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069B1 - 3d insu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3d insul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6069B1 KR101956069B1 KR1020180055598A KR20180055598A KR101956069B1 KR 101956069 B1 KR101956069 B1 KR 101956069B1 KR 1020180055598 A KR1020180055598 A KR 1020180055598A KR 20180055598 A KR20180055598 A KR 20180055598A KR 101956069 B1 KR101956069 B1 KR 101956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window
- window frame
- heat insulating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81 Ethylene propyl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3D 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장착되는 창틀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로서, 상기 창틀 프레임은 외측 창틀 프레임과 내측 창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창틀 프레임과 내측 창틀 프레임 사이에는 전도열을 차단하는 전도열 차단재와 상기 외측 및 내측 창틀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서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차단하는 창틀 단열재가 설치되며, 상기 창문 프레임은 유리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프레임, 유리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를 통한 열 전도 및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되는 창틀 프레임을 통해 건물 내외부로 전달되는 전도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insulation system, comprising a window frame frame mounted on a wall surface and a window frame slidably mounted on the window frame frame, wherein the window frame frame comprises an outer window frame frame and an inner window frame frame, A window frame insulat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window frame frame and the inner window frame frame to surround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and inner window frame frames to block heat transfer by convection of air, A heat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for interrupting heat conduction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and heat transfer due to air convection, And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It is possible to block the conduction heat transmitt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window frame frame and block the heat transfer due to convection of the air.
Description
본 발명은 3D 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3D 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건물에서 널리 사용되는 창호는 주로 문, 창문, 또는 발코니 등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창호는 외기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는 내후성 및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창 자중 또는 외부 풍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Generally, windows that are widely used in buildings are mainly used to construct doors, windows, or balconies. The window should have weather resistance and durability with high resistance to the outside air, and be able to withstand window weight or external wind load.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아파트나 오피스 창호와 같은 대형 창호에는 알루미늄 새시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알루미늄 재질의 단일 창호는 금속의 특성상 단열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Considering these points, aluminum sashes are used for large windows such as apartments and office windows. However, such a single window made of aluminum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sulating property is poor due to the nature of the metal.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중 구조의 복합 창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omposite window of a double structur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이중 구조의 복합 창호가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특허문헌 1에는 창문틀은 외측과 내측의 이중의 창문 구조를 이루되 각각의 창문틀을 실내측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과 실외측에 위치하는 보조프레임으로 분리하고, 창틀은 실외측 창문틀이 놓여지는 슬라이딩면과 실내측의 창문틀이 놓여지는 슬라이딩면의 높이가 상이하게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및 창문들과 창틀의 각각의 메인 프레임이 내측으로 노출되는 부위에 보조프레임을 구비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복합창호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In
특허문헌 2는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것으로, 특허문헌 2에는 창틀 프레임을 금속패널로 이루어진 외측창틀 프레임과 단열패널로 이루어진 내측창틀 프레임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이중창 단열 복합창호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In Patent Document 2,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configuration of a double-pane thermal insulating composite window constructed by combining an outer window frame frame made of a metal panel and an inner window frame frame made of a heat insulating panel, have.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는 알루미늄새시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인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알루미늄새시와 단열재를 접착제나 스크루에 의해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ade of an aluminum sash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is made of wood or synthetic resin, and the aluminum sash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re bonded by an adhesive or a screw.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는 알루미늄 재질의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에 단열재를 설치해서 전도열만을 차단한다.However, the window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at a portion where the outer frame of the aluminum material and the inner fram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shielding only the heat from the heat.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는 외기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 공간에 충진된 공기의 대류에 의해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the window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insulation effect is lowered by convection of the air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as the ambient temperature changes.
그리고 알루미늄새시와 단열재는 서로 일정 이상의 열팽창 계수 차이를 가짐에 따라, 건물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변화에 의해 알루미늄새시와 단열재의 수축 및 팽창 정도가 다르게 발생한다. Since the aluminum sash and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have a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equal to or more than a certain value, the aluminum sash and the insulation material have different shrinkage and expansion degrees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는 겨울철에 외기 온도 변화시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따라 단열재의 변형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deformation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occurs but also cracks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when the outdoor air temperature changes in winter.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는 단열 요구 성능을 위해 삼중 유리를 적용하거나 복잡한 단열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window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triple-glazing or the complicated adiabatic structure for the heat insulation required performanc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호의 알루미늄 새시를 통한 열의 전도 및 대류를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3D 단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insula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heat conduction and convection through an aluminum chassis of a window to improve the heat insulation proper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호의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3D 단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insulat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structural safety of a window.