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161B1 - Apparatus for purification water absorption uniform of multi-stage upstream easy to disadhes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rification water absorption uniform of multi-stage upstream easy to disadhe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4161B1 KR101954161B1 KR1020180083815A KR20180083815A KR101954161B1 KR 101954161 B1 KR101954161 B1 KR 101954161B1 KR 1020180083815 A KR1020180083815 A KR 1020180083815A KR 20180083815 A KR20180083815 A KR 20180083815A KR 101954161 B1 KR101954161 B1 KR 1019541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ration
- raw water
- granular
- upper side
- filte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01D24/167—Up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으로 알갱이형 여재가 저장되는 여과부가 결합되어 층류 변환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고르게 여과부 내에서 유동되며 여과되어 알갱이형 여재가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알갱이형 여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알갱이형 여재가 모두 사용되어 교체해야 하는 경우 해당 여과부만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대가 다수 형성되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오수 또는 폐수로 이루어지는 원수(源水)가 유입되는 공급구가 형성되고, 내부로 유입된 원수(源水)가 균일하게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홀이 상측판에 다수 형성되는 층류 변환부; 상기 층류 변환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유입홀이 형성되는 바닥판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측에 다수의 유출홀이 형성되는 상부판이 형성되고, 바닥판의 상측 내부에 알갱이형 여재가 저장되며, 다수가 적층되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 내부 바닥판 유입홀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유입홀을 통해 여과부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분산시켜 유동시키는 균일 분출부 및 상기 여과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여과된 여과수가 집수되는 집수공간이 형성되며, 집수된 여과수가 외부로 유동되는 배수구가 상단에 형성되고, 하측에 형성되는 하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홀을 통해 여과수가 내부로 균일하게 유입되는 집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ration unit storing the granular filter media in multiple stages is used so that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laminar flow conversion unit flows in the filtration unit evenly and does not cause the phenomenon that the granular filter media is filte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ge upflow-type uniformly-adsorbing and purifying apparatus using a granular filter material which is easily removable and attachable when only granular filter media are used, A supply port through which raw water composed of wastewater or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is formed and a flow hole is formed so as to uniformly flow the raw water introduced into the inside, A plurality of laminar flow transformers formed on the upper side plate; An upper plat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aminar flow conversion unit and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med therein at a lower side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formed at an upper side thereof, A filtering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s are stacked and formed so as to be detachable and attachable; A uniform spouting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nlet hole of the filtration portion to distribute and flow raw water flowing into the filtration portion through the inlet hole and a collecting space for collecting the filtered water filter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portion And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filtered water to the outside and a collecting part for uniformly introducing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lower plate formed at the lower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알갱이형 여재가 저장되는 여과부가 결합되어 층류 변환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고르게 여과부 내에서 유동되며 여과되어 알갱이형 여재가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알갱이형 여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알갱이형 여재가 모두 사용되어 교체해야 하는 경우 해당 여과부만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ge upflow-type uniform adsorption-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granular filter material that is easy to detach and atta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ration unit in which granular filtration media are stored in multiple stages, In order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particulate filter medium is flowed in the filter, the granular filter media can be used, and when the granular filter media is used for all, it is necessary to remove only the filter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ge upflow homogeneous adsorption-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granular filter material which is easy to handle.
일반적으로, 오,폐수 처리설비에는 물의 정화를 위하여 각종의 여과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여과 성능이 우수하면서 여과재를 재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활성탄, 모래, 마이크로 필터 등을 보편적으로 채용하고 있다.In general, a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is provided with various kinds of filtration devices for purifying water. Particularly, activated charcoal, sand, microfilters and the like are commonly adopted as a method capable of reusing a filter material with excellent filtration performance .
상기 활성탄과 모래를 여과재로 채용한 필터장치는, 상방으로 오 폐수를 투입하고 중력 작용으로 여과시키는 구성이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여과재 상층부로 퇴적되는 오염물질의 처리가 번거로워 비효율적이고, 여과 정도(精度)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The filter device employing the activated carbon and the sand as a filter medium has a structure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have a large capacity because it is configured to inject waste water upward and filter it by gravity ac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is troublesome and inefficient, and the degree of filtration (accuracy) is low.
