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1497B1 -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micro usb plug connector combined with it - Google Patents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micro usb plug connector combined with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497B1
KR101951497B1 KR1020140135194A KR20140135194A KR101951497B1 KR 101951497 B1 KR101951497 B1 KR 101951497B1 KR 1020140135194 A KR1020140135194 A KR 1020140135194A KR 20140135194 A KR20140135194 A KR 20140135194A KR 101951497 B1 KR101951497 B1 KR 101951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contact
plug
sub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1412A (en
Inventor
강명훈
김동희
김덕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497B1/en
Publication of KR2016004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49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결합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의 메인 플러그 컨택트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의 양측에 형성되어 추가적인 모듈의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상기 컨택트가 유지된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덮어 보호하는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외부를 감싸는 리셉터클 쉘;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보다 서포트 플레이트가 위치한 상부 방향으로 높이 위치하여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와 다른 접점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a micro USB connector plug coupled thereto. A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receptacle contact formed corresponding to a main plug contact of a plug connector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A sub receptacle contac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of an additional module; A receptacle insulator for holding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and the sub receptacle contacts; A support plate covering and protecting the receptacle insulator with the contacts held therein; And a receptacle shell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insulator, wherein the sub-receptacle contact is located higher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in an upper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located, and may have a contact height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Description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결합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MICRO USB PLUG CONNECTOR COMBINED WITH I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a micro USB connector,

본 발명은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여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USB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 USB connector capable of providing structural stability and preventing a short circuit.

최근 대중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는 휴대폰, 노트북, PMP, 휴대용 게임기, MP3 플레이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그 종류와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커넥터는 휴대용 전자기기 내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되어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전원 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데 활용되고 있다.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s, PMPs, portable game machines, MP3 players, smart phones, and the like, which have been widely popularized by the public in recent years, are gradually expanding in type and function. Particularly,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for data communication. The connector is composed of a receptacle connector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lug connector fastened thereto, Or to connect the power supply to supply power.

이러한 커넥터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마이크로 유에스비(Micro-USB)이다.Micro-USB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connectors.

이중, 플러그 커넥터는 마이크로 USB 2.0의 규격에 맞는 5개의 메인 플러그 컨택트,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의 양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브 플러그 컨택트 및 상기 컨택트들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를 감싸는 플러그 쉘을 포함한다.The plug connector includes five main plug contacts conforming to the micro USB 2.0 standard, at least one sub plug contact on both sides of the main plug contact, and a plug insulator for inserting and connecting the contacts and a plug shell surrounding the insulator .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체결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서브 플러그 컨택트의 하단에 형성된 컨택트 도피부의 일부가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파손된 서브 컨택트의 도피부를 통해 플러그 쉘과 쇼트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plug connector is fasten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A part of the contact escaping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lug contact may be broken.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lug contact may be short-circuited with the plug shell through the escaping portion of the broken sub-contact.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는 이웃한 핀 간의 전기적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버르(Burr)로 인한 쇼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ceptacle contact can not secure a sufficient electric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djacent fins, resulting in a short circuit due to burrs, thereby damaging the parts.

한국등록특허 제1265270호(2013.05.24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265270 (Announcement 2014.05.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여 제품의 손상을 막음으로써 쇼트 발생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for preventing a short circuit by preventing damage to a product by providing structural stability.

또한, 핀 간의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secure a sufficient separation distance between pins to prevent a short circu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의 메인 플러그 컨택트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의 양측에 형성되어 추가적인 모듈의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상기 컨택트가 유지된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덮어 보호하는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외부를 감싸는 리셉터클 쉘;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보다 서포트 플레이트가 위치한 상부 방향으로 높이 위치하여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와 다른 접점 높이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comprising: a main receptacle contact formed to correspond to a main plug contact of a plug connector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A sub receptacle contac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of an additional module; A receptacle insulator for holding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and the sub receptacle contacts; A support plate covering and protecting the receptacle insulator with the contacts held therein; And a receptacle shell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insulator, wherein the sub-receptacle contact is located higher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in an upper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located, and may have a contact height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의 높이차는 0.03mm보다는 크고, 0.13mm보다는 작을 수 있다.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ub-receptacle contact and the main receptacle contact may be greater than 0.03 mm and less than 0.13 mm.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보다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형태로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sub receptacle contact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in a form of a relatively shorter length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의 전원 단자 역할을 하는 핀은 이웃한 핀과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pins serving as the power supply terminals of the sub receptacle contacts may have different lengths from the neighboring pins.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의 전원 단자 역할을 하는 핀은 이웃한 핀보다 그 길이가 짧을 수 있다.The pin serving as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may be shorter than the neighboring pin.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는, 리셉터클 쉘의 제 2 돌기부의 후면을 지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 제지를 보조하는 제 2 몰드부; 및 상기 리셉커클 쉘의 제 1 돌기부의 후면을 지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을 제지를 추가적으로 보조하는 제 1 몰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ptacle insulator includes: a second mold part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part of the receptacle shell to assist over-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And a first mold part that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part of the force lock shell and further assists deterrence of over 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상기 제 2 몰드부는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가 삽입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몰드부와 그 길이가 같을 수 있다.The second mold part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molded part of the receptacle insulator into which the sub-receptacle contact is inserted.

