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2898B1 -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 Google Patents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898B1
KR101962898B1 KR1020170154720A KR20170154720A KR101962898B1 KR 101962898 B1 KR101962898 B1 KR 101962898B1 KR 1020170154720 A KR1020170154720 A KR 1020170154720A KR 20170154720 A KR20170154720 A KR 20170154720A KR 101962898 B1 KR101962898 B1 KR 101962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guide body
push
stopper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채희
Original Assignee
윤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희 filed Critical 윤채희
Priority to KR102017015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8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1Spring-retrac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5Silencing devices; Noise re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에 대한 것으로서, 케이스 내부의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전단에는 래치헤드와 힌지연결되고 후단에는 스토퍼와 연결되는 가이드몸체와, 일단이 래치헤드의 중공 내부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통해 연장되는 래치바와, 도어 폐쇄시에는 래치헤드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도어 개방시에는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와, 가이드몸체와 일체로 이동하는 리트렉터와, 가이드몸체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리트렉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허브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본 발명은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도어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몸체 형상 및 작동 구조에 따라 원통형과 튜블라형과 상자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원통형이나 튜블라형 도어락 장치는 사무실이나 가정의 일반적인 도어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상자형 도어락 장치는 아파트의 현관이나 방화문처럼 케이싱 전면에 손잡이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도어락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어의 양면에 각각 회전식 손잡이가 구비되고, 각 손잡이와 연동되는 래치가 도어의 단부에서 돌출된 상태로 탄설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삽설되어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
따라서, 도어락 장치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키는 제1 동작과,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개방하는 제2 동작으로 2단계의 동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손잡이 회전에 어려움을 갖는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은 출입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타인이 도와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푸시풀(push-pull) 도어락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푸시풀 도어락 장치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방시키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 개발된 푸시풀 도어락 장치들은 도어 개방시 래치볼트가 래치 헤드의 직선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어를 빠르게 개방시키면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여 도어틀의 홈에 걸리되어 덜컥거리게 된다.
그리고, 래치 헤드의 직선면의 끝단이 도어틀을 빠져나오기 전까지는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직선면의 끝단이 도어틀을 빠져나오는 순간 급작스럽게 도어가 개방되어 도어에 부딪히거나 다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326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53945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푸시풀 도어락장치에 있어서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에 걸려 덜컥거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헤드가 회전하여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에 어려움이 많은 사용자들이 적은 힘으로도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시키고, 도어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는 선단에 래치커버가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의 측면에 삽입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상기 래치헤드의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상기 가이드몸체의 후면과 연결되고, 외부 손잡이와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몸체와 일체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렉터;및 상기 가이드몸체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리트렉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허브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상기 스토퍼의 후방이동에 따라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해제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회전을 유도하는 경사챔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2 결합부와 힌지결합되는 제2 결합편과, 상기 제2 결합편에 연결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결합편은 상기 래치바의 후단에 형성된 제1 경사면과 맞닿는 제1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면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경사챔버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래치바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일정한 곡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허브체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허브체 및 제2 허브체와, 상기 제1 허브체 및 상기 제2 허브체 사이에 개재되고,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리트렉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쉬프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쉬프트체는 상기 쉬프트체의 중단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블록과, 상기 이탈방지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쉬프트체의 상하이동에 따라 고정체가 상기 제1 허브체 및 상기 제2 허브체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쉬프트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트렉터는 상기 허브체의 지지돌기에 끼워지는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에 의하면, 도어 개방시 손잡이와 연동되어 있는 리트렉터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통해 래치헤드가 케이스 내부로 빠르게 인입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에 따라 도어 개방시 도어틀에 래치헤드가 걸리는 현상이 방지되고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어린이나 노약자와 같이 손힘이 약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어 폐쇄시에는 스토퍼가 래치바의 후단을 지지하기 때문에 래치헤드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져도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주요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보인 부분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의 래치헤드, 래치바, 가이드몸체, 및 스토퍼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의 허브체에 대한 결합상태와 분해상태를 각각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의 허브체의 잠김상태와 잠김해제상태를 각각 보인 도면.
도 7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의 도어 개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투명측단면도 및 투명평단면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내지 도 7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래치헤드 방향을 선단방향으로 설명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단방향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는 케이스(100)와, 래치커버(200)와, 가이드몸체(300)와, 래치헤드(400)와, 래치바(500)와, 스토퍼(600)와, 리트랙터(700)와, 허브체(8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는 대략 장방형의 케이스(100)를 포함하고, 케이스(10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에서 래치커버(200) 방향의 선단부(CF)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후단부(CB)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된다. 케이스(100)의 선단부(CF)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선단부(CF) 내측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몸체(3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의 평면에는 다수개의 연결공(13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허브체(800)의 연결돌기(811)가 삽입되거나 고정볼트(B)가 삽입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의 평면 중앙에는 개방창(1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사이드창(150)이 형성된다.
