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2906B1 -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906B1
KR101952906B1 KR1020170175736A KR20170175736A KR101952906B1 KR 101952906 B1 KR101952906 B1 KR 101952906B1 KR 1020170175736 A KR1020170175736 A KR 1020170175736A KR 20170175736 A KR20170175736 A KR 20170175736A KR 101952906 B1 KR101952906 B1 KR 101952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ousing
vibration plate
boundary
ear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현
박민구
김민겸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906B1/ko
Priority to CN201811434995.7A priority patent/CN109951769B/zh
Priority to US16/212,858 priority patent/US10448147B2/en
Priority to JP2018231431A priority patent/JP2019115039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9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 H04R1/2834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이어폰과 같은 음향기기의 하우징이 드라이버를 기준으로 둘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사용자의 귀에 통하는 노즐과 하우징 뒷쪽의 통기홀을 덮도록 진동판이 설치된다. 진동판과 하우징이 형성하는 공간의 크기와 진동판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최적의 음질을 확보할 수 있다. 하우징이 밀폐형인 경우, 저역대의 음압 손실 방지에 유리하다.

Description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Acoustic device having multiple vibration plates}
본 발명은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에서는 스피커 모듈과 같은 다이나믹 유닛이 통상 하나의 진동판을 구비하고 있다.
둘 이상의 진동판을 구비하는 기술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공개 2017-0188216호는 도 1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진동기(8") 외, 귀를 향하는 입구에 진동판(5")을 더 설치하고, 사용자의 버튼(4a') 누름 동작에 따라 진동판(5")이 힌지(5a')를 중심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어 주위의 소리를 듣거나 진동기(8")의 음향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 이어폰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는 사용자가 이어폰 사용 중 귀에서 빼지 않고 주위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진동판(5")이 음향의 질을 높이기 위한 부재는 아니다.
다른 음향 기기로 대형의 앰프형 스피커 장치는 풍부한 저음을 재생하기 위하여 캐비넷 배면에 패시브진동판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제10-162208호는 개방부(11")와 면하도록 배치된 진동판(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전달부재(90")를 통해 패시브진동판(30")으로 직접 전달하여 캐비넷 배면으로 저음을 재생 방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전달부재(90")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설계상 제약이 가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어폰을 포함한 현재 음향 기기는 기기 내부에 복수의 진동판을 배열하여 음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음질을 개선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음향 기기 내부에 복수의 진동판을 배열하여 음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음질을 개선할 수 있는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진동판을 구비한 음향 기기로서, 상기 음향 기기는: 음향기기를 둘러싸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드라이버; 및 하우징이 형성한 공간의 경계 또는 경계에 인접하여 설치된 추가의 진동판을 더 포함하는,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이 형성한 공간은 드라이버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제1공간과 상기 일측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2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진동판은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는 제1진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진동판은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는 제2진동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은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에 의하여 외부와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음향기기에 속하는 이어폰으로서,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을 둘러싸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주진동판을 포함하는 드라이버; 및 하우징이 형성한 공간의 경계 또는 경계에 인접하여 설치된 추가의 진동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형성한 공간은 드라이버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제1공간과 상기 일측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2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진동판은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는 제1진동판을 포함하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상기 추가의 진동판은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는 제2진동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은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에 의하여 외부와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제1공간에 사용자의 귀 내부를 향하여 음향을 방출하는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진동판은 상기 노즐을 덮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제2공간의 후방에 통기홀로서의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진동판은 상기 개구를 덮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향기기의 하우징이 형성하는 공간의 경계에 복수의 진동판이 위치하므로 음향의 질을 유지하면서 저역대의 음압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향기기의 하우징 내부가 드라이버를 기준으로 복수 공간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공간이 진동판에 의하여 규정되므로, 공간의 크기와 진동판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최적의 음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는 선행 특허의 이어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또 다른 선행 특허의 이어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진동판을 구비한 이어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이어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토대로, 복수 진동판을 구비한 이어폰의 음향 조절 기능을 설명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제작 과정에서, 제1 및 제2진동판의 장착 단계별로 측정한 주파수-음압 그래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진동판을 구비한 이어폰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 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음향기기의 프레임, 즉 하우징이 형성하는 공간의 경계에 복수의 진동판을 위치시키는 것, 구체적으로는, 음향기기의 하우징 내부를 드라이버를 기준으로 둘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진동판에 의하여 경계 짓도록 하고 있으므로, 공간의 크기와 진동판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최적의 음질을 확보할 수 있고, 저역대의 음압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어폰, 스피커를 포함한 모든 음향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예로 이어폰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진동판을 구비한 이어폰(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이어폰(1)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좌측은 귀의 내부, 예를 들어 외이도를 향하는 쪽이며, 하부는 바깥을 향하는 쪽이다. 편의상 좌측을 전방 또는 전면, 우측을 후방 또는 후면으로도 표기한다.
