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3123B1 -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와, 이에 결합하는 키 박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와, 이에 결합하는 키 박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123B1
KR101953123B1 KR1020160121924A KR20160121924A KR101953123B1 KR 101953123 B1 KR101953123 B1 KR 101953123B1 KR 1020160121924 A KR1020160121924 A KR 1020160121924A KR 20160121924 A KR20160121924 A KR 20160121924A KR 101953123 B1 KR101953123 B1 KR 10195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key
lock
lock key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813A (ko
Inventor
석동희
권기덕
이종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123B1/ko
Priority to US15/377,246 priority patent/US10196835B2/en
Priority to CN201611154652.6A priority patent/CN107869279B/zh
Publication of KR2018003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1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23K26/364Laser etching for making a groove or trench, e.g. for scribing a break initiation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005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8Key guides; Key pins ; Keyholes; Keyhole f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11Key deco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4Key distinguishing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01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with key identifying fun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63Ignition switch geome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65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 G07C9/0070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with conductive components, e.g. pins, wires, metallic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엘디에스(LDS)를 활용하여 잠금 키 및/또는 잠금 박스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잠금유닛의 보안성을 강화시키는 잠금 키와 이와 결합하는 키 박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키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제1 패턴홈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제1 패턴홈에 마련되고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1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와, 이에 결합하는 키 박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PATTERNED LOCKING KEY, KEY BOX COMBINED THEREWITH, LOCKING UNIT HAVING TH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와, 이와 결합하는 키 박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가공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와, 이와 결합하는 키 박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 관련 기술은 하드 키에서 무선 키로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분야에서는 키 관련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 키 또는 리모컨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로 암호화된 키를 전송하여 차량의 잠금/열림을 제어한다.
하지만 여전히 하드 키(hard key)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스마트 키 사용자의 경우 배터리가 없는 상황이나 글로브 박스를 잠글 때는 하드 키를 사용해야 하고, 리모콘 사용자의 경우 시동은 하드 키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자동차의 제조사는 차량 옵션에 따라 하드 키에 이모빌라이져 기능을 추가하여 보안을 강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모빌라이져 기능은 시동을 거는 때에만 사용될 수 있고, 이모빌라이져 키를 분실했을 경우 키 박스까지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무선 키는 56 bit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내부의 식별 코드(ID code) 및 커스텀 비트(custom bit)를 처리하고 보안을 지킬 수 있다. 그러나 하드 키는 절삭 가공 제작을 하여 하드 키 자체의 고유의 모양을 형성하기 때문에, 드물게나마 중복된 하드 키가 나올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또한 물리적 크기의 제한으로 키의 패턴을 세밀하게 하기 힘들다. 그리고 복제가 매우 쉬운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2258호는 버튼 시동 차량의 스마트 키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2258호(2010.06.10. 공개)
본 발명은 엘디에스(LDS)를 활용하여 잠금 키 및/또는 잠금 박스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잠금유닛의 보안성을 강화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키에 있어서,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제1 패턴홈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패턴홈에 마련되고,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1 패턴을 포함하는 잠금 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는 PC(Polycarbonate), PA(Polyamide), 및 ABS(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진(Resin)과 Mg, Cr, Cu, Ba, Fe, Ti,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키가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키 박스에 있어서, 상기 잠금 키가 삽입되는 삽입 홀과, 상기 삽입 홀의 일 면에 적층되고,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제2 패턴홈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패턴홈에 마련되고,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키 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는 PC(Polycarbonate), PA(Polyamide), 및 ABS(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진(Resin)과 Mg, Cr, Cu, Ba, Fe, Ti,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패턴의 정전용량에 관계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잠금 키가 등록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유닛에 있어서,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1 패턴을 포함하는 잠금 키와, 상기 잠금 키가 삽입되는 삽입 홀과,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2 패턴과, 상기 제2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계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잠금 키가 등록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잠금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키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제1 패턴홈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은 상기 제1 패턴홈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홀의 일 면에 적층되고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제2 패턴홈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제2 패턴홈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키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잠금 키 또는 상기 삽입 홀 중 어느 하나의 일 면에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잠금 