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6150B1 - 핀 자동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핀 자동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150B1
KR101956150B1 KR1020160173316A KR20160173316A KR101956150B1 KR 101956150 B1 KR101956150 B1 KR 101956150B1 KR 1020160173316 A KR1020160173316 A KR 1020160173316A KR 20160173316 A KR20160173316 A KR 20160173316A KR 101956150 B1 KR101956150 B1 KR 10195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veyor belt
driver link
holder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838A (ko
Inventor
김덕봉
Original Assignee
김덕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봉 filed Critical 김덕봉
Priority to KR102016017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1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15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35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tor-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체인벨트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스프라켓(14)이 설치되어 구동모터(16)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24)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드라이버 링크(D)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바디(28)와, 상기 지지바디(28)의 상측에 설치되며,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제1,2절첩브라켓(3,4)이 삽입 고정되는 제1,2브라켓고정홈(38,40)이 형성되는 고정블럭(36)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다이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전,후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바(54)와, 상기 지지바(54)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바(54)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56)와, 상기 고정플레이트(56)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전후로 길게 설치되며,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이동레일(60)과, 상기 전후이동레일(60)의 상측에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전후이동레일(60)에 설치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이동레일(66)과, 상기 좌우이동레일(66)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하부면 전,후측이 각각 상기 좌우이동레일(66)에 레일 결합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헤드이송플레이트(68)와, 상기 헤드이송플레이트(68)의 하부면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되어 드라이버 링크(D)의 핀홀(5)에 핀을 삽입하는 핀삽입헤드(80)와; 상기 헤드이송플레이트(68)의 상측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핀삽입헤드(8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72)로 이루어지는 핀삽입수단(52);을 포함하는 핀 자동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핀홀에 먼저 장착된 가이드핀에 의해 핀이 가이드되며, 핀이 삽입됨에 따라 핀홀의 결합부위의 어긋남에 의한 드라이버 링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핀 삽입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핀홀더에 장착된 핀이 상기 핀홀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완충스프링에 의해 상기 핀홀더가 상부 방향으로 후퇴되어, 상기 드라이버 링크와 상기 핀의 접촉에 의한 상기 드라이버 링크을 파손이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핀 자동 삽입장치{Pin automatic insertion device}
본 발명은 핀 자동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다이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링크의 핀홀 내부에 가이드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핀 삽입 공정이 이루어지므로핀의 보다 정확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의 결합부위 오조립에 의해 드라이브 링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핀 자동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브 링크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부품으로 대형트럭에 발판을 지지하는 자동차 부품이다. 상기 드라이브 링크는 도 1과 같이 몸체부(1), 연결브라켓(2), 제1절첩브라켓(3), 제2절첩브라켓(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절첩브라켓(3)과, 상기 제2절첩브라켓(4)의 양단에는 각각 핀(P)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와 상기 연결브라켓(2)의 절첩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핀(P)의 삽입 공정은 작업자가 단순히 공구를 이용하여 직접 삽입함에 따라 핀(P)의 삽입 공정이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삽입 과정에서 제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8-0057101에 핀을 자동으로 삽입하는 핀 삽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핀 삽입장치는 피삽입물이 삽입되는 제1홈, 상기 제1홈의 길이방향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삽입물의 핀홀에 조립되는 핀이 사입되는 제2홈이 형성된 핀지지대, 중심축이 상기 제2홈에 놓여진 핀의 중심축과 동축인 핀타격봉, 상기 핀타격봉을 중심축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핀 삽입장치는 피삽입물의 핀홀에 핀을 타격봉으로 타격하는 삽입하는 방식으로 핀 삽입과정에서 핀홀과 핀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피삽입물 또는 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삽입물의 삽입공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작업자가 피삽입물의 삽입공정을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작업 시간을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10-2006-005710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다이에 장착되는 드라이브 링크의 핀홀 내부에 가이드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핀 삽입 공정이 이루어지므로핀의 보다 정확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의 결합부위 오조립에 의해 드라이브 링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핀 자동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핀 자동 삽입장치는, 다수개의 체인벨트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스프라켓이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드라이버 링크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바디와, 상기 지지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며,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제1,2절첩브라켓이 삽입 고정되는 제1,2브라켓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고정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다이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전,후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전후로 길게 설치되며,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이동레일과, 상기 전후이동레일의 상측에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전후이동레일에 설치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이동레일과, 상기 좌우이동레일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하부면 전,후측이 각각 상기 좌우이동레일에 레일 결합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헤드이송플레이트와, 상기 헤드이송플레이트의 하부면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되어 드라이버 링크의 핀홀에 핀을 삽입하는 핀삽입헤드와, 상기 헤드이송플레이트의 