상기 제 2 몰드부는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mold part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ceptacle insulator.

상기 제 2 몰드부는 리셉터클 쉘의 제 2 돌기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 제지를 보조하는 제 2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몰드부는 리셉터클 쉘의 제 1 돌기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 제지를 추가적으로 보조하는 제 1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second mold part includes a second groove part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part of the receptacle shell to assist in over-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and the first mold part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protrusion part of the receptacle shell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roove portion which is formed to further assist in over-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상기 리셉터클 쉘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락킹홀에 대응되게 상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탄성을 가지는 제 1 락킹 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ptacle shell may include a first locking member 18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hole of the plug connector and having elasticity in an inwardly projecting shap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메인 플러그 컨택트;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의 양측에 형성되어 추가적인 모듈의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서브 플러그 컨택트;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하고, 상기 컨택트의 도피를 위한 공간인 컨택트 도피부를 포함하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외부를 감싸고,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체결 시 오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역삽입 방지 구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쉘;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도피부 중 역삽입 방지 구조부와 인접한 제 1 컨택트 도피부는 이웃한 제 2 컨택트 도피부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 USB connector, comprising: a main plug contact formed to correspond to a main receptacle contact of a receptacle connector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A sub plug contac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plug contact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portion of an additional module; A plug insulator for holding the main plug contact and the sub plug contact and including a contact escape portion which is a space for escape of the contact; And a plug shell which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plug insulator and includes a plug insertion preven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misjunction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contact escape portion may be shorter in length than the neighboring second contact escape portion.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보다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태로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의 양측에 형성되며, 리셉터클 커넥터의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할 수 있다.The sub plug contac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plug contact in a form of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main plug contacts and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ub receptacle contact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o provide the electrical contact portions.

상기 플러그 쉘은, 리셉터클 쉘의 제 1 락킹 부재(180)에 결합되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체결을 견고히 하기 위한 락킹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g shell may include a locking hole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member 180 of the receptacle shell to secure the fastening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상기 락킹홀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제 1 락킹 부재(18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member 180 of the receptacle shell.

상기 제 1 컨택트 도피부와 제 2 컨택트 도피부의 길이차는 0.03mm보다는 크고, 0.13mm보다는 작을 수 있다.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first contact escape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escaping portion may be larger than 0.03 mm and smaller than 0.13 mm.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및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 USB connector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micro USB connecto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를 포함하여 전자기기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micro USB connector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와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의 접점 높이를 다르게 배열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height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and the sub-receptacle contact are differently arranged to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lug connector, thereby preventing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coupled .

또한,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와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 간의 높이 차이를 통해 절연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by securing an insulation distance through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and the sub receptacle contac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가 결합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가 결합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정면도,
도 5는 도 4a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a) 및 도 4b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b),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도,
도 7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정면도(b)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receptacle insulator to which a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S. 3A to 3C illustrate a receptacle insulator to which a sub-receptacle conta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4A is a front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4B is a front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4A and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front view of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7B is a front view (b) of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a term can be properly defined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택트가 결합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가 결합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plan view of a receptacle insulator to which a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and FIGS. 3A to 3C illustrate a plan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receptacle insulator to which the sub-receptacle contacts are coupled.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컨택트, 서포트 플레이트(130),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 및 리셉터클 쉘(170)을 포함한다.1 to 3C,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ceptacle contact, a support plate 130, a receptacle insulator 150, and a receptacle shell 170. As shown in Fig.

