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0926B1 -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926B1
KR101950926B1 KR1020170113728A KR20170113728A KR101950926B1 KR 101950926 B1 KR101950926 B1 KR 101950926B1 KR 1020170113728 A KR1020170113728 A KR 1020170113728A KR 20170113728 A KR20170113728 A KR 20170113728A KR 101950926 B1 KR101950926 B1 KR 10195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portion
discharge port
eye
packaging container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희
Original Assignee
김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희 filed Critical 김소희
Priority to KR102017011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9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는, 내부에 점안액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점안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중앙수용부 및 상기 중앙수용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부수용부를 포함하고,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수용부에서 상기 측부수용부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Eye Lotion Packing Container}
본 발명은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성 및 안전성을 향상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병원에서 안구건조증으로 진료받는 인구가 종래 대비 2배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들에게는 인공눈물과 같은 점안액이 처방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종래의 점안액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의 튜브에 담긴 형태를 가지며, 뚜껑을 분리한 상태에서 안구 상방에 노즐 부위를 위치시키고 점안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점안액 포장용기는 모서리 및 노즐 부위가 매우 날카롭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와 같은 모서리, 노즐 부위에 안구를 찔릴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즉 안구 건강을 위해 사용되는 점안액이 오히려 안구 건강을 해치는 위협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69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안구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점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그립감 및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는, 내부에 점안액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점안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중앙수용부 및 상기 중앙수용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부수용부를 포함하고,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수용부에서 상기 측부수용부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전체 깊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되, 외력을 가해 절취 가능하게 형성된 절취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수용부 및 상기 측부수용부는 중앙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배출구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보다 하부로 돌출된 보조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주면 전체가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안구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점안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점안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뾰족한 노즐 부분이 아닌 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므로, 노즐에 의해 안구를 찔릴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그립감 및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단순한 형상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몸체가 전체적으로 안구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안구 관련 제품임을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100)는 내부에 점안액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 몸체(110, 120 포함)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10, 120)는, 상기 수용공간(S) 내부의 점안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30)가 하부에 형성된 중앙수용부(110)와, 상기 중앙수용부(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부수용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110, 120)의 외주면은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수용부(110)에서 상기 측부수용부(120)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중앙수용부(110) 및 상기 측부수용부(120)는 중앙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좌우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일측의 측부수용부(120)로부터 타측의 측부수용부(120)를 연장하는 연장선 방향인 것으로 하며, 전후 방향이라 함은 좌우 방향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연장선 방향인 것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들 연장선들과 수직 방향으로 직교하는 연장선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정의한다.
즉 상기 몸체(110, 120)는 좌우 방향의 중심선과 전후 방향의 중심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 다시 말해 상하의 폭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 상기 배출구(130)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점안액 포장용기와 달리 몸체(110, 120)를 가로 방향으로 눕힌 상태에서 점안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노즐에 의해 안구를 찔릴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안구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점안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110, 120)를 평면 또는 저면 방향에서 바라볼 경우 안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안구 관련 제품임을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배출구(130)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S)을 차폐하는 차폐커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커버(200)는 상기 배출구(1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S) 내의 점안액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배출구(13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S)을 개방하여 점안액을 점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폐커버(200)는 상기 배출구(130)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배출구(130)에 삽입되는 삽입부(220)와, 상기 삽입부(220)와 연결되되 상기 몸체(110, 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130)는, 전체 깊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수용공간(S)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되, 외력을 가해 절취 가능하게 형성된 절취부(134)와, 상기 차쳬커버(200)의 상기 삽입부(220)가 삽입되는 고정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부(134)는 최초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공간(S) 내의 점안액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봉해진 상태를 가진다. 다만, 상기 절취부(134)에는 절취선 등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외력을 가해 상기 절취선을 파단시켜 상기 수용공간(S) 내의 점안액이 상기 배출부(13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몸체(110, 120)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점안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부수용부(1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가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오목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10, 120)는,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 상부피복(A) 및 하부피복(B)의 둘레부가 서로 융착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제조 과정이 극히 용이하며, 대량생산을 수행하기에 유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100)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몸체(110, 120) 및 차페커버(200) 등 모든 구성요소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10, 120)는, 상기 배출구(130)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130)보다 하부로 돌출된 보조돌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돌기(140)는 사용자가 상기 몸체(110, 120)를 그립하여 점안을 수행할 경우, 상기 배출부(130)보다 먼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배출부(130)의 둘레 영역이 사용자의 안구를 찌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110: 중앙수용부
120: 측부수용부
130: 배출구
140: 보조돌기
200: 차폐커버
S: 수용공간

