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5030B1 - 페스툰 장치 - Google Patents

페스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030B1
KR101965030B1 KR1020157023046A KR20157023046A KR101965030B1 KR 101965030 B1 KR101965030 B1 KR 101965030B1 KR 1020157023046 A KR1020157023046 A KR 1020157023046A KR 20157023046 A KR20157023046 A KR 20157023046A KR 101965030 B1 KR101965030 B1 KR 101965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auxiliary
wire
hollow chambe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9875A (ko
Inventor
키하치로 니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0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2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in spaced relation to provide a series of independent forwarding surfaces around which material is passed or w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93Tyres

Landscapes

  • Tyre Moulding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페스툰 장치(11)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16), 프레임(16)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활차(18), 상부활차(18)의 하방에서, 프레임(16)에 회전가능하고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부활차(22)를 구비한다. 프레임(16)에는, 상부활차(18) 및 하부활차(22)보다도 프레임(16)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보조활차(24, 25)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페스툰 장치(11)는, 와이어(13)가 한 쌍의 보조활차(24, 25)의 주위를 선회한 후, 상부활차(18) 및 하부활차(22)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페스툰 장치{Festoon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용 타이어에 사용되는 비드 코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와이어를 축적함과 동시에, 비드 코어 형성장치에 와이어를 공급하는 페스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페스툰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과 같은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구성에 있어서는, 프레임의 상부에, 프레임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선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상부활차가 지지된다. 프레임의 하부에는, 프레임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선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또한,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가능하게 하부활차가 지지된다. 프레임의 폭 방향에서 하부활차의 측방위치에서 프레임에는,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보조활차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비드 코어 제조의 전(前) 공정에서, 다이스(dies) 장치에 의해 고무로 피복된 와이어가, 상기 페스툰 장치의 한 쌍의 보조활차의 주위를 선회한 후에, 상부활차와 하부활차의 부위를 복수회에 걸쳐 선회하여 축적되고, 비드 코어 제조의 후(後) 공정을 실시하는 비드 코어 형성장치에 공급된다.
이 경우, 페스툰 장치로부터 비드 코어 형성장치에 공급되는 와이어의 단위시간 당 이동량(이하, 단순히 '이동량'이라 한다)이, 다이스 장치로부터 페스툰 장치에 공급되는 와이어의 이동량보다 커진 경우에는, 하부활차가 상승된다. 이와 반대로, 페스툰 장치로부터 비드 코어 형성장치에 공급되는 와이어의 이동량이 다이스 장치로부터 페스툰 장치에 공급되는 와이어의 이동량보다 적어진 경우에는, 하부활차가 하강된다. 이로 인해, 전 공정을 실시하는 다이스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의 이동량과, 후 공정을 실시하는 비드 코어 형성장치로 공급되는 와이어의 이동량과의 차가 흡수됨과 동시에, 와이어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페스툰 장치에서는, 한 쌍의 보조활차가 프레임의 폭 방향에서 하부활차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로 프레임에 지지된다. 이 때문에, 프레임이 폭이 넓어지고, 페스툰 장치가 대형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표 제2000-512607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프레임의 폭을 좁게 할 수 있고, 장치 전체를 소형화 할 수 있는 페스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페스툰 장치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활차; 상기 상부활차의 하방에서,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 또한,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부활차;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활차 및 상기 하부활차보다 상기 프레임에 근접한 위치에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보조활차가 배치된다. 페스툰 장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한 쌍의 보조활차의 주위를 선회한 후, 상기 상부활차 및 상기 하부활차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페스툰 장치에서는, 프레임의 폭을 넓게 하지 않고, 페스툰 장치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페스툰 장치에 의하면,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페스툰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페스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페스툰 장치의 3-3 선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페스툰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스툰 장치(11)는, 다이스 장치(12)와, 비드 코어 형성장치(14)의 사이에 설치된다. 