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262B1 - Apparatus for separating of door of vehicle in emergenc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parating of door of vehicle in emergenc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7262B1 KR101947262B1 KR1020170047849A KR20170047849A KR101947262B1 KR 101947262 B1 KR101947262 B1 KR 101947262B1 KR 1020170047849 A KR1020170047849 A KR 1020170047849A KR 20170047849 A KR20170047849 A KR 20170047849A KR 101947262 B1 KR101947262 B1 KR 1019472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bracket
- interlocking
- interlocking bracket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3721 gun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006—Explosive bolts; Explosive actu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2011/009—Impact absorbing hinges for vehicle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비상시 탑승자가 차량의 내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차량의 도어가 차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는, 차량(1)의 차체(11)와 상기 차량(1)의 도어(2)를 힌지연결시키는 힌지볼트(15)를 비상시 파단시켜 상기 차체(11)로부터 상기 도어(2)가 분리되도록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11)에 체결되되,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되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연동브라켓(12)과, 상기 도어(2)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14)과, 상기 연동브라켓(12)와 상기 도어브라켓(1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힌지볼트(15)와,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동브라켓(12)을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하여, 상기 연동브라켓(12)을 슬라이딩시키는 액츄에이터(16)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브라켓(12)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힌지볼트(15)를 파단시켜, 상기 연동브라켓(12)과 상기 힌지볼트(15)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unbuckling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that allows a door of a vehicle to be separated from a vehicle body so that an occupant can escape from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a simple structure.
The emergency unbon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eaks the hinge bolt 15 for hinging the vehicle body 11 of the vehicle 1 and the door 2 of the vehicle 1 in an emergency so that the vehicle body 11 The interlocking bracket (12)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11) and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vehicle is hit by a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greater. The interlocking bracket (12) A door bracket 14 fixed to the door 2; a hinge bolt 15 installed to penetrate the interlocking bracket 12 and the door bracket 14; And an actuator 16 which hits the hinge bolt 15 with a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and slides the interlocking bracket 12. The interlocking bracket 12 slides to break the hinge bolt 15, The bracket (12) and the hinge bolt (1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so as to be separ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비상시 탑승자가 차량의 내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차량의 도어가 차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unbuckling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that allows a door of a vehicle to be separated from a vehicle body so that an occupant can escape from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a simple structure.
차량에 설치된 도어는 차량의 주행중에는 차체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를 보호하고, 탑승자의 승하차시에는 개방되어 탑승자의 승하차를 가능하게 한다.The door installed in the vehicle keeps the state of being bound to the vehicle body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so as to protect the passenger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open when the passenger gets on and off to enable the passenger to get on and off.
이러한 도어는 통상적으로 상기 차체에 상기 도어의 일측이 힌지연결되어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힌지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된다.Such a door is normally hinged to one side of the door to the vehicle body, and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nd is opened and closed while rotating around a hinged portion.
한편, 상기 도어는 비상시, 예컨대 차량 전복시에도 개폐가 가능해야 상기 차량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를 구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even in an emergency,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rollover, so that the passenger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can be rescued.
