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3190B1 -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 - Google Patents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190B1
KR101963190B1 KR1020180009147A KR20180009147A KR101963190B1 KR 101963190 B1 KR101963190 B1 KR 101963190B1 KR 1020180009147 A KR1020180009147 A KR 1020180009147A KR 20180009147 A KR20180009147 A KR 20180009147A KR 101963190 B1 KR101963190 B1 KR 101963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length adjusting
length
porous
spl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9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1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61F13/046Incorporated ventilation or coo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는, 표면에 통풍 구멍이 형성되며, 환부에 적용되는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 중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에 형성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환부에 접촉하면서 환부와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를 이격시키는 길이 조절 핀을 포함하고, 길이 조절 핀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부, 및 환부측 단부의 두 지점을 연결하면서 형성되고, 나사산부를 따라 이동하는 길이 조절 나사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환부쪽으로 늘어나면서 환부와 접촉하는 접촉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 {POROUS ORTHOSIS AND LENGTH-ADJUSTABLE PIN USED IN THE SAME}
본 발명은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핀을 사용하여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의 적용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활용성 내지 사용 편리성이 증대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보조기구라고 하면 신체 특정 부위의 재활에 사용되는 재활용 보조기구와 골절 치료에 사용되는 캐스트(또는 깁스)가 있다. 재활용 보조기구는 신체에 밀접하게 착용되면서 특정 부위를 고정 또는 교정을 하게 된다. 또한, 캐스트는 소석고의 분말에 물을 가하면 신속하게 굳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주로 골절이나 인대가 늘어난 경우에 사용되는 정형외과적 치료 도구이다.
재활용 보조기구는 목, 허리, 무릎, 발목 등의 다양한 신체부위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치료 혹은 재활 과정을 돕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구로 해당 부위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재활용 보조기구는 재활 부위의 상태에 따라 연질 재료와 경질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연질 재료의 경우 재활 부위의 상태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경우로 어느 정도의 움직임이 허용되는 경우 사용하며, 고무 등의 탄성이 높은 재질의 압박 효과를 사용하여 무릎 등의 관절에서 급격한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재활 부위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경질 재료의 경우 재활 부위의 상태가 좋지 않아 움직임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 사용되며, 주로 경질 플라스틱 프레임으로 기본 골격을 구성하고 통풍효과가 있는 섬유재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의 경우 기성품으로 제작되어 환자의 신체에 정확히 맞게 제작될 수 없으며, 환자가 착용시 통증을 느끼거나 환부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못하는 등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캐스트는 대부분 석고를 이용하며, 의사가 진단한 고정부위에 붕대를 감고 석고를 물에 혼합하여 붕대 위에 일정 두께로 구성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캐스트의 경우 석고 아래의 피부는 씻거나 털어낼 수 없기 때문에 건조해지고 각질이 발생하게 되어 이로 인해 피부궤양, 감염, 발진, 가려움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캐스트를 처리하고 완전히 굳어 제 역할을 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이 평균 72시간으로 매우 길고, 그 때까지의 석고에 포함된 수분이 피부에 전해지는 느낌과 굳을 때 발생하는 열에 대한 느낌은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치유된 후에 석고를 제거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진동 톱 등으로 자르게 되는데, 인체에 위험하지는 않지만 그 느낌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3D 스캐닝 및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다공성 캐스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한국등록특허 제10-1599950호 참조), 이러한 종래의 개인 맞춤형 캐스트 제조 방법은 인체 스캐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캐스트 내측면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3차원으로 설계를 수행한다.