키 또는 상기 삽입 홀 중 다른 하나의 일 면에 요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키가 미리 정해진 만큼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도록 차단하는 멈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패턴은 고유 패턴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패턴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상기 잠금 키가 상기 제2 패턴을 구비하는 상기 키 박스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잠금 유닛은 고유 주파수 패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키가 상기 키 박스에 삽입되어 출력되는 주파수 패턴이 상기 고유 주파수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키가 상기 키 박스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잠금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잠금 키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를 마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일 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1 패턴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패턴홈에 도금 또는 증착 공정을 통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1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키 박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키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를 마련하고, 상기 제2 베이스의 일 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2 패턴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패턴홈에 도금 또는 증착 공정을 통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은 고유 패턴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패턴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는 잠금 유닛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와 이와 결합하는 키 박스는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LDS의 물리적 특성 및 주파수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잠금 키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 박스의 패턴과 잠금 키의 패턴을 달리함으로써 이론상 무한한 패턴의 조합이 가능해져 보안성이 매우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잠금 키를 분실하는 경우에도 키 박스 모듈의 교환 없이 신규 잠금 키만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LDS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잠금 키의 외형과 키 박스의 삽입 홀의 형상을 원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상에 감지패턴을 형성하는 데 접착 공정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안전해지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하는 고열 상황에서 제조됨으로써 제품이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키와 키 박스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잠금 키와 키 박스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키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잠금 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잠금 키가 키 박스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1 패턴과 제2 패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잠금 키와 키 박스에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모재를 준비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은 베이스를 적층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9는 패턴홈을 가공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0은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장층을 적층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유닛(10)은 키 박스(100)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키(200)와 잠금 키(200)가 삽입되는 키 박스(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키(200)와 키 박스(100)는 다양한 장소 및 대상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에 사용되는 잠금 키(200)와 키 박스(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200)와 이와 결합하는 키 박스(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키(200)와 키 박스(100)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잠금 키(200)와 키 박스(100)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키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잠금 키의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3과 도 4는 제1 패턴(113)과 제2 패턴(212)을 도시하기 위하여 도장층(114, 213)을 제거하고 도시하였다.
도면에는 키 박스(100)가 장착되는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키 박스(100)는 운전석 전방에 설치될 수 있고,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키 박스(10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키 박스(100)는 잠금 키(200)가 삽입되는 삽입 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홀(110)은 잠금 키(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잠금 키(20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삽입 홀(110)의 단면도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잠금 키(200)의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삽입 홀(110)의 단면도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홀(110)의 높이 및 너비는 잠금 키(200)의 높이 및 너비 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잠금 키(200)가 삽입 홀(110)에 삽입된 후에 잠금 키(200)의 외면과 삽입 홀(110)의 내면 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잠금 키(200)의 일 면 및/또는 삽입 홀(110)의 일 면에는 스페이서(12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페이서(120)는 잠금 키(200)와 삽입 홀(11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페이서(120)는 삽입 홀(110)의 내면에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삽입 홀(110)의 입구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12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20)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영역은 잠금 키(200)의 외형과 거의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잠금 키(200)의 삽입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공차는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120)는 잠금 키(200)가 키 박스(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홀(110)의 내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키(200)는 삽입 홀(110)에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키 박스(100)는 잠금 키(200)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만 삽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잠금 키(200)의 일 면 및/또는 삽입 홀(110)의 일 면에는 가이드(130, 22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130, 220)는 잠금 키(200)가 키 박스(100)에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되,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특히, 잠금 키(20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가이드가 필요할 수 있다.