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단열 시스템은 벽면에 장착되는 창틀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로서, 상기 창틀 프레임은 외측 창틀 프레임과 내측 창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창틀 프레임과 내측 창틀 프레임 사이에는 전도열을 차단하는 전도열 차단재와 상기 외측 및 내측 창틀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서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차단하는 창틀 단열재가 설치되며, 상기 창문 프레임은 유리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프레임, 유리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를 통한 열 전도 및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3D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ll window frame including a window frame frame mounted on a wall and a window frame slidably mounted on a window frame frame, A window frame insulation member enclosing an inner space of the outer and inner window frame frames to block heat transfer by convection of air, Wherein the window frame is provided between an outer fram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glass, an inner fram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glass and an inner frame provid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at blocks heat transfer by convection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단열 시스템은 한 쌍의 유리 사이에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튼 월 창호로서, 상기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열 전도 및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손실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단에서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열 전도를 차단하도록 단열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단열재와 내측 프레임은 상기 본체와 내측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3D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tain wall window including an outer frame and an inner frame installed between a pair of glasses,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to block heat conduction and heat loss due to air convection, where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has a body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2 extensions, and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heat insulation so as to block heat conduction,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inner fram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ody and the inner fram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 단열 시스템에 의하면, 외측 창틀 프레임과 내측 창틀 프레임 사이에 전도열 차단재를 설치하고, 창틀 단열재에 지지리브를 형성해서 창틀 프레임과 가이드 레일 및 전도열 차단재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는 창틀 프레임을 통해 건물 내외부로 전달되는 전도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3D insu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ductive heat shielding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an outer window frame frame and an inner window frame frame, and a support rib is formed on the window frame insulation material to form an air layer between the window frame frame and the guide rail and the heat- The window frame fram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is used to block the conduction heat transmitt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o block the heat transfer due to convection of the air.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 프레임을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단열재를 장착하여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의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열 전도를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t conduction by preventing direct contact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by insert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forming the window frame.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창틀 프레임 및 창문 프레임과 단열재 사이에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air layers between a window frame frame and a window fram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t transfer due to air convection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재의 탄성을 이용해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끼움 결합식으로 프레임에 장착함에 따라, 단열재와 프레임의 열팽창률 차이로 인한 단열재의 손상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ttaching it to the frame without using an adhesiv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frame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 창호의 프레임을 통한 전도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프레임 내부 공간에 충진된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by shielding the conduction heat through the frame of the composite window and minimizing the heat loss due to convection of the air filled in the space inside the fram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호 및 창호에 적용되는 단열재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단열재의 제2 연장부에 유리를 바로 설치시 외부면이 통일감 있게 설치 가능함에 따라, 기존에 유리를 시공하기 위한 별도의 스페이스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pplied to the window and window can be simplified and the outer surface can be installed uniformly when the glass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second extended portion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here is no need to perform the space operation of the work space, there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nd improving the work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3D 단열 시스템이 적용된 미서기 창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X-X'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Y-Y'선에 대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과 도 3에 도시된 A 부분 및 B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D 단열 시스템이 적용된 미서기 창호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 월 창호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종래기술에 커튼 월 창호의 열차단 성능 시험 결과를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월 창호의 열차단 성능 시험결과를 보인 예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door locker window to which a 3D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shown in FIG. 1,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Y-Y 'shown in FIG. 1,
Figs. 4 and 5 are enlarged views of portions A and B shown in Figs. 2 and 3, respectively,
FIG. 6 is a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a stepwise method of constructing a glass door window to which a 3D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7 and 8 are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a curtain wall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to 11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results of a performance test on a curtain wall window in a conventional art,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sult of a performance test on a curtain wall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3D 단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3D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Hereinafter,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left', 'right', 'forward', 'rearward', 'upward' and 'downward' are defined as indicating respective directions based on the states shown in the respective drawings do.
그리고 미서기(슬라이딩) 창호와 커튼월 창호에 적용되는 경우를 구분해서 설명한다. And a case where it is applied to a sliding window and a curtain window.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3D 단열 시스템이 적용된 미서기 창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X-X'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Y-Y'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Y in FIG. 1, -Y 'line in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서기 창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장착되는 창틀 프레임(20)과 창틀 프레임(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 프레임(30)을 포함한다. 1, a
창틀 프레임(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창틀 프레임(21)과 내측 창틀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지고, 외측 창틀 프레임(21)과 내측 창틀 프레임(22) 사이에는 전도열을 차단하는 전도열 차단재(23)가 설치된다.2 and 3, the
여기서, 전도열 차단재(23)는 교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외측 창틀 프레임(21)과 내측 창틀 프레임(22)에 끼움 결합식으로 결합된다.Here, the
전도열 차단재(23)는 폴리 아미드(polyamide)나 폴리 스틸렌 폼(polystylene form)과 같이 단열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The
이를 위해, 전도열 차단재(23)는 단면이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도열 차단재(23)의 양측면에는 외측 및 내측 창틀 프레임(21,22)과 결합 가능하도록 한 쌍의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For this,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외측 및 내측 창틀 프레임(21,22)은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로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The outer and inner
본 실시 예에서 창틀 프레임(21)은 미서기 창호, 커튼 월 창호, 각종 시스템 복합 창호의 수평 창호 프레임 및 수직 창호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로 적용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내측 창틀 프레임(22)과 창문 프레임(30)의 외면에는 인테리어 및 단열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된 단열재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Further, a heat insulating material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interior and a heat insulating property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외측 및 내측 창틀 프레임(21,22) 각각의 중앙부에는 창문 프레임(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24)이 마련될 수 있다.A pair of