그리고 마이크로 필터는 피여과수에 압력을 가하여 강제로 여과되게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여과 정도와 효율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나, 설치 비용과 유지 관리비용이 고가로 되어 정수단계의 여과수단으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icrofilter is a method in which the microfilter is forced to be filter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microfil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ration efficiency and the efficiency are excellent, but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are high, .
선행특허는 여과된 오염물질을 간편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유지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상향류식 여과장치로서, 내부가 제1 격벽 및 제2 격벽에 의해 다단으로 구획되는 오수 저류부와 여과실, 및 여과수 배출로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의 하부는 상기 여과실의 하부로 연통 되도록 유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여과조를 포함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1 격벽은 제2 격벽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여과실에는 상측 여과부와 하층 여과부가 수납 배치되고, 상기 여과조의 외주 소정 개소에는 역세밸브 달린 도관이 연통 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The prior art is an upflow type filtration apparatus which can easily and easily remove filtered contaminants and can be easily maintained. The upstream filtration apparatus includes a mist storage unit, a filtration chamber, and a filtration unit, the inside of which is partitioned into multiple stages by first and second septa, And a filtration water discharge passage,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chamber, wherein the first partition wall is set higher than the second partition wall In addition, a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which the upper filtration portion and the lower filtration portion are accommodated in the filtration chamber, and a conduit with a backwash valve is communicat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ration tank.
그러나 선행특허는 여과실의 내측에 하층여과부와 상층여과부를 구비하여 상향으로 흐르는 원수를 정수하게 되는데 이때, 상층여과부와 하층의 여과부 외주연 전체을 통해 원수가 유동되는 것이 아닌 일부분으로만 물길이 나 유동되므로, 상층여과부와 하층여과부 전체의 여과재를 사용할 수 없으며, 사용되지 않는 여과재는 적체되어 부패되거나 사용되지 않으므로, 알갱이형 여재를 낭비하게되며, 교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patent, the lower layer filter and the upper filter portion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lter chamber to purify the raw water flowing upward. In this case, the raw water is not flowed through the entire upper surface filtration portion, So that the filter material of the upper filter portion and the lower filter portion can not be used, and the unused filter material is spoiled or not used, so that the granular filter material is wasted and the replacement cost is increased.
또한, 상층여과부와 하층여과부를 모두 교체해야 하며, 일부분으로만 원수가 흐르게되어 일정량 여과되면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both the upper and lower filtration units must be replaced, and when a certain amount of raw water flows through only a part of the filter,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은 다단으로 알갱이형 여재가 저장되는 여과부가 결합되어 층류 변환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고르게 여과부 내에서 유동되며 여과되어 알갱이형 여재가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알갱이형 여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알갱이형 여재가 모두 사용되어 교체해야 하는 경우 해당 여과부만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ration unit storing the granular filter media in multiple stages is used so that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laminar flow conversion unit flows in the filtration unit evenly and does not cause the phenomenon that the granular filter media is filtered, And to provide a multi-stage upflow homogeneous adsorption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granular filter material which is easily removable and attachable when only the granular filter media is used and needs to be replaced when the filter is to be replace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대가 다수 형성되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오수 또는 폐수로 이루어지는 원수(源水) 가 유입되는 공급구가 형성되고, 내부로 유입된 원수(源水)가 균일하게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홀이 상측판에 다수 형성되는 층류 변환부; 상기 층류 변환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유입홀이 형성되는 바닥판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측에 다수의 유출홀이 형성되는 상부판이 형성되고, 바닥판의 상측 내부에 알갱이형 여재가 저장되며, 다수가 적층되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 내부 바닥판 유입홀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유입홀을 통해 여과부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분산시켜 유동시키는 균일 분출부 및 상기 여과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여과된 여과수가 집수되는 집수공간이 형성되며, 집수된 여과수가 외부로 유동되는 배수구가 상단에 형성되고, 하측에 형성되는 하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홀을 통해 여과수가 내부로 균일하게 유입되는 집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stage upflow-type uniformly adsorbing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granular media capable of easy removal and deta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supported on the floor, raw water including sewage or wastewater A laminar flow converting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flow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plate so that raw 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can be uniformly flowed upward; An upper plat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aminar flow conversion unit and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med therein at a lower side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formed at an upper side thereof, A filtering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s are stacked and formed so as to be detachable and attachable; A uniform spouting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nlet hole of the filtration portion to distribute and flow raw water flowing into the filtration portion through the inlet hole and a collecting space for collecting the filtered water filter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portion And a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filtered water to the outside and a collecting part for uniformly introducing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lower plate formed at the lower side.
