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1756B1 -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 Google Patents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756B1
KR101961756B1 KR1020170108462A KR20170108462A KR101961756B1 KR 101961756 B1 KR101961756 B1 KR 101961756B1 KR 1020170108462 A KR1020170108462 A KR 1020170108462A KR 20170108462 A KR20170108462 A KR 20170108462A KR 101961756 B1 KR101961756 B1 KR 10196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connection frame
auxiliary bus
fishing boat
colle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154A (ko
Inventor
성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스테크
Priority to KR102017010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7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7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어선에 장착되어 바다에서 생활하는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해파치 방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민들이 직접 해파리를 제거하 수 있도록 기존에 구비된 어선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수면과 인접하도록 떠있는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 파쇄기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Apparatus for crushing and discharging jellyfish}
본 발명은 일반 어선에 장착되어 바다에서 생활하는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해파치 방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민들이 직접 해파리를 제거하 수 있도록 기존에 구비된 어선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수면과 인접하도록 떠있는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 파쇄기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심각한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로 인해 원양이나 깊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해파리가 육지와 인접한 바다로 접근하고 있다. 해파리는 약 200여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중 식용이 가능한 해파리는 약 4종에 불과하기 때문에 육지로 접근하는 해파리는 대부분 식용이 불가능한 해파리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해파리로 인해 육지의 주변 인근의 어획량은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고, 그물을 이용하여 조업을 하는 경우 그물에 다수의 해파리가 포획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포획되는 해파리를 처리하기 위해 어민들은 별도의 노동력을 투입하여 해파리와 어류를 분류해야만 하였으며, 때에 따라서는 그물에 걸리는 어류보다 해파리의 양이 더 많은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해파리의 무게로 인해 그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어민들의 불편함을 겪었다.
또한 해파리가 해수욕장으로 접근하여 독성이 있는 촉수에 해수욕객들이 쏘일 수 있으며, 강한 독성을 갖는 해파리로 인해 쏘인 해수욕객의 생명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으로 깔때기 모양의 그물을 설치하고, 입구를 넓게 형성하여 해파리가 자연스럽게 그물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그물형 해파리 제거장치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해파리 제거장치는 그물 속에 해파리가 포획되었다고 하더라도 그물의 크기가 수십, 수백 미터에 이르는 대형이므로 그물 안에 갇혀 있는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되었고, 주기적으로 그물을 지상 또는 선상위로 끌어올려야 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해수욕객의 안전과 어민들의 생계를 보장할 수 있도록 바다에서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해파리 제거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0155호 '해파리 제거 장치' (공개일자 2011.04.20)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7310호 '해파리 수집 및 절단장치' (공개일자 2014.04.22) 3.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6907호 '해파리 절단 장치' (공개일자 2012.10.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사용중인 어선에 장착될 수 있고, 어선이 이동하면서 수면과 인접한 위치에 분포된 해파리를 포집할 수 있는 포집부와 포집된 해파리를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가 구비된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파리를 포집할 수 있도록 포집부와 분쇄기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작되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인해 설치 및 탈부착이 용이하고, 해파리가 선박의 이동방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는 해파리 방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부력을 갖는 보조모선(100); 일측이 상기 보조모선(100)과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프레임(200); 상기 보조모선(100)을 어선(漁船)(10)의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시키며 배치하도록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어선(1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부(300);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연결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상하프레임(400);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힌지부(500);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힌지부(50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힌지부(500)에 체결되며, 하방향으로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수면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어선의 진행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해파리가 유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포집부(600); 상기 포집부(6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포집부(600)로 유입된 해파리를 분쇄하여 상기 