흔히 차량에 적용되는 스윙식 도어(힌지볼트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좌우측으로 개방되는 도어)는 차량이 전복되더라도, 상기 도어에 설치된 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도어의 락이 해제되어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로부터 탈출하거나, 상기 차량의 외부에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탑승자를 구조할 수 있다.A swing-type door (a door which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which is ope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which is often applied to a vehicle, releases the lock of the door when the handle mounted on the door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open the door inside the vehicle to escape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or to open the door outside the vehicle to rescue the passenger.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하 개폐식 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는 상기 차량의 전복시 도어의 개폐가 불가능해 탑승자가 탈출하지 못하거나, 외부에서 상기 탑승자를 구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vehicle having the vertical retractable door as shown in FIG. 1, it is impossible to open or close the door when the vehicle is rollover, so that the passenger can not escape or the passenger can not be rescued from the outsid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터플라이 도어(Butterfly Door)가 적용된 차량(1)은 상기 도어(2)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된다. 상기 차량의 A필라에 힌지(110)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2)가 힌지볼트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도어(2) 전체가 상방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2)의 측면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면서 개방된다.In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버터플라이 도어(2)가 적용된 차량(1)이 전복되면, 상기 차량의 천정이 지면과 접촉하고 있어 상기 도어(2)가 개방될 수 있는 공간이 없으므로, 차량 전복시 탑승자의 탈출이나 구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이는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가 적용된 차량(1)뿐만 아니라, 시저도어(Scissor Door), 걸윙 도어(Gullwing Door) 등과 같이 도어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차량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다.This is a problem that can occur in a vehicle in which a door is vertically opened and closed as well as a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의 전복과 같은 비상시, 상기 힌지(110)가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2)가 상기 차량(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기술이 적용되는 예가 있다. 예컨대, 상기 힌지(110)마다 힌지해제수단을 구비함으로서, 비상시 상기 힌지(110)가 해제되어 상기 도어(2)의 개방이 가능토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n example in which the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힌지해제수단이 각 힌지(110)마다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힌지해제수단의 설치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진다. 상기 도어(2)가 힌지연결되는 부위는 차량의 A필라인데, 상기 힌지해제수단의 설치개수가 늘어나면, 상기 힌지해제수단의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지 않고, 상기 힌지해제수단의 설치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A필라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hinge releasing means is provided for each
또한, 상기 힌지해제수단의 증가에 따라 생산비용도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hinge releasing means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also increases.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차량 도어를 위한 선회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prior art reference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 turn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비상시 도어를 차체에 힌지연결시키는 복수의 힌지에서 각 힌지볼트를 동시에 서로 연동하여 파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힌지가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차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nge for a hing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unbonding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which can be separated from a vehicle bod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는, 차량의 차체와 상기 차량의 도어를 힌지연결시키는 힌지볼트를 비상시 파단시켜 상기 차체로부터 상기 도어가 분리되도록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체결되되,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되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연동브라켓과,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과, 상기 연동브라켓와 상기 도어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힌지볼트와,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동브라켓을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하여, 상기 연동브라켓을 슬라이딩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브라켓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힌지볼트를 파단시켜, 상기 연동브라켓과 상기 힌지볼트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unbuckling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comprising a hinge bolt for hinging a vehicle body of a vehicle and a door of the vehicle, An interlocking bracket that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slid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when hit by a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a door bracket fixed to the door; and a mounting bracket installed to penetrate the interlocking bracket and the door bracket. And an actuator for hitting the interlocking bracket with a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greater and sliding the interlocking bracket when a signal is inputted from the outside so as to break the hinge bolt while sliding the interlocking bracket, To separate the bracket from the hinge bolt .
상기 힌지볼트는 상기 힌지볼트의 몸체가 상기 도어브라켓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된 볼트헤드가 위치하며, 상기 볼트헤드와 상기 도어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볼트헤드와 상기 몸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파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브라켓은 상기 파단부와 상기 도어브라켓 사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동브라켓이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되면, 상기 연동브라켓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볼트헤드를 타격하여 상기 파단부를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of the hinge bolt is accommodated in the door bracket and the bolt head extended from the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bracket is positioned. And a breaking portion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body, and the interlocking bracket is installed to penetrate between the breaking portion and the door bracket. When the interlocking bracket is struck with a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nd the broken portion is broken by hitting the bolt head.
상기 볼트헤드는 그 직경이 상기 힌지볼트의 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bolt head has a diameter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body of the hinge bolt.
상기 도어브라켓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어브라켓 마다 설치되는 힌지볼트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도어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연동브라켓는 상기 모든 힌지볼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bracke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hinge bolts installed in the respective door brackets are installed on the door bracket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interlocking brackets are connected to all the hinge bolts.
상기 연동브라켓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연동브라켓의 슬라이딩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연장되는 연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부가 상기 힌지볼트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interlocking bracket is formed with an interlocking portion that is bent or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liding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bracket at a plurality of point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interlocking portion penetrates the hinge bolt.