리셉터클 컨택트는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컨택트와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 및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추가적인 모듈의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ptacle contact includes a main receptacle contact 110 providing a plug contact and an electrical contact portion of a plug connector and a sub receptacle contact 1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of a further module .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에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 배열되어 설치되고,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의 플러그 컨택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는 통상의 마이크로 유에스비의 핀 규격을 만족하도록 5개의 핀이 일정 피치로 배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receptacle contacts 110 are arranged in the receptacle insulator 150 by an insert molding method and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g contacts of the plug connector (not shown) to provide electrical contact portions. At this time,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five pins are arranged at a constant pitch so as to satisfy a pin specification of a conventional micro USB.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의 다수 개의 핀 중 전원핀 역할을 하는 1번 핀(111)은 나머지 다른 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전원핀 역할을 하는 1번 핀(111)의 길이를 나머지 다른 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이유는 서포트 플레이트(130) 및 이웃한 2번 핀과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여 버르(Burr)로 인한 쇼트를 방지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pin 111 serving as a power pin among the plurality of pin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may be shorter than the remaining pins. The reason why the length of the first pin 111 serving as the power supply pi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other pins is that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late 130 and the adjacent second pin is secured, It is to prevent short.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보다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형태로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별도로 추가 접속 모듈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 추가 접점부를 제공할 수 있다.The sub receptacle contacts 1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110 in a form of a relatively shorter length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110. [ This may provide an additional contact portion when connecting the additional connection module to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separatel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열되며, 상기 양측에 배열된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의 개수가 같거나 다른 개수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를 기준으로 좌, 우측에 각각 3개를 형성할 수 있다.2, at least one or more sub-receptacle contacts 120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and the number of the sub-receptacle contacts 120 arranged on both sides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arranged in a numb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ree sub receptacle contacts 120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마찬가지로 컨택트 간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절연거리를 확보함으로써 버르(Burr)로 인해 쇼트가 발생하여 제품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may have a 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to ensure an insulation distance, thereby preventing a product from being broken due to a short due to a burr.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 중에 메인 리셉트클 컨택트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전원 단자 역할을 하는 3번 핀(123)의 길이는 다른 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전원 핀 역할을 하는 3번 핀(123)과 다른 핀 간의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핀 간의 단차(이격 거리)로 인해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1번 핀과 3번 핀은 길이를 같게 하고 상대적으로 2번 핀의 길이만 ?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전원 핀 역할을 하는 3번 핀과 이웃한 핀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고,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시 서브 플러그 컨택트와 추가적인 전기적 접점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이면 관계 없다. 즉,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다양한 길이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length of the third pin 123 positioned nearest to the main receptacle contact in the sub-receptacle contact 120 and acting as a power supply terminal is relatively longer than other pins. As described above, by making the length between the third pin 123 serving as the power supply pin and the other pins different, the insulation distance is ensured due to the step differenc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in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but pins 1 and 3 have the same length and relatively only the length of the second pin can be formed, and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pin 3 and the neighboring pin And may be of any form capable of providing additional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ub plug contact when coupled with the plug connector. 3A to 3C,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may be formed in the receptacle insulator 150 in various lengths.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플러그 컨택트의 핀간 단차(이격 거리)로 인해 버르(Burr)로 인한 쇼트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duct from being damaged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due to Burr due to the step difference (distance between pins) of the sub plug contact.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다른 접점 높이로 배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상대적으로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보다 서포트 플레이트(130)가 위치한 상부 방향으로 높게 위치시켜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다른 접점 높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설명은 도 4a 내지 도 4b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may be arranged at a different contact height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receptacle contact 1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in the upper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late 130 is located to provide a different contact height from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can d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B.

도 4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정면도, 도 5는 도 4a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a) 및 도 4b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b)이다.Fig. 4A is a front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4B is a front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along line III-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도 4a에서 부분 확대된 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접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도 7a)를 결합할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는 컨택트 도피부(630)가 형성된 아래 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두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컨택트 도피부(630)로 이동된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는 상기 컨택트 도피부(630)의 일측에 맞닿아 힘을 전달한다.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 중 플러그 쉘(670)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가장 인접한 1번 핀(621)의 하부에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는 플러그 쉘(670)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인접한 모서리부의 몰드 영역이 부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1번 핀(621)의 하부에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는 이동된 서브 플러그 컨택트(621)에 의해 힘을 전달 받아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621)는 상기 파손된 컨택트 도피부(630)를 통해 플러그 쉘(670)과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partially enlarged view A in FIG. 4A, the conventional sub-receptacle contact 120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to provide a contact.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the plug connector (FIG. 7A)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re coupled, the sub plug contact 620 of the plug connector moves due to elasticity downward formed with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Combining is done. At this time, the sub plug contact 620 moved to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abuts against one side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to transmit the force.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located under the first pin 621 closest to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of the plug shell 670 among the sub plug contacts 620 is inserted into the plug shell 670, The mold region of the corner portion adjacent to the structure portion 671 is insufficiently formed.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n 621 can be damaged by receiving the force by the moved sub plug contact 621. [ Accordingly, the sub plug contact 621 contacts the plug shell 670 through the broken contact protruding part 630, and a short circuit may occur.

반면, 도 4b에서 부분 확대된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다른 접점 높이로 배열할 수 있다.4B, the sub-receptacle contac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at a different contact height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

예컨대,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서의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의 일면에 일부 삽입되어 결합되는 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상기 종래기술에서 보다 좀 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의 내부로 삽입시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보다 서포트 플레이트가 위치한 상부 방향으로 높게 위치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 간에는 단차(d)가 발생한다.5 (a) and 5 (b),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in the prior art is partially inserted into and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receptacle insulator 150, while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20) is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insulator (150) more than in the prior art. Accordingly,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can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in the upper direction where the support plate is located. Accordingly, a step d is generated betwee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and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즉,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상대적으로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보다 서포트 플레이트가 위치한 상부 방향으로 높이 위치하여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다른 접점 높이를 제공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in the upper direction where the support plate is located, thereby providing a different contact height from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이와 같이,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보다 서포트 플레이트가 위치한 상부 방향으로 높게 위치시키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할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가 컨택트 도피부(630)가 형성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는 상기 컨택트 도피부(630)의 일측에 맞닿아 전달되는 힘이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택트 도피부(630)는 이동된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에 의해 힘을 적게 받아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파손에 의해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height of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in the upper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loca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coupled, the sub plug contacts 620 The contact force is transmitted to one side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and is transmitted to the sub-plug contact 620 relatively less than in the prior art, even if the contact escaping portion 630 is moved downward. Therefore,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receives less force by the moved sub plug contact 620, and can prevent breakage, and can prevent a short circuit due to the breakage.

