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8471B1 -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 - Google Patents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471B1
KR101948471B1 KR1020180026302A KR20180026302A KR101948471B1 KR 101948471 B1 KR101948471 B1 KR 101948471B1 KR 1020180026302 A KR1020180026302 A KR 1020180026302A KR 20180026302 A KR20180026302 A KR 20180026302A KR 101948471 B1 KR101948471 B1 KR 101948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dhesive layer
sheet
adhesive
cu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536A (ko
Inventor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이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진 filed Critical 이수진
Priority to KR102018002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4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4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림이 인쇄된 표면지만 절개하는 공정은 부식 칼날에 의해 이루어지고, 표면지를 포함하는 이면까지 관통 절개할 때에는 목형 칼날을 활용하여, 표면지에 인쇄된 그림의 외곽선과 절단선을 정밀하게 일치시키면서도 관통 절단선이 필요한 부분에는 관통 절단선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접착식 교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A MANUFACTURING METHOD FOR BONDED TEACHING AID AND BONDED TEACHING AID THEREBY}
본 발명은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림이 인쇄된 표면지만 절개하는 공정은 부식 칼날에 의해 이루어지고, 표면지를 포함하는 이면까지 관통 절개할 때에는 목형 칼날을 활용하여, 표면지에 인쇄된 그림의 외곽선과 절단선을 정밀하게 일치시키면서도 관통 절단선이 필요한 부분에는 관통 절단선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접착식 교구에 관한 것이다.
유아나 어린이들은 미술을 할 때 채색 작업을 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그림의 외곽선을 그린 후 그 내부에 채색을 하거나, 이미 그려진 그림의 외곽선 내부에 채색을 하는 작업은 아직 손이 여물지 않은 아이들에게 쉽지 않다.
아이들의 이러한 숙련도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에게 미술적 감각을 키워주기 위한 교구는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이 출원의 발명자는 숙련도가 낮은 아이들에게도 미술적 감각을 충분히 키워줄 수 있는 접착식 교구를 발명하여 특허출원하여 등록 받은바 있다(등록특허 제1523207호).
당해 접착식 교구는, EVA 재질의 베이스 상에 접착부재 층을 두고 그 상부에 상부시트를 적층 하였으며, 상부시트의 표면에는 문양부가 인쇄 등의 방식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부시트의 이면에는 이형제층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문양부의 테두리에는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시트, 접착부재, 베이스의 하단부까지 모두 관통 절개된 절개부를 형성하여 문양부재(상부시트, 접착부재, 베이스를 모두 포함하며 절개부에 의해 원단으로부터 분리되는 부재)가 통째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고, 문양부재의 내부에는 상부시트, 접착부재, 베이스의 상부의 소정 깊이까지만 절개된 표시부를 형성하여 문양부재의 상부시트에서 문양분체 부분(상부시트만 포함하며 절개부와 표시부에 의해 문양부재의 베이스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부분)만을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발명자는 어린이들의 손이 여물지 않아 문양분체를 베이스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이 쉽지 않을 것을 감안하여, 상기 표시부를 형성할 때 상부시트만 절개한 것이 아니라, 베이스의 상부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깊이까지 함께 절개를 함으로써, 아이들이 상부시트의 문양분체를 떼어내기 위해 문양부재의 문양분체 사이의 절개부를 벌릴 때 베이스의 상부도 함께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여물지 않고 서툰 손으로도 문양분체를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문양분체를 떼어낸 문양부재 자리에는 접착부재가 노출되는데, 어린이가 여기에 칼라시트를 입혀 색상부가 접착부재에 부착되도록 하면, 그림의 외곽선 내에 매우 깔끔하게 색상이 입혀지게 된다.
상기 접착식 교구를 제작하기 위한 절개부와 표시부의 절개 작업은 목형 칼날로 이루어졌다. 즉 원단에 표시된 그림의 외곽선과 대응하는 띠형 칼날을 금속 평판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금형 즉 프레스 방식으로 원단을 눌러 절개부와 표시부를 일거에 절개하는 목형 칼날 절개 방식을 활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목형 칼은 원단의 그림과 대략적으로는 그 외곽선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림의 외곽선과 정밀하게 대응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목형 칼을 정밀하게 제작하지 아니하면, 아이들의 미술 감각을 키워주기 위한 접착식 교구의 상부시트에 표시된 그림의 외곽선과 목형 칼에 의해 절개된 외곽선이 서로 맞지 않아, 상부시트의 문양분체를 떼어낼 때, 문양분체의 테두리와 상부시트에 인쇄된 그림의 외곽선이 어긋나버리게 되어, 미술감각을 키워준다는 접착식 교구의 미적 감각을 오히려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목형 칼을 정밀하게 제작하는 데에 드는 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에, 제품의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목형 칼날을 사용하여 절개를 할 때 절개 깊이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문양부재의 테두리(절개부)의 절개가 미흡하여 문양부재가 원단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반대로, 표시부의 절개가 과하여 표시부 부분까지도 베이스를 관통하여 절개가 되어 버림으로써, 문양부재가 일체로 유지되지 못하고 문양분체에 해당하는 베이스부분까지 모조리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도 있었다.