두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이어폰(1)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부터 노즐(102), 측면 및 후면(104)을 포함한다. 하우징(1)이 형성한 실린더형 공간 내부에 드라이버(2)가 장착된다. 드라이버(2)는 BA(balanced armature). 압전 또는 정전형 트랜스듀서 또는 전자석 부품을 포함하는 음향 재생 부품이나 모듈을 의미한다. 후면(104)에는 통기홀로서의 개구(100a)가 형성된다. 노즐(102) 전방에는 도시되지 않은 이어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이어폰(1)의 변경과 개발에 따라 어느 것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드라이버(2)는 케이싱(200)에 의해 프레임이 규정된다. 케이싱(200)은 측면(202) 및 후면(204)을 포함하여 일체로 제작된다. 드라이버(2)는 기존의 어느 것을 적용해도 좋다. 도시된 드라이버(2)는 3개의 돔(dome)으로 형성된 주진동판(20)과 주진동판(20) 아래에 차례로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22)와 요크(24)를 포함한다. 요크(14)에는 도시하지 않은 마그넷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의 노즐(102)의 전면 외주에는 플랜지(106)가 형성되고, 플랜지(106) 전방으로 립부(108)가 설치되어 있다. 립부(108)의 전면에는 제1진동판(A)이 설치된다. 제1진동판(A)은 노즐(102)을 덮도록 장착된다. 제1진동판(A)은 하우징(100)의 전방을 밀봉하도록 기밀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후면(104)의 개구(100a)와 대면하는 안쪽에는 리브(110)가 형성되고, 리브(110)의 전면에는 제2진동판(B)이 설치된다. 제2진동판(A)은 개구(100a)을 덮도록 장착된다. 제2진동판(B)은 하우징(100)의 후면(104)을 밀봉하도록 기밀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진동판(A)과 제2진동판(B)은 탄성체,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진동을 원활히 하는 매질이면 기존의 어느 것도 채용할 수 있으며, 형상 역시 제한되지 않는다. 또, 전형적인 커널형 이어폰 뿐만 아니라 보이스 코일 일체형의 평판형 진동판 또는 주름 진동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도시한 것과 달리 제1진동판(A)을 노즐(102) 내부에 배치하거나 제2진동판(B)을 하우징(100) 외부에 배치하는 등 설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토대로, 복수 진동판을 구비한 이어폰(1)의 음향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각 부재는 개념적으로 대표적으로 도시되었다.
이어폰(1)은 하우징(100)에 의하여 프레임이 규정된다. 이어폰(1)의 내부는 드라이버(2)를 기준으로 전방의 제1공간(V1)과 후방의 제2공간(V2)으로 구분된다. 제1공간(V1)과 제2공간(V2)은 기밀하게 차단되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100)의 통로 또는 드라이버(2)의 연통 경로에 의하여 연통할 수 있다.
드라이버(2)의 주진동판(20)이 구동하면 제1공간(V1)을 통하여 전달된 진동에 의하여 제1진동판(A)이 구동한다. 제1진동판(A)의 구동에 따라 전면으로 음향이 재생된다. 제1공간(V1)이 밀폐되고 소정 이하의 체적을 가지는 경우, 주진동판(20)의 진동은 거의 소실되지 않고 제1진동판(A)으로 전달된다. 제1진동판(A)을 노즐(102) 안쪽으로 설치할수록, 제1공간(V1)의 체적을 줄일 수 있다.
제2공간(V2)은 통상 제1공간(V1) 보다 큰 용량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드라이버(2)의 주진동판(20)이 구동할 때 제2공간(V2)의 존재는 진동에 저항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드라이버(2) 구동 시 제2진동판(B)도 같이 움직이므로, 체적에 의한 저항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진동판(B)은 그 진동으로 인하여, 제2공간(V2)을 통해 전달되는 저주파수대의 음향이 소실되지 않고 재생되도록 한다.