바람직하게, 상기 단차(d)는 0.03mm보다는 크고 0.13mm보다는 작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0.08mm인 것으로 설명한다.Preferably, the step (d) is greater than 0.03 mm and less than 0.13 mm, which is 0.08 mm in this embodiment.

상기 단차(d)의 수치 범위에 대한 효과는 후술할 플러그 커넥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effect on the numerical range of the step (d) will be described in the plug connector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추가적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서브 플러그 컨택트 하단에 마련된 컨택트 도피부의 파손 방지를 더욱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 중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는 이웃한 2번 핀(622)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2)보다 그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즉,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는 이웃한 2번 핀(622)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2)보다 컨택트의 이동 공간을 작게 형성하여 그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 핀 중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는 플러그 쉘(670)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인접한 모서리부의 몰드 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구조상으로 안정될 수 있다. Further, in order to further prevent breakage of the contact escaping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b plug contact of the plug connector,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in which the first pin 621 of the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The length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2 may be shorter than that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2. That is,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in which the first pin 621 is located can be made smaller in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ntact than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2 in which the second pin 622 is located, .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in which the first pin 621 of the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can enlarge the mold region of the edge portion adjacent to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of the plug shell 670 So that it can be more structurally stable than the prior art.

상술한 것처럼,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의 접점 높이를 다르게 배열 즉,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의 접점 위치를 상대적으로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의 접점 위치보다 서포트 플레이트가 위치한 상부 방향으로 높게 형성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tact point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110 and the sub receptacle contacts 120 are arrang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ontact position of the sub receptacle contacts 120 is relatively positioned relative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110 So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lug connector is secured, thereby preventing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coupled.

또한,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 간의 높이 차이를 통해 절연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hort-circuiting by ensuring the insulation distance through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and the sub-receptacle contact 120. [

플러그 커넥터와 관련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7b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plug connecto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B.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는 플라스틱 수지를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후술되는 서포트 플레이트를 인서트 몰딩 금형에 넣고 지그로 고정한 상태에서 플라스틱 수지를 상기 금형 내부로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플라스틱 수지를 금형의 내부에 주입하였을 경우, 인서트 몰딩 금형에 위치시킨 리셉터클 컨택트와 서포트 플레이트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그로 고정하게 된다.The receptacle insulator 150 can be formed by injecting a plastic resin by an insert molding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receptacle contact and a support plat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an insert molding die, and a plastic resin may be injected into the die while being fixed by a jig. At this time, when the plastic resin is injected into the mold, it is fixed with a jig to prevent the receptacle contacts and the support plate placed in the insert molding die from moving.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는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후술할 서포트 플레이트가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 수용되어 형성되면, 리셉터클 쉘의 후면측으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The receptacle insulator 150 can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rear side of the receptacle shell when the receptacle contact and the support plate to be described later are received and formed by the insert molding metho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는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을 제지하여 접속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몰드부(151) 및 제 2 몰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eceptacle insulator 150 may include a first mold part 151 and a second mold part 152 for preventing over 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to prevent occurrence of connection failure.

상기 제 2 몰드부(152)는 리셉터클 쉘(170)의 제 2 돌기부(17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홈부(15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홈부(153)는 리셉터클 쉘(170)의 제 2 돌기부(172)의 후면을 지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 제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몰드부(151)는 리셉터클 쉘(170)의 제 1 돌기부(17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홈부(15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홈부(154)는 리셉터클 쉘(170)의 제 1 돌기부(171)의 후면을 지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을 추가적으로 제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에 의한 접속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mold part 152 includes a second groove 15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sion 172 of the receptacle shell 170. At this time, the second groove 153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172 of the receptacle shell 170 to assist in over 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The first mold part 151 includes a first groove part 15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part 171 of the receptacle shell 170. At this time, the first groove 154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71 of the receptacle shell 170 to further prevent over 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so that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is coupled with the plug connec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onnection failure due to over-insertion of the connector.

이때, 상기 제 2 몰드부(152)의 길이(H')는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가 삽입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의 몰드부의 길이(H)와 같게 형성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시 상기 제 2 몰드부(152)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이 제지됨으로써 과삽입으로 인한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접속 불량 또한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상기 제 2 몰드부(152)는 그 위치가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보다 앞쪽에 위치하여 과삽입을 방지하고 컨택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 관계없다.At this time, the length H 'of the second mold part 152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length H of the molded part of the receptacle insulator 150 into which the sub-receptacle contact 120 is inserted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due to 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by preventing 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by the second mold part 152 and also to prevent connection fail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mold part 152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ub-receptacle contact 1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thereby preventing the insertion and the damage of the contact. none.

또한, 상기 제 2 몰드부(152)는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mold part 152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ceptacle insulator 150.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상기 제 2 몰드부(152)는 상기 제 2 돌기부(172)의 후면을 지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 제지를 보조할 수 있는 위치 어디든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second mold part 152 may be formed at any position that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part 172 and can assist the over 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서포트 플레이트는 리셉터클 컨택트가 유지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리셉터클 컨택트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며, 스테인레스(Stainless)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를 사이에 두고 리셉터클 컨택트와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covers a part or the whole of the receptacle insulator 150 in which the receptacle contacts are held and serves to protect the receptacle contacts from external shocks and can be made of stainless steel. The support plate may be positioned opposite the receptacle contact with the receptacle insulator 150 therebetween.