즉 상술한 발명은 제조 과정에서 정밀한 커팅이나 오차 제어를 하지 못하면, 불량이 다량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52320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표면지 절단선은 부식 칼날로 절단하고 접착식 교구의 관통 절단선은 목형 칼날로 절단함으로써, 표면지에 인쇄된 그림의 외곽선과 절단선을 정밀하게 일치시키면서도 문양부재의 테두리를 관통 절단할 수 있는 접착식 교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된 표면지(10),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1이면지(31)를 준비하는 단계; 제1접착제층(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표면지(10)와 제1이면지(31)의 이형제층(19,39)을 부착시켜 표면지(10)와 제1접착제층(21)과 제1이면지(31)를 적층하는 단계; 부식 칼날(80)을 사용하여 상기 표면지(10)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하는 단계; 표면지 절단선(88) 절개 후 상기 제1이면지(31)를 제1접착제층(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1이면지(31)가 분리된 제1접착제층(21)의 하면에 원단재(40)를 부착하여 제1접착제층(21)의 하부에 원단재(40)를 적층하는 단계; 및 적층된 상기 표면지(10)와 제1접착제층(21)과 원단재(40)를 목형 칼날(90)로 관통 절개함으로써 관통 절단선(99)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은,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2이면지(32)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단재(40)의 하면에 제2접착제층(22)을 접착하여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접착제층(22)의 하면에 제2이면지(32)의 이형제층(39)을 부착시켜 제2접착제층(22)의 하부에 제2이면지(32)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절단선(99)을 형성하는 단계는, 적층된 상기 표면지(10)와 제1접착제층(21)과 원단재(40)뿐만 아니라 상기 원단재(40)의 하면에 적층된 제2접착제층(22)과 제2이면지(32)까지 관통 절개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단재는 상기 표면지보다 더 두꺼운 층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된 제1표면지(11),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1이면지(31)를 준비하는 단계; 제1접착제층(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제1표면지(11)와 제1이면지(31)의 이형제층(19,39)을 부착시켜 제1표면지(11)와 제1접착제층(21)과 제1이면지(31)를 적층하는 단계; 부식 칼날(80)을 사용하여 상기 제1표면지(11)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하는 단계; 상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된 제2표면지(12), 제2이면지(32)를 준비하는 단계; 제2접착제층(22)의 하면에 상기 제2표면지(12)의 이형제층(19)을 부착시키고, 제2접착제층(22)의 상면에 상기 제2이면지(32)를 부착시켜, 제2이면지(32)와 제2접착제층(22)과 제2표면지(12)를 적층하는 단계; 부식 칼날(80)을 사용하여 상기 제2표면지(12)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하는 단계; 표면지 절단선(88) 절개 후 상기 제1이면지(31)를 제1접착제층(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이면지(31)가 분리된 제1접착제층(21)의 하면에, 적층된 상기 제2이면지(32)와 제2접착제층(22)과 제2표면지(12)를 제2이면지 쪽으로 부착하여 결과적으로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제2이면지(32), 제2접착제층(22), 제2표면지(12) 순으로 최종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된 제1표면지(11),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1이면지(31)를 준비하는 단계; 제1접착제층(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제1표면지(11)와 제1이면지(31)의 이형제층(19,39)을 부착시켜 제1표면지(11)와 제1접착제층(21)과 제1이면지(31)를 적층하는 단계; 부식 칼날(80)을 사용하여 상기 제1표면지(11)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하는 단계; 상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된 제2표면지(12), 하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2이면지(32)를 준비하는 단계; 제2접착제층(2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제2이면지(32)와 제2표면지(12)의 이형제층(39,19)을 부착시켜 제2이면지(32)와 제2접착제층(22)과 제2표면지(12)를 적층하는 단계; 부식 칼날(80)을 사용하여 상기 제2표면지(12)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하는 단계; 표면지 절단선(88) 절개 후 상기 제1이면지(31)와 상기 제2이면지(32)를 각각 제1접착제층(21)과 제2접착제층(22)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이면지(31)가 분리된 제1접착제층(21)의 하면에, 상기 제2이면지(32)가 분리된 제2접착제층(22)의 상면을 적층하여 결과적으로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제2접착제층(22), 제2표면지(12) 순으로 최종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최종 적층 단계에서, 상기 제1접착제층(21)과 제2접착제층(22) 사이에 원단재(40)를 개재하여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된 제1표면지(11),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1이면지(31)를 준비하는 단계; 제1접착제층(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제1표면지(11)와 제1이면지(31)의 이형제층(19,39)을 부착시켜 제1표면지(11)와 제1접착제층(21)과 제1이면지(31)를 적층하는 단계; 부식 칼날(80)을 사용하여 상기 제1표면지(11)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하는 단계; 표면지 절단선(88) 절개 후 상기 제1이면지(31)를 제1접착제층(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이면지(31)가 분리된 제1접착제층(21)의 하면에 원단재(40)를 적층하여 결과적으로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원단재(40) 순으로 최종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착제층(21)에 적층되는 원단재가 곡면을 포함하거나, 입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최종 