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883B1 -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for evacuee guidance - Google Patents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for evacuee guid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9883B1 KR101949883B1 KR1020170161216A KR20170161216A KR101949883B1 KR 101949883 B1 KR101949883 B1 KR 101949883B1 KR 1020170161216 A KR1020170161216 A KR 1020170161216A KR 20170161216 A KR20170161216 A KR 20170161216A KR 101949883 B1 KR101949883 B1 KR 1019498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acuation
- door
- control unit
- layer
- camera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ogen oxide Inorganic materials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22 fluorine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TQHKBHJIVJGKJ-UHFFFAOYSA-N sulfur monoxide Chemical class S=O XTQHKBHJIVJG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5 sulfu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중앙 감시 장치는 저장 매체,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에 연결되어 있는 감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상기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과 대응하는 대피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를 판정하고,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 이하이면,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을 최종 대피 출입문으로 정하여, 상기 최종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복수의 대피안내 표시부를 점등 제어한다.The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includes a storage medium and a monitoring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torage medium. The monitor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storage unit, The number of persons at the first evacuation route point of the current floor related to the evacuation door and the number of persons at the first evacuation route point of the evacuation flo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evacuation route point of the current floor are determined, , The first preliminary evacuation door is determined as the final evacuation door, and a plurality of evacuation guide display portions related to the final evacuation door are lighted and control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난 유도를 위한 중앙 감시 장치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층 빌딩과 같은 빌딩 내에서 재난이 발생 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재난 대비 경로 안내 시스템의 중앙 감시 장치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for evacuation guid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of a disaster prepared route guiding system for guiding a evacuation route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a building such as a high- .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극장 또는 사무실과 같은 건물에는 화재나 정전과 같은 비상 상황 시 사람들을 비상구로 유도하기 위한 표시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Typically, buildings such as restaurants, theaters, or offices are equipped with indicators to guide people to an emergency exit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a power outage.
이러한 비상구 표시등은 대부분 화재나 정전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 이상 점등되어 건물 내부의 사람들로 하여금 비상구를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Most of the emergency exit lights are turned 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f the power is shut off due to a fire or a power failure, so that people inside the building can easily find the emergency exit.
하지만 이러한 비상구 표시등은 내부에 내장된 형광등과 같은 발광부의 동작 여부만을 제어하여 비상구의 위치만을 알려주게 된다.However, such an emergency exit light controls only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such as a fluorescent lamp built in the inside, thereby informing only the position of the exit.
따라서 비상구 표시등이 설치된 장소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비상구 표시등을 따라 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더 위험한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ituation of the place where the emergency exit light is installed can not be accurately grasped, which may result in moving to a more dangerous position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moved along the emergency exit light.
또한, 비상구 표시등에 따라 이동한 사람들로 인해 해당 장소에 한꺼번에 많은 인파가 몰리는 현상으로 인해 효율적인 대피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발생한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n efficient evacuation operation can not be performed due to a phenomenon in which a crowd of people crowd the place at a certain place due to people moving according to an emergency exit ligh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재난 발생 시 건물 내의 대피 경로를 빌딩 내의 상황에 맞게 안내하여 안전한 대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uide a evacuation route in a building according to a situation in a building in case of a disaster so that a safe evacu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재난이 발생한 건물 내의 직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직원들의 대피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ck the route of an employee in a disaster-affected building so as to accurately grasp the evacuation situation of the employee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중앙 감시 장치는 저장 매체,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에 연결되어 있는 감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상기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과 대응하는 대피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를 판정하고,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 이하이면,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을 최종 대피 출입문으로 정하여, 상기 최종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복수의 대피안내 표시부를 점등 제어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medium, and a monitoring controller connected to the storage medium, wherein the monitoring controller includes: The number of persons at the first escape route point of the current floor related to the first escape door and the number of persons at the first escape route point of the escape rou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scape route point of the current floor are determined, If the number is less than the set number of persons, the first preliminary evacuation door is defined as the final evacuation door, and a plurality of evacuation guide display portions related to the final evacuation door are lighted and controlled.
상기 감시 제어부는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 이하이면, 상기 대피 층의 상기 제1 대피 경로 지점을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하고, 상기 현재 층에서 상기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이동시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을 최종 대피 출입문으로 정할 수 있다.The monitoring control unit determines the first evacuation path point of the evacuation layer as a preliminary target evacuation path point if the sum of the two determined number of person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number of persons, The first preliminary evacuation door can be set as the final evacuation door.
상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현재 층에서 상기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이동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의 상태를 대피 불가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The surveillanc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rst preliminary evacuation door to be in the evacuation prohibition state when an obstacle exists when moving from the current layer to the preliminary target evacuation path point.
상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주변상황 정보를 읽어와 대피 불가능한 층의 존재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대피 불가능한 층의 존재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대피 층을 판정할 수 있다. The surveillanc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non-evacuable layer by read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may determine the evacuation layer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ce of the non-evacuable layer.
상기 주변상황 정보는 유해 가스 농도, 연기 농도, 출입문 폐쇄 여부 및 방화벽 동작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noxious gas concentration, a smoke concentration, whether the door is closed, and whether the fire wall is operated.
상기 유해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유해가스 센서, 연기 발생 정보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 및 방화벽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방화벽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noxious gas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noxious gas, a smoke sensor for detecting smoke generation information, and a firewall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e wall is operated.
상기 감시 제어부는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를 초과하면, 상기 현재 층에 위치하는 다른 출입문을 제2 예비 대피 출입문으로 정하고, 정해진 상기 제2 예비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현재 층의 제2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상기 제2 대피 경로 지점과 대응하는 대피 층의 제2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대피경로 표시부의 점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supervisory control unit determines the other door positioned in the current floor as the second preliminary evacuation door when the sum of the two determined number of persons exceeds the set number of persons and the second evacuation path of the current floor related to the predetermined second evacuation door The lighting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vacuation path display units can be controlled by using the number of people at the point and the number of people at the second evacuation path point of the evacuation lay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vacuation path point.
상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현재 층의 제2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상기 대피 층의 제2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 이하이면, 상기 제2 예비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뿐만 아니라 상기 예비 제1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를 점등 제어할 수 있다.If the sum of the number of persons at the second evacuation route point of the current layer and the number of persons at the second evacuation route point of the evacuation floo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number, The evacuation path display unit associated with the first evacuation door can be controlled to be light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직원 통신 카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직원 통신 카드와의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직원 식별번호는 수신하고 수신된 직원 식별번호를 자신의 위치 정보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중앙 감시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mployee communication card, and an employee identification numbe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employee communication card,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number to the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ith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현재 층에 존재하는 사람의 인원수를 고려하여 대피 층으로의 대피 경로를 정하므로, 특정 지역에 사람이 몰려 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안전 사고의 위험이 줄어든다.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the evacuation route to the evacuation layer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people present in the current layer, so tha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that occur when people move in a specific area is reduced.
