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937B1 - Protective element - Google Patents
Protective e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7937B1 KR101947937B1 KR1020177019830A KR20177019830A KR101947937B1 KR 101947937 B1 KR101947937 B1 KR 101947937B1 KR 1020177019830 A KR1020177019830 A KR 1020177019830A KR 20177019830 A KR20177019830 A KR 20177019830A KR 101947937 B1 KR101947937 B1 KR 101947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conductor
- reinforcing plate
- present
- he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1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01H85/045—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cartridge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보호 소자를 소형화한다. 보호 소자는 도전체(54)와, 케이스(12)를 구비한다. 도전체(54)는 줄 열 적분값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면 용단한다. 케이스(12)는 도전체(54)를 수용한다. 케이스(12)는 외각부(30)와 보강부(32)를 갖는다. 외각부(30)에는 도전체가 수용된다. 보강부(32)는 외각부(30)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외각부(30)의 변형을 억제한다. 케이스(12)가 외각부(30)와 보강부(32)를 갖고 있으면, 케이스(12)의 용적을 그곳에 수용되는 것의 체적에 비해 크게 하지 않아도, 케이스(12)가 파손될 우려는 낮아진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12)의 용적을 그곳에 수용되는 것의 체적에 비해 크게 한 보호 소자에 대해, 소형화가 가능해진다.Thereby miniaturizing the protection device. The protection element includes a conductor (54) and a case (12). The conductor 54 melts when the string heat integration value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case 12 receives the conductor 54. The case 12 has an outer shell 30 and a reinforcement 32. The outer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conductor. The reinforcing portion 32 suppresses deformation of the outer portion 30 when the outer portion 30 is subjected to a force. The possibility that the case 12 is broken is reduced even if the case 12 has the outer portion 30 and the reinforcing portion 32 so that the volume of the case 12 is not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case 12 accommodated therei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protection element in which the volume of the case 12 is made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case 12 accommodated therein.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류 퓨즈와 같은 보호 소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current fuse.
특허문헌 1은 전류 퓨즈를 개시한다. 이 전류 퓨즈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케이스의 중앙부에 전류 퓨즈 엘리먼트가 배치된다. 양측의 리드로 전류 퓨즈 엘리먼트가 지지된다. 전류 퓨즈 엘리먼트의 주위는 플럭스로 덮인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urrent fuse. In this current fuse, a current fuse element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a cylindrical case. The current fuse element is supported by the leads on both sides. The periphery of the current fuse element is covered with flux.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류 퓨즈에 의하면, 전류 퓨즈 엘리먼트의 표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urrent fus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oxidation of the surface of the current fuse element can be prevented.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류 퓨즈에는 그 기능을 떨어뜨리지 않고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 소자를 소형화하는 것에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current fus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without deteriorating its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ownsize a protection device.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보호 소자를 설명한다. 또한, 이 난에서 도면 중의 부호를 사용한 것은 발명의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함으로, 내용을 도시한 범위에 한정하는 의도는 아니다.The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urther,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the use of the symbols in the drawing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임의의 국면에 따르면, 보호 소자는 도전체(54)와, 케이스(12)를 구비한다. 도전체(54)는 줄 열 적분값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면 용단한다. 케이스(12)는 도전체(54)를 수용한다. 케이스(12)는 외각부(30)와 보강부(32)를 갖는다. 외각부(30)에는 도전체가 수용된다. 보강부(32)는 외각부(30)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외각부(30)의 변형을 억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an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element includes the conductor (54) and the case (12). The
