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75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il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il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5757B1 KR101955757B1 KR1020160071344A KR20160071344A KR101955757B1 KR 101955757 B1 KR101955757 B1 KR 101955757B1 KR 1020160071344 A KR1020160071344 A KR 1020160071344A KR 20160071344 A KR20160071344 A KR 20160071344A KR 101955757 B1 KR101955757 B1 KR 1019557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state
- unit
- display
-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필름 처리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필름 처리장치는, 필름을 촬상하는 상태측정부와, 상태측정부에서 촬상한 필름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와, 상태판단부에서 판단한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필름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nvention relating to a film processing apparatus is disclosed.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state measuring section for picking up a film, a state judging section for judging the state of the film based on the image of the film picked up by the state measuring section, And displaying a mark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lm on the film on the film.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필름의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여, 필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필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a processing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measure the state of a film, display the state of the film to be measured, and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lm.
일반적으로 광학필름이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필름으로써, 편광필름, 확산필름, 반사필름, 프리즘필름 등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필름에 해당한다. In general, an optical film is a film used for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corresponds to a film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olarizing film, a diffusing film, a reflecting film, a prism film and the like.
편광필름은 광학필름의 일종으로, 액정표시소자에 특정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광학소자를 의미한다. The polarizing film is a type of optical film and means an optical element used for transmitting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to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일반적으로 편광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수지로 된 편광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AC, TriAcetyl Cellulose)으로 대표되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적층되어 있으며, 편광자 보호필름상에 점착제층, 이형필름, 표면보호필름 또는 기능성 코팅층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구조를 가진다. In general, a polarizing film is formed by laminating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ypified by triacetyl cellulose (TAC)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olarizer made of polyvinyl alcohol (PVA) res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release film, a surface protective film, or a functional coating layer.
이러한 다층구조의 편광필름은 일반적으로 롤에 감겨진 시트 형상 제품으로서 제조되며, 용도에 따라 낱장의 편광필름으로 절단되어 사용된다.Such a multi-layered polarizing film is generally produced as a sheet-like product wound on a roll, and is cut and used as a sheet of polarizing film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일반적인 편광필름 제조 공정은 PVA 필름을 요오드 또는 염료로 염착하는 단계, 붕산 등을 첨가하여 요오드 또는 염료를 PVA 필름에 가교시키는 단계, PVA 필름을 연신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A general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process comprises a step of ion-plating a PVA film with iodine or a dye, a step of adding boric acid or the like to crosslink iodine or a dye to the PVA film, and a step of stretching the PVA film.
이때 염착, 가교 연신 단계는 개별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각각의 단계들의 순서 또한 고정적이지 않다. In this case, the step of cross-linking and stretching may be carried out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and the order of each of these steps is also not fixed.
상기 단계들이 완료되면, 제조된 편광자를 건조시키고, 건조된 편광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TAC 등의 편광자 보호필름을 접착하여 편광판을 제조한다.When the above steps are completed, the produced polarizer is dried, and a polarizer protective film such as TAC is adhered to one or both sides of the dried polarizer to prepare a polarizing plate.
다만, 종래의 광학필름은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식이 제품의 제작 과정에서 지워지거나 변경되어 필름의 상태를 인식하기 어려우며, 표식에 해당하는 결함의 위치를 사용자가 특정하기 어려운 바, 필름의 상태를 재확인 하기 위한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optical film,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specify the position of the defect corresponding to the mark, because the marker for marking the state of the film is erased or chang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oduc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operation for confirming the state is considerably troublesome.
또한, 필름의 상태에 따른 완제품 또는 반제품 단계에서의 불량 여부를 특정하기 어려운 바, 제품의 불량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필름의 제작과정을 과다한 조건으로 관리하므로 필름의 제작 효율이 떨어지고, 필름의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pecify whether the film is defective at the stage of the finished product or the semi-finished product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film.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product,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film is controlled in an excessive con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it price ri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12441호(2016.02.03 공개, 발명의 명칭: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광학 부재 및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적표시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012441 (published on Feb. 201, 2013, entitled "Optical film production method, optical member and optical film manufactured using the same, Device).