한편,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경사챔버(121)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챔버(121)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스토퍼(600)의 롤러(620)가 안착된다.
래치커버(200)는 케이스(100)의 선단에 연결되고, 중앙이 오픈된 플레이트 부재로 구성되고, 래치커버(200)의 개방면을 통해 래치헤드(400)가 돌출된다.
케이스(100)의 중공 내부에는 가이드몸체(300), 래치헤드(400), 래치바(500), 스토퍼(600)가 삽입되어 조립된다.
케이스(100) 내부에는 가이드몸체(300)가 삽입된다. 가이드몸체(300)는 케이스(10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몸체(300)는 선단측으로는 래치헤드(400)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후단측으로는 스토퍼(600)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래치헤드(400)는 래치바(500)와 연결되고, 래치바(500)는 다시 가이드몸체(300) 중앙에 형성된 래치헤드 관통창(310)을 관통하여 연결된다.
가이드몸체(30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래치바(500)가 관통하여 연결되기 위한 래치바 관통창(310)이 형성된다.
가이드몸체(300)의 선단방향에는 제1 결합부(320)가 형성되어, 래치헤드(400)의 제1 결합편(410)과 힌지결합된다. 제1 결합부(320) 및 제1 결합편(410)에 리벳(L)과 회동탄성부재(S)가 삽입되어 래치헤드(400)가 항상 선단방향으로 돌출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몸체(300)의 후단방향에는 제2 결합부(330)가 형성되어 스토퍼(600)의 제2 결합편(610)과 힌지결합된다. 제2 결합부(330) 및 제2 결합편(610)에도 리벳(L)과 회동탄성부재(S)가 삽입되어 스토퍼(600)가 항상 직립유지되도록 한다.
가이드몸체(300)와 힌지결합하는 래치헤드(4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부채꼴형상의 장방체로 형성되고, 래치헤드(400)의 중공 내부에는 래치바(500)의 선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된다.
즉, 래치바(500)의 선단에 형성되는 다각부재(510)가 래치헤드(400)의 중공 내부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됨으로써 래치바(500)의 이동에 따라 래치헤드(400)의 회전여부가 결정된다.
래치바(500)의 후단의 하면에는 후단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짐으로써 제1 경사면(5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경사면(520)은 스토퍼(600)의 제1 곡면(611)에 지지됨으로써 스토퍼(600)의 회전여부를 결정한다.
스토퍼(600)는 도어가 닫혀있을 때는 래치바(500)가 후단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고,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시킬 때는 지지력을 해제함으로써 래치바(500)가 후단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헤드(400)가 회전하도록 한다.
스토퍼(600)는 2개의 제2 결합편(610)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일정간격 이격된 형태로 구성되는데, 2개의 제2 결합편(610)이 연결된 상단 부분은 가이드몸체(300)의 제2 결합부(330)와 힌지결합한다.
이때, 리벳(L)과 회동탄성부재(S)에 의해 제2 결합부(330)와 제2 결합편(610)이 연결됨으로써 스토퍼(600)는 탄성력에 의해 항상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600)의 제2 결합편(610) 상단에서 래치바(500)와 맞닿는 부분에는 일정곡면이 형성되어 제1 곡면(611)이 형성된다. 제2 결합편(610)의 제1 곡면(611)은 래치바(500)의 제1 경사면(520)과 맞닿게 되어 래치바(50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600)의 제2 결합편(610)의 하단에는 리벳(L)에 의해 롤러(620)가 회전연결된다. 스토퍼(600)의 롤러(620)는 하부 케이스(120)의 경사챔버(121)에 안착되어 구름운동한다.
가이드몸체(300)와 연결되는 래치헤드(400), 래치바(500), 및 스토퍼(600)는 일체로 조립되어 케이스(100) 내부에 삽입되고, 가이드몸체(300)의 후면에는 리트렉터(700)가 연결된다.
리트렉터(700)는 가이드몸체(300)와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하는 부재로서, 'ㅁ'자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로 구성된다.
리트렉터(700)는 가이드몸체(300)와 연결되는 중앙 리트렉터(710)와, 중앙 리트렉터(710)의 양측면에 연결되는 2개의 사이드 리트렉터(720)와, 2개의 사이드 리트렉터(720)를 서로 연결하는 걸림바(730)를 포함한다.
