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958B1 - Automatically illumination controlling illuminator adaptable to iot - Google Patents
Automatically illumination controlling illuminator adaptable to i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0958B1 KR101950958B1 KR1020180096063A KR20180096063A KR101950958B1 KR 101950958 B1 KR101950958 B1 KR 101950958B1 KR 1020180096063 A KR1020180096063 A KR 1020180096063A KR 20180096063 A KR20180096063 A KR 20180096063A KR 101950958 B1 KR101950958 B1 KR 1019509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d
- light
- illuminance
- amoun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5B33/0854—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 H04M1/72533—
-
- H05B33/0809—
-
- H05B37/0218—
-
- H05B37/027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한 공간 내에서 정해진 조도 기준 값에 맞춰 밝은 곳은 어둡게, 어두운 곳은 밝게 하는 자동 조도 조절 시스템으로 균일한 조도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전력 절감을 하는 동시에 조명 환경을 개선하고 집중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LED가 구비된 LED 조명부; 교류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입력 전원부; 입력 전원부로부터 정류된 전원을 공급받아 LED의 광출력을 제어하는 LED 구동부; LED 조명부에 부설되고 LED 조명부의 설치 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센싱하는 조도 센서; 센싱된 광량과 설치 공간의 공간별 기준 광량의 차이를 계산하여 LED의 광출력 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광출력 량에 대응하여 LED 구동부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조도 제어부; 및 조도 센서로 수광되는 광량을 조절하여 감도를 미세 조정하는 투명 노브;를 포함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illuminance control system that darkens the light in the dark and brightens the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reference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space, maintains the uniform illuminan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ighting environment and improve the concentration power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To this e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LED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n LED illumination unit including an LED; An input power unit for rectifying the AC input power; An LED driving unit for receiving the rectified power from the input power unit and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of the LED; An illuminance sensor attached to the LED illuminating unit and sensing an amount of light incident into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LED illuminating unit; An illuminanc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light output amount of the L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ed light amount and the reference light amount for each sp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controlling the output current of the LED driv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ight output amount; And a transparent knob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to fine-tune the sensitivity of the automatic illuminance adjusting illuminating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간적으로 조도가 일정하지 않은 장소에서 전력소비를 줄이면서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고 사용자의 제어를 통해 IOT(Internet of Things)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illuminance adjusting lighting apparatus which can obtain a uniform illuminance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place where the illuminance is not constant in time and space, and can apply IOT (Internet of Th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imming lighting device.
전력 절감을 위한 기존 조명 및 LED조명의 조도조절 기능은 현존하고 있다, 그 기능을 보면 벽스위치나 조도센서를 여러 개로 나누어 라인 별 또는 전체를 일괄적으로 조정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작업 공간별 요구하는 기준 조도를 벗어날 경우가 발생하고 이는 또한 주변 밝기 변화에 따라 수시로 On/Off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것은 일정한 공간 내 밝기의 편차에 따른 산만함을 병행한다.The lighting control function of existing lighting and LED lighting for electric power saving is existing. In the function, it is divided into several wall switches or illuminance sensors and has a function of adjusting all or part of the line collectively, There is a case that the reference illuminance is exceeded and it is also inconvenient to perform the on / off operation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urrounding brightness. This is accompanied by distraction due to variations in brightness within a certain space.
또한 조도 조절을 위해서 기존조명은 벽 스위치 및 배선 공사를 추가해야 되며, 타 LED 조명은 통신공사와 각 센서부의 네트웍 공사 및 센서부 전원을 별도로 추가해야 하는 단점이 있어 이는 곧 비용의 추가 발생을 의미한다.In addition, wall switches and wiring work must be added to the existing lighting to control the illumination, and other LED lighting has a drawback in that communication work, network construction of each sensor part, and power of the sensor part must be separately added. do.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조명 장치에 조도 센서를 부착하여 센싱되는 조도에 따라 조명의 온오프 또는 디밍(dimming) 가능한 조명 장치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디밍 가능한 조명 장치의 경우에, 전력 소비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고 나아가 다수의 조도 센서가 서로 다른 센싱 값을 출력함으로써 실제 균일한 작업면 조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 illuminat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n illuminance sensor is attached to an illuminating device and on / off or dimming of illumin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illuminance to be sensed.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dimmable lighting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and further, since a plurality of illuminance sensors output different sensing value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n actual uniform work surface illuminance.
