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795B1 - Exhibition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Exhibition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4795B1 KR101954795B1 KR1020160153867A KR20160153867A KR101954795B1 KR 101954795 B1 KR101954795 B1 KR 101954795B1 KR 1020160153867 A KR1020160153867 A KR 1020160153867A KR 20160153867 A KR20160153867 A KR 20160153867A KR 101954795 B1 KR101954795 B1 KR 1019547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quipment
- exhibition
- module
- smart device
- insp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04M1/72519—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시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전시 장비마다 센서부와 컨트롤러, 및 스마트기기의 장비 점검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무선통신부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장비 목록 모듈로 장비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특정 장비로 장비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되며, 장비 점검 모듈로 장비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한 장비를 해당 장비의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단계별 점검 메뉴얼에 따라 해당 장비를 동작시키며, 장비의 특정 동작을 센서부에서 센싱하여 컨트롤러에서 센싱값으로 점검 메뉴얼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작동 또는 오작동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전시 장비별 다른 설계 및 기능에도 단계적으로 메뉴얼된 개별적 점검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전시 장비의 에러 시 어느 부분(기능)의 문제인지 알 수 있어 대처가 수월하고, 전시 장비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다수의 전시 장비를 통합관리하여 운영을 원활하게 하는 전시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시 장비의 동작 상태를 특정 상황에 부합하도록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 전시 장비마다 전시 장비의 인근에 개별 설치되어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전시 장비의 동작에 따른 센싱 값을 수신받아 작동 또는 오작동을 판별하는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구동되면, 근접하여 무선통신할 수 있는 전시 장비의 목록과 해당 전시 장비에 따른 단계별 점검 메뉴얼이 노출되고, 점검 메뉴얼에 따른 모션의 수행으로 전시 장비의 컨트롤러가 작동 또는 오작동을 판별하며,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오작동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무선통신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management system.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sensor unit, the controller, and the equipment check module of the smart device for each exhibition equipment, a list of equipment is displayed by the equipment list module of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t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The equipment connected through the equipment connection module through the equipment check module can perform the inspection according to the inspection manual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operates the correspond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step-by-step inspection manual, Is sensed by the sensor part and checked by the controller with the sensing value, so that it can be discriminated by operation or malfunction depending on whether it is matched or not, so that individual manual inspections can be carried out step by step to other designs and functions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part (function) is the problem in case of error of display equipment The cope and easier, and increase the life of the display device, to a system that exhibits managed by integrated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facilitate the opera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nsor unit for sensing an operating state of a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situation; A controller separately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exhibition equipment for each exhibition equipment, receiving a sensing val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hibition equipment, and discriminating the operation or malfunction;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activated, a list of exhibition equipmen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close proximity and a step-by-step inspection manual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equipment are exposed, and the controller of the exhibition equipment determines operation or malfunction by performing motion according to the inspection manual A smart device for displaying a malfunction part on a screen;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 the smart device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시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전시 장비마다 센서부와 컨트롤러, 및 스마트기기의 장비 점검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무선통신부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장비 목록 모듈로 장비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특정 장비로 장비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되며, 장비 점검 모듈로 장비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한 장비를 해당 장비의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단계별 점검 메뉴얼에 따라 해당 장비를 동작시키며, 장비의 특정 동작을 센서부에서 센싱하여 컨트롤러에서 센싱값으로 점검 메뉴얼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작동 또는 오작동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전시 장비별 다른 설계 및 기능에도 단계적으로 메뉴얼된 개별적 점검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전시 장비의 에러 시 어느 부분(기능)의 문제인지 알 수 있어 대처가 수월하고, 전시 장비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다수의 전시 장비를 통합관리하여 운영을 원활하게 하는 전시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management system.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sensor unit, the controller, and the equipment check module of the smart device for each exhibition equipment, a list of equipment is displayed by the equipment list module of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t i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The equipment connected through the equipment connection module through the equipment check module can perform the inspection according to the inspection manual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operates the correspond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step-by-step inspection manual, Is sensed by the sensor part and checked by the controller with the sensing value, so that it can be discriminated by operation or malfunction depending on whether it is matched or not, so that individual manual inspections can be carried out step by step to other designs and functions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part (function) is the problem in case of error of display equipment The cope and easier, and increase the life of the display device, to a system that exhibits managed by integrated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facilitate the operation.
