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3901B1 - 옥수수 수확기 - Google Patents

옥수수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901B1
KR101963901B1 KR1020190007130A KR20190007130A KR101963901B1 KR 101963901 B1 KR101963901 B1 KR 101963901B1 KR 1020190007130 A KR1020190007130 A KR 1020190007130A KR 20190007130 A KR20190007130 A KR 20190007130A KR 101963901 B1 KR101963901 B1 KR 10196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rn
cutter
main shaft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태연(주)
이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태연(주), 이종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태연(주)
Priority to KR102019000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9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2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maize, i.e. kernel harvesting
    • A01D45/021Corn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8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utting up the mown crop, e.g. forage 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일단에 연결되어 연동하고, 축상에 제1 기어가 구비되는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의 제1 기어가 내장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연결되는 제1 연동기어부가 구비된 제1 기어박스; 상기 제1 기어박스의 제1 연동기어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축상에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옥수수대를 후방 및 하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이송스크루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연동하며, 축상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장착되어 옥수수대를 분쇄하기 위한 파쇄부; 및 상기 이송부의 이송스크루 상부에 배치되는 커터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의 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축과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커터를 회동시키며, 상기 커터에 의하여 옥수수대로부터 옥수수를 절단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이 메인샤프트와 제1 기어박스를 통하여 이송부, 파쇄부 및 절단부로 모두 전달됨으로써 운전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동력전달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동신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옥수수 수확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옥수수 수확기{Corn Harvester}
본 발명은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이 메인샤프트와 제1 기어박스를 통하여 이송부, 파쇄부 및 절단부로 모두 전달됨으로써 운전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동력전달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동신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 수확기를 소형화하여 장치의 이동이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옥수수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수수 등 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수확기는 작물이 잘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한편 작물 절단시 안정성을 도모하게 된다. 옥수수 따위의 밭에 심겨져 있는 작물을 절단하여 수확하는 수확기는 트랙터에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확기는 밭에 심겨진 작물을 모아주는 집속가이드와, 상기 집속가이드로 모아진 작물을 절단하고 분쇄송풍부로 밀어주는 절단투입부와, 절단투입부에서 투입된 작물을 분쇄하여 사료배출통으로 송풍시키는 분쇄송풍부와, 상기 절단투입부 및 분쇄송풍부에 동력을 전달하고 트랙터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집속가이드의 일측에 부착되고 선단이 집속가이드 보다 전방에 돌출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져 쓰러진 작물을 일으켜 세우는 가이드봉과, 상기 집속가이드 사이로 이송된 작물의 상측을 모아주는 Y자형의 모음가이드봉과, 집속가이드의 후단에 설치되어 작물을 절단 이송하는 회전드럼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선단에 돌기를 형성시켜 작물을 밀어 넣는 절단날과, 상기 절단투입부의 전방에 부착되고 집속가이드상부에 펼쳐지는 절단가이드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작물이 잘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한편 작물 절단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종래기술의 경우 수확기는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절단투입부 및 분쇄송풍부가 작동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동력전달구조나, 절단투입부와 분쇄송풍부의 작동메커니즘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경우 이에 의하여 작동되는 수확기의 각 구성요소별 동력전달구조 및 상관관계를 구체화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장치의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343593호(2002.06.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이 메인샤프트와 제1 기어박스를 통하여 이송부, 파쇄부 및 절단부로 모두 전달됨으로써 운전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동력전달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동신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옥수수 수확기를 소형화하여 장치의 이동이나 취급을 용이할 수 있는 옥수수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수확기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일단에 연결되어 연동하고, 축상에 제1 기어가 구비되는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의 제1 기어가 내장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연결되는 제1 연동기어부가 구비된 제1 기어박스; 상기 제1 기어박스의 제1 연동기어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축상에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옥수수대를 후방 및 하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이송스크루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연동하며, 