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856B1 -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9856B1 KR101959856B1 KR1020170168172A KR20170168172A KR101959856B1 KR 101959856 B1 KR101959856 B1 KR 101959856B1 KR 1020170168172 A KR1020170168172 A KR 1020170168172A KR 20170168172 A KR20170168172 A KR 20170168172A KR 101959856 B1 KR101959856 B1 KR 101959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storage tank
- rainwater
- water
- rainwater stor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에서 빗물저류조와 관련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의 계통도.
12: 홀(hole) 13: 수위계
14,14': 수중펌프 15: 토양수분공곱관
16: 세척용수공급관 17: 전동밸브
20: 토양수분계 30: 지하수 수위계
40: 강우설량계 50: 펌프/계측제어반
60: 1차저류조 61: 우수받이
62: 제1연결관 63: 제2연결관
70: 생태연못 71: 생태연못공급관
72: 스크린
Claims (9)
- 지하에 매설되고 벽체의 일정 높이 이상과 천정 전체면에는 벽체와 천정을 관통하는 홀(12)이 형성된 빗물저류조(10)와;
상기 빗물저류조(10) 내부에 빗물저류조(10) 내의 수위를 체크하기 위한 수위계(13)와;
상기 빗물저류조(10)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14)와;
상기 수중펌프(14)에 연결설치되고 지하에 매설되는 토양수분공급관(15)과;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토양수분계(20)와;
지하수의 수위를 계측하기 위해 천공된 계측공에 삽입되는 지하수 수위계(30)와:
상기 토양수분계(20), 지하수 수위계(30)와 수위계(13)에 의한 토양의 수분함량, 지하수 수위와 빗물저류조 내의 수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수중펌프(14)를 제어하는 펌프/계측제어반(50), 및
상기 빗물저류조(10)로 빗물을 유도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되는 1차저류조(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류조(10) 벽체의 일정 높이 이하와 바닥이 토양과 접하는 부분에는 차수막(11)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강우량 또는 강설량을 측정하고 상기 빗물저류조(10)로 유입되는 강우면적과 강우설량 및 토양 함수비를 고려하여 빗물저류조(10)의 예상 저류량을 산출가능하도록 하는 강우설량계(4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수분계(20) 또는 지하수 수위계(30)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인 토양의 수분함량 또는 지하수 수위가 펌프/계측제어반(50)에 세팅된 일정값 이하로 내려가면 펌프/계측제어반(50)은 빗물저류조(10) 내의 수중펌프(14)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하여 빗물저류조(10) 내의 빗물을 토양수분공급관(15)을 통해 토양 및 식생에 수분을 공급하게 하고, 토양수분계(20) 또는 지하수 수위계(30)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인 토양의 수분함량 또는 지하수 수위가 다시 펌프/계측제어반(50)에 세팅된 일정값을 충족하면 펌프/계측제어반(50)은 빗물저류조(10) 내의 수중펌프(14)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수분계(20)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와 지하수 수위계(30)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에 따른 수중펌프(14)의 가동조건은 수위계(13)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인 빗물저류조(10) 내의 수위가 펌프/계측제어반(50)에 세팅된 일정값을 충족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수분계(20)는 얕은 표층에 설치되고 지하수 수위계(30)는 토양수분계(20) 인근 지중에 동수(同數)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수분공급관(15)은 토양수분계(20) 설치지점까지 연장되어 토양수분공급관(15) 말단부의 다수의 구멍을 통해 지중에서 토양 또는 식생에 빗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저류조(60)와는 제1연결관(62)을 통해, 빗물저류조(10)와는 제2연결관(63)을 통해 빗물이 유입 및 유출되는 생태연못(70)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연못(70)과 생태연못 공급관(71)을 통해 연결시켜 생태연못(70)의 수위를 일정정도 이상 유지시켜 주기 위한 빗물을 공급하게 하는 수중펌프(14')가 빗물저류조(10) 내에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8172A KR101959856B1 (ko) | 2017-12-08 | 2017-12-08 |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8172A KR101959856B1 (ko) | 2017-12-08 | 2017-12-08 |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9856B1 true KR101959856B1 (ko) | 2019-03-20 |
Family
ID=6603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8172A Active KR101959856B1 (ko) | 2017-12-08 | 2017-12-08 |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9856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8210B1 (ko) * | 2019-04-09 | 2019-12-20 | 주식회사 태원콘크리트 | 저류조를 구비한 친환경 투수수로관 |
CN111648461A (zh) * | 2020-04-26 | 2020-09-11 | 李海波 | 一种城市防洪紧急处理装置及处理方法 |
KR102373104B1 (ko) * | 2020-10-23 | 2022-03-14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중수를 이용한 lid 시설 관리 시스템 |
CN114842991A (zh) * | 2022-04-19 | 2022-08-02 | 华能核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吸收球停堆系统料位计集成式落球管 |
KR20220158532A (ko) * | 2021-05-24 | 2022-12-0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빗물 탱크 |
CN115902166A (zh) * | 2022-12-29 | 2023-04-04 | 内蒙古自治区林业科学研究院 | 一种旱区沙地灌木林水文过程集成监测设备 |