이 공정은 3차원 스캐닝 과정을 포함한 개인 맞춤형 캐스트 설계에 1~2일 정도가 소요되며, 설계에 근거하여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캐스트를 제조하는데 2~4일 이상이 걸리는 등 캐스트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총 3~6일 정도 소요). 또한 의료 현장에서 자체적으로 3차원 스캐너, 설계 S/W, 3D 프린터를 구비하고 전담인력을 갖추지 않은 경우는 외부 기관에 의뢰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점을 감안할 때 의료 현장에서 적용하는데 현실적으로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캐스트의 몸체부는 3D프린팅 혹은 타 제조공정(사출성형 등)으로 미리 제작해놓은 상태에서, 캐스트와 환부를 이격시키며 캐스트가 환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개인 맞춤형 핀만을 그때 그때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맞춰 제작/조립함으로써 의료 현장에서 3시간 이내에 개인맞춤형 보조기기의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한국등록특허 제10-1710037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개인 맞춤형 핀을 사용하더라도 의료 현장에서 환자에 따라 매번 개인 맞춤형 핀의 적정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따라 개인 맞춤형 핀을 제작하였기에 이러한 제작 시간이 필요하여 캐스트를 환부에 장착하기 위해 약 3시간 정도가 소요되며, 그에 따라 캐스트를 의료 현장에 신속하게 적용하기가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료 현장에서 의료용 보조기구의 제작 시간을 없애고 장착 시간만이 소요되도록 하고, 의료용 보조기구의 통풍성을 개선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미리 제작되어 준비되며 환부의 치수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핀을 사용하여 의료 현장에서 의료용 보조기구의 제작 시간을 없애고 장착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의료용 보조기구의 활용성 및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의료용 보조기구의 통풍성을 개선하여 악취 및 가려움증 발생을 방지하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는, 표면에 통풍 구멍이 형성되며, 환부에 적용되는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 중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에 형성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환부에 접촉하면서 환부와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를 이격시키는 길이 조절 핀을 포함하고, 길이 조절 핀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부, 및 환부측 단부의 두 지점을 연결하면서 형성되고, 나사산부를 따라 이동하는 길이 조절 나사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환부쪽으로 늘어나면서 환부와 접촉하는 접촉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핀은, 표면에 통풍 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를 포함하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으로서, 길이 조절 핀은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 중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에 형성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환부에 접촉하면서 환부와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를 이격시키고, 길이 조절 핀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부, 및 환부측 단부의 두 지점을 연결하면서 형성되고, 나사산부를 따라 이동하는 길이 조절 나사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환부쪽으로 늘어나면서 환부와 접촉하는 접촉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제작되어 준비되며 환부의 치수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 핀을 사용하여 의료 현장에서 의료용 보조기구의 제작 시간을 없애고 장착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의료용 보조기구의 활용성 및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의료용 보조기구의 통풍성을 개선하여 악취 및 가려움증 발생을 방지하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가 환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의 사시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의 단면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을 수직으로 절단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이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장착된 상태의 간략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의 길이가 늘어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의 결합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핀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핀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제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가 환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의 사시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의 단면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을 수직으로 절단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이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장착된 상태의 간략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의 길이가 늘어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의 결합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는 목의 골절을 치료하거나 목의 교정 및 재활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구로서, 이러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는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10, 20), 길이 조절 핀(60) 및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도면 상에는 일 실시예로서 한 쌍의 분할 의료보조기구(10, 20)가 도시되어 있으나, 분할 의료보조기구는 2개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분할 의료보조기구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재이며,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는 전체가 하나의 형상 내지 일체로 되어 있는 의료보조기구가 아니며, 2개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가 결합하여 하나의 전체 의료보조기구를 이루면서 환자의 환부에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를 환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치료 시간이 단축되고 환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한편, 환부는 골절된 부분, 교정 내지 재활이 필요한 신체의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분할 의료보조기구의 표면에는 통풍 구멍(3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의료보조기구로 가려져 있는 환부에 공기가 직접 통할 수 있다. 의료보조기구에 해당하는 종래 캐스트의 경우 환부 주위에 석고를 적용하게 되는바 석고에 의해 공기가 차단되어 환부에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환부에 냄새가 나거나 가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는 표면에 통풍 구멍(30)이 형성되어 있는 바 환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그 결과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를 오래 착용한다고 하더라도 환부로부터 냄새가 나지 않으며 가려움증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분할 의료보조기구의 표면에 형성된 통풍 구멍(30)의 개수 및 모양은 다양할 수 있으며 그 개수 및 모양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분할 의료보조기구의 표면에는 후술할 길이 조절 핀(60)이 삽입되는 자리인 삽입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구멍(40)은 분할 의료보조기구의 표면에 형성된 통풍 구멍(30)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바 삽입 구멍(40)은 통풍 구멍(30)과 동일한 형태를 지닐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삽입 구멍(40)은 통풍 구멍(30)과는 별개의 구멍이어서 통풍 구멍(30)과는 다른 형태의 구멍일 수도 있다.