종래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2210901호에서는 조명의 calibration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는 급격한 조도 변화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측면이 있으며 사용 중인 조명 장치의 균일한 조도를 구현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210901 discloses a calibration of illumination, but it has a side for minimizing side effects due to a sudden change in illumination and is far from realizing a uniform illumination of a lighting apparatus in use.
한편 조명 장치의 조도는 사용자의 주관적인 요소가 가미될 수 있으므로 객관적인 균조도 구현과 함께 사용자가 체감하는 균조도 제어가 가능한 조명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ng device can be added to the user's subjective factors, there is a need for an illuminating device capable of realizing objective flora and controlling the flora that the user perceiv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필요성에 기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일정한 공간 내에서 정해진 조도 기준 값에 맞춰 밝은 곳은 어둡게, 어두운 곳은 밝게 하는 자동 조도 조절 시스템으로 균일한 조도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전력 절감을 하는 동시에 조명 환경을 개선하고 집중력 향상을 도모하는 시스템 구축을 위해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illuminance control system for illuminating a dark place and a dark place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illuminance reference valu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illuminated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pplying an IOT for constructing a system that improves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and improves the focusing power by minimizing electric power that is wasted more than necessary by maintaining the illuminance.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자연 채광이 드는 주광이 비추는 장소에서는 기존 조명 및 LED조명에 비해 전력절감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여 관공서, 사무실, 교실, 가정 등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한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IOT capable of being applied widely to public offices, offices, classrooms, homes and the like because of excellent power saving effect compared with conventional lighting and LED lighting in a place where daylight with natural light is illuminated And to provide a light intensity control illumination device.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조도 센서의 감도 조절을 물리적으로 구현하거나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 가능하게 함으로써 균일한 조도에 대한 사용자의 주관적 요소를 가미할 수 있는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illuminance adjusting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pplying IOT which can add a user's subjective factor to a uniform illuminance by physically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illuminance sensor or implementing it through an applic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LED가 구비된 LED 조명부; 교류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입력 전원부; 입력 전원부로부터 정류된 전원을 공급받아 LED의 광출력을 제어하는 LED 구동부; LED 조명부에 부설되고 LED 조명부의 설치 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센싱하는 조도 센서; 센싱된 광량과 설치 공간의 공간별 기준 광량의 차이를 계산하여 LED의 광출력 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광출력 량에 대응하여 LED 구동부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조도 제어부; 및 조도 센서로 수광되는 광량을 조절하여 감도를 미세 조정하는 투명 노브;를 포함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LED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n LED illumination unit including an LED; An input power unit for rectifying the AC input power; An LED driving unit for receiving the rectified power from the input power unit and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of the LED; An illuminance sensor attached to the LED illuminating unit and sensing an amount of light incident into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LED illuminating unit; An illuminanc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light output amount of the L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ed light amount and the reference light amount for each sp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controlling the output current of the LED driv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ight output amount; And a transparent knob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and fine-tuning the sensitivity of the automatic illuminance adjusting illuminating device.
그리고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는 LED 구동부에서 피드백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역률 개선하여 LED 구동부 전원으로 공급하는 역률보상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automatic illuminance adjusting lighting device capable of applying the IO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factor compensation converter for improv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power source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fed back from the LED driver, and supplying the improved power factor to the LED driver power.
LED 조명부는 입력 전원부, LED 구동부 및 조도 센서를 수용하는 조명 프레임을 포함하고, 조도 센서는 조명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조명 프레임의 측방으로 타공된 수광홀을 통해 입사되는 광량을 센싱하는 것일 수 있다.The LED illumination unit may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that receives an input power source, an LED driver, and an illumination sensor, and the illumination sensor may be mounted on an edge of the illumination frame to sense an amount of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reception hole punctured laterally of the illumination frame .
투명 노브는 타공된 수광홀에 나사 결합된 투명 볼트이고, 조도 센서는 투명 볼트를 통해 굴절되어 수광되는 광량을 센싱하는 것일 수 있다.The transparent knob may be a transparent bolt screwed into the perforated light receiving hole, and the illuminance sensor may be one that senses the amount of light that is refracted and received by the transparent bolt.
