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238B1 - Lighting system, inspection system and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Lighting system, inspection system and contro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5238B1 KR101955238B1 KR1020137019655A KR20137019655A KR101955238B1 KR 101955238 B1 KR101955238 B1 KR 101955238B1 KR 1020137019655 A KR1020137019655 A KR 1020137019655A KR 20137019655 A KR20137019655 A KR 20137019655A KR 101955238 B1 KR101955238 B1 KR 1019552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inspected object
- illumination
- mark
-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08 edge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in opaque containers or opaque container parts, e.g. cans, tins, caps, lab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조명 시스템은 마크가 인쇄된 피검사물 중 상기 마크가 있는 면으로서 상기 마크 주위에 광택이 있는 제 1 면을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디자인의 위치를 검사하는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된다. 이 조명 시스템은 상기 피검사물의 상기 제 1 면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사물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단과 상기 마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을 갖고, 광을 조사하는 조명과 상기 피검사물의 상기 제 1 면측으로서 상기 피검사물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물의 제 1 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조명의 광의 조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조명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조명은 상기 피검사물 중 상기 제 1 면의 배면에 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함과 아울러 상기 반사 부재를 통해 상기 피검사물의 상기 제 1 면에 광을 간접적으로 조사한다. Wherein the illumination system captures a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on which the mark is printed, the first surface having the mark on the periphery of the mark, and inspects the position of the design of the inspected object based on the sensed image Is used. This illumination system i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which is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and has an upper end located above the inspected object and a lower end located below the inspected object, And a reflecting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side above the inspected object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ight so as to face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and reflecting the light from the illumination. The illumination directly irradiates light to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and indirectly irradiates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through the reflective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 검사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on system, an inspection system and a control system.
본 원은 2011년 5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2011-120962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1-120962 filed on May 30, 2011,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13은 플라스틱 튜브나 라미네이트 튜브 등의 튜브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을 행하는 충전기(P0)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g.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hape of a charger P0 for carrying out a process of filling contents with a tube such as a plastic tube or a laminated tube.
통상 튜브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을 행하는 충전기(P0)는 클린 룸(R) 내에 설치된다. 또한 이 충전기(P0)는 튜브 내에 먼지나 티끌이 들어가지 않도록 금속을 모체로 하는 보호용의 커버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보호용의 커버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한 부분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원(W)은 클린 룸(R)에 설치된 조명(L0)으로부터의 광으로 목시에 의해 충전기(P0) 내의 튜브를 확인할 수 있다.A charger P0 for performing a process of charging the contents with a tube is usually provided in the clean room R. [ The charger P0 is covered by a protective cover made of a metal matrix so that dust and dirt do not enter the tube. The protective cover has a transparent portion such as polycarbonate. Therefore, the worker W can confirm the tube in the charger P0 by the light from the light L0 installed in the clean room R. FIG.
이 공정에 있어서 튜브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튜브 개구 단부를 열 용융하여 압착함으로써 가열 밀봉한 후에 튜브 디자인의 위치를 검사한다.In this process, the contents of the tube are filled, and the opening end of the tube is thermally fused and compression-bonded, followed by heat sealing,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tube design is inspected.
종래에서는 이 튜브 디자인의 위치의 검사는 작업원이 목시로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튜브를 전수 검사하기 위해서는 이 검사를 생산 공정의 인라인에서 행할 필요가 있어 다대한 일손을 필요로 하며 시간이 걸린다.Conventionally, the insp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tube design was performed by a worker. However, in order to inspect tubes thoroughly,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is inspection in inline of the production process, which requires a lot of labor and takes time.
그래서 튜브를 촬상하고, 촬상한 검사 화상을 화상 처리함으로써 튜브 디자인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고려된다. 특허문헌 1 및 2에는 화상 처리에 의해 피검사물의 외관을 검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피검사물에 검사광을 조사해서 그 반사광의 변화에 의거하여 피검사물의 표면을 검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tube design by imaging the tube and processing the sensed inspection image.
그러나 충전기는 금속의 커버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충전기 내는 사람이 충전기 내의 튜브의 디자인을 목시가능한 밝기이지만 화상 처리하기 위한 적절한 검사 화상을 촬상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불충분하다. 이 때문에 충전기 내에 조명을 설치하고, 튜브에 광을 직접 조사해서 촬상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튜브 표면에 광택이 있는 경우에는 튜브 표면에서 할레이션이 일어나 안정된 검사 화상을 취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harger is covered with the metal cover, the light amount is insufficient for capturing a proper inspection image for image processing even though the brightness of the charger is as bright as the human eye can design the tube in the charger. For this reason, it is considered that illumination is provided in the charger, and the tube is irradiated with light directly to pick up the image. However, when there is gloss on the surface of the tube, there arises a problem in that a stable inspection image can not be obtained because the tube surface is streaked.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먼지나 티끌이 튜브 내에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튜브 표면에 광택이 있는 튜브이어도 화상 처리에 의해 튜브 디자인의 위치를 검출가능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 검사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pickup apparatus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a tube design by image processing even if the tube has a gloss on the tube surface while preventing dust and / An illumination system, an inspection system, and a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은 마크가 인쇄된 피검사물 중 상기 마크가 있는 면으로서 상기 마크 주위에 광택이 있는 제 1 면을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디자인의 위치를 검사하는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된다. 이 조명 시스템은 상기 피검사물의 상기 제 1 면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사물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단과 상기 마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을 갖고, 광을 조사하는 조명과, 상기 피검사물의 상기 제 1 면측으로서 상기 피검사물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사물의 제 1 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조명의 광의 조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조명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조명은 상기 피검사물의 상기 배면 중 상기 제 1 면의 배면에 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함과 아울러 상기 반사 부재를 통해 상기 피검사물의 상기 제 1 면에 광을 간접적으로 조사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llumination system in which an image of a first surface having a gloss around the mark is taken as a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on which the mark is printed, It is used in the inspection system to check the position. The illumination system includes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having an upper end positioned above the inspected object and a lower end located below the inspected object and disposed on a rear surface sid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And a reflecting member which is disposed above the inspected object as the first surface side of the inspection object and which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ight so as to face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and reflects the light from the illumination. The illumination directly irradiates light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back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and indirectly irradiates light to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through the reflective member.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반사 부재에 대하여 상기 조명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물의 제 1 면을 촬상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마크와 상기 피검사물의 좌우 양단을 포함하는 화상을 얻는 촬상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The illumin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maging unit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illumination with respect to the reflecting member to obtain an image including at leas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rk and the inspected object by imaging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