상기 여과부는 외측에 다단으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체가 상하측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유입홀 및 상부판의 유출홀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적층 결합될 때 일치되도록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알갱이형 여재가 일정량만 저장되어 원수 유입시 알갱이형 여재가 부유되어 원수가 여과되도록 하는 부유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part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lter part, and the inflow hol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outflow holes of the top plate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so as to be aligned when they are laminated, And the floating material space is formed by floating the granular material when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floating material space so that the raw water is filtered.
상기 균일 분출부는 상측이 폐쇄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이 여과부의 하측판 유입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외주연 전체에 다수의 절개홀이 형성되어 원수가 여과부 내부 사방으로 분산되어 유동되도록 하며, 알갱이형 여재가 유입홀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거나 상부판의 유출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iform spray portion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is closed and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protrude above the lower plate inlet hole of the filtrat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cut holes are formed in the entire outer periphery so that the raw water is dispersed and flowed in four directions inside the filtration portion And the granular material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inlet hole or flowing out to the outlet hole of the upper plate.
상기 집수부의 하판 배출홀에는 여과부의 알갱이형 여재가 유출홀을 통해 유출되어 집수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알갱이형 여재 거름체가 배출홀 하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granular filtration media for preventing the granular media of the filtration portion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granul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granula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in the lower plate discharge hole of the granulator.
본 발명은 다단으로 알갱이형 여재가 저장되는 여과부가 결합되어 층류 변환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고르게 여과부 내에서 유동되며 여과되어 알갱이형 여재가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알갱이형 여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ration unit storing the granular filter media in multiple stages is used so that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laminar flow conversion unit flows in the filtration unit evenly and does not cause the phenomenon that the granular filter media is filtered, There is an effect to be able to.
또한, 알갱이형 여재가 모두 사용되어 교체해야 하는 경우 해당 여과부만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granular filter media are all used and need to be replaced, there is an effect that only the filter section is removed and repla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a는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어 여과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층류 변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층류 변환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여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여과부 내부에 설치되는 균일 분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집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집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construction of a multi-stage upflow homogeneous adsorption-purification apparatus using granular material that is easily removable and attach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in which raw water is not introduced into a filtration unit (B) is a view showing that raw water flows into the filtration unit to be filtered.
FIG. 2 is a view showing a laminar flow conversion unit of a multi-stage upflow type uniform adsorptio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granular filter material which is easily removable and attach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minar flow conversion unit of a multi-stage upflow type uniform adsorption-purification apparatus using granular media that is easy to detach and att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ltration unit of a multi-stage upflow type uniform adsorption-purification apparatus using granular media that is easy to detach and att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uniform jetting unit installed in a filtration unit of a multi-stage upflow type uniform adsorption-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granular filter material that is easy to detach and att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collecting part of a multi-stage upflow type uniform adsorptio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granular filter material which is easily removable and attach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llection of a multi-stage upflow-type uniform adsorption-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granular filter material which is easy to detach and ad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And shall not interpret it.