이러한 삽입 구멍(40)은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 구체적으로는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 중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에 형성될 수 있고,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의 둘레를 따라 일렬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하나의 열을 형성하지 않고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삽입 구멍(40)에 삽입되는 길이 조절 핀(60)은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를 환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분에 적정 개수만큼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분할 의료보조기구의 재질은 경질 플라스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핀(60)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길이 조절 핀(60)은 분할 의료보조기구의 표면에 형성된 삽입 구멍(40)에 삽입되어 분할 의료보조기구와 환부(250)를 이격시키고 그에 따라 환부(250)에 공기(A)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는 부재이다. 동시에, 장착의 편의를 위해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의 내부 치수는 환부의 치수보다는 크게 되는데, 길이 조절 핀(60)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치수 차이에도 불구하고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가 환부(250)에 적절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는 표면에 통풍 구멍(30)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길이 조절 핀(60)이 적용됨에 따라 환부(250)에 공기(A)가 더욱 잘 유입되어 의료보조기구 착용에 따른 악취나 가려움증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의료보조기구에 통풍 구멍(30)만이 존재하고 길이 조절 핀(60)이 적용되지 않는다면 통풍 구멍(30)이 형성되지 않은 의료보조기구의 내면은 환부(250)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공기(A)는 의료보조기구와 접촉된 환부(250) 부분에는 진입할 수 없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과 같이 길이 조절 핀(60)을 사용할 경우 의료보조기구 내면 전체가 환부(250)로부터 이격되어 공기(A)는 환부(250)의 모든 부분을 통과하게 되고 의료보조기구 착용에 따른 악취나 가려움증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 이러한 효과를 가져오는 길이 조절 핀(6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길이 조절 핀(60)은 내부에 중공(7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 내측면 또는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나사산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절 핀(60)은, 장착 시에 환부쪽을 향하는 돌기부(67), 돌기부(67)의 반대편 단부인 머리부(80), 및 돌기부(67)와 머리부(80)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면서 형성된 끼움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67)는 그 하부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테이퍼 진 경사면(61)이 형성될 수 있고, 돌기부(67)의 단부는 환부측을 향하는 단부로서 중공(73)의 영향으로 중앙에 구멍이 있는 환형 단부(63)일 수 있다.
또한, 돌기부(67)는 접촉 연결부(65)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접촉 연결부(65)는 환형 단부(63)의 두 지점을 연결하면서 형성될 수 있고, 환부측으로 볼록한 아치(arch)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러한 접촉 연결부(65)는 후술할 길이 조절 나사(90)의 외력에 의해 그 길이가 늘어나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가 환부(250)로부터 이격되면서 환부(250)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촉 연결부(65)는 길이 조절이 가능해야 하므로 연질 플라스틱 또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여, 길이 조절 핀(60)이 삽입 구멍(40)에 삽입되는 형태를 보면, 길이 조절 핀(60)은 돌기부(67)가 내측으로 테이퍼 진 경사면(61)을 가지므로 삽입 구멍(40)에 삽입되기 용이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길이 조절 핀(6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연질이며 탄성 및 구부러짐 특성을 가질 수도 있는바 삽입 구멍(4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 핀(60)의 끼움부(70)는 돌기부(67) 및 머리부(80)에 비해 직경이 작아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취하면서 머리부(80) 및 돌기부(67)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조절 핀(60)을 삽입 구멍(40)에 삽입할 때 길이 조절 핀(60)은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의 삽입 구멍(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삽입된 길이 조절 핀(60)은 삽입 구멍(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플렉시블 핀을 다공성 캐스트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을 보면, 종래의 경우 플렉시블 핀은 돌기부가 끼움부에 비해 직경이 크므로 돌기부의 턱(역구배 형상)에 의해 플렉시블 핀이 삽입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러나, 다시 도 3 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경우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길이 조절 핀(6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75)는 길이 조절 핀(60)의 끼움부(70)부터 돌기부(67)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절개부(75)는 절개된 부분 간의 간격이 다양할 수 있어 절개홈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절개부(75)의 