도전체(54)의 용단에 의해서 아크가 발생하면, 충격도 생긴다. 케이스(12)의 용적을 크게 함으로써, 그 충격에 의해서 외각부(30)에 가해지는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2)가 외각부(30)와 보강부(32)를 갖고 있으면, 케이스(12)의 용적을 크게 하지 않아도, 도전체(54)의 용단시, 케이스(12)가 파손될 우려는 낮아진다. 그 충격에 의해서 외각부(30)에 가해지는 응력을 보강부(32)가 지지하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12)의 용적을 그곳에 수용되는 것의 체적보다 크게 한 보호 소자에 비해,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보호 소자를 소형화할 수 있다.When an arc is generated by melting of the
또, 상술한 보강부(32)가 보강판(40)과 돌출부(42)의 쌍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판(40)은 어느 하나의 면이 도전체(54)와 대향하도록 외각부(30)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돌출부(42)는 보강판(40)을 사이에 두도록 외각부(3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도전체(54)가 용단할 때에 아크가 생기면, 그 아크의 발생에 수반하는 충격을 보강판(40) 중 도전체(54)에 대향하는 면이 받게 된다. 보강판(40)의 어느 하나의 면이 도전체(54)와 대향하도록 외각부(30)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또한 돌출부(42)의 쌍에 의해서 보강판(40)이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보강판(40) 중 모서리가 도전체(54)에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외각부(30) 중 보강판(40)에 의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범위가 넓어진다. 그 범위가 넓어지므로, 예를 들면 보강판(40) 중 모서리가 도전체(54)에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케이스(12)가 파손될 우려는 낮아진다. 케이스(12)가 파손될 우려가 낮아지므로, 보호 소자를 소형화할 수 있다.When an arc occurs when the
혹은 상술한 보강판(40)이 직방체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돌출부(42)가 보강판(40)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Or the
돌출부(42)는 직방체형상의 보강판(40)을 따른다. 돌출부(42)는 판형상이다. 이것에 의해, 돌출부(42)가 예를 들면 가느다란 기둥형상인 경우에 비해, 보강판(40)에 대해 힘이 가해졌을 때, 보강판(4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쉬워진다.The projecting
또, 상술한 보호 소자가 접촉재(1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재(14)는 도전체(54) 및 케이스(12)에 접촉한다. 접촉재(14)는 도전체(54)와 함께 케이스(12)에 수용된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protection element further includes the
접촉재(14)는 도전체(54)가 발생시킨 열을 케이스(12)에 전달할 수 있다. 도전체(54)가 발생시킨 열을 케이스(12)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통전에 의해 도전체(54)에서 발생한 열이 용이하게 도전체(54)의 밖으로 유출되기 쉬워진다. 열이 밖으로 유출되기 쉬우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도전체(54)가 용단된 후에 있어서 아크가 빨리 식는다. 아크가 빨리 식으므로, 케이스(12)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보호 소자를 소형화할 수 있다.The
혹은 상술한 보강부(32)가 보강판(40)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판(40)은 외각부(30)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보강판(40)은 외각부(30)보다 열전도율이 높다. 이 경우, 접촉재(14)가 케이스(12) 중 보강판(40)에 접촉하고 있다.Or the reinforcing
접촉재(14)가 보강판(40)에 접촉하고 있으면, 접촉재(14)가 외각부(30)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도전체(54)가 발생시킨 열을 신속하게 보강판(40)에 전달할 수 있다. 보강판(40)의 열전도율이 외각부(30)의 열전도율보다 높기 때문이다. 열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통전에 의해 도전체(54)에서 발생한 열이 용이하게 도전체(54)의 밖으로 유출되기 쉬워진다. 열이 밖으로 유출되기 쉬우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도전체(54)가 용단한 후에 있어서 아크가 빨리 식는다. 아크가 빨리 식으므로, 케이스(12)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보호 소자를 소형화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 소자를 소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device can be downsized.
도 1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형태에 관한 도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protection element according to an arbit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arbit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onductive part according to an arbit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according to an arbit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그들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eir names and functions are the same.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repeated.