한편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는 조도 제어부의 제어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조명 프레임에 수용되고 조도 제어부의 제어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에 조도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n automatic dimming lighting device capable of IOT application is a user terminal for generating a control wireless signal of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accommodated in the illumination frame, receiving the control radio signal of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illumin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제어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조도 제어부의 조도 조절 기능의 선택 및 해제, 그리고 공간별 기준 광량의 등급 설정을 하는 것일 수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may select and cancel the illumination control function of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based on the control wireless signal, and set the reference light quantity level for each spa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한 공간 내에서 정해진 조도 기준 값에 맞춰 밝은 곳은 어둡게, 어두운 곳은 밝게 하는 자동 조도 조절 시스템으로 균일한 조도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전력 절감을 하는 동시에 조명 환경을 개선하고 집중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uniform illuminance by controlling an automatic illuminance adjusting system that darkens a light spot and brightens a dark spot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illuminance reference value in a certain space,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the lighting environment can be improved, and the concentration can be improved.
그리고 자연 채광이 드는 주광이 비추는 장소에서는 기존 조명 및 LED 조명에 비해 전력절감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여 관공서, 사무실, 교실, 가정 등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하다.And it can be widely applied to public offices, offices, classrooms, homes, etc., because it has much better power saving effect compared to conventional lighting and LED lighting in the place where daylight with natural light is illuminated.
아울러 조도 센서의 감도 조절을 물리적으로 구현하거나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 가능함으로써 객관적으로 균일한 조도 구현과 사용자의 주관적 조도의 선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nsitivity control of the illuminance sensor can be physically implemented or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reby achieving objectively uniform illuminance and selecting the user's subjective illuminance.
도 1은 본 발명인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역율 구현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 중 조명 프레임에 장착된 조도센서와 투명 노브 사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인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 중 사용자 단말의 일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illuminance adjusting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a high power f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dimming lighting device capable of applying an I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of a light sensor and a transparent knob mounted on a lighting frame in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illuminance adjusting lighting device applicable to the I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user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dimming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applying an I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to them.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a term used for appropriately expres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 of the operator, or the practice of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IOTIOT 적용이 가능한Applicable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 Auto Lighting Fix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는, LED 조명부(10)와, 입력 전원부(20)와, LED 구동부(30)와, 조도 센서(40)와, 조도 제어부(50)와, 투명 노브(60)를 포함하고, 설치 공간의 광량에 따라 조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균일한 조도를 구현함과 동시에 조도 센서(40)의 감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The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The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LED가 구비된 LED 조명부(10)는 LED를 포함한 다른 구성들을 수용하는 육면체의 조명 프레임(110)과 LED 전면에 면조명을 위한 확산 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조명 프레임(110)은 천정에 매설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조도 센서(40)의 광량 센싱을 위해 테두리가 천정 아래로 돌출되도록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가 구비된 LED 조명부(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복수인 경우 천고 및 주광(Day Light)의 입사 정도에 따라 그 갯수 및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The
입력 전원부(20)는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입력 전원을 정류하며, 입력 전원부(20)로부터 정류된 전원은 LED의 광출력을 제어하는 LED 구동부(30)로 전달된다. LED 구동부(30)는 정전류를 LED에 공급함으로써 LED의 광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input
조도 센서(40)는 LED 조명부(10)에 부설되고 LED 조명부(10)의 설치 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조명이 아래로 향하도록 LED가 조명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반면 조도 센서(40)는 수광부가 조명 프레임(110)의 주광 방향 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LED에서 나오는 빛이 직접 조도 센서(40)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조도 제어부(50)는 LED 조명부(10) 설치 공간의 조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조도 센서(40)에서 센싱된 광량과 설치 공간의 공간별 기준 광량의 차이를 계산하여 LED의 광출력 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광출력 량에 대응하여 LED 구동부(30)의 출력 전류를 제어한다. 조도 제어부(50)는 광량 차이의 계산 및 필요한 광출력 량을 위한 출력 전류 제어 신호를 위해 MCU(Micro Controller Unit)가 구비될 수 있다.The
