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458B1 - Spent nuclear fuel dry storage cask - Google Patents
Spent nuclear fuel dry storage cas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1458B1 KR101961458B1 KR1020170026497A KR20170026497A KR101961458B1 KR 101961458 B1 KR101961458 B1 KR 101961458B1 KR 1020170026497 A KR1020170026497 A KR 1020170026497A KR 20170026497 A KR20170026497 A KR 20170026497A KR 101961458 B1 KR101961458 B1 KR 1019614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cask
- basket
- cooling unit
- sp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915 spent fuel radioactive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359 shock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758 nuclear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Fre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EAYESYHFKHZAL-UHFFFAOYSA-N Sodium Chemical compound [Na] KEAYESYHFKHZ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639 bor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7 radio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0—Heat-removal systems, e.g. using circulating fluid or cooling fi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 G21F5/008—Containers for fuel element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08—Shock-absorbers, e.g. impact buffers for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사용후 핵연료에 대한 냉각 효율을 높이고 임계도 제어에 우수한, 사용후 핵연료를 저장하는 경수로용 사용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에 있어서, 외측 케이스를 이루는 캐스크,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가 저장되며 상기 캐스크 내부에 배열하여 적재되는 복수개의 바스켓, 상기 캐스크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되어 캐스크를 밀봉하는 리드, 상기 각 바스켓에 설치되고 사용후 핵연료의 잔열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냉각부, 상기 리드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와 연결되어 냉각부에서 전도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경수로용 사용후 핵연료 건식 저장 용기를 제공한다.A spent fuel dry storage vessel for a light-water reactor, wherein the spent fuel is stored, wherein the spent fuel is stored and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spent fuel is enhanced and the criticality is excellent, wherein a cask and spent fuel assemblies constituting the outer case are stored, A cooling unit installed on each of the baskets for absorbing and removing residual heat of the spent nuclear fuel, and a cooling unit installed on the lid, And a heat dissipating unit connected to the cooling unit to dissipate the heat conducted from the cooling unit to the out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nt fuel dry storage vessel for a light water reactor.
일반적으로, 경수로(Light Water Reactor)에서 원자력 발전용으로 사용된 후의 핵연료(이하 '사용후 핵연료'라 한다)는 최종 처분 이전에 특수 설계된 저장 용기에 수납된 상태에서 저장 장소에 보관된다.Generally, nuclear fu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nt fuel') used for nuclear power generation in Light Water Reactor is stored in a storage place in a specially designed storage container before final disposal.
사용후 핵연료의 저장 방법은 크게 습식 저장 방법과 건식 저장 방법으로 구분된다. 최근 들어 용량 확장과 장기 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건식 저장 방법이 주로 채택되어 이용되고 있다. 사용후 핵연료의 건식 저장은 습식 저장 방식과 비교하여 우수한 안정성, 저렴한 운영비 및 저장 용량의 증대 및 우수한 확장성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The method of storing spent fuel is divided into wet storage method and dry storage method. In recent years, dry storage methods, which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capacity expansion and long-term management, have been mainly employed. Dry storage of spent fuel has advantages such as excellent stability, low operating cost, storage capacity increase and excellent expandability compared with wet storage method.
건식 저장 방식은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가 적재된 복수개의 바스켓을 금속 용기인 캐스크 내에 수용하여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the dry storage method, a plurality of baskets loaded with spent fuel assemblies are accommodated and stored in a cask, which is a metal container.
사용후 핵연료는 많은 양의 열중성자가 발생된다. 이에 건식 저장 용기는 장시간 동안 사용후 핵연료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보다 우수한 냉각 효율 및 임계도(criticality) 제어가 요구된다.Spent fuel generates large amounts of thermal neutrons. Therefore, dry storage containers require better cooling efficiency and criticality control so that spent fuel can be stably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에, 사용후 핵연료에 대한 냉각 효율을 높이고 임계도 제어에 우수한 경수로용 사용후 핵연료 건식 저장 용기를 제공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ent fuel storage vessel for a light-water reactor, which is excellent in cooling efficiency for spent nuclear fuel and in controlling criticality.
또한, 저장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잔열의 제거 효율을 높여, 저장용기 내부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경수로용 사용후 핵연료 건식 저장 용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pent fuel storage vessel for a light-water reactor, which can reduce the residual heat generated inside the storage vessel and reduc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orage vessel.