[구성의 설명][Description of Configuration]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접촉재(14)의 일부와 피복 수지(16)의 일부와 이면 납재(66)의 일부는 제거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는 중앙 부분에서 리드선(64)를 따라 절단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의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의 구성이 설명된다.1 is a plan view of a protec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Fig. 1, a part of the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는 도전부(10)와, 케이스(12)와, 접촉재(14)와, 피복 수지(16)를 구비한다. 도전부(10)는 전류가 흐르는 부분이다. 케이스(12)는 도전부(10)를 수용한다. 접촉재(14)는 도전부(10)와 함께 케이스(12)에 수용된다. 피복 수지(16)는 케이스(12)에 수용된 도전부(10)를 피복한다.The protec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전부(10)의 평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표면 납재(56)의 일부는 절결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전부(10)의 구성이 설명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전부(10)는 기판(50)과,한쌍의 표면 전극(52)과, 도전체(54)와, 한쌍의 표면 납재(56)와, 합금 베이스부(58)와, 저융점 합금(60)과, 한쌍의 이면 전극(62)과, 한쌍의 리드선(64)과, 한쌍의 이면 납재(66)를 갖는다. 표면 전극(52)은 기판(50)의 어느 하나의 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전극(52)이 배치되어 있는 면을 기판(50)의 표면으로 간주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표면 전극(52)으로서 동박이 기판(50)의 표면에 고정된다. 도전체(54)는 기판(50)의 표면에 배치된다. 케이스(12) 중에 있어서, 도전체(54)는 케이스(12)의 내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전체(54)는 전류가 흐르면 그 전류의 에너지의 일부를 열로 한다. 도전체(54)는 줄 열 적분값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면 스스로 용단한다. 「줄 열 적분값」은 퓨즈의 엘리먼트(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전체(54)가 「퓨즈의 엘리먼트」에 상당)가 용단하는데 필요하게 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줄 열 적분값의 산출식은 주지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전체(54)는 선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전체(54)의 일단은 표면 전극(52)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다. 도전체(54)의 타단은 표면 전극(52)의 다른쪽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전체(54)는 주석 도금된 순수 동제이다. 표면 납재(56)는 표면 전극(52)과 도전체(54)를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표면 전극(52)과 도전체(54)의 사이가 도통한다. 합금 베이스부(58)는 기판(50)의 표면에 고정된다. 저융점 합금(60)은 도전체(54)와 마찬가지로, 기판(50)의 표면에 배치된다. 저융점 합금(60)은 합금 베이스부(58)를 통해 기판(50)에 고정된다. 저융점 합금(60)도 케이스(12)의 내주면에 대향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저융점 합금(60)은 도전체(54)의 중앙 부분을 타고 넘도록 하여 도전체(54)를 덮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저융점 합금」은 상술한 도전체(54)가 용단하는 온도 이하의 융점이고, 또한, 융해된 상태이면 상술한 도전체(54)가 용해되는 합금을 말한다. 이러한 저융점 합금은 주지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면 전극(62)은 기판(50)의 면 중, 상술한 표면에서 보아 이면에 해당하는 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면을 기판(50)의 이면으로 간주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면 전극(62)은 표면 전극(52)과 마찬가지로 동박이다. 한쌍의 이면 전극(62) 중 한쪽은 한쌍의 표면 전극(52) 중 한쪽의 이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쌍의 이면 전극(62) 중 다른 쪽은 한쌍의 표면 전극(52) 중 다른 쪽의 이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쌍의 리드선(64)의 한쪽이 한쌍의 이면 전극(62)의 한쪽에 접속된다. 한쌍의 리드선(64)의 다른쪽이 한쌍의 이면 전극(62)의 다른쪽에 접속된다. 리드선(64)은 케이스(12)의 측벽을 관통한다. 이면 납재(66)는 이면 전극(62)과 리드선(64)를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이면 전극(62)과 리드선(64)의 사이가 도통한다.3 is a plan view of the
기판(50)은 스루홀(70)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기판(50)은 4개의 스루홀(70)을 갖는다. 표면 전극(52)의 한쪽과 이면 전극(62)의 한쪽은 2개의 스루홀(70)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표면 전극(52)의 한쪽과 이면 전극(62)의 한쪽이 도통한다. 표면 전극(52)의 다른쪽과 이면 전극(62)의 다른쪽은 다른 2개의 스루홀(70)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그들 스루홀(70)에는 이면 납재(66)의 일부가 충전되어 있다. 표면 납재(56)는 이들 스루홀(70)의 단부에서, 이면 납재(66)와 연결되어 있다. 그 단부에서, 표면 납재(56)와 이면 납재(66)는 일체로 되어 있다. 그 결과, 리드선(64)의 한쪽에 흐른 전류는 이면 전극(62)의 한쪽과 표면 전극(52)의 한쪽을 거쳐 도전체(54)에 흐른다. 