과학관, 박물관 등을 포함하는 전시관에서는 급속히 변화하는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전시 장비 형태 또한 단순 관람형 전시에서 다각의 차별화된 체험형 전시 기법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In the exhibition hall including the museum and the science museum, the exhibition equipment type is rapidly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rapidly changing technology, and also the exhibition technique of the different types of exhibition from the simple viewing exhibition.
전시 장비이 체험형 전시 기법으로 변화함에 따라 전시 장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다양화, 세분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As the exhibition equipment is changed to the experiential exhibition technique, the controllers that control the exhibition equipment are diversified and becoming more and more subdivided.
또한, 각 전시 장비에 대해 전시 장비이 제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manage whether or not the exhibition equipment performs its functions for each exhibition equipment.
하지만, 전시 장비 구축 시 각 전시 장비별 다른 기능과 설계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의 개별적 제어를 시행해야하기에 전시 장비의 에러 시 대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결국 전시 장비 컨트롤러의 소손 및 제어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 됨에 따라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However, when constructing the exhibition equipment, it is necessary to perform different control according to different functions and designs according to each exhibition equipment, so that it is often difficult to cope with errors in the exhibition equipment, and eventually, The uncontrollable condition can lead to operational difficulties.
선행기술문헌 :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9913호(2011.11.3 공개)Prior Art Document 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0119913 (published on November 3, 20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상이한 작동을 하는 각 전시 장비의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전시 장비의 동작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전시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hecking an operation stat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inspection manual of each display device that performs different operatio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관리 시스템은 전시 장비의 동작 상태를 특정 상황에 부합하도록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 전시 장비마다 전시 장비의 인근에 개별 설치되어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전시 장비의 동작에 따른 센싱 값을 수신받아 작동 또는 오작동을 판별하는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구동되면, 근접하여 무선통신할 수 있는 전시 장비의 목록과 해당 전시 장비에 따른 단계별 점검 메뉴얼이 노출되고, 점검 메뉴얼에 따른 모션의 수행으로 전시 장비의 컨트롤러가 작동 또는 오작동을 판별하며,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오작동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an operation state of a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situation; A controller separately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exhibition equipment for each exhibition equipment, receiving a sensing val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hibition equipment, and discriminating the operation or malfunction;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activated, a list of exhibition equipmen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close proximity and a step-by-step inspection manual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equipment are exposed, and the controller of the exhibition equipment determines operation or malfunction by performing motion according to the inspection manual A smart device for displaying a malfunction part on a scree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lay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so as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smart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스마트기기는 스마트기기와 전시 장비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 전시 장비의 목록을 출력하는 장비 목록 모듈, 장비 목록 모듈에 있는 전시 장비의 목록 중 특정 전시 장비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 접속 모듈, 전시 장비의 점검을 위해 기 저장된 단계별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전시 장비가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장비 점검 모듈, 및 장비 점검 모듈로 점검된 전시 장비 정상 작동 여부를 출력하는 점검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device includes a device list module for outputting a list of exhibition devic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smart device and an exhibition device, a device connection module for connecting to a specific exhibition device from a list of exhibition devices in the device list module , An equipment check module for checking whether the exhibition equipment is operating normally according to the pre-stored step-by-step check manual for checking the exhibition equipment, and an inspection check module for outputting whether the exhibition equipment is normally operated or not can do.