각 가이드 레일(24)은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가이드 레일의 하단에는 창문 프레임(30)이 슬라이딩하는 레일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한 쌍의 가이드 레일(24) 사이에는 외측 및 내측 창틀 프레임(21,22)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도록 창틀 단열재(25)가 설치될 수 있다. A window frame
창틀 단열재(25)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24) 사이 공간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고, 창틀 단열재(25)의 외측단과 내측단은 각각 단면이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indow frame
그리고 창틀 단열재(25)의 상면과 양측면에는 가이드 레일(24)과 전도열 차단재(23)에 접하도록 상방과 양측을 향해 복수의 지지리브(26)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즉, 창틀 단열재(25)의 상면에는 상부에 설치된 전도열 차단재(23)를 향해 복수의 지지리브(26)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이에 따라, 창틀 단열재(25)와 창틀 프레임(20), 한 쌍의 가이드 레일(24) 및 전도열 차단재(23) 사이에는 공기가 충진되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Thus, an air layer filled with air is formed between the window fram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측 창틀 프레임과 내측 창틀 프레임 사이에 전도열 차단재를 설치하고, 창틀 단열재에 지지리브를 형성해서 창틀 프레임과 가이드 레일 및 전도열 차단재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되는 창틀 프레임을 통해 건물 내외부로 전달되는 전도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ductive heat shielding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an outer window frame frame and an inner window frame frame, and a support rib is formed on the window frame insulation material to form an air layer between the window frame frame and the guide rail and the conductive heat shield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block the conduction heat transmitt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frame and to prevent the heat transfer due to convection of the 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음,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창문 프레임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ow fr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과 도 3에 도시된 A 부분 및 B 부분의 확대도이다.Figs. 4 and 5 are enlarged views of portions A and B shown in Figs. 2 and 3, respectively.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construction of a horizontal fram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물론, 본 발명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30)의 양측에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so as to be installed in a vertical fram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그리고 창틀 프레임(20)의 외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27)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외측 가이드 레일(2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outer
창문 프레임(3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30)에 설치되는 각 유리(11)를 기준으로 유리(11)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프레임(40)과 유리(11)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프레임(50)을 포함할 수 있다. 2 to 5, the
여기서, 유리(11)는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판유리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조되는 페어 글래스(pair glass)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외측 프레임(40)과 내측 프레임(50)은 유리(1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즉, 외측 프레임(40)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인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 프레임(40)의 내측면에는 단열재(60)와 결합 가능하도록, 제1 수평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제1 수평부(41)는 단열재(60)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부(411)와 한 쌍의 제1 결합돌부(4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4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이러한 외측 프레임(40)의 하단부와 유리(11)의 상단부 사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단열재(60)의 제2 연장부(63)가 배치된 상태에서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링층(4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ding
내측 프레임(50)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인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프레임(5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수평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내측 프레임(50)의 외측면에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제2 내지 제4 수평부(51 내지 53)가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to fourth
제2 수평부(51)는 단면이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될 있다. The second
즉, 제2 수평부(51)는 제1 공기 이동 차단재(54)가 결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제1 공기 이동 차단재(54)는 제2 수평부(51)에 'ㅓ'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공간에 결합되어 창문 프레임(30)과 내측 창틀 프레임(22)의 사이 공간을 통해 외기 및 내기가 건물 내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The first air
제3 수평부(52)는 외측 프레임(50) 내부 공간을 구획해서 공기의 대류가 발생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제4 수평부(53)는 아래에서 설명할 단열재(6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바(531)와 수평바(53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결합돌기(5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urth
수평바(531)의 외측단에는 단열재(60)의 외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3 결합돌기(615)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제2 결합돌부(533)가 형성될 수 있다. A pair of
이러한 내측 프레임(50)의 하단에는 유리(11)의 외측면 일부, 즉 상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55)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t the lower end of the
고정 프레임(55)은 단면이 대략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 프레임(55)의 상단에는 내측 프레임(50)의 하단에 장착되는 장착돌부(55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그래서 장착돌부(551)는 내측 프레임(50)의 하단에 형성된 장착공간(56)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mounting
장착공간(56)의 하단부에는 장착돌부(551)가 걸리도록 외측을 향해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고정 프레임(55)과 유리(11)의 상단부 사이에는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링층(57)이 형성될 수 있다.A
물론, 본 발명은 실링층(57)을 형성하는 대신에 개스킷을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to provide a gasket instead of forming the
한편, 창문 프레임(30)의 상단 프레임인 경우, 외측 프레임(40)과 내측 프레임(50)의 상단에는 각각 외측 및 내측 프레임(40,50)과 한 쌍의 가이드 레일(24) 사이 공간을 통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1 및 제2 차단부재(43,58)가 결합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upper frame of the
이를 위해, 외측 프레임(40)과 내측 프레임(50)의 상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 차단부재(43,58)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공간의 상부는 개구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upper end of the
제1 및 제2 차단부재(43,58)는 각각 외측 프레임(40)과 내측에 배치된 창틀 단열재(25)의 외측면 사이 및 내측 프레임(50)과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4)의 내측면 사이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그리고 제1 및 제2 차단부재(43,58)의 하면에는 외측 프레임(40)과 내측 프레임(50)의 상단에 형성된 각 결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nd
이러한 제1 및 제2 차단부재(43,58)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혼성중합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와 같이 내수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The first an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의 상단에 각각 차단부재를 설치해서 창문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통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lock the movement of ai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window frame and the window frame frame by providing blocking members at the upper ends of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respectively.
외측 프레임(40)과 내측 프레임(50) 사이에는 열 전도 및 공기의 대류를 차단하는 단열재(60)가 장착된다. Between the outer frame (40) and the inner frame (50), a heat insulating material (60) for preventing heat conduction and air convection is mounted.
단열재(60)는 제1 수평부(41)와 제4 수평부(53)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61)와 본체(62)의 외측단에서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62,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본체(61)는 단면이 대략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61)에는 내부에 충진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본체(61)에는 제1 내지 제3 격벽(611 내지 613)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first to
제3 격벽(613)에는 제4 수평부(53)의 수평바(531)가 삽입되는 삽입공(614)이 형성될 수 있다. An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의 제1 내지 제3 격벽과 수평바를 이용해서 본체 내부에 충진된 공기의 대류를 방지함으로써,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nvection of air filled in the main body by using first through third partition walls and a horizontal bar of the main body, thereby preventing heat loss due to convection.