정해진 대피 경로 상에 위험물이 발생한 상태로 판단될 경우, 다른 대피 경고를 정하므로, 좀더 안정적인 경로를 통해 사람의 대피 동작이 이루어진다. When it is judged that a dangerous substance has occurred on a predetermined evacuation route, another evacuation warning is determined, so that a evacuation operation of a person is performed through a more stable rout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감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피경로 안내 모듈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대상 건물에 설치된 출입문, 카메라 모듈, 대피경로 표시부의 설치 위치에 대한 하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대피 경로 지점 인원수 파악 루틴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에서 대피 경로 판정 루틴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정해진 대피 경로에 다른 대피경로 표시부의 점등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isaster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vacuation route guidan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access door, a camera module, and a shelter path display unit installed in a target build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emergency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evacuation path point number counting routine in FIG.
8A to 8C are operational flowcharts of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routine in Fig.
Figs. 9 to 11 are diagrams showing the lighting states of different evacuation route display sections on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ed resp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it is possible to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obscure by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field, it is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appropriately expres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son or custom in the relevant field.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embodies certain features, area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 / or components, And the lik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유도를 위한 중앙 감시 장치 및 카메라 모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for evacuation guid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중앙 감시 장치와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재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disaster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including a central monitor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재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은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100)을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 모듈부(10), 카메라 모듈부(10)의 각 카메라 모듈(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중앙 감시 장치(200), 중앙 감시 장치(200)와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복수 개의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을 구비하는 대피경로 안내 모듈부(30)를 구비한다.1, the disaster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본 예의 재난 대비 경로 안내 시스템은 건물에 재난이 발생할 경우, 빌딩 내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대피 경로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The disaster preparedness route guidance system in this example is intended to inform the people in the building of the evacuation route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the building.
이때, 빌딩은 대략 50층 이상 또는 200미터 이상의 높이를 갖는 초고층 건물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building may be a skyscraper having approximately 50 stories or more or 200 meters or more in h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각 카메라 모듈(100)은 주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계단에서 서로 다른 층으로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서로 두 계단이 만나는 지점(이하, 이 지점을 '대피 경로 지점'이라 함)에 설치되어 있고, 각 층에 위치한 복수의 출입문 각각에 적어도 하나 위치하여, 각 층에 복수 개의 대피 경로 지점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층에 위치하는 대피 경로 지점은 각 층의 해당 출입문과 연결되어 해당 출입문을 열면 해당 층과 서로 통하게 된다.Each of the
또한,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 역시 각 층에 복수 개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각 층의 실내에서 각 출입문을 통과해 이동하는 경로에 정해진 간격마다 또는 지정 위치에 복수 개 위치한다. 따라서, 같은 층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100)과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은 위치에 따라 대응 관계를 갖는다.Also, a plurality of evacuation
이들 카메라 모듈(100)과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은 각각 고유의 식별번호를 갖고 있고, 중앙 감시 장치(20)와의 통신 시 전송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자신의 식별 번호도 함께 전송한다.Each of the
이로 인해, 중앙 감시 장치(200)는 각 카메라 모듈(100)과 각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의 설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Thus, the
각 카메라 모듈(100),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 및 중앙 감시 장치(200)는 주로 비상 계단 등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용 전원인 1차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The
따라서, 대상 건물에 화재 등이 발생하여 전원 시스템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정해진 시간 동안 이들 장치(100-300)는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대상 건물의 재난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even if the power system is not normally operated due to a fire or the like in the target building, the devices 100-300 can supply normal pow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grasp the disaster situation of the target building in real time, So that it can be quickly taken.
카메라 모듈부(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100)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한 예로 도 2에 도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각 카메라 모듈(100)은 예를 들어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110), 중앙 감지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20), 영상 촬영부(110)와 통신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130), 그리고 동작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140)를 구비한다. Each
영상 촬영부(110)는 카메라(camera)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동작 제어부(130)로 출력한다.The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중앙 감시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중앙 감시 장치(200)로 전송한다.Accordingly, the
통신부(12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중앙 감시 장치(200)와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인터넷 모듈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Internet modules are modules for wireless or wired Internet access.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or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an be used as the Internet technology.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일컫는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Examples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or ZigBee Can be used.
동작 제어부(130)는 각 카메라 모듈(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영상 촬영부(1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주변 영상을 촬영해 중앙 감시 장치(200)로 전송한다.The
또한, RFID 판독기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장비, 예,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사원 번호)를 판독하여 해당 데이터와 데이터 수신 시간 등의 저장을 제어한다.In addition, by using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RFID reader, data (for example, employee number) received from an apparatus located within a set range, for example, an RFID tag, is read and the storage of the data and the data reception time is controlled .
저장부(140)는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 및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다.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100)은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중앙 감시 장치(20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입력부(210), 통신부(220), 주변상황 감지부(230), 사용자 입력부(210), 통신부(220) 및 주변상황 감지부(230)에 연결되어 있는 감시 제어부(240), 감시 제어부(240)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250) 및 정보 출력부(260)를 구비한다.3, the
이때, 감시 제어부(240)는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부(400)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탐색해 읽어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때, 데이터베이스부(400) 역시 저장부(250)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이고, 본 예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감시 제어부(240)에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data stored in the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중앙 감시 장치(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중앙 감시 장치(200)가 감시하고 있는 대상 건물의 상황 등에 관한 정보의 입력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따라서, 관리자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폐쇄된 출입문의 위치 정보, 막힌 이동 경로, 화재 등이 발생한 층과 같은 위험 위치, 방화벽 위치 등과 같은 대상 건물의 실시간 상황을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dministrator can use the
따라서, 주변 상황 정보는 해당 지점의 유해 가스 농도, 연기 농도, 출입문 폐쇄 여부, 방화벽 동작 여부를 구비할 수 있고, 추가적을 감시 제어부(240)의 동작에 따라 해당 출입문을 통해 바로 아래 또는 바로 위층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대피 불가 상태로 판정된 해당 출입문의 상태 정보 역시 구비된다.Accordingly, the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concentration of the harmful gas at the corresponding point, the smoke concentration, whether the door is closed, whether or not the firewall is operated, and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mmediately below or directly abov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that is determined to be in the non-evasive state is also provided.
통신부(220)는 각 카메라 모듈(100) 및 각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 간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추가로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이때,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이때,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 receives a signal (i.e., a wireless signal) wirelessly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wireless signal includes a voice call signal,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e.
주변상황 감지부(230)는 대상 건물의 지정된 위치에 장착되어 해당 위치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산화물(oxidant), 탄화수소, 불소화합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등을 감지하는 유해가스 센서, 이산화탄소(CO2) 등을 이용하여 연기 발생 정도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 방화벽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방화벽 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다.As surroundings-sensing unit 230 is mounted on a specified position of the target building for sensing a condition of the location, sulfur oxides (SO x), nitrogen oxides (NO x), oxide (oxidant), a hydrocarbon, a fluorine compound, A toxic gas sensor for detecting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and ammonia, a smoke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smoke generation using carbon dioxide (CO 2 ), a firewall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wall is operated, and the like.