또한, 전시 장비와 스마트기기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일 경우, 무선통신부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장비 목록 모듈로 장비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특정 장비로 장비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되며, 장비 점검 모듈로 장비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한 장비를 해당 장비의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단계별 점검 메뉴얼에 따라 해당 장비를 동작시키며, 장비의 특정 동작을 센서부에서 센싱하여 컨트롤러에서 센싱값으로 점검 메뉴얼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정상 작동 또는 오작동으로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스마트기기로 전송하여 스마트기기의 점검 확인 모듈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xhibition device and the smart devi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evice list is displayed by the device list module of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specific device through the device connection module. The equipment connected through the module can be inspected according to the inspection manual of the equipment, the equipmen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tep-by-step inspection manual,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equipment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can be confirmed by the check confirmation module of the smart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전시 장비마다 센서부와 컨트롤러, 및 스마트기기의 장비 점검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무선통신부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장비 목록 모듈로 장비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특정 장비로 장비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되며, 장비 점검 모듈로 장비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한 장비를 해당 장비의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단계별 점검 메뉴얼에 따라 해당 장비를 동작시키며, 장비의 특정 동작을 센서부에서 센싱하여 컨트롤러에서 센싱값으로 점검 메뉴얼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작동 또는 오작동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전시 장비별 다른 설계 및 기능에도 단계적으로 메뉴얼된 개별적 점검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전시 장비의 에러 시 어느 부분(기능)의 문제인지 알 수 있어 대처가 수월하고, 전시 장비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다수의 전시 장비를 통합관리하여 운영을 원활하게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or unit, the controller, and the equipment check module of the smart device are provided for each exhibition equipment, the equipment list is displayed by the equipment list module of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equipment connected through the equipment connection module through the equipment check module can perform the inspection according to the inspection manual of the equipment, operate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step-by-step inspection manual, By sensing and comparing with the inspection value by the controller, it can be discriminated by operation or mal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matches with the inspection manual.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carry out individual manual inspection stepwise to different designs and functions of each exhibition equipment, You can find out which part (function) is the problem at the time of error. , Increase the lif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re is the effect to be managed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facilitate th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시물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시물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기기의 작동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시 장비의 계통도와 점검항목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onceptual view of a displa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implified operation of a smart device in the exhibi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diagram and an inspection item of an exhibition equip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시물 관리 시스템(100)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시물 관리 시스템(100)의 스마트기기(30)의 작동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시 장비(1)의 계통도와 점검항목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본 발명은 전시물 관리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전시 장비(1)마다 센서부(10)와 컨트롤러(20), 및 스마트기기(30)의 장비 점검 모듈(34)을 구비함으로써,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스마트기기(30)의 장비 목록 모듈(31)로 장비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특정 장비로 장비 접속 모듈(32)을 통해 접속되며, 장비 점검 모듈(34)로 장비 접속 모듈(32)을 통해 접속한 장비를 해당 장비의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단계별 점검 메뉴얼에 따라 해당 장비를 동작시키며, 장비의 특정 동작을 센서부(10)에서 센싱하여 컨트롤러(20)에서 센싱값으로 점검 메뉴얼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작동 또는 오작동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전시 장비(1)별 다른 설계 및 기능에도 단계적으로 메뉴얼된 개별적 점검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전시 장비(1)의 에러 시 어느 부분(기능)의 문제인지 알 수 있어 대처가 수월하고, 전시 장비(1)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다수의 전시 장비(1)를 통합관리하여 운영을 원활하게 하는 전시물 관리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management system (100).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시물 관리 시스템(100)은 센서부(10), 컨트롤러(20), 스마트기기(30), 및 무선통신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이하, 센서부(1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센서부(10)는 전시 장비(1)의 동작 상태를 특정 상황에 부합하도록 센싱한다.The