포집부(60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분쇄기(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모선(100)의 후면에 장착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1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추진체(110)와 연결되어 임의로 설정된 경로 또는 임의로 설정된 범위내에서 일정 시간동안 주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추진체(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행모듈부(8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프레임(400)의 상단에는 상기 포집부(6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포집부(600)의 일측에 체결되는 와이어(910)와 상기 와이어(910)를 권출 또는 권취하는 권취롤러(920)를 포함하는 견인부(9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어선(10)의 갑판 측면 난간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고정부(310); 상기 고정부(31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어선(10)과 상기 보조모선(100)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연결프레임안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모선(100)과 상기 어선(10)의 높이차이에 의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모선(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간격조절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집부(600)와 수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하는 경우 상기 포집부(600)와 파쇄기(700)의 하중으로 상기 상하프레임(40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측이 상하프레임(400)의 측면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부착되어 상기 상하프레임(4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연결프레임(200)이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연결프레임(200)을 연결하는 보강판(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파리를 포획하는 포집부와 분쇄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해수욕장과 같이 해수면의 수심이 낮은 곳과 수심이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해파리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어선이 이동중에는 이동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포집부를 상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민들이 쉽게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도록 기존 어선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원가 및 유지에 관련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무인주행과 유인주행이 선택적으로 가능하여 넓은 가용범위로 가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포집부가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포집부가 하강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 및 보강판의 장착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포집부가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포집부가 하강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 및 보강판의 장착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보조모선(100)을 갖는다. 보조모선(100)은 내부가 중공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부력을 가질 수 있으며, 수면 위에 부상하는 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보조모선(100)은 기존 어선(漁船)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어선(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보조모선(100)과 어선(1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00)이 더 구비된다. 연결프레임(200)은 일측이 보조모선(100)과 연결된다. 연결프레임(200)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 또는 봉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보조모선(100)을 어선(10)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거리만큼 연장된다.
도 1 및 도 4 를 참조하면 연결프레임(200)의 타측에 장착되는 장착부(300)가 구비된다. 즉, 장착부(300)가 연결프레임(200)의 타측에 장착되고, 장착부(300)는 어선(1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됨으로 인해 보조모선(100)이 어선(10)의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상하프레임(400)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다. 상하프레임(400)의 하단은 연결프레임(2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연결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이때, 연결프레임(200)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힌지부(500)가 체결된다. 힌지부(500)는 연결프레임(200)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연결프레임(200)과 수평을 이루는 회전봉(510)과 회전봉(5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봉(510)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520)을 포함한다. 지지브라켓(520)이 연결프레임(200)에 고정됨에 따라 회전봉(510)은 연결프레임(20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힌지부(500), 즉 회전봉(5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포집부(600)가 구비된다. 포집부(600)는 일측이 포집부(600)와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보(510)과 결합되는 연결브라켓(610)에 의해 회전봉(510)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포집부(600)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봉(51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 회전할 수 있다.
포집부(600)는 양측이 개방된 형상을 이루되, 각각의 개방된 개구부 중 어선(10)의 전방에 위치한 개구부의 면적이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개방된다. 즉, 포집부(600)가 하방향으로 회전시 포집부(600)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수면 아래에 위치한다. 이때, 포집부(600)의 넓은 면적을 갖는 개구부가 어선(10)의 전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어선의 진행방향에 대향 되는 방향으로 수면과 인접하여 분포된 해파리가 유입될 수 있다.
