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7686B1 - 차량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686B1
KR101947686B1 KR1020140020239A KR20140020239A KR101947686B1 KR 101947686 B1 KR101947686 B1 KR 101947686B1 KR 1020140020239 A KR1020140020239 A KR 1020140020239A KR 20140020239 A KR20140020239 A KR 20140020239A KR 101947686 B1 KR101947686 B1 KR 10194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od latch
reinforcing wire
upper panel
carr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886A (ko
Inventor
박성욱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6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6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전면에 후드래치가 장착되는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아래 측에 배치된 하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 및 하부 패널의 양단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로 이루어진 전면 패널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후드래치와 상기 하부 패널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강와이어를 포함함으로써, 후드래치의 상측 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기존 센터 스테이에 의한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 보호 성능이 향상된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캐리어{Carri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전면에 후드래치가 장착되는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아래 측에 배치된 하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 및 하부 패널의 양단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로 이루어진 전면 패널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후드래치와 상기 하부 패널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강와이어를 포함함으로써, 후드래치의 상측 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기존 센터 스테이에 의한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 보호 성능이 향상된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개발은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자동차 개발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중 다수의 부품을 각각 조립하여 집합체를 형성시켜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쿨링모듈과 헤드램프 및 범퍼빔 스테이를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캐리어(1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10)의 전면패널(11)에 쿨링모듈(20)이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10)의 헤드램프 장착부(12)에는 헤드램프(30)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의 전면에는 범퍼빔 스테이(40)를 통해 범퍼빔(41)이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캐리어(6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캐리어(60)는 전면 중앙부에 후드래치(67)가 구비된 상부 패널(61)과 상기 상부 패널(61)의 아래 측에 배치된 하부 패널(62) 및 상기 상ㅇ하부 패널(61, 62)을 연결하는 좌ㅇ우측 사이드 패널(63, 64)로 이루어진 대략 사각틀 형상의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좌ㅇ우측에 연장 형성되어 헤드램프 장착부가 구비된 써포트 패널(6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드래치(Hood Latch)란 자동차의 전방캐리어에 부착되는 후드래치 조립체와, 상기 후드래치 조립체에 맞물려 고정되는 자동차 전방후드의 피고정부로, 자동차의 전방후드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말한다.
그런데, 종래의 캐리어(60)는 후드래치(67)가 캐리어(60)의 상부 패널(61)의 전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후드래치(67)에 차량의 후드(hood)(미도시) 끝단이 체결되므로 차량의 후방측으로 비틀림 하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상기 상부 패널(61)과 후드래치(67) 간의 결합부가 파손되거나 캐리어(60)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점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상부 패널(61)과 하부 패널(62)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센터 스테이(68)가 더 구비되어 후드래치(67)로 인한 비틀림 하중을 방지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상기와 같이 비틀림 하중으로 인해 상부 패널(6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센터 스테이(68)가 더 구비됨으로서 비용이 증가하고 캐리어(60)의 하중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프론트 엔드 모듈의 레이아웃 상 센터 스테이의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부 패널의 크기를 키워 보다 큰 하중에 견디도록 하거나 별도의 보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특허로, 국내공개특허 제2005-0115014호(공개일 2005.12.07, 명칭 :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에는 후드래치가 장착된 금속부재의 센터 서포트를 캐리어의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캐리어의 강성을 증대시킨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차량용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되는데, 차량의 신뢰성 테스트 항목 중 상기 후드 래치에 상측 방향으로 5340N까지의 하중을 가했을 때 후드래치에 손상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후드래치 리텐션 테스트를 위해 캐리어의 상부 패널 강성 보강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차량용 캐리어는 강성 보강을 위해 상부패널을 스틸로 제조하거나 고가의 강도 높은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경우, 재료비가 크게 상승될 뿐만 아니라,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 보행자에게 큰 상해를 입힐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센터 스테이를 적용할 경우 후드래치의 상측 방향으로의 강성이 보강되기는 하지만, 전방 충돌할 경우 내부에 조립된 쿨링모듈의 손상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후드래치의 상측 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센터 스테이에 의한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 보호 성능이 향상된 차량용 캐리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특허로, 국내공개특허 제2005-0115014호(공개일 2005.12.07, 명칭 :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에 후드래치가 장착되는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아래 측에 배치된 하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 및 하부 패널의 양단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로 이루어진 전면 패널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후드래치와 상기 하부 패널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강와이어를 포함함으로써, 후드래치의 상측 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기존 센터 스테이에 의한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 보호 성능이 향상된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는 전면에 후드래치(300)가 장착되는 상부 패널(110)과, 상기 상부 패널(110)의 아래 측에 배치된 하부 패널(120)과, 상기 상부 패널(110) 및 하부 패널(120)의 양단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130)로 이루어진 전면 패널(100); 및 상기 전면 패널(100)의 좌우측에 연장되어 헤드램프 안착부가 구비된 써포트 패널(200);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캐리어(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캐리어(1)는 