적층 단계 후, 적층된 원단들을 제본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시트(62)에 색상부(61)가 가점착된 색상호일(60)을 더 구비하는 접착식 교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지의 표면지 절단선을 부식 칼날로 절단한 후 원단재를 적층한 다음 접착식 교구의 관통 절단선은 목형 칼날로 절단함으로써, 표면지에 인쇄된 그림의 외곽선과 절단선을 정밀하게 일치시키면서도 표면지 절단선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원단재에 예기치 않은 절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문양부재의 테두리는 관통 절단된 접착식 교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미술감각을 키워주는 접착식 교구가 정밀하게 표현되고 절개되어 어린이들의 미적 감각을 키워주는 교구로서 가치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표면지 절단선이 원단재를 절개해 버리거나, 관통 절단선이 완전히 관통 절개되지 않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정밀한 커팅이나 오차 제어를 하지 않고서도 고품질의 접착식 교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평면 형태뿐만 아니라 입체 형태이거나 곡면을 포함하는 원단재에 대해서도 접착식 교구를 제조할 수 있고, 접착식 교구를 포함하는 책자를 제작할 수도 있으며, 미세하거나 디테일이 표현되어야 하는 원단재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제조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도 15는 제1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식 교구의 사용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16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제조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25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의 제3실시예에 따르는 제조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31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의 제4실시예에 따르는 제조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37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의 제5실시예에 따르는 제조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언급되는 상하 방향의 의미는 도면 상 상하 방향이라는 것이지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이 상방, 중력방향이 하방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의 제1실시예로서, 접착시 교구의 제조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지(10)와 접착제층(20)과 이면지(30)를 준비한다. 표면지(10)는 그 하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되고, 이면지(30)는 그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다. 이형제층은 접착제층(20)과 부착이 되면서도, 표면지와 이면지를 떼어낼 때 이형제층이 접착제층과 쉽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티커와 관련한 기술분야에서 주지 관용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면지(10)와 이면지(30)는 종이, 필름 등 다양한 시트 형태의 재질일 수 있으며, 쉽게 휘거나 구부러질 정도로 얇게 제조되는 것이 예시된다. 또한 표면지(10)는 그 상부면에 다양한 문양이 인쇄될 수 있다.
접착제층(20)는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제조 공정 상 편리하나, 이 외에도 접착액을 도포하거나 포설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층(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표면지(10)와 이면지(30)의 이형제층(19,39)을 부착시켜 표면지(10)와 접착제층(20)과 이면지(30)를 적층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 칼날(80)을 사용하여 표면지(10)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한다. 표면지 절단선(88)은 표면지(10) 깊이까지만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식 칼날은 롤 방식으로 피절개물(표면지)을 절개하게 된다. 부식 칼날을 형성할 때에는 금속제 롤의 표면을 부식시켜 절개선이 형성되어야 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칼날을 형성시키되, 칼날이 롤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부식 칼날로 피절개물을 절개할 때에는, 부식 칼날이 형성된 롤과 평롤을 상하로 조립한 후, 이들 두 롤을 회전시키면서 그 사이로 피절개물을 집어 넣어 피절개물을 통과시키며, 피절개물이 통과하면서 부식 칼날이 형성된 롤과 마주하는 피절개물 면에 절개선이 형성되도록 한다.
부식 칼날은 롤의 표면에 선택 부식의 방법으로 칼날을 형성하기 때문에 그 위치를 매우 정교하게 잡을 수 있다. 부식 칼날은 금속제 롤의 표면 자체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시트 상 금속에 부식을 실시하여 칼날을 형성하고, 이러한 시트를 롤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비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식 칼날에 의한 절개 방식은, 정교한 위치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속 절개 공정이 가능하므로 대량 생산에 더욱 유리하다.
이렇게 표면지 절단선(88)을 형성한 뒤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지(30)를 제거한다. 이면지(30)는 이형제층(39)을 통해 접착제층(20)과 부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떼어내기 간편하다.
이면지(30)를 떼어낸 접착제층(20)의 하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재(40)를 준비하고 접착하여 도 6과 같이 적층한다. 원단재(40)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mm 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탄성재 합성수지, 가령 EVA를 예시한다. 그러나 그 두께나 재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단재의 재질에 따라 원단재가 어느 정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면 족하다. 원단재(40)의 상면에는 이형제층이 없기 때문에, 접착제층(20)은 표면지(10)와는 가점착된 반면 원단재(40)와는 강한 접착력을 가지고 상호 적층된다.
