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553B1 - Extract pack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Extract packing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7553B1 KR101957553B1 KR1020160165397A KR20160165397A KR101957553B1 KR 101957553 B1 KR101957553 B1 KR 101957553B1 KR 1020160165397 A KR1020160165397 A KR 1020160165397A KR 20160165397 A KR20160165397 A KR 20160165397A KR 101957553 B1 KR101957553 B1 KR 1019575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aging container
- beverage
- food
- stirrer
-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56 liqui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735235 Ligustr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료와 젓기스틱이 동시에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필름지로 제조되며, 원통 형상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열 융착하여 형성된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로서, 상기 포장용기 상단의 열 융착된 부분의 인접한 영역에 상기 포장용기를 개봉할 수 있도록 수평절취라인과 경사절취라인을 포함하는 절취부가 구성되되, 상기 포장용기 내부에는 상기 경사절취라인의 절개를 통해 개구된 부위로 내부에 수용된 음식료의 인출 시 젓기스틱이 상기 음식료와 함께 인출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젓기스틱은 상기 포장용기의 개구된 부위로 인출되는 젓기부와,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에 걸림되며 상기 젓기부에 일체로 구성된 걸림부를 포함한다. Disclosed is a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container which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film and is formed by thermally fusing a cylindrical upper end and a lower end respectively, A cutout portion including a horizontal cut line and a sloped cut line so as to allow the packaging container to be opened in an adjacent region of the heat welded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stirring stick is received in the opening por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and the stirring stick is engaged with the in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s shown in Fig.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료와 젓기스틱이 동시에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container in which food and beverage stalls accommodated in a packaging container can be simultaneously drawn.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는 복잡한 구조 속에서 신속하고 편리한 생활을 위한 많은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우리의 식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그 결과 편리하고 간단하게 차를 마시는 방법들도 많이 개발되어 왔다.In general, there are many attempts in the modern society for a quick and convenient life in a complex structure. These attempts have had a great impact on our diet and as a result, many convenient and simple ways of drinking tea have been developed.
최근 개발된 차 종류 중에서도 일회용 커피믹스는 많은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호식품이다. Among recently developed tea varieties, disposable coffee mixes are the favorite food of many people.
커피믹스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포장지 내부에 커피, 프림, 설탕이 일정 비율로 들어있으며, 따뜻한 물과 컵만 있으면 바로 마실 수 있어 직장이나 음식점,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 coffee mix contains a certain percentage of coffee, prims, and sugar in the wrapping paper made of synthetic resin, and can be drunk immediately if there is only warm water and a cup, which is widely used in work places, restaurants and general households.
이러한 커피믹스는 자체 수분함량이 적어 외부의 습기를 흡수하기 쉽기 때문에 눅눅해 지지 않도록 수분과 산소차단성이 좋은 알루미늄을 증착한 폴리프로필렌소재의 다층 포장재를 사용한다.These coffee mixes are made of a polypropylene multi-layered packaging material, which is made of aluminum, which has good moisture and oxygen barrier properties to prevent dampness because it is easy to absorb external moisture because its moisture content is low.
다층 포장재질의 특성 자체가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다층 포장재를 구성하는 재질 중 식품과 직접 접촉되는 재질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나 사용과정에서 식품으로 이행될 우려가 없도록 식품위생법에서 정한 기준규격을 엄격하게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 packaging materials themselves are not dangerous, strictly comply with the standards set by the Food Sanitation Act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polypropylene being converted into food during the manufacture or use of polypropylene. .