가이드(130, 220)는 잠금 키(200)가 삽입 홀(110)에 삽입되는 방향을 유일하게 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키(20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잠금 키(200)는 미리 정해진 방향과 그 방향에 180도 뒤집어진 방향을 포함하여 두 방향으로 삽입 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잠금 키(200)가 정해진 방향으로 삽입 홀(110)에 삽입되면 잠금 키(200)는 가이드를 따라 삽입 홀(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잠금 키(200)가 180도 뒤집어진 상태에서 삽입 홀(110)에 삽입되면 가이드가 잠금 키(200)의 삽입을 방해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삽입 홀(110)의 일 면에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고, 잠금 키(200)의 일 면에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잠금 키(200)는 가이드 홈(220)과 가이드 돌기(130)가 합체하는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잠금 키(200)의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별도의 가이드가 마련되지 않으면 잠금 키(200)는 어느 방향으로도 삽입 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잠금 키(200)의 외면에는 가이드 돌기(130)가, 삽입 홀(110)의 내면에는 잠금 키(200)의 가이드 돌기(130)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 키(200)가 정해진 방향으로 삽입 홀(110)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돌기가 가이드 홈(220)을 따라 삽입될 수 있으므로, 잠금 키(200)는 유일한 방향으로만 삽입 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130, 220)는 잠금 키(200)가 삽입 홀(110)에 삽입되는 방향을 복수 개로 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키(20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잠금 키(200)는 180도 뒤집어진 상태에서도 가이드를 따라 삽입 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잠금 키(200)의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잠금 키(200)의 외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한 쌍의 가이드 돌기(130)가, 삽입 홀(110)의 내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잠금 키(200)의 가이드 돌기(130)들을 각각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 키(200)가 미리 정해진 방향과 그 방향에 180도 뒤집어진 방향을 포함하는 두 방향으로 삽입 홀(110)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가이드 돌기(130)들이 각각 가이드 홈(220)을 따라 삽입될 수 있으므로, 잠금 키(200)는 두 방향으로만 삽입 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잠금 키(200)는 키 박스(100)에 일정한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다. 키 박스(100)에 삽입된 잠금 키(200)가 미리 지정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잠금 키(200)가 일정한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잠금 키(200) 또는 키 박스(100)는 멈춤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잠금 키(200)의 가이드 홈(220)의 단부에는 멈춤부(221)가 마련될 수 있다. 멈춤부(221)는 가이드 홈(220)이 끝나는 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잠금 키(200)는 멈춤부(221)가 키 박스(100)의 가이드 돌기(130)의 단부(131)에 접촉하면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다. 즉, 멈춤부(221)가 가이드 돌기(130)의 단부(131)에 접촉하는 때가 잠금 키(200)가 키 박스(100)에 삽입되는 미리 정해진 위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삽입 홀(110)의 일 면에는 베이스(111)가 적층되고, 베이스(111)의 일 면에는 패턴홈(112)이 형성되며, 패턴홈(112)에는 제1 패턴(113)이 충진되고, 제1 패턴(113)이 형성된 베이스(111)의 일 면에 도장층(114)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잠금 키(200)의 일 면에는 베이스(210)가 적층되고, 베이스(210)의 일 면에는 패턴홈(211)이 형성되며, 패턴홈(211)에는 제2 패턴(212)이 충진되고, 제2 패턴(212)이 형성된 베이스(210)의 일 면에 도장층(213)이 적층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11, 210)와 패턴홈(112, 211)과, 제1 및 제2 패턴(113, 212)과, 도장층(114, 213)에 대해서는 도 6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제1 패턴(113)과 제2 패턴(212) 사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잠금 키(200)가 키 박스(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1 패턴(113)과 제2 패턴(212)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잠금 키(200)의 일 면에는 제1 패턴(113)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 홀(110)의 일 면에는 제2 패턴(2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113)은 Tx 패턴이 사용될 수 있고, 제2 패턴(212)은 Rx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패턴(113)과 제2 패턴(212)은 일정한 패턴 요소가 반복되는 패턴일 수도 있고 일정하지 않은 패턴일 수도 있다. 도면에는 제1 패턴(113)과 제2 패턴(212)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표시하였지만, 패턴들의 수와 형상은 이와 달리 마련될 수 있다.