본 발명은 필름의 상태를 측정, 판단하고, 표시할 수 있는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a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measuring, determining, and displaying the state of a film.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는, 필름을 촬상하는 상태측정부; 상기 상태측정부에서 촬상한 상기 필름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및 상기 상태판단부에서 판단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e measuring section for picking up a film; A state judging unit for judging a state of the film based on an image of the film picked up by the state measuring unit; And a status display unit displaying a mark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lm on the film on the basis of the state of the film determined by the state determining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측정부는, 상기 필름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필름에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상기 필름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light irradiating unit for irradiating the film with light; And an image pickup section for receiving the light irradiated to the film and picking up the film.
본 발명에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필름의 폭 방향에 평행한 라인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irradiating unit irradiates line light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측정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state measuring units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측정부는, 상기 필름의 일측에 제1광조사부가 위치하며, 상기 필름의 타측에 제1촬상부가 위치하는 제1상태측정부; 및 상기 필름의 타측에 제2광조사부가 위치하며, 상기 필름의 일측에 제2촬상부가 위치하는 제2상태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tate measuring unit having a first light irradiating unit on one side of the film and a first imaging unit on the other side of the film; And a second state measuring unit having a second light irradiating unit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m and a second imaging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lm.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display unit displays a mark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film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lm.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필름에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display un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film by spraying ink onto the film.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display portions are provided and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필름에 복수의 잉크젯 Dot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displays a state of the film by jetting a plurality of inkjet dots onto the film.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표시지지부; 및 상기 표시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지지부를 이동시키는 표시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us display unit may include: a display support unit that supports the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display support unit and configured to move the display support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이동부는, 상기 표시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이동부; 및 상기 표시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oving unit may include: a lifting / lowering unit coupled to the display support unit and lifting the display support unit; And a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display support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상태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gray) 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lm based on whether the gray value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lm measured by the state measuring unit falls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shade value .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값이, 상기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결함영역의 넓이,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진원도(眞圓度)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폭,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determiner may determine whether the shade value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lm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defect area that does not fall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shade value, the roundness of the defect area, Width, or length of the defective area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width, the width, and the length of the defective area.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은, 필름을 촬상하는 상태측정단계;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분류하는 상태판단단계; 및 상기 상태판단단계에서 판단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lm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e measuring step of picking up a film; A state determining step of classifying the state of the film based on the image of the film measured in the state measuring step; And a state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mark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lm on the film based on the state of the film determined by the state determining step.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측정단계는,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상태측정부가 상기 필름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measuring step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ate measuring unit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to pick up an image of the film.