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704B1 - Safety device of traveling for a car - Google Patents
Safety device of traveling for a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8704B1 KR101958704B1 KR1020170081269A KR20170081269A KR101958704B1 KR 101958704 B1 KR101958704 B1 KR 101958704B1 KR 1020170081269 A KR1020170081269 A KR 1020170081269A KR 20170081269 A KR20170081269 A KR 20170081269A KR 101958704 B1 KR101958704 B1 KR 1019587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main body
- guide
- air
- discharge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행 안전장치(10)는 차량(1)의 트렁크 리드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브라켓(미도시)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결합되고, 내부가 빈 본체(1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차량(1)의 후방측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0)와, 상기 차량(1)의 양측 방향으로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 내벽(F)에 부딪혀 차량(1)에 추진력을 형성시키고,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차량(1) 후미의 공기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와류 형성을 억제하여 고속 주행 시 차량(1) 후미의 흔들림이나 들림을 방지한다.A vehicle safet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racket (not shown) provided on both sides of a top surface of a rear lid of a vehicle 1, .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110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1, and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in both directions of the vehicle 1 An outlet 120 is formed.
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10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F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form a driving force on the vehicle 1,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20, It prevents the formation of vortices by interrupting the air flow at the rear end, thereby preventing the rear end of the vehicle 1 from being shaken or lifted at high speeds.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주행 시 차량 후미의 흔들림이나 들림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주행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고속 주행 시 자동차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압력차가 크게 발생하고 자동차 지붕 쪽의 공기 유동이 자동차 뒷부분으로 흐르지 못하면서 차량 뒤 유리와 유체 유동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automobile travels at a high speed,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automobile becomes large, and the air flow on the automobile roof side does not flow to the rear portion of the automobile. .
이때, 이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공기 유동이 변하지만 차량의 속력이 높아 채울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 빈공간은 차량의 반대 방향의 힘을 가지는 와류현상이 발생한다.At this time, the air flow changes to fill the empty space, but since the speed of the vehicle is high, the empty space becomes vortex having a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vehicle.
이에 따라 자동차의 앞쪽 엔진 룸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자동차의 후미가 흔들리거나 들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As a result, the rear end of the vehicle, which is relatively lighter than the front engine room of the automobile, has a problem of being shaken or lifted.
즉, 전방의 엔진룸에 비해 트렁크가 위치하는 후미의 무게가 가벼운 관계로,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할 겨우 자동차의 후미가 주변의 공기 흐름에 따라 흔들리거나 들림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자동차의 주행성능은 물론 그 안정감을 확실하게 제공하지 못하였다.That is, since the rear weight of the rear trunk is light compared to the front engine room, the rear end of the vehicle may be shaken or lifted due to the surrounding air flow only when the vehicle travels at a high speed. It has not been able to reliably provide the driving performance as well as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상부에 기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 안전장치를 장착하여 고속주행 시 형성되는 와류 형성을 억제하여 차량 후미의 흔들림이나 들림을 방지하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veling safety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flows on the luggage compartment lid of an automobile to prevent vortex formation, There is a purpos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another object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행 안전장치(10)는 차량(1)의 트렁크 리드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브라켓(미도시)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결합되고, 내부가 빈 본체(100)가 구비된다.A
이때,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차량(1)의 후방측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0)와, 상기 차량(1)의 양측 방향으로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흡입구(11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 내벽(F)에 부딪혀 차량(1)에 추진력을 형성시키고,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차량(1) 후미의 공기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와류 형성을 억제하여 고속 주행 시 차량(1) 후미의 흔들림이나 들림을 방지한다.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한편, 상기 흡입구(110)의 면적은 상기 양측 배출구(120) 면적의 합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area of the
또한,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상기 차량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100) 내에 가이드부가 설치된다.Also, a guide portion is installed in the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부측에서 보았을 때 사각 형상이되,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 내벽(F)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구(120)를 기준으로 본체(100)의 전방측 측면 내벽(F.S)과 결합된 제1가이드(1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131)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측면 내벽과 40˚ 내 50˚를 이루도록 설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131)와 평행하며, 타단이 상기 배출구(120)를 기준으로 본체의 후방측 측면 내벽(B.S)과 결합된 제2가이드(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가이드(131)와 제2가이드(132) 사이로 상기 차량(1)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배출로(133)가 형성된다.The guide part includes a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부측은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140)이 형성되어 상기 차량(1)의 고속 주행 시 상기 경사면(140)을 따라 흐르는 기류를 통해 차량(1) 후미를 강하게 눌러 후미의 들림이나 들림을 방지한다.The upper side of the
또한,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다수의 칸막이(150)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 빈 공간에서 난류를 형성시킨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안전장치의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주행 안전장치의 전방측 내벽에 부딪혀 차량에 추진력을 형성시키고, 주행 안전장치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차량 후미의 공기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와류 형성을 억제하여 고속 주행 시 차량 후미의 흔들림이나 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of the travel safety device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front side of the traveling safety device to form propulsion force on the vehicle,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traveling safety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ortex from being generated by disturbing the air flow and to prevent the rear end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high speed traveling.