도전체(54)에 흐른 전류는 이면 전극(62)의 다른쪽과 표면 전극(52)의 다른쪽을 거쳐 리드선(64)의 다른쪽으로 흐른다.The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스(12)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와 도 4에 의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스(12)의 구성이 설명된다. 케이스(12)는 외각부(30)와 보강부(32)를 갖는다. 외각부(30)에는 도전부(10)가 수용된다. 보강부(32)는 외각부(30)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외각부(30)의 변형을 억제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본 실시형태의 경우, 외각부(30)는 합성 수지제이다. 외각부(30)의 내주면은 저면부(36)와 측면부(38)를 갖는다. 저면부(36)는 외각부(30)의 바닥으로 되는 부분이다. 측면부(38)는 저면부(36)를 둘러싼다. 도전부(10)는 외각부(30) 중 저면부(36)와 측면부(38)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공간에 배치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보강부(32)는 1개의 방열체겸 보강판(40)과 4개의 돌출부(42)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방열체겸 보강판(40)은 알루미나제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방열체겸 보강판(40)은 알루미나를 소결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방열체겸 보강판(40)은 합성 수지제의 외각부(30)보다 열전도율이 높다. 방열체겸 보강판(40)은 접촉재(14)의 열을 흡수한다. 방열체겸 보강판(40)은 흡수한 열을 케이스(12)의 밖으로 방출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방열체겸 보강판(40)은 직방체형상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방열체겸 보강판(40)은 외각부(30)의 내주면 중 저면부(36)에, 주지의 실리콘 수지에 의해서 접착된다. 이것에 의해, 방열체겸 보강판(40) 중 가장 면적이 큰 면이 도전체(54)와 대향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돌출부(42)는 외각부(30)와 일체로 되어 있다. 4개의 돌출부(42)는 외각부(30)의 저면부(36)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부(42)는 직방체형상의 보강판(40)을 따른다. 돌출부(42)는 판형상이다. 4개의 돌출부(42) 중 한쌍이 방열체겸 보강판(40)의 일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다. 4개의 돌출부(42) 중 다른 한쌍이 방열체겸 보강판(40)의 타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다.The reinforcing
도 1과 도 2에 의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촉재(14)가 설명된다. 접촉재(14)의 일부는 케이스(12)의 방열체겸 보강판(40)과 도전체(54)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재(14)는 도전체(54) 및 케이스(12)에 접촉하게 된다. 접촉재(14)의 다른 일부는 돌출부(42)의 사이를 통해 도전체(54)의 양단 방향에 미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접촉재(14)는 실리콘 고무(80)와 입자형상의 알루미나(82)를 포함한다. 또한, 누전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전기 저항을 접촉재(14)가 갖는 것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도 1과 도 2에 의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수지(16)가 설명된다. 피복 수지(16)는 케이스(12)내의 공간 중 도전부(10)에서 측면부(38)의 가장자리까지의 부분에 충전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피복 수지(16)는 케이스(12)에 수용된 도전부(10)를 피복하게 된다. 피복 수지(16)의 일부는 케이스(12)의 측면부(38)를 타고 도전부(10)와 저면부(36)의 사이의 공간에 진입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피복 수지(16)는 에폭시 수지와 입자형상의 알루미나의 혼합물이다.1 and 2, the
[제조 방법의 설명][Description of Manufacturing Method]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의 제조 방법은 도전부 형성 공정과, 접촉재 도포 공정과, 케이스 수용 공정과, 피복 공정을 구비한다. 도전부 형성 공정에 있어서 도전부(10)가 형성된다. 도전부(10)를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공정은 기판상에 형성되는 주지의 보호 소자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접촉재 도포 공정에 있어서, 도전부(10)의 도전체(54)에 실리콘 고무와 입자형상의 알루미나의 혼합물이 도포된다. 케이스 수용 공정에 있어서, 우선, 케이스(12)의 외각부(30)에 방열체겸 보강판(40)이 고정된다. 외각부(30)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미리 제조되어 있다. 방열체겸 보강판(40)이 고정된 외각부(30)가 케이스(12)이다. 케이스(12)는 도전부(10)에 씌워진다. 이것에 의해, 외각부(30)의 구획 중 정가운데의 구획에 있어서, 접촉재 도포 공정에 있어서 도포된 혼합물이 도전체(54)와 방열체겸 보강판(40)에 접촉한다. 그 구획의 인접하는 구획에 있어서는 돌출부(42)에 의해서 그 혼합물의 진입이 억제되므로, 공간이 형성된다. 그 후, 접촉재 도포 공정에 있어서 도포된 혼합물은 경화된다. 경화된 그 혼합물이 접촉재(14)로 된다. 피복 공정에 있어서, 입자형상의 알루미나와 아직 경화되어 있지 않은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이 케이스(12)내에 충전된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12)내의 도전부(10)는 피복된다. 그 후, 그 충전된 에폭시 수지는 경화된다. 에폭시 수지가 경화된 후의 혼합물이 피복 수지(16)로 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tec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ductive portion forming step, a contact re-coating step, a case accommodating step, and a covering step. The