리셉터클 쉘(170)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5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서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을 돕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 쉘(170)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시 오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모서리 일부가 경사진 형태일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리셉터클 컨택트와 대향하는 일측의 양쪽 모서리부가 경사진 형태로 후술할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쉘(670)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ceptacle shell 170 may cover at least a part or the whole of the receptacle insulator 150 and may shield the receptacle shell 170 and assist in coupling with the plug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receptacle connector. At this time, the receptacle shell 17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art of an edge thereof is inclined in order to prevent misjunction when the receptacle shell 170 is engaged with the plug connector. In this embodiment,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shell 170, opposite to the receptacle contact, The plug shell 67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lug shell 670 of the plug connector to be connected.

상기 리셉터클 쉘(170)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시 체결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제 1 락킹 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ptacle shell 170 may include a first locking member 180 for securing engagement in engagement with the plug connector.

상기 제 1 락킹 부재(180)는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부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결합시 락킹홀(680)에 걸림으로써 체결을 견고히 할 수 있다.The first locking member 180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and may have elasticity. This can secure the fastening by engaging with the locking hole 680 when engaged with a plug connector to be described later.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도, 도 7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정면도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정면도(b)이다.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front view of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7B is a front view (b) of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컨택트, 플러그 인슐레이터(650) 및 플러그 쉘(670)을 포함할 수 있다.6 to 7B, th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lug contact, a plug insulator 650, and a plug shell 670. [

플러그 컨택트는 메인 플러그 컨택트(610) 및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g contact may include a main plug contact 610 and a sub plug contact 620.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610)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컨택트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할 수 있다.The main plug contact 6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eceptacle conta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portion.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는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610)보다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태로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6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의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할 수 있다.The sub plug contacts 6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plug contacts 610 in a shape of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main plug contacts 610 and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ub receptacle contact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So that the electrical contact portion can be provided.

플러그 인슐레이터(650)는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610)와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main plug contact 610 and the sub plug contact 62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plug insulator 650.

도 6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의 하부 측에는 컨택트 도피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 도피부(630)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체결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컨택트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른 도피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As shown in Figs. 6 to 7B, the contact escaping portion 63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ug contact.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is a component for providing an escape space as the plug contact of the plug connector moves downward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fastened.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컨택트 하부에 형성된 컨택트 도피부(630)는 파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파손된 컨택트 도피부(630)를 통해 플러그 쉘(670)과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plug connector is coupled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lug contact of the plug connector may be damaged, (670) to cause a short circuit.

즉, 도 4a 및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접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할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는 컨택트 도피부(630)가 형성된 아래 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두 커넥터 간의 결합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이때, 컨택트 도피부(630)로 이동된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는 상기 컨택트 도피부(630)의 일측에 맞닿아 힘을 전달한다. 도 7a, 자세하게는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가 삽입된 플러그 인슐레이터(650)의 일부가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 중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는 플러그 쉘(670)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인접한 모서리부의 몰드 영역이 부족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택트 도피부(631)는 이동된 서브 플러그 컨택트(621)에 의해 힘을 전달 받아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플러그 컨택트(621)는 상기 파손된 컨택트 도피부(631)를 통해 플러그 쉘(670)과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4A and 7A,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to provide a contact point. At this time,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re coupled, the sub plug contact 620 of the plug connector is moved by elasticity in a downward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is formed, . At this time, the sub plug contact 620 moved to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abuts against one side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to transmit the force. 7A, 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plug insulator 650 into which the sub plug contact 620 is inserted is extended to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where the first pin 621 of the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The contact protruding portion 631 is deformed by the moved sub plug contact 621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mold region of the corner portion adjacent to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of the plug shell 670 is insufficiently formed, And can be damaged. Thus, the sub plug contact 621 contacts the plug shell 670 through the broken contact escape portion 631 and a short can occur.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컨택트 하부에 형성된 컨택트 도피부(630)는 플러그 쉘(670)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인접한 모서리부의 몰드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구조상으로 안정될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lug contact of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into a corner of the plug shell 670, A sufficient mold area can be ensured, and therefore, it can be more structurally stable than the prior art.