상측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핀삽입헤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로 이루어지는 핀삽입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다이에 드라이버 링크가 안착되는 경우에 드라이버 링크의 핀홀과 동일한 위치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1,2가이드핀승강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핀승강홀을 통해 상기 지지바디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핀홀의 내부에 삽입되고, 핀의 삽입전에 핀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핀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가이드핀의 하부를 지지하고, 복수개의 상기 가이드핀을 동시에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지지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승강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지지판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핀삽입헤드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승강로드의 하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바와, 상기 가압바의 하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압바의 외측에서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핀홀더와, 상기 핀홀더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하단부에 핀이 삽입 고정되는 핀삽입홀과, 상기 핀과 동일 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압바의 하부면 중앙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바에 의해 상기 핀삽입홀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핀을 상하로 눌러주어 핀홀에 핀을 삽입하는 핀가압바와, 상기 핀가압바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며, 공기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핀삽입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로드와 상기 핀홀더의 사이에는, 일단은 상기 승강로드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핀홀더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핀삽입헤드의 핀 삽입 공정시 상기 핀홀더를 하부 방향으로 탄성지지지여 핀의 초기 삽입기 상기 핀홀더를 상부 방향으로 후퇴시켜 드라이버 링크의 손상을 방지하는 제1완충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가압바와 상기 핀홀더의 사이에는, 일단은 상기 가압바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핀홀더의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핀삽입헤드의 핀 삽입 공정시 핀이 일정 이상 삽입된 경우에 상기 핀홀더를 상부 방향으로 후퇴시켜 상기 핀홀더에 접촉에 의해 드라이버 링크의 손상을 방지하는 제2완충스프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핀 자동 삽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다이에 장착된 드라이브 링크의 핀홀에 가이드핀이 장착된 상태에서 핀의 삽입 공정이 이루어져, 핀홀의 결합부위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핀홀의 핀 삽입 고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핀홀에 먼저 장착된 가이드핀에 의해 핀이 가이드되며, 핀이 삽입됨에 따라 핀홀의 결합부위의 어긋남에 의한 드라이버 링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핀 삽입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핀홀더에 장착된 핀이 상기 핀홀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완충스프링에 의해 상기 핀홀더가 상부 방향으로 후퇴되어, 상기 드라이버 링크와 상기 핀의 접촉에 의한 상기 드라이버 링크을 파손이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핀홀더의 내부에 추가적으로 제2완충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핀홀에 일정 이상의 핀이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핀홀더가 밀착되더라도 상기 핀홀더가 상부 방향으로 후퇴되어 상기 드라이버 링크와 상기 핀홀더의 접촉에 의해 드라이버 링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핀이 삽입되는 드라이버 링크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핀 자동 삽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핀 자동 삽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핀 자동 삽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에 드라이버 링크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에 드라이버 링크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에 드라이버 링크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핀승강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핀이 드라이버 링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핀이 드라이버 링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핀삽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핀삽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핀삽입헤드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핀 자동 삽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해 핀이 삽입되는 드라이버 링크의 구성을 보인 도면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핀 자동 삽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핀 자동 삽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핀 자동 삽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에 드라이버 링크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에 드라이버 링크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다이에 드라이버 링크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핀승강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핀이 드라이버 링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핀이 드라이버 링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핀 자동 삽입장치는, 다수개의 체인벨트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스프라켓(14)이 설치되어 구동모터(16)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24)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드라이버 링크(D)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바디(28)와, 상기 지지바디(28)의 상측에 설치되며,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제1,2절첩브라켓(3,4)이 삽입 고정되는 제1,2브라켓고정홈(38,40)이 형성되는 고정블럭(36)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다이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전,후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바(54)와, 상기 지지바(54)의 수평하게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바(54)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56)와, 상기 고정플레이트(56)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전후로 길게 설치되며,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이동레일(60)과, 상기 전후이동레일(60)의 상측에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전후이동레일(60)에 설치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이동레일(66)과, 상기 좌우이동레일(66)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하부면 전,후측이 각각 상기 좌우이동레일(66)에 레일 결합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헤드이송플레이트(68)와, 상기 헤드이송플레이트(68)의 하부면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되어 드라이버 링크(D)의 핀홀(5)에 핀을 삽입하는 핀삽입헤드(80)와; 상기 헤드이송플레이트(68)의 상측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핀삽입헤드(8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72)로 이루어지는 핀삽입수단(52) 등으로 이루어진다.
