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304B1 -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8304B1 KR101948304B1 KR1020170043569A KR20170043569A KR101948304B1 KR 101948304 B1 KR101948304 B1 KR 101948304B1 KR 1020170043569 A KR1020170043569 A KR 1020170043569A KR 20170043569 A KR20170043569 A KR 20170043569A KR 101948304 B1 KR101948304 B1 KR 1019483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 combustion
- pipe
- main
- vaporiz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1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 F23D11/16—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in which an emulsion of water and fuel is spray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40—Mixing tubes or chambers; Burner hea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44—Preheating devices; Vaporis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44—Preheating devices; Vaporising devices
- F23D11/441—Vaporising devices incorporated with burners
- F23D11/446—Vaporising devices incorporated with burners heated by an auxiliary flam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5—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o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가 공기와 융합하여 기화할 수 있는 "기화장치", 기화장치에 초기 예열 온도를 가할 수 있는 "예열장치", 기화장치에서 연료가 분사될 때 부피변화를 이룰 수 있는 "부피 변화장치", 그리고 기화장치의 기화 잠열 보존을 위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공기량과 공기압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가지면서 융합 연소에 의하여 가열된 압축열 생산부를 냉각시키면서 연소용 보조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통로" 등을 조합한 새로운 형태의 "열량의 압축과 물질의 융합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순간 부피 변화 융합 연소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의 기화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의 부피변화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의 예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의 기화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의 부피변화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의 예열장치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합 연소 시스템의 저녹스 버너 인정검사 결과서
11 : 점화 플러그
12 : 점화기
13 : 예열장치
14 : 연료주입구
15 : 연료공급로
16 : 기화장치 본체
17 : 연료배출구
18 : 메인 기화관
19 : 연료토출구
20 : 서브 기화관
21 : 기화장치
22 : 연소용 공기공급구
23 : 화염분출구
24 : 부피변화장치 본체
25 : 연소실 겸용 부피팽창실
26 : 메인 부피변화관
27 : 연소열 토출구
28 : 연소열 배출구
29 : 서브 부피변화관
30 : 부피변화장치
31 : 지지 플레이트
32 : 예열용 연료주입구
32a : 가스주입관
32b : 공기주입관
33 : 연료가압기
33a : 스크류축
33b : 풀리
34 : 연료진행가이드
35 : 혼합기 와류돌기
36 : 와류형성관
37 : 연소열 통과간극
38 : 보조 공기주입구
39 : 불꽃감지기 장착관
40 : 예열용 연료토출구
41 : 에어주입구
42 : 커버블록
43 : 스페이서
100 : 예열관
110 : 점화 플러그
120 : 점화기
130 : 예열장치
140 : 연료주입구
150 : 연료공급로
160 : 기화장치 본체
170 : 연료배출구
180 : 메인 기화관
190 : 연료토출구
200 : 서브 기화관
210 : 기화장치
220 : 연소용 공기공급구
230 : 화염분출구
240 : 부피변화장치 본체
250 : 연소실 겸용 부피팽창실
260 : 메인 부피변화관
270 : 연소열 토출구
280 : 연소열 배출구
290 : 서브 부피변화관
300 : 부피변화장치
310 : 지지 플레이트
320 : 2차 서브 기화관
320a : 2차 연료토출구
330 : 연료가압기
330a : 스크류축
330b : 풀리
340 : 연료진행가이드
350 : 혼합기 와류블록
360 : 2차 메인 부피변화관
370 : 연소열 통과간극
380 : 보조 공기주입구
390 : 2차 연소실 겸용 부피팽창실
400 : 2차 메인 기화관
400a : 2차 연료주입구
400b : 2차 연료배출구