상기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의 반사면의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어도 좋다.In the illumination system, the material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reflecting member may be polytetrafluoroethylene.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검사 시스템은 상기 조명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디자인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검사 시스템은 상기 피검사물 중 상기 제 1 면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있어서 상기 마크가 있어야 할 범위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마크의 유무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디자인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한다.An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llumination system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design of the inspected object. The inspection system includes an imaging unit for imaging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range in which the mark should be present in the image picked up by the imaging unit, And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esign of the inspected object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ark.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시스템은 상기 검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산 라인을 흐르는 피검사물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한다. 이 제어 시스템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생산 라인을 흐르는 피검사물 각각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nspection system to determine good or defective products of an inspected object flowing through a production line. The control system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good or a defective product of each of the inspected objects flowing through the production lin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detection unit.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마크가 인쇄되어 있는 제 1 면의 배면으로부터 피검사물을 조명으로 조사하고,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 부재로 피검사물의 제 1 면에 반사한다. 이 때문에 피검사물 표면에 광택이 있는 경우이어도 할레이션을 방지하여 피검사물의 마크를 선명하게 촬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충전기에 커버를 씌워 먼지나 티끌이 피검사물 내에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표면에 광택이 있는 피검사물이어도 화상 처리에 의해 디자인의 위치를 검출가능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pection object is illuminat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on which the mark is printed,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illumination is reflect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by the reflection member. Therefore, even when there is gloss on the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lation, and the mark of the inspected object can be clearly picked up.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ick up an image that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design by image processing even if the object is glossy with the surface while preventing the dust or the dust from being mixed into the inspected object by covering the cover with the charg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용어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피검사물에 있어서의 광택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시스템이 도입되는 충전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검사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양부판정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8b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양부판정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8c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양부판정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8d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양부판정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양부판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의 카메라의 촬상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의 카메라의 촬상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의 카메라의 촬상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검사 시스템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튜브 위치에 있어서의 조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튜브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을 행하는 충전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finition of a te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glossiness in the inspected object.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arger into which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troduced.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picked up by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8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affirmative judgment process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8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positive / negative determination processing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8C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affirmative judgment process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8D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positive / negative determination processing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9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the positive / negative deter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0A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imaging by a camera in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0B is a diagram showing the image pickup result of the camera in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10C is a diagram showing the image pickup result of the camera in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of an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illuminance at the tube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hape of a charger for carrying out a process of filling contents with a tube.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도 1을 참조해서 이하에서 사용하는 단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following words are defined as follows.
본 실시형태에 의한 피검사물은 플라스틱 튜브나 라미네이트 튜브 등의 튜브(T)이며, 마크(I) 주위의 인쇄면에 광택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택이란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반사 물체에 의해 반사되었을 때에 그 반사 물체 표면에 광원의 거울상이 비치는 듯한 특성을 말한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등의 광택이 있는 것에 직접 광을 대면 그 표면에 광원의 거울상이 비친다. 광택은 목시 판정 이외에 광택도를 측정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광택도란 반사 물체 표면에 닿은 광이 정반사된 결과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택이 있는 것이란 소정의 측정 조건에 있어서 측정 기기가 측정하는 광택도가 일정 값 이상(본 실시형태에서는 100 이상(100 또는 100 OVER(참고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택이 있는 것의 광택도는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크(I) 주위의 인쇄면에 광택의 광택도는 100 이상이고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택도는 JIS Z 8741-1997로부터 인용하고, 측정 기기로서 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 세이사쿠쇼의 그로스티엣카(IG-320)로 측정했다. 광택도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원통형의 라미네이트 튜브로부터 측정면만을 잘라내어 그 측정면을 평평하게 했다. 이어서 그로스티엣카로 측정면의 표면의 광택도를 측정했다. 광택도의 측정 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라미네이트 튜브의 광택도는 굴절률 1.567의 유리판 표면의 광택도를 기준(100)으로 하여 입사각 60도·반사각 60도에서 측정했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유리판의 경면 반사율은 10%이다. 따라서 경면 반사율이 100%인 경우에 있어서의 광택도는 1000이다.The inspect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ube T such as a plastic tube or a laminate tube, and has a glossy surface on the printed surface around the mark I. The gloss in the present embodiment refers to a characteristic in which, when light from a light source is reflected by a reflective object, a mirror image of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object. For example, when a light is directly applied to a glossy object such as aluminum or stainless steel, a mirror image of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on the surface. The gloss can be judged by measuring the glossiness in addition to the visual judgment. The glossiness is a numerical value showing the result of specular reflection of the light hitting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object. The shine in the present embodiment means that the glossiness measured by the measuring instrument under predetermined measurement conditions is not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100 or more in this embodiment (100 or 100 OVER (reference valu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glossiness of a glossy one is 1000 or les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lossy degree of gloss on the printed surface around the mark I is 100 or more and 1000 or less. The gloss was quoted from JIS Z 8741-1997 and measured with Groschi et al. (IG-320) of Horiba Seisakusho Co., Ltd. as a measuring instrument. A method of measuring glossiness will be described. First, only the measurement plane was cut out from the cylindrical laminate tube, and the measurement plane was flattened. Then, the glossiness of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surface was measured with a gross streak. The conditions for measuring the glossiness will be described. The gloss of the laminate tube was measured at an incidence angle of 60 degrees and an angle of reflection of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loss of the surface of the glass plate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567 as a reference (100). In this case, the specular reflectance of the glass plate is 10%. Therefore, the glossiness is 1000 when the mirror reflectance is 100%.