도 1 및 도 2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전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전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전장치의 배면도 및 'A-A'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전장치에 칸막이가 설치된 상태의 배면도 및 'B-B'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전장치의 배면도(a) 및 측면도(b),
도 9는 도 8의 'C-C'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경사면이 형성된 주행 안전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이다.1 and 2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flow of air during a high-speed travel of the vehicle,
3 and 4 are views showing a flow of air during a high-speed traveling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driving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riving safe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FIG. 6 is a rear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A 'of a traveling safe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ar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B-B 'in a state in which a partition is installed in the driving safe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rear view (a) and a side view (b) of a traveling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8,
10 is a view showing a flow of air during a high-speed traveling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traveling safety apparatus having an inclined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exemplifica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that include components replaceable as equivalents in the elem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전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전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전장치의 배면도 및 'A-A'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전장치에 칸막이가 설치된 상태의 배면도 및 'B-B'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전장치의 배면도(a) 및 측면도(b), 도 9는 도 8의 'C-C'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경사면이 형성된 주행 안전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고속 주행 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driving safe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driving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ar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A 'of a traveling safe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 driving safe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view (a) and a side view (b) of a traveling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flow of air during a high-speed traveling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with a s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행 안전장치(10)는 차량(1)의 트렁크 리드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브라켓(미도시)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결합되고, 내부가 빈 본체(100)가 구비된다.3, the
이때,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차량(1)의 후방측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0)와, 상기 차량(1)의 양측 방향으로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흡입구(11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 내벽(F)에 부딪혀 차량(1)에 추진력을 형성시키고,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차량(1) 후미의 공기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와류 형성을 억제하여 고속 주행 시 차량(1) 후미의 흔들림이나 들림을 방지한다.That is, the air sucked into the
따라서 상기 흡입구(11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 내벽(F)에 부딪혀 차량(1)에 추진력을 형성시키고,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차량(1) 후미의 공기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와류 형성을 억제하여 고속 주행 시 차량(1) 후미의 흔들림이나 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air sucked into the
한편, 상기 흡입구(110)의 면적은 상기 양측 배출구(120) 면적의 합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area of the
또한, 상기 배출구(120)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흡입구(110)가 형성된 본체(100)의 후방 반대편인 전방측으로 형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흡입구(110) 측의 압력이 상기 배출구(120) 측의 압력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공기 흐름이 형성된다. Accordingly, the pressure on the side of the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측은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140)이 형성되어 상기 차량(1)의 고속 주행 시 상기 경사면(140)을 따라 흐르는 기류를 통해 차량(1) 후미를 강하게 눌러 후미의 들림이나 들림을 방지한다.The upper side of the
또한,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다수의 칸막이(150)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 빈 공간에서 난류를 형성시킨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한편,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상기 차량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는 상부측에서 보았을 때 사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 내벽(F)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구(120)를 기준으로 본체(100)의 전방측 측면 내벽(F.S)과 결합된 제1가이드(1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131)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측면 내벽과 40˚ 내 50˚를 이루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has one end coupled to the front side inner wall F of 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131)와 평행하며, 타단이 상기 배출구(120)를 기준으로 본체의 후방측 측면 내벽(B.S)과 결합된 제2가이드(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가이드(131)와 제2가이드(132) 사이에는 상기 차량(1)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배출로(133)가 형성된다.The guide part includes a
또한,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는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상기 배출로(133)와 연통되는 홈(160)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차량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배출되어 차량에 추진력을 더함으로써 차량의 연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 자동차 10 : 주행 안전장치
100 : 본체 110 : 흡입구
120 : 배출구 131 : 제1가이드
132 : 제2가이드 133 : 배출로
140 : 경사면 150 : 칸막이1: Automobile 10: Driving safety device
100: main body 110: inlet
120: outlet 131: first guide
132: second guide 133: exhaust passage
140: slope 150: partition
Claims (5)
차량(1)의 트렁크 리드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브라켓(미도시)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결합되고, 내부가 빈 본체(100)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차량(1)의 후방측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0)와,
상기 차량(1)의 양측 방향으로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1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 내벽(F)에 부딪혀 차량(1)에 추진력을 형성시키고,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차량(1) 후미의 공기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와류 형성을 억제하여 고속 주행 시 차량(1) 후미의 흔들림이나 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 안전장치.
