스크의 형태, 안경의 형태, 스마트 글라스의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귀를 개방하는 형태로 구성되면 충분하다. 특히, 귀 개방형 헤드폰(100)이 두 개의 좌우 유닛으로 구분되어 사용자의 안경에 장착하거나, 사용자의 귓바퀴나 귀 둘레에 둘러서 개별적으로 고정하는 형태 등을 가질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form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is not limited. Headphones that are fixed on the user's head, such as conventional overhead headphones, or headphones that are fixed behind the user's head, but may have a mask shape, a glasses shape, a smart glass shape, or the like. That is, it is sufficient that the user's ear is opened. In particular, the ear-openable headphone 100 may be divided into two left and right units and mounted on the user's glasses, or may be separately fixed around the user's ears or the ears.

만약, 하나의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에 복수개의 귀 개방형 헤드폰들(100)이 연결되는 경우에, 각각의 헤드폰들은 서로 상이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헤드폰에 대하여 위치에 상응하는 입체감을 제공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If a plurality of ear-open headphones 100 are connected to one source data providing device 200, each of the headphones can output a sound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ound to each headphone that provides a sense of depth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또한,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와 귀 개방형 헤드폰(100)과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입체감을 제공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에 정면에 있는 경우와 우측에 있는 경우, 좌측에 있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소리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출력되는 소리의 입체감만으로도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와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더욱 입체감 있는 소리를 청취하고, 콘텐츠에 몰입할 수 있다. 반대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위치와 무관하게 일정한 가상의 위치에 상응하는 입체감을 제공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Also, the sound providing the three-dimensional feeling can be output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urce data providing device 200 and the ear-open headphones 100. [ For example, the user provides a different sound for each of the case where the user is on the front side and the case where the user is on the right side and the case where the user is on the left side, ) Can be grasped. Accordingly, the user can listen to a more stereoscopic sound and immerse in the content. On the contrary,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 sound providing a stereoscopic effect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virtual position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또한, 복수개의 귀 개방형 헤드폰(100)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무전기 또는 회의용 전화기와 같은 무선 송수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ar-open headphones 100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radio transmitting / receiving function such as a radio or a conference telephone.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에서 재생할 음원의 소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PC,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다.The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200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source data of a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in the ear-open headphone 100. For example, the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200 includes a CD player, an MP3 player, a PC, a smart phone, and the like.

이때,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소스 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소리 재생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소스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 중단, 일시정지, 다음 곡 재생, 이전 곡 재생, 볼륨 조절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200 may perform control related to sound reproduction while providing the source data. For example, control of starting, stopping, pausing, reproducing the next song, reproducing the previous song, and adjusting the volume can be perform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메모리(130), 비근접 스피커들(140), 근접 스피커들(150), 사운드 전달관들(160), 신호 보정부(170), 진동 발생부(180), 사운드 커버(190) 및 마이크 등을 포함한다.2, an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memory 130, non-proximity speakers 140, proximity speakers 150, Sound transmission pipes 160, a signal correction unit 170, a vibration generating unit 180, a sound cover 190, and a microphone.

상세히, 프로세서(11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전체 기능을 제어한다. 즉, 프로세서(110)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며, 비근접 스피커(140), 근접 스피커(150), 사운드 전달관(160), 신호 보정부(170), 진동 발생부(180) 등을 제어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detail, the processor 110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as a kind of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is, the processor 110 generates output audio signals, and controls the non-proximity speaker 140, the proximity speaker 150, the sound transmission pipe 160, the signal correction unit 170, the vibration generation unit 180, So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provided.

프로세서(110)는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들을 추출하고, 오디오 채널들로부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한다. 여기서, 출력 오디오 신호들은 이머시브(immersive)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들일 수 있다.The processor 110 extracts at least one or more audio channels from the source data received from the source data providing device (see 200 in FIG. 1), and generates output audio signals from the audio channels. Here, the output audio signals may be signals for outputting an immersive sound.

이때, 프로세서(110)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로서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고역 오디오 신호들과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저역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주파수 대역은 200Hz ~ 20kHz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0Hz ~ 200Hz일 수 있다. 여기서, 고역 오디오 신호들과 저역 오디오 신호들은 크로스오버 또는 필터를 사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즉, 고역 패스 필터(HPF)를 이용하여 저역을 롤오프 함으로써 고역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고, 저역 패스 필터(LPF)를 이용하여 고역을 롤오프 함으로써 저역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고역 패스 필터와 저역 패스 필터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라운드 사운드의 포맷에 따라 크로스오버 또는 필터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10 may generate high-frequency audio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and low-frequency audio signal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ond frequency band as output audio signals. For example, 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200 Hz to 20 kHz,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20 Hz to 200 Hz. Here, the high-frequency audio signals and the low-frequency audio signals can be divided using a crossover or a filter. That is, the high-pass filter (HPF) can be used to generate the high-frequency audio signals by rolling off the low-frequency band and the low-pass filter (LPF) can be used to generate the low-frequency audio signals. At this time, the high pass filter and the low pass filter can be set by the user. You can also adjust the crossover or filter frequency according to the surround sound format.

이때, 프로세서(110)는 비근접 스피커들(140)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들과 근접 스피커들(150)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비근접 스피커들(140)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들을 고역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하여 생성할 수 있고, 근접 스피커들(150)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들을 저역 오디오 신호들로 할당하여 생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양한 조합을 통하여 각 스피커들에 할당할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10 may generate audio signals for output from the non-proximity speakers 140 and audio signals for outputting from the proximity speakers 150. [ For example, audio signals for output from non-proximity speakers 140 may be generated by allocating high-frequency audio signals, and audio signals for outputting from the proximity speakers 150 may be allocated to low-frequency audio signal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udio signals to be allocated to each speaker can be generated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이때, 프로세서(110)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좌우 방향이 반대로 뒤집어진 경우에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좌우 채널을 반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좌우 방향을 뒤집은채로 목걸이처럼 목에 착용할 수 있고 이럴 경우 스피커들의 좌우 방향이 반전되게 되는바, 이에 맞추어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좌우 채널을 반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청취하는 소리의 좌우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이 스피커처럼 기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10 may reverse the left and right channels of the output audio signals when the right-and-left direction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is reversed. For example, the user can wear his neck-like neck with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ear-open headphones 100 reversed. In this cas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peakers are reversed. By reversing the left and right channels of the output audio signal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ound can be maintained. In this case, the ear-open headphone 100 can function as a speaker.

