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462B1 -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7462B1 KR101947462B1 KR1020110138486A KR20110138486A KR101947462B1 KR 101947462 B1 KR101947462 B1 KR 101947462B1 KR 1020110138486 A KR1020110138486 A KR 1020110138486A KR 20110138486 A KR20110138486 A KR 20110138486A KR 101947462 B1 KR101947462 B1 KR 101947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rtcut
- user information
- touch
- touch event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기능 운용을 위해 지원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기반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기반의 사용자 정보 입력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기반의 사용자 정보 입력을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200: 표시부
300: 터치감지부
400: 저장부
500: 단축번호정보
600: 제어부
Claims (23)
-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축번호 입력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번호 입력모드 실행 시 터치 키패드와 수신정보 입력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키패드를 기반으로 각각의 단축번호에 매핑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키패드의 각 숫자 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각 숫자 버튼에 매치되는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키패드 상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벤트가 롱 프레스 기반의 터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표시된 단축번호를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버튼에 매치되는 단축번호의 사용자 정보로 대체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벤트가 숏 프레스 기반의 터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숏 프레스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숫자를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입력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은 상기 단축번호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단축번호정보를 추출하고, 그에 따른 단축번호 및 상기 단축번호 별로 매칭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단축번호 입력모드 실행 시 상기 미리 설정된 단축번호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단축번호정보에 대응하는 단축번호 및 상기 단축번호 별로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번호의 자리 수별로 단축번호의 번호군을 구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단축번호 입력모드의 실행 형태에 따라 특정 번호군의 단축번호에 매치되는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이 공백 상태일 시, 상기 터치 키패드의 각 숫자 버튼 상에 한 자리 수의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숫자정보가 입력된 상태일 시, 상기 터치 키패드의 각 숫자 버튼 상에 해당 숫자를 시작 번호로 가지는 두 자리 수 이상의 단축번호의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상기 터치 키패드의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선택되는 사용자 정보를 호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는 상기 롱 프레스(long press)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해당하는지,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미만 입력되는 상기 숏 프레스(short press)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해당하는지 판별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롱 프레스 기반의 터치 이벤트는 현재 터치키패드 상에 나타난 단축번호별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나타내고, 상기 숏 프레스 기반의 터치 이벤트는 현재 터치키패드 상에 나타난 단축번호별 사용자 정보와는 다른 번호군에 속하는 단축번호의 사용자 정보 검색을 위한 입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이 롱 프레스이면,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버튼에 매치된 단축번호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단축번호에 매핑된 사용자 정보를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실행 기능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단축번호 입력모드로 실행된 기능에 따라, 상기 호출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입력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호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이 숏 프레스이면, 새로운 번호군 선택으로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새로운 번호군의 단축번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키패드를 재구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버튼의 숫자로 시작하는 단축번호의 번호군 선택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번호군의 단축번호정보를 추출하고, 그에 따른 단축번호 및 단축번호별로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두 자리 수 이상의 단축번호로 이루어진 각 번호군들 중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버튼의 숫자로 시작하는 단축번호의 사용자 정보가 각 숫자 버튼 상에 표시되는 터치키패드를 구성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입력된 숫자와 터치 키패드의 숫자 버튼들의 각 숫자와 조합되는 두 자리 수 이상의 단축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입력된 숫자정보를 앞자리 수로 하고, 터치 키패드의 숫자를 뒷자리 수로 하여 두 자리 수 이상의 단축번호를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번호 입력모드는 단축번호 기반의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단축번호 제공 방법. - 단축번호 기능을 지원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단축번호 입력모드에서 수신정보 입력창과 터치 키패드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 키패드의 각 버튼 상에 지정된 단축번호의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단축번호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 키패드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와,