410 : 에어주입구
420 : 2차 연료공급로
430 : 2차 기화장치 본체
440 : 예열관 블록
450 : 스페이서
460 : 보조 부피변화관
470 : 경사판
Claims (17)
- 가스와 공기 공급을 위한 예열관(10)과 상기 예열관(10)의 토출구에 위치되는 점화 플러그(11)를 가지는 점화기(12)로 구성되는 예열장치(13);
상기 예열장치(13)의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연료주입구(14)를 가지면서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연료공급로(15)가 구비되는 기화장치 본체(16)와, 상기 연료공급로(15)와 연통되면서 기화장치 본체(16)의 선단부에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선단부 측면쪽으로 연료배출구(17)를 가지는 메인 기화관(18)과, 상기 기화장치 본체(16)의 선단부에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지지되고 상기 메인 기화관(18)의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연료배출구(17)를 통해 메인 기화관측과 서로 연통되며 후단 측면쪽에 연료토출구(19)를 가지는 서브 기화관(20)으로 구성되는 기화장치(21);
상기 예열장치(13)와 기화장치(21)의 선단 부분을 수용함과 더불어 후단부 측면쪽의 연소용 공기공급구(22)와 선단부 전면으로의 화염분출구(23)가 구비되는 부피변화장치 본체(24)와, 상기 부피변화장치 본체(24)의 내부에 동축구조로 설치되면서 기화장치(21)의 메인 기화관(18)과 서브 기화관(20)이 속해 있는 연소실 겸용 부피팽창실(25)을 조성하는 메인 부피변화관(26)과, 상기 부피변화장치 본체(24)와 메인 부피변화관(26)의 사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메인 부피변화관(26)의 연소열 토출구(27)로부터 역류하는 연소열의 진행을 유도한 후에 후단 측면쪽의 연소열 배출구(28)를 통해 배출시키는 서브 부피변화관(29)으로 구성되는 부피변화장치(30);
를 포함하고,
상기 부피변화장치(30)의 메인 부피변화관(26)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연소열 토출구(27)의 앞쪽에는 후단부가 원추형의 혼합기 와류돌기(35)로 이루어진 와류형성관(36)이 동축구조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와류형성관(36)의 혼합기 와류돌기(35)는 연소열 토출구(27)를 통해 연소실 겸용 부피팽창실(25)의 내부로 진입하여 위치되며, 상기 연소열 토출구(27)와 혼합기 와류돌기(35) 사이에는 연소열 통과간극(37)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열장치(13)와 기화장치(21)는 하나의 지지 플레이트(31) 상에 위아래로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31)는 부피변화장치(30)의 부피변화장치 본체(24)의 후단부에 스크류 체결구조로 설치되어, 예열장치(13) 및 기화장치(21)를 부피변화장치(30)측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열장치(13)는 예열관(10)의 축선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예열관(10)과 일체식으로 결합되는 불꽃감지기 장착관(3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열장치(13)의 예열관(10)에는 후단 측면쪽으로 가스 및 공기 공급을 위한 예열용 연료주입구(32)가 형성되고, 상기 예열용 연료주입구(32)는 둘레면에 홀을 가지는 가스주입관(32a)과 상기 가스주입관(32a)의 홀 둘레면을 감싸면서 가스주입관(32a)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공기주입관(32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화장치(21)는 기화장치 본체(16)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연료공급로(15)를 따라 배치되는 스크류축(33a)과 상기 스크류축(33a)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풀리(33b)로 구성되어, 연료공급로(15)를 따라 공급되는 연료를 가압하는 연료가압기(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화장치(21)의 서브 기화관(20)에는 전면 개방부위를 가지면서 연료토출구(19)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연료토출구(19)에서 토출되는 연료가 전방을 향해 진행되도록 하는 연료진행가이드(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피변화장치(30)의 부피변화장치 본체(24)에는 보조 공기주입구(38)가 형성되어 부피변화장치 본체(24)와 서브 부피변화관(29) 사이의 통로를 통해 냉각공기가 흐르면서 시스템 설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가스와 공기 공급을 위한 예열관(100)과 상기 예열관(100)의 토출구에 위치되는 점화 플러그(110)를 가지는 점화기(120)로 구성되는 예열장치(130);