이때, 프로세서(110)는 소스 데이터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진동 신호는 소스 데이터에 포함된 진동 데이터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지만, 소스 데이터에 진동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 output vibration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source data or the sound input from the microphones. Here, the output vibr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from the vibration data included in the source data, but may be generated from the audio data even if the vibration data is not included in the source data.

예컨대, 오디오 소스 데이터의 앰비언스 레벨을 감지하고, 앰비언스 레벨과 최대 레벨의 차이를 연산하여 특정 %의 레벨에 도달하였을 경우에 이를 진동을 발생하도록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트랜지언트(Transient)를 감지하고 이를 진동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신호가 특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 진동을 발생하도록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ambience level of the audio source data, and calcul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ce level and the maximum level to generate an output vibration signal to generate the vibration when the level reaches a certain level.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ct a transient and make it a vibration. Alternatively, an output vibr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to generate vibration when the audio signal is above a certain level.

또한, 마이크로 입력된 주변 소리가 특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 진동을 발생하도록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리를 재생하는 도중에도 주변의 위험을 진동으로 알릴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output vibration signal so as to generate vibration when the micro-input ambient sound is above a certain leve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vibrate the surrounding danger while the sound is being reproduced.

이때, 프로세서(110)는 마이크로 입력된 주변 소리를 이용하여 노이즈 캔슬링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10 may generate noise-canceled output audio signals using the micro-input ambient sound.

이때, 프로세서(110)는 초기 반사(Early reflection)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사운드들의 공간감을 높이도록 간접음의 도달 시간을 조정하여 공간의 크기를 연출하도록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머리전달함수(HRT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와 딜레이 파라미터를 함께 이용하여 강력한 공간감을 제공하는 이머시브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10 may generate the output audio signals to adjust the arrival time of the indirect sound to increase the spatial feeling of the output sounds using the early reflection parameter, thereby to produce the size of the space. 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mersive sound that provides a strong sense of space by using a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and a delay parameter together.

이때, 프로세서(110)는 네비게이션 알림에 대한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고, 네비게이션 알림의 방향에 상응하는 입체감을 갖는 바이노럴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알림이 좌회전 알림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왼쪽에서 소리가 들리는 것처럼 입체감을 갖도록 바이노럴 출력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회전 알림은 우측, 바닥 요철 알림은 아래쪽, 과속 카메라는 위쪽의 입체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10 may generate output audio signals for the navigation notification, and may generate binaural output audio signals having a sense of depth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navigation notification. For example, when the navigation notification is a left-turn notification, the binaural output audio signal can be generated to have a stereoscopic effect as if the sound is heard on the left side of the user. Likewise, the right turn notification can be made to have a stereoscopic effect on the right side, the bottom unevenness notice on the down side, and the overspeed camera to have an upward stereoscopic effect.

통신부(120)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과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 간의 송수신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for transmitting the send / receive signal between the ear-open headphone 100 and the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see 200 in FIG. 1).

여기서, 통신부(12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기술이나 Wi-Fi 기술을 통하여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와 통신할 수 있으며, NFC 기술을 통하여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기술이나 Wi-Fi 기술을 통해 다른 귀 개방형 헤드폰 장치들(100)과 연동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a device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to transmit / receive a signal such as a control signal or a data signal through a wired / wireless connection with another network devi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communicate with the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see 200 in FIG. 1) through the Bluetooth technology or the Wi-Fi technology,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see 200 in FIG. 1)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it can work with other ear-open headphone devices 100 through Bluetooth technology or Wi-Fi technology.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130 performs a function of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 110. Here, the processor 130 may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or flash storage medi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비근접 스피커들(140)은 사운드 전달관들(160)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한다. 즉, 사운드 전달관들(160)을 통하여 출력 사운드들의 지향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The non-proximity speakers 140 output audio signals through the sound transfer conduits 160. That is, the directivity of the output sounds can be enhanced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160.

이때, 비근접 스피커들(140)은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역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할 때 지향성을 갖도록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출력된 사운드들이 잘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전달관들(160)을 통하여 출력 사운드들의 지향성을 강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출력 사운드들이 지향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은 초음파 회로를 갖는 초지향성 스피커를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n-proximity speakers 140 may include a directional sound output unit. That is, by outputting high-frequency audio signals so as to have directivity when outputting high-frequency audio signals,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sounds output to the user are transmitted well. In addition to enhancing the directivity of the output sounds through the sound transfer tubes 160, the directional sound output unit can be used to direct the output sounds. Here, the directional sound output unit may mean a supergain speaker having an ultrasonic circuit.

이때, 비근접 스피커들(140)은 음질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풀레인지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어쿠스틱 드라이버만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근접 스피커들(150)과 함께 사용하여 전체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n-proximity speakers 140 can use a high-quality full-range driver so as to maximize sound quality. In addition, the acoustic driver alone can be used alone, and i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proximity speakers 150 to output sounds of the entire frequency band.

이때, 비근접 스피커들(140)은 헤드폰 자체의 알림이나 연동된 기기의 알림 등을 목소리로 읽어주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n-proximity speakers 140 can output a sound to read the notification of the headphone itself, the notification of the interlocked device, etc. in a voice.