이와 같이 적층이 완료된 상태에서, 문양부재(50)를 형성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지(10)에 인쇄된 그림의 외곽선을 따라 목형 칼날(90)을 정렬시키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형 칼날(90)을 길게 하향 삽입하여 표면지(10), 접착제층(20) 및 원단재(40)를 모두 관통하도록 절개를 한다.
목형 칼날(90)은 상기 표면지(10)에 표시된 그림의 외곽선과 대응하는 형태로 띠형 칼날을 제작하여 금속 평판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금형 즉 프레스 방식으로 상기 적층된 접착식 교구를 눌러 상기 표면지(10)에 표시된 그림의 외곽선 부분을 하단부까지 완전히 관통 절개하는 방식으로 관통 절단선(99)을 형성한다.
상기 원단재(40)는 탄성 재질의 합성 수지이기 때문에, 목형 칼날(90)이 관통한 후 취출되더라도, 목형 칼날에 의해 절개되어 형성된 관통 절단선(99) 부분이 탄성 복원하며 서로 밀착되어, 문양부재(50; 도 15 참조)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그 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표면지(10)에서 원단재(40)까지 관통되는 관통 절단선(99)은, 가령 표면지에 인쇄된 물체, 가령 자동차의 실루엣, 즉 바깥쪽 테두리 부분과 일치하며, 관통 절단선(99)이 폐루프를 이룸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중에 자동차 형상 부분 전체(50; 문양부재)를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표면지(10)에 형성되는 표면지 절단선(88)은, 문양부재 내에 있는 각종 문양, 가령 자동차의 바퀴, 창문, 차체 등을 구분하는 선과 일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각 표면지 절단선(88)들은 그 자체로 폐루프 형태를 이루거나, 상기 관통 절단선(99)과 연결되며 폐루프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렇게 폐루프를 이루는 부분을 따라 표면지를 ?어내면, 가령 자동차의 바퀴에 해당하는 부분이나 창문에 해당하는 부분이나 차체에 해당하는 표면지 부분(15; 부분문양지)를 상기 접착제층(20)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부분문양지(15)를 떼어낼 때, 그 하부에는 이형제층(19)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접착제층(20)의 접착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부분문양지(15)를 쉽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5는 제1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착식 교구의 사용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접착식 교구를 활용할 때에는,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문양지(15)를 떼어내어 물체의 일부분(가령 자동차의 바퀴, 창문, 차체 등)에 해당하는 접착제층(20)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등의 시트(62)에 가점착된 색상부(61)를 가지는 색상호일(60)의 색상부(61)가 상기 접착제층(20)과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이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층(20)에 접착시켜 문지르면, 상기 노출된 접착제층(20)의 형태에 대응하여 색상호일(60)의 시트(62)와 가점착되어 있던 색상부(61) 부위가 떨어지면서 도 13과 같이 접착제층(20)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부분문양지(15)를 차례로 떼어내며 그 자리에 노출된 접착제층(20)에 서로 다른 색상의 색상호일(60)을 대고 문질러 색상부(61)를 부착시키면 도 14와 같이 문양부재(50) 내의 각 부분문양지(15) 부분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정교하게 채색된다.
이 상태에서 도 15와 같이 관통 절단선(99)을 따라 문양부재(50)를 빼내면, 어린이가 자신 스스로 채색을 완성한 문양부재(가령 자동차)를 가지고 놀 수 있게 되고, 각종 장식에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단재(40)를 적층하기 전에 이면지(30)를 가적층한 상태에서 부식 칼날로 절개를 하게 된다.