상기 예열장치(130)의 중심축선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내부에는 연료주입구(140)를 가지면서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연료공급로(150)가 구비되는 기화장치 본체(160)와, 상기 연료공급로(150)와 연통되면서 기화장치 본체(160)의 선단부에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선단부 측면쪽으로 연료배출구(170)를 가지는 메인 기화관(180)과, 상기 메인 기화관(180)의 선단부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연료배출구(170)를 통해 메인 기화관측과 서로 연통되며 후단 측면쪽에 연료토출구(190)를 가지는 서브 기화관(200)으로 구성되는 기화장치(210);
상기 예열장치(130)와 기화장치(210)의 선단 부분을 수용함과 더불어 후단부 측면쪽의 연소용 공기공급구(220)와 선단부 전면으로의 화염분출구(230)가 구비되는 부피변화장치 본체(240)와, 상기 부피변화장치 본체(240)의 내부에 동축구조로 설치되면서 기화장치(210)의 메인 기화관(180)과 서브 기화관(200)이 속해 있는 연소실 겸용 부피팽창실(250)을 조성하는 메인 부피변화관(260)과, 상기 부피변화장치 본체(240)와 메인 부피변화관(260)의 사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메인 부피변화관(260)의 연소열 토출구(270)로부터 역류하는 연소열의 진행을 유도한 후에 후단 측면쪽의 연소열 배출구(280)를 통해 배출시키는 서브 부피변화관(290)으로 구성되는 부피변화장치(300);
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장치(210)는 기화장치 본체(160)와 메인 기화관(180) 및 서브 기화관(200) 사이에 위치됨과 더불어 메인 기화관(180)의 둘레에 동축 구조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2차 연료주입구(400a)를 가지면서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2차 연료공급로(420)가 구비되는 2차 기화장치 본체(430)와, 상기 2차 연료공급로(420)와 연통되면서 2차 기화장치 본체(430)의 선단부에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선단부 측면쪽으로 2차 연료배출구(400b)를 가지는 2차 메인 기화관(400)과, 상기 2차 메인 기화관(400)의 선단부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2차 연료배출구(400b)를 통해 2차 메인 기화관측과 서로 연통되며 후단 측면쪽에 2차 연료토출구(320a)를 가지는 2차 서브 기화관(3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예열장치(130)와 기화장치(210)는 하나의 지지 플레이트(310) 상에 위아래로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는 부피변화장치(300)의 부피변화장치 본체(240)의 후단부에 스크류 체결구조로 설치되어, 예열장치(130) 및 기화장치(210)를 부피변화장치(300)측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화장치(210)는 기화장치 본체(16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연료공급로(150)를 따라 배치되는 스크류축(330a)과 상기 스크류축(330a)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풀리(330b)로 구성되어, 연료공급로(150)를 따라 공급되는 연료를 가압하는 연료가압기(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화장치(210)의 서브 기화관(200)에는 전면 토출구멍을 가지면서 연료토출구(190)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연료토출구(190)에서 토출되는 연료가 전방을 향해 진행되도록 하는 연료진행가이드(3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화장치(210)의 메인 기화관(180) 및 서브 기화관(200)과 2차 메인 기화관(310) 및 2차 서브 기화관(320) 사이의 경계부위에는 부피변화장치(300)의 메인 부피변화관(26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연소열 토출구(270)의 앞쪽에 위치되는 원추형의 혼합기 와류블록(350)이 형성되고, 상기 혼합기 와류블록(350)은 연소열 토출구(270)를 통해 연소실 겸용 부피팽창실(250)의 내부로 진입하여 위치되며, 상기 연소열 토출구(270)와 혼합기 와류블록(350) 사이에는 연소열 통과간극(370)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피변화장치(300)의 내측에는 메인 부피변화관(260)의 앞쪽으로 동축 구조를 이루면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내부에 2차 연소실 겸용 부피팽창실(390)을 조성하는 2차 메인 부피변화관(3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피변화장치(300)의 부피변화장치 본체(240)에는 보조 공기주입구(380)가 형성되어 부피변화장치 본체(240)와 서브 부피변화관(290) 사이의 통로를 통해 냉각공기가 흐르면서 시스템 설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3569A KR101948304B1 (ko) | 2017-04-04 | 2017-04-04 |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PCT/KR2018/002569 WO2018186593A1 (ko) | 2017-04-04 | 2018-03-05 |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3569A KR101948304B1 (ko) | 2017-04-04 | 2017-04-04 |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2461A KR20180112461A (ko) | 2018-10-12 |