제2 패턴(212)은 배선을 통해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턴(212)은 제1 패턴(113)과 작용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패턴(113)과 제2 패턴(212) 사이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분석하여 잠금 키(200)가 키 박스(100)에 등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잠금 키(200)가 키 박스(100)에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미리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자 제어수단들을 활성화시키고 계기판의 조명을 킬 수 있다. 그리고 잠금 키(200)가 키 박스(100)에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미지 저장된 알림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경고음을 내거나 계기판에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턴(212)은 범용 패턴으로 마련되고, 제1 패턴(113)은 고유 패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범용 패턴으로 마련되는 제2 패턴(212)을 사용하더라도 고유한 패턴을 가지는 제1 패턴(113)과의 사이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되는 신호는 고유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키 박스(100)에 삽입되는 잠금 키(200)가 등록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잠금 키(200)가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 홀(110)에 삽입된 경우에 제1 패턴(113)과 제2 패턴(212) 사이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키 박스(100)는 잠금 키(200)가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 홀(110)에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잠금 키(200)가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 홀(110)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패턴(113)과 제2 패턴(212) 사이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패턴(212)의 정전용량에 관한 신호 또는 주파수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잠금 키(200)가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 홀(110)에 삽입되면 제1 패턴(113)에 의해 제2 패턴(212)의 정전용량 값이 변화된다. 예를 들어 제1 패턴(113)과 제2 패턴(212) 사이의 상호정전용량에 의해 제2 패턴(212)의 정전용량에 관한 신호가 변화될 수 있다. 또는 잠금 키(200)가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 홀(110)에 삽입되면 제1 패턴(113)에 의해 제2 패턴(212)에 흐르는 전기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된다.
제어부는 제2 패턴(212)의 변화된 정전용량에 관한 신호 또는 주파수에 관한 신호를 분석하여 삽입된 잠금 키(200)가 키 박스(100)에 등록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1 패턴(113)과 다른 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잠금 키(200)가 삽입된다면, 제2 패턴(212)의 변화된 정전용량 값 또는 변화된 주파수는 제1 패턴(113)이 삽입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범용 패턴으로 마련되는 제2 패턴(212)에 고유 패턴으로 마련되는 제1 패턴(113)이 삽입되어 접근하면서 두 패턴(113, 212) 사이에 정전용량과 주파수가 형성되며, 제어부는 이 정전용량 신호 또는 주파수 신호를 통해 등록된 잠금 키(20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등록된 잠금 키(200)의 고유한 제1 패턴(113)과 공통적인 제2 패턴(212)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라 발생하는 고유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잠금 키(200)가 삽입되어 발생되는 주파수 채널이 저장된 고유 주파수 채널과 동일한 경우에 잠금 키(200)가 등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잠금 키(200)와 키 박스(100)에 패턴(330)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잠금 키(200)와 키 박스(100)를 구분하여 설명하지 않으며, 제1 패턴(113)과 제2 패턴(212)을 구분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즉, 이하의 설명은 잠금 키(200)에 제1 패턴(113)을 형성하는 과정과 키 박스(100)에 제2 패턴(212)을 형성하는 과정에 모두 해당할 수 있다.
도 6은 잠금 키(200)와 키 박스(100)에 패턴(113, 212)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잠금 키(200) 또는 키 박스(100)의 외형을 가지는 사출물을 제작하고(230), 사출물의 일 면에 베이스를 코팅하고(240), 베이스의 일 면에 패턴 홈을 가공하고(250), 패턴 홈에 패턴을 형성하고(260),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의 일 면에 도장층을 적층(270)하는 과정을 통해 잠금 키(200) 또는 키 박스(100)에 패턴(113, 212)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330)은 베이스(310) 상에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LDS 공법은 비전도성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지지재를 형성하고, 지지재의 일부를 UV(Ultra Violet) 레이저 또는 엑시머(Excimer) 레이저 등의 레이저에 노출시킴으로써 금속 복합체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 시드를 노출시킨 후, 지지재를 금속화(Metalizing) 하여 지지재의 레이저 노출 부위에 도전성 구조를 형성하는 공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LDS 공법에 대하여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374667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40872호,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2161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는 이들을 참조하도록 한다.
패턴(330)은 도전성 물질로 마련되며, 일 예로, 금속일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금속 중에서도 구리(Cu)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니켈(Ni) 도금을 하여 산화방지 처리를 할 수 있다. 다만, 도전성을 높이기 위해 구리 대신에 금(Au)을 이용할 수도 있다.
베이스(310)는 모재(300)의 일 면에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310)는 모재(300)의 일 면에 코팅 공정을 통해 적층될 수 있다.