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판단단계는,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gray)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determining step determines a state of the film based on whether the gray value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lm measured in the state measuring step falls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shade value .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판단단계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값이, 상기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결함영역의 넓이,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진원도(眞圓度)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폭,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ing of the stat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shading value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lm is greater than a width of a defective area that does not fall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shading value or a roundness of the defective area, The defective area, the width of the defective area, or the length of the defective area.
본 발명에서 상기 상태표시단계는,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표식을, 상기 필름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ing step may display the mark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lm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lm.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은,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을 필름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므로, 필름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state of the film by the position and display the mark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stat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lm so that the state of the film can be easily grasp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측정된 필름의 이미지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필름의 결함영역의 넓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진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방향에 따른 길이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image processing process of a film measured in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area of a defective area of a film in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roundness of a defective area in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ality of a defective area in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length ratio of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defective area.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ndm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film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ample.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1)는, 상태측정부(100), 상태판단부(200) 및 상태표시부(300)를 포함하여 필름(10)의 상태를 측정, 판단하고, 필름(10)의 상태에 따른 표식(70)을 필름(10)의 해당 위치에 표시한다. 1 to 3, a
본 실시예에서 필름(10)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으로써, 편광필름, 확산필름, 반사필름, 프리즘필름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필름(10)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액정표시패널에 부착하기 전의 편광필름으로 예시되며, 상태측정부(100) 및 상태판단부(200)에 의하여 위치별 상태가 측정된 후, 상태표시부(300)에 의하여 해당 상태를 나타내는 표식(70)이 표시됨으로써, 패널에 부착되기 전, 또는 패널에 부착된 이후에라도, 해당 필름(10)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필름(10)은 이송롤러(31)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상태측정부(100)에 의하여 측정될 수도 있으며, 필름 이송부(30)의 이송롤러(31) 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상태측정부(100)에 의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The
상태측정부(100)에서 필름(10)의 상태를 측정할 때, 필름(10)의 이동 여부는 필름(10)의 종류, 상태측정부(100)의 개수, 및 사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When the state of the
상태측정부(100)는 필름(10)을 촬상하여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측정부(100)는 광조사부(110) 및 촬상부(130)를 포함하여, 필름(10)에 광을 조사하고, 필름(10)을 투과하거나, 필름(10)에 반사된 광을 촬상하여 필름(10)의 아날로그 이미지를 취득한다.The state measuring
광조사부(110)는 필름(10)에 광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조사부(110)는 필름(10)의 폭 방향(도 3 기준 좌우 방향)에 평행한 라인광을 조사하여, 촬상부(130)에서 필름(10)의 폭 방향으로 조사된 광이 필름(10)을 투과하거나, 반사되는 것을 수광, 이를 기초로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게 한다. The
촬상부(130)는 광조사부(110)에서 필름(10)에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방식으로 필름(10)을 촬상하여 아날로그 이미지를 취득하며, 카메라로 예시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촬상부(130)는 정지, 또는 저속으로 이동되는 상태의 필름(10)의 영역(area) 이미지를 촬상하는 영역카메라(area camera) 또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상태의 필름(10)으로부터 라인광을 촬상하는 라인카메라(line camera)로 예시되며, 필름(10)의 이동 여부, 광조사부(110)에서 조사하는 광의 종류 등에 따라 카메라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태측정부(10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필름(10)의 길이 방향(도 3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복수의 지점에서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함으로써, 취득된 필름(10) 이미지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름(10)의 촬상을 위한 필름(10)의 이송이 정지되거나, 또는 필름(10)의 이송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측정부(100)는 제1상태측정부(150) 및 제2상태측정부(170)를 포함하여, 필름(10)의 상태를 다중 측정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제1상태측정부(150)는 필름(10)의 일측(도 2 기준 상측)에 제1광조사부(111)가 위치하며, 필름(10)의 타측(도 2 기준 하측)에 제1촬상부(131)가 위치하여, 필름(10)의 일측에서 조사되어 필름(10)을 투과하는 투과광으로부터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The first
제2상태측정부(170)는 필름(10)의 타측에 제2광조사부(113)가 위치하며, 필름(10)의 일측에 제2촬상부(133)가 위치하여, 필름(10)의 타측에서 조사되어 필름(10)을 투과하는 투과광으로부터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The second