이러한 주변상황 감지부(230)의 대상 건물의 각 층마다 위치하면 각 층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If the surrounding situation detecting unit 230 is located in each layer of the target building, it can be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of each layer.
주변상황 감지부(230)의 설치 위치는 이미 데이터베이스부(400)나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감시 제어부(240)는 주변상황 감지부(230)에 의해 판정된 주변 상황이 어느 층의 어느 지점에서 발생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eripheral situation sensing unit 230 is already stored in the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주변상황 감지부(2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방화벽의 동작 여부, 발생되는 연기의 농도, 유해 가스 발생 여부 등과 해당 층의 환경을 판정하게 된다. 또한 감시 제어부(240)는 주변상황 감지부(230)를 이용한 판정 결과를 주변 상황 정보로서 각 층별로 해당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nitoring and
감시 제어부(240)는 중앙 감시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각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층의 해당 대피 경로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의 인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인원수를 이용하여 각 층에 위치하는 복수의 출입문 중 어느 출입문을 통과하여 사람을 안내할지를 판정한다.The
또한, 감시 제어부(240)는 판정된 출입문 쪽으로 사람의 대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당 층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의 동작에 따라 표시되는 이동 경로를 따라 도착한 대피 경로 지점이 해당 출입문에서의 최적의 대피 지점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감시 제어부(240)는 주변 상황 감지부(210)와 사용자 입력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판단된 각 층의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대피 경로를 정하게 된다. 즉, 판정된 대피 경로에 유해 가스가 발생하거나 연기가 설정 농도 이상 발생하는 경우, 출입문이 잠겨 있거나 방화벽이 동작된 경우 등과 같이, 해당 대피 경로를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없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다른 출입문을 이용하는 대피 경로를 탐색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저장부(250)는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 저장 매체이다.The
정보 출력부(260)는 감시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시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각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촬영 영상에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정보 출력부(260)로 출력하여 촬영 영상을 출력하며, 각 층에 관련된 주변 상황이나 각 층의 현재 정해진 대피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감시 제어부(240)는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되어 있는 직원정보를 이용하여 각 직원의 이동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정보 출력부(26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가요성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및 3차원 표시 장치(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일 수 있다.The
감시 제어부(240)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400)는 설계도 데이터베이스(410), 직원정보 데이터베이스(420), 카메라 모듈 데이터베이스(430), 대피경로 안내 모듈 데이터베이스(440) 및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를 구비한다.The
설계도 데이터베이스(410)는 대상 건물의 각 층에 관련된 설계도가 저장되어 있고, 직원정보 데이터베이스(420)는 대상 건물에 근무하거나 상주하는 사람(이하, 이 사람을 '직원'이라 함)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The
또한, 카메라 모듈 데이터베이스(430)는 각 카메라 모듈(100)에 관련된 정보와 각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영상이 각 층별 그리고 각 카메라 모듈(100) 별로 저장되어 있으며, 대피경로 안내 모듈 데이터베이스(440)는 각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에 관련된 정보 등이 각 층별 그리고 각 카메라 모듈(100) 별로 저장되어 있다.The
마지막으로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는 각 층의 주변 상황이 저장되어 있다.Finally, the surrounding
이때,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인가되는 정보와 주변상황 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주변 상황에 관한 주변 상황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각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은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통신을 위한 통신부(310), 통신 제어부(310)에 연결되어 잇는 안내 제어부(320), 저장부(330) 및 대피경로 표시부(340)를 구비한다.4, each evacuation
이미 기술한 것처럼, 통신부(310)는 인터넷 모듈과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저장부(330)는 데이터나 명령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대피경로 표시부(340)는 안내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해당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가요성 표시 장치 및 3차원 표시 장치(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vacuation
이때, 대피경로 표시부(340)에는 화살표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의 방향을 표시하며, 대패 경로의 방향에 따라 표시되는 화살표의 모양은 왼쪽방향 화살표(←), 오른쪽방향 화살표(→), 위쪽방향 화살표(↑) 또는 아래쪽방향 화살표(↓)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evacuation route is indicated on the evacuation
다음,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재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1. Fig.
재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동작 설명에 대한 편의성을 위하여, 하나의 예로서, 도 5와 같이, 각 층에 출입문, 카메라 모듈 및 대피 경로 지점이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For convenience in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disaster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it is assumed that doors, camera modules, and evacuation route points are located on each floor as shown in FIG. 5 as an example.
이때, 도 5과 도 1 내지 도 4를 비교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니,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성을 위한 것이다. At this time, when comparing FIG. 5 with FIG. 1 to FIG. 4,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given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which are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5를 참고로 하면, 대상 건물의 각 층에는 모두 네 개의 출입문(D41-D44, D31-D34)이 존재하고, 각 출입문(D41-D44, D31-D34)와 연결되어 있고 각 해당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네 개의 대피 경로 지점(R41-R44, R31-R34)이 존재한다. 5, there are four doors D41-D44 and D31-D34 in each floor of the target building, and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doors D41-D44 and D31-D34, There are four evacuation route points R41-R44 and R31-R34, where C41-C44 and C31-C34 are installed, respectively.
또한, 한 예로서, 각 층에는 해당 출입문(D41-D44, D31-D34) 쪽으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기 위해, 인접한 두 출입문 사이에는 두 개씩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 L421-L424, L431-L434, L441-L414, L311-L314, L321-L324, L331-L334, L341-L314)이 설치되어 있어, 각 출입문(D41-D44, D31-D34)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 L421-L424, L431-L434, L441-L414, L311-L314, L321-L324, L331-L334, L341-L314)의 개수는 네 개이다.For example, two escape path display units L411-L414, L421-L424, L431-L431-L431-L431-L431-L431- L414, L441-L414, L311-L314, L321-L324, L331-L334 and L341-L314 are provided in the exit route display sections L411- L424, L431-L434, L441-L414, L311-L314, L321-L324, L331-L334, L341-L314).
즉, 각 층의 제1 출입문(D41, D31)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는 제1 출입문(D41, D3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 L311-L314)이고, 제2 출입문(D42, D32)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는 제2 출입문(D42, D32)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부(L421-L424, L321-L324)이며, 제3 출입문(D43, D33)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 역시 제3 출입문(D43, D33)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부(L431-L434, L331-L334)이고, 제4 출입문(D44, D34)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 역시 제4 출입문(D44, D34)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설치된 대피경로 표시부(L441-L444, L341-L344)이다.That is, the evacuation path display portions related to the first doors D41 and D31 of the respective layers are two evacuation path display portions L411-L414 and L311-L314 provided respective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door D41 and D31, The evacuation path display portions related to the second doors D42 and D32 are two evacuation path display portions L421-L424 and L321-L324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doors D42 and D32, respectively, and the third door D43 L334 and L331-L334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and fourth doors D43 and D33 respectively and the escape path display section related to the fourth doors D44 and D34 The evacuation path display unit is also two evacuation path display units L441-L444 and L341-L344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urth door D44 and D34, respectively.