하지만, 커피믹스 포장지는 커피를 담는 용도로만 제조 관리되고 있는 것이므로 포장지를 스푼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원래 용도에 맞지 않는 사용법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이에 대하여 커피믹스 포장지를 뜯을 때 인쇄면에 코팅된 합성수지제 필름이 벗겨져 인쇄성분이 용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커피믹스 포장지를 스푼 대용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ffee mix wrapper is manufactured and managed only for the purpose of containing coffee, the use of the wrapper as a substitute for the spoon is no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The KFDA, on the other hand, Care should be taken not to use the coffee mix wrapper as a substitute for a spoon, as the film may peel off and the printing component may be elu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포장용기 내부에 음식료품과 젓기스틱을 함께 수용하여 음식료품의 인출 시 젓기스틱의 일부분이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aging device, which can accommodate a food or beverage product and a stirrer stick together inside a packaging container to allow a part of the stirrer stick to be taken out naturally when the food or beverage is taken out, It is intended to provide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젓기스틱의 중앙부에 소정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액상식품의 인출 시 포장용기 내부에 음식료품이 전량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ning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irrer stick so that all the food and beverage items can be drawn into the packaging container when the liquid food is taken out.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합성수지 필름지로 제조되며, 원통 형상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열 융착하여 형성된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로서, 상기 포장용기 상단의 열 융착된 부분의 인접한 영역에 상기 포장용기를 개봉할 수 있도록 수평절취라인과 경사절취라인을 포함하는 절취부가 구성되되, 상기 포장용기 내부에는 상기 경사절취라인의 절개를 통해 개구된 부위로 내부에 수용된 음식료의 인출 시 젓기스틱이 상기 음식료와 함께 인출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젓기스틱은 상기 포장용기의 개구된 부위로 인출되는 젓기부와,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에 걸림되며 상기 젓기부에 일체로 구성된 걸림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container made of a synthetic resin film and formed by thermally fusing a cylindrical upper end and a lower end, respectively, Wherein the dispenser comprises a cutout portion including a horizontal cutting line and a sloped cut line so as to open the container, wherein a stirring stick at the time of pulling out the food and beverage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through the incision of the sloped cut line, And the stirring stick includes a stirring part which is drawn out to an opened part of the packaging container and a locking part which is hooked inside the packaging container and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irring part.
상기 젓기스틱은 포장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료가 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젓기부는 걸림부의 중앙부위 또는 중앙부위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The stirring stick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so that the food and beverage contain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can be drawn out, and the stirrer is protruded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ral portion or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상기 걸림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젓기스틱은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The latching part may be formed of either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and the stirrer stick may have a funnel shape.
이때, 상기 젓기스틱은 녹말, 목재,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stirring stick is made of any one of starch, wood, and synthetic res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는 포장용기 내부에 음식료품과 젓기스틱을 함께 수용하여 음식료품의 인출 시 젓기스틱의 일부분이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젓기스틱의 중앙부에 소정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액상식품의 인출 시 포장용기 내부에 음식료품이 전량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a food or beverage product and a stirrer stick together in a packaging container to allow a part of the stirrer stick to be taken out naturally when the beverage is taken out, An open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ckaging container to draw out all the food and beverage products into the packaging container when the liquid food is taken 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컨테이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젓기스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젓기 스틱이 인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젓기 스틱이 인출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 제 2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 제 3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 제 4실시예를 보인 예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of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irring stick accommodated in a packaging container for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ir stick received in a packaging container for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irring stick received in a packaging container for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and used.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for a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컨테이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젓기스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젓기 스틱이 인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젓기 스틱이 인출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 제 2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 제 3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의 포장용기 제 4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of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ir stick accommodated in a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ir bar received in a packaging container of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out and used. FIG.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ackaging container for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packaging container for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for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100)는 포장용기(10)와 포장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젓기스틱(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disposable food and
포장용기(10)는 합성수지 필름지를 소재로서 채용하고 있으며, 원통 형상으로 말아낸 후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열 융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게 된다. The
열 융착된 포장용기의 상단(11)과 하단(12) 중 어느 하나의 부위에는 포장용기(10)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절취부(13)가 형성되어 있다. Cutting portions 13 are formed on any one of the
절취부(13)는 포장용기(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구성된다. 절취부(13)는 포장용기(10)의 길이방향 일부를 가로지르며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절취라인(14)과 수평절취라인(14)에서 연장되며 포장용기(10)를 대각선 방향으로 절취시킬 수 있는 경사절취라인(15)으로 구분된다. The cutout portion (13) is configured to 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10). The cutout portion 13 extends horizontally along a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평절취라인(14)에서 경사절취라인(15)이 형성되지 않고, 포장용기(10)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중앙부위에 반원형으로 절취할 수 있는 원형절취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이러한 포장용기(10)는 포장용기(10)의 하단에 열 융착이 진행된 후 내부에 식음료(20)가 수용된다. 식음료(20)는 커피믹스와 같이 분말화된 형태의 식음료나, 꿀, 홍삼 엑기스와 같은 액체 상태의 것이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In the
식음료(20)가 채워진 포장용기(10)의 내부에는 경사절취라인(15)이 절개된 후 개구된 부위를 통해 식음료(20)의 인출 시 일부분이 함께 인출될 수 있도록 젓기스틱(30)이 내장된다. The inside of the
젓기스틱(30)은 젓기부(34)와 젓기부(34)에서 일체로 연장 구성되며 포장용기(10)의 내부에 걸림되는 걸림부(32)를 포함한다. The
젓기스틱(30)은 녹말이나, 목재, 열경화성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녹말이나 목재는 식음료(20)를 뜨거운 물에 혼합하는 과정에서도 인체에 무해한 특성이 있어 가급적이면 녹말이나 목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The
그러나, 합성수지의 경우 금형을 통해 원하는 구조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으며, 뜨거운 물에 넣어 빠르게 저은 후 꺼낼 경우 합성수지 자체에서 나오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거의 없거나 미세하기 때문에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a synthetic resin, there is a desired structure through a mold to make it easy to manufacture and excellent productivity, and when the resin is quickly put in hot water, there is little or no harmful substance from the synthetic resin itself. .