즉, 필름(10)에 투과하는 광의 방향,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위치 등을 조절하여 필름(10)으로부터 다중 이미지를 취득하고, 취득된 이미지를 상태판단부(200)에 전달함으로써, 상태판단부(200)가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상태를 판단,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이러한 다중 이미지는 광조사부(110) 및 촬상부(130)가 필름(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는 것 이외에도, 광조사부(110)가 필름(10)에 조사하는 광이 필름(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기울기, 또는 촬상부(130)가 필름(1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정도 등을 조절하여 취득할 수도 있다. The multiple images are obtained by irradiating the
이러한 촬상부(130)의 필름(10) 이지지 취득 방식은 필름(10)의 종류, 필름(10)의 이동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1상태측정부(150)와 제2상태측정부(170)에 더하여 제3, 제4의 상태측정부가 추가될 수 있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manner of acquiring the
예를 들어 제3상태측정부(190)는 필름(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θ) 기울어지도록 광을 조사하는 제3광조사부(115)와, 제3광조사부(115)의 광을 촬상하는 제3촬상부(135)를 포함하여, 제1, 2상태측정부(150, 170)와는 다른 각도에서 촬상한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The third
상태판단부(200)는 상태측정부(100)에서 촬상한 필름(10)의 이미지로부터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한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측정된 필름의 이미지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필름의 결함영역의 넓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image processing process of a film measured by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width of a defect region of the film in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태판단부(200)는 상태측정부(100)에서 측정한 필름(10)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gray)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된 필름(10)의 상태 이력은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출력부(90)에 출력될 수 있다. 4 and 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태판단부(200)는 상태측정부(100)에서 측정한 8비트 아날로그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의 음영(gray) 값을 0 ~ 255 레벨로 수치화한 후, 수치화된 음영값이 기준 음영값(기준 음영값은 측정 이력을 기초로 기 설정되거나, 상태측정부(100)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의 범위에 들어가는 지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4, the
특정 영역의 음영값이 기 설정된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 해당 영역은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함영역(S)의 넓이, 결함영역(S)의 폭 방향 길이 또는 필름(10)의 길이 방향 길이 등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별로 필름(10) 상태를 분류할 수 있다. If the shade value of the specific area does not fall within the range of the predetermined shade value, the area may be judged to be defective and the width of the defective area S, the widthwise length of the defective area S, The length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결함영역(S)의 넓이(area)는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부분의 폭(w)과 길이(ℓ)에 기초하여 area = (w + ℓ)/2 와 같은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5, for example, the area of the defective area S is defined as area = (w + l) / 2 based on the width (w) and length (l) Can be expressed in the same wa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진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에서 결함영역의 방향에 따른 길이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showing the roundness of a defective area in a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ality of a defective area in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showing the ratio of the length along the direction of the defective area in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결함영역(S)의 넓이를 측정하여 필름(10)의 상태를 분류하는 방식 이외에도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는 결함영역(S)의 진원도(眞圓度)의 정도에 따라 결함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함영역(S)의 진원도(0)가 낮은 경우, 해당 결함영역(S)은 스크래치에 의한 결함으로 분류될 수 있다. 6 to 8,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measuring the area of the defective area S to classify the state of the
또한, 결함영역(S)의 기울기(도 7 참조) 또는 결함영역(S)의 방향 별 비율(도 8 참조) 등에 따라 필름(10)의 상태가 분류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음영값의 차이 등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가 판단될 수 있다. The state of the
상태표시부(300)는 상태판단부(200)에서 판단한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70)을 필름(10)의 해당 위치에 표시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태표시부(300)는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70)을 필름(10)의 상태가 측정된 해당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태표시부(300)는 표시부(310)를 포함한다. 표시부(310)는 필름(10)에 잉크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필름(10)에 해당 위치의 상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31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필름(10)의 폭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표시부(310)를 필름(10)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표시부(310)를 작동시켜 해당 위치에 표식(70)을 표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러한 표식(70)은 필름(10)에 표시되는 길이, 영역, 면적 등을 다르게 하여, 상태 별로 다른 표식(70)을 함으로써 이 후 작업자가 해당 필름(10)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This marking 70 makes
본 실시예에서 표식(70)은 복수의 잉크젯 Dot(71)를 분사하여 형성되며, 해당 영역의 상태 등에 따라 잉크젯 Dot(71)의 개수 및 간격 등의 배열이 달라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러한 잉크젯 Dot(71)은 소정의 크기, 예를 들어 0.3 ~ 5.0 mm 정도로 형성되고, 잉크젯 Dot(71)의 최소 간격은 0.3 ~ 5.0 mm 간격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The
이러한 잉크젯 Dot(71)의 크기, 간격 등은 필름(10)의 크기, 표식(70)을 인식하는 사용자 또는 표식인식부(400)의 분해능, 또는 표시부(310)의 개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size, spacing, etc. of the
또한, 잉크젯 Dot(71)는 광학필름의 캐리어필름 또는 보호필름 등에 표시되어, 제품의 제작 이후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필름(10)에 표시함으로써, 제품의 제작에 영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표식(70)은 복수 열로 형성되는 잉크젯 Dot(71)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식(70)이 2열의 잉크젯 Dot(71)로 형성되는 경우, 제1열은 결함의 종류를 표시하고, 제2열은 결함영역(S)의 넓이 등을 나타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예를 들어, 제1열에 Dot(71)가 1개 표시된 경우, 결함의 종류가 스크래치임을 표시하고, 제1열에 Dot(71) 가 2개 표시된 경우 결함의 종류가 찍힘에 의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one