[사용 방법의 설명][Explanation of how to use]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의 사용 방법은 주지의 전류 퓨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에 접속된다. 미리 정해져 있던 범위의 큰 전류가 도전체(54)에 흐르면, 도전체(54)의 온도는 소정의 온도를 넘는다. 도전체(54)는 줄 열 적분값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되면 용단한다. 용단 후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보호 소자 내부에서 소호(消弧)된다. 이것에 의해, 보호 소자가 접속되어 있던 회로에 있어서 전류가 차단된다.The method of using the protec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a well-known current fuse. That is, the protec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circuit not shown. When a large current in a predetermined range flows through the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Embodiments]
(실시예)(Example)
상술한 보호 소자를 5개 작성하였다. 각 보호 소자에는 「1」 내지 「5」라는 시험편 번호가 설정되었다.Five protection elements described above were prepared. Test piece numbers "1" to "5" were set for each protective element.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방열체겸 보강판(40)을 갖고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와 동일 구조의 보호 소자를 5개 작성하였다. 각 보호 소자에는 「1」 내지 「5」라는 시험편 번호가 설정되었다.Five protection elemen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embodiment were prepared, except that the heat radiating member and the reinforcing
(차단 시험)(Blocking test)
실시예와 비교예에 관한 보호 소자의 저항을 측정하였다. 그 후, 이들 보호 소자에 전압값 400볼트이고 전류값 5.7암페어인 직류 전류를 흘리고, 차단 시험을 실행하였다. 그 후, 보호 소자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그 후, 절연 저항 시험과 내전압 시험을 실행하였다. 표 1에는 측정 결과의 일람이 나타난다.The resistances of the protective element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Thereafter, a blocking test was carried out by passing a direct current having a voltage value of 400 volts and a current value of 5.7 amperes to these protective elements. Thereafter, the appearance of the protective device was observed. Thereafter, an insulation resistance test and a withstand voltage test were carried out. Table 1 lists the measurement results.
[표 1][Table 1]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관한 보호 소자의 경우, 어느 보호 소자에 있어서도 직류 전류를 흘리기 전도 그 후도 외관에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누설 전류도 0.01mA미만이었다. 비교예에 관한 보호 소자의 경우, 직류 전류를 흘리면 케이스가 팽창한 것이 있었다. 즉,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케이스(12)가 보강부(32)를 갖고 있는 보호 소자는 그렇지 않은 보호 소자에 비해, 케이스(12)가 파손될 우려가 낮았다.As shown in Table 1, in the case of the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no change was observed in the appearance after the DC current was passed through any of the protective devices. The leakage current was less than 0.01 mA. In the case of the protec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there was a case in which the case expanded when a direct current was passed. That is, as is apparent from the results of Table 1, the protection element having the reinforcing
[효과의 설명][Description of effect]
다음에 기술되는 사항의 성공 여부가 보호 소자의 소형화의 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그것은 도전체(54)가 용단할 때에 있어서의 케이스(12)에 수용되어 있는 것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지 아닌지라는 사항이다. 그 케이스(12)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누출되면, 보호 소자의 주위에 존재하는 것에 악영향이 미칠 수 있다. 이 악영향을 회피하기 위해, 케이스(12)의 용적이 그곳에 수용되는 것의 체적보다 커지는 경향이 있다. 케이스(12)의 용적을 크게 함으로써, 도전체(54)가 용단할 때에 케이스(12)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그 충격은 예를 들면 도전체(54)가 용단할 때에 생기는 아크가 일어난다. 그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도전체(54)가 용단할 때에 케이스(12)가 파손될 우려가 낮아진다. 케이스(12)가 파손될 우려가 낮아짐으로써,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케이스(12)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누출될 우려가 낮아진다. 케이스(12)의 용적이 그곳에 수용되는 것의 체적보다 크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호 소자는 대형화된다. 