또한, 저장용기 구조재의 고온 열화, 부식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경수로용 사용후 핵연료 건식 저장 용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pent fuel storage vessel for a light-water reactor capable of reducing deterioration of high temperature and corrosion of a storage vessel structural member.
본 구현예의 저장용기는, 사용후 핵연료를 저장하는 경수로용 사용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에 있어서, 외측 케이스를 이루는 캐스크,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가 저장되며 상기 캐스크 내부에 배열하여 적재되는 복수개의 바스켓, 상기 캐스크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되어 캐스크를 밀봉하는 리드, 상기 각 바스켓에 설치되고 사용후 핵연료의 잔열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냉각부, 상기 리드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와 연결되어 냉각부에서 전도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ry fuel storage container for a light-water reactor, which stores spent nuclear fuel, wherein a cask constituting an outer case, a spent fuel assembly and a plurality of baskets arranged in the cask, A cooling unit installed in each of the bases and absorbing residual heat of the spent nuclear fuel and connected to the cooling unit, the cooling unit being installed in the open top of the cask to seal the cask, And a heat dissipation unit that dissipates the heat conducted in the heat dissipation unit.
상기 캐스크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각 바스켓의 위치 및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sk may further include spac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to maintain a position and an interval of the baskets.
상기 캐스크 하단에 위치하는 충격 완충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hock absorbing material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k.
상기 냉각부는 각 바스켓 축방향을 따라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 설치되고 바스켓의 잔열을 흡수하여 상기 방열부로 전도하는 복수개의 히트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 pipes extend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basket axis and absorbing residual heat of the basket and conducting the heat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바스켓 내부에 수용된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의 계측관 또는 안내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heat pipe may be installed at a measuring pipe or a guide pipe of the spent nuclear fuel assemblies accommodated in the basket.
상기 히트파이프 내부에 구비되어 중성자를 흡수하는 중성자 흡수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neutron absorber provided inside the heat pipe to absorb neutrons.
상기 방열부는 상기 리드가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갖는 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리드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작동 유체가 상기 리드 내부 공간으로 유통되어 열을 전도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heat dissipating unit may have a tubular structure in which the lead has a space sealed therein, and the heat pipe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reed, and a working fluid may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reed to conduct heat.
상기 히트파이프는 내주면에 이격되고 표면에 홀이 형성된 베플이 설치되어, 액체 상태의 작동유체와 증기 상태의 작동유체를 구분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heat pipe may be a structure that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a bell having a hole formed on its surface to separate a working fluid in a liquid state from a working fluid in a vapor state.
상기 리드는 외주부를 따라 설치되어 캐스크 상단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를 구비하여 캐스크 상단을 밀봉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lid may include a plurality of bolts installed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cask to seal the top of the cask.
본 구현예의 따르면, 중성자 흡수체 및 냉각재를 통해 경수로용 건식 저장 용기 내에 적재된 사용후 핵연료의 냉각 성능 및 임계도 제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cooling performance and the criticality control effect of the spent nuclear fuel loaded in the dry storage container for the light water reactor through the neutron absorber and the coolant.
이에, 사용후 핵연료에서 발생된 잔열을 외부 전력 공급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20년 이상 장시간 저장하는 동안 저장용기의 고온 열화, 부식 현상 등을 저감시켜 장기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residual heat generated from the spent nuclear fuel can be effectively removed without supplying external power, and the long-term integrity can be secured by reducing the deterioration of the high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corrosion phenomenon during storage for 20 years or more.
또한, 중성자 흡수체를 통한 임계도 제어에 의해 사용후 핵연료 저장 기간 중 발생 가능한 재임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건식 저장 용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방사성 물질 및 방사선 누출의 위험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Also, by controlling the criticality through the neutron absor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re-critical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spent fuel storage period,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dry storage container, and to reduce the risk of radioactive material and radiation leakage.
또한, 냉각 성능 향상과 임계도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보다 많은 양의 사용후 핵연료를 저장용기 내의 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추가 시설의 구축없이 안전하고 신속한 용량 확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oling performance is improved and the criticality control is effectively performed, a larger amount of spent fuel can be efficiently stored in a narrow space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a safe and quick capacity expansion effect can be expected without building additional facilities.
