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9502B1 -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 Google Patents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502B1
KR101949502B1 KR1020170028353A KR20170028353A KR101949502B1 KR 101949502 B1 KR101949502 B1 KR 101949502B1 KR 1020170028353 A KR1020170028353 A KR 1020170028353A KR 20170028353 A KR20170028353 A KR 20170028353A KR 101949502 B1 KR101949502 B1 KR 10194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glue
mother
pearl
s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860A (ko
Inventor
성용
Original Assignee
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용 filed Critical 성용
Priority to KR1020170028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50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5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HPREPARATION OF GLUE OR GELATINE
    • C09H11/00Adhesives based on glue or gelat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의 미세한 변형에 의하여 자개가 원목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옻칠을 이용하여 원목에 자개를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개가 부착될 위치의 원목 표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원목 홈 내면에 생옻을 칠하여 기초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생옻칠층 표면에 황토와 생옻을 혼합한 토회칠을 바르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토회칠층 표면에 아교와 생옻을 혼합한 아교옻칠을 바르는 단계; (e) 상기 (d) 단계의 아교옻칠층 표면에 천을 바르는 단계; (f) 상기 (e) 단계의 천 표면에 아교와 생옻을 혼합한 아교옻칠을 바르는 단계; (g) 상기 (f) 단계의 아교옻칠층 표면에 황토와 생옻을 혼합한 토회칠을 바르는 단계; (h) 상기 (g) 단계의 토회칠층 표면에 자개를 부착하는 단계; 및, (i) 상기 (h) 단계의 자개를 포함하는 원목 표면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Method for attaching mother-of-pearl using lacguer and decorations manufactured that method}
본 발명은 자개가 부착된 장식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의 미세한 변형에 의하여 자개가 원목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 부착방법과 그 방법으로 제조된 원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목 표면에 그림 또는 무늬를 새겨 넣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보통 원목 표면을 직접 조각하여 표현하거나, 조각된 나뭇조각을 결합하거나, 나전칠기와 같은 소재로 표현하여 결합하거나, 직접 원목 표면에 그려서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전문가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생옻은 옻나무의 수지를 정제해서 만든 적갈색도막으로 주로 목재 위에 발라서 목재를 보호하고 광택을 내는데 쓰인다. 건조하면 다른 것과 섞이지 않으므로 보존상 기능이 매우 우수하며, 정제옻칠이라고도 한다. 상세하게는 나무 재질의 물건에 윤을 내기 위해 옻나무의 수액을 바르는 것으로, 옻칠을 한 제기의 경우 아주 조금 틀어졌을 때는 옻칠의 특성으로 인해 원래 상태로 돌아오고, 옻칠을 한 밥그릇에 음식을 담아두면 며칠은 상하지 않는다. 그리고 옻칠을 하면 비닐처럼 얇은 막을 형성하여 코팅효과를 내기 때문에 방수와 방습 효과가 좋다.
자개는 나전칠기 등에 사용되며 빛 보다도 더 화려하고, 강한 광택의 빛이 발하게 하거나, 은은하고, 부드러운 색상의 광택이 나게 한다. 통상의 나전칠기, 즉 광채가 나는 작은 자개 조각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칠기의 표면에 박아 붙여서 꾸미는 공예기법은 옻칠과 같이 검은 잿물을 입힌 기재(칠기)의 표면에 금조개를 얇게 썰어 낸 조각(자개)을 붙이는 것으로 되어 있고, 이와 같은 작업으로 붙여진 자개 모양이 공예미의 가치였다. 이상과 같은 공예기법(나전칠기)은 원목 소재의 목기, 제기, 가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식물이나 공예물에 적용된다.