두께가 어느 정도 있고 탄성이 있는 원단재를 적층한 상태로 표면지 절단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부식 칼날이 형성된 롤과 평롤의 간격을 더 넓혀야 한다. 그런데 두 롤 사이의 간격이 크고, 두 롤 사이에 삽입되는 피절개물이 탄성 재질을 가지게 되면, 롤이 회전하며 부식 칼날이 피절개물을 파고들어야 절개가 이루어지는 부식 칼날에 의한 절개 방식에 의할 때, 부식 칼날이 피절개물을 파고들지 못해 절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렇다고 두 롤의 간격을 피절개물의 두께보다 많이 좁게 하면, 탄성 재질의 원단재가 롤 사이를 지나가면서 압축된 후 탄성복원되지 못하기 때문에, 피절개물 자체가 손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고, 아울러 압축된 원단재까지 부식 칼날이 파고들어 원단재가 크게 훼손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원단재의 두께를 얇게 하면(가령 1mm 이하), 원단재가 충분한 강성을 가지지 못해 휘어지거나 부서질 염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원단재(40)를 적층하기 전에 이면지(30)를 가적층한 상태에서 부식 칼날로 절개를 한 후, 가적층한 이면지를 떼어내고 그 자리에 원단재(40)를 부착하여 적층하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표면지 절단선(88)을 형성하고 원단재(40)를 부착한 뒤에는, 목형 칼날(90)로 피절개물을 확실히 관통 절개함으로써, 접착식 교구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설명한 바 있듯이, 피절개물에 탄성이 있을 때, 목형 칼날을 사용하여 절개 깊이를 조절하고 제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표면지 절단선(88) 절개 과정을 위와 같이 거친 후, 확실히 관통 절개가 이루어져야 하는 관통 절단선(99)을 목형 칼날(90)로 절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 깊이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운 원단재(40)가 적층된 접착식 교구를 제조함에 있어서, 이면지(30) 가점착을 통해 먼저 표면지에 부식 칼날로 표면지 절단선(88)을 형성하고, 이면지(30) 자리에 다시 원단재(40)를 적층하여 목형 칼날로 관통 절단선(99)을 형성함으로써, 고도의 공정 제어를 할 필요 없이, 표면지 절단선(88)과 관통 절단선(99)의 절개 부위를 매우 정밀하고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저가이면서도 고품질의 접착식 교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
도 16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제조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 따르는 접착식 교구의 제조 방법은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원단재(40)의 하부에 제2접착제층(22)과 제2이면지(32)가 더 적층되고, 관통 절단선(99)이 제2이면지(32)까지 모두 관통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는 제조 단계를 살펴보면, 먼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지(10)와 제1접착제층(21)과 제1이면지(31)를 준비한다. 표면지(10)는 그 하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되고, 제1이면지(31)는 그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다.
표면지(10)와 제1이면지(31), 그리고 후술할 제2이면지(32)는 종이, 필름 등 다양한 시트 형태의 재질일 수 있으며, 쉽게 휘거나 구부러질 정도로 얇게 제조되는 것이 예시된다. 또한 표면지(10)는 그 상부면에 다양한 문양이 인쇄될 수 있다.
제1접착제층(21), 그리고 후술할 제2접착제층(22)은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제조 공정 상 편리하나, 이 외에도 접착액을 도포하거나 포설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착제층(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표면지(10)와 제1이면지(31)의 이형제층(19,39)을 부착시켜 표면지(10)와 제1접착제층(21)과 제1이면지(31)를 적층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 칼날(80)을 사용하여 표면지(10)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한다. 표면지 절단선(88)은 표면지(10) 깊이까지만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표면지 절단선(88)을 형성한 뒤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면지(31)를 제거한다. 제1이면지(31)는 이형제층(39)을 통해 제1접착제층(21)과 부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떼어내기 간편하다.
제1이면지(31)를 떼어낸 제1접착제층(21)의 하면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재(40)를 준비하고 접착하며, 이에 이어서 제2접착제층(22), 제2이면지(32)를 적층한다. 제2이면지(32)는 그 이형제층(39)이 제2접착제층(22)에 접하도록 하여 적층한다. 원단재(40)의 상면과 하면에는 이형제층이 없기 때문에, 제1접착제층(21)은 표면지(10)와는 가점착된 반면 원단재(40)와는 강한 접착력을 가지고 상호 적층되고, 제2접착제층(22)은 제2이면지(32)와는 가점착된 반면 원단재(40)와는 강한 접착력을 가지고 상호 적층된다.
이와 같이 적층이 완료된 도 21의 상태에서 문양부재(50)를 형성하기 위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지(10)에 인쇄된 그림의 외곽선을 따라 목형 칼날(90)을 정렬시키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형 칼날(90)을 길게 하향 삽입하여 표면지(10), 제1접착제층(21), 원단재(40), 제2접착제층(22), 및 제2이면지(32)를 모두 관통하도록 절개를 한다.
그러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지에 인쇄된 그림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는 관통 절단선(99)이 형성되고, 그림의 내측에는 표면지 절단선(88)이 형성된다. 제2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는 관통 절단선을 따라 구분되는 문양부재를 분리해 내었을 때, 제2이면지(32)를 떼어내고 원단재(40)의 하면에 적층되어 있던 제2접착제층(22)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문양부재를 다른 곳, 가령 책이나 노트 등 어린이가 꾸미고 싶어하는 면에 부착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25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의 제3실시예에 따르는 제조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3실시예에서는 접착식 교구를 교재, 즉 책의 형태로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다만 제3실시예는 반드시 책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교구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 방법으로서도 활용 가능하다.
먼저 도 25를 참조하면,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및 제1이면지(31)와, 제2표면지(12), 제2접착제층(22), 및 제2이면지(32)를 각각 준비한다. 제1표면지(11)는 그 하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되고, 제1이면지(31)는 그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다. 또한 제2표면지(12)는 그 상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되고, 제2이면지(32)는 이형제층을 구비하지 아니한다.