상기 연동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둘레에는 상기 연동브라켓의 슬라이딩시, 상기 볼트헤드를 타격하는 충격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mpact ring for hitting the bolt head is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terlocking portion when the interlocking bracket is slid.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연동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폭발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시키는 화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uator includes a housing fixed to the vehicle body, a slider fastened to the interlocking bracket and slid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 gunpowder slidable by the slider while exploding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outside .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복수의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체결볼트가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flange port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and a fastening bolt penetrates the flange portion and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연동브라켓에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lider is fastened to a fastening part protruding from the interlocking bracket.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연동브라켓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제1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lider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slider in the interlocking bracket.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연동브라켓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단에 각각 인접하도록 형성된 제2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lider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form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slider in the interlocking bracket.
상기 연동브라켓은 상기 연동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연동브라켓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차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동브라켓이 상기 차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interlocking bracket is formed with a lo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bracket and the interlocking bracket fastening bolt penetrat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and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interlocking bracket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
상기 연동브라켓 체결볼트는 상기 체결공에서 상기 연동브라켓의 슬라이딩방향의 선단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terlocking bracket fastening bolts are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fastening hole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bracket.
상기 체결공의 중간에는 상기 연동브라켓이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되어 슬라이딩하면, 상기 연동브라켓 체결볼트를 통과시키는 네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neck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astening hole to allow the interlocking bracket to pass the bolt when the interlocking bracket is slid with a force exceeding a predetermined size.
상기 도어는 버터플라이 도어, 시저 도어 또는 걸윙 도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may be a butterfly door, a scissor door or a gullwing doo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에 따르면, 차량 전복과 같은 비상시, 도어와 차체가 연결되는 복수의 힌지에 설치된 힌지볼트가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파단됨으로써, 상기 힌지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도어를 상기 차체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탑승자가 탈출하거나 탑승자를 구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ergency unbonding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an emergency such as vehicle rollover occurs, the hinge bolts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hinges to which the door and the vehicle body are connected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By separating the door from the vehicle body, the occupant can escape or rescue the occupant.
특히, 상기 힌지볼트의 파단시 하나의 액츄에이터로 복수의 힌지볼트를 연동하여 동시에 파단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져, 상기 힌지볼트를 파단시키는 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차량의 A필라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hinge bolt breaks, a plurality of hinge bolts are interlocked and broken at the same time by one actuator,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means for breaking the hinge bolt is reduced,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버터플라이 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또는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C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에서 차체에 연동브라켓과 액츄에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에서 차체에 연동브라켓과 액츄에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Ⅱ- 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의 작동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is opened in a vehicle to which a butterfly door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unbon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r A 'of FIG. 2;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B in Fig. 2;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C of FIG. 2;
6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interlocking bracket and an actuator are installed in a vehicle body in an emergency unbonding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I in Fig. 6A.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interlocking bracket and an actuator are installed in a vehicle body in an emergency unbonding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7A. FIG.