축상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장착되어 옥수수대를 분쇄하기 위한 파쇄부; 및 상기 이송부의 이송스크루 상부에 배치되는 커터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의 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축과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커터를 회동시키며, 상기 커터에 의하여 옥수수대로부터 옥수수를 절단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력전달부에 구비된 구동축에는 제1 풀리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제1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제2 풀리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제3 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파쇄부의 단부에는 제4 풀리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샤프트의 제3 풀리와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기어박스의 제1 연동기어부는 양단에 제2 및 제3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동기어부의 제2 기어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제1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이송부의 제1 및 제2 축의 후단에는 각각 제4 및 제5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의 제4 및 제5 기어는 상기 제1 연동기어부의 제3 기어에 동시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부의 제1 축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루를 관통하고, 전단에 제6 기어가 장착된 제3 축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의 제3 축과 연결되는 제2 연동기어부가 내장되고, 상기 절단부의 커터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기어박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기어박스의 제2 연동기어부는 양단에 제7 및 제8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커터의 하부에는 제9 기어가 구비되되, 상기 제2 연동기어부의 제7 기어는 상기 제3 축의 제6 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제2 연동기어부의 제8 기어는 상기 커터의 제9 기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부의 이송스크루 전방에는 옥수수대를 상기 이송스크루로 모이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브라켓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격 폭이 후방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절단부의 커터 반대편에는 상기 커터에 의하여 절단되고 배출되는 옥수수를 수거하기 위한 수납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수확기는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이 메인샤프트와 제1 기어박스를 통하여 이송부, 파쇄부 및 절단부로 모두 전달됨으로써 운전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동력전달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동신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옥수수 수확기를 소형화하여 장치의 이동이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보관 및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가이드브라켓이 구비되어 수확기의 이동 시, 옥수수대가 이송부의 이송스크루로 자연스럽게 모이도록 안내됨으로써 원활한 수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확기가 이동하면서 절단부에 의하여 옥수수대로부터 옥수수가 절단되어 배출되고, 동시에 이송부의 이송스크루가 옥수수대를 후방 및 하방으로 밀어내어 하부에 배치된 파쇄부가 잘게 분쇄함으로써 옥수수 수확작업 및 옥수수대의 처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수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수확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수확기는 동력전달부(10), 메인샤프트(20), 제1 기어박스(30), 이송부(40), 파쇄부(50) 및 절단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부(10)는 트랙터, 경운기, 원동기(1) 등의 구동엔진이나, 구동모터로서 수확기 전체의 동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동력전달부(10)는 구동엔진이나 구동모터의 구동축(11)이 구비되고, 이 구동축(11) 단부에 제1 풀리(13)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경운기나 원동기(1)는 수확기에 연결되는데, 수확기의 후방에는 고정브라켓(4)이 구비되어 트랙터, 경운기나 원동기(1)가 결합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샤프트(20)는 동력전달부(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제1 기어박스(30)를 통하여 이송부(40), 파쇄부(50) 및 절단부(60)로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메인샤프트(20)의 일단에는 제2 풀 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3 풀 리가 구비되는데, 메인샤프트(20)의 제2 풀리(21)는 동력전달부(10)의 제1 풀리(13)와 벨트(B)로 연결된다. 따라서 동력전달부(10)의 동력으로 메인샤프트(2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또한 메인샤프트(20)의 축상에는 제1 기어(25)가 구비되고, 메인샤프트(20)의 제1 기어(25)는 제1 기어박스(30)의 제1 연동기어부(31)에 연결되어 이송부(40) 및 절단부(6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기어박스(30)는 메인샤프트(20)의 제1 기어(25)가 내장되고, 제1 기어(25)에 연결되는 제1 연동기어부(31)가 구비되어 이송부(40)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기어박스(30)의 제1 연동기어부(31)는 양단에 제2 기어(31a)와 제3 기어(3b)가 구비되고, 제1 연동기어부(31)의 제2 기어(31a)는 메인샤프트(20)의 제1 기어(25)에 연결되어 메인샤프트(20)와 연동하게 된다. 또한 제1 연동기어부(31)의 제3 기어(3b)는 이송부(40)의 제4 및 제5 기어(41a)(43a)가 동시에 맞물려 이송부(40)의 제1 및 제2 축(41)(43)이 동시에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축(41)과 제2 축(43)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40)는 제1 기어박스(30)의 제1 연동기어부(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옥수수대(CS)를 후방 및 하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절단부(60)에 의하여 옥수수(C)가 제거된 옥수수대(CS)를 파쇄부(50)가 잘게 분쇄할 수 있도록 옥수수대(CS)를 이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한 이송부(40)는 복수의 축, 즉 제1 축(41)과 제2 축(43)으로 구성되고, 제1 축(41)은 제2 축(43)의 일측 상부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축(41)(43)의 후단에는 각각 제4 기어(41a)와 제5 기어(43a)가 구비되는데, 제1 축(41)의 제4 기어(41a)와 제2 축(43)의 제5 기어(43a)는 제1 연동기어부(31)의 제3 기어(3b)에 동시에 치합되어 회동된다.
