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843B1 - Process for joining separated hand rails - Google Patents
Process for joining separated hand rai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4843B1 KR101954843B1 KR1020180007563A KR20180007563A KR101954843B1 KR 101954843 B1 KR101954843 B1 KR 101954843B1 KR 1020180007563 A KR1020180007563 A KR 1020180007563A KR 20180007563 A KR20180007563 A KR 20180007563A KR 101954843 B1 KR101954843 B1 KR 101954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rail
- cover
- wire set
- wire
- wir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2—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 B29C66/0224—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with removal of material
- B29C66/02241—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sa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4—Tongue and groove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2—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for making tubular articles or closed loops, e.g. by joining several sheets ;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 preforms
- B29C66/4324—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for making tubular articles or closed loops, e.g. by joining several sheets ;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 preforms for making closed loops, e.g.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4—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for forming corner connections, fork connections or cross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6—Rods, e.g. connecting rods, rails, stak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하여, 분리된 핸드레일을 접합하는 공정에 대하여 개시하며 특히 열가소성 탄소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진 핸드레일을 전부 분해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두 개의 핸드레일을 접합할 수 있는 공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rocess for joining separate handrails is disclosed, and particularly, a process for accurately joining two handrails without disassembling the entire handrails made of a thermoplastic carbon polymer composi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된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을 이어 조인트를 형성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forming an ear joint of a hand rail of an escalator made of a thermoplastic material.
종래에는 핸드레일들을 단편의 형태로 형성해 왔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핸드레일 몸체의 주 구성물질이 열경화성 물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거의 어려움이 없었다. 즉, 핸드레일의 일 단편을 제조한 후 핸들레일을 전진시키고, 그 뒤에 다음 단편을 성형하게 되어 있다.Conventionally, the hand rails have been formed in the form of a piece. However, even in such a configuration, the main constituent material of the handrail body is made of a thermosetting material, so that it is hardly difficult. That is, after a piece of the handrail is manufactured, the handle rail is advanced to form the next piece.
특정 용도를 위해 설치현장에서 핸드레일의 이음부를 형성시키기 위해 적당한 길이의 핸드레일을 선택한 후 이음을 위한 단부들을 준비한다. 일반적으로, 이 과정은 강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층들을 절단한 후 이 층들을 서로 엮음 접합(interlace)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슬라이더 직물은 적절히 절단된다. 그 뒤에 단부들을 주형내에서 조립하고, 주형을 새로운 물질로 채운 후 가열하여 경화시킨다.For specific applications, select the appropriate length of handrail to form the joints of the handrails at the installation site and prepare the ends for the joints. Generally, this process involves cutting the layers comprising steel wires and then interlacing the layers together. In this case, the slider fabric is appropriately cut. The ends are then assembled in a mold, the mold is filled with a new material and heated to cure.
핸드레일의 제조시 요구되는 길이를 알고 있다면 공장에서 소정 길이의 핸드레일을 단부가 경화되지 않은 채로 제조하고, 제조 주형을 사용하여 매끈하고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이음부를 제조할 수 있다.If the length required in manufacturing the handrail is known, the handrail of a predetermined length can be manufactured in the factory without the ends being cured, and the manufacturing mold can be used to produce a smooth, visually inaudible joint.
종래, 폴리우레탄과 같은 열가소성 중합물질로부터 에스칼레이터 등의 핸드레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지만, 슬라이더가 없는데 어떻게 핸드레일의 시험 루프(loop)를 만들고 시험을 할 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 method for forming a handrail such as an escalator from a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is know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known how to make a test loop of a handrail and to test it without a slid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핸드레일과 신규헨드레일의 절단 부위를 서로 연결하고, 몰드에 장착하여 열로 접합하고 성형하는 과정을, 핸드레일을 분리하기 않고 진행하는 핸드레일 접합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necting a cut portion of a conventional handrail and a new handrail to each other, A rail joining process can be provided.
일 개시에 의하여, 분리된 핸드레일을 접합하는 공정을 제공하며, 본원발명의 공정은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된 제 1 핸드레일의 커버의 옆면을 10~20mm 깊이로 제 1 핸드레일의 단부에서부터 275mm되는 지점까지 절단하고, 절단된 제 1 핸드레일의 커버를 말아올리는 제 1 핸드레일 커버 분리 공정;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joining separate hand rails by means of a one-shot process, wherein the side of a cover of a first handrail formed of a thermoplastic material has a depth of 10 to 20 mm at a point of 275 mm from the end of the first handrail A first handrail cover removing step of cutting the cover of the cut first handrail;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아래에 설치된 20개의 서브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세트를 분하기 위하여, 와이어세트의 옆면을 1mm깊이로 단부에서부터 270mm되는 지점까지 절단하고, 절단된 와이어세트를 커버위로 말아올리는 와이어세트 분리 공정;In order to divide the wire set consisting of 20 subwires provided under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the side set of the wire set was cut to 1 mm from the end to 270 mm, and the wire set was wound up over the cover Separation process;
분리된 와이어세트를 원위치로 되돌리고, 와이어세트에 포함된 20개의 서브와이어 중 한 쌍의 제 1 서브와이어세트를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250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한 쌍의 제 1 서브와이어세트 옆에 위치한 한 쌍의 제 2 서브와이어세트를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188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한 쌍의 제 2 서브와이어세트 옆에 위치한 한 쌍의 제 3 서브와이어세트를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125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나머지 서브와이어세트를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125mm의 지점보다 짧은 지점까지 절단하여 탑 형상으로 와이어 세트를 절단하고, 탑 형상으로 절단된 와이어 세트를 커버위로 말아올리는 서브 와이어 분리 공정;The set of separated wires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set of the first sub-wires of the twenty sub-wires included in the wire set is cut to a point 250 mm from the end of the set of wires, And a pair of third sub wire sets located next to the pair of second sub wire sets are cut from the end of the wire set at a point of 125 mm from the end of the wire set, A sub wire separation step of cutting the wire set into a top shape by cutting the remaining sub wire set to a point shorter than a point of 125 mm from the end of the wire set and raising the wire set cut in the top shape over the cover;
분리된 와이어 하단에 위치한 슬라이더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 떨어진 지점을 따라서 절단하여 슬라이더를 고무보호대로부터 분리하고, 슬라이더의 단부로부터 125mm의 지점까지 절단하여 제거하는 슬라이더 분리 공정;A slider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slider from the rubber protector by cutting alo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edges of the slid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ed wire to cut the slider from the rubber protector to a point of 125 mm from the end of the slider;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된 제 2 핸드레일의 커버를 분리하고, 와이어세트를 분리하고, 서브 와이어를 역탑 형상으로 분리하고, 슬라이더를 분리하여 제 1 핸드레일과 맞닿게 결합하는 제 2 핸드레일 결합 공정;A second handrail joining step of separating the cover of the second handrail formed of a thermoplastic material, separating the wire set, separating the subwires into a reverse-tower shape, separating the slider and engaging with the first handrail;
제 2 핸드레일과 제 1 핸드레일이 맞닿은 부분을 중앙 성형부를 이용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을 이루는 열가소성 물질이 녹아 머쉬룸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하며, 머쉬룸 조인트가 2~3mm 형성되는 경우 중앙 성형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웰딩 공정;The portion where the second handrail and the first handrail abut each other is heated by using the central forming portion so that the thermoplas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melts to form a mushroom joint, A welding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forming part when the 3 mm is formed;
웰딩 공정을 거쳐 결합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을 냉각시키는 냉각 공정;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combined through the welding process;
제 1 핸드레일의 탑 형상의 와이어세트를 제 1 핸들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에 걸쳐 위치하게 하고, 제 2 핸드레일의 역탑 형상의 와이어세트를 제 2 핸드레일 및 제 1 핸드레일에 걸쳐 위치하게 함으로써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가 서로 맞닿게 하는 와이어 결합 공정;The wire set of the top shape of the first hand rail is placed over the first handle rail and the second hand rail and the wire set of the shape of the back top of the second hand rail is placed over the second hand rail and the first hand rail Thereby causing the wire sets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to abut each other;
결합된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의 하단부에 300℃의 열을 가함과 동시에, 열이 가해진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를 롤러로 롤링하여 슬라이더에 결합되도록 하는 와이어 웰딩 공정;The wire set of the combined first hand rail and the wire set of the second hand rail are heated to 300 DEG C while the wire sets of the first hand rail and the wire sets of the second hand rail, A wire-welding process for rolling and joining to the slider;
결합된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상에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및 제 2 핸드레일의 커버를 덮은 다음,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및 제 2 핸드레일의 커버의 소재에 따른 용융점 이상의 온도를 가함으로써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및 제 2 핸드레일의 커버를 융합시켜 결합시킨 후, 용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시킴으로써 커버 조인트를 형성하는 커버 웰딩 공정;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cover of the second handrail are covered on the set of wires of the combined first handrail and the set of wires of the second handrail and then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cover of the second handrail A cover welding step of forming a cover joint by fusing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cover of the second handrail by applying a temperature not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then cooling at a temperature below the melting point;
커버 조인트가 형성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의 하단부에 형성된 머쉬룸 조인트를 제거하고, 머쉬룸 조인트가 제거된 부분에 300~350℃ 의 열을 1분간 가함으로서 머쉬룸 조인트가 제거된 부분을 용융시켜 재결합시키는 머쉬룸 조인트 제거 공정 및 결합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을 몰딩하는 몰딩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hand rail formed with the cover joint and the mushroom join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and rail were removed and the portion where the mushroom joint was removed was melted by applying a heat of 300 to 350 DEG C to the portion where the mushroom joint was removed for one minute A mushroom joint removal process for re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hand rails, and a molding process for molding the combined first and second hand rails.