상기 후드래치(300)와 상기 하부 패널(1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강와이어(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와이어(400)는 상기 상부 패널(110)에 상측 방향으로 하중 발생시, 상기 상부 패널(110)을 지지하도록 일정 직경 이상인 스틸 재질의 와이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와이어(400)는 상기 상부 패널(110)에 상측 방향으로 최대 하중 발생시,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가 되며, 최대 하중 이하에서 느슨하게 하측 방향으로 쳐진 상태가 될 수 있는 길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캐리어(1)는 상기 후드래치(300)의 너비방향으로 양단에 형성된 결합홀(310)과 상기 상부 패널(110)에 형성된 체결부(111)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1결합수단(510) 및 제2결합수단(520)에 상기 보강와이어(400)가 연결되되, 상기 보강와이어(400)가, 제1결합수단(510) 및 상기 하부 패널(12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보강와이어(410)와, 제2결합수단(520) 및 상기 하부 패널(12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보강와이어(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캐리어(1)는 상기 하부 패널(120)의 양단에 각각 와이어 결합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후드래치(300)에 연결되는 측과 반대되는 측의 상기 제1보강와이어(410) 및 제2보강와이어(420) 단부가 상기 와이어 결합부(1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는 전면에 후드래치가 장착되는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의 아래 측에 배치된 하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 및 하부 패널의 양단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로 이루어진 전면 패널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후드래치와 상기 하부 패널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강와이어를 포함함으로써, 후드래치의 상측 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기존 센터 스테이에 의한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 보호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차량용 캐리어는 차량의 신뢰성 테스트 항목 중 상기 후드 래치에 상측 방향으로 5340N까지의 하중을 가했을 때 후드래치에 손상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후드래치 리텐션 테스트를 위해 상부 패널 강성 보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상부 패널 강성 보강을 위해 강성이 높은 재질로 상부 패널을 제작할 경우, 보행자와 충돌 시 보행자에게 큰 상해를 입힐 수 있으며, 후드래치의 상측 방향으로의 강성 보강을 위해 종래 캐리어에서 추가되었던 센터 스테이에 의해 차량 전면 충돌 시 쿨링모듈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반대로, 보행자 보호 성능 증대를 위해 상성이 낮은 재질로 제조할 경우 후드래치 리텐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느슨한 상태로 연결되되, 후드래치의 상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는 팽팽하게 인장되어 후드래치의 리텐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부 패널의 강성 보강을 위해 강성이 높은 재질로 상부 패널을 제조할 필요가 없어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강 와이어가 후드래치의 상측 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센터 스테이가 필요하지 않아 차량 전면 충돌 시 센터 스테이에 의한 쿨링모듈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NVH 성능은 물론 RCAR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의 상부 멤버 및 후드래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후드래치에 상측 방향으로 하중 발생 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평상 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의 후드래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1)는 크게 전면 패널(100), 써포트 패널(200) 및 보강와이어(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100)은 전면에 후드래치(300)가 장착되는 상부 패널(110)과, 상기 상부 패널(110)과 높이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패널(120)과, 상기 상부 패널(110) 및 하부 패널(120)의 양단을 대략 수직으로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130)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상기 후드래치(300)는 차량용 캐리어(1)의 상부 패널(110) 부착되어 차량의 전방 후드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으로써, 차량의 전방 후드가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래치(300)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패널(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너비방향으로 양단의 일정 영역이 중공되어 형성되는 결합홀(31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볼트 및 너트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홀(310)은 도 7과 같이 너비방향으로 양단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하나씩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형태 및 위치 역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110)은 상기 후드래치(300)가 장착되는 영역이 차량측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후드래치(300)가 장착되는 영역이 다른 영역과 마찬가지로 편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후드래치(300) 커버가 별도로 구비되어 후드래치(300)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 패널(100)은 상기 상부 패널(110), 하부 패널(120) 및 사이드 패널(130)에 의해 대략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가운데가 개구되어 쿨링모듈이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써포트 패널(200)은 상기 전면 패널(100)의 좌ㆍ우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헤더램프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는 보강와이어(4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와이어(400)는 상기 후드래치(300)와 상기 하부 패널(1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드래치(300)의 상측 방향으로의 하중을 지지하여 강성이 보강되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상기 보강와이어(400)는 일단이 상기 상부 패널(110)의 중심에 위치한 상기 후드래치(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패널의 가장자리에 연결됨으로써 대략 "∧" 형태로 상기 캐리어의 개구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보강와이어(400)는 상기 상부패널에 상측 방향으로 하중 발생시, 상기 상부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되, 강성이 높은 스틸 재질의 와이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와이어(400)는 상기 상부 패널(110)에 상측 방향으로 최대 하중 발생시,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가 되며, 최대 하중 이하에서 느슨하게 하측 방향으로 쳐진 상태가 될 수 있는 길이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는 차량의 신뢰성 테스트 항목 중 상기 후드 래치에 상측 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 후드래치(300)에 손상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후드래치(300) 리텐션 테스트를 위해 캐리어의 상부 패널(110)에 최대 5340N의 하중을 가하여 상기 상부패널이 상측으로 휠 경우, 도 5와 같이 상기 보강와이어(400)가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가 되어 인장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는 후드래치(300) 리텐션 테스트의 최대 하중인 5340N 보다 낮은 하중이 가해질 경우, 하중의 정도에 따라 늘어진 정도가 다르기는 하나, 도 6과 같이 상기 보강 와이어가 느슨하게 하측 방향으로 처진 상태가 된다.