본 발명은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대가 다수 형성되며, 공급관(i)을 통해 공급되는 오수 또는 폐수로 이루어지는 원수(源水) 가 유입되는 공급구(11)가 형성되고, 내부로 유입된 원수(源水)가 균일하게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홀(13)이 상측판(12)에 다수 형성되는 층류 변환부(10); 상기 층류 변환부(10)의 상측에 결합되며,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유입홀(23)이 형성되는 바닥판(21)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측에 다수의 유출홀(24)이 형성되는 상부판(22)이 형성되고, 바닥판(21)의 상측 내부에 알갱이형 여재(50가 저장되며, 다수가 적층되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여과부(20); 상기 여과부(20) 내부 바닥판(21) 유입홀(23)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유입홀(23)을 통해 여과부(20)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분산시켜 유동시키는 균일 분출부(40) 및 상기 여과부(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여과된 여과수가 집수되는 집수공간(35)이 형성되며, 집수된 여과수가 외부로 유동되는 배수구(31)가 상단에 형성되고, 하측에 형성되는 하판(32)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홀(33)을 통해 여과수가 내부로 균일하게 유입되는 집수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supported on the floor are formed and a
상기 여과부(20)는 외측에 다단으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플랜지 결합체(f)가 상하측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1)의 유입홀(23) 및 상부판(22)의 유출홀(24)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적층 결합될 때 일치되도록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알갱이형 여재(50가 일정량만 저장되어 원수 유입시 알갱이형 여재(50가 부유되어 원수가 여과되도록 하는 부유공간(25)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ange coupling body f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the
상기 균일 분출부(40)는 상측이 폐쇄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이 여과부(20)의 하측판 유입홀(23)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외주연 전체에 다수의 절개홀(41)이 형성되어 원수가 여과부(20) 내부 사방으로 분산되어 유동되도록 하며, 알갱이형 여재(50가 유입홀(23)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거나 상부판(22)의 유출홀(24)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집수부(30)의 하판(32) 배출홀(33)에는 여과부(20)의 알갱이형 여재(50가 유출홀(24)을 통해 유출되어 집수부(3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알갱이형 여재 거름체(34)가 배출홀(33) 하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a는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여과부에 원수가 유입되어 여과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으로, 지지대를 통해 바닥에 지지되며, 공급관(i)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가 공급구(11)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고,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균일하게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동홀(13)이 상측에 다수 형성되는 층류 변환부(10), 내부에 알갱이형 여재(50가 저장되어 바닥판(21)의 유입홀(23)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여과되고, 상부판(22)의 유출홀(24)을 통해 상부로 유출되는 여과부(20), 상기 여과부(20) 내부 바닥판(21) 유입홀(23)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유입홀(23)을 통해 여과부(20)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분산시켜 유동시키는 균일 분출부(40) 및 상기 여과부(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여과된 여과수가 집수되어 외부로 유동되는 배수구(31)가 상단에 형성되며, 하측에 형성되는 하판(32)을 통해 여과수가 내부로 균일하게 유입되도록 배출홀(33)이 다수 형성되는 집수부(30)를 포함한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entire configuration of a multi-stage upflow type uniform adsorptio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granular filter material which is easily removable and attach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aw water is not introduced into a filtration unit (b) is a view showing that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filtration unit and is filtered), and is supported on the floor through a support bas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i) is supplied to the inside through the supply port (11) A lamina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층류 변환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층류 변환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laminar flow conversion unit of a multi-stage upflow type uniform adsorptio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granular type filter material which is easily removable and attach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minar flow conversion section of an upflow-homogeneous adsorption-purification apparatu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층류 변환부(10)는 내부에 원수가 일시 저장되는 저장공간(14)이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며,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관(i)이 연결되는 공급구(11)가 외주연에 형성되어 오수 또는 폐수로 이루어지는 원수(源水)가 저장공간(14) 내부로 유입된다.1 to 3, the laminar
그리고, 상기 층류 변환부(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판(12)에 다수의 유동홀(13)이 형성되어 원수가 균일하게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한다.A plurality of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여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여과부 내부에 설치되는 균일 분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ration unit of a multi-stage upflow type uniform adsorptio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granular filter material easy to be detached and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uniform spou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filtration part of the uniform-adsorption-purification-water-purifying devic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층류 변환부(10)의 상측에는 여과부(20)가 결합되어 층류 변환부(10)의 상측으로 유동되는 원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에 저장되는 알갱이형 여재(50를 통해 여과된다.4 and 5, the
이를 위해 상기 여과부(20)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유입홀(23)이 형성되는 바닥판(21)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측에 다수의 유출홀(24)이 형성되는 상부판(22)이 형성되고, 바닥판(21)의 상측 내부에 알갱이형 여재(50가 저장되며, 다수가 적층되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The
이러한 상기 여과부(20)는 외측에 다단으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플랜지 결합체(f)가 상하측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1)의 유입홀(23) 및 상부판(22)의 유출홀(24)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적층 결합될 때 일치되도록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알갱이형 여재(50가 일정량만 저장되어 원수 유입시 알갱이형 여재(50가 부유되어 원수가 여과되도록 하는 부유공간(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알갱이형 여재(50는 유입되는 원수로 인해 부유공간(25) 전체에 원수와 함께 부유되어 부유공간(25) 전체를 가득 채우게 되어 전체 여재가 모두 여과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The flange coupling body f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the
At this time, the granular material (50) floats with the raw water in the entire floating space (25) due to the introduced raw water to fill the entire floating space (25) so that all the filtering materials can be used for filtration.