한 형태로서, 절개부(75)는 길이 조절 핀(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 연결부(65)로부터 90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75)의 존재로 인해 길이 조절 핀(60)을 삽입 구멍(40)에 삽입하거나 삽입 구멍(40)으로부터 제거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개부(75)의 존재로 길이 조절 핀(60)이 삽입 구멍(40)에 착탈될 때 길이 조절 핀(60)의 몸체는 변형을 일으켜 직경이 줄어들 수 있고, 그에 따라 길이 조절 핀(60)의 착탈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길이 조절 핀(60)이 삽입 구멍(40)에 삽입 된 후에는 길이 조절 핀(60)의 내부에 위치한 길이 조절 나사(90)의 존재로 인해 길이 조절 핀(60)은 더 이상 내측으로 변형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길이 조절 핀(60)의 직경은 변화가 거의 없게 되고, 길이 조절 핀(60)이 쉽게 삽입 구멍(40)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이렇게, 길이 조절 나사(90)가 조립된 길이 조절 핀(60)을 삽입 구멍(40)에 삽입한 후에 접촉 연결부(65)의 길이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를 환부(250)에 장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및 6 을 참조하면,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를 환부(250)에 장착하기 위해, 길이 조절 핀(60)을 삽입 구멍(40)에 삽입한 후, 길이 조절 핀(6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부(71)와 나사결합하면서 나사산부(71)를 따라 상하(또는 전후) 이동하는 길이 조절 나사(90)(수나사 일 수 있음)를 조일 수 있다.
조여지는 길이 조절 나사(90)는 머리 부분은 a 만큼, 그리고 접촉 연결부(65)와 접하는 부분은 b 만큼 환부쪽으로 이동하면서 접촉 연결부(65)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신축성 있는 접촉 연결부(65)는 환부쪽으로 c 만큼 늘어나면서 환부(250)와 접촉(P)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는 환부(25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반대로, 길이 조절 나사(90)를 풀 경우에는 길이 조절 나사(90)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접촉 연결부(65)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어 접촉 연결부(65)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즉, 길이 조절 핀(60)에 삽입된 길이 조절 나사(90)를 조이거나 풀음으로써 접촉 연결부(65)의 길이를 변화시켜 길이 조절 핀(60)이 환부(250)에 접촉(P)하게 하거나 환부(250)로부터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를 환부(250)에 적용할 때는 길이 조절 나사(90)를 조임으로써 접촉 연결부(65)의 길이를 늘리고, 반대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를 환부(250)로부터 제거할 때는 길이 조절 나사(90)를 풀어 접촉 연결부(65)를 원래 형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플렉시블 핀을 사용하더라도 의료 현장에서 환자에 따라 매번 플렉시블 핀의 적정 길이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따라 플렉시블 핀을 제작하였기에 이러한 제작 시간이 필요하여 다공성 캐스트를 환부에 장착하기 위해 약 3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따라서, 다공성 캐스트를 의료 현장에 신속하게 적용하기가 다소 어려운 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미리 제작된 하나의 길이 조절 핀(60)을 준비해 놓은 상태에서 길이 조절 나사(90)로 환자에 따라 길이 조절 핀(60)의 길이만을 조절하면 되므로, 길이 조절 핀(60)의 제작 시간이 필요없고 단지 길이 조절 핀(60)을 장착하는 장착 시간만이 필요하므로 10분 이내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를 환부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길이 조절 나사(90)로 길이 조절 핀(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환자의 신체 치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부(250)에 붓기가 빠지거나 장기간의 운동 부족으로 신체 치수가 줄어들 경우, 종래의 캐스트는 핀을 다시 제작하여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지만, 본 발명의 경우는 사용되는 핀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하던 길이 조절 핀(60)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간단하게 길이 조절 나사(90)로 길이 조절 핀(60)의 길이만을 조절함으로써 신체 치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이렇게, 길이 조절 나사(90)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접촉 연결부(65)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핀(60)을 사용함에 따라, 서로 다른 신체 치수를 가지는 환자에 맞춰 여러 개의 플렉시블 핀을 제작할 필요가 없고, 또한 매번 플렉시블 핀을 제작함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는 실제 상황에서 환자에게 바로 적용이 가능하여 활용성이 높으며, 환부에 적용되는데 드는 시간 및 노력이 줄어듬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67)에서 접촉 연결부(65)는 환형 단부(63)의 두 지점을 연결하면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두 지점은 환형 단부(63)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 상에 놓여있는 지점일 수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접촉 연결부(65)는 환형 단부(63)의 중심을 지닐 수 있으며, 그 결과 길이 조절 나사(90)는 접촉 연결부(65)에 효과적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접촉 연결부(65)는 환부와 접점(P)에서만 접하므로 접촉 연결부(65)가 환부(250)를 가리는 부분은 아주 작은 부분이 되고, 그 결과 공기(A)는 충분히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연결부(65)는 종래의 플렉시블 핀의 단부에 비해 환부와의 접촉 면적이 줄어드는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의 통기성이 좀 더 개선될 수 있다.