도1은 핸드레일의 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선 2-2를 따라 에스칼레이터 핸드레일의 단부를 부분 절개한 측면도이다
도3은 핸드레일의 절단을 위한 띠톱의 사시도이다.
도4는 핸드레일의 일측 단부에 대한 연속 절단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핸드레일 단부에 엮음 패턴을 절단 형성하기 전의 핸드레일 단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엮음 패턴의 절단 성형을 도시하는, 핸드레일의 두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장치의 두 성형 단부들과 맨드릴 성형부의 조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8은 개방상태에 있는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10은 냉각 경로들을 도시하는 본 발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11은 프레스의 내부에 설치된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일 개시에 의한 분리된 핸드레일을 접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13 은 일 개시에 의한 분리된 서브 와이어가 탑 형상으로 절단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개시에 의한 제 1 핸드레일의 서브와이어와 제 2 핸드레일의 서브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d portion of a handrail.
Fig. 2 is a side view of the end portion of the escalator handrail partially cut along the line 2-2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nd saw for cutting a handrail.
4 is a view showing a continuous cutting process for one end of the handrail.
Fig. 5 is a view showing a handrail end before cutting the woven pattern at the end of the handrail.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wo ends of the handrail, showing the cutting form of the woven patter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wo molded ends and mandrel forming portion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9 is a side view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of an inventive apparatus illustrating cooling paths.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side the press.
Fig.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joining separated hand rai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3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parated subwir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cut into a top shape.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b wire of the first hand rail and a sub wire of the second hand rail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lso,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ortions no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or clarified natural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8 내지 도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부호"10"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치(10)는 주 성형부인 중앙 성형부(12)와, 제 1 및 제 2 보호용 성형 단부(14),(16)를 가지고 있다.8 to 11,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with the reference numeral "10 ". The
중앙 성형부(12)는 상측 부재(12a)와 하측 부재(12b)를 포함하고 있으며, 성형 단부(14),(16)들도 상,하측 부재(14a),(16a) 및 상,하측 부재(14b),(16b)를 각기 포함하고 있다. 상측 부재(12a)에는 긴 맨드릴(18)이 고정되어 있다. 이 각 부재들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The central forming
상측 부재(12a)는 평면상에서 볼 때 대체로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주 베이스 부분(22)을 포함하고 있다. 상측 부재(12a)상에는 돌출된 중앙 부재(24)가 상측 부재(12a)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데, 이 중앙 부재(24)의 외면에는 수직 벽부분(26), 경사 벽부분(28), 그리고 경사 벽부분(28)에 이어지는 평면형 결합면(30)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member 12a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plan and includes a
결합면(30)에는 핸드레일의 외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긴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홈(32)의 저면상에는 깊이가 작은 직사각형 슬롯(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롯(34)의 저면상에도 볼트구멍(38)쪽으로 개구된 깊이가 작은 직사각형 요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부(36)는 주형을 들어 내기위한 들어내기 슬롯으로서 작용한다.The
또한, 홈(32)의 양 측에는 성형중에 과도한 성형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홈(32)에 근접하여 대체로 반원형의 작은 홈(4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맨드릴(18)은 도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롯(34)내에 볼트(도시 안됨)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맨드릴(18)은 그 구조를 도시할 수 있도록 비록 도8에는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시에는 상측 부재(12a)에 볼트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모든 부재들이 알루미늄 또는 기타 금속으로 형성됨에 따라 맨드릴과 상측 부재(12a)사이에 양호한 도전 경로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구되는 냉각을 위해 맨드릴 가열 요소들을 연속 동작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맨드릴을 절연 스패이서 또는 그와 유사한 부재를 사용하여 상측 부재(12a)로부터 절연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요부(36)은 필요한 경우 주형을 분리하는데, 즉, 상측 부재(12a)로 부터 맨드릴(18)을 분리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The
상측 부재(12a)는 전기가열소자(46)이 삽입되는 긴 구멍(44)를 포함하고 있다.The upper member 12a includes an
상측 부재(12a)는 또한 냉각 도관(48)(도10)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도관(48)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도관(48a)과,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기 입구(50)와 출구(52)에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도관(48b)을 포함하고 있다.The top member 12a also includes a cooling conduit 48 (FIG. 10), which includes two
성형부(12)의 하측 부재(12b)는 상측 부재(12a)(도8)를 보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하측 부재(12b)는 결합면(30)과 접하도록 구성된 결합면(60)을 가지고 있다. 결합면(60)으로 부터는 경사벽(62)이 연장되어 있고, 이 경사벽(62)에는 수직벽(64)들이 이어져 있다. 수직벽(64)들은 상측 부재(12a)와 하측 부재(12b)들을 측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수직 벽부분(26)과 미끄럼 결합되게 되어 있다.The
하측 부재(12b)에는 요구되는 핸드레일 부분에 대응하는 완전한 주형 공동을 형성하도록 홈(32)에 대응하는 둥근 홈(66)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측 부재(12a)와 관련하여 하측 부재(12b)는 가열 소자(72)용의 구멍(70)을 포함하고 있다. 하측 부재(12b)는 또한 도관(48a),(48b)의 구성과 일치하는 구성을 갖게 길이방향 도관들과 횡방향 도관들을 포함하는 도관망(도시 안됨)을 포함하고 있다. 횡방향 도관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 부재(12a)를 통한 냉각 흐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입구(80)와 출구(82)에 연결되어 있다.In relation to the upper member 12a, the
성형 단부(14),(16)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설명을 간략화시키기 위해 도8에 도시된 성형 단부(16)에 관해서만 설명하겠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형 단부(14),(16)들은 중앙 성형부(12)가 가열되고 있을 때에도 항상 냉각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성형 단부(14),(16)들은 중앙 성형부(12)로 부터 열적으로 절연되어 있다.The forming ends 14, 16 generall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each other and will therefore be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the forming
성형 단부(16)의 상측 및 하측 부재(16a),(16b)들의 측면 형상은 중앙 성형부(12)의 측면 형상과 대체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상측 부재(16a)는 주 베이스 부분(84)와 돌출된 중앙부분(85)을 포함하고 있다. 상측 부재(16a)는 또한 수직 벽부분(86)들과, 경사 벽부분(88)들과, 그 경사 벽부분(88)들에 이어진 평면형 결합면990)을 가지고 있다. 결합면(90)은 중앙 성형부의 경우와 갈리 과잉의 성형 물질에 대한 홈을 가지고 있지 않다. 상측 부재(16a)는 또한 홈(32)에 연속되는 홈 부분(92)을 포함하고 있다. 상측 부재(16a)는 또한 중앙 성형부의 슬롯(34)에 연속되는 직사각형 슬롯(94)을 포함하고 있다.The side shapes of the upper and
상측 부재(16a)에 대응하여 하측 부재(16b)도 경사 벽부분(102)과 수직 벽부분(104)를 갖는 결합면(100)을 가지고 있다. 결합면(100)의 중간 부분에는 핸드레일 단편을 완성하도록 홈(66)에 연속되는 둥근 홈(106)이 형성되어 있다.Corresponding to the
성형 단부의 상, 하측 부재(16a),(16b)에는 각기 냉각수용으로 관통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10에는 이 관통 구멍들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상, 하측 부재(16a),(16b)에는 입구(109) 및 출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하측 부재(16a),(16b)들은 가열소자의 통과를 위한 구멍들을 포함하고 있다.The upper and