상기 플랜지 결합체(f)는 플랜지로 형성되어 클랜프 또는 체결체를 통해 체결되어 적층 결합되는 여과부(20)가 유동 및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The flange-joined body (f) is formed as a flange so as to prevent flow and separation of the filtration part (20) which is fastened through the clamp or the fastener to be laminated.
상기 여과부(20)의 유입홀(23)과 층류 변환부(10)의 유동홀(13)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원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여과부(20)는 다수로 구성되어 원수를 여과하기위한 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알갱이형 여재(50의 소모로 인한 교체시에 쉽게 교체할 수 있다.The
상기 여과부(20)의 바닥판(21) 상측에는 유입홀(23) 상측에 유입홀(23)을 덮으며 균일 분출부(40)가 결합된다.Above the
상기 균일 분출부(40)는 상측에 다수의 토출홀(42)이 형성되며, 상협하광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이 여과부(20)의 하측판 유입홀(23)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외주연 전체에 다수의 절개홀(41)이 형성되어 원수가 여과부(20) 내부로 유입될 때 절개홀(41)을 통해 분산되어 유입되며, 유입되는 원수가 알갱이형 여재(50를 여과부(20) 내부에서 유동시켜 알갱이형 여재(50의 적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해 알갱이형 여재(50가 모두 사용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균일 분출부(40)로 인해 알갱이형 여재(50가 유입홀(23)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거나 상부판(22)의 유출홀(24)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집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의 집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collecting part of a multi-stage upflow-type uniform adsorption-purification apparatus using granular media that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collecting of an upflow uniform adsorptio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여과부(20)의 상측에는 집수부(30)가 결합되어 여과부(20)를 통해 여과된 물을 집수하여 배수구(31)를 통해 연결되는 배수관(o)을 통해 외부로 유동시킨다.6 and 7, a
상기 집수부(30)는 여과부(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여과된 여과수가 집수되는 집수공간(35)이 형성되며, 집수된 여과수가 외부로 유동되는 배수구(31)가 상단에 형성되고, 하측에 형성되는 하판(32)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홀(33)을 통해 여과수가 내부로 균일하게 유입되도록 한다.The
이러한 상기 집수부(30)의 하판(32) 배출홀(33)에는 여과부(20)의 알갱이형 여재(50가 유출홀(24)을 통해 유출되어 집수부(3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알갱이형 여재(50 거름체(34)가 배출홀(33) 하측면에 결합된다.Th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단으로 알갱이형 여재가 저장되는 여과부가 결합되어 층류 변환부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고르게 여과부 내에서 유동되며 여과되어 알갱이형 여재가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알갱이형 여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ltration unit for storing the granular material is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laminar flow conversion unit flows in the filtration unit evenly, It is possible to use all of them.
또한, 알갱이형 여재가 모두 사용되어 교체해야 하는 경우 해당 여과부만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granular filter media are all used and need to be replaced, there is an effect that only the filter section is removed and replaced.