또한, 충분한 냉각 성능과 임계도 제어 성능을 가진 소내 독립적으로 설치 가능한 경수로용 건식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dry storage container for light water reactors that can be independently installed in the plant, having sufficient cooling performance and criticality control performanc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의 일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spent fuel dry storage container for a light-water re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part of the structure of a spent fuel dry storage vessel for a light-water re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herever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상기 저장용기의 열전도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FIG. 1 shows a spent fuel dry storage vessel for a light-water re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thermal storage vesse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경수로용 사용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100)는, 외측 케이스를 이루는 캐스크(10),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20)가 저장되며 상기 캐스크 내부에 배열하여 적재되는 복수개의 바스켓(30), 상기 캐스크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되어 캐스크를 밀봉하는 리드(40), 상기 각 바스켓에 설치되고 사용후 핵연료의 잔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전도하여 제거하는 냉각부(50), 상기 리드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와 연결되어 냉각부에서 전도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부(60)를 포함한다.1, the spent nuclear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부(50)는 상기 리드(40)에 연결되어 바스켓(30)에서 흡수한 열을 리드(40)로 전도하여, 외기와 접하고 있는 리드(40)를 통해 외부로 방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이에, 바스켓(30) 내부의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 잔열이 냉각부(50)를 통해 신속하게 리드(40)로 전달되어 대면적의 리드(40)를 통해 외부로 방열처리됨으로써, 잔열 제거 효율을 높이고 저장용기(100)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us, the spent fuel aggregate residual heat in the
이하 각 구성부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캐스크(10)는 내부에 바스켓(30)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저장용기의 외부 케이스를 이룬다. 상기 캐스크(10)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캐스크(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스크(10)는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20)가 수용된 바스켓(30)을 감싸 바스켓(30) 내부의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로부터 발생된 열과 방사선을 차폐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상기 캐스크(10)의 하단에는 캐스크(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 완충재(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스크(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바스켓(30)을 지지하여 그 위치 및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14)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14)는 캐스크(10)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캐스크(1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14)는 판 구조물로 외측 선단은 캐스크(10) 내주면에 접하고 내측 선단은 배열된 바스켓(30)의 외측면에 접하여 바스켓(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A
상기 바스켓(30)은 캐스크(10)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바스켓(30)의 내부 공간에는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20)가 저장된다. 복수개의 바스켓(30)이 캐스크(10) 내부에 배열되어 적재된다. 복수개의 바스켓(30)은 캐스크(10) 내주면에 설치된 스페이서(14)에 의해 지지되어 그 배열 상태를 유지한다.The basket (30) has a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sk (10)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The
상기 바스켓(30)에 저장되는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20)는 계측관 또는 안내관이 구비된다. 상기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20)의 계측관이나 안내관 위치에 상기 냉각부(50)의 히트파이프(52)가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 spent
계측관과 안내관은 내부가 빈 관로이다. 핵연료 집합체가 원자로 내부에 장전되면 계측관을 통해 다수의 계측기가 위치하여 원자로 정보를 측정한다. 또한, 안내관을 통해서 제어봉이 상하 위치로 움직여 반응도 및 원자로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상기 핵연료 집합체의 계측관 또는 안내관은 핵연료 집합체에서 핵연료봉이 위치하지 않는 빈 채널로 이해할 수 있다. The measuring tube and the guide tube are empty tubes. When nuclear fuel assemblies are loaded inside the reactor, a number of instruments are located through the measuring tubes to measure the reactor information. Further, the control rod is moved to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through the guide pipe to control the reactivity and the reactor output. Therefore, the measurement tube or the guide tube of the nuclear fuel assembly can be understood as an empty channel in which the fuel rod is not located in the nuclear fuel assembly.
이와 같이, 히트파이프가 계측관과 안내관을 통해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바스켓 내부에서 사용후 핵연료의 잔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 pipe is located inside the spent nuclear fuel assemblies through the measuring tube and the guide tub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and remove the residual heat of the spent nuclear fuel in the basket.