근접 스피커들(150)은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지 않고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근접 스피커들(150)은 저역 주파수뿐만 아니라 고역 주파수까지 재생하여 풀레인지 오디오의 출력이 가능하다.The proximity speakers 150 output audio signal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ound transfer tubes. Here, the proximity speakers 150 can reproduce not only the low frequency but also the high frequency so as to output the full range audio.

이때, 근접 스피커들(150)은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역대의 소리가 지향성이 낮고 회절이 잘되며 전파시 감쇄가 잘되는 특징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만 명확히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앰프 출력을 별도로 상향 조정하지 않고도 필요한 레벨 수준의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별개의 EQ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도 구현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proximity speakers 150 may be composed of a bone conduction element or an exditor elemen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the low-frequency sound has low directivity, diffraction is good, and attenuation is good when propagated, making it difficult to clearly communicate only to the user. And,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necessary level level without adjusting the amplifier output separately.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without adding a separate EQ circuit.

이때, 근접 스피커들(150)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어떠한 부분에도 장착 가능하며, 서브 우퍼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체감 저역까지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바디 전체 또는 일부분을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저음 출력을 보강할 수 있다. 즉, 근접 스피커들(150)은 그 위치에 제한이 없다.At this time, the proximity speakers 150 can be mounted on any part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and can play up to the bass response by acting as a subwoofer. In addition, the bass output can be reinforced by using all or a part of the body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as a diaphragm. That is, the proximity speakers 150 are not limited in their positions.

이때, 근접 스피커들(150)은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한 상태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근접 스피커들(150)는 큰 파장으로 사용자의 머리의 피부를 통해 저역 사운드를 사용자의 내이에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큰 파장으로 두피를 진동시켜 보다 극적인 청취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ximity speakers 150 can output sound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at is, the proximity speakers 150 can smoothly transmit a low-frequency sound to the user's mouth through the skin of the user's head with a large wavelength. In addition, the scalp can be vibrated with a large wavelength to provide a more dramatic listening environment.

이때, 근접 스피커들(150)은 LFE(Low Frequency Effec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ximity speakers 150 can perform a LFE (Low Frequency Effect) function.

이때, 근접 스피커들(150)은 헤드폰 자체의 알림이나 연동된 기기의 알림 등을 목소리로 읽어주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ximity speakers 150 can output a sound that reads the announcement of the headphone itself, the notification of the interlocked device, etc. in a voice.

사운드 전달관들(160)은 비근접 스피커들에 연결되어 비근접 스피커들에서 출력된 사운드들을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전달한다. 즉, 사운드 전달관들(160)은 사운드 에너지를 한 방향으로 응집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비근접 스피커들에서 출력된 사운드들이 유선형의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과하면서 지향성을 가지며, 지향성을 갖도록 전달된 사운드들은 사용자의 귀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전달관들은 유선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출력 손실이 낮은 이점이 있다.Sound conduits 160 are connected to non-proximity speakers to deliver the sounds output from the non-proximity speakers in a directional direction of the user's ear. That is,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160 have an effect of cohering the sound energy in one direction. The sounds output from the non-proximity speakers have directivity while passing through the streamlined sound transmission pipes, and the transmitted sounds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Here, the sound transmission tubes may have a streamlined shap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utput loss is low by efficiently transmitting sound energy.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을 다중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구경이 큰 사운드 전달관 하나가 아닌, 구경이 작은 사운드 전달관들을 여러 개를 하나로 묶어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다수의 구경이 작은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함에 따라, 전달하는 소리의 회절로 인한 지향성 감소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귀 밖으로 소리가 새어나가는 효과를 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can be configured in multipl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transmit sound by bundling several sound transmission tubes with a small aperture, rather than one sound transmission tube with a large aperture. The use of multiple small diameter sound transfer tubes prevents the reduction of directivity due to the diffraction of the transmitted sound and reduces the effect of the sound leaking outside the user's ear.

이때,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은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하여 소리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sound by dividing into frequency bands.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은 스파이럴(spiral) 구조를 가짐으로써 지향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필터를 포함하여 특정 주파수만 통과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운드 전달관들은 귓바퀴의 역 모양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외이도(Outer ear carnal)로 사운드가 자연스럽게 들어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운드 전달관들은 귓바퀴를 대신하여 소리를 모아 외이도로 보내는 역할과 스피커의 소리가 사용자의 귓바퀴의 바깥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have a spiral structure to further enhance the directiv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lude a filter therein so that only a specific frequency can be passed. In particular, the sound transmission tubes can have a reverse shape of the auricle, there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ound can naturally enter into the outer ear carnal. In addition, the sound transfer tubes collect sound in place of the auricle and send it to the ear canal, and prevent the sound of the speak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user's ear canal.

이와 같이, 소리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지향성이 강하며 회절성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으므로, 방향성이 상이한 고역 오디오 신호와 저역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따로 처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igher the frequency of sound, the stronger the directivity and the lower the diffraction efficiency. Therefore, the high-frequency audio signal and the low-frequency audio signal having different directions can be separately processed.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160)은 사용자의 귀 방향 말단에서 최종 방사되는 사운드들의 방향을 조정하는 방사 그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 그릴들은 사용자별로 신체 구조가 상이하기 때문에 지향성 출력 사운드들이 사용자의 귀에 도달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기울임 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여기서, 방사 그릴들은 사용자가 직접 그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릴은 슬라이드 바, 휠 등의 방식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방사 그릴들은 음의 회절을 최소화화는 구조를 가지며, 귀의 방향에 맞게 기울임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sound transfer tubes 160 may include radiation grilles that adjust the direction of the final emitted sound at the end of the user's ear. Radial grills serve to adjust the directional output sounds to reach the user's ear because the body structure is different for each user. At this time, the tilt angle may be 45 degrees. Here, the radiation grills can be adjusted by the user directly. The grill can be adjusted by means of a slide bar, a wheel, or the like. In particular, radial grills have a structure that minimizes negative diffraction,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tilted to the direction of the ear.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160)은 소리가 사용자의 귀를 기준으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유입되도록 출력된 사운드들을 전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160 can transmit the sounds outpu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with respect to the user's ear.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160)의 내부에 필터를 포함하여 기설정된 주파수만을 통과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160 to pass through only a predetermined frequency including a filter.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160)은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흡진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흡진재는 사운드 전달관들의 외벽을 감쌀 수도 있고, 일부 면만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160 may be provided with absorbing materials for suppressing vibration. Here, the absorbing material may wrap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or may be disposed so as to contact only a part of the surface.

