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2978B1 - 부유식 해상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978B1
KR101952978B1 KR1020140157060A KR20140157060A KR101952978B1 KR 101952978 B1 KR101952978 B1 KR 101952978B1 KR 1020140157060 A KR1020140157060 A KR 1020140157060A KR 20140157060 A KR20140157060 A KR 20140157060A KR 101952978 B1 KR101952978 B1 KR 101952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mooring equipment
equipment
floating
hu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593A (ko
Inventor
문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9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9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해상구조물의 선체 측부에 <계류장비만의 독립적인 배치를 위한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계류장비만을 전담 지지할 수 있는 계류장비 지지플랫폼>을 추가 설치하고, 이를 통해,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 선체의 일부에 계류장비용 설치공간 및 가동공간을 별도로 배려하지 않은 체, 오로지, 모듈, 장비, 구조물, 비상 탈출로 등의 배치공간만을 여유를 가지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전체적인 선체 공간활용도가 크게 저하되는 피해는 물론, 장비/모듈/구조물간의 간섭/충돌 증가, 인명사고 증가, 선원의 작업능률저하 등과 같은 매우 심각한 2차 피해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구조물{Floating ocean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측부에 <계류장비만의 독립적인 배치를 위한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계류장비만을 전담 지지할 수 있는 계류장비 지지플랫폼>을 추가 설치하고, 이를 통해,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 선체의 일부에 계류장비용 설치공간 및 가동공간을 별도로 배려하지 않은 체, 오로지, 모듈, 장비, 구조물, 비상 탈출로 등의 배치공간만을 여유를 가지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전체적인 선체 공간활용도가 크게 저하되는 피해는 물론, 장비/모듈/구조물간의 간섭/충돌 증가, 인명사고 증가, 선원의 작업능률저하 등과 같은 매우 심각한 2차 피해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FLNG(Floating Liquid Natural Gas plant),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과 같은 각종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여러 분야에 걸쳐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08-111463호(명칭: LNG의 선상 재 기화)(2008.12.23.자 공개)에는 <LNG의 선상 재 기화를 위한 방법>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 제10-1018742호(명칭: 해상 잭업 플랫폼을 이용한 엘엔지 재 기화 설비)(2011.3.4.자 공고)에는 <해상에 설치되는 잭업 플랫폼 위에 모듈화된 엘엔지 재 기화 설비를 함으로써, 엘엔지선에 재 기화 설비를 설치하거나 육상에 재 기화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설치 및 운전비용이나 제작시간을 절감하고 보다 안전하게 엘엔지를 재 기화 할 수 있는 해상 잭업 플랫폼을 이용한 엘엔지 재 기화 설비>가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해상구조물(1)의 선체(1a)에는 자원(예컨대, LNG)를 저장하기 위한 대 규모 저장공간은 물론, 저장되어 있던 자원(예컨대, LNG)을 가공처리(예컨대, 재 기화)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장비들이 추가로 배치되며, 이 상황 하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1)에 의해 생산 및 저장되어 있던 각종 자원(예컨대, LNG)은 자원운반선박(2)에 의해 여러 필요 처로 분산되어 운반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때, 자원운반선박(2)은 부유식 해상구조물(1)의 주변에서 일정시간 부유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주변의 조류와 바람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이 자원운반선박(2)을 어떻게 하면 안정적으로 부유식 해상구조물(1)의 주변에 계류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가 부유식 해상구조물(1)의 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게 된다.