도 1 및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결합 부재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를 이루는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를 서로 연결하는 부재이며, 특히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와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를 결합시키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는 분할형이고 그에 따라 환부(250)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와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를 결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에는 결합 부재가 존재한다.
이러한 결합 부재로서 플렉시블 브릿지(100)가 사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 브릿지(100)는 막대 형상의 몸통부(105) 및 몸통부(105)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브릿지(100)가 분할 의료보조기구를 고정하는 형태를 보면, 한 쌍의 돌출부는 각각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의 통풍 구멍(30)과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의 통풍 구멍(30)에 삽입될 수 있고, 동시에 몸통부(105)는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와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의 표면 모두에 부착됨으로써, 플렉시블 브릿지(100)에 의해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와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는 이격되지 않고 서로에 대해 고정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브릿지(100)의 돌출부는 다양한 형상을 지닐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돌출부는 원통형 돌출부(103)일 수 있으며, 다르게는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걸림턱이 형성된 돌출부의 단부는 그 단면의 모양이 사다리꼴(107)이거나 반원(110) 또는 타원 모양일 수 있다(도 7(c) 참조). 한편, 플렉시블 브릿지(100)는 연성이므로 구부러짐 성능을 지니고 있는 바 분할 의료보조기구의 외형에 쉽게 정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분할 의료보조기구에 적용이 용이하다.
한편, 결합 부재의 형태는 전술한 플렉시블 브릿지(100)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할 의료보조기구를 결합시킬수만 있다면 그 형태 및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분할 의료보조기구를 결합시키기 위해 탄력 밴드나 벨크로 구조가 이용될 수 있고, 다르게는 힌지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고, 이들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부재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여러 부분에 적용될 수 있고, 사용되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추가적으로,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가 결합을 할 때, 이들 간의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환부(250)에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는 정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구조는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가 결합을 할 때,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와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가 서로에 대하여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미끄러져 정렬이 유지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정렬 구조는 두 종류가 적용될 수 있는데, 우선 도 7(a) 의 E 부분을 통해 수평 방향(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의 내측과 외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정렬 구조를 보면, 서로가 맞닿는 부분인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의 단부에는 각각 단차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나의 단차는 'ㄱ'자 형상이고 다른 하나의 단차는 'ㄴ'자 형상이므로 양 단차는 맞물리면서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수평 방향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a) 의 E 부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의 정렬 부분의 내측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 처리가 되어 곡률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를 환부(250)에 적용하기 위해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를 결합 및 고정하는 과정에서 피부가 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방향(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의 높이 방향)의 정렬 구조를 보면,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와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가 결합 시에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와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 각각의 접촉 단면은 서로 맞닿게 된다. 이 때 한쪽 접촉 단면에는 돌출 부분이 존재할 수 있고, 다른쪽 접촉 단면에는 돌출 부분에 대응하는 끼움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와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가 결합 시에 돌출 부분은 끼움 부분에 끼워지게 되어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0)와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20)는 서로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정렬이 유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을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을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핀의 사시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는 전술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와는 다른 길이 조절 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핀(130)에는 접촉 연결부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2개의 접촉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연결부는 제 1 접촉 연결부(160) 및 제 2 접촉 연결부(165)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 1 접촉 연결부(160)와 제 2 접촉 연결부(165)는 서로 교차(I 부분)하는 형상을 취하여 십자가(+) 형상일 수 있다. 