타이어 용의 비드 코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다이스 장치(12)는 와이어를 고무로 피복하는 전(前) 공정을 실시하고, 비드 코어 형성장치(14)는, 이 피복된 와이어(13)를 권회하여 비드 코어를 형성하는 후(後) 공정을 실시한다. 페스툰 장치(11)는, 다이스 장치(12)에 의해 고무로 피복된 와이어(13)를 다이스 장치(12)로부터 공급받아 축적함과 함께, 비드 코어 형성장치(14)에 와이어(13)를 공급한다. 페스툰 장치(11)에 의해 축적되는 와이어(13)의 축적량은 조정가능하다. 이로 인해, 다이스 장치(12)로부터 페스툰 장치(11)로 공급되는 와이어(13)의 이동량과 페스툰 장치(11)로부터 비드 코어 형성장치(14)로 공급되는 와이어(13)의 이동량과의 차가 흡수되고, 와이어(13)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스툰 장치(11)에서는, 베이스(15) 상에 프레임(16)이 설치된다. 프레임(16)의 상단부에는, 지지판(17)이 전방(도 2에서 우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지지판(17)의 전부 및 후부에는, 상측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가 설치되고,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지축(19)이 연장된다. 지지판(17)에는, 지축(19)을 통하여 상부활차(18)가 지지된다. 상부활차(18)는, 지축(19)를 따라 설치되며, 지축(19)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활차부재(181)에 의해 구성된다. 베이스(15)의 전단부와 지지판(17)의 전단부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로드(20)가 프레임(16)의 폭 방향(도 1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가이드 로드(20)에는, 사각 블록형상의 웨이트(21)가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부활차(18)의 하방에서, 웨이트(21)에는 하부활차(2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하부활차(2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23)을 따라 병설되고, 지축(23)에 각각 독립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활차부재(221)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활차(18)의 각 활차부재(181) 및 하부활차(22)의 각 활차부재(22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13)를 안내하는 환상홈이 형성된다. 상부활차(18) 및 하부활차(22)의 주위를 와이어(13)가 복수회에 걸쳐 선회한다. 이 경우, 와이어(13)에는, 웨이트(21) 및 하부활차(22)의 중량에 의해 장력이 부여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활차(22)의 지축(23)은 수평면 내에서, 상부활차(18)의 지축(19)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와이어(13)가 하부활차(22) 상을 선회할 때, 와이어(13)는, 상부활차(18)의 지축(19)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의 이동량이, 상부활차(18)의 각 활차부재(181)의 환상홈의 1배열 피치에 상당하도록, 하부활차(22)의 지축(23)의 경사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부활차(18) 및 하부활차(22) 사이에서 와이어(13)는 비스듬히 연장된 상태가 아니라 연직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주행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활차(18) 및 하부활차(22)와 프레임(16)의 사이의 위치, 즉 상부활차(18) 및 하부활차(22)보다도 프레임(16)에 근접한 위치에서, 이 프레임(16)의 전면에는, 상방 및 하방의 한 쌍의 보조활차(24, 25)가, 한 쌍의 회전축(26)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조활차(24, 25)의 외주면에는 와이어(13)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환상홈(241, 251)이 형성된다. 다이스 장치(12)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13)는, 한 쌍의 보조활차(24, 25)의 주위를 선회한 후, 상부활차(18) 및 하부활차(22)의 주위를 선회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의 보조활차(25)의 회전축선은 수평면 내에서, 상방의 보조활차(24)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소정각도만큼 경사져 있다. 이로 인해, 양 보조활차(24, 25)의 사이에서 와이어(13)는 비스듬히 연장된 상태가 아닌 연직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로 주행한다. 상방의 보조활차(2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프레임(16)의 후면에는, 모터(27)가 지지된다. 이 모터(27)의 회전에 의해 구동풀리(28), 벨트(29) 및 피동풀리(30)를 통하여 상방의 보조활차(24)가 회전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스 장치(12)에 의해 고무로 피복된 와이어(13)가, 이 페스툰 장치(11)의 한 쌍의 보조활차(24, 25)의 주위를 복수회에 걸쳐 선회한 후에, 상부활차(18)와 하부활차(22)의 주위를 복수회에 걸쳐 선회하여 축적되고, 비드 코어 형성장치(14)에 공급된다. 페스툰 장치(11)로부터 비드 코어 형성장치(14)로 공급되는 와이어(13)의 단위시간당 이동량이 변화되면, 와이어(13)의 장력이 변동된다. 와이어(13)의 장력과 하부활차(22) 및 웨이트(21)의 중량이 평형을 이루도록 하부활차(22)가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된다. 