신호 보정부(170)는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할 수 있다. 이는, 출력되는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을 통과하면서 파형이나 볼륨이 변화하고, 전달 시간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signal corrector 170 may generate correction parameters using the sound transfer tube parameters to correct the output audio signals. This is because the output sound may pass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tube, causing changes in the waveform or volume, and delay in propagation time.

이때,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사운드 전달관들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보정 파라미터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이퀼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 딜레이(delay) 조절 정보, 레벨(level) 조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하여 적합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왜곡없는 소리를 청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transfer tube parameters incl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material, length, size and shape of the sound transfer tubes, and the correction parameters include the equalizer adjustment information of the output audio signals, , And level (level) adjustment information. That is, by performing appropriate corrections for the respective output audio signal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the user can listen to the distortion-free sound.

진동 발생부(180)는 출력 진동 신호를 출력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80 outputs an output vibration signal to generate vibration.

이때, 진동 발생부(180)는 출력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세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소스 데이터로부터의 진동의 세기와 알림을 위한 진동의 세기를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진동의 세기의 조절은 진동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한다. 따라서 알림을 위한 진동만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80 can adjust the intensity of the output vibration. And, the vibration intensity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s input. In addition,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from the source data and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for notification can be set separately. The adjustment of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includes the case where the vibration function is not u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t only the vibration for the notification to be used.

예컨대, 진동 발생부(180)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서 저역 사운드를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주변 소리로부터 위험 감지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의 알림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즉,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20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전화 알림, 메시지 알림, 어플리케이션 알림에 대한 인터렉티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80 may generate vibration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the low-frequency sound in the output audio signals. The vibration may be genera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danger detection from the surrounding sound. In addition, vibration may be genera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notification of the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200. That is, when the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200 is a smart phone, it can generate interactive vibration for telephone notification, message notification, and application notification.

사운드 커버(190)는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를 덮어줌으로써 스피커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사운드 커버(190) 없이도 귀 개방형 헤드폰(100)이 지향성을 갖도록 소리를 출력하기 때문에 소리를 청취할 수 있으나, 사운드 커버(190)를 추가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리를 모아줌에 따라 더욱 높은 공간감, 선명도로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sound cover 190 covers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ear to collect sounds output from the speakers toward the user's ear.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because the ear-open headphone 100 outputs a sound so that the ear-open headphone 100 has the directivity without the sound cover 190. However, when the sound cover 190 is additionally used, It can be heard with a sense of space and clar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ansmission of sound to the outside.

이때, 사운드 커버(190)는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cover 190 may have a detachable structure.

이때, 사운더 커버(190)는 접이식 또는 슬라이드 방식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를 덮는 상태와 사용자의 귀를 덮지 않는 상태로의 조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er cover 190 may have a structure for covering the user's ear through a folding or sliding manner, and a structure for operating the user's ear without covering the ear.

마이크는 주변 소리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마이크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The microphone receives ambient sound. Here,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may be configured.

이때, 마이크에서 입력된 소리들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용되거나, 주변 소리에 따른 위험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용되거나,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하여 음성 인식 제어 기능 등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전후/좌우/상하를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s input from the microphone may be used to provide a noise cancellation function, a danger no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mbient sounds, or a voice recognition control function by recognizing the user's voice. Noise cancella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dividing forward / backward / left / right / up / down.

이때, 2개 이상의 Omni Directional 마이크를 이용하여 바이노럴 사운드를 수음할 수 있다.At this time, two or more Omni Directional microphones can be used to receive the binaural sound.

이때, 마이크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동되어 통화를 위한 소리 입력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2개 이상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소리가 아닌 주변 소음을 캔슬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crophone may function as a sound input device for interfacing with the user's terminal. And you can use 2 or more microphones to cancel the ambient noise, not the user's voice.

이에 따라,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채로 지향성의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주변 소리를 청취함과 동시에 출력 소리를 명확히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타인에게는 출력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하여 소리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음압에 의한 청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by outputting a sound of directivity while keeping the user's ears open, the user can listen to the ambient sound and listen to the output sound clearly, while preventing the output sound from being heard to the other person,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ring damage due to negative pressure due to prolonged u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unit.

이때, 센서부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여 주간 또는 야간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야간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디밍(dimming) 레벨에서 오디오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thereby sensing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and recognizing the daytime or the nighttime. In the case where it is recognized as nighttime, the user can perform a function of reproducing audio at a preset dimming level.

이때, 센서부는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에 대한 기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GPS sensor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It can also perform location recording and provide location based services.

이때,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헤드폰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심박수와 같은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headphone is worn. It is also possible to monitor a biological signal such as a user's heart rate.