KR101948304B1 true KR101948304B1 (ko) | 2019-02-14 |
KR101948304B9 KR101948304B9 (ko) | 2024-09-05 |
Family
ID=6371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3569A Active KR101948304B1 (ko) | 2017-04-04 | 2017-04-04 |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8304B1 (ko) |
WO (1) | WO2018186593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9049Y1 (ko) * | 1997-05-02 | 1999-10-15 | 김윤회 | 과열방지기가 장착된 버너 |
KR100848199B1 (ko) * | 2008-02-11 | 2008-07-24 | 이재권 | 플라스틱 연료 연소장치 |
JP4383364B2 (ja) | 2004-06-15 | 2009-12-16 | ボルカノ株式会社 | 混焼用バーナ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5664B1 (ko) * | 2004-07-28 | 2008-04-29 | 오창선 | 폐유의 완전 연소 버너 및 방법 |
KR20110030236A (ko) * | 2009-09-17 | 2011-03-23 | 강헌국 | 수성가스화 노즐 및 내압 연소 버너 |
KR101258634B1 (ko) * | 2010-08-23 | 2013-04-26 | 박형호 | 완전 연소를 위한 유수혼합 연소장치 |
-
2017
- 2017-04-04 KR KR1020170043569A patent/KR101948304B1/ko active Active
-
2018
- 2018-03-05 WO PCT/KR2018/002569 patent/WO201818659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9049Y1 (ko) * | 1997-05-02 | 1999-10-15 | 김윤회 | 과열방지기가 장착된 버너 |
JP4383364B2 (ja) | 2004-06-15 | 2009-12-16 | ボルカノ株式会社 | 混焼用バーナ |
KR100848199B1 (ko) * | 2008-02-11 | 2008-07-24 | 이재권 | 플라스틱 연료 연소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8304B9 (ko) | 2024-09-05 |
WO2018186593A1 (ko) | 2018-10-11 |
KR20180112461A (ko) | 2018-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13662B1 (ja) | コ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 |
EP2959225B1 (en) | Two-staged vacuum burner | |
CN1769655A (zh) | 燃气轮机发电设备 | |
JP4939179B2 (ja) | ガスタービン燃焼器並びにその運転方法 | |
US20070276205A1 (en) | Image management system for use in dermatological examinations | |
KR101753347B1 (ko) | 액체연료의 저녹스화 연소시스템 | |
KR101741256B1 (ko) | 기체 연료의 완전 연소 장치 및 방법 | |
JP4717827B2 (ja) | 水素を用いて液体燃料を燃焼させる装置 | |
JP2018031067A (ja) | 「加圧された水蒸気とhhoガスを含む混合気体」の発生装置とその利用方法 | |
KR101948304B1 (ko) | 물과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융합 연소 시스템 | |
EP1247046B1 (fr) | Methode et dispositif d'auto-combustion de dechets organiques graisseux comportant un foyer a chauffe tangentielle | |
KR20120006155A (ko) | 증기혼합 버너용 증기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버너 그리고 이 증기발생기를 이용한 연소장치 | |
KR101557991B1 (ko) | 브라운가스를 이용한 연료의 연소촉진 연소장치 및 방법 | |
KR101031567B1 (ko) | 액체 유기성 폐기물의 완전 연소 장치 및 방법 | |
KR20100137202A (ko) | 액체연료 무화노즐 및 이를 사용한 스팀 버너 | |
RU36135U1 (ru) | Горелка многотопливная | |
CN104583677A (zh) | 用于操作液体燃料催化燃烧的催化加热器和反应器中的燃料喷射系统 | |
KR101650086B1 (ko) | 바이오오일과 석유계 유류의 혼합연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에너지 생산방법 | |
KR100529700B1 (ko) | 중질유용 버너 | |
JPH10185115A (ja) | 産業廃棄物焼却炉の粉体燃焼用バ−ナ | |
CN102032591A (zh) | 一种煤粉点火系统及其控制方法 | |
JP2005077013A (ja) | 拡散型螺旋加熱空気混合方法のpcb等超高温焼却熱分解炉 | |
KR100825664B1 (ko) | 폐유의 완전 연소 버너 및 방법 | |
KR200266788Y1 (ko) | 복합연료의 연소 버어너의 구조 | |
JP3913837B2 (ja) | Llc燃焼処理方法とそ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ublication date: 202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