컨베이어 벨트(10)는 도 2와 같이, 다수개의 체인벨트(12)로 이루어져, 상기 체인벨트(12)의 양단에 각각 스프라켓(14)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14)에 구동모터(16)가 설치되어 상기 체인벨트(12)의 회전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0)는 지지테이블(20)의 상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부면에 후술할 고정다이(22)가 안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에 의햐 후술할 고정다이(22)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지지플레이트(24)의 양단 하부가 각각 안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회전에 따라 후술할 후술할 고정다이(22)를 핀삽입수단(52)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측에는 고정다이(2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다이(22)는, 지지플레이트(24), 지지바디(28), 고정블럭(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4)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하단 양측은 각각 컨베이어 벨트(1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내부에는 제1가이드핀승강홀(26)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핀승강홀(26)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상부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핀승강홀(26)은 핀(P)이 삽입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가이드핀(42)의 상하 승강 이동시 후술할 가이드핀(4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상측에는 지지바디(28)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바디(28)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중앙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바디(28)는 드라이버 링크(D)가 상부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드라이버 링크(D)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바디(28)의 내부에는 제2가이드핀승강홀(50)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핀승강홀(50)은 지지바디(28)의 상부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핀승강홀(50)은 상기 제1가이드핀승강홀(26)과 동일한 위치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핀승강홀(26)을 통해 상부방향으로 관통되는 후술할 가이드핀(42)이 상기 지지바디(28)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지지바디(28)의 내부에는 가이드핀감지센서(32)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핀감지센서(32)는 일반적인 접촉식센서 및 비접촉식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접촉식센서를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핀감지센서(32)는 상기 제2가이드핀승강홀(50)의 내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핀(42)의 유무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즉, 드라이버 링크(D)에 핀(P)이 삽입되어 후술할 가이드핀(42)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핀(P)의 장착 유무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바디(28)의 상부에는 고정핀(34)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34)은 도 10과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바디(28)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34)의 설치 위치는 드라이버 링크(D)가 고정핀홀(6)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다.