본체(61)의 외측단과 내측단에는 각각 외측 및 내측 프레임(40,50)의 제1 및 제4 수평부(41,53)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3 및 제4 결합돌기(615,616)가 형성될 수 있다. A pair of third and fourth engaging
제1 연장부(62)는 본체(61)의 외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연장부(62)의 상단은 외측 프레임(40)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제1 연장부(62)의 상단부 내면에는 제2 공기 이동 차단재(64)가 장착되도록, 장착홈이 형성되는 제5 수평부(65)가 마련되고, 제1 연장부(62)의 내면에는 제3 수평부(52)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 방향을 따라 제6 수평부(66)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A fifth
제2 공기 이동 차단재(64)는 가이드 레일(24)과 외측 프레임(40) 및 내측 프레임(50) 사이의 공간을 통해 건물의 외부 및 내부의 공기가 건물 내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The second air
이러한 제1 및 제2 공기 이동 차단재(54,64)는 각각 단면이 대략 'ㅓ' 또는 'ㅏ'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직 파일(woven pile)로 제작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ir
제2 연장부(63)는 본체(61)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연장부(63)의 하단은 외측 프레임(40) 하단과 동일한 높이 또는 약간 높은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이러한 제2 연장부(63)는 유리(11)의 상단부 외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유리(11)와 외측 프레임(40) 사이의 열 전도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The second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단열재(60)의 외측단에 제2 연장부(63)가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는 창문 프레임(30) 조립시 유리(11)를 제2 연장부(63)에 밀착시켜 설치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econd
이와 같이, 작업자는 유리(11)를 제2 연장부(63)에 밀착시켜 설치하는 것만으로, 창호에 적용되는 전체 창문 프레임(30)에서 유리(11)의 위치를 균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worker can uniformly posi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유리를 정렬하는 과정에서 스페이스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carry out the space work in the process of aligning the glass, so that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단열재(60)는 폴리 아미드(polyamide)나 폴리 스틸렌 폼(polystylene form), 폴리 우레탄(polyuretan)과 같이 단열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The
즉, 단열재(60)는 유리 섬유를 포함한 고체 상태의 폴리 아미드 재질을 알루미늄 바 사이 삽입 및 압착(rolling 공정)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at is, the
또는 단열재(60)는 액체 상태의 고강도 폴리 우레탄 재질을 알루미늄 바 사이에 충진하여 경화시킨 후 절단(saw 공정)해서 제조될 수도 있다. Or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창문 프레임을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공기 이동 차단재 및 단열재를 장착하고 다수의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movement blocking material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re mount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forming the window frame and a plurality of air layers are formed, heat transfer due to air convec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단열재(60)의 본체(61) 내측단 하면에는 유리(11)의 상단부 내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접촉돌부(67)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접촉돌부(67)는 단열재(60)와 유리(11)의 상단 사이를 밀폐하여 외측 프레임(40)과 유리(11) 사이의 열 전도 및 대류를 통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The contact protrusions 67 seal the space between the
그리고 본 발명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지는 각 창문 프레임(30)의 사이 공간을 통한 열 전도 및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3 and 5,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to block heat conduction and air movement through the spaces between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 창문 프레임(31)과 내측에 설치되는 제2 창문 프레임(32)이 서로 대칭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즉, 위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제2 창문 프레임(32)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창문 프레임(31)은 제2 창문 프레임(32)과 대칭되게 구성될 수 있다.3 and 5, the
따라서 제1 창문 프레임(31)에 적용되는 외측 프레임(40)에는 도 4에 도시된 제2 내지 제4 수평부가 마련되고, 내측 프레임(50)에는 제1 수평부가 마련되며, 단열재(60)의 제1 및 제2 연장부(62,63)는 각각 본체(61)의 내측단에 상하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4 is provided on the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30)의 수직 프레임에 적용되는 경우, 단열재(60)의 제1 연장부(62)는 각 창문 프레임(30)의 외측을 향해 배치되고, 제2 연장부(62)는 창문 프레임(30) 내부에 설치된 유리(11)를 향해 배치될 수도 있다. 3, the first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창문 프레임이 서로 대칭 구조를 갖는 경우, 제1 및 제2 창문 프레임에 단열재의 제1 및 제2 연장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경웽 비해 열차단 성능이 향상되는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window frames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experimental result that the thermal performance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extending portion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first and second window frames .
또한, 창틀 프레임(20)에 장착시 제1 및 제2 창문 프레임(31,32)의 서로 겹쳐지는 각 수직 프레임에는 각각 결합 프레임(7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결합 프레임(70)은 외측에 배치된 제1 창문 프레임(31)의 일측단부, 즉 도 5에서 보았을 때 좌측면에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71)와 제1 창문 프레임(31)의 좌측면과 내측면에 결합되어 제2 창문 프레임(32)에 설치된 접촉 프레임(72)과 선단이 서로 접촉되는 접촉 프레임(7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joining
결합 플레이트(71)는 접촉 프레임(72)의 외면을 감싸도록 대략 'L'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절곡된 결합 플레이트(71)의 내측면에는 제1 및 제2 창문 프레임(31,32) 사이의 공간을 통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3 공기 이동 차단재(73)가 설치될 수 있다. The engaging
접촉 프레임(72)은 단면이 대략 '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접촉 프레임의 절곡된 양측부는 각각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촉 프레임(72)의 절곡된 내측부 선단은 제2 창문 프레임에 결합된 상대 접촉 프레임(72)의 선단과 서로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olded inner side tip of the
결합 플레이트(71)와 접촉 프레임(72)에는 각각 외측 및 프레임(40,50)의 단부에 형성된 각 결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engaging
그리고 결합 플레이트(71)와 접촉 프레임(72)은 체결볼트를 이용해서 창문 프레임(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And the engaging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단열 시스템이 적용된 미서기 창호의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referring to FIG. 6, a method of constructing a door terminal window to which a 3D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D 단열 시스템이 적용된 미서기 창호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FIG. 6 is a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door lock window to which a 3D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tep by step.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창틀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외측 창틀 프레임(21)과 내측 창틀 프레임(22)을 벽체에 장착하고(S10), 외측 창틀 프레임(21)과 내측 창틀 프레임(22) 사이의 공간에 전도열 차단재(23)를 결합한다(S12). 6, the operator mounts the
외측 창틀 프레임(21)과 내측 창틀 프레임(22)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24) 사이에 창틀 단열재(25)를 장착한다(S14). The window frame
이때, 창틀 단열재(25)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24)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ndow frame
그리고 작업자는 창문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외측 프레임(40)과 내측 프레임(50)에 각각 형성된 제1 수평부(41)와 제4 수평부(53) 사이 공간에 단열재(60)를 배치해서 외측 및 내측 프레임(40,50)과 단열재(60)를 결합한다(S16). The operator places the
이때, 단열재(60)의 본체(61) 외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3 결합돌기(615)는 외측 프레임(40)에 마련된 제1 수평부(41)의 각 제1 결합돌부(411)와 제1 결합돌기(412) 사이에 결합된다. The pair of