8A to 8D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unbonding apparatus of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1)에 체결되되, 정해진 힘 이상으로 타격되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연동브라켓(12)과, 상기 도어(2)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14)과, 상기 연동브라켓(12)와 상기 도어브라켓(1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힌지볼트(15)와,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동브라켓(12)을 정해진 이상으로 타격하여, 상기 연동브라켓(12)을 슬라이딩시키는 액츄에이터(16)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브라켓(12)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힌지볼트(15)를 파단시켜, 상기 연동브라켓(12)과 상기 힌지볼트(15)가 분리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the emergency unbonding apparatus for a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본 발명은 통상의 차량의 도어가 아닌, 버터플라이 도어(2), 시저 도어 또는 걸윙 도어와 같이 상기 도어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한 차량에 적용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ehicle having a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uch as a
연동브라켓(12)은 정해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체(11)와 상기 도어(2)가 힌지연결되는 부위에 체결된다. 예컨대, 상기 도어(2)가 버터플라이도어라면, 상기 연동브라켓(12)은 상기 차체(11)에서 A필라에 상기 A필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A필라에 체결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상기 연동브라켓(12)은 상기 차체(11)에 체결되되, 상하개폐식 도어를 갖는 차량이 전복된 경우와 같이, 정상적으로 상기 도어(2)를 개방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연동브라켓(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상기 연동브라켓(12)은 정상시에는 상기 차체(11)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연동브라켓(12)의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연동브라켓(12)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힌지볼트(15)를 파단시키다.The interlocking
이를 위하여, 상기 연동브라켓(12)에 형성되는 체결공(12a)은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연동브라켓 체결볼트(13)가 상기 체결공(12a)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11)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동브라켓(12)이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되면, 상기 연동브라켓(12)이 체결력을 극복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이때, 상기 연동브라켓 체결볼트(13)는 상기 체결공(12a)에서 상기 연동브라켓(12)의 슬라이딩방향의 선단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11)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동브라켓(12)이 도 5에서 우측상단에서 좌측하단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었다면, 상기 연동브라켓 체결볼트(13)는 상기 체결공(12a)에서 좌측하단의 단부쪽에 위치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interlocking bracket fastening
또한, 체결공(12a)의 중간에는 상기 연동브라켓(12)이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되어 슬라이딩하면, 상기 연동브라켓 체결볼트(13)를 통과시키는 네크(12a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크(12aa)에 의해서 상기 연동브라켓 체결볼트(13)의 체결력이 약간 약해지더라도, 평상시에는 상기 연동브라켓(12)은 슬라이딩하지 않고, 액츄에이터에 의해 타격되었을 때에만 상기 연동브라켓 체결볼트(13)가 상기 네크(12aa)가 통과함으로써, 상기 연동브라켓(12)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It is preferable that a neck 12aa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상기 연동브라켓(12)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연동브라켓(12)으로부터 수빅한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동부(12d)가 형성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브라켓(12)과 도어브라켓(14)이 2군데에서 힌지연결된다면, 상기 연동브라켓(12)의 양단을 절곡하여 상기 연동부(12d)를 형성할 수 있고, 3군데 이상에서 힌지연결된다면, 중간에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연동부(12d)가 형성될 수 있다. The interlocking
한편, 상기 연동부(12d)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힌지볼트(15)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terlocking
또한, 상기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연동부(12d)가 상기 힌지볼트(15)의 볼트헤드(15b)를 타격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충격링(12e)이 형성될 수 있다.An
도어브라켓(14)은 도어(2)측에 체결된다. 상기 도어브라켓(14)은 양단은 플랜지의 형태로 형성되고, 중간부분이 양단에 비해 높게 형성됨으로써, 양단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2)에 체결되고, 중간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연동브라켓(12)과 힌지연결될 수 있다.The
힌지볼트(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브라켓(12)의 연동부(12d)와 상기 도어브라켓(14)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연동브라켓(12)과 상기 도어브라켓(14)이 힌지연결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상기 도어(2)가 상기 차체(11)에대하여 회전한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나,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더라도, 상기 연동브라켓(12)만 좌측하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만 차이가 있을뿐, 나머지 구성은 A부분과 동일하다.3, the
상기 힌지볼트(15)는 몸체는 대부분이 상기 도어브라켓(14)의 내부에 위치한다.Most of the body of the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몸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볼트헤드(15b)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상기 볼트헤드(15b) 사이에는 상기 몸체 및 상기 볼트헤드(15b)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파단부(15a)가 형성된다.A
상기 몸체가 상기 연동브라켓(12)의 연동부(12d)와 상기 도어브라켓(14)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연동브라켓(12)과 상기 도어브라켓(14)이 힌지연결되도록 한다.The body passes through the interlocking
상기 파단부(15a)는 직경이 매우 작은 부분으로서, 상기 볼트헤드(15b)가 타격되면, 상기 파단부(15a)가 파단되어, 상기 볼트헤드(15b)가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The breaking