또한, 각 대피 경로 지점(R41-R44)에도 적어도 하나의 대피경로 표시부가 존재하면, 도 5의 경우, 각 대피 경로 지점(R41-R44)에는 하나의 대피경로 표시부(L415, L425, L435, L445 L315, L325, L335, L345)가 존재한다.5, at least one evacuation path display unit (L415, L425, L435, L445) is provided for each evacuation route point (R41-R44) L315, L325, L335, L345).
따라서, 각 출입문(예, D41)을 중심으로 할 때, 해당 출입문(D41에 관련된 대피 경로 지점(R41)과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가 존재한다. 서로 인접한 두 층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및 대피경로 표시부는 서로 대응 관계를 갖는다. Therefore, there is a evacuation route point R41 and a evacuation route display area L411-L414 associated with the door D41 when the respective doors (e.g., D41) are centered. The entrance door, the evacuation route point, and the evacuation route display section have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이처럼 각 층에 배치된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카메라 모듈 및 대피경로 표시부에 관한 정보(예, 설치 위치 정보)는 이미 데이터베이스부(400)의 해당 데이터베이스(430, 440)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감지 제어부(240)는 이들 데이터베이스(430, 440)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설계도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층의 설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층의 설계도에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카메라 모듈, 대피경로 표시부의 설치 위치를 정보 출력부(260)로 표시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doors, escape route points, camera modules, and the evacuation route display unit (for exampl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arranged on each floor is already stored in the
도 5에서는 4층과 3층에 각각 배치된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카메라 모듈 및 대피경로 표시부를 도시하였지만, 이외의 다른 층 역시 도 5에 도시한 구조로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카메라 모듈, 각 카메라 모듈과 연결된 대피경로 표시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은 당연하다.5, the door, escape route, camera module, and escape route display unit are arranged in the fourth and third floors, respectively.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evacuation rou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amera module is disposed.
이미 기재한 것처럼, 도 5에 도시된 구조는 단지 하나의 예로서, 대상 건물의 층 수, 각 층의 구조 또는 면적 등에 따라 각 층에 배치되는 출입문, 대피 경로 지점, 카메라 모듈 및 대피경로 표시부의 개수는 변하게 된다. As already described, the structure shown in Fig. 5 is merely an example of a door, a evacuation route point, a camera module, and a evacuation route display portion arranged in each flo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target building, the structure or area of each layer, The number will change.
먼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중앙 감시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First, as shown in FIG. 6,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이때, 중앙 감시 장치(200)는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이 설치되어 있는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판정하는 것으로서,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에서 촬영된 영상은 모두 동일한 동작에 따라 처리하여 대피 경로를 판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대상 건물의 재난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중앙 감시 장치(200)의 감시 제어부(24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대상 건물에 화재나 테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S10-S12).Accordingly, the monitoring and
이때, 재난 발생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부(210)에 관리자에 의해 동작되는 비상 스위치가 구비되어,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비상 스위치를 동작시켜 중앙 감시 장치(200)로 재난 발생 상황을 입력한다.At this time, an emergency switch operated by an administrator is provided in the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이러한 비상 스위치를 이용하는 대신, 화재 감지나 지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재난 감지부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재난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판독된 신호의 상태가 정해진 재난 상태일 때,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However, in an alternative example, instead of using this emergency switch, a separate disaster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a fire detection, an earthquake, or the like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중앙 감시 장치(200)의 동작을 위해, 각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제어부(130)는 영상 촬영부(110)를 동작 시켜 실시간으로 자신이 설치되어 있는 대피 경로 지점을 촬영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때, 동작 제어부(130)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함께 해당 카메라 모듈(100)에 대한 식별번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중앙 감시 장치(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각 감시 제어부(240)는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되는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에 대응되게 시간별로 카메라 모듈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해 놓는다. The
이와 같이, 판단된 상태가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가 아니면, 감시 제어부(240)는 중앙 감시 장치(200)를 일반 모드로 제어한다(S13).If the determined state is not a disaster state, the
하지만, 판단된 현재 상태가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로 판단되면(S12), 감시 제어부(240)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재난 상황 모드로 전환한다(S14).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state is a disaster state (S12), the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아 각 카메라 모듈(C41-C44)이 장착되어 있는 대피 경로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의 인원수를 파악하는 대피 경로 지점 인원수 파악 루틴(S15), 파악된 각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주변 상황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되는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파악된 각 층의 상황을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판정하여, 해당 층에 존재하는 복수의 대피경로 표시부 중에서 판정된 대피 경로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를 선택하여 점등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 판정 루틴(S16)를 구비한다.Therefore, the
이미 기재한 것처럼, 중앙 감시 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재난 발생 모드로 전환되면, 중앙 감시 장치(200)의 감시 제어부(240)는 먼저, 대피 경로지점 인원수 파악 루틴(S14)으로 넘어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본 예의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복수 개(n개)의 출입문(D41-D44) 중에서 정해진 순서에 해당하는 번째(n번째)의 출입문을 통해 이동하는 대피 경과를 순차적으로 판정하고 각 해당 번째의 출입문을 통과하여 사람을 대피시킬 수 있는지 판단한다.In this example, the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단계(S15)에는 n번째의 출입문에 관련된 n번째 카메라 모듈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n번째 출입문과 관련된 n번째의 대피 경로 지점의 위치하는 사람의 인원수를 파악하게 된다.Accordingly, in step S15, the
감시 제어부(240)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카메라 모듈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카메라 모듈에 관련된 데이터를 읽어와(S151) 촬영된 영상 속에서 사람을 선별한다(S152).7, the
촬영된 피사체 중에서 사람을 선별하기 위해, 감시 제어부(240)는 판독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별로 비교하여 위치 이동이 해당 속도로 발생하고 있는 대상물을 사람으로 판정할 수 있다. In order to select a person among the photographed subjects, the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를 이용한 열추적 방식 등과 같이,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대피 경로 지점(R41)에 위치하는 피사체 중에서 사람을 감지할 수 있다. However, in an alternative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a person from a subject located at the evacuation route point R41 by using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a heat tracing method using an infrared ray sensor or the like.
따라서, 판독된 영상 데이터에서 사람이 선별되면, 감시 제어부(240)는 사람으로 선별된 피사체를 계수하여, 각 카메라 모듈(C41-C44)과 관련된 해당 대피 경로 지점(R41-R44)에 현재 위치하는 사람의 인원수를 산출한다(S153).Accordingly, when a person is selected from the read image data, the
그런 다음, 산출된 인원수를 해당 대피 경로 지점(R41-R44)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Then, the calculated number of people is stored in the
이와 같이, 각 카메라 모듈(C41-C44, C31-C34)에서 촬영된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대피 경로 지점(R41-R44, R31-R34)에 위치하고 있는 인원수가 파악되면,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경로 판정 루틴(S16)으로 넘어가 각 대피 경로 지점(R41-R44, R31-R34)에 위치한 인원수와 각 층의 주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판정한다.When the number of persons located at the evacuation route points R41-R44 and R31-R34 is obtained by using the image data of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s C41-C44 and C31-C34, 240 proceeds to the escape route determining routine S16 to determine the escape route using the number of persons located at each of the escape route points R41-R44 and R31-R34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of each floor.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의 동작이 대피 경로 판정 루틴(S16)으로 넘어가면, 감시 제어부(240)는 먼저, 저장부(250)나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되어 있는 주변 상황 정보를 판독하여(S161), 대상 건물에 현재 대피 불가능한 층이 존재하는 지 판단한다(S162). Therefore, when the operation of the
예를 들어, 층 전체가 불길에 완전히 휩싸여 사람의 대피가 불가능한 층이나 층 주변의 많은 부분이 파손되거나 없어져 계단 등이 파손되어 해당 층으로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한 층 등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For example, the entire floor is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flames, and a layer or layer around the floor where a person can not escape is damaged or destroyed.