전시 장비(1)는 박물관, 과학관 등을 포함하는 전시관의 전시 장비(1)로, 다양한 기능으로 설계되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전시 장비(1)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제어를 시행이 필요하며, 상기의 센서부(10)는 엔코더, 적외선 감지기, 모터, 포토 센서, 압력 센서, 조이스틱, LED 조명, RFID TAG, 컴프레샤, 방사능 측정기, 및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전시 장비(1)에서 전시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전시 장비(1)가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동작 상태를 센싱하는 것으로, 상기의 구성 외에 다양한 구성으로 센서부(10)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한정하지 않는다.The exhibition equipment (1) is an exhibition equipment (1) in an exhibition hall including a museum and a science museum. In order to manage various exhibition equipment (1) according to a trend designed with various functions, The
컨트롤러(20)는 전시 장비(1)마다 전시 장비(1)의 인근에 개별 설치되어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전시 장비(1)의 동작에 따른 센싱 값을 수신받아 작동 또는 오작동을 판별하여,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스마트기기(30)의 점검 확인 모듈(35)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전시 장비(1)와 스마트기기(30)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일 경우,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스마트기기(30)의 장비 목록 모듈(31)로 장비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특정 장비로 장비 접속 모듈(32)을 통해 접속되며, 장비 점검 모듈(34)로 장비 접속 모듈(32)을 통해 접속한 장비를 해당 장비의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단계별 점검 메뉴얼에 따라 해당 장비를 동작시키며, 장비의 특정 동작을 센서부(10)에서 센싱하여 컨트롤러(20)에서 센싱값으로 점검 메뉴얼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정상 작동 또는 오작동으로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스마트기기(30)로 전송하여 스마트기기(30)의 점검 확인 모듈(35)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2,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스마트기기(30)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구동되면, 근접하여 무선통신할 수 있는 전시 장비(1)의 목록과 해당 전시 장비(1)에 따른 단계별 점검 메뉴얼이 노출되고, 점검 메뉴얼에 따른 모션의 수행으로 전시 장비(1)의 컨트롤러(20)가 작동 또는 오작동을 판별하며,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오작동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driven, the
스마트기기(30)는 장비 목록 모듈(31), 장비 접속 모듈(32), 장비 설명 모듈(33), 장비 점검 모듈(34), 점검 확인 모듈(35), 및 점검 해제 모듈(36)을 포함한다.The
또한, 스마트 기기로는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스마트폰 등이 가능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거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device may be a tablet PC,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notebook, a cellular phone,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a hand-held PC,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DMA (Wideband CDMA) phone, CDMA-2000 phone, and smart phone. The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 can be downloaded and used, or an embedded application can be used.
이하, 장비 목록 모듈(31)부터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장비 목록 모듈(31)은 스마트기기(30)와 전시 장비(1)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 전시 장비(1)의 목록을 출력한다. The
일례로, 전시 장비(1) 1, 2, 3... 7 중 전시 장비(1) 2와 5가 스마트기기(30)가 소정 거리 이내일 경우 전시 장비(1) 2와 5를 리스트화하여 출력하며, 이들 통신은 무선통신부(40)를 기반으로 한다.For example, when the
장비 접속 모듈(32)은 장비 목록 모듈(31)에 있는 전시 장비(1)의 목록 중 특정 전시 장비(1)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일례로, 장비 접속 모듈(32)의 사용은 전시물을 관람하기 위한 관람객이 아니라 전시 장비(1)의 관리자가 사용함이 바람직하므로, 특정 전시 장비(1)로 접속할 수 있는 권한 부여나 비밀 번호 설정을 통한 제한 접근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use of the
장비 설명 모듈(33)은 장비 접속 모듈(32)로 접속된 전시 장비(1)의 이름, 기능, 작동방법, 및 나타내고자 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전시 장비(1)의 설명을 출력한다.The
장비 점검 모듈(34)은 전시 장비(1)의 점검을 위해 기 저장된 단계별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전시 장비(1)가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The
보다 상세하게는, 장비 점검 모듈(34)로 장비 접속 모듈(32)을 통해 접속한 장비를 해당 장비의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단계별 점검 메뉴얼이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출력됨에 따라 해당 전시 장비(1)를 단계별로 동작시키며, 전시 장비(1)의 특정 동작을 센서부(10)에서 센싱하고, 컨트롤러(20)에서 센싱값으로 점검 메뉴얼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정상 작동 또는 오작동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equipment connected to the
점검 확인 모듈(35)은 장비 점검 모듈(34)로 점검된 전시 장비(1) 정상 작동 여부를 출력한다.The
보다 상세하게는, 점검 확인 모듈(35)은 장비 점검 모듈(34)을 통해 컨트롤러(20)에서 정상 작동 판별에 따라 전시 장비(1) 정상 작동 여부를 출력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전시 장비(1)를 동작시키고, 컨트롤러(20)에서 센서부(10)에서 센싱한 값으로 점검 값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정상 작동 또는 오작동으로 판별하고 이를 점검 확인 모듈(35)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점검 해제 모듈(36)은 장비 점검을 해제시키고 초기 화면인 장비 설명 모듈(33) 또는 장비 목록 모듈(31)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무선통신부(40)는 컨트롤러(20)의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중계한다.The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부(40)는 와이파이(Wi-Fi), 비콘, NFC, 블루투스, 와이브로(WIBRO), 지그비(ZIGBEE)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 실시 예 -- Example -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중 하나로, '대표적인 암 증상'에 관해 전시하는 전시 장비(1)의 점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inspection of the
