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8881B1 -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881B1
KR101948881B1 KR1020180020023A KR20180020023A KR101948881B1 KR 101948881 B1 KR101948881 B1 KR 101948881B1 KR 1020180020023 A KR1020180020023 A KR 1020180020023A KR 20180020023 A KR20180020023 A KR 20180020023A KR 101948881 B1 KR101948881 B1 KR 10194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lifting bar
coupled
ra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신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창산업 filed Critical (주)신창산업
Priority to KR102018002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8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15/5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the swinging axis laying in the slid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2015/5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with travelling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외틀프레임에 단열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레일프레임을 갖고, 좌우면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글라스가 일체로 픽스되고, 다른 일면에는 글라스가 픽스되지 않은 개방면이 형성되는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창문; 및 상기 레일프레임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호차와, 상기 창문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창문이 레일프레임에서 이탈되면서 실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호차와 고정플레이트를 상호 간 링크 연결하는 리프팅바로 구성되는 주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WINDOWS ASSEMBLY HAVING A WINDOW THAT OPENS AND CLOSES IN A SEPARATE WAY THE RAIL FRAME}
본 발명은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틀에 결합된 창문을 창문틀에서 이탈된 상태로 슬라이딩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또한 슬라이딩 주행된 창문은 미는 동작에 의해 창문틀의 면상에 가압밀착시켜 기밀성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어셈블리는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한다.
이러한 창호 어셈블리는 통상 창문틀에 창문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종래의 창호 어셈블리는 창문과 창문틀과의 마찰력과, 창문과 창문틀에 결합된 패킹의 마찰력에 의해 창문의 개폐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창호 어셈블리는 창문을 개폐할 경우, 마찰력에 의해 패킹이 손상되어 기밀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에, 보통 창문과 창문틀의 사이에는 다수의 섬모로 구성된 패킹을 개재시켜 구성하였다.
하지만 상술된 섬모로 구성된 패킹은 기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실내외 열을 차단하는데 있어 효과적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미닫이 창호용 틈새차단구(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85589호)"와 같이 창문틀에 별도의 기밀재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창문을 개폐하는데 있어, 청문틀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또한 마찰력에 의해 패킹의 손상을 방지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 어셈블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미서기창의 경우에는 문틀에 창문을 설치할 때 문틀과 창문의 상부 및 하부 유격을 이용하여 창문을 설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미서기창은 문틀과 창문의 유격으로 인해 강풍과 외력으로 인해 창문이 창틀과 충돌되어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855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을 창문틀에서 이탈된 상태로 견인 이송시켜 창문과 창문틀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고, 또한 슬라이딩 주행된 창문을 미는 동작에 의해 창문틀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여 기밀성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외틀프레임에 단열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레일프레임을 갖고, 좌우면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글라스가 일체로 픽스되고, 다른 일면에는 글라스가 픽스되지 않은 개방면이 형성되는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창문; 및 상기 레일프레임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호차와, 상기 창문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창문이 레일프레임에서 이탈되면서 실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호차와 고정플레이트를 상호 간 링크 연결하는 리프팅바로 구성되는 주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창문은 당김 동작에 의해 주행수단의 리프팅바가 회동하면서 레일프레임에서 실내방향으로 이탈되고, 상기 레일프레임에서 이탈된 창문은 주행수단의 호차와 동반 주행하는 리프팅바의 견인에 의해 슬라이딩 주행하고, 슬라이딩 주행된 창문은 미는 동작에 의해 리프팅바가 회동하면서 레일프레임 방향으로 도입되어 창문틀에 면상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주행수단은 상기 창문의 상부면와 하부면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리프팅바의 일측과 타측은 호차와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된 회전축에 링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리프팅바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와의 연결부위로 부분 절개된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절개라인에 위치되는 스토퍼봉이 고정되어 리프팅바의 회전각도를 절개라인의 길이 만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창문은 외창프레임와 단열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내창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창프레임은 