맨드릴(18)은 전기 가열소자(20)용의 구멍(19)을 포함하고 있다.The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핸드레일의 이음 조인트의 형성에 관해 설명하겠다. 핸드레일의 단부는 띠톱, 칼, 열간 절단 칼, 또는 다른 적당한 또는 종래의 절단수단을 사용하여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주 핸드레일 몸체는 부호"120"으로 표시되어 있다. 핸드레일 몸체(120)은 상부(122)와 측 다리부(124)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122)의 내부에는 긴 비신장 부재들로서의 보강 와이어(126)들이 평면 배열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핸드레일 몸체(120)는 대체로 T형의 슬롯(128)을 형성하고, 이 슬롯(128)은 슬라이더 직물(130)로 피복되어 있다. 핸드레일의 두 단부는 부호(131),(132)로 표시되어 있다. 핸드레일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TPU)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적당한 열가소성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inafter, the formation of the joints of the handr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The end of the handrail can be prepared using a band saw, knife, hot cutting knife, or other suitable or conventional cutting means. Here, the main handrail body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20 ". The
먼저, 두 핸드레일 단부(131),(132)들을 직사각형의 절단면들을 갖게 절단한다. 우선, 두 핸드레일 단부에서 측 다리부(124)들을 통해 연장되고 서로 대응하는 경사 절단면(134)을 형성하여 상기 두 핸드레일 단부들로 부터 측 다리부(124)들의 상보 부분들을 제거한다. 이 때, 제 2 핸드레일 단부(132)의 경우는 상부(122)의 바로 아래에 수평 상보 절단면(136)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First, the two hand rail ends 131 and 132 are cut with rectangular cut surfaces. First, complementary portions of the
각 핸드레일 단부에 수평 절단면(142)을 형성하여 부호"14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부(122)의 일부를 제거한다. 이 제거는 띠톱을 사용하여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맨드릴(146)을 포함하는 지그(144)를 사용한다. 맨드릴(146)은 지그(144)상에 핸드레일 단부(131) 또는 (132)를 고정시킬 수 있게 T형 슬롯(128)과 일치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슬롯(128)내에 꼭 맞게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 절단면(142) 또는 절단면(134)과 같은 다른 절단면을 정확히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맨드릴(146)에 슬롯을 형성시킬 수도 있고, 아니면 핸드레일 자체를 다른 방식으로 지지시킬 수도 있다. 상부(140)의 일부를 제거하는 대신 상부(140)에 엮음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A
절단면(142)은 와이어(126)의 배열 바로 위에 형성된다. 이 절단면(142)은 두 횡방향의 수직 단부 절단면과 함께 두 핸드레일 단부(131),(132)로 부터 상층을 제거시키게 된다. 그 결과 핸드레일 상부(122)의 얇은 하측 부분(148)만이 핸드레일 단부(131),(132)에서 와이어(126)들을 포함하는 중간층으로서 남게 된다. 이 하측 부분들은 그 뒤에 도6 및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구되는 엮음 패턴을 형성하도록 절단되게 된다.The
그러면 엮음 패턴의 강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와이어들의 강도 및 와이어들과 핸드레일간의 상대 절단강도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두 요소는 함께 중합체내에 매입되어 있는 와이어의 길이가 얼마나 될 때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의 증가시 중합체에 대한 와이어의 접합파괴 대신 와이어 자체의 파단에 의한 파괴가 발생하는 지를 결정해 준다. 이상적인 엮음 패턴은 와이어 조인트들이 상기와 같은 임계길이 이상으로 이격되게 와이어들을 충분히 서로 겹치게 할 수 있게 하는 형태를 갖는 것이다.It will then be appreciated that the key factor in determining the strength of the woven pattern is the strength of the wires and the relative shear strength between the wires and the handrail. These two factors together determine how much of the wire embedded in the polymer increases the load applied to the wire to determine if the wire itself fractures instead of breaking the wire to the polymer. The ideal plaiting pattern has a form that allows the wire joints to overlap the wires sufficiently enough to be spaced above the critical length as described above.
도6을 참조하면 와이어가 끊겨 있는 4개의 평면(150),(151),(152), (153)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평면(150)에서는 두개의 외측 와이어(126a)들과 두개의 중간 와이어(126e)들에 끊김부가 존재하고, 평면(151)에서는 세개의 중간 와이어(126b)들에 끊김부가 존재하며, 평면(152)에서는 최외측 와이어(126a)들에 인접하여 쌍으로 배열되어 있는 4개의 외측 와이어(126c)들에서 끊김부가 존재하며, 평면(153)에서는 3개의 중간 와이어(126b)의 양 측부에서 상으로 배열된 4개의 내측 와이어(126d)에서 끊김부가 존재한다. 비록 선택된 엮음 배열을 도시하였으나, 다른 적당한 배열도 가능하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평면(150)에 대응하여 외측 와이어(126a)을 포함하는 가장자리부분(155)들을 제 2 핸드레일 단부(132)에서는 보유시키는 반면 제 1 핸드레일 단부(131)에서는 제거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four
엮음 패턴의 절단은 와이어 자체에 관련해서가 아니라 중합체에 매입된 와이어들에 관련하여 이루어져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합체는 최종 이음 공정시 재용융되게 되어 있다. 오히려 각 와이어 또는 일련의 와이어들이 핸드레일 몸체의 대응부분과의 결합을 위해 절단되게 되어 있다. 이는 도6 및 도7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두 핸드레일 단부들이 와이어들의 평면에서 서로 조립될 시 절단으로 초래되는 허용 공차이외의 공극이 본질적으로 존재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상기의 공차 등을 무시한다면 와이어 주위의 핸드레일 몸체의 어느 부분도 대체시킬 필요가 없다. 이러한 기술의 또 다른 이점으로는 와이어들과 열가소성 물질사이에 존재하는 접착제가 엮음 패턴의 형성 중에 손상 또는 제거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The cutting of the woven pattern consists not of the wire itself but of the wires embedded in the polymer. As described below, the polymer is intended to be remelted during the final joining process. Rather, each wire or series of wires is cut for engagement with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handrail body. This is shown in FIGS. 6 and 7. FIG. Hence, when the two handrail ends are assembled together in the plane of the wires, there is essentially no pores other than the tolerance resulting from the cutting, so that if any of the above tolerances are ignored, any part of the handrail body around the wire There is no need to replace it. Another advantage of this technique is that the adhesive present between the wires and the thermoplastic is not damaged or remov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woven pattern.
비록 도4a 및 도4b에는 슬라이더 직물을 포함하는 핸드레일 부분에 대한 경사 이음부가 도시되어 있으나, 핸드레일의 측 다리부(124)들에 다른 형태의 조인트 기구들을 다수 제공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형태의 구성은 도13 및 도14에 도시되어 있다.Although it is noted in Figures 4A and 4B that the tapered joints for the handrail portion including the slider fabric are shown, it is appreciated that the
도13에는 각 단부상에 서로 직조된 또는 서로 얽혀 있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다수의 핑거들을 제공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핸드레일 상부와 관련하여 이 핑거들은 다수의 수직 평면들에 대해 형성되어 있다. 중앙 평면(170)의 양측으로 평면(171),(172) 및 평면(173),(174)가 형성되어 있다. 비록 수직 평면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필수적이진 않은 것이다. 일례로, 다양한 경사 평면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모든 평면들을 서로 평행하게 구성할 필요도 없으며, 측면에서 볼 때 또는 평면상에서 볼 때 평면들이 경사진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두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측 및 하측 핑거(175),(176)들과, 두 중간 핑거(177),(178)들이 존재한다. 또한, 핑거들의 단부들은 요구되는 응력 패턴을 제공하고 또한 인접하는 핑거들사이에서 전단응력 형태의 길이방향의 인장 하중을 전달할 수 있게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Fig. 13 shows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 plurality of generally rectangular fingers woven together or intertwined with each other on each end. With respect to the top of the handrail, these fingers are formed for a plurality of vertical planes. Planes 171 and 172 and planes 173 and 17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lane 170. [ Although vertical planes are shown, this configuration is not essenti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inclined planes, not all planes ne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planes may be inclined when viewed from the side or in a plan view. In this way, there are upper and lower fingers 175, 176 extending from the two ends and two intermediate fingers 177, 178. The ends of the fingers are also located in different planes so as to provide the required stress pattern and also to transmit a longitudinal tensile load in the form of shear stress between adjacent fingers.