CN116657731A (zh) * | 2023-07-19 | 2023-08-29 | 湖南易净环保科技有限公司 | 玻璃钢增流式雨水浸渗调蓄系统 |
CN118601236A (zh) * | 2024-06-18 | 2024-09-06 | 北京市建筑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 雨水利用系统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9545B1 (ko) | 2006-06-30 | 2007-11-27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
KR100963190B1 (ko) * | 2008-03-26 | 2010-07-01 |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 옥상녹화용 자동관수시스템 |
KR20120097750A (ko) * | 2011-02-25 | 2012-09-05 |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생태연못 수표면 빗물 집수 및 활용 시스템 |
KR101319073B1 (ko) * | 2012-04-12 | 2013-10-17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
KR20160117384A (ko) * | 2016-09-20 | 2016-10-10 | 신명옥 | 빗물 저류조를 활용한 연못 순환 시스템 |
-
2017
- 2017-12-08 KR KR1020170168172A patent/KR10195985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9545B1 (ko) | 2006-06-30 | 2007-11-27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
KR100963190B1 (ko) * | 2008-03-26 | 2010-07-01 |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 옥상녹화용 자동관수시스템 |
KR20120097750A (ko) * | 2011-02-25 | 2012-09-05 |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생태연못 수표면 빗물 집수 및 활용 시스템 |
KR101319073B1 (ko) * | 2012-04-12 | 2013-10-17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
KR20160117384A (ko) * | 2016-09-20 | 2016-10-10 | 신명옥 | 빗물 저류조를 활용한 연못 순환 시스템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8210B1 (ko) * | 2019-04-09 | 2019-12-20 | 주식회사 태원콘크리트 | 저류조를 구비한 친환경 투수수로관 |
CN111648461A (zh) * | 2020-04-26 | 2020-09-11 | 李海波 | 一种城市防洪紧急处理装置及处理方法 |
KR102373104B1 (ko) * | 2020-10-23 | 2022-03-14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중수를 이용한 lid 시설 관리 시스템 |
KR20220158532A (ko) * | 2021-05-24 | 2022-12-0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빗물 탱크 |
KR102708181B1 (ko) * | 2021-05-24 | 2024-09-19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빗물 탱크 |
CN114842991A (zh) * | 2022-04-19 | 2022-08-02 | 华能核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吸收球停堆系统料位计集成式落球管 |
CN115902166A (zh) * | 2022-12-29 | 2023-04-04 | 内蒙古自治区林业科学研究院 | 一种旱区沙地灌木林水文过程集成监测设备 |
CN116657731A (zh) * | 2023-07-19 | 2023-08-29 | 湖南易净环保科技有限公司 | 玻璃钢增流式雨水浸渗调蓄系统 |
CN116657731B (zh) * | 2023-07-19 | 2024-05-28 | 湖南易净环保科技有限公司 | 玻璃钢增流式雨水浸渗调蓄系统 |
CN118601236A (zh) * | 2024-06-18 | 2024-09-06 | 北京市建筑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 雨水利用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9856B1 (ko) |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
KR101662758B1 (ko) |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 |
US4620817A (en) | Underground discharge for downspouts and sump pumps | |
KR101485001B1 (ko) |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 |
CN209293141U (zh) | 海绵城市中透水人行道蓄排水系统 | |
KR100948551B1 (ko) |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
JP7040835B1 (ja) | 地域治水システム | |
KR101656036B1 (ko) | 빗물 침투 및 집수 유도 관로 삽입형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빗물 활용 시스템 | |
JP2001503829A (ja) | 組込み可能な地盤・河川防護手段を備えた用地面に組込まれた貯水・導水及び水処理システム | |
KR101904147B1 (ko) | 에코 도시 조경시스템 | |
CN106592748A (zh) | 水下初雨调蓄利用系统 | |
KR101771073B1 (ko) |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및 시공 공법 | |
JP3888857B2 (ja) | 雨水流出抑制処理施設 | |
KR101198285B1 (ko) | 생태연못 수표면 빗물 집수 및 활용 시스템 | |
KR101752813B1 (ko) | 지하수의 수위 유지 장치 | |
CN208183908U (zh) | 地库顶板排水、排盐及海绵城市的水处理系统 | |
US1033654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water in an underground reservoir and managing the same | |
JP2001115507A (ja) | 地下貯水システム | |
CN116657731B (zh) | 玻璃钢增流式雨水浸渗调蓄系统 | |
KR101674417B1 (ko) | 사이폰 현상을 이용한 배수장치 | |
JP6184252B2 (ja) | 利水および治水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 |
KR101218752B1 (ko) | 빗물저장침투장치 | |
JP6393379B1 (ja) | 縦型雨水浸透施設 | |
US2020019889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Water in an Underground Reservoir and Managing the Same | |
KR20210098670A (ko) | 침수예방 우수 조정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