베이스(310)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310)는 레진(Resin)과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복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레진(Resin)은 PC(Polycarbonate), PA(Polyamide), 및 ABS(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은 Mg, Cr, Cu, Ba, Fe, Ti,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310)는 다양한 소재로 마련되는 모재(300)의 일 면에 코팅되어 마련될 수 있다. 모재(300)는 수지(Resin), 유리, 또는 가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재(300)는 표면이 딱딱하거나(Stiff) 탄력이 있을 수 있다(Elastic). 그리고 모재(300)는 굳어서 변형이 되지 않을 수도 있고(Rigid) 구부러짐이 가능할 수도 있다(Flexible). 그리고 모재(300)는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모재(300)를 사출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하고, 모재(300)의 윗면 또는 저면에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베이스(310)를 코팅할 수 있다.
또는 도면과 달리 베이스(310)는 모재(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모재(300)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10)의 일 면에는 패턴(330)을 수용하는 패턴홈(320)이 형성된다. 즉, 패턴(330)은 패턴홈(3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패턴홈(320)은 베이스(310)의 일 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된다. 이 때, 홈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베이스(310)는 금속으로 환원되고, 금속으로 환원된 부분은 패턴홈(320)에 금속 시드(Seed)를 형성한다.
패턴(330)은 패턴홈(320) 상에 도금됨으로써 형성된다. 금속 시드 상에 도금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도금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는 패턴(330)은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금 공정과 증착 공정을 결합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패턴(330)이 도금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
베이스(310)는 모재(300)의 형상에 따라 곡면 또는 꺾인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310)의 일 면은 구면의 일부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패턴홈(320)은 베이스(310)의 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패턴홈(320)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310)의 형상에 상관없이 복잡한 형상의 패턴홈(32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패턴홈(320) 상에 패턴(330)을 도금한다. 이 때, 도금 공정의 특성 상 패턴홈(320)의 형상에 상관없이 패턴(330)을 도금할 수 있으며, 패턴홈(320)이 직선 또는 평면으로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도 패턴(330)을 도금하기 용이하다.
다음으로 패턴(330)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모재(300)를 준비하는 과정을, 도 8은 베이스(310)를 적층하는 과정을, 도 9는 패턴홈(320)을 가공하는 과정을, 도 10은 패턴(330)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 11은 도장층(340)을 적층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를 참고하면, 모재(300)가 마련될 수 있다. 모재(300)는 잠금 키(200)의 일 면일 수 있고 또는 키 박스(100)의 수용 홀의 일 면일 수 있다. 모재(300)는 사출 공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모재(300)의 일 면에 베이스(310)가 적층될 수 있다. 베이스(310)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310)는 레진(Resin)과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복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레진(Resin)은 PC(Polycarbonate), PA(Polyamide), 및 ABS(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은 Mg, Cr, Cu, Ba, Fe, Ti,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베이스(310)의 일 면에 패턴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홈(320)은 베이스(310)의 일 면에 UV(Ultra Violet) 레이저 또는 엑시머(Excimer) 레이저 등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한다. 이 때, 홈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열은 금속 복합체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으로 환원시키고, 패턴홈(320)에 금속 시드(Seed)를 형성한다.
패턴홈(320)은 곡면 또는 꺾인 면으로 마련되는 베이스(310)의 일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를 조사하여 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310)의 표면 형상에 상관 없이 다양한 형상의 패턴(330)을 만들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패턴홈(320)에 패턴(330)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330)은 금속 시트가 노출된 패턴홈(320)을 금속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패턴(330)은 패턴홈(320) 상에 도금되는 구리 또는 금을 포함한다. 또한, 산화방지 처리를 위해 구리 도금 상에 니켈을 도금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패턴(330)이 형성된 베이스(310)의 일 면에 도장층(340)을 적층할 수 있다.
도장층(340)은 패턴(330)을 외부의 충격 또는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베이스(310) 상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7 내지 도 10의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잠금 키(200) 또는 키 박스(100)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과정은 도장층(340)을 적층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검사과정에서 적합 판정을 받지 못하여 패턴(330)을 수선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잠금 유닛, 100: 키 박스,
110: 삽입 홀, 111: 베이스,
112: 패턴홈, 113: 제1 패턴,
114: 도장층, 120: 스페이서,
130: 가이드 돌기, 131: 단부,
200: 잠금 키, 210: 베이스,
211: 패턴홈, 212: 제2 패턴,
213: 도장층, 220: 가이드 홈,
221: 멈춤부, 300: 모재,
310: 베이스, 320: 패턴홈,
330: 패턴, 340: 도장층.