상기 힌지볼트(15)는 상기 연동브라켓(12)과 상기 도어브라켓(14)이 힌지연결되는 부위마다 설치되는데, 이때, 각 힌지볼트(15)의 방향은 서로 동일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연동브라켓(12)의 슬라이딩시 동시에 상기 볼트헤드(15b)를 타격하여 상기 파단부(15a)에서 파단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액츄에이터(16)는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동브라켓(12)을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하거나 외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상기 연동브라켓(12)이 슬라이딩하도록 한다.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outside, the
상기 액츄에이터(16)는 상하 개폐식 도어를 갖는 차량이 전복되는 경우와 같이, 비상시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작동된다. 상기 신호는 상기 차량(1)의 전복을 감지하면 상기 차량(1)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발생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액츄에이터(16)는 순간적인 폭발에 의해 상기 연동브라켓(12)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화약(16c)을 이용할 수 있다.The
상기 액츄에이터(16)는 하우징(16a)과, 상기 하우징(16a)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6b)와, 외부신호에 의해 폭발하여 상기 슬라이더(16b)를 슬라이딩시키는 화약(16c)를 포함한다.The
상기 하우징(16a)은 상기 차체(11)에 체결된다. 상기 연동브라켓(12)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하우징(16a)이 직접 상기 차체(11)에 체결되도록 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6a)의 외측에는 복수의 플랜지부(16d)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6d)를 체결볼트(16e)가 관통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6a)이 상기 차체(11)에 체결되도록 한다.The housing (16a)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11). A part of the interlocking
이때, 상기 체결볼트(16e)는 차체(11)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11a)과 마운팅 보강부재(11b)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6a)이 상기 차체(11)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슬라이더(16b)는 상기 하우징(16a)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6b)는 상기 연동브라켓(12)과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더(16b)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연동브라켓(12)이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6b)의 전단은 상기 연동브라켓(12)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제1체결부(12b)에 체결너트(16d)로 체결되고, 상기 슬라이더(16b)의 양측단은 상기 연동브라켓(12)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제2체결부(12c)에 체결너트(16d)로 체결된다. 상기 슬라이더(16b)와 상기 연동브라켓(12)은 도 7b와 같이 체결될 수 있다.The
화약(16c)은 상기 슬라이더(16b)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약(16c)은 상기 하우징(16a)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점화신호가 인가되면, 폭발하면서 순간적으로 상기 슬라이더(16b)를 작동시킨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unbonding apparatus of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now be described.
도 8a 내지 도 8d에는 각 부분의 작동전의 상태(도 8a의 (a), 도 8b의 (a), 도 8c의 (a), 도 8d의 (a))와 작동후의 상태(도 8a의 (b), 도 8b의 (b), 도 8c의 (b), 도 8d의 (b))8A to 8D show the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each part (Figs. 8A, 8B, 8C, 8D, and 8A) (b), 8 (b), 8 (c), 8 (d)
도 8a에는 작동신호의 인가시 상기 액츄에이터(16)의 작동전과 작동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8A shows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액츄에이터(16)의 화약(16c)이 폭발하면, 상기 액츄에이터(16)는 상기 슬라이더(16b)를 밀어낸다(도 8a의 (b) 참조).When the
상기 슬라이더(16b)가 작동하면, 도 8b의 (a)상태에서 도 8b의 (b)상태가 되도록 상기 연동브라켓(12)도 슬라이딩한다.When the
상기 연동브라켓(12)이 슬라이딩하면, 상기 연동부(12d)가 상기 볼트헤드(15b)를 타격하여, 도 8c의 (b)와 같이, 상기 볼트헤드(15b)가 상기 힌지볼트(15)와 분리되도록 한다.When the interlocking
즉, 도 8d의 (a) 상태(평상시)에서, 상기 연동브라켓(12)이 슬라이딩하면, 상기 충격링(12e)의 내경이 상기 볼트헤드(15b)의 외경보다 작아서, 상기 충격링(12e)이 상기 볼트헤드(15b)를 타격하게 되고, 상기 충겨이 상기 파단부(15a)에 집중됨으로써, 상기 파단부(15a)가 파단된다(도 8d의 (b) 참조).That is, when the interlocking
이때, 상기 연동브라켓(12)에 형성된 연동부(12d)는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힌지볼트(15)의 볼트헤드(15b)를 동시에 타격하게 되는 바, 하나의 액츄에이터(16)로 여러 부위의 힌지연결을 한번에 해제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interlocking
따라서, 상기 도어(2)와 상기 차체(11)의 결속이 해제되므로, 상하개폐시 도어를 차체(1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개방되도록 한다.Therefore, since the coupling between the
1 : 차량
2 : 도어
11 : 차체
11a : 사이드 아우터 패널
11b : 마운팅 보강부재
12 : 연동브라켓
12a : 체결공
12aa : 네크
12b : 제1체결부
12c : 제2체결부
12d : 연동부
12e : 충격링
13 : 연동브라켓 체결볼트
14 : 도어브라켓
15 : 힌지볼트
15a : 파단부
15b : 볼트헤드
16 : 액츄에이터
16a : 하우징
16b : 슬라이더
16c : 화약
16d : 플랜지부
16e : 체결볼트
16f : 체결볼트
110 : 힌지어셈블리1: vehicle
2: Door
11: Body
11a: Side outer panel
11b: mounting reinforcing member
12: Interlocking bracket
12a: fastening ball
12aa: Neck
12b: first fastening portion
12c: second fastening portion
12d:
12e: Impact ring
13: Interlocking bracket bolt
14: Door bracket
15: Hinge Bolt
15a:
15b: Bolt head
16: Actuator
16a: housing
16b: Slider
16c: Gunpowder
16d: flange portion
16e: fastening bolt
16f: fastening bolt
110: Hinge assembly
Claims (15)
상기 차체에 체결되되,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되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연동브라켓과,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브라켓과,
상기 연동브라켓와 상기 도어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힌지볼트와,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동브라켓을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하여, 상기 연동브라켓을 슬라이딩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브라켓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힌지볼트를 파단시켜, 상기 연동브라켓과 상기 힌지볼트가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연동브라켓은 상기 연동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연동브라켓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차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동브라켓이 상기 차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1. An emergency unbind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that breaks a hinge bolt that hinges a vehicle body of a vehicle and a door of the vehicle in an emergency so as to separate the door from the vehicle body,