즉, 상기 고정핀(34)은 상기 지지바디(28)에 드라이버 링크(D)가 안착되는 경우에 드라이버 링크(D)의 고정핀홀(6)에 삽입되어 상기 드라이버 링크(D)를 상기 지지바디(28)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바디(28)의 상측에는 고정블럭(36)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블럭(36)은 도 6와 같이, 삼각형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바디(28)의 중앙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블럭(36)의 상부면에는 제1브라켓고정홈(38)과 제2브라켓고정홈(4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브라켓고정홈(38)은 상기 고정블럭(36)의 상,하측에 각각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브라켓고정홈(38)은 상기 제2절첩브라켓(4)의 외경 일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브라켓고정홈(38)의 내부에는 상기 제2절첩브라켓(4)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브라켓고정홈(40)은 상기 고정블럭(36)의 중앙에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브라켓고정홈(40)은 상기 제1절첩브라켓(3)의 외경 일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브라켓고정홈(4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절첩브라켓(3)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지지바디(28)의 상부면에는 드라이버 링크(D)의 몸체부(1)와 연결브라켓(2)이 지지되고, 상기 고정블럭(36)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2절첩브라켓(3,4)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핀 삽입 공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하부에는 가이드핀(42)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핀(42)은 일반적인 핀(Pin)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이드핀(42)은 상기 제1,2가이드핀승강홀(26,30)의 내부에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디(28)의 상측에 드라이버 링크(D)의 안착되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핀홀(5)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핀(42)은 상기 핀홀(5)에 핀(P)이 삽입되기 전에 상기 핀홀(5)에 미리 삽입되어 상기 핀(P)의 삽입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42)는 핀홀(5)의 내부에 핀(P)이 삽입됨에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핀(P)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핀(42)의 하부에는 승강지지판(44)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지지판(44)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가이드핀(42)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지지판(44)의 양측에는 승강판지지브라켓(46)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판지지브라켓(46)은 단면이 "└"자 또는 "┘"자 형상인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승강판지지브라켓(46)은 상기 승강지지판(44)의 하부면 양측을 각각 지지하여 상기 승강지지판(4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승강판지지브라켓(46)의 내부에는 승강가이드로드(48)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로드(48)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로드(48)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양측 하부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로드(48)는 상기 승강지지판(44)의 양측에 관통 형성된 승강홀(50)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승강지지판(44)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승강지지판(44)의 하부에는, 도 11과 같이, 승강실린더(45)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실린더(45)는 일반적인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실린더(45)는 상기 승강지지판(44)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지지판(44)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핀(42)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승강지지판(44)의 상하 이동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가이드핀(42)이 동시에 동일한 높이로 승강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립구조로 보다 효율적인 상기 가이드핀(42)의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핀삽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핀삽입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핀삽입헤드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삽입수단(52)은, 지지바(54), 고정플레이트(56), 전후이동레일(60), 좌우이동레일(66), 헤드이송플레이트(68), 핀삽입헤드(80), 승강부재(7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바(54)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지지테이블(20)의 상부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바(54)는 후술할 고정플레이트(56)가 지지테이블(20)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바(54)의 상단에는 고정플레이트(56)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6)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바(54)의 상단에 수평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6)의 상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6)의 중앙에는 헤드승강홀(58)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승강홀(58)은 도 3과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헤드승강홀(58)은 내부에는 후술할 핀삽입헤드(80)가 관통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6)의 상부면에는 전후이송레일(60)이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레일(60)은 일반적인 LM가이드레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후이송레일(6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56)의 양측 상부면에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레일(60)의 상부면에는 후술한 전후이송판(62)이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송판(62)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이송레일(60)의 상측에는 전후이송판(62)이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판(62)은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전후이송레일(6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송판(62)은 전후이송모터(64)와 연결되어 후술할 좌우이송레일(66)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전후이송판(62)의 상측에는 좌우이송레일(66) 및 헤드이송플레이트(68)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레일(66)과 상기 헤드이송플레이트(68)는 상기 전후이송레일(60)과 상기 전후이송판(62)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전후이송판(62)의 상측에서 좌우이송모터(7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헤드이송플레이트(68)의 상측에는 승강부재(72)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재(72)는 일반적인 서보모터(74)와 승강로드(76)의 구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부재(72)는 서모모터와 승강로드 구조 이외에도 후술할 핀삽입헤드(8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72)의 하부에는 핀삽입헤드(80)가 설치된다. 