또한 제2열에 Dot(71)가 표시된 개수는 결함영역(S)의 면적을 나타낼 수 있다. 즉, 결함영역(S)의 면적이 넓을수록, 제2열에 Dot(71)가 표시된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결함영역(S)의 면적을 표시할 수 있다. And the number of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표식(70)은 복수의 Dot(71)의 배열, 간격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본 실시예에서 상태표시부(300)는 표시지지부(330) 및 표시이동부(350)를 더 포함한다. 표시지지부(330)는 표시부(310)에 결합되어 표시부(310)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지지부(330)는 필름(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표시부(310)를 지지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표시이동부(350)는 표시지지부(330)에 결합되며, 표시지지부(330)를 이동시켜, 표시부(310)가 필름(10)에 표시하는 표식(7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거나, 표시부(310)의 수리, 관리 등을 위하여 표시부(3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이동부(350)는 승강이동부(351) 및 회전이동부(353)를 포함한다. The
승강이동부(351)는 표시지지부(330)의 단부에 결합되어, 표시지지부(330)를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이동부(351)는 유압실린더 또는 랙/앤 피니언 기어 방식 등을 적용하여, 표시지지부(33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표시지지부(33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ifting and lowering moving
회전이동부(353)는 표시지지부(330)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이동부(353)는 회전축이 표시지지부(330)에 결합되며, 모터 등의 회전동력 발생장치를 포함하여, 표시지지부(330)를 회전시킴으로써, 필름(10)에 표식(70)이 표시되는 부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필름 처리장치(1)는 표식인식부(400)를 더 포함한다. 표식인식부(400)는 상태표시부(300)에 의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70)을 읽고, 해당 필름(10)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표식인식부(400)는 바코드기(50)에 의하여 필름(10) 상에 표시된 필름(10)의 바코드와, 필름(10)의 표식(70)을 인식하고, 인식된 표식(70)을 기초로, 해당 바코드에 대응하는 필름(10)이 결함을 포함하는 불량필름인지, 결함을 포함하지 않는 정상필름인지, 또는 결함을 포함하지만 정상필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표식인식부(400)에 의하여 불량 판정이 난 필름(10)은 캐리어필름과 함께 패널 접합 위치를 통과하여, 더미필름에 함께 권취되어 폐기될 수 있다. The
표식인식부(400)에 의하여 정상 판정이 난 필름(10)은 패널에 부착되어 액정표시패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S1)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0 is a view showing a film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a film processing method (S1) and a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S1)은 상태측정단계(S100), 상태판단단계(S200) 및 상태표시단계(S300)를 포함한다. The film processing method S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ate measurement step S100, a state determination step S200, and a state display step S300.
상태측정단계(S100)에서는 상태측정부(100)가 필름(10)을 촬상하여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측정단계(S100)는 필름(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는 상태측정부(100)를 이용하여 필름(10)의 이미지를 촬상함으로써, 복수의 위치, 복수의 방식으로 필름(10)의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In the state measuring step S100, the
상태판단단계(S200)에서는 상태측정단계(S100)에서 측정한 필름(10)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분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판단단계(S200)는 상태측정단계(S100)에서 측정한 필름(10)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e state determining step S200, the state of the
상태표시단계(S300)에서는 상태판단단계(S200)에서 판단한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70)을 필름(10)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표시단계(S300)는 필름(10)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70)을 필름(10)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여, 필름(10)의 상태를 나타낸다. In the state display step S300,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방법(S1)은 표식인식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표식인식단계(S400)에서는 표식(70)이 표시된 필름(10)으로부터 표식(70)을 인식하여, 필름(10)의 상태를 파악, 해당 필름(10)을 사용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The film processing method (S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marker recognition step (S400). In the mark recognition step S400, the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처리장치(1) 및 처리방법(S1)은 필름(10)의 위치별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70)을 해당 위치에 표시하므로, 필름(10)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필름 처리장치 10: 필름
30: 필름이송부 31: 이송롤러
50: 바코드기 70: 표식
71: Dot 90: 출력부
100: 상태측정부 110: 광조사부
111: 제1광조사부 113: 제2광조사부
115: 제3광조사부 130: 촬상부
131: 제1촬상부 133: 제2촬상부
135: 제3촬상부 150: 제1상태측정부
170: 제2상태측정부 190: 제3상태측정부
200: 상태판단부 300: 상태표시부
310: 표시부 330: 표시지지부
350: 표시이동부 351: 승강이동부
353: 회전이동부 400: 표식인식부
S: 결함영역1: Film processing apparatus 10: Film
30: Film feeding 31: Feed roller
50: bar code machine 70: mark
71: Dot 90: Output section
100: state measuring unit 110: light irradiating unit
111: first light irradiation part 113: second light irradiation part
115: Third light irradiation unit 130:
131: first imaging section 133: second imaging section
135: Third image pickup unit 150: First state measuring unit
170: second state measuring unit 190: third state measuring unit
200: status determination unit 300: status display unit
310: display portion 330: display support portion
350: Display moving part 351:
353: rotational movement unit 400: landmark recognition unit
S: defective area
Claims (18)
상기 상태측정부에서 촬상한 상기 필름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상기 상태판단부에서 판단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상기 상태표시부에 의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을 읽고, 상기 필름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표식인식부; 및
상기 필름 상에 바코드를 표시하는 바코드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식인식부는,
상기 필름 상에 표시된 바코드와 표식을 인식하고, 인식된 표식을 기초로, 해당 바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필름이 결함을 포함하는 불량필름인지, 결함을 포함하지 않는 정상필름인지, 또는 결함을 포함하지만 정상필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표식인식부에 의하여 정상 판정이 난 상기 필름은 패널에 부착하고, 상기 표식인식부에 의하여 불량 판정이 난 상기 필름은 캐리어필름과 함께 패널 접합 위치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A state measuring unit for picking up a film;