제1표면지(11)와 제1이면지(31), 그리고 제2표면지(12)와 제2이면지(32)는 종이, 필름 등 다양한 시트 형태의 재질일 수 있으며, 쉽게 휘거나 구부러질 정도로 얇게 제조되는 것이 예시된다. 또한 제1표면지(11)와 제2표면지(12)는 그 표면에 다양한 문양과 글자가 인쇄될 수 있다. 제1표면지와 제2표면지 표면은 책의 속지 내용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접착제층(21)과 제2접착제층(22)은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제조 공정 상 편리하나, 이 외에도 접착액을 도포하거나 포설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착제층(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제1표면지(11)와 제1이면지(31)의 이형제층(19,39)을 부착시켜 제1표면지(11)와 제1접착제층(21)과 제1이면지(31)를 적층한다.
유사하게, 제2접착제층(22)의 상면에는 제2이면지(32)를 부착하고, 제2접착제층(22)의 하면에는 제2표면지(12)의 이형제층(19)을 부착시켜 제2표면지(12)와 제2접착제층(22)과 제2이면지(32)를 적층한다.
그리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 칼날(80)을 사용하여 제1표면지(11)와 제2표면지(12)에 표면지 절단선(88)을 각각 절개한다. 표면지 절단선(88)은 책의 속지의 내용 중 그림이 있는 부분의 외곽선과 내부경계선에 모두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표면지 절단선(88)을 형성한 뒤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면지(31)를 제거한다.
제1이면지(31)를 떼어낸 제1접착제층(21)의 하면에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상기 제2표면지(12)와 제2접착제층(22)과 제2이면지(32) 중 제2이면지(32)를 접착한다.
그러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제2이면지(32), 제2접착제층(22), 제2표면지(12)가 적층된 책장의 속지가 완성된다.
제3실시예에 따르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접착식 교구는 책의 속지 형태일 수 있고, 책을 완성하기 위해 상기 속지들을 모아 일측 단부를 접착하여 책을 제작하거나, 상기 속지들을 반으로 접고 접혀진 부분을 결속하여 책을 제작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책 형태의 접착식 교구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책장의 중심에는 제2이면지(32)가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가 부분문양지(15)를 떼어내고 색상호일을 입히더라도 책장의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책 형태의 접착식 교구에 의하면, 동화책의 주인공 등의 각 부분을 부분문양지(15)로 구성하여, 어린이들이 책을 읽으면서 동화책의 주인공을 직접 색상호일(60)로 채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실시예]
도 31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의 제4실시예에 따르는 제조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3실시예와 대비하여 제4실시예는, 제2이면지(32)에도 이형제층(39)이 구비되어서, 각 표면지(11,12)에 표면지 절단선(88)을 형성한 뒤, 제2이면지(32)도 제1이면지(31)와 마찬가지로 제2접착제층(22)으로부터 제거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먼저 도 31을 참조하면,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및 제1이면지(31)와, 제2표면지(12), 제2접착제층(22), 및 제2이면지(32)를 각각 준비한다. 제1표면지(11)와 제2표면지(12)의 하면과 상면에는 각각 이형제층(19)이 마련되고, 제1이면지(31)와 제2이면지(32)의 상면과 하면에도 각각 이형제층(39)이 마련된다.
다음으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착제층(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제1표면지(11)와 제1이면지(31)의 이형제층(19,39)을 부착시켜 제1표면지(11)와 제1접착제층(21)과 제1이면지(31)를 적층한다.
마찬가지로, 제2접착제층(22)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상기 제2표면지(11)와 제2이면지(32)의 이형제층(19,39)을 부착시켜 제2표면지(12)와 제2접착제층(22)과 제2이면지(32)를 적층한다.
그리고,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 칼날(80)을 사용하여 제1표면지(11)와 제2표면지(12)에 표면지 절단선(88)을 각각 절개한다.
이렇게 표면지 절단선(88)을 형성한 뒤에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면지(31)와 제2이면지(32)를 제거한다.
제1이면지(31)를 떼어낸 제1접착제층(21)의 하면에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상기 제2표면지(12)와 제2접착제층(22) 중 제2접착제층(22)을 접착한다.
그러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면지(11), 접착제층(20), 제2표면지(12)가 적층된 책장의 속지가 완성된다.
상기 책장의 중심에는 접착제층(20)이 상대적으로 두텁게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가 부분문양지(15)를 떼어내고 색상호일을 입히더라도 책장의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37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의 제5실시예에 따르는 제조 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4실시예와 대비하여 제5실시예는, 제1이면지(31)와 제2이면지(32)를 떼어낸 후 제1접착제층(21)과 제2접착제층(22)을 적층할 때, 그 사이에 원단재(40)를 더 개재하여 적층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먼저 도 37을 참조하면, 이형제층(19)이 마련된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및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1이면지(31)와, 이형제층(19)이 마련된 제2표면지(12), 제2접착제층(22), 및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2이면지(32)를 각각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면지(11)와 제1접착제층(21)과 제1이면지(31)를 적층하고, 마찬가지로 제2표면지(12)와 제2접착제층(22)과 제2이면지(32)를 적층한다.