An interlocking bracket that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slid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when hit by a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A door bracket fixed to the door;
A hinge bolt installed to penetrate the interlocking bracket and the door bracket;
And an actuator for hitting the interlocking bracket with a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greater and sliding the interlocking bracket when a signal is inputted from the outside,
The interlocking bracket slides to break the hinge bolt so that the interlocking bracket and the hinge bol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rein the interlocking bracket is formed with an elongated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bracket and the interlocking bracket fastening bolt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and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interlocking bracket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Emergency unbuckling device of a vehicle door.
상기 힌지볼트는 상기 힌지볼트의 몸체가 상기 도어브라켓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된 볼트헤드가 위치하며, 상기 볼트헤드와 상기 도어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볼트헤드와 상기 몸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파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브라켓은 상기 파단부와 상기 도어브라켓 사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동브라켓이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되면, 상기 연동브라켓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볼트헤드를 타격하여 상기 파단부를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of the hinge bolt is accommodated in the door bracket and the bolt head extended from the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bracket is positioned. And a breaking portion form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body,
Wherein the interlocking bracket is installed to penetrate between the breakable portion and the door bracket,
Wherein when the interlocking bracket is struck by a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the interlocking bracket slides while hitting the bolt head to break the rupture portion.
상기 볼트헤드는 그 직경이 상기 힌지볼트의 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olt head has a diameter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body of the hinge bolt.
상기 도어브라켓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어브라켓 마다 설치되는 힌지볼트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도어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연동브라켓는 상기 모든 힌지볼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oor bracke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hinge bolts installed in the respective door brackets are installed in the door bracket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interlocking bracket is connected to all the hinge bolts.
상기 연동브라켓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연동브라켓의 슬라이딩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연장되는 연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부가 상기 힌지볼트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terlocking bracket is formed with an interlocking portion that is bent or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liding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bracket at a plurality of point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interlock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hinge bolt Device.
상기 연동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둘레에는 상기 연동브라켓의 슬라이딩시, 상기 볼트헤드를 타격하는 충격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impulse ring is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terlocking portion to strike the bolt head when sliding the interlocking bracket.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연동브라켓에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폭발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시키는 화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tuator includes:
A housing fixed to the vehicle body;
A slider fastened to the interlocking bracket and slid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slider includes a gunpowder which is detonated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slider slides.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복수의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체결볼트가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flange portions are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and a fastening bolt passes through the flange portion and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연동브라켓에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lider is fastened to a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terlocking bracket.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연동브라켓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제1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lider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slider in the interlocking bracket.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연동브라켓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단에 각각 인접하도록 형성된 제2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lider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form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slider in the interlocking bracket.