상기 외창프레임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으며, 상기 연장부의 내측면에는 창문틀의 면상과 레일프레임의 면상에 가압밀착되는 제 1패킹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창문틀의 외틀프레임 내측에는 창문의 외창프레임의 면상과 가압밀착되는 제 2패킹이 개재되고, 상기 창문틀의 단열부재에는 창문의 단열부재와 측면 방향으로 밀착되는 제 3패킹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에 따르면, 창문과 창문틀은 각각 단열부재와 연결프레임을 매개로 두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 정도에 따라 창문틀과 창문의 두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문을 창문틀에서 이탈된 상태로 견인 이송시켜 창문과 창문틀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창문의 개폐를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문과 창문틀에 결합된 제 1,2,3패킹은 창문이 가압(미는 동작)되는 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창문과 창문틀과의 기밀을 더욱 증대시켜 단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기존의 미서기창과는 달리 유격없이 창문과 창문틀이 가압밀착되기 때문에 바람이나 외부에 힘에 의해 창문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레일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와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레일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에서 창문틀에 이탈된 창문을 도시한 횡단면도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과 창틀프레임을 나타내는 다양한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수단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레일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에서 창문 개폐를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레일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와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레일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에서 창문틀에 이탈된 창문을 도시한 횡단면도와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과 창틀프레임을 나타내는 다양한 실시예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수단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문틀에 결합된 창문을 창문틀에서 이탈된 상태로 슬라이딩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또한 슬라이딩 주행된 창문은 미는 동작에 의해 창문틀의 면상에 가압밀착시켜 기밀성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창문틀(10)과, 창문(20) 및 주행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틀(10)은 외틀프레임(11)에 단열부재(12)를 매개로 결합되는 레일프레임(13)을 갖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창문틀(10)은 좌우면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글라스(15)가 일체로 픽스되고, 다른 일면에는 창문(20)이 개폐되는 개방면(16)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로 창문틀(10)에 픽스된 글라스(15)는 별도의 일반창문을 갖고, 상기 외틀프레임(11)에서 이송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창문틀(10)은 도 3의 (a),(b)와 같이, 단열부재(12)를 매개로 외틀프레임(11)과 레일프레임(13)이 상호 간 결합 되기 때문에 단열정도 및 글라스(3중 글라스, 단일 글라스)의 폭에 따라 그 두께를 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창문틀(10)이 단열성능 향상과 큰 두께가 요구되는 경우, 단열부재(12)와 레일프레임(13)의 사이에 연결프레임(14)을 개재하고, 레일프레임(13)을 단열부재(12)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레일프레임(13)의 자유단부에는 보강을 위해 금속프레임을 덧대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창문(20)은 창문틀(10)의 개방면(16)을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창문(20)은 링크 연결된 주행수단(30)과 당김 동작에 의해 창문틀(10)에서 이탈된 상태로 슬라이딩 주행하고, 슬라이딩 주행된 창문(20)은 미는 동작에 의해 창문틀(10)의 면상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창문(20) 역시, 도 3의 (a),(b)와 같이, 외창프레임(21)와 단열부재(22)를 매개로 결합되는 내창프레임(23)으로 구성되는데, 창문틀(10)과 동일하게 단열 정도 및 글라스(3중 글라스, 단일 글라스)의 폭에 따라 복수의 단열부재(22)와 연결프레임(24)을 통해 그 두께를 확장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창문(20)이 단열성능 향상과 큰 두께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창문(20)은 2개의 단열부재(12)를 개재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단열부재(12)와 단열부재(12)는 연결프레임(14)을 통해 연결하여 그 두께를 손쉽게 확장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주행수단(30)은 상기 창문(20)의 상부면와 하부면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주행수단(30)은 도 4와 같이, 상기 레일프레임(13)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호차(31)와, 상기 창문(20)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2)와, 상기 창문(20)이 레일프레임(13)에서 이탈되면서 실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호차(31)와 고정플레이트(32)를 상호 간 링크 연결하는 리프팅바(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바(33)의 일측과 타측은 호차(31)와 고정플레이트(32)에 결합된 회전축(322)에 링크 연결된다.
즉, 창문(20)은 고정플레이트(32)를 통해 상기 주행수단(30)과 결합되고, 호차(31)를 통해 레일프레임(13)에 연계되어 주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프팅바(33)를 통해 창문틀(10)의 레일프레임(13)에 이탈 또는 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창문(20)은 당김 동작에 의해 주행수단(30)의 리프팅바(33)가 회동하면서 레일프레임(13)에서 실내방향으로 이탈되고, 상기 레일프레임(13)에서 이탈된 창문(20)은 주행수단(30)의 호차(31)와 동반 주행하는 리프팅바(33)의 견인에 의해 슬라이딩 주행하고, 슬라이딩 주행된 창문(20)은 미는 동작에 의해 리프팅바(33)가 회동하면서 레일프레임(13) 방향으로 도입되어 창문틀(10)에 면상에 기밀하게 밀착된다.