상기 캐스크(10)의 상단은 내부로 바스켓(30)을 장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캐스크(10)의 개방된 상단에 리드(40)가 설치되어 캐스크(10) 내부를 밀봉한다. 상기 리드(40)는 외주부를 따라 캐스크(10)와의 조립을 위한 복수개의 볼트(42)가 장착된다. 이에, 리드를 캐스크 상단에 설치하고 볼트를 체결하여 캐스크의 개방된 상단을 리드로 밀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트(42)는 리드의 내부 공간을 지나도록 길게 연장되어 캐스크 상단에 체결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upper end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40)는 냉각부(50)에서 전도된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드(40)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부(60)를 구비한다. 방열부(60)의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리드(40)는 바스켓(30) 상부에서 냉각부(50)를 매개로 바스켓(30)과 연결된다. 이에, 각 바스켓(30)에서 발생되는 열은 냉각부(50)를 통해 흡수되고 리드(40)로 신속하게 전달되어 리드(40)의 방열부(60)를 통해 외부로 방열처리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부(50)는 바스켓(30) 축방향을 따라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 설치되고, 각 바스켓(30)의 잔열을 흡수하여 상기 리드(40)의 방열부(60)로 전도하는 복수개의 히트파이프(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상기 히트파이프(52)는 캐스크(10) 내부에 배열된 각 바스켓(30)의 배열 상태와 동일하게 배치되어 각 바스켓(30)에 연결된다. 상기 히트파이프(52)는 바스켓(30) 내부에 수용된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20)의 계측관 또는 안내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바스켓(30)에 설치된 히트파이프(52)는 캐스크(10) 상부의 리드(40)와 연결된다. 이에, 히트파이프(52)에서 흡수된 열은 상부로 전달되어 리드(40)로 전도되고 리드(40)에 구비된 방열부(60)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 처리된다. The
상기 히트파이프(52)는 바스켓(30)의 열을 흡수하여 신속하게 리드(40)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heat pipe)로써 작용을 한다. 이에, 바스켓(30) 내부에 저장된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20)로부터 발산되는 잔열이 바스켓(30)에 설치된 각 히트파이프를 통해 리드(40)로 전도되어 제거된다. The
상기 히트파이프(52)는 내부에 프레온, 물, 나트륨 금속 등의 작동유체가 수용된 관 구조물로, 작동유체가 액체와 증기로 상변화되면서 빠른 속도로 열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히트파이프(heat pipe)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이에, 히트파이프(52) 내에 수용된 작동유체는 바스켓(30) 내부에 수용된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20)의 잔열을 흡수하면서 가열되고, 가열된 작동유체는 증기 상태로 상변화되어 상부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리드(40)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 히트파이프(52) 상부로 이동된 증기 상태의 작동유체는 방열되면서 응축되고, 응축된 액체는 다시 중력에 의해 관로를 따라 하강되어 잔열이 발생되는 바스켓(30)으로 이동된다. 히트파이프(52)는 이러한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바스켓(30)에서 발생되는 잔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키게 된다.Thus, the working fluid contained in the
상기 히트파이프(52)는 바스켓(3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바스켓(30) 내부에 저장된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20)의 잔열이 히트파이프(52)로 전도되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각 히트파이프(52)는 상부로 연장되어 바스켓(30) 위쪽에 배치된 리드(40)의 하단에 연결된다. The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52)는 내부에 중성자 흡수체(54)가 구비된다. 상기 중성자 흡수체(54)는 중성자 흡수 반응 단면적 큰 물질로, 예를 들어, 상기 중성자 흡수체(54)는 보론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중성자 흡수체(54)는 바스켓(30) 내에 저장된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20)로부터 빠른 속도로 발산되는 중성자를 흡수하여 임계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중심 히트 파이프(52) 내에 중성자 흡수체(54)를 내장함에 따라 바스켓(30)의 내부 잔열 제거와 더불어 임계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열부(60)는 리드(40)가 내부에 밀폐된 공간(62)을 갖는 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트파이프(52)는 상기 리드(40)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작동 유체가 상기 리드(40) 내부 공간으로 유통되어 열을 전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이에, 냉각부(50)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여 냉각부(50)로부터 전달된 열을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리드(40)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40)는 내부가 빈 밀폐된 공간(62)을 구비한 구조로, 상기 히트파이프(52)는 리드(40)의 내부 공간(62)과 연통된다. 방열부를 구성하는 리드(40)의 내부 공간(62)은 예를 들어, 진공 상태로 히트파이프(52)와 연통 설치될 수 있다.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에, 히트파이프(52)의 흡열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증기 상태의 작동유체는 히트파이프(52) 상단을 통해 연통되어 있는 리드(40) 내부 공간(62)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증기 상태의 작동유체는 리드(40)의 내부 공간에서 리드(40) 전체 면과 접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working fluid in the vapor state, which is moved upward by the heat absorption of the