도 2는 목시로 광택이 없다고 판정된(겉보기 광택 「없음」) 측정 대상물 및 목시로 광택이 있다고 판정된(겉보기 광택 「있음」) 측정 대상물에 있어서의 광택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측정 대상물 「브릴리언트모어 프레쉬 스페어민트」, 「덴트헬스 무연마 겔」, 「덴트헬스 SP」 「덴트헬스 스며드는 블록(등록상표)」 「하이텍트(등록상표)」 「하이텍트 마일드」 및 「시스템 센시티브」는 라미네이트 튜브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겉보기 광택 「있음」인 「브릴리언트모어 프레쉬 스페어민트」 「덴트헬스 무연마 겔」 「덴트헬스 SP」 및 「덴트헬스 스며드는 블록(등록상표)」에 있어서의 광택도는 「100 OVER」이다. 한편 겉보기 광택 「없음」인 「하이텍트(등록상표)」 「하이텍트 마일드」 및 「시스템 센시티브」에 있어서의 광택도는 100보다 작다.Fig. 2 shows measurement results of the degree of gloss of a measurement object determined to have no gloss (no apparent gloss " No ") and a measurement object determined to have gloss (glossiness "present") visually. The measurement objects "Brilliant Mower Fresh Spear Mint", "Dent Healthless Abrasive Gel", "Dent Health SP", "Dent Health Intrusion Block (registered trademark)", "Hightech (registered trademark)", "Hightech mild" Is a laminate tube. As shown in Fig. 2, the glossiness in "Brilliant Mower Fresh Spear Mint", "Dent Healthless Polishing Gel", "Dent Health SP" and "Dent Health Immersion Block (registered trademark)" having an apparent gloss " OVER ". On the other hand, the glossiness in the "hightech (registered trademark)", "hightemtmild" and "system sensitive", which are apparently "none", is less than 100.
도 1로 돌아가 튜브(T)의 설명을 계속한다. 튜브(T)에는 마크(I)가 인쇄되어 있다. 튜브(T)에 있어서 이 마크(I)가 있는 면을 정면(제 1 면)으로 정의한다. 또한 튜브(T)에 있어서 마크(I)가 있는 면의 배면을 이면으로 정의한다. 마크(I)는 튜브(T)에 있어서의 디자인의 어긋남(위치)을 검출하기 위한 마크이다. 마크(I)의 색(예를 들면 흑색)을 마크색으로 칭한다. 이 튜브(T)에 있어서 개구부를 열 용융해서 압착함으로써 가열 밀봉한 부분을 엔드 시일링부(E)로 칭한다. 튜브(T)가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 엔드 시일링부(E)측을 위로 하고, 주출구(캡(C))측을 아래로 해서 상하방향을 정한다. 캡(C)을 아래로 해서 튜브(T)가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 튜브(T)의 정면을 정면시했을 때의 좌우방향으로서 상하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정한다.Returning to Fig. 1, the description of the tube T is continued. A mark (I) is printed on the tube (T). The surface of the tube T on which the mark I is defined is defined as a front surface (first surface). Further,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tube T on which the mark I is defined is defined as the back surface. The mark I is a mark for detecting the deviation (position) of the design in the tube T. The color of the mark I (for example, black) is referred to as a mark color. The portion of the tube T that is heat-sealed by thermally melting and pressing the opening portion is referred to as an end sealing portion E. The tube sealing portion E side is set to be upward while the tube T is standing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set downward with the main outlet (cap C) side dow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p-and-down direction is defined as the left-to-right direction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tube T is in the frontal state while the tube T stands up with the cap C down.
즉, 튜브(T)는 대략 면 대칭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의 상단은 엔드 시일링부(E)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의 좌우 양단은 연속되어 있다.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의 외표면은 서로 대략 역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 1 측면의 외표면이 튜브(T)의 정면이다. 제 2 측면의 외표면이 튜브(T)의 배면이다.That is, the tube T comprises a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which are substantially symmetrical.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re joined by the end sealing portion E.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are continuous.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re substantially opposite to each o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is the front surface of the tube 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is the back surface of the tube T. [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시스템이 도입되는 충전기(P)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arger P into which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troduced.
충전기(P)는 치약 등의 내용물을 튜브(T)에 충전함과 아울러 충전 후의 튜브(T)의 개구부를 가열 밀봉하기 위한 생산 라인이다.The charging device P is a production line for charging the contents of a toothpaste or the like into the tube T and heat-sealing the opening of the tube T after charging.
충전기(P)의 중앙에는 레이스 트랙 형상의 테이블이 설치된다. 이 테이블의 주위에 다수 설치된 통 형상의 튜브 홀더가 정렬 상태로 테이블의 원주방향으로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튜브 홀더는 테이블의 둘레면을 따라 설치된 반송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테이블의 주위를 주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e center of the charger P, a table in the form of a race track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tubular tube holders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the table are horizontally mov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able in an aligned state. These tube holders are configured to move around the table by a transport mechanism (not shown) installed along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table.