상기 터치 키패드의 각 숫자 버튼에 대응하여, 특정 번호군별로 지정된 단축번호의 사용자 정보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 키패드 상에 사용자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롱 프레스 기반의 터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표시된 단축번호를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버튼에 매치되는 단축번호의 사용자 정보로 대체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터치 이벤트가 숏 프레스 기반의 터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숏 프레스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숫자를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입력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은 상기 단축번호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축번호 입력모드 실행 시 각 단축번호에 매핑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키패드의 각 숫자 버튼 상에 해당 버튼에 매치되는 사용자 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축번호 입력모드 실행 시 미리 설정된 단축번호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단축번호정보에 대응하는 단축번호 및 상기 단축번호 별로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단축번호의 자리 수별로 단축번호의 번호군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이 공백 상태일 시 상기 터치 키패드의 각 숫자 버튼 상에 한 자리 수의 번호군에 속하는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숫자정보가 입력된 상태일 시 상기 터치 키패드의 각 숫자 버튼 상에 해당 숫자를 시작 번호로 가지는 두 자리 수 이상의 번호군에 속하는 단축번호의 사용자 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입력된 숫자와 상기 터치 키패드의 숫자 버튼들의 각 숫자와 조합되는 두 자리 수 이상의 단축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입력된 숫자정보를 앞자리 수로 하고, 상기 터치 키패드의 숫자를 뒷자리 수로 하여 두 자리 수 이상의 단축번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키패드 상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를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을 판별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는 롱 프레스(long press) 기반의 터치 이벤트이면,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버튼에 매치된 단축번호 식별 및 그에 매핑된 사용자 정보를 호출하고, 호출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수신정보 입력창에 입력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호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기능 실행을 제어하며,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미만 입력되는 숏 프레스(short press) 기반의 터치 이벤트이면, 새로운 번호군 선택으로 인지하고, 상기 선택된 새로운 번호군의 단축번호정보를 기반으로 터치 키패드를 재구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롱 프레스 기반의 터치 이벤트는 현재 터치키패드 상에 나타난 단축번호별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나타내고, 상기 숏 프레스 기반의 터치 이벤트는 현재 터치키패드 상에 나타난 단축번호별 사용자 정보와는 다른 번호군에 속하는 단축번호의 사용자 정보 검색을 위한 입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8486A KR101947462B1 (ko) | 2011-12-20 | 2011-12-20 |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
PCT/KR2012/011205 WO2013095018A1 (en) | 2011-12-20 | 2012-12-20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hortcut number in a user device |
US13/722,033 US20130154981A1 (en) | 2011-12-20 | 2012-12-20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hortcut number in a user device |
EP12198565.9A EP2608495B1 (en) | 2011-12-20 | 2012-12-20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hortcut Number in a Use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8486A KR101947462B1 (ko) | 2011-12-20 | 2011-12-20 |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1136A KR20130071136A (ko) | 2013-06-28 |
KR101947462B1 true KR101947462B1 (ko) | 2019-02-14 |
Family
ID=4774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8486A Active KR101947462B1 (ko) | 2011-12-20 | 2011-12-20 |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154981A1 (ko) |
EP (1) | EP2608495B1 (ko) |
KR (1) | KR101947462B1 (ko) |
WO (1) | WO201309501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17754B2 (en) | 2011-08-05 | 2016-08-16 | P4tents1, LLC |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GB201212878D0 (en) | 2012-07-20 | 2012-09-05 | Pike Justin |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
CN103399906B (zh) | 2013-07-29 | 2015-07-29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在进行输入时基于社会关系提供候选词的方法和装置 |
KR20150085251A (ko) * | 2014-01-15 | 2015-07-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US9436295B2 (en) * | 2014-03-28 | 2016-09-06 | Intel Corporation | Alternate dynamic keyboard for convertible tablet computers |
US20160077735A1 (en) * | 2014-09-17 | 2016-03-17 | Kabushiki Kaisha Toshiba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
CN105573606B (zh) * | 2014-10-10 | 2019-07-05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一种信息输入方法及装置 |
