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6637B1 -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637B1
KR101956637B1 KR1020180005008A KR20180005008A KR101956637B1 KR 101956637 B1 KR101956637 B1 KR 101956637B1 KR 1020180005008 A KR1020180005008 A KR 1020180005008A KR 20180005008 A KR20180005008 A KR 20180005008A KR 101956637 B1 KR101956637 B1 KR 101956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up
exhalation
sanitary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완
백혜순
Original Assignee
윤형완
백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완, 백혜순 filed Critical 윤형완
Priority to KR102018000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6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06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hydraulic transmission; using pneumatic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대기중에 포함된 황사와 작업장내 미세먼지 여과기능 효율을 높이기 위해 위생 마스크를 착용 후 평소에는 정상적으로 호흡을 하다가 필요시에는 복식호흡으로 병행이 가능하도록 판형상의 메인 마스크부의 전면에는 컵형상의 컵 마스크부를 부착한 다음 메인 마스크부에는 입술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날숨홀을 천공하여 컵 마스크부로 날숨을 배출하여 날숨의 습도를 처리하고, 컵 마스크부로 배출된 날숨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날숨압으로 컵마스크의 외부로 배출하여 여과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Hygienic mask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대기중에 포함된 황사와 작업장내 미세먼지 여과기능 효율을 높이기 위해 위생 마스크를 착용 후 평소에는 정상적으로 호흡을 하다가 필요시에는 복식호흡으로 병행이 가능하도록 판형상의 메인 마스크부의 전면에는 컵형상의 컵 마스크부를 부착한 다음 메인 마스크부에는 입술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날숨홀을 천공하여 컵 마스크부로 날숨을 배출하여 날숨의 습도를 처리하고, 컵 마스크부로 배출된 날숨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날숨압으로 컵마스크의 외부로 배출하여 여과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병균이나 먼지등과 같은 방진의 목적이나 날씨가 추울때 보온의 목적등 여러목적으로 착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마스크는 거즈나 목면 또는 부직포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평면사각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코나 입등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착용초기에는 들숨과 날숨에 장애를 적게 받게 되나 장시간 착용시 마스크가 습기에 의해 축축해 지면서 호흡에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뿐만아니라 마스크가 평면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코언저리 부분과 양볼 옆에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바로 흡입되므로 마스크 착용의 목적을 상실하게 되고, 또한 안경을 착용한 사람의 경우 날숨에 의해 습한 공기가 코언저리부분의 공간을 통하여 윗쪽으로 배출되므로 안경에 성애가 끼어 시야를 흐리게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대기중에서 황사와 작업장내 미세먼지는 지구 온난화와 산업발전으로 발생되는 황사와 미세먼지는 천식등 각종 호흡기질환을 악화시켜 폐질환자나 노약자를 등을 위하여 식약처는 미세입자 크기가 평균 0,6μm 인것을 80%이상
차단효과가 입증되야 허가되고, 이는 마스크의 성분인 부직포의 원단[MB]은 미세섬유로 엉켜있는 그물구조가 정전기력으로 초미세먼지도 흡착 여과 처리 하는 것이다. 그래서 마스크의 수분은 정전기력이 사라지므로 재사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마스크에서는 호흡으로 인해 사용하다 보면 내부가 습하고 숨쉬는 것이 답답해지므로 이을 개선하기 위해 마스크와 얼굴과의 공간을 확보하거나 복식호흡의 날숨시 배기체크발브 차단막이 열리고 들숨시 차단막이 닫히는 여과기구등 그외 여과포의 주름형태등 표면적확대, 형상기억소재 부착방법과
분말 고체산소 주입등 복식호흡을 위한 여러종의 방법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사용되는 마스크의 문제점은 내부에 습기와 산소부족의 답답함으로인해 마스크 착용을 기피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마스크에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여러종류의 차단장치를 부착하였으나
저가의 대량 생산의 차단기구들은 소형의 정밀도가 필요하고 별도의 부착공정의 문제점과 들슘시 외부공기가 여과 없이 순간적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의 주원료인 부직포는 극세섬유사(0.05데니어=실의크기)로 여과 흡착성능이 좋아지고 표면에는 고전압 처리하여 영구정전기력으로 미세먼지 흡착율을 높였으나 반면에 수분 흡착 시에는 정전기력이 사라지므로 마스크는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근로자가 장시간 착용시 땀, 먼지등을 포함한 타액으로 마스크 내부에서 세균에 노출되므로 한번 착용한 제품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1회용이다.
