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381B1 - 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and mo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and mo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1381B1 KR101951381B1 KR1020170098576A KR20170098576A KR101951381B1 KR 101951381 B1 KR101951381 B1 KR 101951381B1 KR 1020170098576 A KR1020170098576 A KR 1020170098576A KR 20170098576 A KR20170098576 A KR 20170098576A KR 101951381 B1 KR101951381 B1 KR 1019513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control
- vehicle
- control device
- control
- type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B60K2350/102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2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페어링 설정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스마트폰(20)이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각 식별번호를 지정하는 제 2 단계; 스마트폰(20)이 각 식별번호가 지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어 옵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지정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스마트폰(20)이 제어 옵션에 대한 압력센서 어레이(11)의 숫자만큼 분할 설정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량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bar-type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a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a first step of a smart phone (20) performing a pairing setting using at least one hand-hel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10)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A second step of the smart phone 20 designating each identification number for the 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10; When the smartphone 20 designates at least one of the control options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s 30-1 to 30-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for the handle-attach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10 with each identification number ; And a smart phone (20) by the number of pressure sensor arrays (11) for the control option; And a control unit.
Thereby, various electronic devices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in the vehi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apparatus for effectively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a vehicle, a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s.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차량에 다양한 IT 기술이 접목됨으로써, 차량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various IT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vehicles, an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effectively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vehicles has been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lebar-type vehicle control device for effectively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a vehicle, and a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은, 스마트폰(2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페어링 설정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스마트폰(20)이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각 식별번호를 지정하는 제 2 단계; 스마트폰(20)이 각 식별번호가 지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어 옵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지정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스마트폰(20)이 제어 옵션에 대한 압력센서 어레이(11)의 숫자만큼 분할 설정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option control method using a steering wheel-typ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performing a pairing using setting; A second step of the
이때, 상기 제 4 단계 이후, 스마트폰(20)이 지정 설정된 제어 옵션을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관리하는 차량 제어 장치(30)의 저장부(32) 상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및 제어 옵션이 설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상에서 압력센서 어레이(11)에 대한 상향 또는 하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상향 단계 조절 명령, 하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하향 단계 조절 명령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지정된 차량 제어 기기로 전송되어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6 단계; 가 더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case, after the fourth step,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 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a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ontrol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가 부착되는 차량 핸들(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가 차량 핸들(1)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g. 2 is a view showing that a handlebar-type
3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using a steering wheel-type
4 is a flowchart showing a vehicle op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steering wheel-typ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가 부착되는 차량 핸들(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가 차량 핸들(1)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using a steering wheel-type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핸들(1)에는 좌측 부착단(1a), 우측 부착단(1b), 중앙 부착단(1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부착단(1a), 우측 부착단(1b), 중앙 부착단(1c)은 차량 핸들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주로 차량 핸들 프레임의 외측을 이용하여 조향을 수행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내측에 대한 상향 또는 하향으로 미끄러지는 듯한 터치 입력에 따라 차량 옵션에 해당하는 스피커 볼륨 조절, 차량 라이트의 밝기 조절, 차량 라이트의 상향 또는 하향 위치 조절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한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는 차량 핸들(1)의 내측에 해당하는 좌측 부착단(1a), 우측 부착단(1b), 중앙 부착단(1c)으로 하부에 형성된 접착층을 이용하여 부착되거나, 별도의 부착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중앙 부착단(1c)의 경우 약 120도 가량의 휨이 발생한 영역을 이용해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자체의 홈을 이용해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lebar-type
그리고,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는 압력센서 어레이(11) 및 블루투스 통신 및 제어부(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 및 제어부(12)는 블루투스 모듈(12a), 제어 모듈(12b), 충전식 배터리 모듈(12c)로 구분될 수 있다.The hand-held type
블루투스 모듈(12a)은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와 스마트폰(20), 그리고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와 차량 제어 장치(30)를 중심으로 연결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 각각에 대한 블루투스 방식으로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된다. The Bluetooth module 12a is connected to the hand-held type
충전식 배터리 모듈(12c)은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한 뒤, 블루투스 모듈(12a) 및 제어 모듈(12b)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The rechargeable battery module 12c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Bluetooth module 12a and the
제어 모듈(12b)은 스마트폰(20)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페어링 설정을 수행하도록 블루투스 모듈(12a)을 제어한다.The
이후, 제어 모듈(12b)은 자신의 식별번호를 스마트폰(20)으로 제공하도록 블루투스 모듈(12a)을 제어할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스마트폰(20) 상에서 식별번호가 지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차량 제어 단말(30)과 연결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어 옵션에 대한 지정 설정이 완료되고, 제어 옵션에 대한 압력센서 어레이(11)의 숫자만큼 분할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 모듈(12b)은 지정된 제어 옵션 제어를 위한 압력센서 어레이(11)에 대한 상향 또는 하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상향 단계 조절 명령, 하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하향 단계 조절 명령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지정된 차량 제어 기기로 전송되어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제어 단말(30)은 블루투스 단자(31) 및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차량 내의 통합적인 전자 장비를 제어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이와 연결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는 오디오 장치, 차량 라이트 장치 등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vehicle control devices 30-1 to 30-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connected to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폰(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페어링 설정을 수행한다(S11).4 is a flowchart showing a vehicle op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steering wheel-type
단계(S11) 이후, 스마트폰(20)은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각 식별번호를 지정한다(S12).After step S11, the