또한 이송부(40)의 제1 축(41)과 제2 축(43)에는 이송스크루(45)가 구비되고, 각 축의 이송스크루(45)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축(41)과 제2 축(43)의 이송스크루(45)는 서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옥수수대(CS)를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하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즉 옥수수대(CS)는 각 이송스크루(45) 사이로 진입되면서, 동시에 하방으로 이송되어 후술할 파쇄부(50)에 의하여 잘게 분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쇄부(50)는 이송부(40) 하부에 배치되고, 메인샤프트(20)와 연동하여 옥수수대(CS)를 잘게 분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한 파쇄부(50)는 일단은 수확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에는 제4 풀리(53)가 구비된다. 파쇄부(50)의 제4 풀리(53)는 메인샤프트(20)의 제3 풀리(23)와 벨트(B)로 연결되어 회동된다.
또한 파쇄부(50)의 축상에는 다수의 블레이드(51)가 연결되어 이송부(40)의 이송스크루(45)가 하방으로 밀어내는 옥수수대(CS)를 잘게 분쇄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60)는 이송부(40)의 이송스크루(45) 상부에 배치되는 커터(61)에 의하여 옥수수대(CS)로부터 옥수수(C)를 절단하고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한 절단부(60)는 커터(61) 하부 축이 연결되고, 축의 하단에는 제9 기어(63)가 장착된다. 이 경우 커터(61)를 회동은 이송부(40)의 제1 축(41) 및 제2 기어박스(70)의 제2 연동기어부(71)를 통하여 전달된다. 즉 이송부(40)의 이송스크루(45) 내부에는 제3 축(47)이 내장되고, 제3 축(47)은 제1 축(41)에 연결된다. 제3 축(47)의 전단에는 제6 기어(47a)가 구비된다.
또한 제2 기어박스(70)는 절단부(60)의 커터(61) 하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제2 연동기어부(71)가 내장되고, 제2 연동기어부(71)의 양단에는 제7 기어(71a)와 제8 기어(71b)가 구비된다. 이 경우 제2 연동기어부(71)의 제7 기어(71a)는 제3 축(47)의 제6 기어(47a)에 맞물리고, 동시에 제2 연동기어부(71)의 제8 기어(71b)는 절단부(60)의 제9 기어(63)에 맞물린다. 따라서 제1 축(41)의 회전에 의하여 제2 연동기어부(71)가 회동하고, 동시에 절단부(60)의 커터(61)가 회전하여 옥수수대(CS)로부터 옥수수(C)를 절단하고 배출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절단부(60)의 커터(61)에 의한 옥수수(C)의 절단이 가능한 것은 이송부(40)의 이송스크루(45)가 옥수수대(CS)를 후방 및 하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옥수수대(CS)는 수확기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쓰러지게 된다. 이렇게 옥수수대(CS)가 쓰러지게 되면 수평하게 배치된 커터(61)에 의하여 옥수수(C)의 절단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절단부(60)의 커터(61) 상부에는 커터(61)를 덮는 커버(65)가 구비되어 커터(61)의 파손으로 인한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또한 작업자가 커터(61)에 근접하는 경우 접촉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65)는 커터(61)가 내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절단부(60)의 커터(61)에 의하여 절단된 옥수수(C)를 수거하기 위해 절단부(60)의 커터(61) 반대편에 수납함(90)이 구비된다. 따라서 절단부(60)의 커터(61)에 의하여 절단된 옥수수(C)는 수납함(90)으로 배출되어 수거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옥수수대(CS)가 이송부(40)의 이송스크루(45)로 모이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브라켓(8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8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격 폭이 후방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도록 구성된다. 즉 가이드브라켓(80)의 전단 이격 폭은 후단의 이격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옥수수대(CS)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가이드브라켓(80)으로 진입한 옥수수대(CS)는 후방으로 갈수록 이격 폭이 좁아져 이송부(40)의 이송스크루(45)로 자연스럽게 모아져 수확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는 트랙터, 경운기나 원동기(1)에 의한 동력으로 운전되는데, 이 경우 원활한 이동을 위해 하부에는 복수의 바퀴(2)가 구비된다.