이렇게 접촉 연결부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접촉 연결부는 외력에 좀 더 견고해질 수 있어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절개부(145) 또는 절개홈은 길이 조절 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 연결부로부터 45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길이 조절 핀(60)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핀(130)도 머리부(135), 끼움부(140), 돌기부(170), 돌기부(170)의 경사면(153) 및 돌기부(170)의 환형 단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을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을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핀의 사시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는 전술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와는 다른 길이 조절 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 조절 핀(270)의 접촉 연결부(290)에는 폭 또는 두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좁아진 부분인 도피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 연결부(290)에는 파인 홈으로 이루어진 도피부(260)가 존재하여 접촉 연결부(290)를 부분적으로 가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피부(260)는 접촉 연결부(290)의 양 단부, 즉 환형 단부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피부(260)의 형성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접촉 연결부(290)에 도피부(260)가 존재함에 따라 접촉 연결부(290)의 신축성이 증대되어 접촉 연결부(290)의 길이 조절이 더욱 용이해지며, 그 결과 손쉽게 길이 조절 핀(27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물론, 전술한 길이 조절 핀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핀(270)도 머리부(280), 끼움부(285), 내부에 형성된 중공(295), 내부의 나사산부(310), 절개부(300), 돌기부, 돌기부의 경사면(287) 및 돌기부의 환형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를 설명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는 골절되거나 교정 내지 재활이 필요한 팔 부분에 적용되는 다공성 보조기구일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도 역시 분할형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일 수 있고,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8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190)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풍 구멍(200) 및 삽입 구멍(210)이 존재할 수 있고, 삽입 구멍(210)에는 전술한 길이 조절 핀(60, 130, 270)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80)와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19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는 전술한 플렉시블 브릿지(1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 등의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8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190) 중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에 있어서, 분할 의료보조기구의 구부러진 부분에는 보강 리브인 보강 구조(5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는 팔의 골절 치료에 사용되는 다공성 캐스트일 수 있고, 팔꿉관절을 기준으로 위팔뼈와 아래팔뼈가 굽혀진 상태에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를 팔에 적용해야 하는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도 역시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의 구부러진 부분은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의 강성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하여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8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19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에는 구부러진 부분에 보강 구조(50)가 존재할 수 있다. 이 보강 구조(50)의 형상은 구부러진 부분을 이루는 분할 의료보조기구의 양 표면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 또는 판 형상일 수 있으나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의 강성을 증대시킨다면 전술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180) 및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190)가 결합을 할 때, 이들 간의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환부(250)에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공성 의료보조기구(230)는 전술한 정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는 일 예로서 팔 부분 및 목 부분 등 신체의 골절 내지 교정에 사용되는 캐스트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신체 특정 부위의 고정 내지 재활에 사용되는 의료용 보조기구일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를 구성하는 분할 의료보조기구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며, 이들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는 전술한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제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제작 방법은, 신체 표준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작된 표준 치수 보조기구를 준비하는 단계(S10), 길이 조절 핀을 준비하는 단계(S20), 환부를 포함하는 환자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0), 표준 치수 보조기구 중에서 환자의 신체 데이터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가지는 표준 치수 보조기구를 선택하는 단계(S40), 및 길이 조절 핀의 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길이 조절 나사를 조임으로써 길이 조절 핀의 접촉 연결부를 늘려 접촉 연결부가 환부에 접촉하도록 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신체 표준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작된 표준 치수 보조기구를 준비하는 단계(S10)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는 사전에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를 제작한 후 미리 준비함으로써 의료 현장에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길이 조절 핀 포함)의 제작 시간을 없애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이미 알려진 신체 표준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작된 표준 치수 보조기구를 미리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 3D 프린팅을 통해 캐스트 등의 보조기구를 제작할 시에 매번 환자의 신체 또는 환부를 3D 스캐닝을 통해 파악하고 파악한 정보를 근거로 보조기구를 설계하고, 3D 프린팅으로 보조기구를 제작하는데 3~6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러한 작업을 외부에 의뢰할 경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환자에 대한 치료를 바로 할 수 없었기에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제작 방법은 미리 신체 표준 데이터에 근거하여 3D 프린팅 또는 사출 성형 등을 통해 표준 치수 보조기구를 제작하여 이를 준비해 놓는다. 따라서, 환자에게 바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를 이용한 치료가 가능하여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길이 조절 핀을 준비하는 단계(S20)는, 환자에게 바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 230)를 이용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 230)와 마찬가지로 3D 프린팅 또는 사출 성형 등을 통해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60, 130, 270)을 미리 제작하여 준비한다.