투명 노브(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 센서(40)로 수광되는 광량을 조절하여 감도를 미세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조도 센서(40)의 수광부, 즉 조명 프레임(110)의 측면에 관통홀(또는 수광홀)을 형성하고 관통홀과 조도 센서(40)의 수광부 내 측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서로 동축으로 맞닿게 배치하고 투명 노브(60)를 수광부와 조명 프레임(110)에 걸쳐서 삽입하여 장착한다. 삽입 장착된 투명 노브(60)는 외 측면에 나사가 형성된 PC 재질의 투명 볼트이며, 나사를 따라 조임 되어 수광부 내부를 향할수록 조도 센서(40)의 감도를 높이고, 반대로 나사를 풀어 수광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도 센서(40)의 감도는 떨어진다. 투명 볼트를 따라 굴절된 광이 수광부 내부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수광부 센싱 면적에 도달하는 광량의 변화를 초래하는 물리적 방식이다.As shown in FIG. 3, the
한편 본 실시예는 조도 변화에 따른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 고역률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LED 구동부(30)에서 피드백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전원부(20)에서 공급된 전원을 역률 개선하여 LED 구동부(30) 전원으로 공급하는 역률보상 컨버터(7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embodiment suggests a high power factor implementation metho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illumination. The
역률보상 컨버터(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출력의 변화를 최소화하도록 하여 역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조도 제어부의 전원을 메인트랜스(T1)에서 분기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역률보상 컨버터(70)는 스위칭IC의 역률보상기능(mult pin)을 최종출력의 변화에 따라 가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ower
한편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는 조도 제어부(50)의 제어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80)과, 조명 프레임(110)에 수용되고 조도 제어부(50)의 제어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80)에 조도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80)은 전용단말이거나 스마트폰 등의 무선통신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통신모듈(90)의 통신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 bee)와 같은 근거리 통신수단일 수 있다.The automatic illuminance control lighting device capable of IOT application includes a
사용자 단말(80)은 제어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조도 제어부(50)의 조도 조절 기능의 선택 및 해제, 그리고 공간별 기준 광량의 등급 설정, 조도 센서(40)의 감도 설정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80)의 어플리케이션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LED 중 해당 LED의 개별 제어 화면에서 각각의 기능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The
여기서 자동제어 ON/OFF는 조도의 자동 조절 기능을 선택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기준광량 등급 설정은 목표하는 LED 설치 공간의 조도 값을 의미한다. 또한 조도센서 감도 설정은 전술하였던 물리적 구성인 투명 노브(60)와 달리 사용자의 주관적 감도를 반영하여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객관적 조도 값이 달라도 동일한 조도 값으로 조도 센서(40)가 센싱하도록 설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조도 센서(40)가 각각 80 lux, 83 lux, 81 lux의 객관적 조도 값으로 센싱하더라도 사용자가 조도가 동일하다고 느낀다면 3개의 조도 센서(40)가 동일한 80 lux를 센싱한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조도 센서(40)의 불완전성을 보완할 수 있다.Here, the automatic control ON / OFF means to select or cancel the automatic adjustment function of the illumination, and the reference light amount rating setting means the illumination value of the target LED installation space. Unlike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 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lso,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LED 조명부
110: 조명 프레임
20: 입력 전원부
30: LED 구동부
40: 조도 센서
50: 조도 제어부
60: 투명 노브
70: 역률보상 컨버터,
80: 사용자 단말
90: 통신모듈10: LED lighting section
110: illumination frame
20:
30: LED driver
40: Illumination sensor
50:
60: Transparent knob
70: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80: User terminal
90: Communication module
Claims (5)
교류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입력 전원부;
상기 입력 전원부로부터 정류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LED의 광출력을 제어하는 LED 구동부;
상기 LED 조명부에 부설되고 상기 LED 조명부의 설치 공간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센싱하는 조도 센서;
상기 센싱된 광량과 상기 설치 공간의 공간별 기준 광량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LED의 광출력 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광출력 량에 대응하여 상기 LED 구동부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조도 제어부; 및
상기 조도 센서로 수광되는 광량을 조절하여 감도를 미세 조정하는 투명 노브;를 포함하되,
상기 LED 구동부에서 피드백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역률 개선하여 상기 LED 구동부 전원으로 공급하는 역률보상 컨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LED 조명부는 상기 입력 전원부, 상기 LED 구동부 및 상기 조도 센서를 수용하는 조명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LED는 상기 조명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조명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 프레임의 측방으로 타공된 수광홀을 통해 입사되는 광량을 센싱하는 것이며,
상기 투명 노브는 상기 타공된 수광홀에 나사 결합된 투명 볼트이고,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투명 볼트를 통해 굴절되어 수광되는 광량을 센싱하는 것이되 나사를 따라 상기 투명 볼트를 조일수록 감도가 높아지는 것이고,
상기 조도 제어부의 제어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조명 프레임에 수용되고 상기 조도 제어부의 제어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조도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어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조도 제어부의 조도 조절 기능의 선택 및 해제, 그리고 상기 공간별 기준 광량의 등급 설정 및 조도센서 감도 설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적용이 가능한 자동 조도 조절 조명 장치.An LED illumination unit including an LED;
An input power unit for rectifying the AC input power;
An LED driving unit for receiving the rectified power from the input power unit and controlling an optical output of the LED;
An illuminance sensor attached to the LED illuminating unit and sensing an amount of light incident on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LED illuminating unit;