즉, 도 4b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다른 접점 높이로 배열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는 상대적으로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보다 서포트 플레이트가 위치한 상부 방향으로 높이 위치하여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와 다른 접점 높이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B and 7B,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ranged at a contact height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That is,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in the upper direction where the support plate is located, thereby providing a contact height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이와 같이,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보(110)다 서포트 플레이트가 위치한 상부 방향으로 높게 위치시키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할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가 컨택트 도피부(630)가 형성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컨택트 도피부(630)의 일측에 맞닿아 전달되는 힘이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택트 도피부(630)는 이동된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에 의해 힘을 적게 받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height of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beam 110 multi support plate, the sub plug contact 620 are moved in a downward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is formed, the plug contac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ontact escaping portion 630 and transmitted to the contact portion 630 relatively less than in the prior art. Therefore,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can receive less force by the moved sub plug contact 620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 간의 다른 접점 높이 즉, 단차(d)는 0.03mm보다는 크고 0.13mm보다는 작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0.08mm인 것으로 설명한다.The height d of the other contact betwee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and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is greater than 0.03 mm and smaller than 0.13 mm and is 0.08 mm in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도 7b, 자세하게는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가 삽입된 플러그 인슐레이터(650)의 일부가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 중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의 길이는 이웃한 2번 핀(622)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즉,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는 이웃한 2번 핀(622)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2)보다 컨택트의 이동 공간을 작게 형성하여 그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으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의 위치를 종래보다 높게 위치시킴에 따라 플러그 쉘(670)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인접한 모서리부의 몰드 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구조상으로 안정될 수 있다.7B, specifically, a part of the plug insulator 650 into which the sub plug contact 620 is inserted is extended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and the contact escape 650 where the first pin 621 of the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The length of the portion 631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2 where the second pin 622 is located. That is,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in which the first pin 621 is located can be made smaller in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ntact than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2 in which the adjacent second pin 622 is located, , Since the position of the sub receptacle contact 12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mold region of the edge portion adjacent to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of the plug shell 670, .

이와 같이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의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에 결합되는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의 높이를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보다 높게 형성하였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length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in which the first pin 621 of the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can be shortened because the sub receptacle 620 is connected to the sub plug contact 620, And the height of the contact 120 is set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예컨대,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의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의 길이는 이웃한 2번 핀(622)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2)의 길이보다 0.08mm 짧게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where the first pin 621 of the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is set to be 0.08 mm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2 where the second pin 622 is located .

즉,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의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와 이웃한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의 2번 핀(622)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2)의 길이차(L1)는 상기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0.08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의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의 길이를 이웃한 2번 핀(622)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게 되면 종래기술에서보다 플러그 쉘(670)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인접한 모서리부의 몰드 영역을 약 60% 정도 개선할 수 있다. 즉, 플러그 쉘(670)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인접한 모서리부 간의 거리가 종래에는 0.1mm에서 0.16mm로 늘어난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할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가 컨택트 도피부(630)가 형성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컨택트 도피부(630)의 일측에 맞닿아 전달하는 힘이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컨택트 도피부(630)의 일측에 맞닿게 되더라도,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의 이동에 따른 물리적 강도를 이겨낼 수 있는 힘이 종래 기술보다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상기 컨택트 도피부(630)의 하부 영역의 몰드부가 보강됨에 따라 상기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인접한 상기 컨택트 도피부(630)의 모서리부 간의 거리가 늘어 나기 때문이다. That is, the length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2 of the sub plug contact 620 adjacent to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where the first pin 621 of the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is different from the length difference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2 where the second pin 622 of the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L1) may be 0.08 mm based on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where the first pin 621 is located. If the length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in which the first pin 621 of the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2 in which the second pin 622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old area of the corner portion adjacent to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of the plug shell 670 by about 60%.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of the plug shell 670 and the adjacent corner portion is conventionally increased from 0.1 mm to 0.16 mm. Therefore,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coupled, even if the sub plug contact 620 of the plug connector is moved downward with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formed, the plug contact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So that the force of transmitting is less than that of the prior art. Also, even if the plug contact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the force that can overcome the physical strength due to the movement of the sub plug contact 620 becomes greater than in the prior art. This is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edge portions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adjacent to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increases as the mold portion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0 is reinforced.

또한,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와 2번 핀(622)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2)의 길이차(L1)는 0.03mm보다는 크고, 0.13mm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difference L1 between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in which the first pin 621 is located and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2 in which the second pin 622 is located is preferably larger than 0.03 mm and smaller than 0.13 mm .

즉, 상기 길이차(L1)가 0.03mm 이하일 경우에는 플러그 쉘(670)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인접한 모서리부 간의 거리가 종래의 0.1mm(d1)에서 0.12mm(d2)로 늘어나 20% 이하의 개선 효과만 있고, 종래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 중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는 플러그 쉘(670)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인접한 모서리부의 몰드 영역이 부족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컨택트 도피부(630)는 이동된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에 의해 힘을 전달 받아 파손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ength difference L1 is 0.03 mm or less, the distance between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of the plug shell 670 and the adjacent corner portion increases from 0.1 mm (d1) to 0.12 mm (d2)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in which the first pin 621 of the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of the plug shell 670 Since the mold region of the corner portion is insufficiently formed, the contact escaping portion 630 can be damaged by receiving the force by the moved sub plug contact 620.

또한, 상기 길이차(L1)가 0.13mm 이상일 경우에는 플러그 쉘(670)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와 인접한 모서리부 간의 거리가 종래의 0.1mm(d1)에서 0.195mm(d2)로 늘어나 95% 이상의 개선 효과가 있다. 하지만, 컨택트 도피부(630)가 부족하게 형성되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컨택트가 파손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difference L1 is 0.13 mm or more, the distance between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of the plug shell 670 and the adjacent corner portion increases from 0.1 mm (d1) to 0.195 mm (d2) % Improvement effect. However, since the contact escaping portion 630 is formed to be insufficient, the plug contact of the plug connector may be broken due to lack of fluidity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couple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의 1번 핀(621)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1)는 이웃한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의 2번 핀(622)이 위치한 컨택트 도피부(632)보다 그 길이를 짧게 형성하되, 상기 이웃한 서브 플러그 컨택트(621,622)가 포함하는 컨택트 도피부(631,632)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한 길이차(L1)는 0.03mm보다는 크고, 0.13mm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1 in which the first pin 621 of the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is connected to the contact escape portion 632 where the second pin 622 of the adjacent sub plug contact 620 is located. The length difference L1 based on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s 631 and 632 included in the neighboring sub plug contacts 621 and 622 is larger than 0.03 mm and smaller than 0.13 mm Do.