Claims (5)

  1. 내부에 점안액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점안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중앙수용부; 및
    상기 중앙수용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부수용부;
    를 포함하고,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수용부에서 상기 측부수용부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배출구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보다 하부로 돌출된 보조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전체 깊이 중 일부 영역이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되, 외력을 가해 절취 가능하게 형성된 절취부로 형성되는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커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수용부 및 상기 측부수용부는 중앙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5. 삭제
KR1020170113728A 2017-09-06 2017-09-06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95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28A KR101950926B1 (ko) 2017-09-06 2017-09-06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28A KR101950926B1 (ko) 2017-09-06 2017-09-06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926B1 true KR101950926B1 (ko) 2019-02-21

Family

ID=6558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7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50926B1 (ko) 2017-09-06 2017-09-06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9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933Y1 (ko) 2006-05-24 2006-09-20 삼일제약주식회사 일회용 점안액 용기세트
JP2012135596A (ja) * 2010-12-27 2012-07-19 T Two:Kk 点眼補助具つき目薬容器
KR20130028248A (ko) * 2011-09-09 2013-03-19 조민성 액제용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933Y1 (ko) 2006-05-24 2006-09-20 삼일제약주식회사 일회용 점안액 용기세트
JP2012135596A (ja) * 2010-12-27 2012-07-19 T Two:Kk 点眼補助具つき目薬容器
KR20130028248A (ko) * 2011-09-09 2013-03-19 조민성 액제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4609A (en) Surgical preparatory applicator
KR101590306B1 (ko) 콘텍트렌즈 포장용기
EP3768606A1 (en) Packaging container of a contact lens
KR101651177B1 (ko) 일회용 물티슈
WO2018101721A3 (ko) 안약 투약기
US20130221037A1 (en) Container for liquid
KR101950926B1 (ko) 휴대용 점안액 포장용기
US20240316241A1 (en) Ocular device case and refill container used for the ocular device case
CN217548362U (zh) 一种多剂量眼药瓶滴眼座
KR101181302B1 (ko) 재밀봉이 가능한 안구용 액제 포장용 블리스터 용기
KR102601575B1 (ko) 주사기를 포함하는 분배 조립체 및 바늘 보호 장치
EP3738557B1 (en) Device for single-dose containers
CA1203776A (en) Container for sterile liquid
KR20190089247A (ko) 쉐이빙폼이 내장된 일회용 면도기
JP6748633B2 (ja) 液体を滴下投与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2683552B1 (ko) 단일-도스 용기들 내의 안과용 액제를 위한 도포기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EP3590478B1 (en) Eye drop application
KR20180000248U (ko) 안약용기
KR200462207Y1 (ko) 화장품 용기
KR102362291B1 (ko) 절개선이 형성되는 액체 보관 패키지
WO2019167147A1 (ja) 眼用デバイスケースおよび眼用デバイスのケース付き処理液セット
KR102560766B1 (ko) 믹싱 제품
CN215131440U (zh) 一种眼药液点滴装置及其应用的眼药液杠杆助滴器
CN205396872U (zh) 一种便于取出次抛型透明质酸盛装瓶的装置盒
KR200426933Y1 (ko) 일회용 점안액 용기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