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838B1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0838B1 KR101950838B1 KR1020120083470A KR20120083470A KR101950838B1 KR 101950838 B1 KR101950838 B1 KR 101950838B1 KR 1020120083470 A KR1020120083470 A KR 1020120083470A KR 20120083470 A KR20120083470 A KR 20120083470A KR 101950838 B1 KR101950838 B1 KR 1019508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layer
- photosensitive resin
- emitting layer
- organ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 H10K71/231—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by etching of existing layers
- H10K71/233—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by etching of existing layers by photolithographic 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반적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에 있어, 하나의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
도 3a 내지 도 3o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l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에 있어, 하나의 화소에 대한 발광특성을 보여주는 사진.
131,231, 132,232, 133 : 보호층 150a,250a,350a,450a : 제 1 발광층
150b,250b,350b,450b : 제 2 발광층
150c,250c,350c,450c : 제 3 발광층
180,280,380,480 : 공통전극
Claims (18)
- 기판 위에 양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양극이 형성된 기판 위에 제 1 유기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유기막이 증착된 기판 전면에 현상액(developer)에 현상되는 제 1 보호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1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감광성 수지층에 선택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현상액에 현상하여 제 1 발광층이 형성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제 1 보호층 및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1 보호층패턴 및 제 1 감광성 수지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감광성 수지패턴을 마스크로 그 하부의 제 1 유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 1 유기막으로 이루어진 제 1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발광층이 형성된 기판 위에 제 2 발광층 및 제 3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제 2, 제 3 발광층 위에 음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감광성 수지층이 현상, 제거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제 1 보호층은 현상액에 반응하여 용해되어 제거되며, 이때 상기 제 1 보호층의 현상과 함께 그 위에 남아있는 감광성 수지가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보호층패턴 및 제 1 감광성 수지패턴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그 위에 제 2 유기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 2 유기막이 증착된 기판 전면에 현상액에 현상되는 제 2 보호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감광성 수지층에 선택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현상액에 현상하여 제 2 발광층이 형성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제 2 보호층 및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보호층패턴 및 제 2 감광성 수지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감광성 수지패턴을 마스크로 그 하부의 제 2 유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 2 유기막으로 이루어진 제 2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보호층패턴과 제 1 감광성 수지패턴 및 제 2 보호층패턴과 제 2 감광성 수지패턴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그 위에 제 3 유기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 3 유기막이 증착된 기판 전면에 현상액에 현상되는 제 3 보호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3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3 감광성 수지층에 선택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현상액에 현상하여 제 3 발광층이 형성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제 3 보호층 및 감광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3 보호층패턴 및 제 3 감광성 수지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감광성 수지패턴을 마스크로 그 하부의 제 3 유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 3 유기막으로 이루어진 제 3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발광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남아있는 제 1, 제 2, 제 3 보호층패턴 및 제 1, 제 2, 제 3 감광성 수지패턴을 스트립(strip)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발광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남아있는 제 1, 제 2 보호층패턴 및 제 1, 제 2 감광성 수지패턴을 스트립 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발광층과 제 2 발광층이 형성된 기판 위에 제 3 유기막을 증착하여 제 3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보호층은 불소(fluorine)를 포함하는 유기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보호층은 상기 감광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감광성 수지에 비해 현상액에 대한 용해도가 큰 불소를 포함하는 유기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보호층은 0.1㎛ ~ 5㎛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광성 수지층이 현상, 제거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제 2 보호층은 현상액에 반응하여 용해되어 제거되며, 이때 상기 제 2 보호층의 현상과 함께 그 위에 남아있는 감광성 수지가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감광성 수지층이 현상, 제거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제 3 보호층은 현상액에 반응하여 용해되어 제거되며, 이때 상기 제 3 보호층의 현상과 함께 그 위에 남아있는 감광성 수지가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발광층은 상기 제 1 발광층과 제 2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발광층은 상기 제 1 발광층과 제 2 발광층 사이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발광층과 제 2 발광층 상부에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이 형성된 기판 위에 정공주입층 및 정공수송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상기 제 1 발광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층은 적, 녹 및 청색 발광층 중 어느 하나의 발광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광층은 상기 적, 녹 및 청색 발광층 중 다른 하나의 발광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발광층은 상기 적, 녹 및 청색 발광층 중 나머지 하나의 발광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발광층이 형성된 기판 위에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상기 음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3470A KR101950838B1 (ko) | 2012-07-30 | 2012-07-30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3470A KR101950838B1 (ko) | 2012-07-30 | 2012-07-30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6108A KR20140016108A (ko) | 2014-02-07 |
KR101950838B1 true KR101950838B1 (ko) | 2019-02-21 |
Family
ID=5026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3470A Active KR101950838B1 (ko) | 2012-07-30 | 2012-07-30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083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32387B2 (en) | 2021-01-28 | 2025-02-18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including layer with a plurality of parts having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ies on emission layer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2456B1 (ko) | 2017-03-13 | 2022-12-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CN109326730B (zh) * | 2017-08-01 | 2024-02-13 | 拓旷(上海)光电科技有限公司 | 用于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的制造设备 |
JPWO2022153150A1 (ko) * | 2021-01-14 | 2022-07-21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28371A (ja) * | 2006-06-23 | 2008-02-07 | Canon Inc | 有機発光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68526A (ja) * | 1997-03-24 | 1998-10-09 | Toshiba Corp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パターン形成方法 |
-
2012
- 2012-07-30 KR KR1020120083470A patent/KR10195083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28371A (ja) * | 2006-06-23 | 2008-02-07 | Canon Inc | 有機発光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32387B2 (en) | 2021-01-28 | 2025-02-18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including layer with a plurality of parts having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ies on emission lay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6108A (ko) | 2014-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47017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9871087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high aperture rati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9997581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high aperture ratio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045036B1 (ko) | 고 개구율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484591B1 (ko) | 능동행렬 유기전기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
US8916876B2 (en) |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10263053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40025383A (ko) |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20200136047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n oled display device and oled display device | |
KR20080061675A (ko) |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463030B1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58239B1 (ko) |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950838B1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
KR101820166B1 (ko) | 화이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590255B1 (ko) |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455578B1 (ko) | 발광 표시 패널 | |
KR20150033141A (ko) |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230529B1 (ko) |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245215B1 (ko) |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40134B1 (ko) |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00020570A (ko) | 발광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20060036795A (ko) |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용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7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