케이스(12)가 외각부(30)와 보강부(32)를 갖고 있으면, 케이스(12)의 용적을 그곳에 수용되는 것의 체적보다 크게 하지 않아도, 케이스(12)가 파손될 우려는 낮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에서는 아크가 일어나는 충격에 의해서 외각부(30)에 가해지는 응력을 보강부(32)가 지지하기 위함이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12)의 용적을 그곳에 수용되는 것의 체적보다 크게 한 보호 소자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는 소형화가 가능하다.Success of the following matters affects the success of miniaturization of the protection device. It is a matter of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something contained in the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에서는 도전체(54)가 용단할 때에 아크가 생기면, 그 아크의 발생에 수반하는 충격을 방열체겸 보강판(40) 중 도전체(54)에 대향하는 면이 받게 된다. 방열체겸 보강판(40) 중 면적이 최대인 면이 도전체(54)와 대향하도록 방열체겸 보강판(40)은 외각부(3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방열체겸 보강판(40) 중 모서리가 도전체(54)에 가장 가까이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외각부(30) 중 방열체겸 보강판(40)에 의해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진다. 그 범위가 넓어지므로, 예를 들면 방열체겸 보강판(40) 중 모서리가 도전체(54)에 가장 가까이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케이스(12)가 파손될 우려는 낮아진다. 케이스(12)가 파손될 우려가 낮아지므로, 보호 소자를 소형화할 수 있다.In the protec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arc is generated when the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에서는 판형상의 돌출부(42)가 직방체형상의 방열체겸 보강판(40)을 따르므로, 돌출부(42)가 예를 들면 가느다란 기둥형상인 경우에 비해, 방열체겸 보강판(40)에 대해 힘이 가해졌을 때, 방열체겸 보강판(4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쉬워진다.In the protec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late-
또, 도전체(54)에 전류가 흐르면, 도전체(54)는 그 전류의 에너지의 일부를 열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 소자에서는 접촉재(14)를 통해 도전체(54)가 발생시킨 열을 케이스(12)에 전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체를 거치지 않고 도전체(54)가 발생시킨 열을 케이스(12)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통전에 의해 도전체(54)에서 발생한 열이 용이하게 도전체(54)의 밖으로 유출되기 쉬워진다. 열이 밖으로 유출되기 쉬우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도전체(54)가 용단한 후에 있어서 아크가 빨리 식는다. 아크가 빨리 식으므로, 케이스(12)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보호 소자를 소형화할 수 있다.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또, 도전체(54)가 발생시킨 열은 접촉재(14)의 입자형상의 알루미나(82)와 실리콘 고무(80)와 저융점 합금(60)에 전달된다. 입자형상의 알루미나(82)를 타고, 열은 접촉재(14) 전체에 확산된다. 이것에 의해, 도전체(54)의 주위에 장기간에 걸쳐 열이 쌓이는 것에 의한 도전체(54)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정의 줄 열 적분값보다 작은 줄 열 적분값에 의해서 도전체(54)가 용단할 가능성은 접촉재(14)가 입자형상의 알루미나(82)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낮아진다. 도전체(54)가 용단할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도전체(54)의 단면 중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직교하는 면의 단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필요가 없어지면, 그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없는 경우에 비해, 줄 열 적분값이 소정의 값 이상이 된 경우에, 도전체(54)는 용단되기 쉬워진다. 용단되기 쉬워지므로, 열이 접촉재(14)에 충분히 유출될 수 없을 정도로 단시간에 줄 열 적분값이 소정의 이상이 되어도 도전체(54)가 용단하지 않을 가능성은 낮아진다. 즉, 동작의 신속성이 향상된다.The heat generated by the
접촉재(14)가 실리콘 고무(80)를 포함하므로, 다른 내열성이 나쁜 합성 수지가 접촉재(14)에 포함되는 경우에 비해 열에 의한 접촉재(14)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접촉재(14)가 입자형상의 알루미나(82)를 포함하므로, 열에 의한 접촉재(14)의 열화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또, 보호 소자가 알루미나제의 방열체겸 보강판(40)을 구비하고 있으면, 접촉재(14) 전체에 전달된 열의 일부가 방열체겸 보강판(40)에 전달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방열체겸 보강판(40)이 없는 경우에 비해, 접촉재(14)의 온도 상승 속도가 낮아진다. 온도 상승 속도가 낮아지므로, 소정의 줄 열 적분값보다 작은 줄 열 적분값으로 도전체(54)가 용단할 가능성은 방열체겸 보강판(40)이 없는 경우에 비해 낮아진다. 또, 보호 소자가 알루미나제의 방열체겸 보강판(40)을 구비하고 있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방열체겸 보강판(40)의 인장 강도와 압축 강도와 구부림 강도가 강해진다. 이들이 강해지므로, 도전체(54)가 용단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서 케이스(12)가 파손될 가능성은 낮아진다.If the protective element is provided with the heat dissipating member / reinforcing