하부활차(22)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다이스 장치(12)로부터 페스툰 장치(11)로 공급되는 와이어(13)의 이동량과, 페스툰 장치(11)로부터 비드 코어 형성장치(14)로 공급되는 와이어(13)의 이동량의 차가 흡수되고, 와이어(13)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다이스 장치(12)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13)는, 거의 균등한 이동량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비드 코어 형성장치(14)에서는, 비드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 포머(미도시) 상에서 와이어를 환상으로 권회하는 것과 권회를 정지하는 것이 교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와이어(13)는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연속적인 이동과 간헐적인 이동에 의한 이동량의 차가, 하부활차(22)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흡수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활차(18) 하부의 근방에서 프레임(16)의 전면에는, 프레임(16)의 폭 방향에서 일방(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서의 우측)에서, 상부 누름 롤러(31)가 브래킷(32)을 통해 지지된다. 이 상부 누름 롤러(3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33)을 따라 병설되고, 지축(3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부재(311)에 의해 구성된다. 각 롤러부재(31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13)를 안내하는 환상홈이 형성된다. 하부활차(22)로부터 상부활차(18)로 주행하는 와이어(13)의 복수의 주행부분이, 이 상부 누름 롤러(31)의 각 롤러부재(311)에 의해 상부활차(18) 하부의 근방에서 프레임(16)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가압된다. 이로인해, 와이어(13)의 주행부분의 진동이 방지되고, 와이어(13)가 상부활차(18)의 각 활차부재(181)에 대하여 적절하게 걸쳐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활차(22) 상부의 근방에서 웨이트(21)의 후면에는, 프레임(16)의 폭 방향에서 타방, 즉 프레임(16)의 폭 방향에서 상부 누름 롤러(31)와는 반대측(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의 좌측)에서, 하부 누름 롤러(34)가 브래킷(35)을 통해 지지된다. 이 하부 누름 롤러(34)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36)을 따라 병설되고, 지축(3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롤러부재(341)에 의해 구성된다. 각 롤러부재(34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13)를 안내하는 환상홈이 형성된다. 상부활차(18)로부터 하부활차(22)로 주행하는 와이어(13)의 복수의 주행부분이, 이 하부 누름 롤러(34)의 각 롤러부재(341)에 의해 하부활차(22) 상부의 근방에서 프레임(16)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가압된다. 이로 인해, 와이어(13)의 주행부분의 진동이 방지되고, 와이어(13)가 하부활차(22)의 각 활차부재(221)에 대하여 적절하게 걸쳐진다.
도 3은, 하방의 보조활차(25)의 대표적인 내부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양 보조활차(24, 25)의 내부에는, 물 등의 냉각매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냉각매체용 통로(37)가 설치된다. 각 보조활차(24, 25)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냉각매체용 통로(37)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도 3에 나타낸 하방의 보조활차(25)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보조활차(25)는, 전면에 개구부를 갖는 중공상의 활차본체(252)와, 이 활차본체(252)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커버(253)에 의해, 내부에 중공실(254)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보조활차(25)는 중공실(254)에 연통하는 내공을 갖도록, 원통상으로 형성된 회전축(26)을 구비한다. 보조활차(25)의 회전축(26)의 내공에는 공급 파이프(38)가 중공실(254) 내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공급 파이프(38)의 외경은, 회전축(26)의 내공의 직경보다 작다. 이로 인해. 공급 파이프(38)의 내측에, 중공실(254)로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381)가 형성되며, 회전축(26)의 내공에서, 공급 파이프(38)의 외측에는 중공실(254)로부터 냉각매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로(382)가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방의 보조활차(25)의 중공실(254) 내에서, 공급 파이프(38)의 단부에는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판형상의 구획판(39)이 설치된다. 구획판(39)은, 보조활차(25)의 중공실(254)를 앞쪽영역과 뒤쪽영역으로 구획한다. 구획판(39)은, 중공실(25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앞쪽영역과 뒤쪽영역은 구획판(39)의 외주면 및 중공실(254)의 내주면의 사이에서 연통한다. 구획판(39)에 의해 보조활차(25)의 중공실(254) 내에서, 상기 냉각매체용 통로(37)가 앞쪽위치로부터 보조활차(25)의 외주에 근접한 위치를 통해 뒤쪽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냉각매체는 공급 파이프(38)의 내측의 공급로(381)로부터 보조활차(25)의 중공실(254) 내로 공급되고, 냉각매체용 통로(37)를 따라 유동하며, 공급 파이프(38) 외측의 배출로(382)를 통해 배출된다. 이로 인해, 보조활차(25)의 외주면이 냉각되고, 전 공정의 다이스 장치(12)에 의해 와이어(13)에 행해진 고무 피복이 냉각되어, 와이어(13)가 보조활차(25)를 선회하는 동안에 와이어(13)의 고무 피복은 필요한 경도로 경화된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페스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 페스툰 장치(11)의 작동시에는, 모터(27)에 의해 상방의 보조활차(24)가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전 공정에서 다이스 장치(12)에 의해 고무로 피복된 와이어(13)가, 한 쌍의 보조활차(24, 25)의 주위를 복수회에 걸쳐 선회한 후, 상부활차(18)와 하부활차(22)의 사이를 복수회에 걸쳐 선회하여 축적되고, 후 공정을 실시하는 비드 코어 형성장치(14)에 공급된다. 여기서, 양 보조활차(24, 25) 내에 형성된 냉각매체용 통로(37)에 물 등의 냉각매체가 공급되고, 보조활차(24, 25)의 외주면이 냉각된다. 이로써, 전 공정의 다이스 장치(12)에 의해 와이어(13)에 실시된 고무 피복이 냉각되고, 와이어(13)가 보조활차(24, 25)를 선회하는 사이에 와이어(13)의 고무피복이 경화된다.