튜브(T)는 충전기(P)의 공급부(101)로부터 튜브 홀더에 공급되어 테이블의 둘레면을 따라 배출부(112)까지 이동한다. 우선 공급부(101)에 있어서 새로운 튜브(T)가 그들의 캡(C)측을 아래로 향해 개구된 상태에서 튜브 홀더에 공급된다. 이어서 튜브 삽입부(102)가 튜브(T)를 튜브 홀더에 프레싱하여 삽입함으로써 튜브(T)를 튜브 홀더에 고정한다. 이어서 캡 확인부(103)가 센서에 의해 튜브(T)에 캡(C)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 이어서 이물 제거부(104)가 튜브(T) 내에 클린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튜브(T) 내의 이물을 제거한다. 그리고 연충전부(105)가 튜브(T)에 내용물을 충전한다.The tube T is supplied from the
이어서 마크 위치 맞춤부(106)가 컬러 센서에 의해 튜브(T)의 마크(I)를 검출하고, 마크(I)가 미리 설정된 소정 방향을 향하도록 튜브(T)를 위치 맞춤한다. 이어서 품종 확인부(107)가 카메라에 의해 튜브(T)의 품종을 확인한다. 그리고 가열 밀봉부(108)가 튜브(T)의 개구부를 열 용융해서 압착함으로써 가열 밀봉한다. 이어서 포장 로트 각인부(109)가 엔드 시일링부(E)에 포장 로트를 각인한다. 그리고 외관 검사부(110)가 튜브(T)의 디자인의 위치를 검사한다. 이어서 R 커터부(111)가 엔드 시일링부(E)의 단부를 커팅한다. 최후에 배출부(112)가 댐퍼식 컨베이어(113)에 의해 튜브(T)를 후 공정으로 배출한다.The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제어 시스템은 충전기(P) 내의 외관 검사부(110)에 있어서 튜브(T)의 디자인의 위치를 검사한다. 제어 시스템은 조명(1)과, 반사판(2)과, 카메라(촬상부)(3)와, 화상 처리 장치(4)와, 시퀀서(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1), 반사판(2), 및 카메라(3)는 충전기(P) 내의 외관 검사부(110)에 설치된다. 조명(1)은 충전기(P) 내를 흐르는 튜브(T)의 이면 및 반사판에 광을 조사한다. 반사판(반사 부재)(2)는 조명(1)으로부터의 광을 튜브(T)의 정면에 반사시킨다. 카메라(3)는 튜브(T)의 정면을 촬상해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4)에 출력한다. 이하 조명(1)과, 반사판(2)과, 카메라(3)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조명 시스템으로 칭한다. 조명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The control system checks the position of the design of the tube T in the
화상 처리 장치(4)는 카메라(3)로부터 입력된 화상에 의거하여 튜브(T)에 있어서의 디자인의 좌우 어긋남을 검출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4)는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튜브(T)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시퀀서(5)에 출력한다. 시퀀서(5)는 입력된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충전기(P) 내를 흐르는 튜브(T)각각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하고, 각 튜브(T)에 스테이터스 정보(양품 또는 불량품)를 부여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시퀀서(5)는 각 튜브(T)의 스테이터스 정보에 의거하여 댐퍼식 컨베이어(113)에 동작 지시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시퀀서(5)는 튜브(T)가 양품인 경우에는 튜브(T)를 생산 라인의 후 공정(제 1 방향)으로 배출하는 동작 지시를 댐퍼식 컨베이어(113)에 출력한다. 한편 시퀀서(5)는 튜브(T)가 불량품인 경우에는 튜브(T)를 생산 라인의 계 외(제 2 방향)로 배출하는 동작 지시를 댐퍼식 컨베이어(113)에 출력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4 detects the left-right shift of the design in the tube T based on the image input from the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검사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검사 시스템은 상술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고, 튜브(T)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하는 시스템이다. 검사 시스템은 조명 시스템과, 화상 처리 장치(4)와, 입력부(6)와, 조명 제어부(7)와, 표시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The inspection system is used in the above-described control system, and is a system for judging good or defective products of the tube T. The inspection system includes an illumination system,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4, an input unit 6, an illumination control unit 7, and a display unit 8.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llumin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later.
입력부(6)는 조명(1)의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값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조명 제어부(7)는 입력부(6)에 의해 입력된 제어값에 의거하여 조명(1)의 조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조명 제어부(7)는 예를 들면 조명(1)으로의 공급 전압 또는 전류를 변화시킴으로써 조명(1)의 조도를 제어한다. 표시부(8)는 카메라(3)가 촬상한 화상을 표시한다. 이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검사를 실시할 때에 표시부(8)에 표시된 화상을 확인하면서 입력부(6)에 의해 조명(1)의 조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검사물인 튜브(T)의 크기나 형상, 디자인에 따라 조명(1)의 조도를 조정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6 receives an input of a control value for controlling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light 1.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7 controls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1 based on the control value input by the input unit 6. Specifically, the illumination control section 7 controls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1, for example, by changing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to the illumination 1. [ The display unit 8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카메라(3)가 촬상한 화상에 의거하여 튜브(T)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4)는 화상 입력부(401)와, 엣지 검출부(402)와, 윈도우 결정부(403)와, 어긋남 검출부(404)와, 판정부(405)와, 판정 결과 출력부(4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상 처리 장치(4)는 튜브(T)의 마크(I)의 위치에 의거하여 튜브(T)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한다. 화상 입력부(401)는 카메라(3)로부터 화상의 입력을 받아들이고, 입력된 화상을 표시부(8)와 엣지 검출부(402)에 출력한다. 엣지 검출부(402)는 입력된 화상에 있어서의 튜브(T)의 좌단의 엣지를 검출한다. 윈도우 결정부(403)는 엣지 검출부(402)에 의해 검출된 좌단의 엣지에 의거하여 마크(I)가 있어야 할 범위인 마크 검출 윈도우를 결정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4 for determining a good or defective product of the tube T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the
어긋남 검출부(404)는 윈도우 결정부(403)에 의해 결정된 마크 검출 윈도우에 마크(I)가 있는지 없는지에 의거하여 튜브(T)의 디자인의 어긋남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어긋남 검출부(404)는 마크 검출 윈도우에 있어서의 마크색의 화소수를 계수하여 계수한 화소수가 소정의 범위(α) 내인 경우에 마크 검출 윈도우에 마크(I)가 있다고 판정한다. 범위(α)의 상한값과 하한값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범위(α)는 마크 검출 윈도우 내에 있는 화소 중 80% 이상의 화소 등으로 여겨진다. 한편 어긋남 검출부(404)는 계수한 화소수가 범위(α) 밖인 경우에 마크 검출 윈도우에 마크(I)가 없다고 판정하여 튜브(T)의 디자인의 어긋남을 검출한다. 판정부(405)는 어긋남 검출부(404)에 있어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튜브(T)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405)는 디자인의 어긋남이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 튜브(T)를 양품으로 판정하고, 디자인의 어긋남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튜브(T)를 불량품으로 판정한다. 판정 결과 출력부(406)는 판정부(405)에 의한 판정 결과를 시퀀서(5)에 송신한다.The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에 있어서 튜브(T)의 정면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튜브(T)의 이면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In Fig. 6,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tube T is directed is defined forward. Fur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ck surface of the tube T faces is defined as a rear direction.