포집부(600)의 타측, 즉 포집부(600)에서 해파리가 유입되는 개구부 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분쇄기(700)가 설치된다. 분쇄기(700)는 포집부(600)의 개방된 면적을 밀폐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기(700)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이 구비되며, 회전날이 회전함에 따라 포집부(600)로 유입된 해파리가 회전날을 통과할 때 일정한 크기로 분쇄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날의 회전속도에 따라 분쇄되는 해파리의 잔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어선(10)의 추진력에 의해 포집부(600)가 이동하면 유입된 해파리는 일정크기로 분쇄되고 동시에 분쇄된 해파리는 포집부(60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보조모선(100)의 후면에는 추진체(110)가 더 구비된다. 추진체(110)는 보조모선(100)에 장착되어 추진력을 제공한다. 보조모선(100)은 어선(10)의 추진력에 의해 어선(10)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나, 추진체(110)의 추진 동력과 더불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어선(10) 또는 보조모선(100)에는 무인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추진체(110)를 제어하는 주행모듈부(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주행모듈부(800)는 추진체(110)와 연결되어 추진체(110)의 추진력의 제공방향 및 구동을 제어한다. 주행모듈부(800)는 GPS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된 경로를 따라 추진체(110)의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여 어선(10)과 보조모선(100)을 함께 무인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자율 주행이 가능한 모듈도 탑재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무인 또는 유인으로 주행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상하프레임(400)의 상단에는 포집부(6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견인부(900)가 구비된다. 즉, 견인부(900)는 포집부(600)를 상방향으로 견인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견인부(900)는 와이어(910)과 권취롤러(920)를 포함한다. 권취롤러(920)는 구동모터에 동력 의해 힌지부(5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권취롤러(920)는 화이어(910)가 연결되어 권취된다. 이때, 와이어(910)는 포집부(600)의 일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권취롤러(920)가 와이어(910)를 권출시키면 포집부(600)는 하강하여 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와이어(910)를 권취시키면 포집부(900)가 상승하여 어선(10) 및 보조모선(100)에 가해지는 물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장착부(300)는 고정부(310), 연결프레임안착부(320)를 포함한다. 고정부(310)는 어선(10) 갑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진 어선(10)의 측면 난간에 삽입되어 끼워지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연결프레임안착부(320)는 고정부(310)의 상단에 형성된다. 연결프레임안착부(320)에는 연결프레임(200)의 타측이 삽입되어 연결프레임안착부(3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연결프레임안착부(320)는 어선(10)과 보조모선(100)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된 연결프레임(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보조모선(100)과 연결프레임(200)의 일측 사이에는 간격조절대(330)가 더 구비된다. 간격조절대(330)는 보조모선(100)의 상면과 어선(10)의 상면 상호간의 높이차이로 인해 연결프레임(20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즉, 어선(10)의 크기에 따라 안격조절대(350)가 이루는 높이는 조절될 수 있으며, 규격화로 인해 다수개 구비되어 어선(10)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 를 참조하면 상하프레임(4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10)이 구비된다. 지지프레임(210)은 소정의 길이롤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며 일측이 상하프레임(400)의 측면이 접촉 고정되고, 타측은 연결프레임(200)에 부착된다. 이때 지지프레임(210)이 이루는 각도는 30~6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포집부(600)가 견인되는 경우 포집부(600)와 파쇄기(700)의 하중에 의해 상하프레임(40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연결프레임(200) 및 장착부(300)는 일정간격 이격되며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어선(10)과 보조모선(100)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연결프레임(200)에는 휨응력, 뒤틀림응력 등이 작용하므로 휘거나 파손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연결프레임(200)과 결합되는 보강판(2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판(220)은 수면과 평행을 이루며 소정의 두께로 제작되어 연결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보조모선(100)이 기존 어선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어민들의 접근이 용이하고, 무인주행과 유인주행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에 관련한 비용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100 : 보조모선 110 : 추진체
200 : 연결프레임 210 : 지지프레임
220 : 보강판 300 : 장착부
310 : 고정부 320 : 연결프레임안착부
330 : 간격조절대 400 : 상하프레임
500 : 힌지부 600 : 포집부
700 : 분쇄기 800 : 주행모듈부
900 : 견인부 910 : 와이어
920 : 권취롤러

Claims (5)

  1. 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부력을 갖는 보조모선(100);
    일측이 상기 보조모선(100)과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프레임(200);
    상기 보조모선(100)을 어선(漁船)(10)의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시키며 배치하도록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어선(1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부(300);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연결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상하프레임(400);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힌지부(500);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힌지부(50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힌지부(500)에 체결되며, 하방향으로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수면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어선의 진행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해파리가 유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포집부(600);