이때, 센서부는 가속 센서나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트래킹한 사용자 머리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제스쳐 기반으로 헤드폰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개를 끄덕이는 경우, 고개를 두 번 끄덕이는 경우, 고개를 좌에서 우로 약 1초 동안 움직이는 경우, 고개를 좌에서 우로 빠르게 움직인 경우, 고개를 좌에서 우로 기울인 경우, 고개를 좌에서 우로 잠시 기울인 경우 등과 같은 동작에 특정 명령들을 설정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움직임을 학습하여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으로부터 제스쳐를 인식하는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scope sensor, thereby tracking the motion of the user's hea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headphones based on the gesture using the movement of the head of the user who has been tracked. For example, if you nod your head, nod your head twice, move your head from left to right for about 1 second, move your head from left to right quickly, tilt your head from left to right, The user can set the specific commands for the operation such as the case of tilting from left to right for a while to provide the control function. In particular, the accuracy of recognizing the gesture from the movement of the user can be improved by learning the movement of the user.

또한, 센서부는, 다른 스피커 시스템과 연계하여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머리의 위치에 따라 서라운드 사운드의 전체 패닝값을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can adjust the overall panning value of the surround soun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head when constructing a high-channel sound system in connection with another speaker system.

이때, 센서부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착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모드나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크기를 인식하여, 등록된 사용자와 머리 크기가 다른 사람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judges whether or not the user wears the sensor using various sensors, and when the sensor unit is not worn, it enters the sleep mode or the standby mode to optimize the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head size of a wearer by using various sensors and to provide a security function by restricting use of a person having a different head size from a registered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안경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안경이나 선글라스 등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경이나 선글라스 등을 착용한 상태에도 헤드폰을 착용할 수 있다. 이때, 안경 거치부는 헤드폰의 내부에 사용자의 안경이나 선글라스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lasses mount, through which the user's glasses or sunglasses can be fixed. Therefore, the user can wear headphones even when wearing glasses or sunglasses. At this time, the glasses hold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s glasses or a part of the sunglasses is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headphon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조작부는 사용자의 터치, 슬라이드, 클릭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하여 터치, 슬라이드, 클릭 등의 방식으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 연동된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 혹은 연동된 사용자의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which includes an input unit capable of recognizing at least one of a user's touch, slide, and click. The user can control the ear-open headphone 100 by touch, slide, click, or the like through the operation unit, and can further control the interlocked source data providing apparatus (see 200 in FIG. 1)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접이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접이부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용이하게 움직이기 위하여 몸체를 접을 수 있는 경첩을 포함할 수 있다. 접이부는 복수개 포함될 수 있다.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olding portion, which may include a hinge that folds the body to easily move the ear-open headphone 100. A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하다. 충전 방식은 유선, 무선, 유무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탈착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ttery, which is chargeable. The charging method may be at least one of wired, wireless, wired and wireless. In addition, the battery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replace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밴드부를 포함하며, 밴드는 사용자의 머리 위에서 고정되거나, 사용자의 머리 뒤에서 고정되거나, 사용자의 목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제품에서 고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제품마다 고정되는 위치가 하나로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밴드부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카락이나 사용자의 두피와의 마찰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밴드부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길이 조절부는 사용자마다 적합한 크기가 다르므로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길이 조절부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nd portion. The band may be fixed on the head of the user, fixed on the back of the user's head, have. 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fixed position in one product, but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xed position for each one product is determined to be one. At this time, the band portion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protrusions to prevent the hair from flowing down due to friction between the user's hair and the user's scalp. Further, the band portion may be constituted of a plurality of members 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The band portion may include a length adjusting portion.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has a different size for each user, thereby provid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ar-open type headphone 100. 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ing unit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length by a slid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모듈 장착부를 포함하며, 모듈 장착부는 헤드폰의 전면, 측면, 후면 등의 다양한 위치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모듈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모듈은 카메라 모듈, 조명 모듈, FPV(First Person View) 모듈, 확장 배터리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ule mounting portion, and the module mounting portion can be provided at one or more positions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a front surface, a side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headphone. Modules that can be mounted on the module mounting part include a camera module, an illumination module, a FPV (First Person View) module, and an extended battery module.

이때, FPV 모듈을 장착하여 활용하는 경우에는, 바이노럴 사운드와 함께 입체감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PFV 모듈을 통해 네비게이션 화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전술한 바이노럴 사운드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알림에 상응하는 입체감 있는 알림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FPV module is mounted and utilized, stereoscopic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gether with binaural soun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navigation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PFV module, and to provide a stereoscopic no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notification through the binaural sound described above.

이때, 여러 개의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입체 영상이나 파노라마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hoot a stereoscopic image or a panoramic image by mounting several camera modu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적외선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나 헤드폰의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AV기기의 리모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rared signal generator, and can perform a function as a remote controller of an AV device by using an application or an operation button of a headphone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infrared signal generator.

이때, 적외선 신호 발생부는 헤드폰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rared signal generator may be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headph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태양에너지 충전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태양에너지 충전부는 헤드폰의 후면, 측면 등의 다양한 위치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태양에너지 충전부는 태양열 패널, 태양광 패널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ar energy charging unit, through which the built-in battery can be charged. The solar energy charging unit may be disposed at one or more positions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rear surface, the side surface, and the like of the headphone. In addition, the solar energy charging part may include a solar panel, a solar panel,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전면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정면의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directional speaker, through which a soun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nother person on the front side can be output.

이때, 전면 지향성 스피커와 마이크를 함께 이용하여 동시 통역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directional speaker and the microphone may be used together to provide functions such as simultaneous interpretation.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과 이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showing an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earing state thereof.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방향으로 감싸는 헤드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들은 말단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를 덮지 않고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3 and 4, an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eadband shape that wraps around the back of the user's head. And, the speakers are placed at the end and can output sounds without covering the user's ears.

또한, 도 3 및 4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통상의 헤드폰과 같이 사용자의 머리 위쪽 방향으로 감싸는 헤드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3 and 4, the ear-open headphone 100 may have a headband shape that wraps around the upper side of the user's head like a normal headphone.