한편, 주행수단(30)의 리프팅바(33)는 일측과 타측이 호차(31)와 고정플레이트(32)의 회전축(322)에 링크 연결된다. 이러한 리프팅바(33)는 상기 고정플레이트(32)와의 연결부위로 부분 절개된 절개라인(3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2)는 절개라인(331)에 위치되는 스토퍼봉(321)이 고정되어 리프팅바(33)의 회전각도를 절개라인(331)의 길이만큼 제한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절개라인(331)은 리프팅바(33)가 50 ~ 90°만큼 회전될 수 있는 길이로 절개되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 하다. 다만 창문(20)이 레일프레임(13)의 간섭없이 완전 이탈된 상태로 회동될 수 있는 범위로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바(33)는 고정플레이트(32)의 회전축(322)에 축설된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해 탄설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창문(20)은 힘을 강제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된 리프팅바(33)에 의해 레일프레임(13)에서 실내방향으로 이탈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창문(20)의 내창프레임(23)은 상기 외창프레임(21)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연장된 연장부(231)를 갖는다. 이 때 상기 연장부(231)의 내측면에는 글라스가 픽스된 창문틀(10)의 면상과 레일프레임(13)의 면상에 가압밀착되는 제 1패킹(231a)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틀(10)의 외틀프레임(11) 내측에는 창문(20)의 외창프레임(21)의 면상과 가압 밀착되는 제 2패킹(111)이 개재되고, 상기 창문틀(10)의 단열부재(12)에는 창문(20)의 단열부재(22)와 측면 방향으로 밀착되는 제 3패킹(121)이 개재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 1패킹(231a)과, 제 2패킹(111)은 창문(20)의 가압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3패킹(121)은 창문(20)의 가압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 1,2패킹(231a,111)은 창문(20)이 가압(미는 동작)되는 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창문(20)과 창문틀(10)과의 기밀을 더욱 증대시켜 단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의 작동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레일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에서 창문 개폐를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5와 같이, 창문(20)이 창문틀(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주행수단(30)의 리프팅바(33)는 창문(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창문(20)을 창문틀(10)에서 개방시킬 경우, 상기 창문(20)을 잠금레버(미도시)을 통해 잠금을 해제한 후 창문(20)을 실내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창문(20)은 창문틀(10)의 레일프레임(13)에서 이탈된다. 이는 창문(20)과 나란하게 배치된 리프팅바(33)의 회동에 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행수단(30)의 호차(31)는 창문틀(10)의 레일프레임(1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만 상기 리프팅바(33)만이 회동되어 고정플레이트(32)가 결합된 창문(20)이 레일프레임(13)에서 실내방향으로 이탈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리프팅바(33)는 고정플레이트(32)에 고정된 스토퍼봉(321)에 의해 절개라인(331)의 길이만큼 회동이 제한된다.
반대로, 창문(20)이 창문틀(10)에서 개방된 상태에서 창문을 폐쇄 시킬 경우에는, 상기 창문(20)을 창문틀(10) 방향으로 가압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잠금레버(미도시)를 통해 창문(20)을 창문틀(10)에 구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1을 참고하면, 창문(20)은 창문틀(10)의 개방면(16)을 폐쇄한 상태로 구속되고, 제 1,2패킹(231a,111)은 창문이 가압(미는 동작)되는 방향에 위치되고, 부가적으로 제 3패킹(121)은 창문(20)의 가압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창문(20)과 창문틀(10)은 기밀성을 더욱 확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과 같이, 창문(20)이 창문틀(10)에서 이탈되면, 사용자는 잠금레버를 잠고, 창문(20)을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일프레임(13)에서 이탈된 창문(20)은 주행수단(30)의 호차(31)와 동반 주행하는 리프팅바(33)의 견인에 의해 슬라이딩 주행하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주행이 완료되면 창문틀(10)의 개방면(16)을 노출시켜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창문(20)을 창문틀(10) 방향으로 가압밀착시킨 상태에서 잠금레버(미도시)를 통해 창문(20)을 창문틀(10)에 구속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는 일반 창호는 물론, 프로잭트 창, 중문, 현관문, 커튼월에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창문틀 11: 외틀프레임 111: 제 2패킹
12: 단열부재 121: 제 3패킹
13: 레일프레임 14: 연결프레임
15: 글라스 16: 개방면
20: 창문 21: 외창프레임 22: 단열부재
23: 내창프레임 231: 연장부
231a: 제 1패킹 24: 연결프레임
30: 주행수단 31: 호차 32: 고정플레이트
321: 스토퍼봉 322: 회전축
33: 리프팅바 331: 절개라인

Claims (6)

  1. 외틀프레임(11)에 단열부재(12)를 매개로 결합되는 레일프레임(13)을 갖고, 좌우면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글라스(15)가 일체로 픽스되고, 다른 일면에는 글라스(15)가 픽스되지 않은 개방면(16)이 형성되는 창문틀(10);