Claims (14)

  1. 전도성 소재를 가지는 제1 패턴을 포함하는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키에 있어서,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제2 패턴홈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패턴홈에 마련되고,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키가 상기 키 박스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제1 패턴과 이격되는 잠금 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는 PC(Polycarbonate), PA(Polyamide), 및 ABS(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진(Resin)과 Mg, Cr, Cu, Ba, Fe, Ti,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잠금 키.
  3. 잠금 키가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키 박스에 있어서,
    상기 잠금 키가 삽입되는 삽입 홀과,
    상기 삽입 홀의 일 면에 적층되고,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제1 패턴홈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패턴홈에 마련되고,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제1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키는 전도성 소재를 가지는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정전용량에 관계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잠금 키가 등록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키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는 PC(Polycarbonate), PA(Polyamide), 및 ABS(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진(Resin)과 Mg, Cr, Cu, Ba, Fe, Ti,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키 박스.
  5. 삭제
  6. 잠금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유닛에 있어서,
    상기 키 박스는 상기 잠금 키가 삽입되는 삽입 홀과,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키는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계된 신호 또는 주파수에 관계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잠금 키가 등록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패턴은 고유 패턴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패턴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고,
    다양한 형태의 상기 제2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상기 잠금 키가 상기 제1 패턴을 구비하는 상기 키 박스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잠금 유닛은 고유 주파수 패턴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잠금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키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제2 패턴홈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제2 패턴홈에 마련되는 잠금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 박스는 상기 삽입 홀의 일 면에 적층되고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제1 패턴홈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은 상기 제1 패턴홈에 마련되는 잠금 유닛.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키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잠금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잠금 키 또는 상기 삽입 홀 중 어느 하나의 일 면에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잠금 키 또는 상기 삽입 홀 중 다른 하나의 일 면에 요입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 되는 잠금 유닛.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키가 미리 정해진 만큼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도록 차단하는 멈춤부를 더 포함하는 잠금 유닛.
  12. 삭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키가 상기 키 박스에 삽입되어 출력되는 주파수 패턴이 상기 고유 주파수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잠금 키가 상기 키 박스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잠금 유닛.
  14. 잠금 키가 키 박스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박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키가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를 마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일 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1 패턴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패턴홈에 도금 또는 증착 공정을 통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1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키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를 마련하고,
    상기 제2 베이스의 일 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2 패턴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패턴홈에 도금 또는 증착 공정을 통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은 고유 패턴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패턴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고,
    다양한 형태의 상기 제2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상기 잠금 키가 상기 제1 패턴을 구비하는 상기 키 박스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잠금 유닛은 고유 주파수 패턴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잠금 유닛의 제조 방법.