<변형예의 설명>≪ Description of Modifications &
상술한 보호 소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예시한 것이다. 상술한 보호 소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더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otection element is exemplified for embod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protection element can be modified variously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상술한 방열체겸 보강판(40)의 형상 및 소재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방열체겸 보강판(40)은 알루미나 이외의 금속 산화물을 소결한 것이어도 좋다. 방열체겸 보강판(40)은 소결 이외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좋다. 보호 소자는 방열체겸 보강판(40)과 돌출부(42)의 쌍을 대신하는 보강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For example,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heat dissipator-body / reinforcing
또, 상술한 접촉재(14)는 섬유형상의 알루미나를 포함해도 좋다. 알루미나 이외의 금속 산화물을 접촉재(14)는 포함해도 좋다. 알루미나 이외의 금속 산화물의 예에는 규사와 산화티탄이 있다. 이 경우에, 알루미나 이상의 열전도율의 금속 산화물이면, 접촉재(14) 전체에 신속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접촉재(14)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케이스(12)에 수용된 도전부(10)는 접촉재(14)에 의해서 피복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접촉재(14)는 케이스(12)의 저면부(36)에서 측면부(38)의 가장자리까지의 공간에 충전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또, 상술한 접촉재(14)가 포함하는 물질은 실리콘 고무(8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80) 이외의 실리콘 수지라도 좋다. 실리콘 수지 이외의 중합체라도 좋다. 접촉재(14)가 중합체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그들의 비율은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재(14)가 중합체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중합체의 체적%보다 금속 산화물의 체적%가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접촉재(14)의 조성에 관계없이, 금속 산화물은 50질량%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bstance contained in the above-mentioned
또, 상술한 도전부(10)의 구성 및 형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nfiguration and form of the
10; 도전부 12; 케이스
14; 접촉재 16; 피복 수지
30; 외각부 32; 보강부
36; 저면부 38; 측면부
40; 방열체겸 보강판 42; 돌출부
50; 기판 52; 표면 전극
54; 도전체 56; 표면 납재
58; 합금 베이스부 60; 저융점 합금
62; 이면 전극 64; 리드선
66; 이면 납재 70; 스루홀
80; 실리콘 고무 82; 입자형상의 알루미나10; A
14;
30; An
36;
40; A radiator-
50; A
54;
58;
62; Back
66; A
80;
Claims (5)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도전체가 수용되는 외각부와,
상기 외각부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외각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부를 갖고,
상기 보강부는,
어느 하나의 면이 상기 도전체와 대향하도록 상기 외각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외각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의 쌍을 갖고 있으며,
상기 보강판은 직방체형상이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강판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소자.A conductor for melting when the integrated value of the row heat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a case for accommodating the conductor,
In this case,
An outer portion in which the conductor is accommodated,
And a reinforcement portion for restraining deformation of the outer portio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outer portion,
The reinforcing portion
And a pair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so as to sandwich the reinforcing plate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projecting portion is a plate-like shape disposed along the reinforcing plate.
상기 보강판이 상기 외각부의 내주면 중 저면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einforcing plate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상기 보호 소자는 상기 도전체 및 상기 케이스에 접촉하고, 상기 도전체와 함께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접촉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ction element further comprises a contact member that contacts the conductor and the case and is received in the case together with the conductor.