조명 시스템은 조명(1)과, 반사판(2)과, 카메라(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 시스템은 충전기(P) 내의 외관 검사부(110)에 설치된다. 조명(1)과 반사판(2)의 사이에 튜브(T)를 배치한다.The lighting system includes an illumination unit 1, a
조명(1)은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면 광원이며, 그 광의 색은 백색이다. 조명(1)의 가로폭(또는 세로폭)은 적어도 튜브(T)의 가로폭보다 크다. 조명(1)의 세로폭(또는 가로폭)은 적어도 마크(I)의 세로폭보다 크다. 조명(1)은 충전기(P) 내의 한정된 스페이스(예를 들면 깊이 35mm~95mm)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조명(1)으로서 박형(예를 들면 두께 약 8mm)의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1 is a surface light source such as an LED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color of the light is white. The horizontal width (or vertical width) of the illumination 1 is at least larger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tube T. The vertical width (or horizontal width) of the illumination light 1 is at least larg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mark I. The light 1 is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for example, a depth of 35 mm to 95 mm) in the charger P.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o use a thin (for example, about 8 mm in thickness) illumination as the illumination light 1.
조명(1)은 그 발광부를 전방을 향해 튜브(T)보다 후방의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조명(1)은 반사판(2)과 충전기(P) 내를 흐르는 튜브(T)의 이면을 조사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조명(1)은 튜브(T)의 이면을 적어도 마크(I) 하부로부터 위쪽에 있는 튜브(T)의 좌우 양단을 포함하여 조사하도록 설치된다.The illumination unit 1 is installed at a position behind the tube T toward the front of the light emitting unit. The illuminator 1 is installed to irradiate the back surface of the tube T that flows in the
반사판(2)은 광을 반사하는 판이다. 반사판(2)의 반사면의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거울 등에 비해 광의 확산율이 크다. 또한 반사판(2)의 색이 튜브(T)에 비치지 않도록 반사판(2)의 반사면의 색은 백색이 바람직하다.The
반사판(2)은 조명(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튜브(T)의 마크(I) 주위에 반사 되도록 그 반사면을 후방을 향해 튜브(T)보다 전방의 위치에 설치된다. 광원(조명(1))에 있어서의 광의 조사 방향(수평방향)에 대한 반사판(2)의 반사면의 각도는 θ이다. 각도(θ)는 30도부터 60도이며, 바람직하게는 40도부터 50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도이다.The
카메라(3)는 CCD(Charge Coupled Device Image Sensor) 카메라이다.The
카메라(3)는 그 광학계를 후방을 향해 튜브(T)보다 전방의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카메라(3)는 충전기(P) 내를 흐르는 튜브(T)의 정면을 적어도 마크(I)와 튜브(T)의 좌우 양단을 포함하여 촬상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조명(1), 반사판(2) 및 카메라(3)의 높이 및 반사판(2)의 각도(θ)는 조정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피검사물인 튜브(T)의 크기나 형상, 디자인에 따라 조명(1), 반사판(2) 및 카메라(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illumination light 1, the
도 6에는 높이 140mm(부호 h)의 튜브(T)에 대한 조명(1)과, 반사판(2)과, 카메라(3)의 설치 위치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조명(1)은 튜브(T)의 중심으로부터 55mm(부호 i) 후방으로서 높이 112mm(부호 j)의 위치에 설치된다. 즉, 조명(1)은 튜브(T)의 배면측에 배치된다. 조명(1)의 상단은 튜브(T)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조명(1)의 하단은 마크(I)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반사판(2)은 조명(1)으로부터 100mm(부호 k) 전방의 위치에 각도(θ)=45도로 설치된다. 즉, 반사판(2)은 튜브(T)의 제 1 면측으로서 튜브(T)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반사판(2)은 튜브(T)의 제 1 면과 대향하도록 조명(1)의 광의 조사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카메라(3)는 튜브(T)의 중심으로부터 130mm(부호 l) 전방으로서 반사판(2)의 하부로부터 65mm (부호 m) 전방의 위치에 설치된다.6 shows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illumination 1, the
충전기(P)는 튜브(T)를 2개 세트로 해서 각 공정을 행한다. 이 때문에 이 조명 시스템을 옆에 2개 나란히 놓고, 2개의 튜브(T)를 대략 동시에 촬상해서 검사해도 좋다. 이 경우 조명(1)의 가로폭을 크게 하여 1개의 조명(1)으로 2개의 튜브(T)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Each of the charging devices P is made up of two sets of tubes T. Therefore, two illumination systems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nd two tubes T may be imaged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and inspected.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illumination light 1 may be increased so that the two tubes T can be irradiated with one illumination light 1.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다.7 is an image picked up by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1)이 튜브(T)의 이면을 조사하고 있기 때문에 마크(I) 하부로부터 위쪽에 있는 튜브(T)의 좌우 양단이 선명하게 촬상된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3)가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는 마크(I) 하부로부터 위쪽에 있는 튜브(T)의 좌우 양단의 배경에 조명(1)(즉, 조명(1)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조사광)이 찍혀 있다. 이 때문에 튜브(T)의 좌우 양단을 양호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2)에 의해 조명(1)의 광을 확산시켜 마크(I)에 조사하고 있기 때문에 할레이션을 방지하여 마크(I)를 선명하게 촬상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1 irradiates the back surface of the tube T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ube T above the lower portion of the mark I are clearly picked up. That is,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이어서 화상 처리 장치(4)가 상술한 조명 시스템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튜브(T)의 디자인의 어긋남을 검출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processing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4 for detecting the design deviation of the tube T from the image picked up by the above-described illumin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8a~8d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4)에 있어서의 양부판정 처리의 설명도이다.8A to 8D are explanatory diagrams of the positive / negative determination processing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우선 화상 입력부(401)가 카메라(3)로부터 화상을 취득한다(도 8a 참조). 이어서 엣지 검출부(402)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범위인 검사 윈도우(W)에 있어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주사하여 색의 변화가 가장 큰 개소를 튜브 엣지(G)로서 검출한다(도 8b 참조). 이어서 윈도우 결정부(403)가 튜브 엣지(G)를 기점으로 하여 마크 검출 윈도우(M)를 결정한다(도 8c, 도 8d 참조). 구체적으로는 윈도우 결정부(403)는 튜브 엣지(G)로부터 소정 화소분 오른쪽에 있는 영역을 마크 검출 윈도우(M)로 설정한다.First, the
