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5234B1 -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234B1
KR101965234B1 KR1020170166510A KR20170166510A KR101965234B1 KR 101965234 B1 KR101965234 B1 KR 101965234B1 KR 1020170166510 A KR1020170166510 A KR 1020170166510A KR 20170166510 A KR20170166510 A KR 20170166510A KR 101965234 B1 KR101965234 B1 KR 101965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ender
fixing
coupled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주
Original Assignee
이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주 filed Critical 이운주
Priority to KR102017016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2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중심에 위치한 도체를 감싸는 부도체부와, 부도체부와 외피 사이에 안테나부를 가지는 케이블을 전자기기의 접속부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케이블이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은 접속부에 결합되는 젠더 유닛 및, 젠더 유닛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서 케이블을 젠더 유닛에 강제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압착력이 증가하도록 젠더 유닛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A GENDER APPARATUS FOR CONNECT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용 케이블을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안테나용 케이블이나 CCTV 연결용 케이블(10) 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축상으로 설치되는 도체(11), 상기 도체(11)를 감싸는 부도체(13), 부도체(13)의 외주에 설치되는 안테나부(15) 및 안테나부(15)를 감싸서 보고하는 피복(17)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케이블(10)은 그 단부로부터 도체(11)가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단부에 커넥터(미도시)를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커넥터()를 이용하여 장치나 연결(연장)용 젠더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커넥터를 케이블(10)의 단부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케이블(10)의 단부를 커넥터를 통과시킨 후, 안테나부(15)와 외피(17) 사이에 커넥터의 결합리브를 강제로 끼운 상태에서 커넥터의 외부를 강하게 압착함으로써, 커넥터와 케이블(10)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커넥터와 케이블(10)을 연결하게 되면, 압착하기 위한 공구가 필요하여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커넥터와 케이블의 연결 상태가 헐거워질 수 있게 되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48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공구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배제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는, 중심에 위치한 도체를 감싸는 부도체부와, 부도체부와 외피 사이에 안테나부를 가지는 케이블을 전자기기의 접속부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이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속부에 결합되는 젠더 유닛; 및 상기 젠더 유닛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젠더 유닛에 강제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압착력이 증가하도록 상기 젠더 유닛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도 케이블을 젠더에 견고하게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젠더 유닛은,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일단부에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와 결합되면서 변형되어 상기 케이블을 압착하는 케이블 외피 고정부를 가지는 외측 젠더; 및 상기 외측 젠더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외피 고정부에 대응되는 일단부에 상기 케이블이 끼워져 결합되는 내측 케이블 결합부를 가지는 내측 젠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 외피 고정부는 상기 외측 젠더의 외측 젠더 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외측 젠더 몸체의 일단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복수의 고정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리브의 외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것이 좋다. 이로써, 케이블 고정부재를 젠더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함에 따라서 케이블이 젠더유닛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압착하여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어, 결합작업이 용이하고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 리브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젠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젠더 결합부로부터 타단까지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
이로써, 케이블 고정부재를 젠더유닛에 결합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케이블을 젠더유닛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젠더에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압착공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케이블 고정부재를 젠더유닛에 결합하는 힘에 의해 케이블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케이블 고정부재를 젠더 유닛에 결합하는 결합정도에 따라서 케이블과 젠더유닛간의 결합력이 증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블 고정부재를 강하게 회전시켜서 젠더유닛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함하여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조립 및 결합작업이 용이하고, 필요시에는 다시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따라서 다양한 장소에서 케이블을 연결할 때, 예를 들어 CCTV를 여러 장소에 설치하여 연결할 때, 작업자는 작업 공구 없이도 손으로 간단한 조립과정을 거쳐서 케이블을 젠더와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 설치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케이블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상태에서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케이블이 연결된 젠더장치를 전자기기의 접속부에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100)는, 젠더유닛(200)과 케이블 고정부재(300)를 구비한다.