페스툰 장치(11)의 작동시에 있어서, 페스툰 장치(11)로부터 비드 코어 형성장치(14)로 공급되는 와이어(13)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하부활차(22)가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한다. 즉, 페스툰 장치(11)로부터 비드 코어 형성장치(14)로 공급되는 와이어(13)의 이동량이, 다이스 장치(12)로부터 페스툰 장치(11)로 공급되는 와이어(13)의 이동량보다도 커진 경우에는, 하부활차(22)가 상승한다. 이와 반대로, 페스툰 장치(11)로부터 비드 코어 형성장치(14)로 공급되는 와이어(13)의 이동량이, 다이스 장치(12)로부터 페스툰 장치(11)로 공급되는 와이어(13)의 이동량보다도 적어진 경우에는, 하부활차(22)가 하강한다. 이로 인해, 전 공정을 실시하는 다이스 장치(12)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13)의 이동량과, 후 공정을 실시하는 비드 코어 형성장치(14)로 공급되는 와이어(13)의 이동량의 차가 흡수되고, 와이어(13)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이 페스툰장치에서는, 프레임(16)의 상부에 상부활차(18)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상부활차(18)의 하방의 위치에서, 프레임(16)에는 하부활차(22)가 회전가능하게, 또한,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레임(16)보다도 전방이고, 상부활차(18) 및 하부활차(22)보다 후방에서, 상방 및 하방에는 한 쌍의 보조활차(24, 25)가 배치되고, 프레임(16)에 지지된다. 그리고, 고무로 피복된 와이어(13)는 보조활차(24, 25)의 주위를 선회한 후, 상부활차(18)과 하부활차(22)의 주위를 복수회에 걸쳐 선회하여 축적되고, 비드 코어 형성장치(14)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이 페스툰 장치(11)는, 프레임(16)의 폭 방향이 커지지 않고, 보조활차(24, 25)는 그 회전축선이 상부활차(18) 및 하부활차(22)의 회전축선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상태로 프레임(16)에 지지된다. 따라서, 페스툰 장치(11)의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2) 이 페스툰 장치에서는, 상기 보조활차(24, 25)의 내부에 냉각매체용 통로(37)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냉각매체에 의해 보조활차(24, 25)의 외주면이 냉각되고, 전 공정에서 와이어(13)에 실시된 고무 피복을 와이어(13)가 보조활차(24, 25)의 주위를 선회하는 동안에 경화시킬 수 있다.