즉, 예를 들어 최근 커피를 판매하는 프랜차이즈 숍에서는 뜨거운 물(약 80℃)에 설탕을 넣고 젓기 위한 도구로서 합성수지로 제조한 빨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 빨대의 경우 뜨거운 물에 넣고 수 초간 젓더라도 빨대 자체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시중에서도 흔히 사용되고 있다. In other words, for example, in a franchise shop that sells coffee recently, a straw made of synthetic resin is used as a tool to stir and stir sugar in hot water (about 80 ° C). In the case of this straw, even if it is put in hot water and stirred for a few seconds, the straw itself is often used in the market because harmful components are not produced in the human body.
이렇듯, 본 발명에서 채용될 수 있는 젓기스틱(30)의 경우 포장용기(10) 내부에 식음료(20)와 함께 수용되더라도 사용상의 문제점은 거의 없다. As described above, the
젓기스틱의 젓기부(34)는 지름 0.5~2cm와, 길이 5~10cm의 규격을 만족할 수 있다. 젓기부(34)의 지름은 뜨거운 물에 식음료가 투입된 후 뜨거운 물을 젓는 과정에서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 최소한의 직경이며, 길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이컵의 깊이를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다. The stirrer portion (34) of the stirrer stick can satisfy the specifications of 0.5 to 2 cm in diameter and 5 to 10 cm in length. The diameter of the stirrer (34) is a minimum diameter that can not be easily bent in the course of hot water pouring after food and beverages are introduced into hot water, and the length is designed considering the depth of the paper cup generally used.
또한 젓기부(34)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부(32)는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걸림부(32)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이나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Also, the
젓기부(34)는 걸림부(32)의 중앙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The
따라서, 젓기스틱(30)을 측면에서 바라보면 'T'자형이나 'ㄱ'자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식음료 포장용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장용기(10)에 수용된 식음료(20) 및 젓기스틱(30)은 포장용기의 절취부(13)를 따라 찢어내게 되면, 수평절취라인(14)을 시작으로 경사절취라인(15)까지 절취된다. 3 and 4, when the food and
이에 따라 포장용기(10)의 상단부 중 경사절취라인(15)이 절단된 부분이 개방된다. As a result, the cut portion of the
즉, 수평절취라인(14)은 열 융착된 포장용기(10)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경사절취라인(15)은 열 융착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서 경사절취라인(15)까지 절취가 진행되면, 포장용기(10)의 선단부 중 일부분만이 개구될 수 있다. That is, the
이렇게 포장용기(10)의 상단부가 개구된 후 포장용기(10)를 일정각도 기울이게 되면, 포장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식음료(20)가 지면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이 과정에서 젓기스틱(30)은 식음료(20)와 함께 포장용기(10)의 개구된 선단부까지 이동하여 젓기부(34)가 포장용기(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걸림부(32)는 개구된 선단부에 걸림되어 젓기부(34)가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인출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In this process, the
이때, 걸림부(32)는 포장용기(10)의 개구된 부위보다 직경이 더 큰 상태이므로 포장용기(10)에서 모두 인출되지 않고 걸림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여기서, 주의할 점은 포장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식음료(20)의 점도가 높은 꿀과 같은 액체일 경우에는 포장용기(10)의 선단부가 절취된 후 기울인 상태가 되더라도 포장용기(10) 내부에서 식음료(20)가 쉽게 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포장용기(20) 하단(12)에서부터 상단(11)까지 손으로 밀어내어 식음료(20)를 인출시켜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case of a liquid such as honey having a high viscosity of the food and
이에 따라 젓기스틱(30)도 사용자 손의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하여 젓기부(34)를 포장용기(10)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이렇게 젓기부(34)가 포장용기(10) 외부로 인출되면, 포장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식음료(20)가 모두 인출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포장용기(10) 또는 걸림부(32)를 손으로 잡고 컵에 담겨진 물을 저은 후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pushes the
또한 젓기스틱(30)은 포장용기(10)와 분리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휴지통에 포장용기(10)와 함께 편리하게 버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쓰레기 무단 투입에 따른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lso, since the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식음료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5 to 7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a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각 도면에서는 포장용기(10)의 형상은 그대로 유지한 채 젓기스틱(30)의 형상을 다변화시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In each of the drawings, the shape of the packin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젓기스틱의 걸림부(32)에서 젓기부(34)를 통과하도록 관통홀(36)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FIG. 5 show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hrough