이러한 사안을 고려하여, 종래 에서는 부유식 해상구조물(1) 측 선체(1a)의 일부구역(A), 예컨대, 탑 데크(Top deck), 헐 공간(Hull space), 터릿(Turret) 등에 페어리드(3a)(Fairlead), QRH(3b)(Quick Release Hook), 비트(3c)(BIT) 등과 같은 각종 계류장비(3)를 배치하고, 이 계류장비(3)와 연계된 계류라인(4)을 통해, 자원운반선박(2)의 안정적인 계류를 유도함으로써, 부유식 해상구조뮬(1)의 품질향상을 좀더 폭 넓게 도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12-30059호(명칭: 근해 구조물 및 계류 장치)(2012.3.27.자 공개)에는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계류장비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페어리드(3a)(Fairlead), QRH(3b)(Quick Release Hook), 비트(3c)(BIT) 등과 같은 각종 계류장비(3)가 배치된 선체(1a)의 일부구역(A)에는 상기 계류장비(3) 이외에도, 각종 모듈, 장비, 구조물, 비상 탈출로 등이 빼곡하게 추가로 배치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비좁은 조건 하에서도,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계류장비(3)를 위한 최소한의 설치공간 및 이의 안정적인 가동을 위한 가동공간을 필히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모듈, 장비, 구조물, 비상 탈출로 등의 배치공간에 타이트한 제약을 둘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선체 공간활용도가 크게 저하되는 피해는 물론, 장비/모듈/구조물간의 간섭/충돌 증가, 인명사고 증가, 선원의 작업능률저하 등과 같은 매우 심각한 2차 피해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8-111463호(명칭: LNG의 선상 재 기화)(2008.12.23.자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018742호(명칭: 해상 잭업 플랫폼을 이용한 엘엔지 재 기화 설비)(2011.3.4.자 공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12-30059호(명칭: 근해 구조물 및 계류 장치)(2012.3.27.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체 측부에 <계류장비만의 독립적인 배치를 위한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계류장비만을 전담 지지할 수 있는 계류장비 지지플랫폼>을 추가 설치하고, 이를 통해,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 선체의 일부에 계류장비용 설치공간 및 가동공간을 별도로 배려하지 않은 체, 오로지, 모듈, 장비, 구조물, 비상 탈출로 등의 배치공간만을 여유를 가지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전체적인 선체 공간활용도가 크게 저하되는 피해는 물론, 장비/모듈/구조물간의 간섭/충돌 증가, 인명사고 증가, 선원의 작업능률저하 등과 같은 매우 심각한 2차 피해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선체와; 계류라인을 통해, 상기 선체 주변에 위치한 자원운반선박을 계류시키는 계류장비와; 상기 선체의 측 부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상기 계류장비만의 독립적인 배치를 위한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상기 계류장비를 지지하는 계류장비 지지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계류장비 지지플랫폼은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상기 계류장비를 지지하는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선체의 측 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골격 트러스(Frame trus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체 측부에 <계류장비만의 독립적인 배치를 위한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계류장비만을 전담 지지할 수 있는 계류장비 지지플랫폼>을 추가 설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선체의 일부에 계류장비용 설치공간 및 가동공간을 별도로 배려하지 않은 체, 오로지, 모듈, 장비, 구조물, 비상 탈출로 등의 배치공간만을 여유를 가지고 운영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선체 공간활용도가 크게 저하되는 피해는 물론, 장비/모듈/구조물간의 간섭/충돌 증가, 인명사고 증가, 선원의 작업능률저하 등과 같은 매우 심각한 2차 피해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의 선체(11a)에는 자원(예컨대, LNG)를 저장하기 위한 대 규모 저장공간은 물론, 저장되어 있던 자원(예컨대, LNG)를 가공처리(예컨대, 재 기화)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장비들이 추가로 배치되며, 이 상황 하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11)에 의해 생산 및 저장되어 있던 각종 자원(예컨대, LNG)은 자원운반선박(12)에 의해 여러 필요 처로 분산되어 운반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때, 자원운반선박(12)은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의 주변에서 일정시간 부유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주변의 조류와 바람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이 자원운반선박(12)을 어떻게 하면 안정적으로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의 주변에 계류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가 부유식 해상구조물(1)의 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게 된다.