상기 보강부는 상기 외각부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외각부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보강판을 갖고 있고,
상기 접촉재는 상기 케이스 중 상기 보강판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소자.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is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has a reinforcing plate having a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the contac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plate of th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021234A JP6510827B2 (en) | 2015-02-05 | 2015-02-05 | Protection element |
JPJP-P-2015-021234 | 2015-02-05 | ||
PCT/JP2015/081650 WO2016125360A1 (en) | 2015-02-05 | 2015-11-10 | Protective ele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7711A KR20170097711A (en) | 2017-08-28 |
KR101947937B1 true KR101947937B1 (en) | 2019-02-13 |
Family
ID=5656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19830A Active KR101947937B1 (en) | 2015-02-05 | 2015-11-10 | Protective element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510827B2 (en) |
KR (1) | KR101947937B1 (en) |
CN (1) | CN107210171B (en) |
WO (1) | WO201612536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87652A (en) * | 2018-11-22 | 2020-06-04 | 内橋エステック株式会社 | Protection element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153785C2 (en) * | 1981-05-13 | 2002-12-05 | Wickmann Werke Gmbh | Subminiature fuse |
JPS61245437A (en) * | 1985-04-23 | 1986-10-31 | 日本電気株式会社 | Fuse |
DE3871925D1 (en) * | 1987-12-16 | 1992-07-16 | Wickmann Werke Gmbh | LOW-SAFETY. |
JP2624439B2 (en) * | 1993-04-30 | 1997-06-25 | コーア株式会社 | Circuit protection element |
JP3076330U (en) * | 2000-09-14 | 2001-03-30 | 船井電機株式会社 | cabinet |
JP4207686B2 (en) * | 2003-07-01 | 2009-01-1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Fuse, battery pack and fus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
TWI323906B (en) * | 2007-02-14 | 2010-04-21 | Besdon Technology Corp | Chip-type fu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5679561B2 (en) * | 2011-02-23 | 2015-03-04 | 矢崎総業株式会社 | Plastic molded product |
CN203406256U (en) * | 2013-08-28 | 2014-01-22 | 南京萨特科技发展有限公司 | Micro protection element having high breaking capacity |
-
2015
- 2015-02-05 JP JP2015021234A patent/JP6510827B2/en active Active
- 2015-11-10 CN CN201580075350.7A patent/CN107210171B/en active Active
- 2015-11-10 WO PCT/JP2015/081650 patent/WO201612536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1-10 KR KR1020177019830A patent/KR101947937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210171B (en) | 2019-09-06 |
WO2016125360A1 (en) | 2016-08-11 |
KR20170097711A (en) | 2017-08-28 |
JP2016143645A (en) | 2016-08-08 |
JP6510827B2 (en) | 2019-05-08 |
CN107210171A (en) | 2017-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268501B (en) | Fuse device | |
US4890380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fuse with an envelope of non-porous rigid ceramic | |
US9508519B2 (en) | Fu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089478B1 (en) | Protection element | |
US6642833B2 (en) | High-voltage current-limiting fuse | |
US20030001716A1 (en) | Fusible link | |
KR20130026448A (en) | Fuse | |
JP6491431B2 (en) | Fuse element and fuse element | |
WO2002099827A1 (en) | Temperature fuse, and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1947937B1 (en) | Protective element | |
CN111128493B (en) | Fuse resist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 |
TW202333178A (en) | Electrical fuse | |
JP6203568B2 (en) | Protective element | |
JP6538364B2 (en) | Protection element | |
US10895609B2 (en) | Circuit protection device with PTC element and secondary fuse | |
CN111211023B (en) | Protection element | |
JP6574690B2 (en) | Protective element | |
KR101987019B1 (en) | Power type thermal fuse re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KR102574581B1 (en) | thermal barrier | |
JP2016143646A (en) | Protection element | |
CN111091939A (en) | Fuse-resis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use-resistor assembly | |
KR20210102973A (en) | thermal shut-off device | |
EP4002412A1 (en) | Modular high voltage fuse | |
CN109427510B (en) | Process method for manufacturing fuse holder, fuse holder and fuse | |
JP2002343224A (en) | Fuse el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7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