An illuminance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light output amount of the LED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sensed light amount and a reference light amount for each sp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controlling an output current of the LED driv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ight output amount; And
And a transparent knob for fine-tuning the sensitivity by adjusting an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Further comprising a power factor compensation converter for improving a power factor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power unit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fed back from the LED driver and supplying the improved power factor to the LED driver power,
Wherein the LED illumination unit includes an illumination frame that receives the input power unit, the LED driver, and the illumination sensor,
The LED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lluminating frame, and the illuminance sensor senses an amount of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receiving hole, which is mounted on an edge of the illuminating frame and is buried laterally of the illuminating frame,
The transparent knob is a transparent bolt screwed into the perforated light receiving hole,
The illuminance sensor senses an amount of light refracted and received by the transparent bolt. The more the transparent bolt is screwed along the screw, the higher the sensitivity,
A user terminal for generating a control wireless signal of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accommodated in the illumination frame and receiving a control radio signal of the illumination controller and transmitting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terminal selects and deselects the illuminance control function of the illuminance control unit based on the control radio signal, sets a rating of the reference light amount for each space, and sets the illuminance sensor sensitivity. Light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6063A KR101950958B1 (en) | 2018-08-17 | 2018-08-17 | Automatically illumination controlling illuminator adaptable to i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6063A KR101950958B1 (en) | 2018-08-17 | 2018-08-17 | Automatically illumination controlling illuminator adaptable to i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0958B1 true KR101950958B1 (en) | 2019-02-22 |
Family
ID=6558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6063A Active KR101950958B1 (en) | 2018-08-17 | 2018-08-17 | Automatically illumination controlling illuminator adaptable to i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095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43828A (en) * | 2000-02-29 | 2001-09-0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Illumination fixture |
JP2009266424A (en) * | 2008-04-22 | 2009-11-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
KR20140036703A (en) * | 2012-09-18 | 2014-03-26 | 주식회사 알토 | System for lighting contro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KR20150054298A (en) * | 2013-11-11 | 2015-05-20 | 삼성전기주식회사 | Led control device |
-
2018
- 2018-08-17 KR KR1020180096063A patent/KR1019509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43828A (en) * | 2000-02-29 | 2001-09-0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Illumination fixture |
JP2009266424A (en) * | 2008-04-22 | 2009-11-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
KR20140036703A (en) * | 2012-09-18 | 2014-03-26 | 주식회사 알토 | System for lighting contro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KR20150054298A (en) * | 2013-11-11 | 2015-05-20 | 삼성전기주식회사 | Led contro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64204B2 (en) | Display system | |
US9591718B2 (en) | Illuminance configuring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
US8110994B2 (en) | Multi-zone closed loop daylight harvesting having at least one light sensor | |
US20080007394A1 (en) | Integrated sensor and light level adjustment apparatus for "daylight harvesting" | |
KR20100041894A (en) | Intelligent lighting system | |
CN10574178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acklight brightness of display terminal and television set | |
EP2779792A1 (en) | Luminaire, and luminaire control method | |
JP6704193B2 (en) | Lighting control device | |
CN106061030A (en) | Intelligent lighting system | |
US20200041082A1 (en) | Adaptive Ambiance Lighting | |
EP0669788B1 (en) | Illumination dimmer system for fluorescent lamps | |
CN105101558A (en) | Wall-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950958B1 (en) | Automatically illumination controlling illuminator adaptable to iot | |
CN101895723A (en) | Monitoring device | |
JP5426226B2 (en) | Lighting system | |
JP5487412B2 (en) |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 |
KR102673449B1 (en) | Dual-adjustable automatic dimming lighting | |
JP2004303663A (en) | Lighting control device and lighting device | |
US11589435B2 (en) | Method and system for rapidly and quantitatively adjusting beam angle of illuminating device | |
JPH11283754A (en) | Task lighting device and task ambient lighting device | |
JPH11251073A (en) | Light control device | |
JP5414235B2 (en) | Control device, ligh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 |
KR100654373B1 (en) | Automatically adjusted lighting method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outdoor brightness | |
JPH1140374A (en) | Lighting control device | |
US11864293B2 (en) | Hard and soft light module with ambient light sen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