관통홀(36)은 포장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식음료(20)가 개구된 포장용기(10)의 선단부를 통과하여 인출되는 과정에서 식음료(20)의 일부가 포장용기(10) 내부에 남겨질 수 있는 것을 모두 인출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부에서 하부까지 모두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거나 걸림부(32)에서 젓기부(34) 하부까지 상부의 직경이 넓고 하부의 직경이 좁은 깔대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hrough
이처럼 걸림부(32)와 젓기부(34)에 관통홀(36)이 형성되게 되면, 포장용기(10) 내부에 잔존하는 식음료(20)를 모두 인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포장용기(10)에서 젓기스틱(30)을 강제로 분리한 후 빨대처럼 입에 대고 컵에 담겨진 음료를 섭취할 수도 있게 된다. The through holes 36 are formed in the catching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젓기스틱(30)이 젓기부(34)에서부터 걸림부(32)까지 전체 형상을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FIG. 6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걸림부(32)는 상면이 편평하고, 젓기부(34)의 하단까지 일정한 테이퍼를 갖도록 구성된다. The latching
이에 따라 젓기부(34)는 깔대기 형상이지만, 걸림부(32)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Accordingly, although the
이렇게 젓기스틱(30)을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젓기스틱(30)을 잡기 위한 면적이 보다 증가하게 되어 젓기스틱(30)을 잡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또한 젓기스틱(30)이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되면, 포장용기(10)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인출되는 젓기부(34)의 길이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도 제공하게 된다. Also, whe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젓기스틱의 젓기부(34) 표면에 일정간격마다 단차(34a)를 형성하여 젓기스틱(30)이 포장용기(10)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7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즉, 젓기부(34)의 내부는 중공형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면에는 젓기부(34)의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단차(34a)를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inside of the
이렇게 젓기부(34)의 외면을 따라 다수개의 단차(34a)가 형성되면, 포장용기(10)의 개구부를 통해 인출되는 젓기부(34)의 인출 거리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젓기스틱(30)을 잡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식음료 컨테이너(100)는 내부에 수용된 식음료(20)를 컵에 담긴 물에 투입하여 물과 혼합 시 포장용기(10) 내부에 담겨진 식음료(20)의 인출과 동시에 젓기스틱(30)이 자연스럽게 포장용기(10)로부터 인출될 수 있어 젓기스틱(30)을 포장용기에서 별도로 분리하거나 끼워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osable food and
특히, 재활용으로 분리되는 젓기스틱(30)이 포장용기(10)와 함께 사용 후 버려질 수 있어 분리수거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아무 곳에나 버려져 발생되는 환경오염과 같은 문제점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큰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since the stirr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포장용기
11: 상단
12: 하단
13: 절취부
14: 수평절취라인
15: 경사절취라인
20: 식음료
30: 젓기스틱
32: 걸림부
34: 젓기부
34a: 단차
36: 관통홀
100: 컨테이너10: Packaging container
11: Top
12: bottom
13:
14: Horizontal cut line
15: slope cutting line
20: Food & Beverage
30: Stirring stick
32:
34:
34a: step
36: Through hole
100: Container
Claims (6)
포장용기 상단의 열 융착된 부분의 인접한 영역에 상기 포장용기를 개봉할 수 있도록 수평절취라인과 경사절취라인을 포함하는 절취부가 구성되되,
상기 포장용기 내부에는 상기 경사절취라인의 절개를 통해 개구된 부위로 내부에 수용된 음식료의 인출 시 젓기스틱이 상기 음식료와 함께 인출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젓기스틱은 상기 포장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료가 인출되도록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다단 인출되는 단차가 형성된 젓기부와,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젓기부에 일체로 수직 구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
A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container made of a synthetic resin film and formed by thermally fusing a cylindrical upper end and a lower end,
A cutout portion including a horizontal cut line and a sloped cut line so that the packaging container can be opened in an adjacent region of the heat welded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rack is accommodat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to be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food and beverage when the food or beverage contained therein is opened through the incision of the slant cut line,
Wherein the stirrer stick includes a stirrer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for discharging the food and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a stepped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as it goes to the lower end, A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n integrally vertically configured detent.