한편, 원목을 소재로 하는 장식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목이 자연 흡습과 건조를 반복하면서 뒤틀림, 갈라짐, 수축과 팽창 같은 미세한 변형이 발생한다. 이때, 자개는 원목과 비교하여 경도가 매우 높으므로 원목의 미세한 변형에 대응하지 못하고 원목 표면으로부터 쉽게 탈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61218(2002.01.08.등록,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 한국등록특허 10-1134026(2012.03.30.등록, 옻칠을 이용한 자개 부착 방법) 한국등록특허 10-1282562(2013.06.28.등록, 건칠 방식을 이용한 목재 접시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원목 특유의 문양을 그대로 나타내면서 자개가 결합되어 공예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원목 표면에 접합된 자개가 원목 표면으로부터 탈리되지 않도록 하는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 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 부착 장식 원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개가 부착되는 위치의 원목의 강성을 강화시켜 외부 환경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자개 부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옻칠을 이용하여 원목에 자개를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개가 부착될 위치의 원목 표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원목 홈 내면에 생옻을 칠하여 기초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생옻칠층 표면에 황토와 생옻을 혼합한 토회칠을 바르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토회칠층 표면에 아교와 생옻을 혼합한 아교옻칠을 바르는 단계; (e) 상기 (d) 단계의 아교옻칠층 표면에 천을 바르는 단계; (f) 상기 (e) 단계의 천 표면에 아교와 생옻을 혼합한 아교옻칠을 바르는 단계; (g) 상기 (f) 단계의 아교옻칠층 표면에 황토와 생옻을 혼합한 토회칠을 바르는 단계; (h) 상기 (g) 단계의 토회칠층 표면에 자개를 부착하는 단계; 및, (i) 상기 (h) 단계의 자개를 포함하는 원목 표면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서 홈을 형성한 후에, 홈 표면을 사포질하여 매끄럽게 처리하는 홈 표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및 (g) 단계의 토회칠은 황토죽 30 내지 50 부피%와 생옻 50 내지 70 부피%의 혼합액으로 구성되고, 상기 (d) 단계 및 (f) 단계의 아교옻칠은 아교액 10 내지 30 부피%와 생옻 70 내지 90 부피%의 혼합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원목의 표면에 삼베를 이용한 천바르기를 적용함으로써, 원목의 미세한 뒤틀림이나 갈라짐을 안정적으로 잡아주어 원목의 미세한 변형에 따른 자개의 탈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옻칠과 함께 황토, 아교가 혼합된 옻칠을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옻칠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원목의 변형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개 부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개 부착 장식물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개 부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개 부착 장식물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개 부착 방법은 옻칠을 이용하여 원목 표면에 자개를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자개 부착 방법은, 원목의 표면에 홈을 파는 홈 형성 단계(S11), 상기 홈 내부의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는 단계(S12), 표면이 처리된 상기 홈에 생옻을 바르는 생옻칠 단계(S13), 생옻의 상면에 황토가 혼합된 옻을 바르는 1차 토회칠 단계(S14), 상기 토회칠 표면에 아교가 혼합된 옻을 바르는 1차 아교옻칠 단계(S15), 상기 아교옻칠 표면에 천을 부착하는 천 바르기 단계(S16), 상기 천 표면에 아교가 혼합된 옻을 바르는 2차 아교옻칠 단계(S17), 상기 아교옻칠 표면에 황토가 혼합된 옻을 바르는 2차 토회칠 단계(S18), 상기 토회칠 표면에 자개를 붙이는 자개부착 단계(S19), 부착된 자개를 포함하는 원목 표면을 마무리 가공하는 표면가공 단계(S20)를 포함한다.
상기 홈 형성 단계(S11)는 자개가 부착될 위치의 원목(10) 표면에 홈(11)을 파는 단계이다. 상기 홈(11)은 원목(10) 표면에 다수층의 옻칠층, 직물층, 자개층 등이 적층되므로, 상기 층들에 의한 두께를 고려하여 원목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깊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홈(11)은 자개(27)가 부착될 위치에서 자개의 넓이 보다 다소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라인딩이나 끌을 이용한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 단계(S12)는 홈의 내면을 매끈하게 다듬는 과정으로, 그라인딩이나 끌 작업에 의하여 나뭇결이나 티끌과 같이 거칠게 돌출되는 돌출부를 제거하며, 사포질을 통하여 표면 처리를 매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생옻칠 단계(S13)는 표면 처리된 홈 내면에 생옻(21)을 칠하여 기초층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원목 표면에 생옻(21)이 흡수되도록 하여 이후의 토회칠이 원활히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생옻은 옻나무에서 추출한 고순도, 고광택, 고투명도를 갖는 액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옻나무 표피에 상처를 내면 상처로부터 유회백색의 유액상 수지가 나온다. 이것을 생옻이라 하고, 생옻의 주성분은 우루시올이며, 기타 수분과 소량의 고무질 및 함질소물(含窒素物)을 함유하고 있으며, 조성은 산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상기 1차 토회칠 단계(S14)는 생옻(21)이 칠해진 표면에 황토와 생옻이 혼합된 토회(즉, 황토옻)를 칠하는 과정으로, 원목의 미세한 틈새를 메우고 이후의 아교옻칠(23)이 원활히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토회칠(22)은 대략 30 내지 50 부피%의 황토죽과 50 내지 70 부피%의 생옻을 혼합하여 제조하며, 바람직하게는 황토죽 40 부피%와 생옻 60 부피%를 혼합한다. 여기서, 황토죽은 물과 황토분을 대략 2:8 내외의 부피비로 혼합한 반죽 상태의 진흙을 말한다. 황토죽의 비율이 30% 미만(즉, 생옻의 비율이 70% 이상)인 경우 토회칠이 쉽게 갈라질 수 있으며, 황토죽의 비율이 50%를 초과(즉, 생옻의 비율이 50% 이하)하는 경우 퇴회칠이 쉽게 마르지 않는 단점과 토회칠의 미세한 두께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 토회칠(22)에는 분산제와 같은 기능성 보조제가 더 혼합될 수 있다.