상기 연동브라켓 체결볼트는 상기 체결공에서 상기 연동브라켓의 슬라이딩방향의 선단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locking bracket fastening bolts are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fastening hole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bracket.
상기 체결공의 중간에는 상기 연동브라켓이 정해진 크기 이상의 힘으로 타격되어 슬라이딩하면, 상기 연동브라켓 체결볼트를 통과시키는 네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neck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astening hole so as to pass the interlocking bracket fastening bolt when the interlocking bracket is hit and slid by a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상기 도어는 버터플라이 도어, 시저 도어 또는 걸윙 도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비상 결속 해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is one of a butterfly door, a scissor door, and a gullwing do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7849A KR101947262B1 (en) | 2017-04-13 | 2017-04-13 | Apparatus for separating of door of vehicle in emergenc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7849A KR101947262B1 (en) | 2017-04-13 | 2017-04-13 | Apparatus for separating of door of vehicle in emergenc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5484A KR20180115484A (en) | 2018-10-23 |
KR101947262B1 true KR101947262B1 (en) | 2019-02-12 |
Family
ID=6410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7849A Active KR101947262B1 (en) | 2017-04-13 | 2017-04-13 | Apparatus for separating of door of vehicle in emergenc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7262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0945B1 (en) * | 2014-10-10 | 2016-04-11 | 평화정공(주) | Break type hood hinge lif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7541B1 (en) * | 1995-03-22 | 1997-12-26 | 배순훈 | Emergency door separator of the vehicle |
KR200147015Y1 (en) * | 1996-12-30 | 1999-06-15 | 손기락 | Door separated device for an automobile |
KR19990059451A (en) * | 1997-12-30 | 1999-07-26 | 정몽규 | Hinge automatic separating device of car door |
DE102008003994A1 (en) | 2007-10-10 | 2009-04-16 | Daimler Ag | Pivot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
-
2017
- 2017-04-13 KR KR1020170047849A patent/KR10194726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0945B1 (en) * | 2014-10-10 | 2016-04-11 | 평화정공(주) | Break type hood hinge lif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5484A (en) | 2018-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1298B1 (en) | Active hood latch device for vehicle | |
KR100472245B1 (en) | Curtain Airbag Device | |
KR102335388B1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of door of vehicle in emergency | |
EP2022684A1 (en) | Air bag device for protection of knee, method of developing air bag device for protection of knee, and vehicle | |
KR101610945B1 (en) | Break type hood hinge lifting device | |
KR0127541B1 (en) | Emergency door separator of the vehicle | |
KR20170039960A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door opening at collision for vehicle | |
US20140375030A1 (en) | Closing Device for a Housing for an Airbag | |
KR20190122322A (en) | A parking notice tool with safe hammer function for emergency escape of vehicle | |
EP2708422B1 (en) | Motor vehicle with a passenger protection device | |
US20080111354A1 (en) | Apparatus for guiding deployment of curtain airbag for vehicle | |
KR101947262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of door of vehicle in emergency | |
GB2475962A (en) | A handle module with shield for a vehicle door | |
JP6649608B2 (en) | Mounting structure of tailgate door switch | |
JP5024931B2 (en) | Cowl top cover and non-occupant protection device | |
CN112900994A (en) | Door leaf handle for a motor vehicle | |
CN110949308A (en) | Automobile copilot air bag mounting structure | |
JP4853457B2 (en) | Hood flip-up device | |
KR100657668B1 (en) | Car Armrests | |
US8444178B2 (en) | Airbag apparatus | |
EP2857266B1 (en) | Hinge arrangement | |
KR101316898B1 (en) | Structure of Passenger air-bag door | |
KR100828804B1 (en) | Hook structure to prevent door sliding of vehicle | |
EP1527965A1 (en) |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cover of an airbag | |
KR970006825Y1 (en) | Car door with pin for glass removal in case of emergenc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