도14에는 삼각형 핑거들을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중앙 평면(172)과 그 양측의 평면(171) 내지 (174)들에 관련하여 완전한 조이트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및 하측의 삼각형 핑거 또는 돌출부(180),(181)들이 중앙 평면(170)에 가장 근접한 평면(172),(173)까지 연장되어 있고, 다른 두 삼각형 핑거(182),(183)들이 최 외측 평면(171),(174)까지 연장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인트들에 관련해서도 요구되는 절단면들을 톱질, 열간 또는 냉간 절단칼을 사용한 절단 또는 다른 적당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조인트를 보강하기 위해 슬라이더 직물(130)에 대해 새들(saddle) 또는 패치(patch)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새들은 도6에 부호"164"로 표시되어 있다. 새들(164)은 핸드레일의 전 폭에 걸쳐 조인트를 덮기에 충분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새들(164)의 길이는 요구되는 보강을 제공할 수 있게 결정되어야만 한다. 새들(164)은 슬라이더 직물(130)을 절단하여 형성한 시트일 수 있으며, TPU 또는 다른 적당한 접착제를 수동 또는 다른 방식으로 피복하여 준비할 수 있다.14 shows another embodiment using triangular fingers. There is formed a complete joint with respect to the center plane 172 and the planes 171 to 174 on both sides thereof. The upper and lower triangular fingers or protrusions 180 and 181 extend to the plane 172 and 173 closest to the center plane 170 and the other two triangular fingers 182 and 183 extend to the And extend to the outer planes 171, 174. The cutting surfaces required in connection with the joints as described above can be formed by sawing, cutting with a hot or cold cutting knife or other suitable manner. A saddle or patch may be provided for the
그 뒤에 핸드레일 단부(131),(132)들을 성형장치(10)에서 조립한다. 그 뒤에 조인트 부분을 완성시킨다. 절단면의 형성에 의해 물질이 제거된 경우, 일례로 절단면(136)에 의해 제거된 물질에 대해서는 대체 시트(158)을 제공한다. 또한, 각 단부 부분에서 제거된 부분(140)들에 대해서는 대체 상측 캡(160)을 제공한다. 이 대체 캡(160)은 띠톱 또는 칼 또는 열간 절단 칼을 사용하여 절단되는데, 띠톱을 사용하여 절단을 행하는 경우에는 띠톱의 두께, 즉 핸드레일 단부(131),(132)로부터 물질의 제거를 야기시키는 톱질 자국에 대한 공차를 두어야 하나, 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공차를 둘 필요가 없다. 보다 복잡한 핸드레일 구조의 경우는 하나 이상의 내부 직물층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 뒤에 추가된 각각의 직물층을 그의 상하에 형성한 수평 절단면들에 의해 핸드레일로 부터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핸드레일 단부들을 동일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조인트들은 서로 일렬로 정렬되지 않게 핸드레일을 따라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추가 직물층들은 직물층들에 대한 길이방향 조인트들의 강도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핸드레일의 길이방향 강도는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핸드레일의 립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소정의 용도를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조인트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추가 직물층들용으로 소정 형태의 결합 핑거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n, the
임의의 표준 가압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데, 도11 및 도12에는 개방 및 폐쇄위치사이에서 피벗가능한 상부를 가지고 있은 가압공구(56)가 도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폐쇄된 주형은 과잉 물질의 누출을 허용하면서 충분한 압력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형은 약간 오버사이즈화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TPU가 초기에는 가압되지 않기 때문이다.Any standard press tool can be used, shown in Figures 11 and 12, with a
그 뒤에, 제 1 및 제 2 성형 단부(4),(16)의 상,하측 부재들 사이로 냉각수를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성형 단부(14),(16)내의 핸드레일 부분을 냉각된 상태로 유지시켜 그 부분에서 핸드레일이 재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동시에 가열소자들에 전원을 공급하여 중앙 성형부(12)를 가열시킨다. 이에 따라, 중앙 성형부(12)내에서 중합체가 재용융되고, 그 결과 접합이 이루어져 단일하된 조인트를 형성하게 된다.Thereafter, cooling water is pas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of the first and second forming end portions (4, 16).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keep the handrail portions in the formed
TPU는 강한 흡습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TPU로 형성된 최종 핸드레일은 정상 사용시 대기로 부터 습기를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이음 조인트를 형성시키기 위해 핸드레일을 재용융시킬 시 수증기의 발생 또는 증기 기포의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게 주의가 요구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압력의 선택이 필요하다.TPU is known to have strong hygroscopicity. Thus, the final handrail formed of TPU absorbs moisture from the atmosphere during normal use. Therefore, when remolding the handrail to form a joint, care must be taken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team or the generation of steam bubbles, and accordingly, a proper pressure selection is required.
이를 위해, 열팽창에 의해 핸드레일 단부들이 상당히 팽창되기 전에 주형의 내부와 접촉하여 TPU를 가압시킬 수 있게 주형의 칫수가 정해진다. 특히, 응융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부터 증기 기포들만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핸드레일 단부들이 용융되는 전 기간동안 증기 기포의 발생을 방지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이 발생되게, 즉 핸드레일 단부들이 용융되기 전에 가압될 수 있게 주형의 칫수가 정해지게 된다. 이 경우, 압력은 가해지는 하중과 주형의 칫수에 의해 결정되게 될 것이다. 핸드레일 부분들에 인접한 부분들이 냉각된 상태로 유지되어 용융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들에서는 주형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이음부의 형성 온도에서 증기 기포의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게 하도록 주형의 간극이 선택되게 된다.To this end, the dimensions of the mold are determined so that the TPU can be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interior of the mold before the ends of the hand rails are significantly inflated by thermal expansion. In particular, since only steam bubbles can be discharged from the melted thermoplastic plastics, sufficient pressure is generat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vapor bubbles during the entire period during which the handrail ends are melted, i.e., before the handrail ends are melted The dimensions of the mold ar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pressure will be determined by the load applied and the dimension of the mold. Since the portions adjacent to the handrail portions remain in a cooled state and are not melted, no pressure is applied to the molds at these portions. The gap of the mold is selected so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vapor bubbles at the forming temperature of the joint by the pressure thus generated.