상기와 같은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multi-stage upflow homogeneous adsorptio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granular filter material which is easy to detach and attach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 : 공급관 o : 배수관
f : 플랜지 결합체
10 : 층류 변환부 11 : 공급구
12 : 상측판 13 : 유동홀
14 : 저장공간
20 : 여과부 21 : 바닥판
22 : 상부판 23 : 유입홀
24 : 유출홀 25 : 부유공간
30 : 집수부 31 : 배수구
32 : 하판 33 : 배출홀
34 : 거름체 35 : 집수공간
40 : 균일 분출부 41 : 절개홀
42 : 토출홀i: Supply pipe o: Water pipe
f: flange coupling body
10: laminar flow conversion section 11:
12: upper side plate 13: flow hole
14: Storage space
20: filtration part 21: bottom plate
22: top plate 23: inlet hole
24: Outflow hole 25: Floating space
30: collecting part 31: drainage
32: Lower plate 33: Discharge hole
34: Sieve body 35: Collecting space
40: uniform jetting portion 41: incision hole
42: Discharge hole
Claims (4)
상기 층류 변환부(10)의 상측에 결합되며,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유입홀(23)이 형성되는 바닥판(21)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측에 다수의 유출홀(24)이 형성되는 상부판(22)이 형성되고, 바닥판(21)의 상측 내부에 알갱이형 여재(50가 저장되며, 다수가 적층되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외측에 다단으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플랜지 결합체(f)가 상하측 외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알갱이형 여재(50가 일정량만 저장되어 원수 유입시 알갱이형 여재(50가 부유되어 원수가 여과되도록 하는 부유공간(25)이 형성되고, 알갱이형 여재(50가 원수와 함께 부유공간(25) 전체에 부유되는 여과부(20);
상기 바닥판(21) 유입홀(23)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유입홀(23)을 통해 여과부(20)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분산시켜 유동시키며, 여과부(20)의 바닥판(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여과부(20)와 함께 교체되는 균일 분출부(40) 및
상기 여과부(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여과된 여과수가 집수되는 집수공간(35)이 형성되며, 집수된 여과수가 외부로 유동되는 배수구(31)가 상단에 형성되고, 하측에 형성되는 하판(32)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홀(33)을 통해 여과수가 내부로 균일하게 유입되는 집수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20)는 상기 바닥판(21)의 유입홀(23) 및 상부판(22)의 유출홀(24)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적층 결합될 때 일치되도록하며,
상기 균일 분출부(40)는 상측에 다수의 토출홀(42)이 형성되며, 상협하광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이 여과부(20)의 하측판 유입홀(23)의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외주연 전체에 다수의 절개홀(41)이 형성되어 원수가 여과부(20) 내부 사방으로 분산되어 유동되도록 하며, 알갱이형 여재(50가 유입홀(23)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거나 상부판(22)의 유출홀(24)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집수부(30)의 하판(32) 배출홀(33)에는 여과부(20)의 알갱이형 여재(50가 유출홀(24)을 통해 유출되어 집수부(3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알갱이형 여재 거름체(34)가 배출홀(33) 하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알갱이형 여재를 사용하는 다단 상향류 균일 흡착 정수장치.A plurality of support rods supported on the floor are formed and a supply port 11 through which raw water composed of waste water or waste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i is introduced is formed, A laminar flow converting part (10) in which a plurality of flow holes (13)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plate (12) so as to be uniformly flowed upward;
A bottom plate 21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aminar flow converting unit 10 and formed in a tubular shape to form a plurality of inflow holes 23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24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 plurality of granular materials 50 are stacked on the bottom plate 21 so as to be separable and connectable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lange- (f)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a floating space (25) is formed in which the granular filter media (50) are floated and the raw water is filtered when the raw material is stored, A filtration part 20 in which the granular filter medium 50 floats in the entire floating space 25 together with the raw water;
The bottom plate 21 of the filtration unit 20 is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inflow hole 23 of the bottom plate 21 to distribute and flow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filtration unit 20 through the inflow hole 23, A uniform jetting portion 40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tration portion 20 and replaced with the filtration portion 20;
A water collecting space 35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ration unit 20 to collect the filtered water filtered. A drain port 31 through which the collected filtered water flows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 plate And a collecting part (30)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flows uniformly into the inside throug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3)