그리고 단열재(60)의 본체(61) 내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4 결합돌기(616)는 제4 수평부(53)에 마련된 각 제2 결합돌부(533)와 결합돌기(522) 사이에 결합된다. A pair of fourth
여기서, 제4 수평부(53)의 수평바(531)는 본체(61)의 제3 격벽(613)에 형성된 삽입공(614)을 통해 본체(61) 내측으로 삽입된다.The
그러면, 단열재(60)의 제1 및 제2 연장부(62,63)는 각각 외측 프레임(40)의 내면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Then, the first and
그래서 단열재(60)는 제3 및 제4 결합돌기(615,616)의 탄성을 이용해서 외측 프레임(40)과 내측 프레임(50)에 끼움 결합되어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이에 따라, 외측 프레임(40)과 내측 프레임(50)은 단열재(6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Accordingly, the
이때, 가이드 레일(24)과 외측 프레임(40) 및 단열재(60) 사이에는 제1 및 제2 공기 이동 차단재(44,64)가 설치된다(S18).At this time, first and second air
이어서, 작업자는 외측 프레임(40)의 하단부 내측면에서 유리(11)를 밀착시켜 설치하고, 내측 프레임(50)의 하단에 고정 프레임(55)을 결합해서 유리(11)를 고정한다(S20).The operator attaches the
그리고 유리(11)와 외측 및 내측 프레임(40,50) 사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링층(43,57)을 형성하거나, 개스킷을 결합한다(S22).Then, silicon is applied between the
한편, 단열재(60)와 외측 및 내측 프레임(40,50)을 조립한 창문 프레임(3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24)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슬라이딩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A space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그리고 서로 겹쳐지는 창문 프레임(30)의 일측단에는 결합 프레임(70)이 설치될 수 있다. A joining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조립된 창문 프레임(30)을 창틀 프레임(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S24). Finally, the operator installs the assembled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을 이루는 외측 및 내측 창틀 프레임 사이에 전도열 차단재와 창틀 단열재를 결합하고, 창문 프레임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에 단열재를 결합하여 건물 외부와 내부의 열이 건물의 내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프레임 사이 공간에 충진된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손실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hielding material and the window frame heat insulating material are combined between the outer and inner window frame frames forming the window frame fram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coupl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forming the window frame, And the heat loss due to convection of the air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ames can be completely blocked.
한편,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미서기 창호를 이용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hile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the use of the shutter window,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 월 창호의 구성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에 도시된 C-C'선과 D-D'에 대한 단면도이다. For example, FIG. 7 is a structural view of a curtain wall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C-C 'and D-D'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는 유리의 외측에 외부 프레임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노출형 커튼 월 구성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In this embodiment, an exposure type curtain wall structure in which an outer frame is exposed to the outside is described on the outside of the glass.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프레임이 제거된 비노출형 커튼 월에 적용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to be applied to a non-exposed curtain wall from which an outer frame is remov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 월 창호(100)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01)과 지지 프레임(101)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공간에 설치되는 고정창(102), 즉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간 중에서 일부에는 개폐 가능하게 창문(103)이 설치될 수 있다.7, the
창문(103)의 구성은 아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지지 프레임(10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창(102)을 기준으로 외측과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외부 프레임(110)과 내부 프레임(120)을 포함하고 외부 프레임(110)과 내부 프레임(120) 사이에는 열전도 및 공기의 대류를 차단하는 단열재(130)가 설치됩니다.8 and 9, the
외부 프레임(110)과 내부 프레임(120)은 각각 사각 판 형상인 복수의 유리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단열재(130)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 단열재(60)와 동일하게 구성됨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다만, 외부 프레임(110)의 내측면 중간부에는 단열재(130)의 본체(131)와 결합되는 제7 수평부(111)가 형성되고, 내부 프레임(120)의 외측면부에는 단열재(130)의 본체(131)와 결합되는 제8 수평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A seventh horizontal portion 111 is form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제7 수평부(111)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단면이 대략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될 있다. The seventh horizontal portion 111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 so that a space filled with air is formed therein.
내부 프레임(120)은 단면이 대략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8 수평부(121)는 내부 프레임(120)의 외면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제7 수평부(111)와 제8 수평부(121)는 각각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제1수평부(41) 및 제4 수평부(53)와 동일하게 한 쌍의 결합돌기와 결합돌부를 포함하고, 본체(131)의 외면과 내면에는 각각 제7 및 제8 수평부(111,121)과 결합 가능하도록 한 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venth horizontal portion 111 and the eighth
그래서 내부 프레임(120)은 단열재(130)의 제1 및 제2 연장부(132,133)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Thus, the
여기서, 한 쌍의 유리(11)와 외부 프레임(110) 및 내부 프레임(120)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각각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링층(140)이 형성되거나, 개스킷이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sealing layer 140 may be formed by applying silicone to the portions where the pair of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 월 창호는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이용해 건물 외부 및 내부에서 전달되는 전도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프레임 내부에 충진된 공기의 대류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urtain wall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building by using the insulating material installed inside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Thereby minimizing heat loss.
한편, 내부 프레임(120)의 내부에는 강성 보완 프레임(122)이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강성 보완 프레임(122)은 내부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에 설치 가능하도록, 외측면이 개구되어 단면이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igid
내부 프레임(120)의 내면에는 내부에 설치된 강성 보완 프레임(122)과 접촉하여 지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그리고 내부 프레임(120)의 내측면에는 강성 보완 프레임(122)의 외측단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좌굴 방지턱(123)이 형성될 수 있다. A pair of buckling preventing
이러한 강성 보완 프레임(122)은 철과 같이 강도를 갖는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어 내부 프레임(120)의 강성을 보완함으로써, 커튼 월 창호(100)를 구성하는 수직바에 수평바 연결시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하여 커튼 월 창호(100)의 구조 강도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Such a rigid reinforc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서기 창호뿐만 아니라, 커튼 월 창호, 각종 시스템 복합 창호의 수평 창호 프레임 및 수직 창호 프레임에도 적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shutter window, but also to a curtain wall window, a horizontal window frame and a vertical window frame of various system complex windows.