또한, 도 4에는 귀 개방형 헤드폰(100)이 사용자의 귀를 전혀 덮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는 이격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귀 일부를 덮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Fig. 4 shows the ear-open headphone 100 not covering the user's ear at all, it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ea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but may cover a part of the ear of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오른쪽 부분의 착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wearing of the right portion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귀를 덮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 the ear-open headphone 100 does not cover the user's ear when worn by the user.

소리의 주파수에 따라서 지향성의 정도, 회절의 정도가 상이하며, 전파됨에 따른 감쇄 정도도 상이하므로 저역 오디오 신호와 고역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다.Since the degree of directivity and the degree of diffract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ound and the degree of attenuation according to propagation differs, a low-frequency audio signal and a high-frequency audio signal can be separately processed.

비근접 스피커(14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특히, 고역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사운드는 사운드 전달관(160)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된다(5a). 여기서, 사운드 전달관(160)은 스파이럴 형태를 가짐으로써 전달되는 사운드의 지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비근접 스피커(140)는 지향성 스피커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지향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The non-proximity speaker 140 outputs an audio signal (in particular, a high-frequency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source data, and the output sound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sound transfer pipe 160 (5a). Here, the sound transmission pipe 160 has a spiral shape, thereby enhancing the directivity of the transmitted sound. In addition, the non-proximity speaker 140 can output a directional sound by using the directional speaker unit.

근접 스피커(15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특히, 저역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5b). 여기서, 근접 스피커(150)는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지향성과 감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proximity speaker 150 outputs an audio signal (in particular, a low-band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source data (5b). Here, the proximity speaker 150 may output an audio signal using a bone conduction element or an ex vivo element. The use of a bone conduction device or an exciter element can solve the problem of directivity and attenuation.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오른쪽 부분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ight portion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세히,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오른쪽 부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면의 우측 방향이 앞 방향(사용자의 정면 방향)이며, 도 7은 도면의 좌상단 방향이 앞 방향(사용자의 정면 방향)이다.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ight portion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front view direction of the user)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drawing, and Fig. 7 is a front elevation direction (front direction of the user) in the left upper direction of the drawing.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비근접 스피커(140)에서 출력된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160)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근접 스피커(150)는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귀를 통하지 않고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6 and 7, 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sounds output from the non-proximity speaker 140 to the ear of the user through the sound transfer tube 160. [ The proximity speaker 150 can output soun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user's ear by using the bone conduction element or the exciter element.

이때, 비근접 스피커(140)는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지향성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n-proximity speaker 140 can output a directional sound using the directional sound output unit.

이때, 사운드 전달관(160)은 스파이럴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달하는 소리의 지향성을 키울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transmission pipe 160 has a spiral structure, so that the directivity of the transmitted sound can be enhanced.

이때, 사운드 전달관(160)은 도 6과 같이 비근접 스피커(140)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7과 같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transmission pipe 160 may have the same number as that of the non-proximity speaker 140 as shown in FIG. 6, bu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s shown in FIG.

이때, 사운드 전달관(160)이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은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된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은 이머시브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 별로 상이한 사운드를 재생하여 공간감과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작은 크기의 다수 사운드 전달관들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큰 크기의 소수 사운드 전달관들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지향성에서 이득을 볼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160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ound transmission pipes, each of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can output sounds classified by frequency bands. Each sound transfer tube can output sounds for realizing an immersive sou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produce different sounds for each sound transmission pipe to provide a sense of space and depth. Particularly, when a plurality of small sound transmission pipes are utilized, directivity can be more advantageous than when using a small size sound transmission pip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roducing sound using an ear-open head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은 귀 개방형 헤드폰(도 1의 100 참조)이,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도 1의 200 참조)로부터 수신한 소스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로 구성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한다(S801).Referring to FIG. 8, in the sound reproducing method using ear-head type headph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r-open headphones (see 100 in FIG. 1) And generates output audio signals composed of at least one channel from the data (S801).

이때, 출력 오디오 신호들은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구분된 저역 오디오 신호와 고역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audio signals may include a low-band audio signal and a high-band audio signal classified based on a frequency band.

이때, 출력 오디오 신호들은 스피커들의 종류를 기준으로 구분된 비근접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와 근접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audio signals may include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on-proximity speakers classified based on the type of the speakers and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speaker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은 귀 개방형 헤드폰(도 1의 100 참조)이,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하여 사운드 전달관들에 상응하는 보정을 수행한다(S803). 이는, 일부 출력된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됨으로써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보정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n the sound reproduction method using the ear-open headphon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open headphones (see 100 in FIG. 1) perform the cor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sound transmission tubes with respect to the output audio signals (S803 ). This is because some output sounds are transmitted to the user ' s ears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and distortions occur, so that they are corrected in advance.

이때,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함에 있어서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correcting the output audio signals, the correction parameter may be generated using the sound transfer tube parameter.

이때,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에는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에 상응하는 길이, 재질, 크기 및 모양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사운드 전달관의 길이, 재질,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소리의 파형이 바뀌는 패턴이 상이하며, 길이에 따라서 소리가 전달되는 시간이 상이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sound transmission pipe parameter may incl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length, material,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each sound transmission pip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waveform of the sound varies depending on the length, the material, the size and the shape of the sound transmission tube, and the sound transmission time differs depending on the length.

이때, 보정 파라미터에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이퀄라이저 조절 정보, 딜레이 조절 정보 및 레벨 조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출력된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과하면서 왜곡되는 정도를 보정해주고, 시간 지연에 따른 출력 사운드들 간의 싱크 불일치 문제 등을 해결한다.At this time, the correction paramet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qualizer adjustment information, delay adjustment information, and level adjustment information of the output audio signals. In other words, it compensates the degree of distortion of the output sound as it passes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and solves the problem of sink mismatch between output sounds due to time dela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은 귀 개방형 헤드폰(도 1의 100 참조)이, 출력 오디오 신호들로부터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사운드들을 출력한다(S805).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ar-open headphone (see 100 in Fig. 1) outputs sounds using speakers from output audio signals (S805).