A state judging unit for judging a state of the film based on an image of the film picked up by the state measuring unit;
A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ark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lm on the film based on the state of the film determined b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 mark recognition unit for reading a mark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film by the status display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lm is used or not; And
And a barcode unit for displaying a barcode on the film,
The mark recognizing unit recognizes,
Recognizing the barcode and markings displayed on the film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lm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s a defective film containing defects, a normal film not containing defects, Judges whether or not it corresponds to the film,
Wherein the film which has been judged normal by the mark recognizing unit is attached to the panel and the film which has been judged as defective by the mark recognizing unit passes the panel bonding position together with the carrier film.
상기 필름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상기 필름에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상기 필름을 촬상하는 촬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light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the film with light; And
An image pickup section for receiving the light irradiated to the film and picking up the film;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상기 필름의 폭 방향에 평행한 라인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d irradiates line light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film processing units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상기 필름의 일측에 제1광조사부가 위치하며, 상기 필름의 타측에 제1촬상부가 위치하는 제1상태측정부; 및
상기 필름의 타측에 제2광조사부가 위치하며, 상기 필름의 일측에 제2촬상부가 위치하는 제2상태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 first state measuring unit in which a first light irradiation un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lm and a first imaging unit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m; And
A second state measuring unit in which a second light irradiation unit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m and a second image pickup un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lm;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ark corresponding to a state of each of the films is display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lm.
상기 필름에 잉크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film by ejecting ink onto the film;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film processing units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상기 필름에 복수의 잉크젯 Dot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7,
And the state of the film is displayed by jetting a plurality of inkjet dots onto the film.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표시지지부; 및
상기 표시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지지부를 이동시키는 표시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A display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display portion; And
A display moving part coupled to the display support part and moving the display support part;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상기 표시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이동부; 및
상기 표시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A lifting / lowering portion coupled to the display support portion and lifting the display support portion; And
A rotation movement part for rotating the display support part;
The film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상기 상태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gray) 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state of the film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a gray value of an image for each position of the film measured by the state measuring unit falls within a range of a reference shade value.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값이, 상기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결함영역의 넓이,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진원도(眞圓度)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폭,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장치.
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a shade value of an image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film is a width of a defect area which does not fall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shade value or a roundness of the defect area or a width of the defect area, Wherein the state of the film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any one of the position of the film and the position of the film.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분류하는 상태판단단계;
상기 상태판단단계에서 판단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표식을 상기 필름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단계; 및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하는 표식을 인식하여, 상기 필름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표식인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식인식단계에서는,
상기 필름 상에 표시된 바코드와 표식을 인식하고, 인식된 표식을 기초로, 해당 바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필름이 결함을 포함하는 불량필름인지, 결함을 포함하지 않는 정상필름인지, 또는 결함을 포함하지만 정상필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표식인식단계를 거쳐 정상 판정이 난 상기 필름은 패널에 부착하고, 불량 판정이 난 상기 필름은 캐리어필름과 함께 패널 접합 위치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방법.