제1 및 제2진동판(A,B)의 음향 개선 또는 조절 능력은 제1공간(V1) 및 제2공간(V2)의 크기와, 하우징(100) 및 케이싱(200)의 벽 두께나 길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므로, 이들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 음질을 유지하도록 설계한다.
이상 설명한 도 4의 이어폰(1)의 구조는 하우징(100)이 밀폐형 또는 방수형인 경우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진동판(A)과 제2진동판(B)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경계부 역할을 하며, 외부와 이어폰(1) 내부를 차단한다. 그러나. 도 4의 이어폰(1) 구조는 적절한 변형을 거쳐 개방형,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전면에 압력 평형 포트 또는 후면에 추가의 통기홀이 형성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의 제작 과정에서, 제1 및 제2진동판(A,B)의 장착 단계별로 측정한 주파수-음압 그래프이다.
그래프(L1)는 드라이버(2) 뒷쪽의 하우징(100)을 설치하지 않고 제1진동판(A)과 제1공간(V1)을 형성한 단계(a), 그래프(L2)는 드라이버(2) 뒷쪽의 하우징(100)을 설치하여 제2공간(V2)을 형성한 단계(b), 그래프(L3)는 제2공간(V2)에 제2진동판(B)을 설치한 단계(c)를 나타낸다.
단계(a)에서, 저주파수대의 음압 특성을 최대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계(b)에서는 제2공간(V2)이 밀폐되어 체적에 의한 저항을 받아 저역 특성이 열화하였다. 특히, 20hz ~ 200hz의 저역대에서 크게는 5%의 음압 손실이 발생하였다. 단계(c)에서는 하우징(100) 후방의 체적이 밀폐되고, 제2진동판(b)을 부가하여, 저역대 음질이 대폭 개선되었다. 특히, 초저역대인 20hz ~ 100hz에서의 음압 손실 방지에 효과적이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진동판을 구비한 이어폰(1)의 측단면도이다.
도 2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케이싱(200)에 전면(206)을 설치한 점 그리고 전면(206)과 하우징(100)의 간극을 가스켓(g)으로 차단한 점이다. 도 2의 경우, 케이싱(200)에 전면을 설치할 필요 없이 주진동판(20)과 노즐(102)을 직접 연통시켜 제1공간(V1)을 형성하였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면(204)과 주진동판(20) 사이에 추가의 제3공간(V3)이 형성되는 점에서 다르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제3공간(V3)은 제1공간(V1)과 연통되므로 후자에 포함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3공간(V3)은 다양한 형상의 케이싱(200)을 가진 드라이버유닛(2) 적용 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 역시 앞서와 같은 효과를 발휘함은 자명하다. 당업자라면 제2실시예의 변형예의 하나 이상을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특징은 복수의 진동판으로 규정되는 복수의 공간을 통한 음질 최적화 및 저역대 음압 손실 방지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형적인 이어폰 뿐만 아니라 스피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 모든 음향 부품에 두루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10)

  1. 복수의 진동판을 구비한 음향 기기로서, 상기 음향 기기는:
    음향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주진동판을 포함하는 드라이버; 및
    하우징이 형성한 공간의 경계 또는 경계에 인접하여 설치된 추가의 진동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형성한 공간은 드라이버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제1공간과 상기 일측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2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진동판은 상기 제1공간의 경계 또는 경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진동판과 상기 제2공간의 경계 또는 경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진동판을 더 포함하는, 음향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은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에 의하여 외부와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음향기기.
  5. 복수의 진동판을 구비한 이어폰으로서,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을 둘러싸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주진동판을 포함하는 드라이버; 및
    하우징이 형성한 공간의 경계 또는 경계에 인접하여 설치된 추가의 진동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형성한 공간은 드라이버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제1공간과 상기 일측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2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진동판은 상기 제1공간의 경계 또는 경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진동판과 상기 제2공간의 경계 또는 경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진동판을 더 포함하는, 이어폰.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은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에 의하여 외부와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이어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공간에 사용자의 귀 내부를 향하여 음향을 방출하는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진동판은 상기 노즐을 덮는 위치에 설치되는, 이어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2공간의 후방에 통기홀로서의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진동판은 상기 개구를 덮는 위치에 설치되는, 이어폰.