이러한 대피 불가능한 층에 관한 정보를 이미 설명한 한 것처럼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예를 들어, 제2층 접근 금지, 제3층 완전 소실 등과 같은 정보 입력에 따라 해당 층을 대피 불가능한 층으로 분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information on the non-evacuable layer,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또한, 주변 상황 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유해 가스 농도, 연기 농도, 출입문 폐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주변 상황 감지부(230)에 의해 판단된 각 층의 주변 상황에 따라 공기질의 상태, 출입문 폐쇄, 방화벽 동작 상태 등과 같이 사람 이동이 불가능한 환경인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해당 층을 대피 불가능한 층으로 판정해 해당 층의 상태를 대피 불가능한 상태로 표시하게 된다.The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conditions of each floor determined by the surrounding situation sensing unit 230, such as at least on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noxious gas detected by the ambient condition sensing unit 230, the smoke concentration, If the environment is such that the person can not move, such as closing a door, a firewall, or the like, the
따라서, 현재 대상 건물에 대피 불가능한 층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대피 층을 판정한다(S163), Accordingly, the evacuation layer is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urrent evacuation layer exists in the target building (S163)
본 예의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현재 대피 경로를 판정하기 위한 해당 층(이하, 이 층을 '현재 층' 이라 함)이 대피 불가능한 층보다 위에 있는지 아래에 있는지를 판단해 대피 층을 판정한다(S163).In the case of this example, the
예를 들어, 현재 층이 4층이고 대피 불가능한 층이 3층이나 2층인 경우, 아래 방향으로의 완전한 대피는 불가능한 경우이다. 이런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방향을 위쪽 방향으로 정하여 현재 층에서 현재 층의 바로 위에 존재하는 층으로의 대피 경로를 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current layer is four stories and the non-evacuable layer is three or two stories, complete evacu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impossible. In this case, the
하지만, 반대로 현재 층이 4층이고 대피 불가능한 층이 5층인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방향을 아래쪽 방향으로 정하여 현재 층에서부터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층으로의 대피 방향을 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layer is four layers and the non-evacuable layer is five layers, the supervision and
또한, 대피 불가능한 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방향을 아래쪽 방향으로 정한다. Also, even when the non-evacuable layer does not exist, the
하지만, 현재 층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층들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위쪽에 위치하는 층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피 불가능 층이 존재할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옥상이 존재하는 위쪽 방향으로 대피 경로를 정하게 된다.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현재 층에서부터 바로 위쪽에 존재한 위층으로의 대피 경로를 정하게 된다.However, if at least one of the layers located below the current layer and at least one of the layers located above the current layer has a non-evacuable layer, the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로 하여 대피 경로를 정하는 감시 제어부(240)의 동작은 대피 방향이 아래쪽 방향인 경우를 설명한다. 대피 방향이 위쪽 방향인 경우에 비교 대상의 층(즉 대피 층)이 현재 층의 바로 아래층이 아니라 바로 위층이라는 것을 제외하면, 대피 경로를 정하는 동작은 도 8a 내지 도 8c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S. 8A to 8C,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and
따라서, 단계(S163)에서 대피 층이 정해지면, 감시 제어부(240)는 현재 층인 4층에 존재하는 복수 개 4층 출입문,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출입문(D41-D42) 중에서 정해진 순서(n번째)에 따라 현재 순서에 해당하는 출입문[예, 4층 제1 출입문(D41)]을 예비 대피 출입문으로 정한다(S)(도 5의 경우, n=1, 2, 3, 4임). Therefore, if the escape layer is determined in step S163, the supervision and
다음,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비 대피 출입문[예, 4층 제1 출입문(D41)]에 관련된, 즉 연결되어 있는 대피 경로 지점인 4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R41)에서 파악된 현재 인원수를 판정한다(S164).Next,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다음, 대피 층인 바로 아래층인 3층에서, 4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R41)에 대응되는 지점인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에서 파악된 인원수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부(250)에서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의 현재 인원수를 판정한다(S165).The
그런 다음, 4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41)과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에서 각각 파악된 인원수를 합산한 후(S166), 합산된 인원수를 설정 인원수와 비교한다(S167).Then, the number of persons identified at the first floor evacuation route point R41 and the number of persons identified at the third floor first evacuation route point R31 are summed up (S166), and the summed number of people is compared with the set number of people (S167).