이어서 어긋남 검출부(404)가 마크 검출 윈도우(M) 내에서 마크색의 화소를 계수한다. Subsequently, the
어긋남 검출부(404)는 계수한 화소수가 범위(α) 내인 경우에 튜브(T)의 디자인에 어긋남이 없는 것을 검출한다(도 8c 참조). 한편 어긋남 검출부(404)는 계수한 화소수가 범위(α) 밖인 경우에 튜브(T)의 디자인에 어긋남이 있는 것을 검출한다(도 8d). 최후에 판정부(405)가 디자인에 어긋남이 없는 튜브(T)를 양품으로 판정하고, 디자인에 어긋남이 있는 튜브(T)를 불량품으로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8c에 나타내는 튜브(T)의 경우 마크 검출 윈도우(M)의 위치에 마크(I)가 존재하기 때문에 마크색의 화소수는 범위(α) 내이다. 이 때문에 화상 처리 장치(4)는 도 8c에 나타내는 튜브(T)를 양품으로 판정한다. 한편 도 8d에 나타내는 튜브(T)의 경우 마크 검출 윈도우(M)의 위치에 마크(I)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마크색의 화소수는 「0」이며, 범위(α) 밖이다. 이 때문에 화상 처리 장치(4)는 도 8d에 나타내는 튜브(T)를 불량품으로 판정한다.The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화상 처리 장치(3)에 의한 양부판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양부판정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9,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ositive / negative determination process by the
우선 엣지 검출부(402)가 카메라(3)로부터 취득한 화상에 있어서 검사 윈도우(W)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주사하여 색의 변화가 가장 큰 개소를 튜브 엣지(G)로서 검출한다(스텝 S101). 이어서 윈도우 결정부(403)가 튜브 엣지(G)를 기점으로 하여 마크 검출 윈도우(M)를 결정한다(스텝 S102). 이어서 어긋남 검출부(404)가 마크 검출 윈도우(M)에 있어서의 마크색의 화소수를 계수한다(스텝 S103). 그리고 어긋남 검출부(404)는 계수한 마크색의 화소수가 범위(α) 내(화소수가 소정의 역치 내) 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104). 계수한 화소수가 범위(α) 내인 경우(스텝 S104: Yes), 판정부(405)는 튜브(T)가 양품(OK)인 것으로 판정하고(스텝 S105),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계수한 화소수가 범위(α) 내가 아닌 경우(스텝 S104: No)에 판정부(405)는 튜브(T)가 불량품(NG)인 것으로 판정하고(스텝 S106), 처리를 종료한다.First, the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에 의한 촬상 결과와 튜브(T)를 직접 조사한 경우의 촬상 결과를 비교한다.Next, the image pickup result obtained by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image pickup result obtained when the tube T is directly irradiated.
도 10a~10c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의 카메라(3)의 촬상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a는 상술한 조명 시스템의 배치에서 반사판(2)의 재질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한 경우의 촬상 결과이다. 도 10b는 상술한 조명 시스템의 배치에서 반사판(2)을 거울로 한 경우의 촬상 결과이다. 비교를 위해 도 10c에 조명(1)으로부터 튜브(T)의 정면을 직접 조사한 경우의 촬상 결과를 나타낸다.10A to 10C show imaging results of the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T)의 정면을 직접 조사해서 촬상하면 엔드 시일링부(E)에 있어서 할레이션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크(I)가 사라지고, 또한 튜브(T)의 튜브 엣지(G)가 흐려진다. 이 때문에 튜브(T)를 직접 조사하면 화상 처리에 의해 마크(I)를 검출할 수 없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거울을 반사판(2)에 사용한 경우에는 직접 조사한 경우와 비교하면 할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마크(I)를 촬상할 수 있다. 그러나 거울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비해 광의 확산율이 낮기 때문에 할레이션이 남아 도시한 바와 같이 마크(I)의 색이 흐려지는 경우나 다른 색(예를 들면 청색)이 마크색에 비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반사판(2)에 거울을 사용한 경우에는 마크(I)의 검출률이 저하한다. 이들에 대하여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반사판(2)에 사용한 경우에는 할레이션을 방지하여 마크(I) 및 튜브 엣지(G)를 선명하게 촬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촬상 화상에 의거하여 검사를 한 경우에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조명 시스템의 배치에서 반사판(2)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한 경우에는 화상 처리에 의해 마크(I)를 보다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C,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tube T is directly irradiated and picked up, the mark I is lost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halting in the end sealing portion E, and the tube edge G of the tube T, Is blurred. Therefore, when the tube T is directly irradiated, the mark I can not be detected by image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B, when a mirror is used for the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검사 시스템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11 shows an experimental result of the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1에 나타내는 표에 있어서 튜브 품질은 목시에 의해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검사기 판정은 검사 시스템에 의한 양품(OK) 또는 불량품(NG)의 판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사 시스템에 의한 판정 결과는 목시에 의한 판정 결과와 모두 일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검사 시스템은 종래와 같이 목시한 경우의 검사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In the table shown in Fig. 11, the tube quality indicates the result of determination of good or defective product by visual inspection. The tester determination indicate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good (OK) or the defective (NG) by the inspection system. As shown in Fig. 11, the judgment result by the inspection system coincides with the judgment result by the visual insp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aintain the inspection quality in the case where the inspection is performed as in the prior art.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튜브(T) 위치에 있어서의 조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illuminance at the position of the tube 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 그래프에 있어서 가로축은 광원을 발하는 광의 강도(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값(단위는 노브 볼륨(Vol(Volume)))이다. 세로축은 튜브(T) 위치에 있어서의 조도(단위는 럭스(Lx))이다.In this graph, the abscissa is a control value (the unit is a knob volume (Vol (Volume))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illumination) of the light emitting the light source. The vertical axis indicates the illuminance (unit: Lux) at the position of the tube T.