3) 이 페스툰 장치에서는, 냉각매체용 통로(37)가, 보조활차(24, 25) 내에서의, 앞쪽위치로부터 보조활차(24, 25)의 외주에 근접한 위치를 통하여 뒤쪽위치에 이르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냉각매체가 보조활차(24, 25) 내에서 냉각매체용 통로(37)을 따라 앞쪽위치로부터 보조활차(24, 25)의 외주에 근접한 위치를 통해 뒤쪽위치로 유동하고, 보조활차(24, 25)의 외주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4) 이 페스툰 장치에서는, 상기 보조활차(24, 25) 내에 중공실(254)가 형성되고, 이 중공실(254)의 내부에 원판형상의 구획판(39)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냉각매체용 통로(37)가 구획된다. 이 때문에, 보조활차(24, 25)의 중공실(254) 내에 구획판(39)을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보조활차(24, 25)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그 내부에 냉각매체용 통로(37)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페스툰 장치(11)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5) 이 페스툰 장치에서는, 상기 상부활차(18)와 하부활차(22)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주행하는 와이어(13)의 복수회의 주행부분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가압하기 위한 상부 누름 롤러(31), 하부 누름 롤러(34)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상부활차(18)와 하부활차(22)의 사이에서 와이어(13)의 주행부분의 진동을 누름 롤러(31, 34)로써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13)를 상부활차(18) 및 하부활차(22) 상의 소정위차에 적절하게 걸쳐지게 할 수 있다.
(변경예)
또한, 본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서, 보조활차(24, 25)의 내부에 냉각매체용 통로(37)를 형성하는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ㆍ 상기 실시형태에서, 냉각매체로서 물 대신에 냉각수(coolant)나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11: 페스툰 장치
12: 다이스 장치
13: 와이어
14: 비드 코어 형성장치
16: 프레임
18: 상부활차
20: 가이드 로드
21: 웨이트
22: 하부활차
24: 상방의 보조활차
25: 하방의 보조활차
254: 중공실
37: 냉각매체용 통로
39: 구획판

Claims (5)

  1.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활차, 상기 상부활차의 하방에서,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고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부활차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활차 및 상기 하부활차의 주위를 와이어가 선회하도록 구성된 페스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활차 및 상기 하부활차보다도 상기 프레임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보조활차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가 상기 한 쌍의 보조활차의 주위를 선회한 후, 상기 상부활차 및 상기 하부활차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구성되고,
    각 보조활차는 내부에 냉각매체용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스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조활차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스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보조활차는, 그 보조활차 내에 형성된 중공실, 및 당해 중공실의 내부를 앞쪽영역과 뒤쪽영역으로 구획하는 원판형상의 구획판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중공실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앞쪽영역과 상기 뒤쪽영역은 상기 중공실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판의 외주면 사이에서 서로 연통하며,
    각 보조활차 내에서, 상기 중공실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판의 외주면 사이를 통해 상기 앞쪽영역에서 상기 뒤쪽영역까지 연장하는 통로가 그 보조활차 내의 상기 냉각매체용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활차는 한 쌍의 회전축을 통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각 회전축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회전축의 내공에는, 상기 내공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공급 파이프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회전축의 내공에 배치된 상기 공급 파이프의 일단에는, 상기 한 쌍의 보조활차 중 대응하는 한쪽의 보조활차의 구획판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 파이프의 내측의 공간은 상기 중공실의 상기 앞쪽영역에 냉각매체를 공급하는 공급로를 구성하고, 상기 내공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의 외측의 공간은 상기 중공실의 상기 뒤쪽영역에서 냉각매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스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매체용 통로는 보조활차 내에서,
    보조활차의 외주에 근접한 위치를 통하여 앞쪽위치로부터 뒤쪽위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스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활차 내에 중공실이 형성되고, 이 중공실의 내부를 구획하는 원판 형상의 구획판을 설치하여 냉각매체용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스툰 장치.