즉, 히트파이프(52)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대면적을 갖는 리드(40)와 작동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히트파이프(52)의 상부로 전도된 열이 급격하게 리드(40)로 전도된다. 리드(40)로 전달된 열은 외기와 접하고 있는 리드(40) 전면을 통해 외부로 방열된다. 리드(40)와 열교환되면서 응축된 작동유체는 히트파이프(52)를 통해 다시 아래로 내려가 바스켓(30) 내부 잔열을 흡수하게 된다.That is, the heat condu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갖는 리드(40)와 히트파이프(52)를 연통한 방열부(60) 구조를 통해 리드(40)와 히트파이프(52)의 작동유체 간의 열교환을 수행함으로써, 바스켓(30) 내부 잔열 제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By performing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50)는 상기 히트파이프(52) 내부에 설치되는 베플(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플(56)은 히트파이프(52) 내주면에 이격되고 표면에는 홀(58)이 형성된 관 구조물로, 히트파이프(52) 내부에서 액체 상태의 작동유체와 증기 상태의 작동유체 사이의 유로를 구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베플(56)은 히트파이프(52) 중심에서 리드(40) 내부 공간(62)으로 돌출 형성된다. 베플(56)에 형성된 홀(58)을 통해 증기 상태의 작동유체가 배출되어 리드(4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The cooling
이와 같이, 베플(56)에 의해 히트파이프(52) 내에서 상변화된 작동유체의 유로가 구분되어 상하 이동이 보다 원활해짐으로써, 열전달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플(56)을 구비함으로써, 히트파이프(52)의 직경에 상관없이 히트파이프(52) 내에서 상변화된 작동유체의 유로 구분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히트파이프(52) 설계를 통하여 열전달 면적을 확보하고 잔열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low path of the phase-changed working fluid in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While the illustr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other embodiments will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캐스크 20 :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
30 : 바스켓 40 : 리드
42 : 볼트 50 : 냉각부
52 : 히트파이프 54 : 중성자 흡수체
56 : 베플 58 : 홀
60 : 방열부 62 : 공간10: Cask 20: Spent fuel assembly
30: Basket 40: Lead
42: bolt 50: cooling part
52: heat pipe 54: neutron absorber
56: Baffle 58: Hole
60: heat sink 62: space
Claims (9)
외측 케이스를 이루는 캐스크,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가 저장되며 상기 캐스크 내부에 배열하여 적재되는 복수개의 바스켓, 상기 캐스크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되어 캐스크를 밀봉하고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갖는 통 구조로 이루어진 리드, 상기 각 바스켓에 설치되고 사용후 핵연료의 잔열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냉각부, 및 상기 리드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와 연결되어 냉각부에서 전도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각 바스켓 축방향을 따라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 설치되고 바스켓의 잔열을 흡수하여 상기 방열부로 전도하는 복수개의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리드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리드 내부 공간으로 유통되어 열을 전도하고, 액체 상태의 작동유체와 증기 상태의 작동유체를 구분하는 구조인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A spent fuel storage vessel for a light-water reactor for storing spent fuel,
A plurality of baskets for storing cask and spent fuel assemblies constituting the outer case and arranged and disposed in the cask, a plurality of baskets installed at the open upper end of the cask to seal the cask, A cooling unit installed in each of the baskets for absorbing and removing residual heat of the spent nuclear fuel and a heat dissipation unit installed in the reed and connected to the cooling unit to dissipate the heat conducted from the cooling unit to the outside and,
The cool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pipes extend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basket axis and absorbing the residual heat of the basket and conducting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The heat pipe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reed so that a working fluid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reed to conduct heat and the working fluid in a vapor state is separated from the working fluid in a liquid state. .
상기 캐스크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각 바스켓의 위치 및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pacers spaced along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cask to maintain the position and spacing of the baskets.