The inlet 20 and the outlet 22 of the bottom plate 21 and the top plate 22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so as to be aligned when they are laminate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42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form jetting unit 40. The uniform jetting unit 4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ollimated light beam and the lower side thereof is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late inlet hole 23 of the filtration unit 20, A plurality of cutting holes 41 are formed in the entire outer periphery so that the raw water is dispersed and flowed in four directions inside the filtration part 20 and the granular material 50 flows out through the inflow hole 23 to the bottom, 22 to the outflow holes 24,
The granular material 50 of the filtration part 20 flows out through the outflow hole 24 and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llection part 30 in the discharge hole 33 of the lower plate 32 of the collection part 30 Wherein the granular filtration media (34) for preventing granular filtration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hole (3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815A KR101954161B1 (en) | 2018-07-19 | 2018-07-19 | Apparatus for purification water absorption uniform of multi-stage upstream easy to disadhe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815A KR101954161B1 (en) | 2018-07-19 | 2018-07-19 | Apparatus for purification water absorption uniform of multi-stage upstream easy to disadhes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4161B1 true KR101954161B1 (en) | 2019-03-05 |
Family
ID=6576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3815A Active KR101954161B1 (en) | 2018-07-19 | 2018-07-19 | Apparatus for purification water absorption uniform of multi-stage upstream easy to disadhe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4161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3900A (en) * | 2002-08-09 | 2004-03-11 | Ebara Corp | Multistage floating filter medium upward stream filtering apparatus |
KR200388784Y1 (en) | 2005-04-06 | 2005-07-07 | 주식회사 동호이엔씨 | upward flow type multi-stage filter apparatus |
KR20150015587A (en) * | 2013-07-30 | 2015-02-11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Advanced treatment system of wastewater |
KR101500690B1 (en) * | 2014-06-27 | 2015-03-10 | (주) 한국환경진단연구소 | Filtering apparatus |
KR20170013000A (en) * | 2015-07-27 | 2017-02-06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Multi-stage Filtering Apparatus and Filtering Method |
-
2018
- 2018-07-19 KR KR1020180083815A patent/KR1019541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3900A (en) * | 2002-08-09 | 2004-03-11 | Ebara Corp | Multistage floating filter medium upward stream filtering apparatus |
KR200388784Y1 (en) | 2005-04-06 | 2005-07-07 | 주식회사 동호이엔씨 | upward flow type multi-stage filter apparatus |
KR20150015587A (en) * | 2013-07-30 | 2015-02-11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Advanced treatment system of wastewater |
KR101500690B1 (en) * | 2014-06-27 | 2015-03-10 | (주) 한국환경진단연구소 | Filtering apparatus |
KR20170013000A (en) * | 2015-07-27 | 2017-02-06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Multi-stage Filtering Apparatus and Filter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3291628U (en) | Efficient filtering device | |
CN101492209A (en) | Adsorption-deposition-membrane assembly separation integrated reactor | |
KR100949058B1 (en) | Filtering device | |
CN203877984U (en) | Oil-water separation system | |
KR101954161B1 (en) | Apparatus for purification water absorption uniform of multi-stage upstream easy to disadhesion | |
KR10146676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backwashing water of filter basin | |
KR200418627Y1 (en) | Shower Wastewater Filter System Using Air | |
KR200388784Y1 (en) | upward flow type multi-stage filter apparatus | |
US20070051675A1 (en) |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filtering | |
KR20060106069A (en) | Upflow Multistage Filter | |
CN202465364U (en) | Compound type biological carbon filtering device | |
CN107318751B (en) | Circulating water aquaculture system | |
KR101350537B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used with multi-fiber layer and the backward wash method thereof | |
KR101813528B1 (en) | Sewage Wastewater for the screen device | |
KR100941383B1 (en) | Wastewater disposal device with bubble supply apparatus and separation filterable module | |
CA3075447A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s | |
KR200420158Y1 (en) | Automatic Precision Filtration Device | |
CN211644773U (en) | High-efficient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denitrogenation filtering pond | |
US11260324B2 (en) |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s | |
JPS6385B2 (en) | ||
KR100994259B1 (en) | Sewage treatment apparatus using bio-film filter | |
KR20080082852A (en) | Sedimentation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 |
EP1734014A1 (en) | Device and method for filtration of fluids | |
RU210852U1 (en) | Sorption filter for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 |
KR100424346B1 (en) | Adulteration exclusion device in sewage and waste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7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