상기 핀삽입헤드(8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승강로드(76)의 하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로드(76)의 상하로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바(82)와, 상기 가압바(82)의 하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압바(82)의 외측에서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핀홀더(84)와, 상기 핀홀더(84)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하단부에 핀(P)이 삽입 고정되는 핀삽입홀(88)과, 상기 핀(P)과 동일 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압바(82)의 하부면 중앙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바(82)에 의해 상기 핀삽입홀(88)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핀(P)을 상하로 눌러주어 핀홀(5)에 핀(P)을 삽입하는 핀가압바(90)와, 상기 핀가압바(9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며, 공기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핀삽입홀(88)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로(9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바(8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로드(76)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압바(82)는 상기 승강로드(7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7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바(82)의 외측에는 핀홀더(84)가 설치된다. 상기 핀홀더(84)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바(82)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핀홀더(84)의 상측에는 원통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가압바습동공간(86)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바(82)의 일부분이 내부에 습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핀홀더(84)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핀삽입홀(88)이 형성된다. 상기 핀삽입홀(88)은 핀(P)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핀홀더(84)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핀삽입홀(88)의 내부에는 핀(P)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압바(82)의 하부에는 핀가압바(90)가 설치된다. 상기 핀가압바(90)는 상기 핀(P)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핀가압바(90)의 일단은 상기 가압바(82)의 하단 중앙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바(8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핀홀더(84)에 장착된 핀(P)을 하부방향으로 눌러주어 핀홀(5)에 핀(P)을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핀가압바(90)의 내부에는 흡입유로(9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유로(92)는 일반적인 공기유로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흡입유로(92)는 상기 핀가압바(90)의 하부면과 측면에 각각 연통되며, 석션플러그(94)와 연결되어 상기 핀삽입홀(88)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즉, 상기 핀홀더(84)의 핀삽입홀(88)에 핀(P)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흡입유로(9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핀삽입홀(88)에 손쉽게 핀(P)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로드(76)와 상기 핀홀더(84)의 사이에는 제1완충스프링(96)이 설치된다.
상기 제1완충스프링(96)은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완충스프링(96)의 일단은 상기 승강로드(76)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핀홀더(84)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핀삽입헤드(80)의 핀(P) 삽입 공정시 상기 핀홀더(84)를 하부 방향으로 탄성지지지여 핀(P)의 초기 삽입기 상기 핀홀더(84)를 상부 방향으로 후퇴시켜 드라이버 링크(D)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가압바(82)와 상기 핀홀더(84)의 사이에는 제2완충스프링(98)이 설치된다. 상기 제2완충스프링(98)은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완충스프링(98)의 일단은 상기 가압바(82)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핀홀더(84)의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핀삽입헤드(80)의 핀(P) 삽입 공정시 핀(P)이 일정 이상 삽입된 경우에 상기 핀홀더(84)를 상부 방향으로 후퇴시켜 상기 핀홀더(84)에 접촉에 의해 드라이버 링크(D)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핀 자동 삽입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6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작업자가 고정다이(22)의 상측에 드라이버 링크(D)를 장착한다. 상기 고정다이(22)의 고정핀(34)에 상기 드라이버 링크(D)의 고정핀홀(6)을 삽입한 후, 제1,2브라켓고정홈(38,40)의 내부에 제1,2절첩브라켓(3,4)의 하단을 각각 삽입하여 상기 고정다이(22)에 드라이버 링크(D)을 장착한다.
상기 고정다이(22)에 드라이버 링크(D)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끝단 상측에 설치된 이송로더(100)가 작동되어 상기 고정다이(22)를 컨베이어 벨트(10)로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에 이동된 고정다이(22)는 컨베이어 벨트(10)를 따라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핀삽입수단(52)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다이(22)가 상기 핀삽입수단(52)의 하부에 위치하면, 승강실린더(45)가 상부방향으로 작동되어 승강지지판(44)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승강지지판(44)의 상측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지지판(44)의 상부면에 설치된 가이드핀(42)이 지지바디(28)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핀(42)은 상기 지지바디(28)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드라이버 링크(D)의 핀홀(5)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드라이버 링크(D)의 핀(P) 삽입부위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핀(42)의 상기 핀홀(5)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다이(22)의 상측에 설치된 상기 핀삽입수단(52)이 작동되어 핀(P)의 삽입 위치에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며,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핀(P)의 삽입 위치로 핀삽입헤드(80)를 이동시킨다.