따라서 마스크는 저가에 의해 대량으로 소비되는 제품으로 인해 일관성있는 공정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06 - 0009104호 "탈착끈을 이용한 위생마스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스크 착용후 날숨시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산소부족으로 인한 답답함을 해소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마스크 착용후 날숨시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습기에 젖는 부위를 최소화하여 여과범위를 넓힘으로 인해 들숨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여과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를 일률적인 공정으로 진행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판형상의 메인 마스크부와, 상기 메인 마스크의 전면에 부착된 컵형상의 컵마스크부와, 상기 메인 마스크부에는 위생 마스크 착용시 입술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부를 천공하여 형성된 날숨홀을 통해 날숨을 컵 마스크부로 날숨을 배출하는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위생 마스크 및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은 메인 마스크부의 전면에 컵 마스크부가 부착되고, 상기 메인 마스크부에는 위생 마스크 착용시 입술부위에 위치하도록 날숨홀을 형성하여 복식 호흡시 날숨은 배힘으로 강하게 뿜어서 날숨홀을 통해 컵 마스크부로 배출함으로써 메인 마스크부 내부의 습기와 산소농도가 낮아져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습기에 의해 젖는 부위를 최소화하여 여과면적을 확대함으로 인해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식호흡은 배힘을 나타내는 것으로 대장의 연동운동, 심폐기능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날숨홈에 음향기를 설치하여 비상시 주변에 신호을 보내 호신용과
심폐질환자와 어린이, 노약자의 날슘의 음향강도로 건강도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를 일률적인 공정으로 진행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위생 마스크의 제조공정을 도시해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위생 마스크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위생 마스크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위생 마스크를 도시해 보인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위생 마스크를 도시해 보인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위생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위생 마스크의 제조공정을 도시해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 위생 마스크를 제조하는 순서는 우선 판 형상의 부직포를 제 1, 2, 3편(10, 10a, 10b)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 1, 2, 3편(10, 10a, 10b)의 경계에는 접지선(4)과 제 2편(10a)에는 입술 부위에 위치하도록 날숨홀(5)이 천공된 메인 마스크부(2)를 재단하여 초음파에 의해 절단한다.
상기 제 1, 2, 3편(10, 10a, 10b)의 접지선(4)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접합부위에 엠보싱(6)을 형성하도록 합지한다.
상기 메인 마스크부(2)는 제 2 편(10a)의 상부와 하부에 제 1, 3편(10, 10b)을 접지선(4)을 따라 포개지도록 접은 다음 엠보싱(6)을 초음파에 의해 융착하여 제 2편(10a)에 제 1, 3편(10, 10b)을 고정한다.
상기 메인 마스크부(2)는 엠보싱(6)만 접지 융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메인 마스크부(2)의 전면에 컵형상의 컵 마스크부(3)가 위치한 상태에서 날숨홀(5)이 컵 마스크부(3)의 개방된 내부로 삽입되도록 일측 단부에 융착부위(7)를 형성하여 고주파 처리에 의해 메인 마스크(2)의 표면에 융착한다.
상기 메인 마스크부(2)에 컵 마스크부(3)를 융착 고정한 다음 메인 마스크부(2) 양측으로 귀걸이끈(8)을 부착하여 완성한다.