그러면 과잉 물질이 존재하면 이 과잉 물질은 주형을 약간 개방시키게 된다. 즉, 중앙 성형부의 상,하측 부재(12a),(12b)들이 수직방향으로 약간 쉽게 이격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과잉물질이 홈(40')으로 흘러 나가게 될 것이다. 높은 압력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과잉 물질에 의해 핸드레일 단부들이 주형으로 부터 약간 밀려 나오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이에 의해서도 압력 감소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주 핸드레일 부와 홈(40)사이에는 압력강하 P가 있게 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는데, 이 압력강하 P는 물질의 흐름을, 주행의 두 부분사이에 형성되는 채널의 폭, 그리고 주형내의 주 공동과 홈(40)들간의 길이 L(도9 참조)와 함수관계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압력강하 P는 주형의 주 공동내의 압력과 대기압간의 차이가 될 것이다.If excess material is present, this excess material will open the mold slightly. That is, the upper and
그러나, 주형이 약간 개방되어 물질이 홈(40)으로 흐르게 되면 평면상에서 볼 때 용융 TPU의 압력이 작용하는 주형 면적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용융 TPU는 공동내에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홈(40)으로 연장되는 채널들을 형성하는 표면에 대해서도 작용하게 될 것이다. 하중이 일정하기 때문에 주형내의 평균 압력이 필연적으로 약간 감소하게 되지만, 이에 불구하고 압력은 수분이 증기 또는 증기 기포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여전히 충분하다.However, when the mold is slightly open and material flows into the
충분한 과잉 TPU가 홈(40)들로 외부로 흐르게 되면, 두 주형 부분들은 다시 폐쇄되어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공동내의 압력은 그 압력에 주형의 길이(용융물질에 의해 작용되는) 및 주형의 폭을 곱하여 얻은 값이 인가된 하중과 동일하게 될 수 있게 결정되게 될 것이다.When a sufficient excess TPU flows out into the
주형은 충분한 온도까지 가열되고, 이 상태로 양호한 조인트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유지된다. 이 과정의 말기에 맨드릴(18)용의 가열소자(20)들을 제외한 모든 가열소자들에 대한 전원공급을 중지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냉각수를 중앙 주형부의 상,하측 부재(12a),(12b)를 통해 흐르게 하여 조인트의 주위에 있는 물질들을 재응고시킨다. 이음 조인트가 완전히 냉각되면 냉각수의 공급을 중지시키고 주형을 개방한다. 필요시, 맨드릴(18)은 들어 내기 홈(36)을 사용하여 상측부재(12a)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The mold is heated to a sufficient temperature and is maintained for a period of time sufficient to provide a good joint in this state. At the end of this process, the power supply to all the heating elements except for the
TPU는 냉각됨에 따라 수축하고, 그 결과 압력이 대기압까지 감소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압력은 증기 기포의 형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다. 조인트가 충분히 냉각되면 모든 냉각수의 흐름을 중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아직까지 동작하고 있는 가열소자들에 대한 전원공급을 중지시키고, 그 뒤에 주형을 개방한다. 과잉물질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과잉물질을 칼을 사용하여 트리밍시키고, 핸드레일의 가장자리들을 신속하고도 간단히 깔금하게 다듬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핸드레일은 매끈하고 균일한 외관을 갖게 되며, 조인트들은 통상의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와이어들의 역어짐에 따라 핸드레일의 주 몸체에 상응하는 특성을 갖는 강한 조인트가 제공된다.The TPU shrinks as it cools, resulting in a pressure drop to atmospheric pressure. Overall, the pressure is sufficient to prevent the formation of vapor bubbles. When the joint is sufficiently cooled, the flow of all cooling water is stopped, in this state the power supply to the heating elements still operating is stopped, and the mold is opened after this. If excess material is present, the surplus material can be trimmed using a knife and the edges of the handrail can be trimmed quickly and simply, thus giving the handrail a smooth, uniform appearance, The normal user can not visually confirm it. Strong joints with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of the handrail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reversal of the wires.
또한, 이음부의 형성중에 온도가 여러 열가소성 층들의 양호한 일체화를 보장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게 유지되고, 이에 따라 열가소성 층들은 이음부를 통해 서로 완전히 병합되게 된다.Also, during formation of the joints,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high enough to ensure good integration of the various thermoplastic layers, so that the thermoplastic layers are completely merged together through the joints.
핸드레일 물질로서 적합한 것으로는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물질은 와이어에 잘 접착되고, 내구성 및 마모저항성이 있고, 양호한 찢김저항과 슬라이더 직물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양호한 광택마감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가열될 시 상당히 팽창하는 성질이 있다. 이 때문에, 주형을 소정 정도만큼 오버사이즈화시킨 상태로 제조한다. 이 오버사이즈화는 주형의 전 길이에 걸쳐 이루어지는데, 실험결과 이와 같이 하는 경우 만족된 결과가 얻어졌다. 바람직하게 오버사이즈화에는 하한이 주어진다. 이음부의 마무리를 균일화시키기 위해 주형의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한 사이즈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이음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 이음부의 길이를 따라 정확히 측정해보면 수 수천분의 1정도의 칫수변화가 있는 것이 사실이나, 이러한 칫수 변화는 수 인치정도의 거리에 걸쳐서만 발생되고, 그 결과 통상의 사용자의 눈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 조인트의 열팽창이 크게 되면 될수록 냉각시 조인트의 수축도 그 만큼 크게 된다. 그 결과, 조인트 면적이 주 핸드레일 부분보다 약간 작아지게 되나 통상의 사용자가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의 매끈하게 테이퍼진 부분들에 의해 주 핸드레일 몸체에 결합되게 된다.Suitable as a handrail material are polyurethane thermoplastic elastomers which are well adhered to the wire, have good dur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good tear resistance and good adhesion to the slider fabric, . However, thermoplastic polyurethanes tend to expand considerably when heated. For this reason, the mold is manufactured in a state of being oversized to a predetermined degree. This oversize is done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mold, an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Preferably, a lower limit is given to oversize. If a uniform size is provid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mold to homogenize the finishing of the joint, the joints can not be visually confirmed. Accurate measurements along the length of the joints show that there are dimensional variations of the order of a few thousandths, but such dimensional changes occur only over a distance of a few inches and as a result can not be confirmed by the normal user's eyes . The large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joint, the greater the shrinkage of the joint during cooling. As a result, the joint area becomes slightly smaller than the portion of the main handrail, but is joined to the main handrail body by smoothly tapered portions that are not readily visible to the ordinary user.
조인트에 대한 엮음 패턴을 형성할 시 그 패턴의 다른 부분들을 상당히 정확히 절단하여 존재하는 물질의 양과 조인트를 재 마감하는데 요구되는 물질의 양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일 주형의 가장자리를 통해 상당한 양이 흘러 나올 정도로 너무 많은 양의 물질이 존재하게 되면 측방 흐름에 의해 와이어 단부들이 측방으로 변위되게 된다. 그 결과, 와이어 단부들이 변위되어 조인트들이 뒤틀리게 됨에 따라 조인트의 기계적인 성질에 나쁜 영향이 미치게 된다. 이상적인 경우는 과잉물질의 흐름을 최소화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와이어 단부가 거의 이동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고, 와이어 단부들도 서로 정렬된 상태로 그리고 요구되는 배열상태로 유지되어 강한 조인트를 제공하게 된다.It is important to cut the other parts of the pattern considerably precisely when forming a woven pattern for the joint so that the amount of material present and the amount of material required to refast the joint are the same. If too much material is present to such an extent that a significant amount flows through the edge of the mold, the wire ends are laterally displaced by the lateral flow. As a result, as the wire ends are displaced and the joints are twis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joints are adversely affected. The ideal case is to minimize the flow of excess material, in which case the wire ends remain substantially stationary and the wire ends remain aligned and in the required alignment to provide strong joints do.
슬라이더 직물(130)에 완전히 정방형의 절단면을 형성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경사 절단면(134) 또는 슬라이더 직물에 다른 형태의 절단면을 제공하고 있다. 경사 절단면을 제공함으로써 조인트는 보다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고 사용 중 손상을 받을 염려가 완화된다. 또한, 이에 따라 슬라이더 직물(130)내에서 인장하중이 조인트를 교차하여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만일 정방형 조인트 또는 맞대기 조인트를 직물(130)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일례로 핸드레일이 소정의 구동 조립체에서 뒤로 굽혀지게 되는 경우 인장하중에 의해 조인트가 개방되게 될 것이다. 직물용의 새들에 의해 조인트가 보강되고 인장하중의 전달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The sloped
지금까지 핸드레일에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되고 일정한 단면형상을 갖는 여하한 물품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례로, 본 발명은 종종 핸드레일과 여러 가지 면에서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에 적용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컨베이어 벨트는 그에 요구되는 강도와 탄성을 제공하는 보강와이어 또는 다른 신장억제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 벨트는 종종 일 측면에 직물층이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컨베이어 벨트는 단순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의 전체 깊이를 통해 엮음 패턴을 형성하고 이것을 적당한 주형내에서 조립하는 작업은 간단히 이룰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handrail,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ny article formed of a thermoplastic material and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often applicable to conveyor belts having similar properties in many ways to handrails. Typically, the conveyor belt includes a reinforcement wire or other extension restraining member that provides the strength and elasticity required thereof. Conveyor belts can often be glued on one side of the fabric layer. Typically, the conveyor belt has a simple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thus the work of forming a woven pattern through the full depth of the conveyor belt and assembling it in a suitable mold can be achieved simply.