상기 핀삽입헤드(80)의 핀삽입 위치 설정이 완료되면, 핀공급로더(200)에 의해 핀홀더(84)의 하부로 이동되고, 흡입유로(92)를 통해 핀삽입홀(88)의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핀삽입홀(88)에 핀(P)가 손쉽게 장착된다.
상기 핀홀더(84)에 핀(P)의 장착이 완료되면, 승강로드(76)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승강로드(76)의 하부 이동에 따라 상기 핀삽입헤드(80)가 드라이버 링크(D)의 핀홀(5) 측으로 하강한다.
상기 핀홀더(84)에 장착된 핀(P)이 정확히 상기 핀홀(5)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핀(42)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핀홀(5) 내부에 상기 핀(P)의 삽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핀홀(5)에 먼저 장착된 가이드핀(42)에 의해 핀(P)이 가이드되며, 삽입됨에 따라 핀홀(5)의 결합부위의 어긋남에 따라 드라이버 링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홀더(84)에 장착된 핀(P)이 상기 핀홀(5)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완충스프링(96)에 의해 상기 핀홀더(84)가 상부 방향으로 후퇴되어, 상기 드라이버 링크(D)와 상기 핀(P)의 접촉에 의한 상기 드라이버 링크(D)을 파손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핀홀더(84)의 내부에 추가적으로 제2완충스프링(98)이 설치되어, 상기 핀홀(5)에 일정 이상의 핀(P)이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핀홀더(84)가 밀착되더라도 상기 핀홀더(84)가 상부 방향으로 후퇴되어 상기 드라이버 링크(D)와 상기 핀홀더(84)의 접촉에 의해 드라이버 링크(D)을 파손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컨베이어 벨트 20. 지지테이블
22. 고정다이 24. 지지플레이트
28. 지지바디 36. 고정블럭
42. 가이드핀 52. 핀삽입수단
80. 핀삽입헤드 88. 핀삽입홀

Claims (5)

  1. 다수개의 체인벨트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스프라켓(14)이 설치되어 구동모터(16)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24)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드라이버 링크(D)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바디(28)와, 상기 지지바디(28)의 상측에 설치되며,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제1,2절첩브라켓(3,4)이 삽입 고정되는 제1,2브라켓고정홈(38,40)이 형성되는 고정블럭(36)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다이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전,후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바(54)와, 상기 지지바(54)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바(54)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56)와, 상기 고정플레이트(56)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전후로 길게 설치되며,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이동레일(60)과, 상기 전후이동레일(60)의 상측에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 전후이동레일(60)에 설치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이동레일(66)과, 상기 좌우이동레일(66)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하부면 전,후측이 각각 상기 좌우이동레일(66)에 레일 결합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헤드이송플레이트(68)와, 상기 헤드이송플레이트(68)의 하부면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하로 승강되어 드라이버 링크(D)의 핀홀(5)에 핀을 삽입하는 핀삽입헤드(80)와; 상기 헤드이송플레이트(68)의 상측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핀삽입헤드(8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72)로 이루어지는 핀삽입수단(52);을 포함하는 핀 자동 삽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24)와 상기 지지바디(28)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다이(22)에 드라이버 링크(D)가 안착되는 경우에 드라이버 링크(D)의 핀홀(5)과 동일한 위치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1,2가이드핀승강홀(26,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24)의 하부에는,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가이드핀승강홀(26,30)을 통해 상기 지지바디(28)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핀홀(5)의 내부에 삽입되고, 핀(P)의 삽입전에 핀(P)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4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 자동 삽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42)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가이드핀(42)의 하부를 지지하고, 복수개의 상기 가이드핀(42)을 동시에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지지판(44)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승강지지판(44)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지지판(44)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4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 자동 삽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삽입헤드(8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승강부재(72)의 하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재(7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바(82)와;