종래의 경우는 환자마다 개인 맞춤형 플렉시블 핀을 따로 제작하였는바 다공성 캐스트를 최종적으로 환부에 장착시키기 위해 3시간 가량이 소요되어 다공성 캐스트의 활용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경우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가능한 길이 조절 핀(60, 130, 270)을 미리 제작하여 준비한 후에 환부에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 230)를 적용할 시에 길이 조절 나사(90, 150)를 사용하여 길이 조절 핀(60, 130, 27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의료 현장에서 길이 조절 핀(60, 130, 270)의 제작 시간이 필요없게 되고, 그에 따라 10분 이내에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 230)를 환부에 장착할 수 있다.
환부를 포함하는 환자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0)는, 준비된 표준 치수 보조기구 중에서 원하는 표준 치수 보조기구를 선택하기 위한 자료로서 환자의 신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집을 위해, 줄자와 같은 간단한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환부를 포함하는 환자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표준 치수 보조기구 중에서 환자의 신체 데이터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가지는 표준 치수 보조기구를 선택하는 단계(S40)는, 미리 제작해 놓은 다수의 표준 치수 보조기구 중에서 줄자와 같은 측정 도구를 통해 획득된 환부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가지는 표준 치수 보조기구를 선택한다.
이렇게 환부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가지는 표준 치수 보조기구를 선택함으로써 환부와 보조기구 내면에 공간이 확보되어 공기(A)가 환부에 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피부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가려움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환부의 치수는 팔, 목, 허리 또는 다리의 두께가 될 수 있으며, 표준 치수 보조기구의 치수는 보조기구의 내경이 될 수 있다.
길이 조절 핀의 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길이 조절 나사를 조임으로써 길이 조절 핀의 접촉 연결부를 늘려 접촉 연결부가 환부에 접촉하도록 하는 단계(S50)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 230)로 환부(250)를 감싼 후에 길이 조절 핀(60, 130, 270)을 삽입 구멍(40)에 삽입하거나, 미리 삽입 구멍(40)에 길이 조절 핀(60, 130, 270)이 삽입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 230)로 환부(250)를 감싼다. 이후, 길이 조절 핀(60, 130, 270) 내부에 길이 조절 나사(90, 150)를 삽입하고, 길이 조절 나사(90, 150)를 환부쪽으로 조임으로써 길이 조절 핀(60, 130, 270)의 접촉 연결부(65, 160, 165, 290)가 환부쪽으로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면서 길이 조절 핀(60, 130, 270)의 접촉 연결부(65, 160, 165, 290)는 환부(250)에 접촉(P)하게 되고 그 결과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 230)는 환부(25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길이 조절 핀(60, 130, 27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환자마다 환부의 치수가 다르다 하더라도 미리 준비한 하나의 길이 조절 핀(60, 130, 270)으로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의 제작(다공성 의료보조기구가 환부에 장착된 상태)이 가능하다. 그 결과 종래와는 다르게 신속하게 환부(250)에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 230)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다공성 의료보조기구(120, 230)의 활용성 및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180: 제 1 분할 의료보조기구 20, 190: 제 2 분할 의료보조기구
30, 200: 통풍 구멍 40, 210: 삽입 구멍
50: 보강 구조 60, 130, 270: 길이 조절 핀
61, 153, 287: 경사면 63, 157: 환형 단부
65, 290: 접촉 연결부 67, 170: 돌기부 70, 140, 285: 끼움부 71, 310: 나사산부
73, 295: 중공 75, 145, 300: 절개부 80, 135, 280: 머리부 90, 150: 길이 조절 나사 100: 플렉시블 브릿지 103, 107, 110: 돌출부
105: 몸통부 120, 230: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160: 제 1 접촉 연결부 165: 제 2 접촉 연결부 250: 환부 260: 도피부

Claims (5)

  1. 표면에 통풍 구멍이 형성되며, 환부에 적용되는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 중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에 형성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환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환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를 이격시키는 길이 조절 핀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절 핀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부; 및
    환부측 단부의 두 지점을 연결하면서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를 따라 이동하는 길이 조절 나사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환부쪽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환부와 접촉하는 접촉 연결부를 포함하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연결부는 제 1 접촉 연결부 및 제 2 접촉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촉 연결부와 상기 제 2 접촉 연결부는 서로 교차하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연결부에는 폭 또는 두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좁아진 부분인 도피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5. 표면에 통풍 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를 포함하는 다공성 의료보조기구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으로서,
    상기 길이 조절 핀은 상기 복수의 분할 의료보조기구 중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에 형성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환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환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분할 의료보조기구를 이격시키고,
    상기 길이 조절 핀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부; 및
    환부측 단부의 두 지점을 연결하면서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를 따라 이동하는 길이 조절 나사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환부쪽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환부와 접촉하는 접촉 연결부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 핀.