플러그 쉘(670)은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650)의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락킹홀(680) 및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g shell 670 covers the outside of the plug insulator 650 and may include a locking hole 680 and a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671. [

상기 락킹홀(680)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쉘에 포함된 제 1 락킹 부재(180)에 결합되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체결 시 그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The locking hole 68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member 180 included in the receptacle shell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o secure its engagement when fastened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체결 시 오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서브 플러그 컨택트(620)와 대향하는 면의 모서리부가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플러그 커넥터는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역삽입 방지 구조부(671)를 구비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체결 시 반대로 체결함에 따른 컨택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is configured to prevent mis-coupling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t the time of engagement, and the inverted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in which the corner portion of the surface facing the sub plug contact 620 is inclin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g connector has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671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contacts due to the reverse engagement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fastened.

상술한 것처럼,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의 접점 높이를 다르게 배열 즉,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의 접점 위치를 상대적으로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의 접점 위치보다 서포트 플레이트가 위치한 상부 방향으로 높게 형성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tact point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110 and the sub receptacle contacts 120 are arrang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ontact position of the sub receptacle contacts 120 is relatively positioned relative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110 So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lug connector is secured, thereby preventing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coupled.

또한,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와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 간의 높이 차이를 통해 절연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hort-circuiting by ensuring the insulation distance through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110 and the sub-receptacle contact 120. [

그리고,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110)는 단자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단차(이격 거리)를 통해 버르(Burr)로 인한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120)도 마찬가지로 단자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단차(이격 거리)를 통해 버르(Burr)로 인한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main receptacle contacts 110 may have different terminal lengths to prevent a short circuit due to a burr due to a step difference and the sub receptacle contacts 120 may also have terminal length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hot due to the burr through the step (distan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하여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mbined to form a micro USB connector.

또한, 전자기기는 상술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자기기는 휴대폰, 노트북, PMP, 휴대용 게임기, MP3 플레이어,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PDA 등 일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를 통해서 다른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접되어 사진, 음악, 영상 신호 주파수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충전기와 연접되어 충전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mobile phone, a notebook, a PMP, a portable game machine, an MP3 player, a smart phone, a digital camera, a PDA, or the like.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e micro USB connector to transfer data such as photographs, music, video signal frequency, or may be connected to a charger to achieve a charging fun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0 :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
120 :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
130 : 서포트 플레이트
150 :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170 : 리셉터클 쉘
610 : 메인 플러그 컨택트
620 : 서브 플러그 컨택트
630 : 컨택트 도피부
650 : 플러그 인슐레이터
670 : 플러그 쉘
110: Main receptacle contact
120: sub receptacle contact
130: Support plate
150: Receptacle insulator
170: Receptacle shell
610: main plug contact
620: Sub plug contact
630:
650: Plug insulator
670: Plug shell

Claims (17)