도 12에 나타내는 선(201)은 튜브(T)의 정면을 조명(1)으로 직접 조사한 경우의 조도 변화를 나타낸다. 선(202)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반사판(2)에 거울을 사용한 경우의 조도 변화를 나타낸다. 선(20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반사판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한 경우의 조도 변화를 나타낸다.A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튜브(T)의 조도는 제어값에 대하여 대략 직선적으로 완만하게 변화된다. 이 때문에 튜브(T)의 디자인이나 형상에 따라 조도를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튜브(T)의 정면을 직접 조사한 경우의 조도는 제어값에 대하여 변화가 불안정하여 조도의 조정이 곤란하다.As shown in Fig. 12, the illuminance of the tube T in the case of using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hanges approximately linearly with respect to the control value. Therefore, the illuminance can be more fin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design and shape of the tube T.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tube T is directly irradiated, the illuminance is unstabl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value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illuminance.
또한 반사판(2)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한 경우의 조도는 반사판(2)에 거울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보다 완만하게 변화된다. 이것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거울에 비해 광의 확산율이 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반사판(2)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한 쪽이 거울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할레이션이 보다 일어나기 어렵다.In addition, the illuminance when polytetrafluoroethylene is used for the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면으로부터 튜브(T)를 조명(1)으로 조사하고, 조명(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판(2)에서 튜브(T)의 정면에 반사된다.이 때문에 튜브(T) 표면에 광택이 있는 경우이어도 티끌이나 티끌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된 충전기(P) 내에서 할레이션을 방지하여 튜브(T)의 마크(I)를 보다 선명하게 촬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생산 라인 상에서 정밀도 좋게 튜브(T)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ube T is irradiated with the illumination light 1 from the back surface,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light 1 is reflec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ube T in the
또한 입력부(6), 조명 제어부(7) 및 표시부(8)를 구비함으로써 검사를 행하는 작업자는 촬상된 화상을 확인하면서 튜브(T)의 디자인이나 형상에 따라 조명(1)의 조도를 미세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2)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한 것에 의해 조명(1)의 광이 확산되어 반사되기 때문에 보다 미세하게 튜브(T)의 정면에 반사되는 광의 조도를 조정할 수 있다.The operator who performs inspection by providing the input section 6, the illumination control section 7 and the display section 8 can finely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1 according to the design or shape of the tube T while confirming the captured image have. Further, since the light of the illumination light 1 is diffused and reflected by using the polytetrafluoroethylene as the
도 9에 나타내는 각 스텝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여 실행함으로써 튜브(T)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하는 처리를 행해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OS나 주변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A program for realizing each step shown in Fig. 9 is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a program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is read into a computer system and executed to determine whether the tube T is good or defective It is also good. The " computer system " used herein may include hardware such as an OS or a peripheral device.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 자기디스크,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록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CD-ROM 등의 포터블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장치를 말한다.The ter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storage device such as a flexible disk, a magneto-optical disk, a ROM,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a portable medium such as a CD-ROM, or a hard disk built in a computer system.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 프로그램이 송신된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와 같이 일정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The term "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refers to a volatile memory (e.g.,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in a computer system serving as a server or a client when a program is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such as a network, And a program tha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 등에 격납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 매체를 통해 또는 전송 매체 중의 전송파에 의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어도 좋다.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전송 매체」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통신망)이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통신선)과 같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매체를 말한다.The program may be transferred from a computer system stored in a storage device or the like to another computer system via a transmission medium or a transmission wave in the transmission medium. Refers to a medium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information such as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communication line (communication line) such as a telephone line.
상기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다.The program may be for realizing a part of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상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되는 것, 소위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좋다.The above-described functions may be realized by a combination with a program already recorded in the computer system, or a so-called differential file (differential program).
이상 도면을 참조해서 이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설계 변경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pecific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design changes and the like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판(2)의 반사면의 재질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확산율이 큰 재질이면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다른 재질을 반사판(2)에 사용해도 좋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명(1)을 LED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명(1)은 형광등이나 할로겐 램프 등 다른 광원을 사용해도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1 is an L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1 may be a different light source such as a fluorescent lamp or a halogen lamp.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 검사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llumination system, an inspection system, and a control system.
1 조명 2 반사판
3 카메라 4 화상 처리 장치
5 시퀀서 6 입력부
7 조명 제어부 8 표시부
401 화상 입력부 402 엣지 검출부
403 윈도우 결정부 404 어긋남 검출부
405 판정부 406 판정 결과 출력부
T 튜브(피검사물)1
3 camera 4 image processing device
5 sequencer 6 input unit
7 Lighting control unit 8 Display unit
401
403
405
T tube (inspected object)
Claims (5)
상기 피검사물의 상기 제 1 면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사물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단과 상기 마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을 갖고, 광을 조사하는 조명과,
상기 피검사물의 상기 제 1 면측으로서 상기 피검사물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사물의 제 1 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조명의 광의 조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조명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은 상기 피검사물 중 상기 제 1 면의 배면에 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함과 아울러 상기 반사 부재를 통해 상기 피검사물의 상기 제 1 면에 광을 간접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A method for inspecting the position of a design of an object to be inspected based on a sensed image, comprising the steps of: capturing a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on which a mark is printed, As a system,
An illumination unit arranged on a back surface sid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and having an upper end located above the inspected object and a lower end located below the inspected object,
A reflecting member which is disposed above the inspected object as the first surface side of the inspected object and which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ight of the illumination so as to face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and reflects the light from the illumina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illumination directly irradiates light to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and indirectly irradiates light to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through the reflective member.