    상기 창문틀(10)의 개방면(16)을 개폐하는 창문(20); 및
    상기 레일프레임(13)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호차(31)와, 상기 창문(20)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2)와, 상기 창문(20)이 레일프레임(13)에서 이탈되면서 실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호차(31)와 고정플레이트(32)를 상호 간 링크 연결하는 리프팅바(33)로 구성되는 주행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창문(20)은 당김 동작에 의해 주행수단(30)의 리프팅바(33)가 회동하면서 레일프레임(13)에서 실내방향으로 이탈되고, 상기 레일프레임(13)에서 이탈된 창문(20)은 주행수단(30)의 호차(31)와 동반 주행하는 리프팅바(33)의 견인에 의해 슬라이딩 주행하고, 슬라이딩 주행된 창문(20)은 미는 동작에 의해 리프팅바(33)가 회동하면서 레일프레임(13) 방향으로 도입되어 창문틀(10)에 면상에 기밀하게 밀착되며,
    상기 리프팅바(33)는 고정플레이트(32)의 회전축(322)에 축설된 탄성수단에 의해 탄설되게 구성되고,
    상기 주행수단(30)은 상기 창문(20)의 상부면와 하부면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되며,
    상기 리프팅바(33)의 일측과 타측은 호차(31)와 고정플레이트(32)에 결합된 회전축(322)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리프팅바(33)는 상기 고정플레이트(32)와의 연결부위로 부분 절개된 절개라인(33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32)는 절개라인(331)에 위치되는 스토퍼봉(321)이 고정되어 리프팅바(33)의 회전각도를 절개라인(331)의 길이만큼 제한하고,
    상기 창문(20)은 외창프레임(21)와 단열부재(22)를 매개로 결합되는 내창프레임(23)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창프레임(23)은 상기 외창프레임(21)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연장된 연장부(231)를 갖고,
    상기 연장부(231)의 내측면에는 창문틀(10)의 면상과 레일프레임(13)의 면상에 가압밀착되는 제 1패킹(231a)이 개재되며,
    상기 창문틀(10)의 외틀프레임(11) 내측에는 창문(20)의 외창프레임(21)의 면상과 가압밀착되는 제 2패킹(111)이 개재되고,
    상기 창문틀(10)의 단열부재(12)에는 창문(20)의 단열부재(22)와 측면방향으로 밀착되는 제 3패킹(121)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20023A 2018-02-20 2018-02-20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 Active KR10194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023A KR101948881B1 (ko) 2018-02-20 2018-02-20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023A KR101948881B1 (ko) 2018-02-20 2018-02-20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881B1 true KR101948881B1 (ko) 2019-02-15

Family

ID=6536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023A Active KR101948881B1 (ko) 2018-02-20 2018-02-20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8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630A (ja) * 1999-10-13 2001-04-17 Meiko:Kk 直列式サッ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630A (ja) * 1999-10-13 2001-04-17 Meiko:Kk 直列式サッ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2832B2 (en) Air tight door
KR20120043822A (ko) 수평밀착창호
EP2140089A1 (en) Structure and outline system for hermetical and acoustic sealing in sliding windows and doors
KR101948881B1 (ko) 레일프레임에서 이탈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을 갖는 창호 어셈블리
CN112227878B (zh) 塞拉逃生门
KR101398112B1 (ko) 창틀의 창문 밀폐장치
KR20130038459A (ko) 창호용 호차
KR101553518B1 (ko) 창호용 방풍구
WO2014032141A1 (pt) Sistema de acionamento para obtenção de vedação hermética e acústica em es uadrias deslizantes
KR200487614Y1 (ko) 방풍모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문틀용 방풍구
KR20180065305A (ko) 창호
CN202850797U (zh) 房车外推窗
HU220200B (hu) Szellőzőberendezés ablakok vagy ajtók részére
KR101819861B1 (ko) 알루미늄 창틀을 갖는 목재한옥창호
CN101922279A (zh) 一种单轨推拉门窗结构
KR102698392B1 (ko) 창호시스템의 창문짝 개폐 보조장치
KR20140133158A (ko) 착탈식 단열보강부재를 구비한 창호
US20130139444A1 (en) Relation to double hung windows
JP3129712B2 (ja) 天 窓
JP7420867B2 (ja) 建具
EP4033063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elastic gasket attached and installed as sealing member to glass-supporting insulation bracket in sliding window having two-side supporting frame window chassis
JP2019108797A (ja) 建具
TWI359228B (ko)
KR20100100356A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JPH0515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