그리고,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 칼날(80)을 사용하여 제1표면지(11)와 제2표면지(12)에 표면지 절단선(88)을 각각 절개하여 형성하고,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면지(31)와 제2이면지(32)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재(40)를 준비하고, 제1이면지(31)를 떼어낸 제1접착제층(21)의 하면에 원단재(40)를 부착하여 적층하며, 적층된 상기 원단재(40)의 하부에는, 기 적층되어 있는 제2표면지(12)와 제2접착제층(22) 중 제2접착제층(22)을 접착하여 적층한다.
그러면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원단재(40), 제2접착제층(22), 및 제2표면지(12)가 적층된 책장의 속지가 완성된다.
상기 책장의 중심에는 원단재(40)가 적층되어 있다. 상기 원단재(40)는 책장의 소재로서 다양한 재료, 가령 일반적인 종이, 필름은 물론, 하드보드지, EVA 등이 사용될 수 있다.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접착식 교구가 적용된 책자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5실시예와 같은 제조 방법은, 비단 책 뿐만 아니라, 입체형상의 완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원단재(40)는 로봇이나 비행기 등의 프라모델의 부품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평면적인 제품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가령 비행기의 날개 부분을 원단재(40)로 하여, 부식 칼날(80)을 통해 표면지(11, 12)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한 후 그 이면지(31, 32)를 제거하고 이를 비행기 날개 부분에 부착하면, 입체적인 완구 등의 제품의 표면에 채색을 하고자 할 때 표면지(11, 12)를 제거하고 접착제층(21, 22)에 색상호일(60)을 채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봇 완구의 몸통 부분을 원단재(40)로 하여, 부식 칼날(80)을 통해 표면지(11)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한 후 그 이면지(31)를 제거하고 이를 로봇 완구의 몸통 부분에 부착하면, 마찬가지로 입체적인 완구 등의 제품의 표면에 채색을 하고자 할 때 표면지(11)를 제거하고 접착제층(21)에 색상호일(60)을 채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입체적인 제품에 접착식 교구를 구현하고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기존의 목형 칼날을 이용한 절개 방식으로는 구현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표면지(11, 12)와 접착제층(21, 22)과 이면지(31, 32)는 연성이 있는 얇은 재질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이 부착되어야 하는 원단재(40)가 평면이 아닌 곡면이라 하더라도 접착식 교구를 적용하고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얇은 재질의 접착식 교구는 기존 제품보다 가늘거나 좁은 부분, 그리고 미세한 부분이나 디테일이 요구되는 형상을 표현할 수 있고, 가늘거나 좁은 부분, 그리고 미세한 부분이나 디테일이 있는 원단재(40)에도 얼마든지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표면지
11: 제1표면지
12: 제2표면지
15: 부분문양지
19: 이형제층
20: 접착제층
21: 제1접착제층
22: 제2접착제층
30: 이면지
31: 제1이면지
32: 제2이면지
39: 이형제층
40: 원단재
50: 문양부재
60: 색상호일
61: 색상부
62: 시트
80: 부식 칼날
88: 표면지 절단선
90: 목형 칼날
99: 관통 절단선

Claims (11)

  1. 접착식 교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된 표면지(10), 제1접착제층(21) 및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1이면지(31)를 적층하는 단계;
    제1칼날(80)을 사용하여 상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표면지(10)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하는 단계;
    표면지 절단선(88) 절개 후 상기 제1이면지(31)를 제1접착제층(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1이면지(31)가 분리된 제1접착제층(21)의 하부에 원단재(40)를 적층하는 단계; 및
    적층된 상기 표면지(10)와 제1접착제층(21)과 원단재(40)를 제2칼날(90)로 관통 절개함으로써 관통 절단선(99)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상기 접착식 교구에서 상기 표면지 절단선(88)을 따라 절개된 부위는 상기 원단재(40)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적어도 상기 표면지(10)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관통 절단선(99)을 따라 절개된 부위는 상기 원단재(40)와 제1접착제층(21)과 원단재(40)에 모두 관통 형성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재(40)의 하부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기 원단재, 제2접착제층(22) 및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2이면지(32)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 절단선(99)을 형성하는 단계는, 적층된 상기 표면지(10)와 제1접착제층(21)과 원단재(40)뿐만 아니라 상기 원단재(40)의 하부에 적층된 제2접착제층(22)과 제2이면지(32)까지 관통 절개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재는 상기 표면지보다 더 두꺼운 층을 이루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
  5. 접착식 교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된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및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1이면지(31)를 적층하는 단계;
    제1칼날(80)을 사용하여 상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1표면지(11)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하는 단계;
    상부로부터 하부로, 제2이면지(32), 제2접착제층(22) 및 상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된 제2표면지(12)를 적층하는 단계;
    제1칼날(80)을 사용하여 하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2표면지(12)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하는 단계;