차량용 캐리어(1)는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종래에는 필요에 따라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스틸로 제조하거나 고강도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기도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는 상기 보강와이어(400)에 의해 상기 후드래치(3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추가적으로 상부 패널(110)의 강성을 보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는 보행자와 충돌할 경우에도 보행자에게 큰 충격을 주지 않아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드래치(300)에는 너비방향으로 양단에 결합홀(310)이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씩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상부 패널(110)에도 체결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11)는 볼트가 결합 고정될 수 있는 볼트 삽입홈의 형태일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마운팅 핀 형태일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는 너비방향으로 상기 후드래치(30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홀(310)과 상기 체결부(111)가 결합되도록 하는 별도의 제1결합수단(510)을 더 포함하며, 너비방향으로 상기 후드래치(30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홀(310)과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체결부(111)가 결합되도록 하는 별도의 제2결합수단(52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수단(510) 및 제2결합수단(520)은 마운트일수도 있고, 너트나 볼트일수도 있다.
상기 보강와이어(400)는 상기 제1결합수단(510) 및 상기 하부 패널(12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보강와이어(410)와, 상기 제2결합수단(520) 및 상기 하부 패널(12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보강와이어(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는 상기 하부 패널(120)의 양단에 각각 와이어 결합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후드래치(300)에 연결된 측과 반대되는 측의 상기 제1보강와이어(410) 및 제2보강와이어(420) 단부가 상기 와이어 결합부(1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결합부(121)는 상기 체결부(111)와 마찬가지로 볼트 삽입홈의 형태일 수도 있고, 마운팅 핀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는 너트나 볼트 또는 마운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볼트나 마운팅 핀에 상기 핀이 묶인 상태에서 상기 너트나 마운트가 결합되어 상기 제1보강와이어(410) 및 제2보강와이어(420)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보강와이어(400)의 양단이 결합 고정되는 방법 및 수단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을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는 상기 후드래치(300)와 상기 하부 패널(1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강와이어(400)를 포함함으로써, 후드래치(300)의 상측 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기존 센터 스테이에 의한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행자 보호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느슨한 상태로 연결되되, 후드래치(300)의 상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는 팽팽하게 인장되어 후드래치(300)의 리텐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부 패널(110)의 강성 보강을 위해 강성이 높은 재질로 상부 패널(110)을 제조할 필요가 없어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강 와이어가 후드래치(300)의 상측 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센터 스테이가 필요하지 않아 차량 전면 충돌 시 센터 스테이에 의한 쿨링모듈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NVH 성능은 물론 RCAR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차량용 캐리어
100 : 전면 패널
110 : 상부 패널 111 : 체결부
120 : 하부 패널 121 : 와이어 결합부
130 : 사이드 패널
200 : 써포트 패널
300 : 후드래치
310 : 결합홀
400 : 보강와이어
410 : 제1보강와이어 420 : 제2보강와이어
510 : 제1결합수단 520 : 제2결합수단

Claims (5)

  1. 전면에 후드래치(300)가 장착되는 상부 패널(110)과, 상기 상부 패널(110)의 아래 측에 배치된 하부 패널(120)과, 상기 상부 패널(110) 및 하부 패널(120)의 양단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130)로 이루어진 전면 패널(100); 및 상기 전면 패널(100)의 좌우측에 연장되어 헤드램프 안착부가 구비된 써포트 패널(200);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캐리어(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캐리어(1)는
    상기 후드래치(300)와 상기 하부 패널(1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강와이어(400)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와이어(400)는
    상기 상부 패널(110)에 상측 방향으로 최대 하중 발생시,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가 되며, 최대 하중 이하에서 느슨하게 하측 방향으로 쳐진 상태가 될 수 있는 길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이어(400)는
    상기 상부 패널(110)에 상측 방향으로 하중 발생시, 상기 상부 패널(110)을 지지하도록 일정 직경 이상인 스틸 재질의 와이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3. 삭제