사이드 리트렉터(720) 사이에 연결되는 걸림바(730)는 케이스(100)의 개방창(140)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데, 상기 걸림바(730)에 별도의 손잡이가 연결되어 손잡이에 의해 걸림바(730)가 견인되도록 함으로써 리트렉터(7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리트렉터(720)의 중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체(833)가 체결되는 체결공(721)이 형성된다.
2개의 사이드 리트렉터(720) 사이에는 허브체(800)가 구비된다. 허브체(800)는 리트렉터(72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체(800)는 제1 허브체(810)와, 제2 허브체(820)를 포함하고, 제1 허브체(810)와 제2 허브체(820) 사이에는 쉬프트체(830)가 끼워진다.
제1 허브체(810) 및 제2 허브체(820)는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간(801) 내에 쉬프트체(830)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허브체(810) 및 제2 허브체(820)의 전면에는 별도의 지지돌기(803)가 형성되어 가이드몸체(300)와의 사이에 탄성부재(840)가 끼워질 수 있다.
쉬프트체(830)의 중단에는 이탈방지블록(831)이 형성되어 이탈방지블록(831)에 의해 쉬프트체(830)가 제1 허브체(810) 및 제2 허브체(82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쉬프트체(830)의 이탈방지블록(831)의 전면에는 쉬프트블록(832)이 구비된다. 쉬프트블록(832)은 박공형태의 블록으로서 양측면에 위치하는 고정체(833)를 양측방으로 이동시킨다.
고정체(833)는 제1 허브체(810) 및 제2 허브체(82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80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쉬프트체(830)의 상하이동에 의해 박공형태의 쉬프트블록(832)의 경사면에 맞닿아서 관통공(802)의 내외부로 인입됨으로써 측방에 위치하는 리트렉터(72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즉, 도 6a와 같이, 쉬프트체(830)가 상방에 위치하게 되면 쉬프트블록(832)에 의해 고정체(833)가 관통공(802)의 외부로 밀려나서 리트렉터(720)의 체결공(721)에 체결됨으로써 리트렉터(700)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래치볼트가 적용된 도어가 잠기게 된다.
그리고, 도 6b와 같이, 쉬프트체(830)가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쉬프트블록(832)도 하방으로 밀려나고 그로 인해 고정체(833)가 관통공(802)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리트렉터(700)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래치볼트가 적용된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의 작동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7a 및 7b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래치헤드(400)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는 래치헤드(400)와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몸체(300)가 탄성부재(840)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는 상태이고, 래치헤드(400)와 연결되어 있는 래치바(500)의 후단을 스토퍼(600)가 직립된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래치헤드(400)가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고 돌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스토퍼(600)가 회동탄성부재(S)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래치바(500)를 전방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바람이 불거나 도어를 가압하더라도 래치헤드(400)가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고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는 쉬프트체(830)가 상방에 위치하여 고정체(833)가 관통공(802) 외부로 밀려나서 리트렉터(720)의 체결공(721)에 체결되어 리트렉터(700)의 이동을 제한하여 도어가 잠기게 된다.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쉬프트체(83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고정체(833)가 관통공(802)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여 리트렉터(700)의 고정을 해제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면, 손잡이와 연동되어 있는 리트렉터(700)의 걸림바(730)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리트랙터(700)는 가이드몸체(300)의 후면과 연결되고, 가이드몸체(300)는 래치헤드(400), 래치바(500), 및 스토퍼(600)와 연결되어 일체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몸체(300)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스토퍼(600)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스토퍼(600)의 롤러(620)가 하부 케이스(120)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경사챔버(121)를 따라 굴러 내려간다.
스토퍼(600)의 롤러(620)가 경사챔버(121)를 따라 굴러 내려감으로써 스토퍼(600) 자체가 회전하게 되고, 스토퍼(600)의 제2 결합편(610) 상단에 형성되는 제1 곡면(611)의 곡률이 변하면서 제1 곡면(611)과 맞닿는 래치바(500)가 점차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트렉터(70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리트렉터(700)와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몸체(300)도 더욱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몸체(300)와 연결되어 있는 스토퍼(600)도 더욱 회전하게 되어 스토퍼(600)에 형성된 제1 곡면(611)이 수평상태로 된다.
그러면, 스토퍼(600)의 제1 곡면(611)과 맞닿아있던 래치바(500)의 후단이 가이드몸체(300)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래치바(500)의 후방이동에 의해 래치바(500)의 선단과 연결되어 있는 래치헤드(400)가 완전히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어 래치헤드(400)가 케이스(100) 내부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리트렉터(7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400)가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되고 동시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에 따라 종래 도어를 빠르게 개방하거나 도어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힘이 약할 때 래치헤드(400)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에 걸려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기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개방시 래치헤드(40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래치헤드(400)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나 노약자와 같이 손힘이 약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리트렉터(700)의 견인력이 해제되면, 허브체(800)와 가이드몸체(300) 사이에 압착되어 있던 탄성부재(840)가 복원되면서 리트렉터(700)를 다시 전방방향으로 원위치시키게 된다.