도12는 일 개시에 의한 분리된 핸드레일을 접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joining separated hand rai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개시에 의하여 S301에서는,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된 제 1 핸드레일의 커버의 옆면을 10~20mm 깊이로 제 1 핸드레일의 단부에서부터 275mm되는 지점까지 절단하고, 절단된 제 1 핸드레일의 커버를 말아올리는 제 1 핸드레일 커버 분리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In S301,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formed of a thermoplastic material is cut to a depth of 10 to 20 mm from the end of the first handrail to a point of 275 mm, and the cover of the cut first handrail is rolled up The first handrail cover removing process can be provided.
일 개시에 의하여 S302에서는,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아래에 설치된 20개의 서브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세트를 분하기 위하여, 와이어세트의 옆면을 1mm깊이로 단부에서부터 270mm되는 지점까지 절단하고, 절단된 와이어세트를 커버위로 말아올리는 와이어세트 분리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In S302, the side of the wire set was cut to 1 mm depth from the end to a position of 270 mm in order to divide the wire set consisting of 20 subwires installed under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Can be provided on the cover.
일 개시에 의하여 S303에서는, 분리된 와이어세트를 원위치로 되돌리고, 와이어세트에 포함된 20개의 서브와이어 중 한 쌍의 제 1 서브와이어세트를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250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한 쌍의 제 1 서브와이어세트 옆에 위치한 한 쌍의 제 2 서브와이어세트를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188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한 쌍의 제 2 서브와이어세트 옆에 위치한 한 쌍의 제 3 서브와이어세트를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125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나머지 서브와이어세트를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125mm보다 짧은 지점까지 절단하여 탑 형상으로 와이어 세트를 절단하고, 탑 형상으로 절단된 와이어 세트를 커버위로 말아올리는 서브 와이어 분리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303, the set of separated wires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a set of the first sub-wires of the 20 sub-wires included in the wire set is cut to a point 250 mm from the end of the set of wires. A pair of second sub-wires located next to the first sub-wire set is cut to a point 188 mm from the end of the wire set, and a pair of third sub-wires set next to the pair of second sub- Cutting the wire set to a point of 125 mm from the end of the set and cutting the wire set to a top shape by cutting the remaining set of sub wires to a point shorter than 125 mm from the end of the wire set, A wire separation process can be provided.
일 개시에 의하여 S304에서는, 분리된 와이어 하단에 위치한 슬라이더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 떨어진 지점을 따라서 절단하여 슬라이더를 고무보호대로부터 분리하고, 슬라이더의 단부로부터 125mm의 지점까지 절단하여 제거하는 슬라이더 분리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At step S304, the slider is cut alo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edges of the slid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ed wire to separate the slider from the rubber protector, and the slider is cut and removed from the end of the slider to a point of 125 mm. Can be provided.
일 개시에 의하여 S305에서는,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된 제 2 핸드레일의 커버를 분리하고, 와이어세트를 분리하고, 서브 와이어를 역탑 형상으로 분리하고, 슬라이더를 분리하여 제 1 핸드레일과 맞닿게 결합하는 제 2 핸드레일 결합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In operation S305, a cover for a second handrail formed of a thermoplastic material is separated, a wire set is separated, a subwire is separated into a reverse-tower shape, and a slider is detach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handrail 2 handrail bonding process.
일 개시에 의하여 S306에서는, 제 2 핸드레일과 제 1 핸드레일이 맞닿은 부분을 중앙 성형부를 이용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을 이루는 열가소성 물질이 녹아 머쉬룸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하며, 머쉬룸 조인트가 2~3mm 형성되는 경우 중앙 성형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웰딩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In S306,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handrail and the first handrail abut each other is heated using the central forming portion so that the thermoplas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melts to form a mushroom joint And can provide a welding proces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forming part when the mushroom joint is formed to 2 to 3 mm.
일 개시에 의하여 S307에서는, 웰딩 공정을 거쳐 결합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을 냉각시키는 냉각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In S307, the cooling process for cooling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combined through the welding process can be provided.
일 개시에 의하여 S308에서는, 제 1 핸드레일의 탑 형상의 와이어세트를 제 1 핸들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에 걸쳐 위치하게 하고, 제 2 핸드레일의 역탑 형상의 와이어세트를 제 2 핸드레일 및 제 1 핸드레일에 걸쳐 위치하게 함으로써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가 서로 맞닿게 하는 와이어 결합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308, the wire set of the top shape of the first handrail is placed over the first handle rail and the second handrail, One wire of the first hand rail and the second set of wires of the second hand rail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일 개시에 의하여 S309에서는, 결합된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의 하단부에 300℃의 열을 가함과 동시에, 열이 가해진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를 롤러로 롤링하여 슬라이더에 결합되도록 하는 와이어 웰딩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At step S309, the wire set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wire set of the second handrail are heated to 300 占 폚, and at the same time, the wire set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 welding process in which a wire set of a rail is rolled by a roller so as to be coupled to the slider.
일 개시에 의하여 S310에서는, 결합된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상에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및 제 2 핸드레일의 커버를 덮은 다음,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및 제 2 핸드레일의 커버의 소재에 따른 용융점 이상의 온도를 가함으로써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및 제 2 핸드레일의 커버를 융합시켜 결합시킨 후, 용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시킴으로써 커버 조인트를 형성하는 커버 웰딩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At S310,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cover of the second handrail are covered on the wire set of the combined first handrail and the set of wires of the second handrail, and then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cover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cover of the second handrail are fused to each other by applying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over of the second handrail and then cooled at a temperature below the melting point, Process can be provided.
일 개시에 의하여 S311에서는, 커버 조인트가 형성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의 하단부에 형성된 머쉬룸 조인트를 제거하고, 머쉬룸 조인트가 제거된 부분에 300~350℃ 의 열을 1분간 가함으로서 머쉬룸 조인트가 제거된 부분을 용융시켜 재결합시키는 머쉬룸 조인트 제거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In operation S311, the first handrail formed with the cover joint and the mushroom join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andrail are removed, and a heat of 300 to 350 DEG C is applied to the portion where the mushroom joint is removed for one minute, And removing the removed portion of the mushroom joint by melting and recombining the mushroom joint.
일 개시에 의하여 S312에서는, 결합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을 몰딩하는 몰딩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At step S312,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may be combined to provide a molding process.
일 개시에 의하여 몰딩 공정(S312)은, 결합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을 폐쇄 상태에서 210 내지 320의 온도 조건에서 200 bar로 가압하여 몰딩할 수 있다.The molding process S312 may be performed by pressurizing the combined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200 bar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210 to 320 in a closed state.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은, 상온에서 재 가공될 수 있는 열가소성 탄소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져있다.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by virtue of the initiation, consist of a thermoplastic carbon polymer composition that can be remoulded at ambient temperature.
또한, 열가소성 탄소중합체 조성물은 (A) 20 내지 40 중량%의 스티렌계 비가교결합 탄성중합체, 10 내지 30%의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및 50 내지 70 중량%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유기 중합체, (B) (B1) (B1a) 분자당 평균 2개 이상의 알케닐 기를 갖는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검 및 (B1b)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검 (B1a)를 기준으로 55 내지 61 중량%의 실리카를 포함하는 실리콘 베이스, 및 (B2) 분자당 평균 2개 이상의 규소-결합된 수소 기를 함유하는 유기하이드리도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리콘 조성물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열가소성 유기 중합체 (A) 대 실리콘 조성물 (B)의 중량비는 62:38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carbon polymer composition also includes (A) a thermoplastic organic polymer comprising 20 to 40 wt% of a styrenic non-crosslinkable elastomer, 10 to 30% of an acrylic styrene copolymer and 50 to 70 wt% of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B1) (B1a) a diorganopolysiloxane gum having an average of at least two alkenyl groups per molecule, and (B1b) a silicone comprising 55 to 61% by weight silica based on the diorganopolysiloxane gum (B1a) Base and (B2) an organohydridosilicon compound containing at least two silicon-bonded hydrogen groups on average on average per molecule, wherein the thermoplastic organic polymer (A) to the silicone composition (B) And the weight ratio is 62:38.