상기 컵 마스크부(2)는 암수 한쌍의 오목 및 볼록 성형틀을 이용하여 돌출되도록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 마스크부(2)에 컵 마스크부(3)를 부착하면 컵 마스크부(3)는 메인 마스크부(2)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 위생 마스크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위생 마스크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위생 마스크를 도시해 보인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위생 마스크를 도시해 보인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 위생 마스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귀에 걸수있도록 양측에 체결된 귀걸이끈(8)과, 위생 마스크(1) 착용시 입술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부를 천공하여 날숨홀(5)이 형성된 메인 마스크부(2)와 상기 메인 마스크(2)의 전면에 위치하여 날숨홀(5)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컵 형상의 컵 마스크부(3)를 부착하여 착용자가 날숨 호흡시 날숨홀(5)을 통해 컵 마스크부(3)의 내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 위생 마스크(1)는 메인 마스크부(2)에 컵 마스크부(3)를 부착한 구조로 형성되어 위생 마스크(1)를 착용한 후 들숨시 순간적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위생 마스크(1)는 들숨과 날숨이 중복되지 않게 메인 마스크부(2)에서 입술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날숨홀(5)을 형성하여 입술에서 날숨홀(5)을 통해 날숨을 컵 마스크부(3) 내부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날숨홀(5)을 통해 컵 마스크부(3) 내부로 날숨압을 배출하면 종래의 마스크(1)보다 여과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여과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유는 날숨을 컵 마스크부 내부로 배출함으로 인해 날숨시 발생하는 습도를 처리하고, 컵 마스크부(3)로 배출된 날숨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날숨압에 의해 컵 마스크부(3)의 외부로 배출하여 메인 마스크부(2)가 젖지않아 여과면적 및 여과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날숨홀(5)의 내경 크기는 8mm ~ 10mm 의 범위내 규격에서 날숨압의 압력을 유지하는게 바람직하다.
본 발명 위생 마스크(1) 착용시 날숨에 의해 발생하는 습기 등에 의해 답답함을 느낄 때에 날숨홀(5)로 날숨압을 강하게 불어서 컵 마스크부(3) 내부로 배출하면 메인 마스크부(2)에는 산소 부족 상태와 습기로 인한 답답함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컵 마스크부(2)로 날숨을 배출함으로 인해 별도의 들숨 공기와 혼입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 위생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위생 마스크(1)의 날숨홀(5)에는 날숨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기(9)가 설치된다.
상기 음향기(9)는 호루라기와 같이 입으로 불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위생 마스크(1)에 음향기를 설치하면 필요시 어린이와 노약자의 음향 강도로 건강체크와 여성의 비상시 주위에 신변보호 요청을 할 수 있는 호신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1: 위생 마스크 2: 메인 마스크부
3: 컵 마스크부 4: 접지선
5: 날숨홀 6: 엠보싱
7: 융착부위 8: 귀걸이끈
9: 음향기 10: 제 1, 2, 3편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위생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판 형상의 부직포를 제 1, 2, 3편(10, 10a, 10b)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 1, 2, 3편(10, 10a, 10b)의 경계에는 접지선(4)과 제 2편(10a)에는 입술 부위에 위치하도록 날숨홀(5)이 천공된 메인 마스크부(2)를 준비하는 단계; 와
    상기 제 1, 2, 3편(10, 10a, 10b)의 접지선(4)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접합부위에 엠보싱(6)을 형성하는 단계; 와
    상기 제 2 편(10a)의 상부와 하부에 제 1, 3편(10, 10b)을 접지선(4)을 따라 포개지도록 접은 다음 엠보싱(6)을 융착하여 제 2편(10a)에 제 1, 3편(10, 10b)을 합지하는 단계; 와
    상기 메인 마스크부(2)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날숨홀(5)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컵 형상의 컵 마스크부(3)를 고주파에 의해 열융착하는 단계; 와
    상기 메인 마스크부(2)의 양측으로 귀걸이끈(8)을 부착하는 단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20180005008A 2018-01-15 2018-01-15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956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008A KR101956637B1 (ko) 2018-01-15 2018-01-15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008A KR101956637B1 (ko) 2018-01-15 2018-01-15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637B1 true KR101956637B1 (ko) 2019-06-24