상기 1차 토회칠 단계(S14)는 생옻에 함유된 황토가 원목의 나무결과 같은 미세한 틈새에 침투하여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칠해진다. 또한, 황토는 토회칠(22) 표면에 미세한 돌기들을 형성하여 아교옻칠(23)이 칠해질 때 미세 돌기의 황토가 아교옻칠 층으로 흡수하여 아교옻칠이 쉽고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토회칠(22)은 소정의 시간 동안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수회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아교옻칠 단계(S15)는 토회칠(22) 표면에 아교와 생옻이 혼합된 아교옻을 칠하는 과정으로, 원목의 변형에 대한 내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칠해진다. 일반적으로 아교는 점액상의 물질로 접착성과 광택성이 우수하여 접착제나 광택제로 널리 사용되며, 굳은 상태에서는 매우 높은 경도를 나타낸다. 또한, 생옻은 상대적으로 점액성이 없어 그대로 칠할 경우 흘러내리게 된다. 아교와 생옻이 적절히 혼합된 아교옻칠(23)은 적당한 점성과 접착성을 가지며 칠한 후 건조된 상태에서 매우 높은 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아교옻칠(23)은 대략 10 내지 30 부피%의 아교액과 70 내지 90 부피%의 생옻이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교액 20 부피%와 생옻 80 부피%가 혼합된다. 여기서, 아교액은 고체 상태의 아교와 뜨거운 물을 대약 3:7 내외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만든 점성액을 말한다. 상기 아교액이 10% 미만(즉, 생옻이 90% 이상)인 경우 아교옻칠의 점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아교액이 30%를 초과(즉, 생옻이 70% 이하)인 경우 아교옻칠이 너무 빨리 굳어져 작업이 어려워지는 단점과 생옻의 효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아교옻칠(23)에 분산제와 같은 기능성 보조제가 더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아교옻칠 단계(S15)는 소정의 시간 동안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수회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 바르기 단계(S16)는 아교옻칠(23)과 함께 뒤틀림이나 벌어짐과 갖은 원목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교옻칠(23,25) 사이에 천을 삽입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천은 삼베(2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삼베(24)는 아교옻을 쉽게 흡수하고, 빛과 같은 외부 환경에 강한 내성을 나타내며, 항균성과 항독성에도 우수한 성질을 나타낸다. 천 바르기는 가장 마지막에 칠해진 아교옻칠(23)이 경화되기 전에 진행되며, 곱게 펼친 삼베를 아교옻칠(23) 표면에 부착시킨다.
상기 2차 아교옻칠 단계(S17)는 1차 아교옻칠(23)에 부착된 삼베(24)를 고착시키기 위하여 칠해지는 과정으로 1차 아교옻칠 단계와 동일한 아교옻칠(24)을 추가로 칠한다. 이러한 2차 아교옻칠 단계(S17)는 삼베(24)가 충분히 접착 및 밀봉될 수 있도록 소정의 시간 동안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수회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토회칠 단계(S18)는 삼베가 부착된 아교옻칠(25) 표면에 황토옻을 칠하는 과정으로, 1차 토회칠 단계와 동일한 토회칠(26)을 추가로 칠한다. 천 바르기 단계에서 삼베(24)를 구성하는 실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실 사이에는 미세한 틈새를 형성하므로, 상기 틈새에 의하여 아교옻칠(25)이 추가로 적용된 2차 아교옻칠 표면은 매끄럽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2차 토회칠(26)에 의하여 황토가 틈새를 메꾸어 표면을 평탄하게 하여 이후 자개(27)가 잘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 토회칠(26)의 황토는 아교옻칠(25)의 아교에 흡착되거나 침투되어 평탄화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개부착 단계(S19)는 2차 토회칠(26)된 표면에 장식을 위한 자개(27)를 부착하는 과정으로, 자개(27)를 부착하는 과정은 나전칠기의 일반적인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자개(27)는 아교옻칠(25)에 의한 점성으로 별도의 접착 부재가 없어도 쉽게 부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별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표면가공 단계(S20)는 자개 부착 후 자개 표면을 포함하는 원목 표면에 바탕칠(28)을 하거나 광택을 부여하는 과정이다. 이때, 바탕칠(28)의 재료는 아교옻칠이 이용될 수 있으며, 아교옻칠에 도료가 더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탕칠(28)과 광택 부여는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수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자개 부착 방법은 생옻칠, 토회칠 및 아교옻칠이 반복 및 혼합하여 원목의 표면이 단단해지도록 함으로써, 습도 변화, 온도 변화 등의 외부 환경에 따른 원목의 뒤틀림이나 갈라짐을 방지하여 자개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특히, 토회칠과 아교옻칠이 반복됨으로써, 그 접합면에서 황토와 아교가 서로 혼합 및 침투되어 옻칠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원목 11 : 홈
21 : 생옻 22,26 : 토회칠
23,25 : 아교옻칠 24 : 삼베
27 : 자개 28 : 바탕칠

Claims (5)

  1. 옻칠을 이용하여 원목에 자개를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개가 부착될 위치의 원목 표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원목 홈 내면에 생옻을 칠하여 기초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생옻칠층 표면에 황토와 생옻을 혼합한 토회칠을 바르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토회칠층 표면에 아교와 생옻을 혼합한 아교옻칠을 바르는 단계;