또한 수확기의 상부에는 손잡이(3)가 구비되어 수확기가 트랙터, 경운기나 원동기(1)로부터 분리된 경우 작업자가 손잡이(3)를 파지하고 밀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확기의 하부, 즉 파쇄부(50)의 양측에는 방지판(5)이 구비되는데, 이 방지판(5)은 파쇄부(50)의 블레이드(51)가 지면이나 돌과 맞닿는 경우 흙이나, 돌이 비산하는 것을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51)가 지면 및 돌과 충돌하여 파손될 수 있고, 이렇게 파손된 블레이드(51) 파편이 비산하는 경우에도 방지판(5)이 이를 막아줌으로써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수학기는 동력전달부(1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이 메인샤프트(20)와 제1 기어박스(30)를 통하여 이송부(40), 파쇄부(50) 및 절단부(60)로 모두 전달됨으로써 운전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고, 동력전달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동신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 : 옥수수 CS : 옥수수대
B : 벨트
1 : 원동기 2 : 바퀴
3 : 손잡이 4 : 고정브라켓
5 : 방지판
10 : 동력전달부
11 : 구동축 13 : 제1 풀리
20 : 메인샤프트
21 : 제2 풀리 23 : 제3 풀리
25 : 제1 기어
30 : 제1 기어박스
31 : 제1 연동기어부 31a : 제2 기어
31b : 제3 기어
40 : 이송부
41 : 제1 축 41a : 제4 기어
43 : 제2 축 43a : 제5 기어
45 : 이송스크루 47 : 제3 축
47a : 제6 기어
50 : 파쇄부
51 : 블레이드 53 : 제4 풀리
60 : 절단부
61 : 커터 63 : 제9 기어
65 : 커버
70 : 제2 기어박스
71 : 제2 연동기어부 71a : 제7 기어
71b : 제8 기어
80 : 가이드브라켓
90 : 수납함

Claims (8)

  1. 동력전달부(10);
    상기 동력전달부(10)에 일단에 연결되어 연동하고, 축상에 제1 기어(25)가 구비되는 메인샤프트(20);
    상기 메인샤프트(20)의 제1 기어(25)가 내장되고, 상기 제1 기어(25)에 연결되는 제1 연동기어부(31)가 구비된 제1 기어박스(30);
    상기 제1 기어박스(30)의 제1 연동기어부(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축(43)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축(43)상에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옥수수대(CS)를 후방 및 하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이송스크루(45)를 포함하는 이송부(40);
    상기 이송부(40)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샤프트(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연동하며, 축상에 다수의 블레이드(51)가 장착되어 옥수수대(CS)를 분쇄하기 위한 파쇄부(50); 및
    상기 이송부(40)의 이송스크루(45) 상부에 배치되는 커터(61)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40)의 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축과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커터(61)를 회동시키며, 상기 커터(61)에 의하여 옥수수대(CS)로부터 옥수수(C)를 절단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절단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옥수수 수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10)에 구비된 구동축(11)에는 제1 풀리(13)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샤프트(20)의 일단에는 상기 제1 풀리(13)와 벨트(B)로 연결되는 제2 풀리(21)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제3 풀리(23)가 구비되고,
    상기 파쇄부(50)의 단부에는 제4 풀리(53)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샤프트(20)의 제3 풀리(23)와 벨트(B)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수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박스(30)의 제1 연동기어부(31)는 양단에 제2 및 제3 기어(3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연동기어부(31)의 제2 기어(31a)는 상기 메인샤프트(20)의 제1 기어(25)와 맞물리며,
    상기 이송부(40)의 제1 및 제2 축(43)의 후단에는 각각 제4 및 제5 기어(43a)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40)의 제4 및 제5 기어(43a)는 상기 제1 연동기어부(31)의 제3 기어(3b)에 동시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수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의 제1 축(41)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루(45)를 관통하고, 전단에 제6 기어(47a)가 장착된 제3 축(47)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40)의 제3 축(47)과 연결되는 제2 연동기어부(71)가 내장되고, 상기 절단부(60)의 커터(61)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기어박스(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수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박스(70)의 제2 연동기어부(71)는 양단에 제7 및 제8 기어(71b)가 구비되고,
    상기 커터(61)의 하부에는 제9 기어(63)가 구비되되,
    상기 제2 연동기어부(71)의 제7 기어(71a)는 상기 제3 축(47)의 제6 기어(47a)에 맞물리며,
    상기 제2 연동기어부(71)의 제8 기어(71b)는 상기 커터(61)의 제9 기어(63)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수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의 이송스크루(45) 전방에는 옥수수대(CS)를 상기 이송스크루(45)로 모이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브라켓(8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수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8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격 폭이 후방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수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60)의 커터(61) 반대편에는 상기 커터(61)에 의하여 절단되고 배출되는 옥수수(C)를 수거하기 위한 수납함(9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수확기.