이때, 비근접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고역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고, 근접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저역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non-proximity speakers may be used to output high-frequency audio signals, and nearby speakers may be used to output low-frequency audio signals.

이때, 비근접 스피커들은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근접 스피커들은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n-proximity speakers may include a directional sound output unit, and the proximity speakers may be composed of a bone conduction element or an exciter ele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은 귀 개방형 헤드폰(도 1의 100 참조)이, 적어도 일부 출력된 사운드들을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여 지향성을 갖도록 사용자의 귀에 전달한다(S807).In addition, a sound reproducing method using ear-open headph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ear-open headphones (see 100 in FIG. 1) transmit at least some outputted sounds to the user's ears through the sound transfer tubes (S807).

이때, 비근접 스피커들에서 출력된 사운드들을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에 전달할 수 있다. 이는, 고역 사운드들이 지향성이 높고, 회절성이 낮기 때문에 지향성 사운드를 출력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sounds output from the non-proximity speakers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This is because the high-frequency sounds are easy to output a directional sound because of their high directivity and low diffraction propertie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을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 덮으면서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사용자의 귀 쪽으로 모아주는 사운드 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ound cover 190 that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a user's ear and outputs sounds output to a user's ear.

이때, 사운드 커버(190)는 사용자의 귀에 이격되어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 덮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cover 19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ser's ear so as to at least partially cover the user's ea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개방형 헤드폰(100)의 오른쪽 부분의 착용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the right portion of the ear-open head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귀 개방형 헤드폰(100)은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 덮는 사운드 커버(190)를 통하여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사용자의 귀 쪽으로 모아준다.Referring to FIG. 10, the ear-open headphone 100 collects the sounds output through the sound cover 190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ear toward the user's ear.

비근접 스피커(14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사운드는 사운드 전달관(160)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된다. 여기서, 사운드 전달관(160)은 스파이럴 형태를 가짐으로써 전달되는 사운드의 지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비근접 스피커(140)는 지향성 스피커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지향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The non-proximity speaker 140 outputs a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source data, and the output sound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pipe 160. Here, the sound transmission pipe 160 has a spiral shape, thereby enhancing the directivity of the transmitted sound. In addition, the non-proximity speaker 140 can output a directional sound by using the directional speaker unit.

근접 스피커(15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근접 스피커(150)는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지향성과 감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proximity speaker 150 outputs a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source data. Here, the proximity speaker 150 may output an audio signal using a bone conduction element or an ex vivo element. The use of a bone conduction device or an exciter element can solve the problem of directivity and attenuation.

사운드 커버(190)는 출력되는 사운드들(특히, 고역 사운드들)을 사용자의 귀 쪽으로 모아줌으로써 사용자가 출력 사운드들을 더 잘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귀를 일부 덮게 됨으로써 외부의 소리를 일부 차단함으로써 더욱 출력 사운드들에 몰입하여 청취할 수 있다.The sound cover 190 collects the sounds to be output (especially the high-frequency sounds) to the user's ear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output sounds better. In addition, by partially covering the ears, a part of the external sound is blocked, so that the user can immerse in and listen to the output sounds.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ac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such systems may be omitted. Also,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illustrative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may be replaced or additionally provided by a variety of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Also, unless explicitly mentioned, such as " essential ", " importantly ",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range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

1: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시스템
100: 귀 개방형 헤드폰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메모리 140: 비근접 스피커
150: 근접 스피커 160: 사운드 전달관
170: 신호 보정부 180: 진동 발생부
190: 사운드 커버
200: 소스 데이터 제공 장치
1: Sound playback system using ear-open headphones
100: ear-open headphones
110: processor 120:
130: memory 140: non-proximity speaker
150: Proximity speaker 160: Sound transmission tube
170: signal correction unit 180: vibration generating unit
190: Sound cover
200: source data provider