합산된 인원수가 설정 인원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4층 및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41, R31)에 각각 위치한 인원수가 모두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에 모여 있어도 추가적인 대피 인원을 수용한 공간적인 여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When the total number of person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number of persons, the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4층 제1 출입문(D41)을 통과하여 4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41)을 경유해 가장 빠른 이동 경로로 이동할 수 있는 지점인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을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한다(S168).Accordingly, the monitoring and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관련 층인 현재 층과 대피 층인 4층과 3층에 관련된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로부터 4층과 3층에 관련된 주변환경 정보를 읽어와(S169), 4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41)에 연결된 출입문인 4층 제1 출입문(D41)의 폐쇄 여부 및 4층 제1 출입문(D41) 주변의 주변상황, 그리고 제 3층이 대피 불가능한 층인지 판단하여, 예비 목표대기 경로 지점으로 이동 시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610).Accordingly, the
4층 제1 출입문(D41)이 잠겨 있지 않고, 4층 제1 출입문(D41) 주변의 연기 농도나 유해가스 농도가 설정치 이하로서 사람이 이동하여도 생명이 위험이 없는 경우, 그리고 대피 층인 제 3층이 대피 불가능한 층이 아닌 경우(S1610), 감시 제어부(240)는 4층 제1 출입문(D41)을 통해 안전하게 제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황으로 판단한다.When the fourth floor first door (D41) is unlocked and the smoke concentration around the first door (D41) on the fourth floor is lower than the set value and there is no risk of life even if a person moves, If the layer is not a non-evacuable layer (S1610), the supervision and control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3층 대피 경로 지점(R31)을 최종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하고, 현재 감시 대상 카메라 모듈인 제1 카메라 모듈(R41)과 관련된 출입문인 예비 대피 출입문인 4층 제1 출입문(D41)을 최종 대피 출입문으로 정한다(S1611).Accordingly, the
이에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4층에 존재하는 복수의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5, L421-L425, L431-L435, L441-L445) 중에서, 최종 대피 출입문인 4층 제1 출입문(D41)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 및 현재 대피경로 지점인 4층 제1 대피경로 지점(R41)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15)를 선택한다(S1612).Accordingly, the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경로 안내 모듈부(30)의 해당 대피경로 안내 모듈(300)로 구동 신호와 관련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S1613). 이로 인해, 선택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5)는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여, 4층 출입문(D41) 쪽으로 대피 경로를 표시한다.Accordingly, the
이때, 감시 제어부(240)는 대피 출입문(D41)의 왼쪽에 위치하는 대피경로 표시부(L411, L412)에는 오른쪽방향 화살표(→)를 출력하도록 하고, 출입문(D41)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대피경로 표시부(L413, L414)에는 왼쪽방향 화살표(←)를 출력하도록 하며, 현재 대피경로 지점(R41)에 위치한 대피경로 표시부(L415)는 아래쪽방향 화살표(↓)를 출력하도록 하여, 각 해당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5)는 해당 상태의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대피 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이러한 대피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화살표에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이미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어, 감시 제어부(240)는 원하는 화살표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읽어와 해당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5)로 출력한다.The image data related to the arrow indicating the direction of evacuation is already stored in the
그런 다음, 감시 제어부(240)는 현재 상태가 판정된 출입문이 마지막 번째인 n번째 출입문(D44)인지 판단하여(S1614), 마지막 출입문(D44)이 아닌 경우, 감시 제어부(240)은 n의 값을 '1' 증가시킨 후 단계(S163)로 넘어가, 다음 번째의 출입문(D42)를 이용하는 대피 경로를 정하게 된다(S1615). 하지만, 현재 상태가 판정된 출입문이 마지막 번째인 출입문(D44)인 경우 초기 단계로 넘어간다(S100).Then, the
따라서, 4층 제1 출입문(D41) 근처에 위치하는 사람은 해당 대피경로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4층 제1 출입문(D41)을 통과해 3층 제1 대피경로 지점(R31)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하게 된다.Accordingly, a person located near the first-floor first door D41 passes through the first-door first door D41 of the fourth floor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displayed on the evacuation
하지만, 단계(S1610)에서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R31)으로 이동하는데 장애물이 발생하여 실질적으로 제1 출입문(R41)을 통해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R31)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4층 제1 출입문 상태를 4층 제1 출입문(D41)을 이용하여 대피가 불가능한 상태인 '4층 제1 출입문 이용 대피 불가 상태'로 판정하여 판정된 상태를 저장부(140)와 데이터베이스부(400)의 주변상황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한다(S1616).However, if an obstacle occurs in moving to the preliminary target evacuation route point R31 in step S1610 and it is not possible to move to the preliminary target evacuation route point R31 substantially through the first door R41, the
그런 다음, 현재 상태가 판정된 출입문이 마지막 번째인 n번째 출입문(D44)인지 판단하여, 마지막 출입문(D44)이 아닌 경우, 감시 제어부(240)은 n의 값을 '1' 증가시켜 다음 번째의 출입문(D42)를 이용하는 대피 경로를 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고(S1617, S1618, S163), 그렇지 않는 경우, 초기 단계로 넘어간다(S100).If it is not the last door D44, the
다시 단계(S167)로 넘어가, 산출된 합산 인원수가 설정 인원수를 초과할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의 상황이 더 이상 대피 인원을 수용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한다.If the calculated total number of persons exceeds the set number of persons, the
이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예비 대피 출입문인 4층 제1 출입문(D41)을 통해 3층 제1 대피 경로 지점(R31)으로 사람의 대피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한다.In this case, the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4층 제1 출입문(D41)이 아닌 다음 순서의 4층 출입문인 4층 제2 출입문(D42)을 통해 예비 대피 출입문으로 정하고 현재의 예비 대피 출입문을 통해 대피하는 경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619).Accordingly, the monitoring and controlling
따라서, 감시 제어부(240)는 카메라 모듈 데이터베이스(430)의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4층 제2 출입문(D42)에 관련된 대피 경로 지점인 4층 제2 대피 경로 지점(R42)에 설치된 제4층 제2 카메라 모듈(C42)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판정된 인원수를 판정한다(S164).Accordingly, the monitoring and controlling
그런 다음, 이미 단계(S165-S167)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게, 서로 4층 제2 대피 경로 지점(R42)과 연결된 3층 제2 대피경로 지점(R32)의 인원수를 파악하여 두 인원수를 합치고, 합산된 인원수와 설정 인원수를 비교한다.Then, as in the operation alread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teps S165-S167, the number of persons of the second evacuation route point R32 on the third floor connected to the fourth evacuation route route R42 on the fourth floor is determined, , And compares the total number of persons with the set number of persons.
합산 인원수가 설정 인원수 이하인 경우, 단계(S168 내지 S1611)의 동작과 동일하게, 3층 제2 대피 경로 지점을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하고, 4층 제2 출입문(D42)을 통과하여 3층 제2 대피 경로 지점을 통과하는 이동 경로에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정하고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3층 제2 대피 경로 지점을 최종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한다.When the total number of person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number of persons, the third evacuation route path is defined as a preliminary target evacuation route point, and the third-story second evacuation route point is defined as the three- 2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in the movement route passing through the evacuation route point. If there is no obstacle, the 2nd evacuation route point on the 3rd floor is set as the final target evacuation route point.
이때, 감시 제어부(240)는,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4층 제2 출입문(D42)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21-L424)뿐만 아니라, 4층 제1 출입문(D41)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의 선택하여, 선택된 대피경로 표시부(L411-L414, L421-L424)의 표시 상태를 4층 제2 출입문(D42)을 향하도록 한다. 이때, 4층 제1 대피경로 지점(R41)에 존재하는 대피경로 표시부(L415)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을 표시할 수 있다(S1612, S1613.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0, the
이로 인해, 4층 제1 출입문(D41)으로의 대피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4층에 위치하는 사람들은 4층 제2 출입문(D42)을 통해서 3층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evacuation to the first-floor first door D41 is not easy, people located on the fourth floor can move to the third floor through the fourth-floor second door D42.