물론, 이러한 사안을 고려하여, 부유식 해상구조물(11) 측 선체(11a)의 일부구역(A), 예컨대, 탑 데크(Top deck), 헐 공간(Hull space), 터릿(Turret) 등에 페어리드(13a)(Fairlead), QRH(13b)(Quick Release Hook), 비트(13c)(BIT) 등과 같은 각종 계류장비(13)를 배치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도 있겠지만, 상기 선체(11a)의 일부구역(A)에는 각종 모듈, 장비, 구조물, 비상 탈출로 등이 빼곡하게 추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별도의 조치 없이, 상기 선체(11a)의 일부구역(A)에 계류장비(13)를 배치하는 경우,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어쩔 수 없이, 모듈, 장비, 구조물, 비상 탈출로 등의 배치공간에 타이트한 제약을 둘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선체 공간활용도가 크게 저하되는 피해는 물론, 장비/모듈/구조물간의 간섭/충돌 증가, 인명사고 증가, 선원의 작업능률저하 등과 같은 매우 심각한 2차 피해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의 선체(11A) 측부에 <계류장비(13)만의 독립적인 배치를 위한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계류장비(13)를 별도로 전담 지지할 수 있는 계류장비 지지플랫폼(20)>을 추가 설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러한 조치에 따라서, 본 발명의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은 선체(11a)와, 계류라인(14)을 통해, 선체(11a) 주변에 위치한 자원운반선박(12)을 계류시키는 계류장비(13)와, 선체(11a)의 측 부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계류장비(13)만의 독립적인 배치를 위한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상기 계류장비(13)를 지지하는 계류장비 지지플랫폼(20)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자원운반선박(12)에는 계류장비(13), 예를 들어, 페어리드(13a)(Fairlead), QRH(13b)(Quick Release Hook), 비트(13c)(BIT) 등에 상응하는 계류장비(12a)(예컨대, 페어리드, 무어링 윈치 등)가 추가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계류장비 지지플랫폼(20)은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상기 계류장비(13)를 지지하는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21)와, 상기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21)와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선체(11a)의 측 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21)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골격 트러스(22)(Frame truss)가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골격 트러스(22)는 예를 들어, 횡축 트러스(22a), 종축 트러스(22c,22d), 중간 트러스(22b)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함으로써,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21)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좀더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종축 트러스(22c)는 선체(11a)와 계면(L)을 공유하면서, 선체(11a)에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골격 트러스(22)가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21)의 안정적인 지지기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부유식 해상구조물(11)의 선체(11a) 측부에 <계류장비만(13)의 독립적인 배치를 위한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계류장비(13)만을 별도로 전담 지지할 수 있는 계류장비 지지플랫폼(20)>을 추가 설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선체(11a)의 일부구역(A)에 계류장비용 설치공간 및 가동공간을 별도로 배려하지 않은 체, 해당 구역(A) 내에 오로지, 모듈, 장비, 구조물, 비상 탈출로 등의 배치공간만을 여유를 가지고 운영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선체 공간활용도가 크게 저하되는 피해는 물론, 장비/모듈/구조물간의 간섭/충돌 증가, 인명사고 증가, 선원의 작업능률저하 등과 같은 매우 심각한 2차 피해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계류장비 지지플랫폼(20)의 일부, 예를 들어, 종축 트러스(22d)에는 목제, 강제, 고무, 스프링 등의 재질을 가지는 펜더(30)(Fender)가 추가로 돌출 설치된다.