간략하게 전시 장비(1)를 설명하면, 발병하는 대표적인 암인 전두암, 유방암, 위암, 대장암, 및 자궁암의 증상을 화면으로 출력하여 보여주는 전시 장비(1)로, 신체 중 각 암이 발병하는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구동부와 구동부 하측에 사람의 내부 장기를 도식화한 고정부로 구성되고, 고정부의 상측에 위치한 구동부가 특정 암이 발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해당 암의 증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전시 장비(1)이다.A brief description of the exhibition equipment (1) is an exhibition equipment (1) that displays the symptoms of typical cancers such as cancers, breast cancer, stomach cancer, colon cancer and uterine cancer on the screen. And a fixed part formed by visualizing the internal organ of a person on the lower side of the driving part. When the driving par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pecific cancer occurs, the symptom of the canc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exhibition equipment (1).
또한, '대표적인 암 증상' 전시 장비(1)는 센서부(10)의 구성인 엔코더를 구비하고, 각 구간에 좌, 우측 스위치가 구비되어 리미트(limit)가 설정되어 있으며, 구동부의 좌측 이동으로 좌측 스위치가 센싱되면, 엔코더의 최저값을 초기화하고, 구동부의 우측 이동으로 우측 스위치가 센싱되면, 엔코더의 최대값을 초기화하여, 구간 내 구동부의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구동부가 리미트 구간 내 위치할 때 해당 암 증상이 화면에 출력되는 것이다.The representative cance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기기(30)의 장비 점검 모듈(34)로 좌·우측 엔코더 점검, 좌·우측 리미트 점검, 통신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동작 수행하면 컨트롤러(20)에서 정상 작동하는지 아닌지에 대해 판별하여 스마트기기(30)의 점검 확인 모듈(35)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의 예시는 본 발명을 기반으로 한 하나의 실시 예를 기재한 것이고,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전시 장비(1)도 응용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scribe one embodiment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전시 장비
10 - 센서부
20 - 컨트롤러
30 - 스마트기기
31 - 장비 목록 모듈
32 - 장비 접속 모듈
33 - 장비 설명 모듈
34 - 장비 점검 모듈
35 - 점검 확인 모듈
36 - 점검 해제 모듈
40 - 무선통신부1 - Exhibition equipment
10 -
20 - Controller
30 - Smart devices
31 - Equipment List Module
32 - Equipment connection module
33 - Equipment description module
34 - Equipment Inspection Module
35 - Checking Module
36 - Inspection Release Module
40 -
Claims (3)
전시 장비마다 전시 장비의 인근에 개별 설치되어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전시 장비의 동작에 따른 센싱 값을 수신받아 작동 또는 오작동을 판별하는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구동되면, 근접하여 무선통신할 수 있는 전시 장비의 목록과 해당 전시 장비에 따른 단계별 점검 메뉴얼이 노출되고, 점검 메뉴얼에 따른 모션의 수행으로 전시 장비의 컨트롤러가 작동 또는 오작동을 판별하며,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오작동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및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무선통신부
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는
스마트기기와 전시 장비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 전시 장비의 목록을 출력하는 장비 목록 모듈,
장비 목록 모듈에 있는 전시 장비의 목록 중 특정 전시 장비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 접속 모듈,
전시 장비의 점검을 위해 기 저장된 단계별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전시 장비가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장비 점검 모듈, 및
장비 점검 모듈로 점검된 전시 장비 정상 작동 여부를 출력하는 점검 확인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전시 장비와 스마트기기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일 경우, 무선통신부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장비 목록 모듈로 장비 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특정 장비로 장비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되며, 장비 점검 모듈로 장비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한 장비를 해당 장비의 점검 메뉴얼에 따라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단계별 점검 메뉴얼에 따라 해당 장비를 동작시키며, 장비의 특정 동작을 센서부에서 센싱하여 컨트롤러에서 센싱값으로 점검 메뉴얼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정상 작동 또는 오작동으로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스마트기기로 전송하여 스마트기기의 점검 확인 모듈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시물 관리 시스템. A sensor unit for sens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isplay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situation;
A controller separately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exhibition equipment for each exhibition equipment, receiving a sensing val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hibition equipment, and discriminating the operation or malfunction;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activated, a list of exhibition equipmen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close proximity and a step-by-step inspection manual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equipment are exposed, and the controller of the exhibition equipment determines operation or malfunction by performing motion according to the inspection manual A smart device for displaying a malfunction part on a scree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lay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so as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smart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Lt; / RTI >