A state measuring step of picking up a film;
A state determining step of classifying the state of the film based on the image of the film measured in the state measuring step;
A state display step of displaying, on the film, a mark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lm on the basis of the state of the film determined by the state determining step; And
And a marker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markings corresponding to states of the film by using the film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lm is used or not,
In the mark recognition step,
Recognizing the barcode and markings displayed on the film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lm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s a defective film containing defects, a normal film not containing defects, Judges whether or not it corresponds to the film,
Wherein the film which has undergone the normal recognition by the mark recognition step is attached to the panel and the film which has been judged as defective passes through the panel bonding position together with the carrier film.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상태측정부가 상기 필름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 plurality of state measurement unit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pick up an image of the film.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gray)값이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tate of the film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a gray value of an image for each position of the film measured in the state measuring step falls within a range of a reference shade value.
상기 필름의 위치별 이미지의 음영값이, 상기 기준 음영값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결함영역의 넓이,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진원도(眞圓度)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폭, 또는 상기 결함영역의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 shade value of an image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film is a width of a defect area which does not fall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shade value or a roundness of the defect area or a width of the defect area, Wherein the state of the film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of the film and the position of the film.
상기 필름의 위치별 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표식을, 상기 필름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7,
Wherein the mark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lm is display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lm.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1344A KR101955757B1 (en) | 2016-06-08 | 2016-06-08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ilm |
CN201780035351.8A CN109313302A (en) | 2016-06-08 | 2017-05-15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in films |
PCT/KR2017/005004 WO2017213356A1 (en) | 2016-06-08 | 2017-05-15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ilm |
TW106118819A TWI693150B (en) | 2016-06-08 | 2017-06-07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il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1344A KR101955757B1 (en) | 2016-06-08 | 2016-06-08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il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8898A KR20170138898A (en) | 2017-12-18 |
KR101955757B1 true KR101955757B1 (en) | 2019-03-07 |
Family
ID=6057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1344A Active KR101955757B1 (en) | 2016-06-08 | 2016-06-08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ilm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5757B1 (en) |
CN (1) | CN109313302A (en) |
TW (1) | TWI693150B (en) |
WO (1) | WO2017213356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95396B1 (en) * | 2022-10-21 | 2025-04-17 | (주)한국정밀소재산업 | Inspection system for fabric of continuous sheet-shaped and method thereof |
CN116985444B (en) * | 2023-07-05 | 2024-04-02 | 广东汇发塑业科技有限公司 | Traction method for improving transmittance in degradation process of biodegradable film |
KR102601715B1 (en) * | 2023-07-26 | 2023-11-13 | 주식회사 엔비컨스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rinkle on fil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10054364A1 (en) | 2000-06-23 | 2001-12-27 | Akehiro Kusaka | Sheet-like object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JP2015138031A (en) | 2014-01-20 | 2015-07-30 |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optical film |
JP2016038565A (en) | 2014-08-07 | 2016-03-22 | 日東電工株式会社 | Optical film sticking position measur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83153B2 (en) * | 1992-09-10 | 2004-01-06 |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Method for producing photosensitive film magazine and method for producing photosensitive film magazine package |
CN100573042C (en) * | 2003-11-20 | 2009-12-23 | Hoya株式会社 | The irregular defect detecting method and the device of figure |
JP2005274383A (en) * | 2004-03-25 | 2005-10-06 | Sumitomo Chemical Co Ltd | Inspection method for perforated defects in oriented film |
KR100701598B1 (en) * | 2005-03-30 | 2007-03-29 | 충청북도 | Thin Film Defect Detection Device |
JP2006337630A (en) * | 2005-06-01 | 2006-12-14 | Sumitomo Chemical Co Ltd |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optical film |