또한, 머쉬룸 조인트 제거 공정 이후, 새들 부재를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의 하단부의 중앙에서부터 가장자리쪽으로 부착함으로써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새들 부착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fter the process of removing the mushroom joi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ddle attaching process for increasing the engaging force between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by attaching the saddle member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f the lower ends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have
또한, 몰딩 공정 이후, 결합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에 10~15분 동안 120~150℃의 온도를 유지시킨 후, 5~6분 동안 20~24℃의 온도를 유지시킨 다음 17~25분 동안 170~190℃의 온도를 유지하여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이 녹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핸드레일 결합 시험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핸들레일이 녹았다면 불량으로 판단하여 다시 몰딩을 실시하도록 한다. After the molding process, the bonded first and second hand rails ar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120 to 150 ° C for 10 to 15 minute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20 to 24 ° C for 5 to 6 minutes, A temperature of 170 to 190 DEG C is maintained for about 25 minutes to confirm whether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have melted or not. If the handle rail is melted, it is judged to be defective and the molding is performed again.
일 개시에 의하여 실리카는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검 (B1a)를 기준으로 22 내지 28 중량%로 존재하고, 열가소성 우레탄 중합체 (A) 대 실리콘 조성물 (B)의 중량비는 78:22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silica is present in an amount of 22 to 28% by weight based on the diorganopolysiloxane gum (B1a) and the weight ratio of the thermoplastic urethane polymer (A) to the silicone composition (B) is 78:22 have.
도13 은 일 개시에 의한 분리된 서브 와이어가 탑 형상으로 절단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howing that the separated subwir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cut into a top shape. FIG.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핸드레일은 서브와이어는 탑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다. 이는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와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가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홈을 내는 것이다.By virtue of the initiation of the first handrail, the subwires can be cut into a top shape. This is to groov so that the wires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wires of the second handrail can more effectively engage.
와이어세트에 포함된 20개의 서브와이어 중 한 쌍의 제 1 서브와이어세트(1300)를 와이어세트의 단부(1305)로부터 250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한 쌍의 제 1 서브와이어세트(1300) 옆에 위치한 한 쌍의 제 2 서브와이어세트(1301)를 와이어세트의 단부(1305)로부터 188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한 쌍의 제 2 서브와이어세트(1301) 옆에 위치한 한 쌍의 제 3 서브와이어세트(1302)를 와이어세트의 단부(1305)로부터 125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나머지 서브와이어세트(1303)를 와이어세트의 단부(1305)로부터 125mm보다 짧은 지점까지 절단하여 탑 형상으로 와이어 세트를 절단할 수 있다. 이때 남은 4개의 서브와이어세트(1304)만이 원래의 길이를 유지한다. A pair of
도 14는 일 개시에 의한 제 1 핸드레일의 서브와이어와 제 2 핸드레일의 서브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b wire of the first hand rail and a sub wire of the second hand rail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이때, 제 1 핸드레일의 탑 형상으로 절단된 서브와이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 2 핸드레일에 포함된 20개의 서브와이어를 절단하되, 제 1 핸드레일의 서브와이어와 제 2 핸드레일의 서브와이어가 겹쳐지지 않도록 제 2 핸드레일의 서브와이어를 1mm 더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wenty subwires included in the second handrail are cut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ubwires cut into the top shape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subwires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subwires of the second handrail And further cut 1 mm of the sub wire of the second handrail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즉,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세(1401)트와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세(1402)트가 겹쳐짐으로써 매끄럽지 않게 결합되고, 부분적인 겹침이 발생하여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지않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at is, since the
이때,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세(1401)트와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세(1402)트 사이의 1mm의 간격은 와이어세트에 열을 가하고 롤링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접합 될 수 있다.At this time, a distance of 1 mm between the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above-mentioned patent claims.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공정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공정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공정은 상술한 바와 다른 공정과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공정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공정이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정이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system, although the method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flowchart as a series of processes or block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processes, and some processes may occur in different orders or simultaneously .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es shown in the flowcharts are not exclusive and that other processes may be included or that one or more processes in the flowchart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된 제 1 핸드레일의 커버의 옆면을 10~20mm 깊이로 상기 제 1 핸드레일의 단부에서부터 275mm되는 지점까지 절단하고, 절단된 제 1 핸드레일의 커버를 말아올리는 제 1 핸드레일 커버 분리 공정;
상기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아래에 설치된 20개의 서브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세트를 분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세트의 옆면을 1mm깊이로 상기 단부에서부터 270mm되는 지점까지 절단하고, 절단된 와이어세트를 상기 커버위로 말아올리는 와이어세트 분리 공정;
상기 분리된 와이어세트를 원위치로 되돌리고, 상기 와이어세트에 포함된 20개의 서브와이어 중 한 쌍의 제 1 서브와이어세트를 상기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250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상기 한 쌍의 제 1 서브와이어세트 옆에 위치한 한 쌍의 제 2 서브와이어세트를 상기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188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상기 한 쌍의 제 2 서브와이어세트 옆에 위치한 한 쌍의 제 3 서브와이어세트를 상기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125mm의 지점까지 절단하고, 나머지 서브와이어세트를 상기 와이어세트의 단부로부터 125mm보다 짧은 지점까지 절단하여 탑 형상으로 와이어 세트를 절단하고, 상기 탑 형상으로 절단된 와이어 세트를 상기 커버위로 말아올리는 서브 와이어 분리 공정;
상기 분리된 와이어 하단에 위치한 슬라이더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 떨어진 지점을 따라서 절단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고무보호대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로부터 125mm의 지점까지 절단하여 제거하는 슬라이더 분리 공정;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된 제 2 핸드레일의 커버를 분리하고, 와이어세트를 분리하고, 서브 와이어를 역탑 형상으로 분리하고, 슬라이더를 분리하여 상기 제 1 핸드레일과 맞닿게 결합하는 제 2 핸드레일 결합 공정;
상기 제 2 핸드레일과 상기 제 1 핸드레일이 맞닿은 부분을 중앙 성형부를 이용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을 이루는 열가소성 물질이 녹아 머쉬룸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머쉬룸 조인트가 2~3mm 형성되는 경우 중앙 성형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웰딩 공정;
상기 웰딩 공정을 거쳐 결합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을 냉각시키는 냉각 공정;
상기 제 1 핸드레일의 탑 형상의 와이어세트를 제 1 핸들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에 걸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제 2 핸드레일의 역탑 형상의 와이어세트를 제 2 핸드레일 및 제 1 핸드레일에 걸쳐 위치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가 서로 맞닿게 하는 와이어 결합 공정;
상기 결합된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의 하단부에 300℃의 열을 가함과 동시에, 열이 가해진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를 롤러로 롤링하여 슬라이더에 결합되도록 하는 와이어 웰딩 공정;
상기 결합된 제 1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및 제 2 핸드레일의 와이어 세트 상에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및 제 2 핸드레일의 커버를 덮은 다음, 상기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및 제 2 핸드레일의 커버의 소재에 따른 용융점 이상의 온도를 가함으로써 상기 제 1 핸드레일의 커버 및 제 2 핸드레일의 커버를 융합시켜 결합시킨 후, 용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냉각시킴으로써 커버 조인트를 형성하는 커버 웰딩 공정;
상기 커버 조인트가 형성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의 하단부에 형성된 머쉬룸 조인트를 제거하고, 상기 머쉬룸 조인트가 제거된 부분에 300~350℃ 의 열을 1분간 가함으로서 머쉬룸 조인트가 제거된 부분을 용융시켜 재결합시키는 머쉬룸 조인트 제거 공정;및
상기 결합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을 몰딩하는 몰딩 공정;을 포함하는, 분리된 핸드레일을 접합하는 공정.In the step of joining the separate handrail,
A first handrail cover separating the side of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formed of a thermoplastic material to a depth of 10 to 20 mm from the end of the first handrail to a point of 275 mm and winding the cover of the cut first handrail fair;
The side of the wire set is cut to a depth of 1 mm from the end to a point of 270 mm so as to divide the wire set consisting of 20 subwires provided under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A scraping wire set separation process;
Returning the separated wire set to its original position, cutting a pair of first sub-wires of the twenty sub-wires included in the wire set to a point of 250 mm from the end of the wire set, A pair of second sub-wires located next to the wire set is cut to a point 188 mm from the end of the wire set and a pair of third sub-wires set next to the pair of second sub- Cutting the wire set to a point of 125 mm from the end of the set and cutting the remaining set of sub wires to a point shorter than 125 mm from the end of the wire set to cut the wire set into a top shape, A subwire separation process for scraping;
A slider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slider from the rubber protector by cutting alo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edges of the slid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ed wire, and cutting the slider to a point of 125 mm from the end of the slider;
A second handrail joining step of separating the cover of the second handrail formed of a thermoplastic material, separating the wire set, separating the subwires into a reverse-tower shape, separating the slider and engaging the slider with the first handrail;
A portion of the second handrail and the first handrail abutted against each other is heated using a central forming portion so that the thermoplas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melts to form a mushroom joint, A welding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enter forming part when the thickness is 2 to 3 mm;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coupled through the welding process;
The wire set of the top shape of the first handrail is placed over the first handle rail and the second handrail and the wire set in the shape of the inverted tower of the second handrail is passed over the second handrail and the first handrail The wire set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t of wires of the second handrail abut each other;
The wire set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wire set of the second handrail are heated by applying heat of 300 DEG C to the wire set of the combined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To a slider;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cover of the second handrail are covered on the set of wires of the combined first handrail and the set of wires of the second handrail and then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cover of the second handrail A cover welding step of forming a cover joint by fusing the cover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cover of the second handrail by applying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over and then cooling at a temperature below the melting point;
The mast join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having the cover joint formed thereon is removed and a portion of the mast joint is removed by applying a heat of 300 to 350 DEG C for 1 minute to the portion where the mast joint is removed A mushroom joint removing process for melting and recombining;
And a molding process for molding the combined first and second hand rails.