물론, 이러한 펜더(30)의 설치환경 하에서, 계류장비 지지플랫폼(20) 측에서는 자신의 주변에 자원운반선박(12)이 접근한다 하더라도, 펜더(30) 측 완충작용에 의해 해당 자원운반선박(12)과의 강한 접촉 충격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부유식 해상구조물 운영주체 측에서는 자원운반선박(12)의 계류가 수시로 이루어지는 가혹한 환경 하에서도, 계류장비 지지플랫폼(20)의 손상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계류장비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1: 부유식 해상구조물 2,12: 자원운반선박
2a,12a: 자원운반선박 측 계류장비 3,13: 계류장비 4,14: 계류라인
20: 계류장비 지지플랫폼 21: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
22: 골격 트러스 30: 펜더

Claims (3)

  1. 선체와;
    계류라인을 통해, 상기 선체 주변에 위치한 자원운반선박을 계류시키는 계류장비와;
    상기 선체의 측 부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상기 계류장비만의 독립적인 배치를 위한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상기 계류장비를 지지하는 계류장비 지지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계류장비 지지플랫폼은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계류장비 독립배치공간 내에서, 상기 계류장비를 지지하는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선체의 측 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계류장비 지지플레이트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골격 트러스(Frame trus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장비 지지플랫폼의 일부에는 상기 자원운반선박과의 접촉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펜더(Fender)가 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20140157060A 2014-11-12 2014-11-12 부유식 해상구조물 Active KR101952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060A KR101952978B1 (ko) 2014-11-12 2014-11-12 부유식 해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060A KR101952978B1 (ko) 2014-11-12 2014-11-12 부유식 해상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593A KR20160056593A (ko) 2016-05-20
KR101952978B1 true KR101952978B1 (ko) 2019-02-27

Family

ID=5610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060A Active KR101952978B1 (ko) 2014-11-12 2014-11-12 부유식 해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9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224992B2 (en) 2006-03-15 2011-09-01 Woodside Energy Limited Onboard regasification of LNG
EP2256026A1 (en) 2009-05-26 2010-12-01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Offshore structure and mooring arrangement
KR101225688B1 (ko) * 2010-12-10 2013-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체 계류장치
KR101018742B1 (ko) 2010-12-30 2011-03-04 삼성물산 주식회사 해상 잭업 플랫폼을 이용한 엘엔지 재기화 설비
KR20130027672A (ko) * 2011-09-08 2013-03-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설비용 헬리데크
KR101302030B1 (ko) * 2011-09-28 2013-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30050067A (ko) * 2011-11-07 2013-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fpso 가스 시운전을 위한 계류장치를 구비한 해상 부유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593A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861B2 (en) Semi-submersible floating production facility
Sharma et al. Issues in offshore platform research-Part 1: Semi-submersibles
KR101300707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의 지지구조
KR20150137353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추가 부력탱크 탈착구조
KR101952978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1512692B1 (ko) 해양구조물의 터렛 지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20140140751A (ko) 유조선 및 셔틀탱커 겸용 일점계류 시스템
CN203111446U (zh) 浮式生产储油轮供给船护舷平台
KR200482095Y1 (ko) 탑사이드 모듈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JP6773413B2 (ja) 浮体設備、浮体設備の係留方法、浮体設備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浮体設備における避難方法
Cosson et al. Wheatstone subsea installation-Challenges associated with large numbers of Subsea heavy lifts and Spools Offshore Australia
Neto et al. Conversion of Tankers into FPSOs and FSOs: Practical Design Experiences
WO2021111623A1 (ja) 浮体式構造物
Yimtae et al. Converted Barge for Wellhead Platform Decommissioning
Gray Raising titans: How do you salvage a mega-ship?
KR101894298B1 (ko)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Serck-Hanssen IMR in Subsea 7 for Statoil, past and future, the new IMR vessel “Seven Viking”
KR102057347B1 (ko) 자원생산 부분처리 해상구조물
Lopez-Cortijo et al. DP FPSO-A Fully Dynamically Positioned FPSO For Ultra Deep Waters
US20140116317A1 (en) Drilling ship for a polar region
Jones et al. Fender Modernization at Veterans Terminal, Pier M
Howgego Peril on the sea
Bhardwaj et al. Review of FPSO accident and incident data
KR20150001465U (ko)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Taniguchi et al. Basic Design of a Semi-Submersible Rig for Experimental Drilling of Methane Hydrate by “Harmonic Design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