JP4869053B2 (en) * | 2006-01-11 | 2012-02-01 | 日東電工株式会社 | LAMINATED FILM MANUFACTURING METHOD, LAMINATED FILM DEFECT DETECTING METHOD, LAMINATED FILM DEFECT DETECTOR, LAMINATED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
JP4777310B2 (en) * | 2007-07-31 | 2011-09-21 | シャープ株式会社 | INSPECTION DEVICE, INSPECTION METHOD, INSPECTION SYSTEM,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INSPECTION DEVICE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
KR20090054137A (en) * | 2007-11-26 | 2009-05-29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Optical film defect inspection device using CIS sensor module |
JP2009244064A (en) * | 2008-03-31 | 2009-10-22 | Sumitomo Chemical Co Ltd | Inspection method of polarization film |
JP5415709B2 (en) * | 2008-03-31 | 2014-02-12 | 住友化学株式会社 | Polarizing film sorting system |
JP2011226957A (en) * | 2010-04-21 | 2011-11-10 | Sanritz Corp | Polarizing plate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defect inspection apparatus |
JP2012154679A (en) * | 2011-01-24 | 2012-08-16 | Jx Nikko Nisseki Ekisho Firm Co Ltd | Defect marking device |
KR20120110666A (en) * | 2011-03-30 | 2012-10-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of in-line type |
KR101324015B1 (en) * | 2011-08-18 | 2013-10-31 | 바슬러 비전 테크놀로지스 에이지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urface defect of the glass substrate |
KR101311497B1 (en) * | 2011-10-20 | 2013-10-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Apparatus for inspecting faulty of optical film |
KR20140087715A (en) * | 2012-12-31 | 2014-07-09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in-line measurement |
KR20140088789A (en) * | 2013-01-03 | 2014-07-11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Inspection device for optical film |
JP2015108663A (en) * | 2013-12-03 | 2015-06-11 | 住友化学株式会社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ptical member laminate |
KR102200303B1 (en) * | 2014-08-19 | 2021-01-07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Inspection device for optical film |
KR20160044802A (en) * | 2014-10-16 | 2016-04-26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sheet-shaped product and polarizing plate for use in such inspection |
-
2016
- 2016-06-08 KR KR1020160071344A patent/KR101955757B1/en active Active
-
2017
- 2017-05-15 CN CN201780035351.8A patent/CN109313302A/en active Pending
- 2017-05-15 WO PCT/KR2017/005004 patent/WO201721335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6-07 TW TW106118819A patent/TWI693150B/en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10054364A1 (en) | 2000-06-23 | 2001-12-27 | Akehiro Kusaka | Sheet-like object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JP2015138031A (en) | 2014-01-20 | 2015-07-30 |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optical film |
JP2016038565A (en) | 2014-08-07 | 2016-03-22 | 日東電工株式会社 | Optical film sticking position measur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8898A (en) | 2017-12-18 |
WO2017213356A1 (en) | 2017-12-14 |
TWI693150B (en) | 2020-05-11 |
TW201808597A (en) | 2018-03-16 |
CN109313302A (en) | 2019-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043278B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liquid-crystal display element | |
CN102043279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s | |
JP5663342B2 (en) | Coating method and coating apparatus | |
JP4503692B1 (en) | Information storage / read op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formation storage / read operation system used in apparatus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s | |
KR10195575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ilm | |
CZ2010740A3 (en) | Method of inspecting polarizing film | |
CN102809842B (en) | Method of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 |
KR101163327B1 (en) | Automatic Adhesion Apparatus of Bar Code Label for Tire | |
US20120210895A1 (en) | Method for performing print job | |
TR201810709T4 (en) | Device for inspection of printing products. | |
KR10153167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shade film | |
CN1873398A (en) |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optical film | |
JP2017003352A (en) | Detecting device for faulty rubber adhesion of topping rubber sheets | |
TW200839222A (en) | Mark detecting method | |
WO2021117671A1 (en) | Functional film inspection method, inspection system, and web roll | |
TW201736829A (en) |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polarizing plate | |
JPH11174630A (en) | Label applying device | |
KR102018955B1 (en) | Hidden label inspection system | |
KR101673967B1 (en) | Apparatus for supplying sticker using marking defect of chip device of semiconductor reel tape | |
WO2005115759A1 (en) | Security sheet checking apparatus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of a printing machines | |
TWI834897B (en) |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system for long optical laminates | |
US2014004364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printing parameters of a printing machine, particularly with a plurality of consecutive printing processes | |
JP2003200384A (en) | Web processing device | |
JP2004094442A (en) |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number of sheet | |
TWI421489B (en) | Visual Inspec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8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6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1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