상기 젠더유닛(200)은 케이블(10)을 전자기기(400)의 접속부(410)에 연결하기 위해서, 일단부에는 상기 케이블(10)이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접속부(410)에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보면, 젠더유닛(200)은 외측 젠더(210)와, 내측 젠더(220)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 젠더(210)는 양단으로 관통 형성된 통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외측 젠더(210)는 외측 젠더 몸체(211)와, 외측 젠더 몸체(211)의 일단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외피 고정부(213)와, 외측 젠더 몸체(211)의 타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속부(410)에 결합되는 외측 접속 결합부(215)를 가진다. 외측 젠더 몸체(211)는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외주면에는 체결공구를 체결하거나,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젠더 몸체(211)의 외주면은 소정 등각으로 각진 너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외피 고정부(213)는 외측 젠더 몸체(211)의 일단부에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젠더 몸체(211)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서로 벌어지도록 분기되는 복수의 고정 리브(213a)를 가진다. 복수의 고정 리브(213a)의 외주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300)와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복수의 고정 리브(213a)는 케이블 고정부재(300)와 결합시, 끝단부터 케이블 고정부재(300)의 내측면에 접촉 가압되어 압착되고, 절개부(213b)가 서로 접근하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고정 리브(213a)가 압착되어 변형되면서, 고정 리브(213a)와 상기 내측 젠더(220)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10)의 외피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측 접속 결합부(215)는 외측 젠더 몸체(211)의 타단에 형성되며, 전자기기에 마련된 접속부(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젠더(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 젠더(220)의 내측 접속 결합부(221)가 전자기기의 접속부(4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젠더 몸체(211)에는 전자기기(400)의 접속부(410)와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조이기 위한 장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장공은 외측 접속 결합부(215)의 단부에 형성된 단차홈과 연결된다.
상기 내측 젠더(220)는 외측 젠더(210)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내측 젠더(220)는 외측 젠더(210)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외측 젠더(2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다. 내측 젠더(220)의 일단부에는 고정 리브(213a)에 대응되는 내측 케이블 결합부(223)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외측 접속 결합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 접촉 결합부(221)가 마련된다.
내측 케이블 결합부(223)는 고정 리브(213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그 내부로 케이블(10)의 도체부(11)와 부도체(13) 및 안테나부(15)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접속 결합부(221)는 외측 접촉 결합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자기기의 접속부(410)에 탄력적으로 상대결합 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절개부를 가짐으로써, 접속부(4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측 접속 결합부(221)의 내부 중앙에는 도체핀(230)이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도체핀(230)은 상기 케이블(10)의 도체(11)와 접촉되어 연결된 상태가 된다. 도체핀(230)은 내측 케이블 결합부(221) 쪽에서 진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체핀(230)에 상기 케이블(10)의 도체(11)가 직접 돌출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도체핀(230)이 내측 젠더(22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내측 젠더(220)의 내부에 도체핀 결합부를 가지는 절연체(240)가 설치되며, 상기 절연체(240)는 내측 젠더(220)의 내부에 삽이되어 고정되며,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즉, 도체핀(230)과 내측 젠더(220)를 절연하면서 도체핀(230)을 지지하기 위한 절연체(240)가 내측 젠더(220)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젠더(220)와 외측 젠더(210) 사이에는 탄성부재(2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250)는 내측 젠더(220)와 외측 젠더(210)를 길이 방향 즉, 축방향으로 상호 이동 및 이동복귀 하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300)는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고정 리브(213a)에 결합되는 젠더 결합부(310)에서 타단방향으로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젠더 결합부(310)의 내주에는 고정 리브(213a) 외주에 형성된 나사선에 결합되는 사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케이블 고정부재(300)는 고정 리브(213a)에 젠더 결합부(310)가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며, 외측 젠더 몸체(211)에 가깝게 접근하여 결합될수록 고정 리브(213a)의 외주에 케이블 고정부재(300)의 내면이 고정 리브(213a)의 외측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미리 케이블 고정부재(300)를 통과한 케이블(1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리브(213a)와 내측 케이블 결합부(223)에 압입하여 가결합한 상태에서, 케이블 고정부재(300)를 고정 리브(213a)의 외측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케이블(10)을 고정 리브(213a)와 내측 케이블 결합부(223) 사이에서 강제로 압착되도록 하여 견고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케이블을 젠더에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결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압착 공구를 휴대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나 케이블을 젠더유닛에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200..젠더 유닛