여기서,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30)의 본체(131) 내부에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가세를 설치해서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고,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8 and 9, it is preferable that a gasket is installed along the diagonal direction inside the
다음,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창문(103)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창문(103)은 내부에 유리(151)가 설치되고 상단부를 중심으로한 하단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개폐되는 창문틀(150)과 창문틀(15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창틀(1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창문틀(150)은 내부에 유리(151)가 설치되도록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창문틀(150)의 내측단에는 창문틀(150)을 지지해서 강성을 보완하는 보강 프레임(152)이 결합될 수 있다. The
여기서, 창문틀(150)은 창문틀(150)과 보강 프레임(152) 사이에서 열전도를 차단할 수 있도록,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Here, the
창문틀(150)의 내측단부와 보강 프레임(152)은 각각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결합부(153,15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inner end of the
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153)는 공기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해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창문틀(150) 내측단부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2 결합부(154)는 보강 프레임(152)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그리고 제1 결합부(153)와 제2 결합부(154)는 각각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제1 수평부(41) 및 제4 수평부(53)와 동일하게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한 쌍의 결합돌기 및 결합돌부와 한 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창문틀(150)의 외측면, 즉 상하면과 양측면에는 각각 지지 프레임(101)과 창문틀(150) 사이 공간을 통한 공기의 이동, 먼지와 같은 이물질 및 비나 눈 등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개스킷(155)이 설치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제1 개스킷(155)은 에필렌 프로필렌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단면이 대략 'ㅈ'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창틀(160)은 지지 프레임(101)의 구획된 각 설치공간에 설치 가능하도록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101)의 내면과 접촉되어 설치되는 설치부(161)와 설치부(161)의 내측단에서 창틀(160)의 중앙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설치부(161)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설치부(161)의 외측면에는 지지 프레임(101)과 단열재(130) 및 창문틀(50)의 외면을 차폐하도록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165)가 결합될 수 있다. An
연장 플레이트(165)의 내측단부는 창틀(160)의 중앙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고, 절곡된 연장 플레이트(165)의 후면과 설치부(161)의 전면에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한 쌍의 결합돌기 및 결합돌부와 한 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end of the
절곡된 연장 플레이트(165)의 내측단부 외면에는 제2 개스킷(163)이 결합되고, 절곡부(162)의 외면에는 제3 개스킷(164)이 설치될 수 있다. A
제2 개스킷(163)은 창문틀(150)의 보강 프레임(152)과 창틀(160)의 연장 플레이트(165) 사이 공간을 통한 공기의 이동, 먼지와 같은 이물질 및 비나 눈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The
제3 개스킷(164)은 창문틀(150)의 보강 프레임(152)과 창틀(160)의 절곡부(162) 사이 공간을 통한 공기의 이동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지 및 비나 눈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The
이를 위해, 제2 개스킷(163)은 단면이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열, 방풍 및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발포시켜 제조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제3 개스킷(164)은 단면이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에필렌 프로필렌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커튼 월 창호에 적용되는 창문의 창문틀을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로 제조해서 전도열을 차단하고, 복수의 개스킷을 적용해서 공기의 이통을 차단해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 및 비나 눈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ndow frame of a window to be applied to a curtain wall window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shield the heat from conduction, and a plurality of gaskets are applied to block air flow to improv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penetration of foreign matter, rain, snow, and the lik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3D 단열 시스템을 적용한 커튼 월 창호의 열차단 성능은 도 10 내지 도 13과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curtain wall window using the 3D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from FIGS. 10 to 13 and Table 1. FIG.
도 10 내지 도 12는 종래기술에 커튼 월 창호의 열차단 성능 시험 결과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월 창호의 열차단 성능 시험결과를 보인 예시도이다. FIGS. 10 to 12 are views showing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curtain wall window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FIG. 13 are illustrations showing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curtain wall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는 단열재 없이 전도열 차단재만이 적용된 상태(type 1)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과 도 1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열재가 적용된 상태(type 2,3)가 도시되어 있다.FIG. 10 shows a state (type 1) in which onl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applied without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FIGS. 11 and 12 show states (types 2 and 3) in which a heat insulat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pplied.
표 1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각 창호(type 1 내지 4)의 열차단 성능 테이블이다. Table 1 is a table of performance of each window (
표 1에서는 KS F 2278 기준에 따라 실내의 건구온도는 20℃, 상대습도는 40%, 결로점은 6.0℃이고, 외기의 건구온도는 0℃ 상태에서 실험하였다. In Table 1, according to KS F 2278, the dry bulb temperature was 20 ° C, the relative humidity was 40%, the dew point was 6.0 ° C, and the dry bulb temperature was 0 ° C.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ype 1 내지 3는 정부에서 설정한 창호의 열관류율 2등급(1.4W/㎥·K 미만)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 단열 시스템을 적용한 커튼 월 창호는 약 1.358W/㎥·K를 나타냄에 따라, 상기 열관류율 2등급을 만족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0 to 12,
따라서 본 발명은 복합 창호의 프레임을 통한 전도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프레임 내부 공간에 충진된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by shielding the conduction heat through the frame of the composite window and minimizing the heat loss due to convection of air filled in the space inside the fram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창호의 프레임을 통한 열 전도를 차단함과 동시에 프레임 내부 공간에 충진된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손실을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창호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indow technology for preventing heat conduction through a frame of a window and at the same time minimizing heat loss due to convection of air filled in a space inside a frame, thereby improving heat insulation performance.