Smart devices
An equipment list module for outputting a list of exhibition equipm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smart device and the exhibition equipment,
Equipment List The equipment connection module that enables access to specific exhibition equipment among the list of exhibition equipment in the module,
An equipment inspection module for checking whether the exhibition equipment is operating normally according to pre-stored step-by-step inspection manuals for inspection of the exhibition equipment, and
Checking module to check whether the display equipment checked by the equipment check module is operating normally
Further comprising: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xhibition equipment and the smart devi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equipment list module is displayed by the equipment list module of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equipment connec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specific equipm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inspection according to the inspection manual of the equipment connected to it, to operate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step-by-step inspection manual, to sense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equipment in the sensor unit,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can be confirmed by the check confirmation module of the smart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867A KR101954795B1 (en) | 2016-11-18 | 2016-11-18 | Exhibition managemen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867A KR101954795B1 (en) | 2016-11-18 | 2016-11-18 | Exhibition management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6089A KR20180056089A (en) | 2018-05-28 |
KR101954795B1 true KR101954795B1 (en) | 2019-03-06 |
Family
ID=6245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3867A Active KR101954795B1 (en) | 2016-11-18 | 2016-11-18 | Exhibition management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479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4954A (en) | 2021-11-22 | 2023-05-31 | (주)샘터정보기술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ability of exhibits based on ai image recogniti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9700A (en) * | 2014-04-16 | 2015-10-26 |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Public Facilities using NFC |
-
2016
- 2016-11-18 KR KR1020160153867A patent/KR101954795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4954A (en) | 2021-11-22 | 2023-05-31 | (주)샘터정보기술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ability of exhibits based on ai image recogni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6089A (en) | 2018-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34247B2 (en) | Active emergency exit systems for buildings | |
ES2542838T3 (en) | Method to make an elevator call and corresponding device | |
CA2803152C (en) | Low-power wirelessly-linked rfid tracking system | |
CN102859452B (en) | Handheld field maintenance tools with field apparatus simulation capacity | |
US20130156434A1 (en) | Remote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 |
EP2871781A2 (en) | System for configuring indicia readers using NFC technology | |
JP6895598B2 (en) | Equipment inspection system, server, equipment inspection method, and control program | |
JP4465403B2 (en) | Moving body position monitoring system | |
JP2011087016A (en) | Location management system | |
CN106469286A (en) | Update detector configur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 |
CN107771259A (en) | Monitor the equipment and method, related hydraulic circui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of valve in hydraulic circuit | |
KR20180085256A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dustrial site, and smart helmet for executing the same | |
KR101954795B1 (en) | Exhibition management system | |
EP2661094A1 (en) | Display integrated control systems and display integrated input device | |
JP2008206022A (en) | System for detecting location of traveling object | |
JP2011243091A (en) |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for equipment | |
JP2012128002A (en) | Device map display device | |
JP2016194840A (en) | Test system | |
ES2790737T3 (en) | Door lock with display unit | |
US9922581B2 (en) | Luminous element arrangement for the dynamic display of a machine-readable code | |
CN109935055A (en) | Gas measuring apparatus | |
KR20160050963A (en) | Smart terminal equipment for control device registration of intelligent home ECO system and the registration method | |
JP2010015373A (en) | Meter inspection system | |
KR102595167B1 (en) | System for checking the fire extinguishers using inertial and method thereof | |
KR20140015687A (en) | Smart shopp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