    상기 포집부(6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포집부(600)로 유입된 해파리를 분쇄하여 상기 포집부(60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분쇄기(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모선(100)의 후면에 장착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1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추진체(110)와 연결되어 임의로 설정된 경로 또는 임의로 설정된 범위내에서 일정 시간동안 주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추진체(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행모듈부(8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프레임(400)의 상단에는 상기 포집부(6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포집부(600)의 일측에 체결되는 와이어(910)와 상기 와이어(910)를 권출 또는 권취하는 권취롤러(920)를 포함하는 견인부(9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어선(10)의 갑판 측면 난간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고정부(310);
    상기 고정부(31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어선(10)과 상기 보조모선(100)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연결프레임안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모선(100)과 상기 어선(10)의 높이차이에 의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모선(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간격조절대(3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600)와 수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하는 경우 상기 포집부(600)와 파쇄기(700)의 하중으로 상기 상하프레임(40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측이 상하프레임(400)의 측면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부착되어 상기 상하프레임(4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연결프레임(200)이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연결프레임(200)을 연결하는 보강판(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KR1020170108462A 2017-08-28 2017-08-28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Active KR10196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62A KR101961756B1 (ko) 2017-08-28 2017-08-28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62A KR101961756B1 (ko) 2017-08-28 2017-08-28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54A KR20190023154A (ko) 2019-03-08
KR101961756B1 true KR101961756B1 (ko) 2019-03-25

Family

ID=6580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462A Active KR101961756B1 (ko) 2017-08-28 2017-08-28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7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3652A (zh) * 2019-11-17 2020-01-10 克小改 一体化立体水产捕获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400B1 (ko) * 2022-03-16 2022-09-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장착용 분쇄기일체형 괭생이모자반 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74Y2 (ja) * 1979-10-15 1985-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密閉形制御機器の放熱装置
KR101181975B1 (ko) 2009-10-13 2012-09-11 한만송 해파리 제거 장치
KR200467033Y1 (ko) 2011-03-29 2013-05-27 정기철 해파리 절단 장치
KR101474066B1 (ko) 2012-10-12 2014-12-22 한국과학기술원 해파리 수집 및 절단장치
KR20160077768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라스테크 해파리 제거용 수중 분쇄장치
KR101738550B1 (ko) * 2015-11-04 2017-06-08 라광호 착탈이 용이한 해양 부유생물 제거장치
KR101780582B1 (ko) * 2016-02-11 2017-09-2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연속식 녹조 제거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3652A (zh) * 2019-11-17 2020-01-10 克小改 一体化立体水产捕获装置
CN110663652B (zh) * 2019-11-17 2021-07-23 芜湖盛典休闲生态园有限公司 一体化立体水产捕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54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349B2 (en) Submersible cage and system for fish farming
KR101669852B1 (ko) 해파리 제거장치
CN105007719B (zh) 近海水产养殖设施
US6860677B2 (en) Floating river debris skimmer
US5138963A (en) Boat enclosure assembly for boat maintenance
KR101961756B1 (ko)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US8413609B2 (en) Device for colonizing and harvesting marine hardground animals
EP1806964B1 (en) Containment pens for finfish aquaculture
KR101474066B1 (ko) 해파리 수집 및 절단장치
CN103348955A (zh) 灯光封闭式围网渔船
US20090193776A1 (en) Pond skuzz collector
KR1010514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 쓰레기 수거 장치
KR20160077768A (ko) 해파리 제거용 수중 분쇄장치
CN210177480U (zh) 一种基于水利工程的闸坝水草清理装置
CN111809589A (zh) 一种河道污染物清理装置
KR101181975B1 (ko) 해파리 제거 장치
US7033490B2 (en) Floating, multi-directional pool skimmer
KR101895601B1 (ko) 해파리 수집 장치
JP2618772B2 (ja) 水中ごみ類回収装置
CN110432220B (zh) 一种裂腹鱼类养殖增氧设备
US20130269583A1 (en) Boat docking apparatus that maintains boat away from shallow waters
CN115450189B (zh) 城市群河涌水网漂浮垃圾拦截收纳系统
CN203482777U (zh) 灯光封闭式围网渔船
KR20120090572A (ko) 선박의 주낙장치
CN206624283U (zh) 水上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