  4. 전면에 후드래치(300)가 장착되는 상부 패널(110)과, 상기 상부 패널(110)의 아래 측에 배치된 하부 패널(120)과, 상기 상부 패널(110) 및 하부 패널(120)의 양단을 연결하는 사이드 패널(130)로 이루어진 전면 패널(100); 및 상기 전면 패널(100)의 좌우측에 연장되어 헤드램프 안착부가 구비된 써포트 패널(200);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캐리어(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캐리어(1)는
    상기 후드래치(300)와 상기 하부 패널(1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강와이어(400)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래치(300)의 너비방향으로 양단에 형성된 결합홀(310)과 상기 상부 패널(110)에 형성된 체결부(111)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1결합수단(510) 및 제2결합수단(520)에 상기 보강와이어(400)가 연결되되,
    상기 보강와이어(400)가, 제1결합수단(510) 및 상기 하부 패널(12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보강와이어(410)와, 제2결합수단(520) 및 상기 하부 패널(12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보강와이어(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캐리어(1)는
    상기 하부 패널(120)의 양단에 각각 와이어 결합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후드래치(300)에 연결되는 측과 반대되는 측의 상기 제1보강와이어(410) 및 제2보강와이어(420) 단부가 상기 와이어 결합부(1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KR1020140020239A 2014-02-21 2014-02-21 차량용 캐리어 Expired - Fee Related KR10194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239A KR101947686B1 (ko) 2014-02-21 2014-02-21 차량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239A KR101947686B1 (ko) 2014-02-21 2014-02-21 차량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86A KR20150098886A (ko) 2015-08-31
KR101947686B1 true KR101947686B1 (ko) 2019-02-13

Family

ID=5406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2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47686B1 (ko) 2014-02-21 2014-02-21 차량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227B1 (ko) 2017-11-02 2019-05-27 농업회사법인 권도영알로에(주) 알로에 사포나리아 발효물을 함유하는 돼지사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82228B1 (ko) 2017-11-02 2019-05-27 농업회사법인 권도영알로에(주) 알로에 사포나리아 발효물을 함유하는 사료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CN111006882A (zh) * 2019-12-30 2020-04-14 山东建筑大学 一种后碰撞低速移动式rcar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265A (ja) 2001-07-25 2003-02-04 Denso Corp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JP2007331453A (ja) 2006-06-13 2007-12-27 Calsonic Kansei Corp ラジエータコアサポ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681Y1 (ko) * 1996-09-25 1999-04-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접이식 에어가이드
KR20060117011A (ko) * 2005-05-12 2006-11-1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프런트 엔드 모듈의 하이브리드 캐리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265A (ja) 2001-07-25 2003-02-04 Denso Corp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JP2007331453A (ja) 2006-06-13 2007-12-27 Calsonic Kansei Corp ラジエータコアサポ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86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860B2 (en) Door structure for vehicle
KR101629100B1 (ko) 자동차용 범퍼 시스템
CN108349546B (zh) 车辆的侧部车身结构
JP2009083687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EP1491407A1 (en) Bumper reinforcing structure of automobile
EP4159546B1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KR101947686B1 (ko) 차량용 캐리어
US7144074B2 (en) Mounting structure for bumper rail of front end module carrier for vehicle
US9434296B2 (en) Cable device to restrict headlamp motion in frontal low speed impacts
CN107848474B (zh) 保险杠用横梁
US9637077B2 (en) Frontal impact energy absorption members
KR20090064668A (ko) 프론트엔드모듈의 보강구조물
KR101721754B1 (ko) 차량용 사출범퍼 시스템
US9302712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KR10085086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범퍼
KR101566696B1 (ko) 자동차용 범퍼빔
KR20200065863A (ko) 자동차용 범퍼 빔 시스템
KR101340854B1 (ko) 세이프티후크와 세이프티캐처의 장착구조
EP4549293A1 (en) Steel insert plastic cowl cross bar
US20240391530A1 (en) Front-end module frame of a vehicle
KR10127389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554707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20090018429A (ko) 라디에이터 체결장치
JP2021024428A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