하지만, 단계(S1619)에서, 산출된 합산수가 설정 인원수를 초과할 때, 감시 제어부(240)는 현재 번째의 출입문이 현재 층에 존재하는 마지막 번째의 출입문(D44)인지 판단하여, 마지막 번째의 출입문(D44)인 경우, 감시 제어부(240)는 다른 대안적인 출입문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1619 that the total number of sums exceeds the set number, the
따라서, 합산된 인원수가 설정 인원수를 초과하더라도 도 11과 같이 현재의 예비 대피 출입문(D44)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L441-L444)를 점등 제어한다, 이 경우, 이전에 판단된 출입문(D41-D43)의 상태가 설정 인원수를 초과한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출입문(D41-D43)에 관련된 각 대피경로 표시부(LL411-L414, L421-L424, L431-L434)은 자신과 관련된 출입문(D41-D43)을 향하도록 점등될 수 있다(도 11 참고). 이때, 출입문의 상태가 대피 불가 상태인 출입문이 존재할 경우, 이 대피 불가 상태의 출입문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는 소등 상태일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total number of people exceeds the set number of persons, the evacuation path display units L441 to L444 associated with the current preliminary evacuation door D44 are lighted up as shown in Fig. 11. In this case, the previously determined doors D41 to D43 L414, L421-L424, and L431-L434 related to the door (D41-D43) associated with the exit door (D41-D43) (See FIG. 11). At this time, if there is a door in which the state of the door is not evacuable, the evacuation path display unit related to the door in the state where evacuation is impossible can be turned off.
다음, 재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의 다른 예인 카메라 모듈(100)을 이용한 직원 이동 경로 판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an employee movement path using the
각 카메라 모듈(100)의 통신부(120)은 이미 근거리 무선 모듈을 구비하고 있고, 대상 건물에 근무하거나 상주하는 직원은 근거리 무선 모듈과 통신하는 직원 통신 카드(예, RFID 태그)를 주로 목걸이 형태로 구비하고 있다.The
따라서, 직원이 각 카메라 모듈(100)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직원이 소유하고 있는 통신 카드와 카메라 모듈(100)의 통신부(120) 간의 통신 동작이 행해져, 해당 통신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의 식별번호, 즉 직원 식별번호가 통신부(120)를 통해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제어부(130)로 전송된다.Thus, when the staff member passes through the point where each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은 전송된 직원 식별번호를 저장부(140)에 저장하며, 또한, 통신부(120)를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 즉 자신이 속해 있는 해당 카메라 모듈(100)의 식별번호와 함께 직원 식별번호를 중앙 감시 장치(200)로 전송한다.Accordingly, the
따라서, 중앙 감시 장치(200)의 감시 제어부(240)는 전송된 직원 식별번호를 전송된 해당 카메라 모듈(100)의 식별번호와 대응되게 시간대별로 직원정보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한다.Accordingly, the
또한, 감시 제어부(240)는 설계도 데이터베이스(410)로부터 각 층에 대한 설계도를 불러와 정보 출력부(260)로 출력하고 출력된 각 층의 설계도 위에 시간 변화에 따른 직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이로 인해, 감시자는 현재 대상 건물 안에 존재하고 있는 직원의 수, 직원 정보를 확인 수 있으며 안전하게 대상 건물을 빠져나온 직원과 현재 대상 건물에 갇혀 있는 직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is allows the supervisor to see the number of employees currently in the target building, the employee information, and to safely identify the employee who has left the building and the employee currently in the building.
또한, 직원의 이동 경로가 중간에 끊긴 경우, 해당 직원이 실종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색 작업 시 이동이 사라진 위치에서부터 수색 작업을 시작하여 구출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ving path of the employee is interrupted, the employee can grasp the missing position, so that the search operation can be star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movement has disappeared in the search operation, and the probability of rescue can be increased.
이상, 본 발명의 재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emergency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equivalents to the claims.
C411-C44, C31-C34, 100: 카메라 모듈 200: 중앙 감시 장치
240: 감시 제어부 120, 220: 통신부
250, 400: 저장매체 300: 대피 경로 안내 모듈
340: 대피경로 표시부C411-C44, C31-C34, 100: Camera module 200: Central monitoring device
240: monitoring
250, 400: storage medium 300: evacuation route guidance module
340: Evacuation route display unit
Claims (9)
상기 저장 매체에 연결되어 있는 감시 제어부;및
상기 저장 매체 및 상기 감시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카메라 모듈은 각 층의 해당 대피 경로 지점에 위치하여 각 층의 해당 대피 경로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인원수와 관련된 영상 정보를 상기 감시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및 상기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상기 현재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과 대응하는 대피 층의 제1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를 판정하고,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 이하이면, 상기 대피 층의 상기 제1 대피 경로 지점을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정하고, 상기 현재 층에서 상기 예비 목표 대피 경로 지점으로 이동시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정하고,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의 상태를 대피 불가상태로 판정하며,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을 최종 대피 출입문으로 정하여, 상기 최종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복수의 대피안내 표시부를 점등 제어하며,
상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주변상황 정보를 읽어와 대피 불가능한 층의 존재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대피 불가능한 층의 존재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대피 층을 판정하며,
상기 주변상황 정보는 유해 가스 농도, 연기 농도, 출입문 폐쇄 여부 및 방화벽 동작 여부를 포함하는 중앙 감시 장치.A storage medium;
A monitoring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torage medium;
And a camera module unit connected to the storage medium and the monitoring control unit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Each of the camera modules transmits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people located at a corresponding evacuation path point of each layer to the monitoring control unit,
Wherein the supervisory control unit us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camera modules to determine the number of the first evacuation path point of the current layer related to the first preliminary evacuation door, Determining the number of persons at the first escape route point of the escape route corresponding to the route point,
Determining the first evacuation path point of the evacuation layer as a preliminary target evacuation path point if the sum of the two determined number of person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number of persons and determining whether an obstacle exists when moving from the current layer to the preliminary target evacuation path point ,
The first preliminary exit door is determined to be in a non evacuable state when an obstacle exists, and the first preliminary exit door is determined as a final evacuation door when no obstacle is present, The escape guide display unit is turned on,
Wherein the supervisory control unit judges existence of a non-evacuable layer by read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judges the evacuation layer by considering the presence of the non-evacuable layer,
The peripheral condition information includes a noxious gas concentration, a smoke concentration, whether the door is closed, and whether a fire wall is operated.
상기 감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시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는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부는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감시 제어부에 전송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여 각 층에 관련된 주변 상황이나 각 층의 현재 정해진 대피 경로를 확인하는 중앙 감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formation output unit operable under the control of the monitoring control unit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time,
Wherei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outputs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camera module to the monitoring control unit to confirm a surrounding situation related to each layer or a currently determined evacuation path of each layer.
상기 감시 제어부와 연결되고, 카메라 모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각 카메라 모듈에 관련된 정보와 상기 각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가 각 층별 및 각 카메라 모듈별로 저장되어 있는 중앙 감시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atabase unit connected to the monitoring control unit and including a camera module database,
Where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each camera module and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camera modules are stored in the camera module database for each layer and for each camera module.
상기 감시 제어부는 판정된 두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를 초과하면, 상기 현재 층에 위치하는 다른 출입문을 제2 예비 대피 출입문으로 정하고, 정해진 상기 제2 예비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현재 층의 제2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상기 제2 대피 경로 지점과 대응하는 대피 층의 제2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대피경로 표시부의 점등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감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ervisory control unit determines the other door positioned in the current floor as the second preliminary evacuation door when the sum of the two determined number of persons exceeds the set number of persons and the second evacuation path of the current floor related to the predetermined second evacuation door And controls the lighting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vacuation path display units using the number of people at the point and the number of people at the second evacuation path point of the evacuation lay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vacuation path point.