    상기 가압바(82)의 하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압바(82)의 외측에서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핀홀더(84)와;
    상기 핀홀더(84)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하단부에 핀(P)이 삽입 고정되는 핀삽입홀(88)과;
    상기 핀(P)과 동일 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압바(82)의 하부면 중앙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바(82)에 의해 상기 핀삽입홀(88)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핀(P)을 상하로 눌러주어 핀홀(5)에 핀(P)을 삽입하는 핀가압바(90)와;
    상기 핀가압바(9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며, 공기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핀삽입홀(88)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로(92);를 포함하는 핀 자동 삽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72)와 상기 핀홀더(84)의 사이에는,
    일단은 상기 승강부재(72)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핀홀더(84)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핀삽입헤드(80)의 핀(P) 삽입 공정시 상기 핀홀더(84)를 하부 방향으로 탄성지지지여 핀(P)의 초기 삽입기 상기 핀홀더(84)를 상부 방향으로 후퇴시켜 드라이버 링크(D)의 손상을 방지하는 제1완충스프링(96)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가압바(82)와 상기 핀홀더(84)의 사이에는,
    일단은 상기 가압바(82)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핀홀더(84)의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핀삽입헤드(80)의 핀(P) 삽입 공정시 핀(P)이 일정 이상 삽입된 경우에 상기 핀홀더(84)를 상부 방향으로 후퇴시켜 상기 핀홀더(84)에 접촉에 의해 드라이버 링크(D)의 손상을 방지하는 제2완충스프링(98)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 자동 삽입장치.
KR1020160173316A 2016-12-19 2016-12-19 핀 자동 삽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956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16A KR101956150B1 (ko) 2016-12-19 2016-12-19 핀 자동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16A KR101956150B1 (ko) 2016-12-19 2016-12-19 핀 자동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38A KR20180070838A (ko) 2018-06-27
KR101956150B1 true KR101956150B1 (ko) 2019-03-08

Family

ID=6278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3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56150B1 (ko) 2016-12-19 2016-12-19 핀 자동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0382B (zh) * 2022-05-28 2024-03-12 贵州民族大学 一种工程机械电子插装结构
CN119369344B (zh) * 2024-12-31 2025-03-18 山东华宇工学院 一种汽车配件紧固安装装置及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359B1 (ko) 2012-04-20 2013-01-21 윤헌플러스(주) 핀 삽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40B2 (ja) * 1991-07-05 1995-03-08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ピン位置決め装置
JPH0871868A (ja) * 1994-08-30 1996-03-19 Asahi Seiki Kogyo Kk 無限軌道組立ラインのボルト取付装置
KR20000003742U (ko) * 1998-07-29 2000-02-25 윤종용 패키지포장용 핀삽입장치
KR100615289B1 (ko) 2004-11-23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359B1 (ko) 2012-04-20 2013-01-21 윤헌플러스(주) 핀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38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435B1 (ko) 자동 반전용 인쇄회로기판 적재장치
KR101911370B1 (ko) 자동 핀 공급장치
CN108583112B (zh) 基于玻璃精雕机的自动化生产线
KR101518025B1 (ko) 모터컨트롤러부품 자동용접장치
EP21052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omponent attachment
KR101956150B1 (ko) 핀 자동 삽입장치
CN113305528A (zh) 汽车部件的自动化生产系统
CN106743614B (zh) 一种电子元件搬运系统
CN107466197A (zh) 部件安装装置以及部件安装方法
CN110395575B (zh) 一种接力式搬运线
WO2022059382A1 (ja) 上型及び加工システム
CN216154888U (zh) 套筒工件自动输送装置
KR20200129287A (ko) 샤링기용 클램핑장치
KR20220131708A (ko) 와이어링 하네스 장치
CN111399485A (zh) 电机控制器全自动测试装置
JP3131603U (ja) 移動式クランプ装置
JP4491650B2 (ja) 基板位置決め装置
CN110952226B (zh) 缝纫机
CN211589144U (zh) 一种压合设备
CN210587950U (zh) 胎压监测器自动组装线的外壳进料装置
CN109159239B (zh) 一种床板自动打爪钉机
CN113320970A (zh) 物流输送系统
JP2010046693A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加工製品搬出装置
CN219155784U (zh) 一种检测及移载组件
TWM516478U (zh) 金屬工件自動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0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6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1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6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