단계(S12) 이후, 스마트폰(20)은 각 식별번호가 지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어 옵션을 지정 설정한다(S13).After step S12, the
단계(S13) 이후, 스마트폰(20)은 제어 옵션에 대한 압력센서 어레이(11)의 숫자 만큼 분할 설정한다(S14).After step S13, the
한편, 단계(S14) 이후, 스마트폰(20)으로 지정 설정된 제어 옵션을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관리하는 차량 제어 장치(30)의 저장부(32) 상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 옵션이 설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상에서 압력센서 어레이(11)에 대한 상향 또는 하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상향 단계 조절 명령, 하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하향 단계 조절 명령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지정된 차량 제어 기기로 전송되어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step S14, the control option designated by th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
11 : 압력센서 어레이
12 : 블루투스 통신 및 제어부
12a : 블루투스 모듈
12b : 제어 모듈
12c : 충전식 배터리 모듈10: 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11: Pressure sensor array
12: Bluetooth communication and control unit
12a: Bluetooth module
12b: Control module
12c: Rechargeable battery module
Claims (2)
스마트폰(20)이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각 식별번호를 지정하는 제 2 단계;
스마트폰(20)이 각 식별번호가 지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에 대한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어 옵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지정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스마트폰(20)이 제어 옵션에 대한 압력센서 어레이(11)의 숫자만큼 분할 설정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
A first step in which the smartphone 20 performs a pairing setting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steering-wheel type vehicle control device 10;
A second step of the smart phone 20 designating each identification number for the 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10;
When the smartphone 20 designates at least one of the control options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s 30-1 to 30-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for the handle-attach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10 with each identification number ; And
A fourth step of dividing the smartphone 20 by the number of the pressure sensor array 11 for the control op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스마트폰(20)이 지정 설정된 제어 옵션을 차량 제어 기기(30-1 내지 30-n,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관리하는 차량 제어 장치(30)의 저장부(32) 상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및
제어 옵션이 설정된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10) 상에서 압력센서 어레이(11)에 대한 상향 또는 하향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상향 단계 조절 명령, 하향 터치 입력의 경우 이동 위치에 비례하는 만큼의 제어 옵션의 하향 단계 조절 명령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지정된 차량 제어 기기로 전송되어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부착 타입 차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차량 옵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fter the fourth step,
In which the smartphone 20 stores the designated control option on the storage unit 32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30 that manages the vehicle control devices 30-1 to 30-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step; And
When upward or downward touch input to the pressure sensor array 11 is received on the steering wheel attachment typ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 with the control option set up, in the case of the upward touch input, A sixth step of controlling the downward step adjustment command of the control option proportional to the movement position in the case of the downward touch input to the designated vehicle control device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o that the control is perform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in the vehicle-mounted mo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8576A KR101951381B1 (en) | 2017-08-03 | 2017-08-03 | 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and mo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8576A KR101951381B1 (en) | 2017-08-03 | 2017-08-03 | 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and mo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4736A KR20190014736A (en) | 2019-02-13 |
KR101951381B1 true KR101951381B1 (en) | 2019-02-22 |
Family
ID=6536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8576A Active KR101951381B1 (en) | 2017-08-03 | 2017-08-03 | 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and mo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1381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12175A (en) | 2003-04-03 | 2004-11-04 | Denso Corp | Mobile transmitter |
JP2010105610A (en) | 2008-10-31 | 2010-05-13 | Tokai Rika Co Ltd | Switching equipment |
JP2016222168A (en) | 2015-06-02 | 2016-12-28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Control device f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8136A (en) * | 1997-05-01 | 1998-11-17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Steering switch function allocation device and its method |
-
2017
- 2017-08-03 KR KR1020170098576A patent/KR1019513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12175A (en) | 2003-04-03 | 2004-11-04 | Denso Corp | Mobile transmitter |
JP2010105610A (en) | 2008-10-31 | 2010-05-13 | Tokai Rika Co Ltd | Switching equipment |
JP2016222168A (en) | 2015-06-02 | 2016-12-28 |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 Control device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4736A (en) | 2019-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3395B1 (en) |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external vehicle changing identification based on data associated with movement of external vehicle | |
EP3132433B1 (en) | Trainable transceiver system | |
EP3132435B1 (en) |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 |
KR101698514B1 (en) | Av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WO2019112806A1 (en) | Portable voice assistant device with linear lighting elements | |
KR102544475B1 (en) | Infotainment Device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Infotainment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Infotainment including the Infotainment Device | |
US20140194056A1 (en) | Automatic device initialization and pairing | |
KR101628475B1 (en) | Method for surround music play using a pluality vehicle | |
EP3441275A1 (en) | Metho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for vehicle control | |
EP3879509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2x service using same | |
JP6458160B2 (en) | Method for operating communication device for motor vehicle during autonomous driving mode, communication device, and motor vehicle | |
KR20160049721A (en) | Display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807503B1 (en) |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JP2017050787A (en) | Visible light communication receiver, mobile body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 |
KR101951381B1 (en) | Handle-mounted type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option control system and moethod using the same | |
US20180284761A1 (en) |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selection when using a vehicle controller | |
US9351095B2 (en) |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a head unit of a vehicle | |
CN103970459A (en) | Command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 |
KR101723748B1 (en) | Sound change apparatus of turn signal cluster in car and method thereof | |
CN10435465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on of factory and aftermarket vehicle components | |
US20250100461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blind spot image through pillar of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 |
US10715983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appliances to a motor vehicle | |
KR102443046B1 (en) | External cluster for supporting operation status and media functions by interlocking with vehicle using CAN communication | |
CN112572661B (en) | Inform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 |
KR20210043397A (en) | Hybrid camera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