상기 감시 제어부는 상기 현재 층의 제2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와 상기 대피 층의 제2 대피 경로 지점의 인원수의 합이 설정 인원수 이하이면, 상기 제2 예비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예비 대피 출입문에 관련된 대피경로 표시부를 점등 제어하는 중앙 감시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If the sum of the number of persons at the second evacuation route point of the current layer and the number of persons at the second evacuation route point in the current laye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number, the monitoring control unit not only displays the evacuation route display unit related to the second pre- (1) Central monitoring device for lighting and controlling the evacuation path display section related to the preliminary evacuation doo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1216A KR101949883B1 (en) | 2017-11-29 | 2017-11-29 |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for evacuee guidance |
PCT/KR2018/014945 WO2019107965A1 (en) | 2017-11-29 | 2018-11-29 | Central monitoring device and camera module for evacuation guid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1216A KR101949883B1 (en) | 2017-11-29 | 2017-11-29 |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for evacuee guida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9883B1 true KR101949883B1 (en) | 2019-05-20 |
Family
ID=6666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1216A Active KR101949883B1 (en) | 2017-11-29 | 2017-11-29 |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for evacuee guidan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9883B1 (en) |
WO (1) | WO2019107965A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9778B1 (en) * | 2019-09-30 | 2020-05-13 | 인포뱅크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assenge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
CN111613006A (en) * | 2020-06-04 | 2020-09-01 | 芜湖纳川消防工程有限公司 | Shop type fire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5G communication |
KR102200806B1 (en) * | 2020-04-07 | 2021-01-11 | 인포뱅크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assenge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with transfer control |
CN112614312A (en) * | 2020-12-24 | 2021-04-06 | 无锡扬晟科技股份有限公司 | Operation safety protection system based on image monitoring |
KR102492973B1 (en) * | 2021-11-15 | 2023-01-27 | 김광수 | Device for outputting guidance lights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and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51991B2 (en) | 2020-08-20 | 2025-03-18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Humidity control for olfaction sensors |
US11636870B2 (en) | 2020-08-20 | 2023-04-25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
US12017506B2 (en) | 2020-08-20 | 2024-06-25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Passenger cabin ai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
US11760170B2 (en) | 2020-08-20 | 2023-09-19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
US11760169B2 (en) | 2020-08-20 | 2023-09-19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
US11813926B2 (en) | 2020-08-20 | 2023-11-14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
US11828210B2 (en) | 2020-08-20 | 2023-11-28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
US11932080B2 (en) | 2020-08-20 | 2024-03-19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
US11881093B2 (en) | 2020-08-20 | 2024-01-23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
US12269315B2 (en) | 2020-08-20 | 2025-04-08 |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managing odor brought into rental vehicle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1496A (en) | 2003-04-22 | 2004-10-28 | 장석연 | Emergency lamp apparatus |
KR100715843B1 (en) | 2006-02-14 | 2007-05-08 | 김강옥 | Emergency exit guide light using LED |
KR20110059161A (en) * | 2009-11-27 | 2011-06-02 |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 Intelligent Evacuation Laser Induction System |
JP2012083906A (en) * | 2010-10-08 | 2012-04-26 | Ntt Docomo Inc | Evacuation path providing system and evacuation path providing method |
KR20140137068A (en) * | 2013-05-21 | 2014-12-02 |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
KR20170106665A (en) * | 2016-03-14 | 2017-09-22 | 이현기 |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73300A (en) * | 2011-09-27 | 2013-04-2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Emergency evacuation guidance system, emergency evacuation guidance method, evacuation guidance device and program |
-
2017
- 2017-11-29 KR KR1020170161216A patent/KR101949883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11-29 WO PCT/KR2018/014945 patent/WO201910796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1496A (en) | 2003-04-22 | 2004-10-28 | 장석연 | Emergency lamp apparatus |
KR100715843B1 (en) | 2006-02-14 | 2007-05-08 | 김강옥 | Emergency exit guide light using LED |
KR20110059161A (en) * | 2009-11-27 | 2011-06-02 |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 Intelligent Evacuation Laser Induction System |
JP2012083906A (en) * | 2010-10-08 | 2012-04-26 | Ntt Docomo Inc | Evacuation path providing system and evacuation path providing method |
KR20140137068A (en) * | 2013-05-21 | 2014-12-02 |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
KR20170106665A (en) * | 2016-03-14 | 2017-09-22 | 이현기 |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9778B1 (en) * | 2019-09-30 | 2020-05-13 | 인포뱅크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assenge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
KR102200806B1 (en) * | 2020-04-07 | 2021-01-11 | 인포뱅크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assenger safety of autonomous vehicle with transfer control |
CN111613006A (en) * | 2020-06-04 | 2020-09-01 | 芜湖纳川消防工程有限公司 | Shop type fire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5G communication |
CN112614312A (en) * | 2020-12-24 | 2021-04-06 | 无锡扬晟科技股份有限公司 | Operation safety protection system based on image monitoring |
KR102492973B1 (en) * | 2021-11-15 | 2023-01-27 | 김광수 | Device for outputting guidance lights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and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07965A1 (en) | 2019-06-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9883B1 (en) |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for evacuee guidance | |
AU2021100902A4 (en) | A control system for optimising emergency multi-storey building stairwell evacuation | |
CN1323925C (en) |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tly evacuating residents in building | |
RU2544737C2 (en) | Evacuation apparatus and evacuation route indicator therefor | |
JP3446996B2 (en) |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and rescue system | |
KR101079735B1 (en) | System for controling intelligence direction escape | |
US20030234725A1 (en) | Intelligent bulding alarm | |
KR102100411B1 (en) | Using image monitoring system, such as emergency call button and fire detection sensor and park display | |
KR101145438B1 (en) | Evacu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with impartation function of fire located and evacuation | |
KR102312310B1 (en) | Fire escape system capable of guidance of evacuation route | |
KR102095986B1 (en) | System of early fire detection and safety evacution and method thereof | |
JP4311632B2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CN111028745A (en) | Multifunctional intelligent fire-fighting emergency system | |
KR102542129B1 (en) | Emergency evacuation control method | |
KR20200013218A (en) | Early fire detection system, server and method using image proces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deep learning | |
KR101919362B1 (en) | Safety monitoring and evacuation guidance systems in subway stations | |
KR102504330B1 (en) | Realtime Evacuation Guidance System | |
JP2017215625A (en) | Disaster prevention cooperation system | |
KR20170101592A (en) | Counting apparatus of number of person in the roo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 |
KR102592101B1 (en) | A system and methods for guiding evacuation rout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KR102618950B1 (en) | System for guiding usage of evacuation route | |
KR20200105345A (en) | simulator and simulation method for disaster management of skyscraper | |
KR20210073102A (en) |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two-dimensional floor plans | |
KR102673334B1 (en) | Intelligent Evacuation Guide Map | |
WO2009017628A2 (en) | Programmable, progressive gu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0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