10: 미서기 창호 11: 유리
20: 창틀 프레임 21: 외측 창틀 프레임
22: 내측 창틀 프레임 23: 전도열 차단재
24: 가이드 레일 25: 창틀 단열재
26: 지지리브 27: 방충망 28: 외측 가이드 레일
30: 창문 프레임 31,32: 외측,내측 창문 프레임
40: 외측 프레임 41: 제1 수평부
411: 제1 결합돌부 412: 제1 결합돌기
42: 실링층 43: 제1 차단부재
50: 내측 프레임 51 내지 53: 제2 내지 제4 수평부
531: 수평바 532: 제2 결합돌기
533: 제2 결합돌부 54: 제1 공기 이동 차단재
55: 고정 프레임 551: 장착돌부
56: 장착공간 57: 실링층
58: 제2 차단부재
60: 단열재 61: 본체
611 내지 613: 제1 내지 제3 격벽
614: 삽입공 615,616: 제3,제4 결합돌기
62,63: 제1,제2 연장부 64: 제2 공기 이동 차단재
65,66: 제5,제6 수평부 67: 접촉돌부
70: 결합 프레임 71: 결합 플레이트
72: 접촉 프레임 73: 제3 공기 이동 차단재
100: 커튼 월 창호 101: 지지 프레임
102: 고정창 103: 창문
110: 외부 프레임 111: 제7 수평부
120: 내부 프레임 121: 제8 수평부
122: 강성 보완 프레임 123: 좌굴 방지턱
130: 단열재 131: 본체
132,133: 제1,제2 연장부 140: 실링층
150: 창문틀 151: 유리
152: 보강 프레임 153,154: 제1,제2 결합부
155: 제1 개스킷 160: 창틀
161: 설치부 162: 절곡부
163,164: 제2,제3 개스킷 165: 연장 플레이트10: US Clerk Window 11: Glass
20: window frame frame 21: outer window frame frame
22: inner window frame frame 23:
24: guide rail 25: window frame insulation
26: support rib 27: screen guard 28: outer guide rail
30:
40: outer frame 41: first horizontal part
411: first coupling projection 412: first coupling projection
42: sealing layer 43: first blocking member
50:
531: horizontal bar 532: second engaging projection
533: second coupling protrusion 54: first air movement blocking material
55: Fixing frame 551: Mounting projection
56: mounting space 57: sealing layer
58: second blocking member
60: Insulation material 61: Body
611 to 613: first to third partition walls
614: insertion holes 615, 616: third and fourth coupling projections
62, 63: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64: second air movement blocking material
65, 66: fifth, sixth horizontal portion 67: contact projection
70: engaging frame 71: engaging plate
72: contact frame 73: third air movement barrier
100: Curtain wall window 101: Support frame
102: fixed window 103: window
110: outer frame 111: seventh horizontal part
120: inner frame 121: eighth horizontal portion
122: stiffness compensating frame 123: buckling restraint
130: Heat insulating material 131: Body
132, 133: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140: sealing layer
150: Window frame 151: Glass
152: reinforcing
155: first gasket 160: window frame
161: mounting portion 162: bent portion
163, 164: second and third gasket 165: extension plate
Claims (7)
상기 창틀 프레임은 외측 창틀 프레임과 내측 창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창틀 프레임과 내측 창틀 프레임 사이에는 전도열을 차단하는 전도열 차단재와
상기 외측 및 내측 창틀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서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차단하는 창틀 단열재가 설치되며,
상기 창문 프레임은 유리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프레임,
유리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를 통한 열 전도 및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단에서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열 전도를 차단하도록 단열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제2 연장부에는 유리가 밀착 설치되고,
상기 단열재와 내측 프레임 또는 외측 프레임은 상기 본체와 내측 프레임 또는 외측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단열 시스템.A window shutter window including a window frame frame mounted on a wall surface and a window frame slidably mounted on the window frame frame,
Wherein the window frame frame comprises an outer window frame frame and an inner window frame frame,
And a conductive heat shield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idewall frame and the inner sidewall frame,
A window frame insulating material surrounding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and inner window frame frames to block heat transfer by convection of air,
The window frame includes an outer fram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glass,
An inner frame provided inside the glass and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to block heat transmission due to heat conduction and air convection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Where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has a body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And first and second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an inner end of the body,
And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thermal insulation so as to block heat conduction,
A glass is adhered to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inner frame or the outer fram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ody and the inner frame or the outer frame.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단열재와 결합되는 제1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제2 내지 제4 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내측면은 각각 상기 제1 수평부와 제4 수평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단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horizontal part coupled 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frame,
Second to fourth horizontal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Wherein an outer side surface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body are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fourth horizontal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1 수평부는 상기 단열재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수평부는 수평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내측단에는 각각 상기 외측 및 내측 프레임의 제1 및 제4 수평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3 및 제4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단열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coupled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 pair of first engaging protrusions extending outwar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and below the pair of first engaging projections,
Wherein the fourth horizontal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bar extending outwar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air of second engaging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ly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and below the horizontal bar,
And a pair of third and fourth coupling protrusions, which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fourth horizontal portions of the outer and inner frames, respectively, are formed on the outer and inner ends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내부에 충진된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하나 이상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내측에 형성된 격벽에는 상기 수평바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단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t least one partition is formed inside the body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air filled therein,
Wherein whe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formed,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formed on the inner side so that the horizontal bar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상기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열 전도 및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 손실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기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단에서 상하로 연장 형성되고 유리가 밀착 설치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열 전도를 차단하도록 단열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단열재와 내부 프레임은 상기 본체와 내부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7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의 외측면부에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8 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7 수평부는 한 쌍의 제1 결합돌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8 수평부는 한 쌍의 제2 결합돌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돌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내측단에는 각각 상기 외측 및 내측 프레임의 제7 및 제8 수평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3 및 제4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보완하는 강성 보완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내부 프레임의 내면에는 내부에 설치된 상기 강성 보완 프레임과 접촉하여 지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강성 보완 프레임의 외측단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좌굴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단열 시스템.A curtain wall window comprising an outer frame and an inner frame disposed between a pair of glasses,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to block heat loss due to heat conduction and air convection,