    표면지 절단선(88) 절개 후 상기 제1이면지(31)를 제1접착제층(21) 하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이면지(31)가 분리된 제1접착제층(21)의 하부에, 적층된 상기 제2이면지(32), 제2접착제층(22) 및 제2표면지(12)를 제2이면지 쪽으로 적층하여 결과적으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제2이면지(32), 제2접착제층(22), 제2표면지(12) 순으로 최종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상기 접착식 교구에서 상기 제1표면지(11) 및 상기 제2표면지(12)의 표면지 절단선(88)을 따라 절개된 부위는 상기 제2이면지(32)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적어도 상기 제1표면지(11)와 상기 제2표면지(12)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표면지 절단선(88) 절개 후 상기 제1이면지(31)를 제1접착제층(21) 하부로부터 분리하는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2이면지(32)를 제2접착제층(22) 상부로부터 더 분리하고,
    상기 최종 적층 단계에서, 상기 제1이면지(31)가 분리된 제1접착제층(21)의 하부에 상기 제2이면지 쪽으로 적층하는 대신, 상기 제1이면지(31)가 분리된 제1접착제층(21)의 하부가, 상기 제2이면지(32)가 분리된 제2접착제층(22)의 상부가 마주하도록 적층하여 결과적으로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제2접착제층(22), 제2표면지(12) 순으로 최종 적층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적층 단계에서, 상기 제1접착제층(21)과 제2접착제층(22) 사이에 원단재(40)를 개재하여 적층하여서,
    상기 접착식 교구에서 상기 제1표면지(11) 및 상기 제2표면지(12)의 표면지 절단선(88)을 따라 절개된 부위는 상기 원단재(40)에는 형성되지 않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
  8. 접착식 교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면에 이형제층(19)이 마련된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및 상면에 이형제층(39)이 마련된 제1이면지(31)를 적층하는 단계;
    제1칼날(80)을 사용하여 상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1표면지(11)에 표면지 절단선(88)을 절개하는 단계;
    표면지 절단선(88) 절개 후 상기 제1이면지(31)를 제1접착제층(21)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이면지(31)가 분리된 제1접착제층(21)의 하부에 원단재(40)를 적층하여 결과적으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제1표면지(11), 제1접착제층(21), 원단재(40) 순으로 최종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상기 접착식 교구에서 상기 표면지 절단선(88)을 따라 절개된 부위는 상기 원단재(40)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적어도 상기 제1표면지(11)에 관통 형성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제층(21)에 적층되는 원단재가 곡면을 포함하거나, 입체 형상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개와 적층을 모두 마친 후, 적층된 원단들을 제본하는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칼날(80)은 부식칼날인 접착식 교구 제조 방법.
KR1020180026302A 2018-03-06 2018-03-06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 Active KR101948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302A KR101948471B1 (ko) 2018-03-06 2018-03-06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302A KR101948471B1 (ko) 2018-03-06 2018-03-06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257A Division KR101858148B1 (ko) 2016-09-22 2016-09-22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536A KR20180032536A (ko) 2018-03-30
KR101948471B1 true KR101948471B1 (ko) 2019-05-02

Family

ID=61900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302A Active KR101948471B1 (ko) 2018-03-06 2018-03-06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4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207B1 (ko) * 2014-10-15 2015-05-28 이수진 접착식 교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207B1 (ko) * 2014-10-15 2015-05-28 이수진 접착식 교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536A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554B2 (en) Mask
JPH0966688A (ja) 一体型分離可能カードを有する書式及びそのような書式を製造するための多層材料
KR101948471B1 (ko)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
KR101858148B1 (ko)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접착식 교구
WO2015072171A1 (ja) シール付き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06944A (ko) 투명 시트필름을 이용한 접착식 교구
JP4549811B2 (ja) パズル付き合紙絵本とその製造方法
WO2019078373A1 (ko) 접착식 교구의 제조방법
JP3122516U (ja) ペーパークラフト
JP3102314U (ja) 切り貼り絵用小片およびそれを用いた切り貼り絵
JP4253731B2 (ja) ラミネートカード作製用紙
JP2017144643A (ja) 冊子状構造体
JP7527643B2 (ja) 工作シート
JP2012096495A (ja) 貼り絵用画材セット
JP2012144030A (ja) 情報通信体の開封手段
KR200226982Y1 (ko) 그림인쇄물합지구조
JP2005246728A (ja) 立体感を呈する表示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30661A (ja) パズル付き合紙絵本とその製造方法
JP2016194695A (ja) 模様を有する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436293U (zh) 融合式基材粘着胶带
JP2004155008A (ja) 貼絵
JPH0225790B2 (ko)
JP5761665B2 (ja) 情報通信体の開封手段
JP6389676B2 (ja) カード台紙
JP2005140929A (ja) 立体物の作製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30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92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12125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80306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