KR1020157023046A 2013-02-15 2013-02-15 페스툰 장치 Active KR101965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3723 WO2014125625A1 (ja) 2013-02-15 2013-02-15 フェスツー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875A KR20150119875A (ko) 2015-10-26
KR101965030B1 true KR101965030B1 (ko) 2019-04-02

Family

ID=5135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046A Active KR101965030B1 (ko) 2013-02-15 2013-02-15 페스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19894B2 (ko)
JP (1) JP6097816B2 (ko)
KR (1) KR101965030B1 (ko)
CN (1) CN105026295B (ko)
DE (1) DE112013006679T8 (ko)
PH (1) PH12015501761A1 (ko)
RU (1) RU2626935C2 (ko)
WO (1) WO20141256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675A (ko) 2021-10-01 2023-04-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에이펙스 압출 라인 속도 자동 피드백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15464A1 (en) * 2017-04-24 2020-03-04 Bartell Machinery Systems L.L.C Modular festoon system
CN108502255B (zh) * 2018-03-28 2019-08-06 山东大业股份有限公司 一种胎圈钢丝包纸装置及包纸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607A (ja) * 1996-06-18 2000-09-26 バーテル マシーナリー 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 タイヤのビードワイヤ用の空気圧作動フェストゥーン装置及び該装置の使用方法
JP2002068598A (ja) * 2000-08-23 2002-03-08 Hitachi Cable Ltd 線材の連続焼鈍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3497A (en) 1969-04-01 1972-02-22 Hughes Aircraft Co Tensile loading apparatus for moving wire
US3587992A (en) * 1969-04-11 1971-06-28 Bergische Stahlindustrie Reel construction
US4065044A (en) * 1975-12-29 1977-12-27 Alan Painter Capstan
US4186861A (en) * 1978-08-03 1980-02-05 Orion Machinery And Engineering Corporation Wire accumulator tower
JPS5533786U (ko) * 1978-08-29 1980-03-04
KR20000016774A (ko) 1996-06-18 2000-03-25 수드하르 제이, 아민 압축 공기 작동 비드 와이어 현수식 장치 및 이것의 사용 방법
DE10032140A1 (de) 2000-07-01 2002-01-17 Volkmann Gmbh Fadenbremse und mit einer solchen Fadenbremse ausgerüstete Spindeln, Doppeldraht-Zwirnspindeln und Doppeldraht-Zwirnmaschinen
CN1239314C (zh) * 2004-03-09 2006-02-01 天津市橡塑机械研究所有限公司 一种双牵引轮胎多种截面钢丝圈双圈缠绕机组
JP4323387B2 (ja) * 2004-06-23 2009-09-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ビードフィラの冷却方法及びその装置
JP4501968B2 (ja) * 2007-08-21 2010-07-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線条体繰出し装置
JP5611685B2 (ja) * 2010-06-25 2014-10-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有機繊維ディップコードの製造方法、及び有機繊維ディップコード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2607A (ja) * 1996-06-18 2000-09-26 バーテル マシーナリー 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 タイヤのビードワイヤ用の空気圧作動フェストゥーン装置及び該装置の使用方法
JP2002068598A (ja) * 2000-08-23 2002-03-08 Hitachi Cable Ltd 線材の連続焼鈍巻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675A (ko) 2021-10-01 2023-04-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에이펙스 압출 라인 속도 자동 피드백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5625A1 (ja) 2014-08-21
PH12015501761B1 (en) 2015-11-09
DE112013006679T5 (de) 2015-10-29
US20150360902A1 (en) 2015-12-17
KR20150119875A (ko) 2015-10-26
JPWO2014125625A1 (ja) 2017-02-02
RU2015138707A (ru) 2017-03-17
CN105026295B (zh) 2018-01-19
JP6097816B2 (ja) 2017-03-15
US9919894B2 (en) 2018-03-20
PH12015501761A1 (en) 2015-11-09
RU2626935C2 (ru) 2017-08-02
DE112013006679T8 (de) 2016-01-14
CN105026295A (zh)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5606B2 (ja) ゴムストリップ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965030B1 (ko) 페스툰 장치
US9790050B2 (en) Auto-adjustable wire precast system
JPH11291363A (ja) タイヤ成型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成型方法
US10343360B2 (en) Tire member-forming apparatus
JP5152889B2 (ja) リボン状ゴム成型装置
KR101893141B1 (ko) 압출성형용 알루미늄 튜브 비틀림 가이드장치
US10183434B2 (en) Conveying device
JP4348110B2 (ja) コードプライ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6429622A (zh) 一种绕线机
JP2016190441A (ja) タイヤ成形装置およびタイヤ成形方法
JP6131093B2 (ja) 異径チューブの引取装置及び引取方法
CN206447402U (zh) 绕线机
CN104810991A (zh) 电机定子铁芯自动卷绕设备
KR101842401B1 (ko) 유공관 제조장치
JP4323387B2 (ja) タイヤ用ビードフィラの冷却方法及びその装置
JP7238420B2 (ja) ゴムストリップ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9143165A (ja) 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6196100A (ja) ゴムストリップの製造装置
KR100702445B1 (ko) 스페이서 필름 제조 장치
CN119187400A (zh) 一种高效铜丝编织机
JP2009096062A (ja) ゴムホースの製造方法、及び筒状ゴムの成型方法
JP2010023411A (ja) 樹脂製歯付ベルト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4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