A driving safety device (10); The traveling safety device (10)
A bracket (not show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runk lid of the vehicle 1,
And a hollow main body 100 coupled between the brackets,
In the main body 100,
An air inlet 110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1,
A discharge port 120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is discharged in both directions of the vehicle 1 is formed,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10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F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form a propelling force on the vehicle 1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20, And prevents the rear end of the vehicle (1) from being shaken or lifted during high-speed traveling.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상기 차량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100) 내에 가이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 안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portion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so that an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 faces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상기 본체(100)는 상부측에서 보았을 때 사각 형상이되,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 내벽(F)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구(120)를 기준으로 본체(100)의 전방측 측면 내벽(F.S)과 결합된 제1가이드(1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131)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측면 내벽과 40˚ 내 50˚를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 안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100 has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The guide portion
And a first guide 131 coupled to the front side inner wall F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end thereof coupled to the front side side wall FS of the main body 100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ort 120 In addition,
Wherein the first guide (131) is arranged to form an angle of 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side inner walls of the main body (100).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131)와 평행하며, 타단이 상기 배출구(120)를 기준으로 본체의 후방측 측면 내벽(B.S)과 결합된 제2가이드(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가이드(131)와 제2가이드(132) 사이로 상기 차량(1)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배출로(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 안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second guide 132 which is parallel to the first guide 131 and whose other end is coupled to a rear side inner wall BS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ort 120,
Wherein a discharge passage (13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guide (131) and the second guide (132) and inclin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1).
상기 본체(100)의 상부측은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140)이 형성되어 상기 차량(1)의 고속 주행 시 상기 경사면(140)을 따라 흐르는 기류를 통해 차량(1) 후미를 강하게 눌러 후미의 들림이나 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 안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140 that is inclined up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rear of the vehicle 1 is strongly supported by the airflow flow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140 So as to prevent lifting or lifting of the rear end of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1269A KR101958704B1 (en) | 2017-06-27 | 2017-06-27 | Safety device of traveling for a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1269A KR101958704B1 (en) | 2017-06-27 | 2017-06-27 | Safety device of traveling for a c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379A KR20190001379A (en) | 2019-01-04 |
KR101958704B1 true KR101958704B1 (en) | 2019-07-04 |
Family
ID=6501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1269A Active KR101958704B1 (en) | 2017-06-27 | 2017-06-27 | Safety device of traveling for a c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870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28774A1 (en) | 2006-03-28 | 2007-10-04 | Dr. Ing,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Air guiding system for a vehicle |
JP2008143519A (en) | 2006-12-12 | 2008-06-26 | Hs Genion Gmbh | Functioning device with turnable element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42119B2 (en) * | 1992-12-28 | 1998-12-24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Vehicle air flow control device |
-
2017
- 2017-06-27 KR KR1020170081269A patent/KR10195870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28774A1 (en) | 2006-03-28 | 2007-10-04 | Dr. Ing,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Air guiding system for a vehicle |
JP2008143519A (en) | 2006-12-12 | 2008-06-26 | Hs Genion Gmbh | Functioning device with turnable el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1379A (en) | 2019-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1126086A1 (en) | Vehicle underfloor structure | |
US9623959B2 (en) | Aircraft having an aircraft fuselage and an air sucking fuselage component | |
CN102991340A (en) | Cool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 |
CN104097494A (en) | Vehicular battery pack device | |
JPH10226369A (en) | Car with front-side air guide device | |
JP2017523086A (en) | Changing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vehicle | |
JPH11303975A (en) | Air breather structure of transmission | |
JPH0725369A (en) | Rear body structure for vehicle | |
CN109018033B (en) | Car trunk lid spoiler with aerodynamically shaped airfoil section | |
JP4913486B2 (en) | Duct structure | |
CN108883796A (en) | Vehicle fairing | |
KR101958704B1 (en) | Safety device of traveling for a car | |
CN106043336A (en) | Vehicle comprising air duct that discharges at surface of vehicle | |
JP2007331665A (en) | Outboard motor | |
JP2016078765A (en) | undercover | |
JP2002120769A (en) | Body structure | |
JP6417860B2 (en) |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2046396B1 (en) | Anti-shake device when driving on a vehicle | |
KR102092628B1 (en) | Anti-shake and Driving performance improve device of vehicle | |
JP5091878B2 (en) | Vehicle front structure | |
JP4569435B2 (en) | Air intake intake structure for vehicle air intake duct | |
JP6893903B2 (en) | Undercover for vehicles | |
JP2018199410A (en) | Vehicle rear structure | |
US20240262448A1 (en) | Front cowling | |
KR20190092080A (en) | Propulsion device that generates propulsion force on the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