플러그 커넥터의 메인 플러그 컨택트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의 양측에 형성되어 추가적인 모듈의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상기 컨택트가 유지된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덮어 보호하는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외부를 감싸는 리셉터클 쉘;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보다 서포트 플레이트가 위치한 상부 방향으로 높이 위치하여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와 다른 접점 높이를 가지며,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의 전원 단자 역할을 하는 핀은 이웃한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의 다른 핀보다 그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A main receptacle contact formed corresponding to a main plug contact of the plug connector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portion;
A sub receptacle contac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of an additional module;
A receptacle insulator for holding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and the sub receptacle contacts;
A support plate covering and protecting the receptacle insulator with the contacts held therein; And
And a receptacle shell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insulator,
Wherein the sub receptacle contact is located higher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 in an upper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located and has a contact height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Wherein a pin serving as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 is shorter in length than other pins of a neighboring main receptacle conta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의 높이차는 0.03mm보다는 크고, 0.13mm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ub-receptacle contact and the main receptacle contact is greater than 0.03 mm and less than 0.13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보다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형태로 상기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b receptacle contac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in a shape that is shorter in length than the main receptacle contac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의 전원 단자 역할을 하는 핀은 이웃한 핀과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in serving as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sub receptacle contact has a different length from a neighboring pi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는, 리셉터클 쉘의 제 2 돌기부의 후면을 지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 제지를 보조하는 제 2 몰드부; 및 상기 리셉터클 쉘의 제 1 돌기부의 후면을 지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 제지를 추가적으로 보조하는 제 1 몰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ptacle insulator includes: a second mold part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part of the receptacle shell to assist over-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And a first mold part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part of the receptacle shell to further assist over 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몰드부는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가 삽입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몰드부와 그 길이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mold part has the same length as the mold part of the receptacle insulator into which the sub-receptacle contact is insert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몰드부는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second mold par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ceptacle insulato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몰드부는 리셉터클 쉘의 제 2 돌기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 제지를 보조하는 제 2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몰드부는 리셉터클 쉘의 제 1 돌기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의 과삽입 제지를 추가적으로 보조하는 제 1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second mold part includes a second groove part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part of the receptacle shell to assist in over-insertion of the plug connector, and the first mold part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protrusion part of the receptacle shell And a first groove portion which is formed to further assist the over insertion papers of the plug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쉘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락킹홀에 대응되게 상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탄성을 가지는 제 1 락킹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ptacle shell includes a first locking member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hole of the plug connector and having elasticity in an inwardly projecting shape; And a plurality of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s.
리셉터클 커넥터의 메인 리셉터클 컨택트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메인 플러그 컨택트;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의 양측에 형성되어 추가적인 모듈의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서브 플러그 컨택트;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하고, 상기 컨택트의 도피를 위한 공간인 컨택트 도피부를 포함하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외부를 감싸고,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체결 시 오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역삽입 방지 구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쉘;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도피부 중 역삽입 방지 구조부와 인접한 제 1 컨택트 도피부는 이웃한 제 2 컨택트 도피부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A main plug contact formed corresponding to the main receptacle conta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portion;
A sub plug contac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plug contact to provide an electrical contact portion of an additional module;
A plug insulator for holding the main plug contact and the sub plug contact and including a contact escape portion which is a space for escape of the contact; And
And a plug shell which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plug insulator and includes a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for preventing misjunction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re fastened,
Wherein the first contact escape portion adjacent to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tructure portion of the contact escape portion is shorter than the second contact escape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contact escape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보다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태로 상기 메인 플러그 컨택트의 양측에 형성되며, 리셉터클 커넥터의 서브 리셉터클 컨택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기적 접점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b plug contac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plug contact in a form of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main plug contacts and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ub receptacle contact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o provide the electrical contact portions Micro USB connectors plu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쉘은, 리셉터클 쉘의 제 1 락킹 부재에 결합되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체결을 견고히 하기 위한 락킹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lug shell includes a locking hole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member of the receptacle shell for securing engagement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홀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제 1 락킹 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lock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member of the receptacle shel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 도피부와 제 2 컨택트 도피부의 길이차는 0.03mm보다는 크고, 0.13mm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first contact escape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escaping portion is larger than 0.03 mm and smaller than 0.13 mm.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항,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및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A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4, 6, 7, 8, 9, 10; And
A micro USB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5,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 USB connector plug connector.
제 16 항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icro USB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6.
KR1020140135194A 2014-10-07 2014-10-07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micro usb plug connector combined with it Active KR1019514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194A KR101951497B1 (en) 2014-10-07 2014-10-07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micro usb plug connector combined with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194A KR101951497B1 (en) 2014-10-07 2014-10-07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micro usb plug connector combined with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412A KR20160041412A (en) 2016-04-18
KR101951497B1 true KR101951497B1 (en) 2019-02-22

Family

ID=5591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194A Active KR101951497B1 (en) 2014-10-07 2014-10-07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micro usb plug connector combined with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4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7998B1 (en) * 2024-07-22 2025-02-14 강성우 USB security gend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09B1 (en) * 2013-07-02 2014-07-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Multi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multi micro usb plug connector combined with 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5674B2 (en) * 2005-09-02 2011-04-0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connector
KR101047094B1 (en) * 2009-05-12 2011-07-14 주식회사 크리어전자 Bidirectional plug with short protection
KR101265270B1 (en) 2012-02-21 2013-05-24 주식회사 신화콘텍 Micro usb connector plug
CN202772376U (en) * 2012-08-29 2013-03-0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09B1 (en) * 2013-07-02 2014-07-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Multi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multi micro usb plug connector combined with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412A (en)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58146U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US9799999B1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KR101927931B1 (en) Waterproof type micro usb connector
US20170288356A1 (en) Electrical connector
TWM525560U (en) Socket electrical connector with reinforced structure
KR101552916B1 (en) Multi typ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pplied for it
KR101927927B1 (en) Receptacle connetor for improving shielding performance
KR101488893B1 (en) Micro usb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951497B1 (en)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micro usb plug connector combined with it
KR101415909B1 (en) Multi micro usb receptacle connector and multi micro usb plug connector combined with it
KR101348141B1 (en) Multi typ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pplied for it
CN202094333U (en) plug connector
US9077128B2 (en) Multi-typ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pplied thereto
US7614912B2 (en) Card connector with dummy card
KR101381909B1 (en) Multi typ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pplied for it
CN107749526B (en) Type-C and Micro two-in-one USB connector
KR101773502B1 (en) Receptacle connector
KR101916497B1 (en) Multi-type plug connector and multi-type receptacle connector combined with it
KR101218231B1 (en) Integrated interface connector
KR101435662B1 (en) Improved plug connector for coupling structure of shel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1002706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dge protective structure and tongue board module thereof
EP2822109B1 (en) Multi-typ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pplied thereto
KR101925981B1 (en) Micro usb plug connector
KR101218230B1 (en) Integrated interface connector
CN206432473U (en) Electric connector with flange protection structure and tongue plate module of electr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