KR1020160121924A 2016-09-23 2016-09-23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와, 이에 결합하는 키 박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Active KR101953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24A KR101953123B1 (ko) 2016-09-23 2016-09-23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와, 이에 결합하는 키 박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5/377,246 US10196835B2 (en) 2016-09-23 2016-12-13 Patterned locking key, key box combined therewith, locking unit having the patterned locking ke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atterned locking key
CN201611154652.6A CN107869279B (zh) 2016-09-23 2016-12-14 锁定钥匙、钥匙盒、锁定单元及锁定钥匙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24A KR101953123B1 (ko) 2016-09-23 2016-09-23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와, 이에 결합하는 키 박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13A KR20180032813A (ko) 2018-04-02
KR101953123B1 true KR101953123B1 (ko) 2019-02-28

Family

ID=6168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924A Active KR101953123B1 (ko) 2016-09-23 2016-09-23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와, 이에 결합하는 키 박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96835B2 (ko)
KR (1) KR101953123B1 (ko)
CN (1) CN1078692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5528A (zh) 2018-08-15 2018-12-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钥匙、锁芯及锁
CN109667478A (zh) * 2019-01-21 2019-04-23 朱金勇 一种新型的葫芦锁胆机器制作工艺
AT526389A1 (de) * 2022-07-20 2024-02-15 Evva Sicherheitstechnologie Schlüssel für ein Zylinderschloss und Zylinderschlo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246B1 (ko) * 2014-10-17 2016-01-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도전성 패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467Y1 (ko) * 1983-08-24 1985-07-15 송재찬 전자장치가 부가된 괘정장치
US5132661A (en) * 1987-10-02 1992-07-21 Universal Photonix, Inc. Security system employing optical key shape reader
US6552650B1 (en) * 1992-02-14 2003-04-22 Asil T. Gokcebay Coin collection lock and key
JPH08123922A (ja) 1994-10-26 1996-05-17 Nec Corp 識別装置
US5838232A (en) * 1997-08-13 1998-11-17 Kim; Won Suk Multi-purpose locking device using laser and optical fibers
KR100282743B1 (ko) 1998-08-05 2001-02-15 황해웅 복제방지 열쇠 및 그 제조방법
WO2000036252A1 (de) * 1998-12-16 2000-06-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lektronischer schlüssel,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2002276216A (ja) 2001-03-15 2002-09-25 Ace Plastic:Kk 錠前装置とそのキー
EP1990212A1 (en) * 2007-05-07 2008-11-12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Microtechnique SA Recherche et Développement Unique security device for the identification or authentication of valuable goods, fabrication process and method for securing valuable goods using such a unique security device
JP2009091839A (ja) * 2007-10-10 2009-04-30 Tokai Rika Co Ltd コード凹凸キー
JP5021522B2 (ja) * 2008-02-26 2012-09-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カード型電子キー
JP5006260B2 (ja) * 2008-05-29 2012-08-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カード型メカニカルキー
KR100980974B1 (ko) 2008-12-01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 시동 차량의 스마트 키
CH700674A1 (de) * 2009-03-30 2010-09-30 Keso Ag Mechatronische schliessvorrichtung.
EP2237183B1 (en) * 2009-03-31 2013-05-15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Method for security purposes
KR101213958B1 (ko) * 2012-10-12 2012-12-20 주식회사 엘티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내장형 안테나 제조방법
JP6202289B2 (ja) * 2013-03-07 2017-09-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金属細線を含む透明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77918A1 (en) 2013-04-30 2014-11-06 Satyam-Venture Engineering Services Pvt Ltd Compact molded interconnect device for automotive applications
US9418327B1 (en) * 2016-01-29 2016-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ity key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246B1 (ko) * 2014-10-17 2016-01-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도전성 패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13A (ko) 2018-04-02
US10196835B2 (en) 2019-02-05
CN107869279B (zh) 2021-03-02
CN107869279A (zh) 2018-04-03
US20180087291A1 (en)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123B1 (ko) 패턴이 형성되는 잠금 키와, 이에 결합하는 키 박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잠금 유닛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75793B1 (ko) 인몰드된 저항 및 차폐 소자
US8514545B2 (en) In-molded capacitive switch
US10137861B2 (en) Slim-type smart card key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60267728A1 (en) Portable wireless key
KR20080080402A (ko) 차량용 전자 키
US12261002B2 (en) Touch switch structure
JP4625724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5615774B2 (ja) スイッチ用パッキン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キー
KR20080076742A (ko) 투광 성형물의 도금 방법
KR20150068166A (ko)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KR101796614B1 (ko) 차량용 포브 키
JP2012188063A (ja) 車両用フィニッシャー
CN106004786B (zh) 一种用于减少传输干扰的钥匙扣外壳
KR101549677B1 (ko) 터치식 포브키
KR101496321B1 (ko)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KR101866849B1 (ko)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EP2219198B1 (en) Reconfigurable user interface device
KR20180019944A (ko)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CN114787473A (zh) 具有衬饰件的操作装置、车辆以及方法
JP2015101833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502939B1 (ko) 차량용 전자카드 키
JP2017179932A (ja) 電子キー
Washeleski et al. HMI Proximity Sensing for Vehicle Personalization and Enhanced Safety
JP2015200168A (ja) 携帯型無線キ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