  10. 삭제
KR1020170175736A 2017-12-20 2017-12-20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 Active KR10195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36A KR101952906B1 (ko) 2017-12-20 2017-12-20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
CN201811434995.7A CN109951769B (zh) 2017-12-20 2018-11-28 具有多个振动板的音响设备
US16/212,858 US10448147B2 (en) 2017-12-20 2018-12-07 Acoustic device having multiple diaphragms
JP2018231431A JP2019115039A (ja) 2017-12-20 2018-12-11 複数の振動板を備えた音響器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736A KR101952906B1 (ko) 2017-12-20 2017-12-20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906B1 true KR101952906B1 (ko) 2019-02-28

Family

ID=6558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736A Active KR101952906B1 (ko) 2017-12-20 2017-12-20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48147B2 (ko)
JP (1) JP2019115039A (ko)
KR (1) KR101952906B1 (ko)
CN (1) CN1099517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0761B (zh) * 2018-06-25 2024-11-05 歌尔股份有限公司 扬声器及便携终端
US20210329370A1 (en) * 2018-11-14 2021-10-21 Orfeo Soundwork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earset
GB2595234B (en) * 2020-05-18 2022-06-01 Waves Audio Ltd Control of an electrostatic acoust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300B1 (ko) * 2011-04-13 2012-08-22 부전전자 주식회사 음압 평탄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3397A (ja) * 1988-04-01 1989-10-09 Yamaha Corp 音響装置
EP0340435A3 (en) * 1988-04-01 1991-04-24 Yamaha Corporation Acoustic apparatus
JP2953800B2 (ja) * 1991-03-06 1999-09-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ヘッドホン
JP3154214B2 (ja) * 1992-09-25 2001-04-09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WO2008119056A1 (en) * 2007-03-27 2008-10-02 Future S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earphone device
CN102395091A (zh) * 2011-09-28 2012-03-28 庄志捷 一种具有驱动单元的平面振膜扬声器
US8971561B2 (en) * 2012-06-20 2015-03-03 Apple Inc. Earphone having a controlled acoustic leak port
JP3181496U (ja) * 2012-06-22 2013-02-14 イースタン テクノロジーズ ホールディング リミテッド 張力を用いたフィルム構造を有するイヤホン
US9615158B2 (en) * 2015-03-08 2017-04-04 Bose Corporation Earpiece
EP3541093B1 (en) * 2015-09-30 2022-09-21 Apple Inc. Earbud case and earbud with magnetic retention system
JP6668138B2 (ja) * 2016-03-29 2020-03-18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イヤホン
CN205726251U (zh) * 2016-04-19 2016-11-23 万魔声学科技有限公司 耳机
WO2018048846A1 (en) * 2016-09-06 2018-03-15 Apple Inc. Earphone assemblies with wingtips for anchoring to a u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300B1 (ko) * 2011-04-13 2012-08-22 부전전자 주식회사 음압 평탄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5039A (ja) 2019-07-11
US10448147B2 (en) 2019-10-15
CN109951769A (zh) 2019-06-28
CN109951769B (zh) 2021-08-31
US20190191239A1 (en)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858B2 (en) Loudspeaker module and terminal device
US10939217B2 (en) Audio device with acoustic valve
US20190208301A1 (en) Audio device with acoustic valve
US8660289B2 (en) Multiple receiver venting system
CN113271512A (zh) 具有压力平衡结构的耳道式耳机
KR20210103530A (ko) 음향장치 및 전자장치
US11368784B2 (en) Receiver unit having pressure equilibrium structure and compensation structure for low frequency
US11308933B2 (en) Noise cancellation enabled audio device and noise cancellation system
CN102196330B (zh) 耳机
CN104956685A (zh) 多驱动器耳塞
KR20210103528A (ko) 음향장치 및 전자장치
US20210099786A1 (en) Earphone
KR101756653B1 (ko) 어쿠스틱 필터를 갖는 소음 차폐 이어셋
US11395060B2 (en) Receiver having pressure equilibrium structure
KR101092958B1 (ko) 이어셋
KR101767467B1 (ko) 소음 차폐 이어셋 및 이의 제조방법
US7088838B2 (en) Speakerphone accessory assembly
KR101952906B1 (ko)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
KR101937032B1 (ko)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셋
CN114866631A (zh) 电子设备
KR102161637B1 (ko) 복수 진동판을 가진 음향기기
US12047722B2 (en) Electroacoustic earcups for open-back headphones
KR102110324B1 (ko) 음향 제어 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유닛
CN217088133U (zh) 一种应用于电子设备的扬声器装置结构
KR102694789B1 (ko) 드라이버 설치용 브라켓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리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92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