상기 반사 부재에 대하여 상기 조명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물의 제 1 면을 촬상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마크와 상기 피검사물의 좌우 양단을 포함하는 화상을 얻는 촬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mage pickup unit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illumination with respect to the reflecting member to obtain an image including at least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rk and the inspected object by imaging the first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
상기 반사 부재의 반사면의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terial of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reflecting member is polytetrafluoroethylene.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있어서 상기 마크가 있어야 할 범위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마크의 유무에 의거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디자인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시스템.An inspection system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design of an object to be inspected using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2,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range in which the mark should be present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And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position of the design of the inspected object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ark in the range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생산 라인을 흐르는 피검사물 각각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A control system for determining good or defective products of an inspected object flowing through a production line using the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4,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good or a defective product of each of the inspected objects flowing through the production lin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detectio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120962 | 2011-05-30 | ||
JP2011120962 | 2011-05-30 | ||
PCT/JP2012/063732 WO2012165419A1 (en) | 2011-05-30 | 2012-05-29 | Lighting system, inspection system and control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2967A KR20140012967A (en) | 2014-02-04 |
KR101955238B1 true KR101955238B1 (en) | 2019-03-08 |
Family
ID=4725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9655A Active KR101955238B1 (en) | 2011-05-30 | 2012-05-29 | Lighting system, inspection system and control system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847176B2 (en) |
KR (1) | KR101955238B1 (en) |
CN (1) | CN103562710B (en) |
WO (1) | WO2012165419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97036B2 (en) * | 2018-05-07 | 2022-01-17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Package inspection method and package inspection device |
CN114424046B (en) * | 2019-09-27 | 2024-09-27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Inspe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inspec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110B2 (en) * | 1985-11-22 | 1994-01-26 | エーザイ株式会社 | How to detect dirt on a container |
US4938881A (en) * | 1988-08-01 | 1990-07-03 | The Lubrizol Corporation |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and concentrates |
JPH05281079A (en) * | 1992-04-03 | 1993-10-29 | Kao Corp | Inspection method of sealing part of fluide container and inspection apparatus |
JP3033350B2 (en) * | 1992-07-23 | 2000-04-1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Chip observation device |
JPH06213829A (en) * | 1993-01-20 | 1994-08-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Inspecting system of defect of tube article |
JPH06229927A (en) * | 1993-02-03 | 1994-08-19 | Nireco Corp | Reflector for inspection |
JPH0738950A (en) * | 1993-07-22 | 1995-02-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
JPH11295034A (en) * | 1998-04-09 | 1999-10-29 | Pola Chem Ind Inc | Inspecting device for vessel |
JP3497107B2 (en) * | 1999-10-21 | 2004-02-16 | 株式会社エム・アイ・エル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uspended matter in container |
JP2004012294A (en) * | 2002-06-06 | 2004-01-15 | Suntory Ltd | Label inspection method and label inspection device |
JP2004163267A (en) * | 2002-11-13 | 2004-06-10 | Canon Inc | Apparatus for detecting mark on light transmitting medium having lustrous surface |
JP2004205278A (en) * | 2002-12-24 | 2004-07-22 | Morinaga Milk Ind Co Ltd | Superimposition inspection equipment |
JP4060750B2 (en) * | 2003-05-16 | 2008-03-12 | 株式会社三協 | Imaging inspection system |
JP4269316B2 (en) * | 2003-10-16 | 2009-05-27 | キリンテクノシステム株式会社 | Label inspection equipment |
JP2005134358A (en) * | 2003-10-28 | 2005-05-26 | Yoshihiko Takashima | System for imaging plane and four-directional side faces by one camera, using four inclined mirrors |
JP4339162B2 (en) | 2004-03-31 | 2009-10-07 | キリンテクノシステム株式会社 | Surface inspection device |
CN100533132C (en) * | 2004-09-06 | 2009-08-26 | 欧姆龙株式会社 | Substrate inspection method and substrate inspection device |
JP2006226724A (en) * | 2005-02-15 | 2006-08-31 | Nec Robotics Eng Ltd | Label inspection method and label inspection device |
JP2007161257A (en) | 2005-12-09 | 2007-06-28 | Nihon Tetra Pak Kk | Appearance inspection equipment for paper packaging containers |
JP2007240432A (en) * | 2006-03-10 | 2007-09-20 | Omron Corp | Defect inspection device and defect inspection method |
DE102006047150B4 (en) * | 2006-10-05 | 2013-01-17 | Krones Aktiengesellschaft | Inspection device for containers |
DE102007054657A1 (en) * | 2006-11-15 | 2008-07-03 | Loell Industry Solutions Gmbh | Visualization and/or examination arrangement for e.g. glass bottle, has reflector system providing images of sample from different directions, where images are subjectable to image analysis and/or image comparison in image evaluation device |
KR100913484B1 (en) * | 2008-02-19 | 2009-08-25 | 에스엔유 프리시젼 주식회사 | Dark Field Inspection Device |
-
2012
- 2012-05-29 KR KR1020137019655A patent/KR101955238B1/en active Active
- 2012-05-29 JP JP2013518097A patent/JP5847176B2/en active Active
- 2012-05-29 CN CN201280026172.5A patent/CN103562710B/en active Active
- 2012-05-29 WO PCT/JP2012/063732 patent/WO201216541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562710B (en) | 2015-09-16 |
JPWO2012165419A1 (en) | 2015-02-23 |
JP5847176B2 (en) | 2016-01-20 |
KR20140012967A (en) | 2014-02-04 |
CN103562710A (en) | 2014-02-05 |
WO2012165419A1 (en) | 2012-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34135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optical power and thickness of ophthalmic lenses immersed in a solution | |
JP6654139B2 (en) |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for wet ophthalmic lens | |
KR10099633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inconsistencies in complex structures | |
ES2384958T3 (en) | Procedure and device for the non-contact examination of an object, especially as regards its surface shape | |
US7057718B2 (en) |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the transparent bottoms of bottles | |
KR101482580B1 (en) | Glass bottle inspection device and telecentric lens unit | |
JP2011089978A (en) |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container with label | |
JP2008304487A (en) | Machine for testing contour and barrier of bottle | |
CN212674792U (en) | Device for detecting container | |
CN113686879A (en) | Optical film defect visua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 |
KR20160047360A (en) | System and method for defect detection | |
CA298796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containers using multiple radiation sources | |
JP4647643B2 (en) | Defect inspection device and PTP packaging machine | |
CN11520192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cans | |
KR101955238B1 (en) | Lighting system, inspection system and control system | |
JP3668449B2 (en) | Foreign matter detection device in filling liquid such as transparent containers | |
KR10216269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fect detection | |
TW201411122A (en) | Surface foreign material detec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17166903A (en) | Defect inspection device and defect inspection method | |
CN117136299A (en) |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containers by determin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a container closure | |
US20090201368A1 (en) | Glazing inspection | |
JP2004117103A (en) | Label tear inspection device of vessel | |
JP2007033339A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etection of fisheye | |
JP5256507B2 (en) | Multilayer preform inspection method and multilayer preform inspection apparatus | |
JP2004061452A (en) | Foreign matter inspection device and its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7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