리트렉터(700)가 전방으로 원위치되면서 리트렉터(700)와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몸체(300) 및 스토퍼(600)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토퍼(600)의 전방이동에 의해 회동탄성부재(S)의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600)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래치바(500)의 후단을 다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래치바(500)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래치헤드(400)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래치헤드(400)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래치바(50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케이스 110 : 상부 케이스
120 : 하부 케이스 200 : 래치커버
300 : 가이드몸체 320 : 제1 결합부
330 : 제2 결합부 400 : 래치헤드
500 : 래치바 510 : 다각부재
520 : 제1 경사면 600 : 스토퍼
610 : 제2 결합편 620 : 롤러
700 : 리트렉터 800 : 허브체
810 : 제1 허브 820 : 제2 허브
840 : 탄성부재

Claims (7)

  1. 선단에 래치커버가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의 측면에 삽입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상기 래치헤드의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상기 가이드몸체의 후면과 연결되고, 외부 손잡이와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몸체와 일체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트렉터;및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리트렉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허브체를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토퍼의 후방이동에 따라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해제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회전을 유도하는 경사챔버를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2 결합부와 힌지결합되는 제2 결합편과,
    상기 제2 결합편에 연결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편은
    상기 래치바의 후단에 형성된 제1 경사면과 맞닿는 제1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면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경사챔버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래치바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일정한 곡면이 형성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체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허브체 및 제2 허브체와,
    상기 제1 허브체 및 상기 제2 허브체 사이에 개재되고,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리트렉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쉬프트체를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체는
    상기 쉬프트체의 중단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블록과,
    상기 이탈방지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쉬프트체의 상하이동에 따라 고정체가 상기 제1 허브체 및 상기 제2 허브체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쉬프트블록을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렉터는
    상기 허브체의 지지돌기에 끼워지는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20170154720A 2017-11-20 2017-11-20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962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720A KR101962898B1 (ko) 2017-11-20 2017-11-20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720A KR101962898B1 (ko) 2017-11-20 2017-11-20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898B1 true KR101962898B1 (ko) 2019-03-28

Family

ID=6590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720A Expired - Fee Related KR101962898B1 (ko) 2017-11-20 2017-11-20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164B1 (ko) * 2020-01-22 2021-07-28 (주)메이즈텍 도어락 모티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69Y1 (ko) * 2003-08-14 2003-11-21 주식회사 엔젤금속 도어록의 래치 앗세이
KR20050036520A (ko) * 2003-10-16 2005-04-20 주식회사 봉영포금 프라이버시 도어록용 튜블라래치
KR200473263Y1 (ko) 2013-02-28 2014-06-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모티스록용 래치볼트 어셈블리
KR101453945B1 (ko) 2012-07-31 2014-10-23 주식회사 아일디엘텍 멀티타입 래치볼트
KR20170111228A (ko) * 2016-03-25 2017-10-12 윤채희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69Y1 (ko) * 2003-08-14 2003-11-21 주식회사 엔젤금속 도어록의 래치 앗세이
KR20050036520A (ko) * 2003-10-16 2005-04-20 주식회사 봉영포금 프라이버시 도어록용 튜블라래치
KR101453945B1 (ko) 2012-07-31 2014-10-23 주식회사 아일디엘텍 멀티타입 래치볼트
KR200473263Y1 (ko) 2013-02-28 2014-06-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모티스록용 래치볼트 어셈블리
KR20170111228A (ko) * 2016-03-25 2017-10-12 윤채희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164B1 (ko) * 2020-01-22 2021-07-28 (주)메이즈텍 도어락 모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148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JP2015517615A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176797B1 (ko) 도어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손잡이
KR101888253B1 (ko)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KR10195610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810480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96289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913935B1 (ko)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917565B1 (ko) 접이식 도어용 잠금장치
KR10181048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2009521B1 (ko) 푸쉬풀 도어락 장치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20120105083A (ko) 미닫이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101312234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2151620B1 (ko) 방 개폐 장치
GB2597803A (en) A child lock for a sliding window or door
JP4351119B2 (ja) 引き戸用のロック装置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JP5294820B2 (ja) 室内ドア
JP2000054703A (ja) 扉用錠前
KR200196768Y1 (ko) 슬라이딩 도어용 로킹장치
KR101876832B1 (ko) 이중창용 도어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