KR1020180009147A 2018-01-25 2018-01-25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 Active KR101963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47A KR101963190B1 (ko) 2018-01-25 2018-01-25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47A KR101963190B1 (ko) 2018-01-25 2018-01-25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190B1 true KR101963190B1 (ko) 2019-03-28

Family

ID=6590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147A Active KR101963190B1 (ko) 2018-01-25 2018-01-25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1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612U (ko) * 1987-06-26 1989-01-11
JPH0450024U (ko) * 1990-08-30 1992-04-27
US20050276657A1 (en) * 2003-10-22 2005-12-15 Yuji Yumikino Joint coupling for prosthetic brace
KR20120086134A (ko) * 2011-01-25 2012-08-02 (주)힐닉스 정형외과용 부목
KR20160141338A (ko) * 2015-05-30 2016-12-08 임 종 진 통풍성이 뛰어난 석고깁스
KR101710037B1 (ko) * 2016-11-16 2017-02-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캐스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66582B1 (ko) * 2016-04-21 2017-08-09 상훈 한 기능성 마사지 벨트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612U (ko) * 1987-06-26 1989-01-11
JPH0450024U (ko) * 1990-08-30 1992-04-27
US20050276657A1 (en) * 2003-10-22 2005-12-15 Yuji Yumikino Joint coupling for prosthetic brace
KR20120086134A (ko) * 2011-01-25 2012-08-02 (주)힐닉스 정형외과용 부목
KR20160141338A (ko) * 2015-05-30 2016-12-08 임 종 진 통풍성이 뛰어난 석고깁스
KR101766582B1 (ko) * 2016-04-21 2017-08-09 상훈 한 기능성 마사지 벨트 장치
KR101710037B1 (ko) * 2016-11-16 2017-02-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캐스트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902A (en) Splint
ES2554906T3 (es) Dispositivos ortopédicos de tobillo-pie
US5921945A (en) Splint/therapeutic device
US10357390B2 (en) Ankle foot tensioned orthosis
JP2005512731A (ja) 骨折固定のための添え木兼用のギプス部材
US12042417B2 (en) Ankle foot orthosi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1573221B1 (ko) 환부 고정용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US4370976A (en) Dynamic foam orthosis
US20210145620A1 (en)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for use in treating a bone fracture
US7993294B2 (en) Wrist orthosis
US20060264792A1 (en) Hand orthosis
US20150057586A1 (en) Flex Lock for Orthotic Braces
KR101963190B1 (ko) 다공성 의료보조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길이 조절 핀
CN211884423U (zh) 一种骨外科穿刺姿势调整操作床
KR20080005845U (ko) 손가락 보조기
KR102290786B1 (ko) 반려동물의 기능성 재활 보조장치
KR20210000859U (ko) 의료용 부목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부목 어셈블리
KR101247701B1 (ko) 의료용 부목
US20210205109A1 (en) Flexible ankle foot orthosis
KR102257789B1 (ko) 환부의 견인이 가능한 부목
US10835409B1 (en) Apparatus for correction of leg deformities
US20170128252A1 (en) Fragment specific fracture reduction brace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KR101781630B1 (ko) 일체형 스플린트
CN111329638A (zh) 一种膝关节支具
KR20170112204A (ko)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