210..외측 젠더 220..내측 젠더
300..케이블 고정부재

Claims (4)

  1. 중심에 위치한 도체를 감싸는 부도체부와, 부도체부와 외피 사이에 안테나부를 가지는 케이블을 전자기기의 접속부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이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속부에 결합되는 젠더 유닛; 및
    상기 젠더 유닛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젠더 유닛에 강제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압착력이 증가하도록 상기 젠더 유닛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젠더 유닛은,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일단부에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와 결합되면서 변형되어 상기 케이블을 압착하는 케이블 외피 고정부를 가지는 외측 젠더; 및
    상기 외측 젠더의 내부에 상대적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외피 고정부에 대응되는 일단부에 상기 케이블이 끼워져 결합되는 내측 케이블 결합부를 가지는 내측 젠더;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외피 고정부는 상기 외측 젠더의 외측 젠더 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외측 젠더 몸체의 일단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복수의 고정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리브의 외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리브들 사이에는 상기 외측 젠더 몸체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벌어지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외피 고정부에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고정리브들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압착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 리브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에 나사선이 형성된 젠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젠더 결합부로부터 타단까지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KR1020170166510A 2017-12-06 2017-12-06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Active KR101965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10A KR101965234B1 (ko) 2017-12-06 2017-12-06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10A KR101965234B1 (ko) 2017-12-06 2017-12-06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234B1 true KR101965234B1 (ko) 2019-04-03

Family

ID=6616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510A Active KR101965234B1 (ko) 2017-12-06 2017-12-06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2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64Y1 (ko) 2002-01-25 2002-05-11 삼우전자정밀주식회사 유선 텔레비젼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JP2006100208A (ja) * 2004-09-30 2006-04-13 Maspro Denkoh Corp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KR20160101239A (ko) * 2015-02-13 2016-08-25 주식회사동진티아이 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64Y1 (ko) 2002-01-25 2002-05-11 삼우전자정밀주식회사 유선 텔레비젼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JP2006100208A (ja) * 2004-09-30 2006-04-13 Maspro Denkoh Corp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KR20160101239A (ko) * 2015-02-13 2016-08-25 주식회사동진티아이 케이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4401A (en) Connector for coaxial lines with corrugated outer conductor or for corrugated waveguide tubes
CA2233812C (en) Rotationally unrestrained grounding coupling for external grounding of fittings
RU2305886C2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аксиальный кабе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и связанный с ним способ
US5007861A (en) Crimpless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pull back cable engagement
US6767248B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US7726996B2 (en) Compression seal for coaxial cable connector and terminal
US8491334B2 (en) Connector with deformable compression sleeve
US20060178046A1 (en) Handgrip device for coaxial cable and coaxial cable assembly including handgrip device
KR20080050521A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JPH077837A (ja) ケーブルグランド
WO2019062088A1 (zh) 射频同轴电缆连接器快速安装机构
US10461476B2 (en) Connector
KR101728442B1 (ko) 케이블 그랜드
US7011547B1 (en) Connector of coaxial cables
US4145566A (en) Housing for electrical devices
KR20180051623A (ko) 차량 전원 시스템과 배터리 핀 간에 전기 연결을 위한 전기 접촉장치와 배터리 핀
CN107482360B (zh) 连接器
KR101965234B1 (ko) 케이블 연결용 젠더장치
US6160221A (en) Screwed cable gland for a shielded cable
JPH0454924B2 (ko)
KR101618133B1 (ko) 케이블 커넥터 장치
US6863567B2 (en) Electrical wiring with strain relief
JP3152666U (ja) ケーブル
US9391379B1 (en) Coaxial connector device
US6493929B2 (en) Guide tool for coupling an end connector to a coaxial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