Family

ID=6705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0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56637B1 (ko) 2018-01-15 2018-01-15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6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29B1 (ko) * 2020-04-26 2020-09-03 (주)박스마스터 위생 마스크
KR102152611B1 (ko) * 2020-03-18 2020-09-07 (주) 소윤컴퍼니 마스크 제조 장치
CN112790460A (zh) * 2021-01-22 2021-05-14 广东松科先导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唇语口罩的生产设备
KR102322071B1 (ko) 2020-11-27 2021-11-04 (주)애니원 마스크 이어 밴드 융착 공정의 불량 개선 방법
KR20210133420A (ko) 2020-04-29 2021-11-08 임명숙 방호력 및 안면 밀착성이 향상된 마스크 제조방법 및 그 마스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57U (ja) * 1993-07-02 1995-02-03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突出型複合マスク
KR200252787Y1 (ko) * 2001-06-13 2001-11-16 전상덕 마스크
KR200443652Y1 (ko) * 2007-04-18 2009-03-06 김성원 마스크
KR20100010029A (ko) * 2009-12-24 2010-01-29 이기영 일회용 황사 마스크
JP2010057903A (ja) * 2008-09-01 2010-03-18 Jangjung Industrial Corp 4面防塵マスク
JP2016508193A (ja) * 2013-01-10 2016-03-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水蒸気通気性層を含むフェースシールを有するフィルタ式顔面装着呼吸マスク
KR101810184B1 (ko) * 2017-09-12 2017-12-19 조기형 마스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57U (ja) * 1993-07-02 1995-02-03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突出型複合マスク
KR200252787Y1 (ko) * 2001-06-13 2001-11-16 전상덕 마스크
KR200443652Y1 (ko) * 2007-04-18 2009-03-06 김성원 마스크
JP2010057903A (ja) * 2008-09-01 2010-03-18 Jangjung Industrial Corp 4面防塵マスク
KR20100010029A (ko) * 2009-12-24 2010-01-29 이기영 일회용 황사 마스크
JP2016508193A (ja) * 2013-01-10 2016-03-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水蒸気通気性層を含むフェースシールを有するフィルタ式顔面装着呼吸マスク
KR101810184B1 (ko) * 2017-09-12 2017-12-19 조기형 마스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611B1 (ko) * 2020-03-18 2020-09-07 (주) 소윤컴퍼니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151729B1 (ko) * 2020-04-26 2020-09-03 (주)박스마스터 위생 마스크
KR20210133420A (ko) 2020-04-29 2021-11-08 임명숙 방호력 및 안면 밀착성이 향상된 마스크 제조방법 및 그 마스크
KR102322071B1 (ko) 2020-11-27 2021-11-04 (주)애니원 마스크 이어 밴드 융착 공정의 불량 개선 방법
CN112790460A (zh) * 2021-01-22 2021-05-14 广东松科先导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唇语口罩的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637B1 (ko)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KR200479660Y1 (ko) 필터교체형 마스크
KR101840108B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101634866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WO2005004993A1 (fr) Filtre nasal
KR101856620B1 (ko) 기능성 황사 마스크
KR20160111675A (ko)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20190078254A (ko) 오리가미식 주름을 구비한 닥섬유 부직포의 마스크
KR101737202B1 (ko) 코마스크
KR20190030427A (ko) 마우스피스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20170003790U (ko) 다기능 마스크
CN207613240U (zh) 一种医用呼吸口罩
JP3123780U (ja) 鼻用フィルタ
JP2002345986A (ja) 鼻マスク
CN211932720U (zh) 一种新型防雾霾香味口罩
KR102327702B1 (ko) 광물 미세분말을 도포한 교체형 필터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CN103920257A (zh) 隐形式生化鼻塞过滤罩
WO2004110541A1 (en) A fragrant mask
CN114631657A (zh) 具有分离型挂耳绳的口罩
KR102510088B1 (ko) 분리형 걸이끈이 구비된 마스크
JP2007021032A (ja) マスク
CN205516062U (zh) 一种防尘口罩
KR20220032666A (ko) 황토성분이 포함된 한지 마스크
KR20170060464A (ko) 콧속내장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JPH10277171A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