Where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has a body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are vertically extended from an inner end of the main body and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heat insulating property to prevent heat conduction,
Where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inner fram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y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ody and the inner frame,
A seventh horizontal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 eighth horizontal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is formed on an outer side portion of the inner frame,
The seventh horizontal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And a pair of first engaging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and below the pair of first engaging projections,
The eighth horizontal portion includes a pair of second engagement protrusions
And a pair of second engaging protrusions extending outwar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and below the pair of second engaging projections,
A pair of third and fourth coupling protrusions, which are coupled to the seventh and eighth horizontal portions of the outer and inner frames respectively, are formed on the outer and inner ends of the main body,
A stiffness compensating frame for compensating the structural stiffness of the inner frame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frame,
Wherein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ar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to provide a supporting force in contact with the rigid reinforcing frame provided in the inner frame,
Where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ner frame is formed with a pair of buckling preventing tails for preventing the outer ends of the rigid supporting frames from buckl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5598A KR101956069B1 (en) | 2018-05-15 | 2018-05-15 | 3d insul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5598A KR101956069B1 (en) | 2018-05-15 | 2018-05-15 | 3d insula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6069B1 true KR101956069B1 (en) | 2019-03-12 |
Family
ID=6580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5598A Active KR101956069B1 (en) | 2018-05-15 | 2018-05-15 | 3d insul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606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9716B1 (en) | 2019-05-31 | 2020-10-26 | 주식회사 비룡씨에이치씨 | Windows system with most proof and dust proof function |
CN114458136A (en) * | 2021-12-20 | 2022-05-10 | 上海高昕节能科技有限公司 | High energy-saving unitized curtain wall structure |
CN115538670A (en) * | 2022-09-22 | 2022-12-30 | 苏州金螳螂幕墙有限公司 | A thermal optimization structure based on unitized exposed frame curtain wall |
CN115538670B (en) * | 2022-09-22 | 2025-07-22 | 苏州金螳螂幕墙有限公司 | Thermal engineering optimization structure based on unit type exposed frame curtain wall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1899A (en) | 2002-11-12 | 2004-05-20 | 남창드림윈도스 주식회사 | A complex window and door for make up dual industrial structure |
KR100916993B1 (en) | 2009-05-18 | 2009-09-14 |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 Double Window Insulation Composite Window |
KR20140015873A (en) * | 2012-07-26 | 2014-02-0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urtain wall |
KR101566286B1 (en) * | 2014-10-29 | 2015-11-13 |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 Insulation window applied complex insulation |
KR101678033B1 (en) * | 2015-11-26 | 2016-11-21 | 주식회사 한솔에이치더블유디 | Installation structure of glass curtain wall |
KR20170038436A (en) * | 2015-09-30 | 2017-04-07 |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 A curtain wall frame |
KR101848850B1 (en) * | 2017-10-11 | 2018-04-13 | 진기복 | window system having sound proof and insulation structure |
-
2018
- 2018-05-15 KR KR1020180055598A patent/KR10195606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1899A (en) | 2002-11-12 | 2004-05-20 | 남창드림윈도스 주식회사 | A complex window and door for make up dual industrial structure |
KR100916993B1 (en) | 2009-05-18 | 2009-09-14 |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 Double Window Insulation Composite Window |
KR20140015873A (en) * | 2012-07-26 | 2014-02-0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urtain wall |
KR101566286B1 (en) * | 2014-10-29 | 2015-11-13 |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 Insulation window applied complex insulation |
KR20170038436A (en) * | 2015-09-30 | 2017-04-07 |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 A curtain wall frame |
KR101678033B1 (en) * | 2015-11-26 | 2016-11-21 | 주식회사 한솔에이치더블유디 | Installation structure of glass curtain wall |
KR101848850B1 (en) * | 2017-10-11 | 2018-04-13 | 진기복 | window system having sound proof and insulation structur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9716B1 (en) | 2019-05-31 | 2020-10-26 | 주식회사 비룡씨에이치씨 | Windows system with most proof and dust proof function |
CN114458136A (en) * | 2021-12-20 | 2022-05-10 | 上海高昕节能科技有限公司 | High energy-saving unitized curtain wall structure |
CN115538670A (en) * | 2022-09-22 | 2022-12-30 | 苏州金螳螂幕墙有限公司 | A thermal optimization structure based on unitized exposed frame curtain wall |
CN115538670B (en) * | 2022-09-22 | 2025-07-22 | 苏州金螳螂幕墙有限公司 | Thermal engineering optimization structure based on unit type exposed frame curtain wa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5665B1 (en) | 3d insulation system | |
KR101365699B1 (en) | Complex window and non-adhesive type insulating material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482298B1 (en) | Sliding system window for higher stories having al cover | |
KR102368036B1 (en) | Insulation structure for curtain wall window | |
KR101485125B1 (en) | Sliding door | |
KR200491614Y1 (en) | finishing panel assembly having pollution preventing and quake proof structure | |
KR102063537B1 (en) | System window with insulation structure of window frame and window sash using different materials | |
KR20140132728A (en) | Spacer profile for a spacer frame for an insulating glass unit with interspace elements and insulating glass unit | |
KR101554922B1 (en) | Sistem windows with enhanced insulation and structure | |
CA3073427A1 (en) | Continuous sill for doors with sidelites | |
KR101672855B1 (en) | Durable curtain wall windows and doors | |
KR101956069B1 (en) | 3d insulation system | |
KR101566286B1 (en) | Insulation window applied complex insulation | |
KR101750695B1 (en) | Curtain wall assembly | |
KR101422815B1 (en) | Fixed stainless steel rod fixed to the structure of the window frame insulated windows and doors | |
KR101861485B1 (en) | Sliding window having high insulation and including component commonly used for single window and double window | |
KR20160145477A (en) | Sliding type steel curtain wall | |
KR20190099604A (en) | Curtain wall system having strapped window for heat insulation reinforcement of existing curtain wall | |
KR102266276B1 (en) | Insulation Curtain-Wall System | |
KR101654567B1 (en) | Window Frame Having Removable Cover | |
KR102169716B1 (en) | Windows system with most proof and dust proof function | |
KR20140085687A (en) | Window system of project-type | |
KR101436609B1 (en) | Window system | |
KR102351034B1 (en) | Glazed window with improved watertightness | |
KR20160132759A (en) | Frame Structure for Curtain Wall Type Window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5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