GB201520741D0 (en) * | 2015-05-27 | 2016-01-06 | Mypinpad Ltd And Licentia Group Ltd | Authentication methods and systems |
TWI802922B (zh) * | 2021-06-29 | 2023-05-21 | 奇源科技有限公司 | 鬧鐘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72472A (ja) * | 1994-12-19 | 1996-07-02 | Sony Corp | 通信端末装置 |
US6169911B1 (en) * | 1997-09-26 | 2001-01-02 | Sun Microsystems, Inc. |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lephone |
US7231229B1 (en) * | 2003-03-16 | 2007-06-12 | Palm, Inc. |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
KR100553343B1 (ko) * | 2003-08-11 | 2006-02-20 | (주) 엘지텔레콤 |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및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
KR100621431B1 (ko) * | 2004-07-07 | 2006-09-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
KR100639368B1 (ko) * | 2004-10-07 | 2006-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번호 관리방법 |
KR100672529B1 (ko) * | 2005-04-27 | 2007-0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및 장치 |
EP1796352B1 (en) * | 2005-12-06 | 2013-03-13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users of functions and characters associated with telephone keys |
JP2007282208A (ja) * | 2006-04-05 | 2007-10-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携帯端末機におけるサービス制限装置及び方法 |
BRPI0716102B1 (pt) * | 2006-09-01 | 2019-11-19 | Blackberry Ltd | método e aparelho para iniciar uma comunicação, e meio lido por computador |
US9304675B2 (en) * | 2006-09-06 | 2016-04-05 | Apple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stant messaging |
US8000748B2 (en) * | 2007-03-23 | 2011-08-16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facilitating contact from within a telephone application |
JP5098839B2 (ja) * | 2008-06-20 | 2012-12-12 |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携帯端末 |
KR20100088247A (ko) * | 2009-01-30 | 2010-08-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
KR101609391B1 (ko) * | 2009-10-13 | 2016-04-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
-
2011
- 2011-12-20 KR KR1020110138486A patent/KR101947462B1/ko active Active
-
2012
- 2012-12-20 EP EP12198565.9A patent/EP2608495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2-12-20 US US13/722,033 patent/US2013015498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12-20 WO PCT/KR2012/011205 patent/WO201309501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08495A3 (en) | 2013-12-25 |
US20130154981A1 (en) | 2013-06-20 |
KR20130071136A (ko) | 2013-06-28 |
WO2013095018A1 (en) | 2013-06-27 |
EP2608495A2 (en) | 2013-06-26 |
EP2608495B1 (en) | 2016-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7462B1 (ko) |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 |
EP3163569B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smart device by voice,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AU2010258675B2 (en) | Touch anywhere to speak | |
CN104571498B (zh) | 一种应用程序启动方法 | |
US10001919B2 (en) |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functions of dial and calculator and method thereof | |
US20140380239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executing object in the electronic device | |
US20100333027A1 (en) | Delete slider mechanism | |
CN101714057A (zh) | 用于便携式装置的触摸输入装置和方法 | |
KR20130041505A (ko) | 터치 디바이스에서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 |
CN103391469A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CN106375179B (zh) | 一种显示即时通信消息的方法和装置 | |
KR20170072165A (ko) |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 |
US20140287724A1 (en) | Mobile terminal and lock control method | |
US20110320939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a Resizable Widget Associated with a Contacts Database | |
US9659261B2 (en) | User interface for portable device | |
KR20160078295A (ko) | 통화 요청 프롬프트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
HK1204373A1 (en) | A launch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programs | |
US20130111405A1 (en) |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CN108803892B (zh) | 一种在输入法中调用第三方应用程序的方法和装置 | |
CN104811904B (zh) | 联系人设置方法及装置 | |
US20110320980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a Widget Associated with a Contacts Database | |
KR20140099589A (ko) |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 |
JP2017520877A (ja) | 検索方法、検索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WO2018032261A1 (zh) | 应用提示方法及装置 | |
CA2768418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notes in a wireless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