상기 몰딩 공정은,
상기 결합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을 폐쇄 상태에서 210 내지 320의 온도 조건에서 200 bar로 가압하여 몰딩하는, 분리된 핸드레일을 접합하는 공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olding step,
And joining the separated hand rails, wherein the combined first and second hand rails are pressurized to 200 bar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210 to 320 in a closed state.
상기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은, 상온에서 재 가공될 수 있는 열가소성 탄소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져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탄소중합체 조성물을,
(A) 20 내지 40 중량%의 스티렌계 비가교결합 탄성중합체, 10 내지 30중량%의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및 50 내지 70 중량%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유기 중합체, (B) (B1) (B1a) 분자당 평균 2개 이상의 알케닐 기를 갖는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검 및 (B1b) 상기 다이오르가노폴리실록산 검 (B1a)를 기준으로 55 내지 61 중량%의 실리카를 포함하는 실리콘 베이스, 및 (B2) 분자당 평균 2개 이상의 규소-결합된 수소 기를 함유하는 유기하이드리도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리콘 조성물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유기 중합체 (A) 대 상기 실리콘 조성물 (B)의 중량비는 62: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핸드레일을 접합하는 공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are made of a thermoplastic carbon polymer composition that can be remoulded at room temperature,
The thermoplastic carbon polymer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B) a thermoplastic organic polymer comprising 20 to 40% by weight of a styrene-based non-crosslinked elastomer, 10 to 30% by weight of an acrylic styrene copolymer and 50 to 70%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B1a) a diorganopolysiloxane gum having an average of at least two alkenyl groups per molecule, and (B1b) a silicone base comprising 55 to 61% by weight of silica, based on the diorganopolysiloxane gum (B1a) ) A silicone composition comprising an organohydridosilicon compound containing an average of at least two silicon-bonded hydrogen groups per molecule, wherein the weight ratio of said thermoplastic organic polymer (A) to said silicone composition (B) is 62 : 38. A process for joining a separate handrail.
상기 머쉬룸 조인트 제거 공정 이후, 새들 부재를 상기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의 하단부의 중앙에서부터 가장자리쪽으로 부착함으로써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새들 부착 공정;을 더 포함하는, 분리된 핸드레일을 접합하는 공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addle attaching step of attaching the saddle member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edge of the second handrail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after the process of removing the mushroom joint A step of joining a separate handrail.
상기 몰딩 공정 이후, 상기 결합된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에 10~15분 동안 120~150℃의 온도를 유지시킨 후, 5~6분 동안 20~24℃의 온도를 유지시킨 다음 17~25분 동안 170~190℃의 온도를 유지하여 상기 제 1 핸드레일 및 제 2 핸드레일이 녹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핸드레일 결합 시험 공정;을 더 포함하는, 분리된 핸드레일을 접합하는 공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molding process, the combined first and second hand rails ar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120 to 150 ° C for 10 to 15 minute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20 to 24 ° C for 5 to 6 minutes, And a handrail bonding test step of maintaining a temperature of 170 to 190 DEG C for about 25 minutes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have melted.
제 2 핸드레일 결합 공정은,
상기 제 1 핸드레일의 탑 형상으로 절단된 서브와이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 2 핸드레일에 포함된 20개의 서브와이어를 절단하되, 상기 제 1 핸드레일의 서브와이어와 제 2 핸드레일의 서브와이어가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제 2 핸드레일의 서브와이어를 1mm 더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핸드레일을 접합하는 공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cond handrail coupling process,
The subwires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subwires of the second handrail are cut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ubwires cut in the shape of the top of the first handrail, Further cutting 1 mm of the sub wire of the second hand rail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7563A KR101954843B1 (en) | 2018-01-22 | 2018-01-22 | Process for joining separated hand rai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7563A KR101954843B1 (en) | 2018-01-22 | 2018-01-22 | Process for joining separated hand rail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4843B1 true KR101954843B1 (en) | 2019-03-06 |
Family
ID=6576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7563A Active KR101954843B1 (en) | 2018-01-22 | 2018-01-22 | Process for joining separated hand rai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484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5430A (en) * | 1996-04-05 | 2000-01-25 | 볼 로날드 에이치.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plicing thermoplastic articles. |
KR101309234B1 (en) | 2012-01-27 | 2013-09-16 | (주)대양커뮤니케이션 | The handrail connecting device for beach deck |
KR20160147961A (en) * | 2014-05-30 | 2016-12-23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ndless handrail manufacturing method, endless handrail and escalator |
JP2017078131A (en) * | 2015-10-21 | 2017-04-27 | 東ソー株式会社 |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
-
2018
- 2018-01-22 KR KR1020180007563A patent/KR10195484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5430A (en) * | 1996-04-05 | 2000-01-25 | 볼 로날드 에이치.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plicing thermoplastic articles. |
KR100449459B1 (en) * | 1996-04-05 | 2004-12-14 | 로날드 에이치. 볼 | Joi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oplastic articles |
KR101309234B1 (en) | 2012-01-27 | 2013-09-16 | (주)대양커뮤니케이션 | The handrail connecting device for beach deck |
KR20160147961A (en) * | 2014-05-30 | 2016-12-23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ndless handrail manufacturing method, endless handrail and escalator |
JP2017078131A (en) * | 2015-10-21 | 2017-04-27 | 東ソー株式会社 |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49459B1 (en) | Joi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oplastic articles | |
US10967590B2 (en) | Tire | |
KR101862969B1 (en) | Endless handrail manufacturing method, endless handrail and escalator | |
JP6002241B2 (en) |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open-end thermoplastic belt material | |
EP2800647B1 (en) | Injection mould for wire saw, method to produce a wire saw and the wire saw resulting therefrom | |
JP5060948B2 (en) | Flat belt for elevator installation with reinforcement | |
US8038818B2 (en) | Connection method of thermoplastic resin long body | |
CN106426950B (en) | A kind of method of conveyer belt blind joint | |
KR101739665B1 (en) | Moving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moving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 |
US7200915B2 (en) | Method for continuously joining a handrail for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 |
KR101954843B1 (en) | Process for joining separated hand rails | |
JPWO2002032640A1 (en) | Rubber crawler manufacturing method | |
JP4463052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moving handrail | |
KR102089492B1 (en) | Process for joining handrail without disassembling escalator | |
CA3099467C (en) | Moving handrail manufacturing method | |
JP2004250154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moving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 |
JP4647423B2 (en) | Heating and pressing device for moving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and its connection method | |
CA2251040C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plicing thermoplastic articles | |
JP2000351570A (en) | Pre-forming apparatus and pre-forming method for passenger conveyor moving handrail | |
ITMI20011498A1 (en) | ASSEMBLY PROCEDURE FOR PULTRUDED PROFILES, IN PARTICULAR FOR THE PRODUCTION OF GRATINGS AND SIMILAR | |
JP2004108579A (en) | Joining method of toothed belt | |
JPH09123189A (en) | Manufacture of fiber-reinforced foamed resin mo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9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