KR1020190007130A 2019-01-18 2019-01-18 옥수수 수확기 Active KR10196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130A KR101963901B1 (ko) 2019-01-18 2019-01-18 옥수수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130A KR101963901B1 (ko) 2019-01-18 2019-01-18 옥수수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901B1 true KR101963901B1 (ko) 2019-07-31

Family

ID=6747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130A Active KR101963901B1 (ko) 2019-01-18 2019-01-18 옥수수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264A (ko) 2021-12-13 2023-06-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옥수수 수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2109A1 (en) * 1996-12-06 1998-07-08 New Holland Belgium N.V. Modular stalkroll with one bolt attachment
KR100343593B1 (ko) 2000-08-03 2002-07-20 주식회사 명성 사료 수확기
US20030131576A1 (en) * 2000-06-10 2003-07-17 Maschinenfabrik Kemper Gmbh & Co Kg Intake and plucking arrangement
US20110041472A1 (en) * 2009-08-20 2011-02-24 Clever Tech Inc. Auger stripper arrangement for corn head
CN107439144A (zh) * 2017-09-22 2017-12-08 禹州市宇胜机械制造有限公司 玉米收获机的传动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2109A1 (en) * 1996-12-06 1998-07-08 New Holland Belgium N.V. Modular stalkroll with one bolt attachment
US20030131576A1 (en) * 2000-06-10 2003-07-17 Maschinenfabrik Kemper Gmbh & Co Kg Intake and plucking arrangement
KR100343593B1 (ko) 2000-08-03 2002-07-20 주식회사 명성 사료 수확기
US20110041472A1 (en) * 2009-08-20 2011-02-24 Clever Tech Inc. Auger stripper arrangement for corn head
CN107439144A (zh) * 2017-09-22 2017-12-08 禹州市宇胜机械制造有限公司 玉米收获机的传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264A (ko) 2021-12-13 2023-06-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옥수수 수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1961A (en) Crop processor for round hay balers
EP1382237A1 (en) Feed conveyor/rock trap and header drive for an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US9775292B2 (en) Non-row sensitive forage harvester header
US11154009B2 (en) Single disk rotary forage harvester header
KR101963901B1 (ko) 옥수수 수확기
CN113039946B (zh) 一种切碎揉搓组合清选型方草捆打捆机
CN113853111B (zh) 用于组装农业机器的结构底盘和收割机
CN105103780A (zh) 一种多用途不对行玉米联合收获机
JP5125474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3435058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2009142214A5 (ko)
JP7169944B2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の収穫前処理装置
JP2013059283A (ja) コンバイン
JP5290639B2 (ja) 刈取収穫機
JP7117006B2 (ja) 地下茎作物収穫機及び作業方法
CN101129114A (zh) 整秸玉米收割机
JP6735305B2 (ja) コンバイン
CN201123247Y (zh) 整秸玉米收割机
JP7056702B2 (ja) 脱穀装置
JP3914469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4421891B2 (ja) 切断装置
JPH11266653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7198502B2 (ja) 地下茎作物の掘り取り装置
CN112243344B (zh) 切割刀,切割盘以及收割机
GB2069808A (en) Blower device for a harve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