    (e) 상기 (d) 단계의 아교옻칠층 표면에 천을 바르는 단계;
    (f) 상기 (e) 단계의 천 표면에 아교와 생옻을 혼합한 아교옻칠을 바르는 단계;
    (g) 상기 (f) 단계의 아교옻칠층 표면에 황토와 생옻을 혼합한 토회칠을 바르는 단계;
    (h) 상기 (g) 단계의 토회칠층 표면에 자개를 부착하는 단계;
    (i) 상기 (h) 단계의 자개를 포함하는 원목 표면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 부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홈을 형성한 후에, 홈 표면을 사포질하여 매끄럽게 처리하는 홈 표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 부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및 (g) 단계의 토회칠은
    황토죽 30 내지 50 부피%와 생옻 50 내지 70 부피%의 혼합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 부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및 (f) 단계의 아교옻칠은
    아교액 10 내지 30 부피%와 생옻 70 내지 90 부피%의 혼합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 부착 방법.
  5. 삭제
KR1020170028353A 2017-03-06 2017-03-06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Active KR10194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353A KR101949502B1 (ko) 2017-03-06 2017-03-06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353A KR101949502B1 (ko) 2017-03-06 2017-03-06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860A KR20180101860A (ko) 2018-09-14
KR101949502B1 true KR101949502B1 (ko) 2019-02-18

Family

ID=6359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353A Active KR101949502B1 (ko) 2017-03-06 2017-03-06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46879A (ko) 2023-03-30 2024-10-08 석희숙 공예품의 나노옻칠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나노옻칠 공예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9914B1 (ko) * 2024-03-28 2024-10-21 최상원 나전칠기 기법을 적용한 남태칠기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495B1 (ko) 2012-10-23 2013-07-05 최태화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218Y1 (ko) 2001-09-17 2002-01-19 김성호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
KR20100007226U (ko) * 2009-01-06 2010-07-15 김용관 나전기법의 무늬가 형성된 식기용구
KR101185185B1 (ko) * 2009-06-11 2012-09-24 강인구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KR101134026B1 (ko) * 2009-11-16 2012-04-13 최광식 옻칠을 이용한 자개 부착 방법
KR101282562B1 (ko) 2012-10-23 2013-07-04 최태화 건칠 방식을 이용한 목재 접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495B1 (ko) 2012-10-23 2013-07-05 최태화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46879A (ko) 2023-03-30 2024-10-08 석희숙 공예품의 나노옻칠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나노옻칠 공예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860A (ko)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4308A (en) Decorative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451671B1 (ko) 가구용 도어 및 그 제작방법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KR101949502B1 (ko)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CN102173261B (zh) 人造板花纹喷涂方法
KR102444042B1 (ko) 나전칠기 장식판을 포함하는 가방 및 그 제조 방법
CN107877649A (zh) 一种红木家具的加工方法
US2573105A (en) Wood finishing process
KR101087677B1 (ko) 자개 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207633696U (zh) 一种实木复合仿古地板
KR101231585B1 (ko) 전통가구 제조방법
JP5444633B2 (ja) 色彩浮造り合板の製造方法
US20180201056A1 (en) Method for working wood paste
CN109046903B (zh) 一种实木地板的二次着色方法
CA2511965C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r wood decoration materials
CN102092073B (zh) 一种加密显纹抗变形实木地板的制造方法
KR20110048199A (ko) 목재가구의 표면에 입체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984783B1 (ko) 가구재 제작방법
KR102800715B1 (ko) 건칠 방식을 이용한 레이스 공예품의 제조방법
KR102662825B1 (ko) 옻칠 방법
CN109797935A (zh) 一种具有凹凸饰面的地板及制作方法
Weintraub et al. Urushi and conservation: The use of Japanese Lacquer in the restoration of Japanese Art
EP1154885A1 (en) Method for surface treating engineered composite board
KR102028402B1 (ko) 커피원두 찌꺼기 분말을 이용한 자개의 옻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옻칠자개 제품의 제조방법
JP2935006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