Claims (20)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신호 보정부; 및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스피커들;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로부터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오디오 신호들 및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스피커들은
상기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및
상기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2 스피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커는
상기 제1 스피커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를 향하는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하여 상기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오디오 신호들이 지향성을 갖도록 출력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1 스피커와 연결된 사운드 전달관들의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
A processor for extracting audio signals of one or more channels from the source data and generating output audio signals;
A signal correction unit for generating a correction parameter by using a sound transfer tube parameter and correcting the output audio signals; And
Speakers outputting the output audio signal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ear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ear;
/ RTI >
The processor
Generating first audio signals of a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and second audio signals of a predetermined second frequency band from the output audio signals,
The speakers
A first speaker for outputting first audio signals of the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speaker for outputting second audio signals of the predetermined second frequency band; Lt; / RTI >
The first speaker
And outputting the first audio signals of the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having directivity by using sound transmission pipes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and facing the ear canal of the user,
The correction unit
And corrects the first audio signals using the sound transfer tube parameters of the sound transfer tubes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 딜레이(delay) 조절 정보, 레벨(level) 조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귀 개방형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transfer tube parameter
Length, size and shape of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The correction parameter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output audio signals includes at least one of equalizer adjustment information, delay adjustment information, and level adjustment information of the output audio signal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은
상기 사용자의 귀 방향 말단에서 최종 방사되는 사운드들의 방향을 조정하는 방사 그릴들
을 포함하는 것인, 귀 개방형 헤드폰.
The method of claim 4,
The sound transfer tubes
A plurality of radial grilles < RTI ID = 0.0 >
Wherein the headphone is an earphon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는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귀 개방형 헤드폰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peaker
Wherein the headphone unit includes a directional sound output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는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로 구성되는 것인, 귀 개방형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peaker
An ear conduit, a bone conduction element or an exciter ele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출력 진동 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소리를 입력 받는 마이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데이터 또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귀 개방형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ibr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ibration signal; And
Microphone receiving sound
Further comprising:
The processor
And generates an output vibration signal for generating vibration in said vibration generating section from at least one of said source data or sound inputted from said micropho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상기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모아주도록 상기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를 덮는 사운드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ound cover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ear so as to collect the sounds output from the speakers toward the user '
Further comprising an ear-openable headpho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헤드폰의 좌우 방향이 뒤집어진 경우에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좌우 채널을 반전시키는 것인, 귀 개방형 헤드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And reverses the left and right channels of the output audio signals whe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headphone is inverted.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귀로부터 이격된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귀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로부터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오디오 신호들 및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들에 포함된 제1 스피커가, 상기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들에 포함된 제2 스피커가, 상기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피커가, 상기 제1 스피커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를 향하는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하여 상기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오디오 신호들이 지향성을 갖도록 출력하고,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피커와 연결된 사운드 전달관들의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들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Extracting audio signals of one or more channels from the source data and generating output audio signals;
Generating a correction parameter using the sound transfer tube parameter to correct the output audio signals; And
Outputting the output audio signals with the user's ears opened using speakers spaced from the user's ear
Lt; / RTI >
The generating step
Generating first audio signals of a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and second audio signals of a predetermined second frequency band from the output audio signals,
The outputting step
The first speaker included in the speakers outputting the first audio signals of the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speaker included in the speakers outputting second audio signals of the predetermined second frequency band; Lt; / RTI >
The step of outputting the first audio signals
Wherein the first speaker is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and outputs the first audio signals of the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so as to have a directivity by using sound transmission pipes directed to the ear canal of the user,
The step of correcting
Wherein the first audio signals are corrected using the sound transfer tube parameters of the sound transfer tubes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 딜레이(delay) 조절 정보, 레벨(level) 조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ound transfer tube parameter
Length, size and shape of the sound transmission pipes,
The correction parameter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output audio signals includes at least one of equalizer adjustment information, delay adjustment information, and level adjustment information of the output audio signal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의 상기 사용자의 귀 방향 말단에 위치하는 방사 그릴들을 이용하여 최종 방사되는 사운드들의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transmitting step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finally emitted sounds using the radiating grilles located at the ear tip end of the user of the sound transfer tubes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to the earphon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지향성 사운드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지향성 사운드들을 출력하는 것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of outputting the first audio signals
And outputting directional sounds using a directional sound output uni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골전도 소자 또는 익사이터 소자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것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outputting the second audio signals
Wherein the sound output is performed using a bimetallic element or an exciter elemen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소스 데이터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로부터 출력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진동 발생부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진동 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Generating an output vibration signal from at least one of a sound input from the source data or a microphone; And
Generating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ibration signal using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a)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귀를 적어도 일부를 덮는 사운드 커버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들을 상기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모아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Collecting sounds output from the speakers in the ear direction of the user using a sound cover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ear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a)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헤드폰의 좌우 방향이 뒤집어진 경우에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좌우 채널을 반전시키는 것인, 귀 개방형 헤드폰을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generating the output audio signal
And reverses the left and right channels of the output audio signals when the left / right direction of the headphone is inverted.
KR1020170157450A 2017-11-23 2017-11-23 Open-ear headphone and method for sound playback using the same Active KR1019655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450A KR101965513B1 (en) 2017-11-23 2017-11-23 Open-ear headphone and method for sound playback using the same
PCT/KR2018/015440 WO2019103583A1 (en) 2017-11-23 2018-12-06 Open-ear headphones and sound reproduction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450A KR101965513B1 (en) 2017-11-23 2017-11-23 Open-ear headphone and method for sound playback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513B1 true KR101965513B1 (en) 2019-04-03

Family

ID=6616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450A Active KR101965513B1 (en) 2017-11-23 2017-11-23 Open-ear headphone and method for sound playback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5513B1 (en)
WO (1) WO201910358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4143A (en) * 2022-05-19 2022-08-26 北京安声科技有限公司 Full-open earphone and active noise red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5922A (en) * 2006-02-01 2007-09-13 Sony Corp Electro-acoustic converter and ear speaker device
KR20100121176A (en) * 2009-05-08 2010-11-17 (주)그란츠에이앤티 Wirelss bone conduction headset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using the same
KR101518352B1 (en) * 2014-03-21 2015-05-07 석상호 Lift/Right cognition for earphones
KR101567521B1 (en) 2014-09-02 2015-11-10 크레신 주식회사 Headpho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2537B2 (en) * 2001-07-05 2004-05-31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Bone conduction headset
KR100905252B1 (en) * 2006-12-20 2009-06-29 (주)준성테크 Receiving device with open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5922A (en) * 2006-02-01 2007-09-13 Sony Corp Electro-acoustic converter and ear speaker device
KR20100121176A (en) * 2009-05-08 2010-11-17 (주)그란츠에이앤티 Wirelss bone conduction headset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using the same
KR101518352B1 (en) * 2014-03-21 2015-05-07 석상호 Lift/Right cognition for earphones
KR101567521B1 (en) 2014-09-02 2015-11-10 크레신 주식회사 Head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583A1 (en)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33043B2 (en) Non-blocking dual driver earphones
US12101587B2 (en) Acoustic output apparatus
KR102062260B1 (en)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channel sound using open-ear headphone and method for the same
JP6743294B2 (en) Audio equipment
US20230292032A1 (en) Dual-speaker system
JPWO2018110160A1 (en) Speaker device and playback device
KR101965513B1 (en) Open-ear headphone and method for sound playback using the same
CN110536210B (en) Playing equipment
JPWO2013042324A1 (en) Sound playback device
CN113949981A (en) Method performed at an electronic device involving a hearing device
KR102565554B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WO2023171279A1 (en) Audio output device and audio output method
CN114915674A (en) Mobile terminal and sound playback method
HK40062934A (en) Acoustic out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8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