상기 캐스크 하단에 위치하는 충격 완충재를 더 포함하는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ock-absorbing material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k.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바스켓 내부에 수용된 사용후 핵연료 집합체의 계측관 또는 안내관 위치에 설치되는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pipe is installed at a measuring pipe or a guide pipe of spent nuclear fuel assemblies accommodated in the basket.
상기 히트파이프 내부에 구비되어 중성자를 흡수하는 중성자 흡수체를 더 포함하는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eutron absorber provided inside the heat pipe to absorb neutrons.
상기 히트파이프는 내주면에 이격되고 표면에 홀이 형성된 베플이 설치된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eat pipe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s a baffle having a hole formed in the surface thereof.
상기 리드는 외주부를 따라 설치되어 캐스크 상단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를 구비하여 캐스크 상단을 밀봉하는 구조의 경수로용 사용 후 핵연료 건식 저장용기.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ead has a plurality of bolts installed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fastened to the top of the cask to seal the top of the cas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497A KR101961458B1 (en) | 2017-02-28 | 2017-02-28 | Spent nuclear fuel dry storage cas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497A KR101961458B1 (en) | 2017-02-28 | 2017-02-28 | Spent nuclear fuel dry storage cas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9272A KR20180099272A (en) | 2018-09-05 |
KR101961458B1 true KR101961458B1 (en) | 2019-03-22 |
Family
ID=6359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6497A Active KR101961458B1 (en) | 2017-02-28 | 2017-02-28 | Spent nuclear fuel dry storage cas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145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2714B1 (en) | 2019-11-14 | 2021-05-14 |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Spent Fuel Disposal Canister by passive cooling with heat pip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59872A (en) * | 2018-12-29 | 2019-06-07 | 无锡中核电力设备有限公司 | A spent fuel storage baske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82104A (en) * | 2012-12-21 | 2014-07-02 | 주식회사 포스코 | Cask for storaging nuclear fuel rod |
KR101558963B1 (en) * | 2013-08-23 | 2015-10-08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Apparatus for structural test of container storing spent nuclear fuel |
-
2017
- 2017-02-28 KR KR1020170026497A patent/KR101961458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2714B1 (en) | 2019-11-14 | 2021-05-14 |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Spent Fuel Disposal Canister by passive cooling with heat pi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9272A (en) | 2018-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81013B2 (en) | Molten salt reactor | |
JP5727799B2 (en) | Heat transfer device for reactor containment | |
JP6972189B2 (en) | Reactor core | |
US11476011B2 (en) | Reactor core having both nuclear fuel and a heat pipe in a module located in a solid neutron moderator | |
JPH0122919B2 (en) | ||
JP2015508486A (en) | Emergency reactor core cooling system (ECCS) using closed heat transfer path | |
KR101961458B1 (en) | Spent nuclear fuel dry storage cask | |
KR20220079865A (en) | Nuclear reactor with liquid metal alloy fuel and/or moderator | |
FI129308B (en) | Nuclear reactor module and nuclear power district heating reacto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nuclear reactor module | |
RU2465662C1 (en) |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and/or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 | |
CN108028081B (en) | Passive protection device for nuclear reactor | |
CN109147974B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pent fuel storage container of nuclear power station | |
KR101840807B1 (en) | Spent nuclear fuel dry storage cask | |
RU2660942C1 (en) | Active zone of the nuclear reactor | |
JP3666836B2 (en) | Reactor containment cooling equipment | |
CN212010380U (en) | A secondary shielded water tank heat pipe type passive temperature controller | |
CA2994937C (en) | Passively cooled ion exchange column | |
CN105913883B (en) | The passive reactor core fused mass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of reactor and operation method | |
KR102252714B1 (en) | Spent Fuel Disposal Canister by passive cooling with heat pipe | |
CN114765077B (en) | Device for alleviating containment overpressure risk and containment | |
KR102777229B1 (en) | A micro-nuclear reactor equipped with a hybrid control rod as a passive safety device | |
CN222896548U (en) | A transport container for a secondary neutron source assembly | |
RU2724919C1 (en) | Reactor-converter | |
JP2016217798A (en) | Nuclear transformation device and nuclear reactor | |
CN116825414A (en) | nuclear pow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