상기 젓기부는 걸림부의 중앙부위 또는 중앙부위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된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rrer is protru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central portion or a central portion of the latch portion.
상기 걸림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osable food and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latching portion is either circular or elliptical.
상기 젓기스틱은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된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rrer stick has a funnel shape.
상기 젓기스틱은 녹말, 목재,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된 일회용 음식료 컨테이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and 5,
Wherein the stirring stick is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rch, wood, and synthetic res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397A KR101957553B1 (en) | 2016-12-06 | 2016-12-06 | Extract packing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397A KR101957553B1 (en) | 2016-12-06 | 2016-12-06 | Extract packing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4933A KR20180064933A (en) | 2018-06-15 |
KR101957553B1 true KR101957553B1 (en) | 2019-03-12 |
Family
ID=6262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5397A Active KR101957553B1 (en) | 2016-12-06 | 2016-12-06 | Extract packing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755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1002694A1 (en) | 2021-05-25 | 2022-12-01 | Jovo Ristic | Sachet/stick packaging with integrated stirrer (e.g. stirrer, spoon, etc.) |
KR20230012162A (en) | 2021-07-15 | 2023-01-26 | 하창완 | tubular food suppl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5418Y1 (en) | 1999-07-20 | 2000-02-15 | 임재규 | Instant coffee |
KR200405406Y1 (en) * | 2005-10-11 | 2006-01-10 | 이주교 | Packing container with spoo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0180U (en) * | 2008-04-03 | 2009-10-07 | 이준호 | Stick straw inside disposable powder bag |
KR20110007675U (en) * | 2010-01-27 | 2011-08-03 | 건 장 | Stirring Stick filled with Concentrated Beverage |
-
2016
- 2016-12-06 KR KR1020160165397A patent/KR1019575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5418Y1 (en) | 1999-07-20 | 2000-02-15 | 임재규 | Instant coffee |
KR200405406Y1 (en) * | 2005-10-11 | 2006-01-10 | 이주교 | Packing container with spo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1002694A1 (en) | 2021-05-25 | 2022-12-01 | Jovo Ristic | Sachet/stick packaging with integrated stirrer (e.g. stirrer, spoon, etc.) |
KR20230012162A (en) | 2021-07-15 | 2023-01-26 | 하창완 | tubular food supp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4933A (en) | 2018-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73973C2 (en) | Bottle with dosing device | |
RU2461350C2 (en) | Container for storage and unloading of bulk material | |
US7437990B2 (en) | All-in-one disposable container for making coffee, tea and other mixed beverages | |
US20190367231A1 (en) | Cup lid with integrated stirrer | |
KR20080016771A (en) | Lid Structure for Container Outlet | |
KR101957553B1 (en) | Extract packing container | |
KR101478001B1 (en) | Device for extemporaneously preparing a hot beverage from a soluble powder | |
KR101895537B1 (en) | Beverage bottle attached for disposable cup | |
KR20110008977A (en) | Coffee mix package with built-in saucer | |
KR101513851B1 (en) | Coffee mix with stick | |
KR200443066Y1 (en) | Disposable packaging containers for powdered or liquid drinks | |
JP3163356U (en) | Paper cup lid | |
CN109466865A (en) | Multi-selective beverage bottle | |
KR200405406Y1 (en) | Packing container with spoon | |
KR101807858B1 (en) | Package for beverage powder with stirrer | |
KR200462515Y1 (en) | Disposal Packet having Straw | |
AU2003255394B2 (en) | Container | |
KR102646069B1 (en) | Packaging Container for Beverage Contents | |
JP2004155467A (en) | Additive providing method, additive providing device, cup lid for the device, and additive container | |
US20180028411A1 (en) | Baby Food Canteen | |
KR20170139787A (en) | Vinyl Packing with Assymetry Stick | |
JP2002104423A (en) | Top-seal container holder | |
KR20100101229A (en) | Packing bag having a mixing spoon | |
WO2015108451A9 (en) |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from berries and from primary liquid component (variants) | |
KR200414425Y1 (en) | Paper cups with stirring memb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0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3120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